KR20240036962A - 캡슐 충진기 - Google Patents

캡슐 충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6962A
KR20240036962A KR1020220115656A KR20220115656A KR20240036962A KR 20240036962 A KR20240036962 A KR 20240036962A KR 1020220115656 A KR1020220115656 A KR 1020220115656A KR 20220115656 A KR20220115656 A KR 20220115656A KR 20240036962 A KR20240036962 A KR 20240036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injection
fixing plate
injection material
fill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5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학영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15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6962A/ko
Publication of KR20240036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6962A/ko
Priority to KR1020240054044A priority patent/KR202400630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7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 A61J3/071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into the form of telescopically engaged two-piece capsules
    • A61J3/074Filling capsules; Related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9/00Packaging of material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9/02Packaging of substances, e.g. tea, which are intended to be infused in the package
    • B65B29/022Packaging of substances, e.g. tea, which are intended to be infused in the package packaging infusion material into caps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3/00Package making
    • Y10S53/90Capsu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슐 충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제된 가루약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캡슐로 제조할 수 있고, 캡슐의 제조수량을 편리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약물의 주입용량이 서로 다른 다양한 캡슐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캡슐 제조과정에서 약물을 위생적으로 수거하여 손실 없이 정량으로 사용할 수 있는 캡슐 충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충진기는 캡슐 충진기에 있어서, 캡슐몸체가 삽입되도록 다수의 캡슐삽입공이 형성된 캡슐삽입부를 구비한 캡슐고정판; 및 상기 캡슐몸체에 삽입되는 주입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주입물분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주입물분배수단은 상기 캡슐고정판에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주입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주입물이 배출되는 주입물배출부가 형성된 분배박스를 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캡슐 충진기{CAPSULE FILLING MACHINE}
본 발명은 캡슐 충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제된 가루약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캡슐로 제조할 수 있고, 캡슐의 제조수량을 편리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약물의 주입용량이 서로 다른 다양한 캡슐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캡슐 제조과정에서 약물을 위생적으로 수거하여 손실 없이 정량으로 사용할 수 있는 캡슐 충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이나 약국 등에서 처방받은 약제, 영양제 등은 주로 타블렛 알약 형태로 제공되지만 알약을 사용할 수 없거나 약물 용량을 미세 조정해야 하는 환자의 경우 체중이나 체표면적에 따른 분말 형태의 가루약을 정량으로 제공하여야 한다.
특히, 동물병원에서의 반려 동물의 투약과 소아 투약의 경우 가루약의 조제가 많은데, 복용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가루약은 보통 캡슐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캡슐의 제조는 수작업에 의해 수행할 경우 가루약을 캡슐에 옮기는 과정에서 손실이 많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많은 제조시간이 요구되므로 근래에는 캡슐 충진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캡슐 충진기로는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22-0001316호에 나타난 바와 같은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 캡슐 충진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의 몸체가 고정되는 캡슐고정판(200), 상기 캡슐고정판과 결합될 수 있으며 하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프레임(300), 캡슐고정판(200) 아래에서 캡슐을 밀어 올려 캡슐 몸체를 위로 노출시키는 캡슐받침대(400), 프레임(300)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캡슐받침대(400)를 바닥면에 수직된 방향으로 올릴 수 있는 캡슐올림대(600), 및 캡슐고정판(200) 상면의 약제를 캡슐 내부로 밀어 충진하는 밀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종래 캡슐 충진기는 캡슐 제조의 편의성을 어느 정도 향상시킬 수 있지만 이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수반하는 한계점이 있다.
종래 캡슐 충진기는 가루약을 분배하는 분배수단을 구비하지 못함에 따라 캡슐고정판(200)에 가루약을 뿌려 캡슐에 투입하여야 하므로 가루약의 오염과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캡슐 충진기는 수작업에 의해 캡슐에 가루약을 투입하는 것이므로 의도한 수량과 일치하는 수량으로 캡슐을 제조하기가 매우 어려워 제조 수량이 증가하는 등의 오류가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22-0001316호 "캡슐 충진기" 일본공개특허 JP1999-253531 "물약 등의 캡슐내 충전용 휴대치구"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조제된 가루약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캡슐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캡슐 충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캡슐의 제조수량을 편리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캡슐 충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약물의 주입용량이 서로 다른 다양한 캡슐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호환성이 향상되도록 한 캡슐 충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캡슐 제조과정에서 약물을 위생적으로 수거하여 손실 없이 정량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캡슐 충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충진기는 캡슐 충진기에 있어서, 캡슐몸체가 삽입되도록 다수의 캡슐삽입공이 형성된 캡슐삽입부를 구비한 캡슐고정판; 및 상기 캡슐몸체에 삽입되는 주입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주입물분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주입물분배수단은 상기 캡슐고정판에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주입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주입물이 배출되는 주입물배출부가 형성된 분배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충진기는 상기 주입물분배수단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이동안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안내수단은, 상기 캡슐고정판에 설치되는 이동안내레일; 및 상기 이동안내레일에 미끄럼 이동되게 접속되는 이동블럭;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물분배수단은 상기 다수의 캡슐삽입공 중에서 주입물이 주입되는 범위를 조절하는 주입물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입물조절부는 상기 수용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분배박스의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의 구획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캡슐삽입부는 상기 캡슐삽입공이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도록 천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입물배출부는 상기 캡슐삽입공에 대응되게 천공되는 주입물배출공으로 구성되되, 상기 주입물배출공은 상기 캡슐삽입공에 비해 내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캡슐삽입부는 상기 캡슐삽입공이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도록 천공된 판형몸체가 상기 캡슐고정판에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충진기는 상기 캡슐삽입부와 접한 상기 캡슐고정판에 형성되는 잔류주입물배출공; 및 상기 잔류주입물배출공으로 낙하하는 주입물이 수집되는 주입물수집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충진기는 상기 캡슐고정판의 하방으로 이격 배치되는 하베이스부재; 및 상기 캡슐고정판을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하베이스부재와 상기 캡슐고정판 사이에 설치되는 승강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캡슐고정판과 상기 하베이스부재의 모서리 부위에 설치되는 승강안내봉; 및 상기 승강안내봉에 삽입되고 상기 캡슐고정판에 상승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충진기는 상기 캡슐삽입공에 삽입된 상기 캡슐몸체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캡슐삽입부의 하강시에 상기 캡슐몸체가 노출되도록 상기 하베이스부재에 배치되는 캡슐지지부재; 및 상기 캡슐고정판의 하강된 상태의 유지작용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하강상태유지수단;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강상태유지수단은, 상기 캡슐고정판에 설치되는 제1 하강유지부재; 상기 제1 하강유지부재의 하강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 하강유지부재; 및 상기 제1 하강유지부재와 상기 제2 하강유지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구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충진기는 상기 캡슐삽입공에 삽입된 상기 캡슐몸체의 내부로 삽입된 주입물을 가압하는 압지부재; 및 상기 캡슐고정판에 잔류하는 주입물의 제거를 위해 설치되는 잔류주입물처리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충진기에 의하면, 주입물분배수단이 이동안내수단에 의해 이동되면서 약제와 같은 주입물을 공급하므로 조제된 가루약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캡슐로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충진기에 의하면, 주입물분배수단에 주입물의 공급범위 제어을 통해 제조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주입물조절부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캡슐의 제조수량을 편리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충진기에 의하면, 캡슐삽입부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캡슐삽입공의 내경이 서로 다른 캡슐삽입부를 교체하는 방식으로 약물의 주입용량이 서로 다른 다양한 캡슐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에 따라 하나의 캡슐 충진기로 여러 종류의 캡슐을 호환성 있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충진기에 의하면, 캡슐고정판에 잔류주입물배출공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위치에 약물의 수집을 위해 주입물수집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캡슐 제조과정에서 약물을 위생적으로 수거하여 손실 없이 정량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캡슐 충진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충진기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충진기의 주요 구성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동안내부커버, 압지부재 및 잔류주입물처리부재를 삭제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충진기의 주요 구성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5a 내지 도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충진기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5a는 캡슐고정판 부분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5b는 주입물분배수단 및 이동안내수단 부분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5c 주입물분배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5d는 하강상태유지수단 부분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충진기의 주요 구성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충진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2 내지 도7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2 내지 도7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각각의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이 캡슐 충진기에 특징을 갖는 것이므로 이와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 및 설명하고 나머지 부분에 대한 설명은 간략화하거나, 각 구성요소의 체결을 위한 볼트나 고정핀과 같은 부재들의 도시를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캡슐(c)은 약제와 같은 주입물이 채워지는 캡슐몸체(c1)와, 이 캡슐몸체의 상부에 끼워지는 캡슐마개(c2)로 구성되어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충진기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충진기의 주요 구성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동안내부커버, 압지부재 및 잔류주입물처리부재를 삭제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충진기의 주요 구성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5a 내지 도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충진기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5a는 캡슐고정판 부분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5b는 주입물분배수단 및 이동안내수단 부분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5c 주입물분배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5d는 도3의 A부에 해당되는 하강상태유지수단 부분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충진기의 주요 구성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2 내지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충진기는 맞춤 조제된 가루약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캡슐로 제조할 수 있고, 캡슐의 제조수량을 편리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약물의 주입용량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캡슐고정판(1), 하베이스부재(2), 주입물분배수단(3) 및 이동안내수단(7)을 구비한다.
캡슐고정판(1)은 캡슐몸체(c1)가 정위치한 상태에서 가루약과 같은 주입물의 주입동작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요소로서, 캡슐고정판몸체부(11)와 이 캡슐고정판몸체부에 형성되고 캡슐몸체(c1)가 삽입되도록 다수의 캡슐삽입공(13)으로 이루어진 캡슐삽입부(12)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캡슐삽입부(12)는 다양한 종류의 캡슐 충진이 가능하도록 캡슐고정판몸체부(11)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특징이 있는 것으로 대략 사각판 형상을 갖는 판형몸체에 캡슐삽입공(13)이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도록 천공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캡슐삽입부(12)는 서로 다른 종류의 캡슐을 제조할 수 있도록 복수 개로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캡슐삽입부(12)는 500mg의 용량의 가루약 캡슐의 제조를 위해 해당 용량의 캡슐몸체(c1) 삽입이 가능한 내경의 캡슐삽입공이 형성된 캡슐삽입부와, 250mg의 용량의 가루약 캡슐의 제조를 위해 해당 용량의 캡슐몸체 삽입이 가능한 내경의 캡슐삽입공이 형성된 캡슐삽입부 등 서로 내경의 캡슐삽입공이 마련된 복수의 캡슐삽입부가 별도로 구비되어 탈부착하는 방식으로 교체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캡슐고정판(1)은 대략 사각판 형상을 갖는 캡슐고정판몸체부(11) 중앙 부위에 전술한 캡슐삽입부(12)가 끼워져 안착되도록 캡슐삽입부고정홀(14)이 형성되어 있다.
캡슐삽입부고정홀(14)은 캡슐삽입부(12)와 유사한 사각홀 형태로 천공되어 있고, 그 연부에 둘레를 따라 캡슐삽입부(12)의 가장자리 부위이 올려져 안착되는 안착턱(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안착턱(15)에 올려진 캡슐삽입부(12)를 압박하여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고정바(16)와 같은 결속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캡슐고정판(1)은 캡슐몸체에 주입물을 주입하는 과정에서 표면에 잔류하는 주입물을 제거하여 수집할 수 있도록 캡슐삽입부(12)와 접한 전방 및 후방에 잔류주입물배출공(17)이 형성되어 있고, 캡슐삽입부(12)와 접한 일측 및 타측에 이동안내수단(7)의 설치를 위한 이동안내수단설치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잔류주입물배출공(17)은 캡슐고정판(1)의 폭방향으로 캡슐삽입부(12)의 사이즈에 해당하는 길이로 천공되는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캡슐고정판(1)의 하부에는 잔류주입물배출공(17)으로 낙하하는 주입물이 수집되는 주입물수집부재(91)가 설치되어 있다.
주입물수집부재(91)는 형태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베이스부재(2)는 캡슐고정판의 하방으로 이격 배치되는 구성요소로서 대략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하베이스부재(2)에는 캡슐고정판(1)을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편 하강된 상태의 캡슐고정판(1)에 상승력을 인가하도록 승강부재(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승강부재(5)는 하베이스부재(2)와 캡슐고정판(1)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승강안내봉(51)과 탄성부재(52)로 구성되어 있다.
승강안내봉(51)은 캡슐고정판(1)과 하베이스부재(2)의 모서리 부위에 설치되는 봉상부재로서, 볼트와 유사한 체결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탄성부재(52)는 승강안내봉(51)에 삽입되고 캡슐고정판(1)에 상승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베이스부재(2)에는 캡슐삽입공(13)에 삽입된 캡슐몸체(c1)의 하부를 지지하여 캡슐삽입부(12)의 하강시에 캡슐몸체(c1)가 캡슐삽입공(13)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캡슐지지부재(92)가 구비되어 있다.
캡슐지지부재(92)는 캡슐몸체(c1)의 주입과정에서 캡슐몸체의 하단이 안착되고 캡슐삽입부(12)의 하강시 캡슐의 위치를 유지시킴으로서 캡슐삽입공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면 형태나 구조에 특별한 제한이 없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원기둥 형상의 막대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베이스부재(2)와 캡슐고정판(1) 사이에는 캡슐고정판의 하강동작을 안내하고 하강거리를 제어하는 한편 캡슐고정판(1)의 하강된 상태의 유지작용을 수행하는 하강상태유지수단(6)이 구비되어 있다.
하강상태유지수단(6)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캡슐고정판(1)의 모서리 부위에 설치되는 제1 하강유지부재(61),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하강유지부재(61)의 하강시 하강동작을 안내하도록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 하강유지부재(62), 제1 하강유지부재와 제2 하강유지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구속부재(63)로 구성되어 있다.
구속부재(63)는 제2 하강유지부재(62)와 접하는 제1 하강유지부재(61)의 측면에 형성되는 볼삽입홈(631)과, 이 볼삽입홈(631)에 삽입되도록 제2 하강유지부재(62)의 대응하는 면에 설치되는 볼장치(632)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볼장치(632)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볼삽입부재(632a), 이 볼삽입부재에 삽입되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볼(632b), 볼(632b)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볼삽입부재(632a)의 중공에 설치되는 볼가압용탄성부재(미도시)를 구비한다.
한편, 주입물분배수단(3)은 일정량의 주입물을 저장한 상태에서 캡슐삽입공(13)에 끼워진 캡슐몸체 내부로 주입물을 공급하는 구성요소로서 다수의 캡슐삽입공(13)을 향해 주입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주입물분배수단(3)은 캡슐고정판(1)에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주입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과 주입물이 배출되는 주입물배출부(312)가 형성된 분배박스(31)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입물배출부(312)는 분배박스(31)의 바닥에 캡슐삽입공(13)에 대응되게 천공되는 다수의 주입물배출공(312a)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주입물배출공은 배출되는 주입물이 캡슐삽입부 표면으로 분출되는 것이 최소화되도록 하기 위해 캡슐삽입공(13)에 비해 내경이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배박스(31)에는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주입물의 수용공간이 마련된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수용공간 하부에는 주입물의 용이한 배출을 위해 주입물배출부(312)를 향하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의 상단부에는 후술되는 주입물조절부(32)가 끼워지도록 내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획판걸림홈(31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주입물분배수단(3)은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인 캡슐의 제조수량을 편리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주입물조절부(32)가 구성되어 있다.
주입물조절부(32)는 다수의 캡슐삽입공(13) 중에서 희망하는 제조수량에 맞게 주입물이 주입되는 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하나의 행으로 배열된 다수의 캡슐삽입공(13) 중에서 희망하는 캡슐 제조수량에 해당하는 수량의 캡슐삽입공으로만 주입물이 공급되도록 주입범위를 구획하는 복수의 구획판부재(321)로 구성되어 있다.
구획판부재(321)는 분배박스의 수용공간을 구획하도록 분배박스(31)의 내부로 삽입되는 판형부재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2개로 구성되어 희망하는 캡슐 제조수량에 해당하는 캡슐삽입공 일측과 타측을 구획하도록 구획판걸림홈(313)에 끼워지게 설치된다.
그리고, 구획판부재(321)는 후술되는 엘앰가이드(LM-guide)와 같은 직선이동안내기구를 분배박스에 설치하여 보다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충진기는 주입물분배수단(3)의 원활한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수단(7)이 구성되어 있다.
이동안내수단(7)은 주입물분배수단(3)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안내하는 수단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통상 엘앰가이드(LM-guide)로 호칭되는 직선이동안내기구로 구성된 것으로서 캡슐고정판(1)에 설치되는 이동안내레일(71)과, 주입물분배수단(3)에 설치되어 이동안내레일(71)에 미끄럼 이동되게 접속되는 이동블럭(72)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동안내수단(7)은 이동블럭(72)에 일측이 접속되고 타측이 분배박스(3)의 측면에 접속되는 'ㄱ'자 형상의 고정브라켓(73)이 구비되어 있다.
아울러, 이동안내수단(7)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동시에 주입물분배수단(3)의 이동과정에서 손가락의 협지와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이동안내부커버(94)가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충진기는 캡슐삽입공(13)에 삽입된 캡슐몸체(c1)의 내부로 삽입된 주입물을 가압하는 압지부재(95)가 구비되어 있다.
압지부재(95)는 캡슐삽입공(13)으로 삽입되는 다수의 가압핀(951)이 압지부재바디(952)에 형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캡슐고정판(1) 등에 결합되거나 고정되어 있지 않은 독립부재로 구성한 형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캡슐고정판(1)의 양측에 별도로 설치되는 압지부재 이동안내수단(미도시)에 의해 안내되면서 이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압지부재 이동안내수단(미도시)은 전술한 이동안내수단(7)과 마찬가지로 엘앰가이드(LM-guide)로 구성하여 압지부재바디(952)가 이동블럭(72)에 결속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충진기는 캡슐고정판(1)에 잔류하는 주입물의 제거를 위해 설치되는 잔류주입물처리부재(96)가 구비되어 있다.
잔류주입물처리부재(96)는 대략 주걱 형태로 형성되어 있지만 캡슐고정판(1)의 양측에 별도로 설치되는 잔류주입물처리부재 이동안내수단(미도시)에 의해 안내되면서 이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잔류주입물처리부재 이동안내수단(미도시)은 전술한 이동안내수단(7)과 마찬가지로 엘앰가이드(LM-guide)로 구성하여 주걱에 별도의 연결대(미도시)가 돌출되어 이동블럭(72)에 결속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충진기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충진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 부분은 캡슐몸체의 설치 전 상태를, (b) 부분은 캡슐몸체를 캡슐삽입공에 삽입한 상태를, (c) 부분은 캡슐몸체의 내부에 주입물인 가루약을 투입하는 상태를, (d) 부분은 캡슐고정판을 하강시켜 노출된 캡슐몸체에 캡슐마개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주입물분배수단(3)의 내부에 조제할 가루약과 같은 주입물을 투입하고,도7의 (b)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고정판(1)의 캡슐삽입공(13)으로 캡슐몸체(c1)를 삽입한다. 이때, 처방된 캡슐의 하루 수량에 맞게 주입물조절부(32)로 적용된 구획판부재를 분배박스(31)에 삽입한다. 예컨대 일일 처방 캡슐 수량이 8개이고 5일 분량의 가루약 캡슐이 처방된 경우 주입물배출부(312)의 주입물배출공(312a) 8개를 사이에 두고 일측 및 타측으로 각각 구획판부재(321)를 삽입하고, 양쪽 구획판부재(321) 사이에 주입물을 채워넣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주입물분배수단(3)을 약간 흔들면서 이동력을 인가하게 되면 이동안내수단(7)에 안내되면서 이동하게 되는데 캡슐삽입공(13)과 주입물분배수단(3)의 주입물배출공(312a)과 겹치게 되는 지점까지 이동하게 되면 도7의 (c)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박스(51) 내부의 주입물은 주입물배출공(312a)을 통해 배출된 후 캡슐삽입공(13)에 끼워진 캡슐몸체(c1)에 주입된다.
이때, 5일 분량에 맞게 5행까지 주입물분배수단(3)을 이동시킨 다음 캡슐삽입공(13)이 존재하지 않는 캡슐고정판(1) 영역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주입물의 주입과정이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한 주입물의 주입과정에서 압지부재(95)의 가압핀(951)를 캡슐몸체 내부로 압입하는 방식으로 주입물의 주입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캡슐고정판(1)의 표면에 주입물이 잔류할 경우 잔류주입물처리부재(96)를 이용하여 잔류주입물배출공(17)으로 이동시켜 주입물수집부재(91)로 수집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캡슐몸체의 내부에 주입물인 가루약의 투입이 완료되면 도7의 (d)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고정판(1)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제1 하강유지부재(61)에 설치된 볼장치(632)가 제2 하강유지부재(62)의 볼삽입홈(631)에 삽입(도5d 참조)되도록 하여 캡슐고정판의 하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캡슐고정판(1)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하베이스부재(2)에 형성된 캡슐지지부재(92)에 의해 캡슐몸체(c1)가 지지되어 있으므로 캡슐몸체(c1)가 캡슐고정판(1) 상부로 노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캡슐몸체(c1)가 캡슐고정판(1) 상부로 노출되면 캡슐몸체(c1)의 상부에 캡슐마개(c2)를 차례로 결합하여 캡슐(c)의 제조를 완료하고 캡슐삽입공(13)으로부터 분리한 후 포장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캡슐의 제조가 완료되면 캡슐고정판(1)에 외력을 인가하여 제2 하강유지부재(62)의 볼삽입홈(631)에 삽입된 볼장치(632)를 이탈시키게 되면 캡슐고정판(1)의 하강으로 수축되어 있던 승강부재(2)의 탄성부재(52)가 팽창되면서 캡슐고정판(1)을 복귀시키게 되므로 반복적으로 캡슐의 제조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충진기는 캡슐삽입부(12)가 서로 다른 종류의 캡슐을 제조할 수 있도록 복수 개로 구성되어 있어서 캡슐의 용량에 맞는 내경의 캡슐삽입공(13)가 천공된 캡슐삽입부(12)를 교체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용량의 캡슐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캡슐 충진기로 여러 종류의 캡슐을 호환성 있게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충진기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전술한 실시예의 일부를 치환 및 변형하는 것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 및 그 균등물에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캡슐고정판 11:캡슐고정판몸체부
12:캡슐삽입부 13:캡슐삽입공
14:캡슐삽입부고정홀 15:안착턱
16:고정바 17:잔류주입물배출공
18:이동안내수단설치부 2:하베이스부재
3:주입물분배수단 31:분배박스
32:주입물조절부 321:구획판부재
5:승강부재 51:승강안내봉
52:탄성부재 6:하강상태유지수단
61:제1 하강유지부재 62:제2 하강유지부재
63:구속부재 7:이동안내수단
71:이동안내레일 72:이동블럭
73:고정브라켓 91:주입물수집부재
92:캡슐지지부재 94:이동안내부커버
95:압지부재 96:잔류주입물처리부재
c:캡슐 c1:캡슐몸체
c2:캡슐마개

Claims (14)

  1. 캡슐 충진기에 있어서,
    캡슐몸체가 삽입되도록 다수의 캡슐삽입공이 형성된 캡슐삽입부를 구비한 캡슐고정판; 및
    상기 캡슐몸체에 삽입되는 주입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주입물분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주입물분배수단은 상기 캡슐고정판에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주입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주입물이 배출되는 주입물배출부가 형성된 분배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충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물분배수단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이동안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충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안내수단은,
    상기 캡슐고정판에 설치되는 이동안내레일; 및
    상기 이동안내레일에 미끄럼 이동되게 접속되는 이동블럭;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충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물분배수단은 상기 다수의 캡슐삽입공 중에서 주입물이 주입되는 범위를 조절하는 주입물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충진기.
  5. 제4에 있어서,
    상기 주입물조절부는 상기 수용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분배박스의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의 구획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충진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물분배수단은 이동과정에서 상기 주입물배출부가 상기 캡슐삽입공과 일치되는 지점에서 정지되어 주입물이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충진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삽입부는 상기 캡슐삽입공이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도록 천공, 형성되고,
    상기 주입물배출부는 상기 캡슐삽입공에 대응되게 천공되는 주입물배출공으로 구성되되, 상기 주입물배출공은 상기 캡슐삽입공에 비해 내경이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충진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삽입부는 상기 캡슐삽입공이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도록 천공된 판형몸체가 상기 캡슐고정판에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충진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삽입부와 접한 상기 캡슐고정판에 형성되는 잔류주입물배출공; 및
    상기 잔류주입물배출공으로 낙하하는 주입물이 수집되는 주입물수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충진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고정판의 하방으로 이격 배치되는 하베이스부재; 및
    상기 캡슐고정판을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하베이스부재와 상기 캡슐고정판 사이에 설치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충진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캡슐고정판과 상기 하베이스부재의 모서리 부위에 설치되는 승강안내봉; 및
    상기 승강안내봉에 삽입되고 상기 캡슐고정판에 상승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충진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삽입공에 삽입된 상기 캡슐몸체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캡슐삽입부의 하강시에 상기 캡슐몸체가 노출되도록 상기 하베이스부재에 배치되는 캡슐지지부재; 및
    상기 캡슐고정판의 하강된 상태의 유지작용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하강상태유지수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충진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상태유지수단은,
    상기 캡슐고정판에 설치되는 제1 하강유지부재;
    상기 제1 하강유지부재의 하강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 하강유지부재; 및
    상기 제1 하강유지부재와 상기 제2 하강유지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구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충진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삽입공에 삽입된 상기 캡슐몸체의 내부로 삽입된 주입물을 가압하는 압지부재; 및
    상기 캡슐고정판에 잔류하는 주입물의 제거를 위해 설치되는 잔류주입물처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충진기.
KR1020220115656A 2022-09-14 2022-09-14 캡슐 충진기 KR2024003696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656A KR20240036962A (ko) 2022-09-14 2022-09-14 캡슐 충진기
KR1020240054044A KR20240063076A (ko) 2022-09-14 2024-04-23 캡슐 충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656A KR20240036962A (ko) 2022-09-14 2022-09-14 캡슐 충진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54044A Division KR20240063076A (ko) 2022-09-14 2024-04-23 캡슐 충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6962A true KR20240036962A (ko) 2024-03-21

Family

ID=904726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5656A KR20240036962A (ko) 2022-09-14 2022-09-14 캡슐 충진기
KR1020240054044A KR20240063076A (ko) 2022-09-14 2024-04-23 캡슐 충진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54044A KR20240063076A (ko) 2022-09-14 2024-04-23 캡슐 충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4003696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3531A (ja) 1998-03-09 1999-09-21 Yasushi Shibata 薬液等のカプセル内充填用携帯治具
KR20220001316U (ko) 2020-11-30 2022-06-08 김환성 캡슐 충진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3531A (ja) 1998-03-09 1999-09-21 Yasushi Shibata 薬液等のカプセル内充填用携帯治具
KR20220001316U (ko) 2020-11-30 2022-06-08 김환성 캡슐 충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3076A (ko) 202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7642B1 (ko) 캡슐 바디로의 정제 충전 방법 및 이 충전 방법을 사용한 캡슐로의 정제 충전 장치
DE60116304T2 (de) Medikamentenspender
EP1981760B1 (en) Automated solid pharmaceutical packaging machine utilizing robotic drive
EP2272763B1 (en) Blister pack dispensing machine
US200602778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medication from packaging
JP2011506210A (ja) ディスペンサ装置
CN106144378A (zh) 瓶装药剂自动发药装置
CN108974674A (zh) 一种定时服药专用药盒
KR20240036962A (ko) 캡슐 충진기
US20170239143A1 (en) Portable device for cutting a capsule
US2742749A (en) Capsule-filler
CN209192708U (zh) 一种定时服药专用药盒
KR101975307B1 (ko) 약제 공급 장치
KR200496635Y1 (ko) 캡슐 충진기
JP2007039118A (ja) カプセルへの錠剤充填装置
US20130192717A1 (en) Capsule filler
CN108974673A (zh) 一种药盒的输送机构
KR100682647B1 (ko) 반자동 캡슐 충전장치
CN209192709U (zh) 一种药盒的输送机构及定时服药专用药盒
CN2905058Y (zh) 根据用量装入药物的存储器
JP4147457B2 (ja) 分包機の錠剤分割器
KR102157632B1 (ko) 다양한 크기의 알약 계수 및 공급장치
KR200419777Y1 (ko) 반자동 캡슐 충전장치
KR200255067Y1 (ko) 의약품캡슐의 의약품 자동 충전장치
KR102426725B1 (ko) 알약제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