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777Y1 - 반자동 캡슐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반자동 캡슐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777Y1
KR200419777Y1 KR2020060008460U KR20060008460U KR200419777Y1 KR 200419777 Y1 KR200419777 Y1 KR 200419777Y1 KR 2020060008460 U KR2020060008460 U KR 2020060008460U KR 20060008460 U KR20060008460 U KR 20060008460U KR 200419777 Y1 KR200419777 Y1 KR 2004197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plate
housing
ca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84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근배
Original Assignee
정근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근배 filed Critical 정근배
Priority to KR20200600084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7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7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7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7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에 장착되고 캡슐(C)을 정렬구멍(121) 내에 삽입 보관하는 정렬판(120)과, 캡슐의 바디(b)를 선택적으로 파지하는 파지 유닛(130)과, 상기 정렬판(120)을 승강시키는 승강 유닛(140)과, 캡슐의 바디(b)를 지지하여 승강시키는 지지 유닛(150)을 포함하는 반자동 캡슐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캡슐(C)의 바디(b) 내에 충전되는 의약을 압축시켜 다질 수 있는 다짐 유닛(160), 혹은 충전이 완료된 캡슐(C)의 캡(a)과 바디(b)를 서로 재결합시킬 때 캡(a)의 상부에 맞닿아 상기 캡(a)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지지 유닛(150)이 바디(b)를 상승시킬 때 캡(a)이 밀려 올라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캡 결합 유닛(1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캡슐 충전장치가 제공된다.
캡슐, 캡, 바디, 다짐, 캡 결합, 다짐판, 가압판, 부채꼴 기어, 볼트

Description

반자동 캡슐 충전장치{Device for filling capsules semiautomatically}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캡슐 충전장치의 일부 절결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캡슐 충전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반자동 캡슐 충전장치의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반자동 캡슐 정렬장치의 정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반자동 캡슐 정렬장치의 우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반자동 캡슐 정렬장치의 일부 정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반자동 캡슐 정렬장치의 일부 우측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반자동 캡슐 정렬장치에 사용되는 호퍼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다수개의 캡슐의 캡 부분을 분리하여 의약 분말을 충전한 다음 분리된 캡 부분을 다시 캡슐의 바디 부분과 결합시킴으로써 캡슐 내에 의약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한 반자동 캡슐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약국 등에서 분말 형태의 의약을 캡슐에 충전하기 위해서, 우선 다수개 의 정렬구멍이 형성된 정렬판에 캡슐을 정렬한 후, 별도의 충전장치에 캡슐이 정렬된 정렬판을 올려놓고 충전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종래에는 정렬판에 정렬된 캡슐의 캡 부분을 수작업으로 하나씩 분리해 내야 하였고, 의약을 충전시킨 후 분리된 캡 부분을 바디 부분에 결합시킬 때에도 수작업으로 하나씩 결합시키는 번거로운 작업을 수행해야만 하였다.
이와 같이 각각의 캡슐의 캡 부분과 바디 부분을 분리 및 결합시키는데 상당한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어 비능률적이었을 뿐만 아니라 캡슐을 직접 손으로 만지면서 작업자의 손에 존재하는 세균, 땀, 먼지 등에 의해 캡슐이 오염될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한국 실용신안공보 제 1981-0000471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반자동 캡슐 충전기가 제안되었다. 종래기술에 따른 반자동 캡슐 충전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하우징(1)과, 이 하우징(1)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복수개의 캡슐(C)을 정렬구멍(4') 내에 삽입시켜 보관하기 위한 정렬판(4)과, 이 정렬판(4)에 정렬된 캡슐(C)의 바디(b)를 선택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 유닛과, 하우징(1)의 내부에 설치되어 정렬판(4)을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 유닛과, 하우징(1)의 내부에 설치되고 캡슐(C)의 바디(b)를 지지하여 승강시킬 수 있는 지지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파지 유닛은 하우징(1) 상단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판(3)과, 이들 한 쌍의 고정판(3) 사이에 개재되어 수평이동하는 가동판(2)을 가진다.
승강 유닛은 제2 레버(9')에 의해 회전하는 제2 부채꼴 기어(7')와, 이 제2 부채꼴 기어(7')와 함께 회전하는 캠 롤러(11)에 의해서 승강하는 승강판(13)을 가진다.
지지 유닛은 제1 레버(9)에 의해 회전하는 제1 부채꼴 기어(7)와, 이 제1 부채꼴 기어(7)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 막대(10)에 의해서 승강하는 캡슐 지지판(5)을 가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반자동 캡슐 충전기의 작동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정렬판(4)의 정렬구멍(4')에 캡슐(C)을 캡(a) 부분이 위쪽으로 가도록 삽입한다. 이때 각각의 캡슐(C)은 캡(a) 부분이 정렬구멍(4') 내의 단차(4")에 걸려 지지된다.
캡슐(C)이 정렬된 정렬판(4)을 위치결정용 핀(14')이 하우징(1)의 상단, 즉 파지 유닛 상부의 위치결정용 구멍(14)에 삽입되도록 하여 올려놓으면, 파지 유닛의 고정판(3) 및 가동판(2)에 형성된 고정구멍(3') 내로 캡슐(C)의 바디(b)가 삽입된다. 이때 핸들(15)을 작동시키면 편심축(15')의 작동에 의해 가동판(2)이 수평이동하면서 한 쌍의 고정판(3)과 가동판(2)에 각각 형성된 고정구멍(3')이 서로 어긋나게 되고, 그 결과 캡슐(C)의 바디(b) 상측 부분이 고정판(3)과 가동판(2)에 의해 끼워져 파지된다.
그 다음 승강 유닛의 제2 레버(9')를 작동시키면 제2 부채꼴 기어(7') 및 캠 롤러(11)가 회전하면서 승강판(13)이 위쪽으로 이동하며, 그에 따라 승강봉(12)이 위치결정용 핀(14')에 맞닿아 정렬판(4)을 위쪽으로 밀어 올린다. 상술한 바와 같 이 파지 유닛에 의해 캡슐(C)의 바디(b)가 파지된 상태에서 정렬판(4)이 밀려 올라가기 때문에 캡슐(C)의 캡(a) 부분이 바디(b)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캡(a)이 정렬구멍(4')의 단차(4")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정렬판(4)을 하우징(1)으로부터 분리하여 옆으로 내려놓는다.
그 다음 캡(a)이 분리된 캡슐(C)의 바디(b) 내에 분말 혹은 과립 상태의 의약을 충전하고, 충전이 완료되면 정렬판(4)을 다시 하우징(1)의 상단에 위치시킨다.
그 후 정렬판(4)의 상부, 즉 캡(a)의 상단에 평평한 가압판(도시생략)을 올려놓고 약간의 힘을 주어 가압하면서 제1 레버(9)를 작동시켜 제1 부채꼴 기어(7), 회전축(8) 및 회전 막대(10)를 회전시킴으로써 캡슐 지지판(5)을 상승시킨다. 이와 같이 캡슐 지지판(5)이 상승하면서 바디(b)를 밀어올려 캡(a)과 결합시킨다.
정렬판(4)을 하우징(1)으로부터 분리시켜 캡(a)과 바디(b)가 다시 결합된 캡슐(C)을 정렬구멍(4')으로부터 이탈시키고 캡슐(C)을 의약으로 충전하는 작업을 완료하고 상기 공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충전기는, 분말 상태의 의약을 캡슐(C) 내에 조밀하게 채워넣을 수 없어 캡슐(C) 내에 충전되는 의약의 양이 적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에 따라 환자가 필요한 분량의 의약을 복용하기 위해서는 하나 이상의 캡슐(C)을 삼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충전기에 의하면, 의약 충전 후 캡슐(C)의 캡(a)과 바디(b)를 서로 재결합할 때, 작업자가 한 손으로는 가압판으로 캡(a)을 내리누르면서 다른 한 손으로 제2 레버(9')를 작동시켜야 하므로 힘이 많이 들어 1회 작업에 의해 결합시킬 수 있는 캡슐(C)의 개수가 40 ~ 50개 정도로 한정될 수밖에 없어 작업효율이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캡슐(C)의 캡(a)과 바디(b)를 서로 재결합할 때, 제2 레버(9')를 지나치게 큰 힘으로 작동시키면 바디(b)가 캡(a) 속으로 지나치게 깊이 삽입되면서 캡슐(C)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고, 제2 레버(9')를 지나치게 작은 힘으로 작동시키면 재결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작업자가 고도로 숙련되어야 할 필요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수개의 캡슐의 캡 부분을 분리하여 의약 분말을 충전한 다음 충전된 의약을 압축시켜 다질 수 있는 다짐 수단을 구비한 반자동 캡슐 충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분리된 캡 부분을 다시 캡슐의 바디 부분과 결합시킬 때 바디 부분의 삽입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캡슐의 파손을 방지하고 캡슐의 불완전한 결합을 방지할 수 있는 반자동 캡슐 충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베이스 상에 설치되는 하우징 과,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복수개의 캡슐을 정렬구멍 내에 삽입시켜 보관하기 위한 정렬판과, 상기 정렬판에 정렬된 캡슐의 바디를 선택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 유닛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정렬판을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 유닛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캡슐의 바디를 지지하여 승강시킬 수 있는 지지 유닛과, 캡슐의 바디 내에 충전되는 의약을 압축시켜 다질 수 있는 다짐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반자동 캡슐 충전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다짐 유닛은, 상기 베이스 상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부 프레임과, 다짐 봉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다짐 판과, 상기 다짐 판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루 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 상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복수개의 캡슐을 정렬구멍 내에 삽입시켜 보관하기 위한 정렬판과, 상기 정렬판에 정렬된 캡슐의 바디를 선택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 유닛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정렬판을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 유닛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캡슐의 바디를 지지하여 승강시킬 수 있는 지지 유닛과, 충전이 완료된 캡슐의 캡과 바디를 서로 재결합시킬 때 캡의 상부에 맞닿아 상기 캡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지지 유닛이 바디를 상승시킬 때 캡이 밀려 올라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캡 결합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반자동 캡슐 충전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캡 결합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 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어 상기 캡에 맞닿아 가압하는 가압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반자동 캡슐 충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캡슐 충전장치는, 베이스(101) 상에 설치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복수개의 캡슐(C)을 정렬구멍(121) 내에 삽입시켜 보관하기 위한 정렬판(120)과, 상기 정렬판(120)에 정렬된 캡슐(C)의 바디(b)를 선택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 유닛(130)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정렬판(120)을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 유닛(140)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캡슐(C)의 바디(b)를 지지하여 승강시킬 수 있는 지지 유닛(150)과, 캡슐(C)의 바디(b) 내에 충전되는 의약을 압축시켜 다질 수 있는 다짐 유닛(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반자동 캡슐 충전장치는, 충전이 완료된 캡슐(C)의 캡(a)과 바디(b)를 서로 재결합시킬 때 캡(a)의 상부에 맞닿아 지지할 수 있는 캡 결합 유닛(17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캡슐(C)은 분말 혹은 과립 상태의 의약이 수용되는 바디(b)와, 이 바디(b) 내에 수용된 의약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바디(b)에 씌워지는 캡(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10)은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며, 지지다리(113)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101)의 표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장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면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분말 혹은 과립 상태의 의약이 충전작업 중에 하우징(110) 내로 쏟아지더라도 장치 내부를 손쉽게 청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정렬판(120)에는 복수개의 정렬구멍(121)이 형성되고, 이동시 편의를 위해 한 쌍의 손잡이(122)가 마련된다. 이 정렬판(120)이 상기 파지 유닛(130) 상의 제 위치에 놓여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정렬판(120)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총 4개의 위치결정용 핀(123)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정렬판(120)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정렬구멍(121)에는 별도의 캡슐 배향장치에 의해 캡슐(C)의 캡(a) 부분을 위쪽으로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캡슐(C)이 삽입된다. 이와 같이 삽입된 캡슐(C)이 정렬구멍(121)을 관통하여 빠져나가지 않도록 상기 정렬구멍(121)의 내주면에는 단차(124)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정렬구멍(121)의 상측 직경은 하측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그에 따라 캡슐(C)의 캡(a) 부분이 정렬구멍(121) 내주면에 형성된 단차(12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파지 유닛(130)은, 하우징(110)의 상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판(131)과, 이들 한 쌍의 고정판(131) 사이에 개재되어 수평이동하는 가동판(132)과, 상기 가동판(132)을 일측으로 수평이동시키기 위한 핸들(133) 및 편심축(134)을 가진다.
상기 고정판(131)과 가동판(132)에는 각각 복수개의 고정구멍(135)이 형성되어 있으며 초기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고정판(131)과 그 사이에 개재된 가동판(132)은 각각의 고정구멍(135)이 일직선상으로 정렬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고정판(131)의 각 모서리에는 상기 정렬판(120)의 위치결정용 핀(123)이 삽입되기 위한 위치결정용 구멍(131a)이 형성된다.
상기 가동판(132)의 일측에는 편심축(134)이 삽입되는 타원형 구멍(132a)이 형성되며 핸들(133)을 도 4a에서 볼 때 좌측으로 젖히면 편심축(134)이 회전하면서 가동판(132)을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고정판(131)의 하부에는 각 모서리에 총 4개의 안내봉(136)이 형성되며, 각각의 안내봉(136)에는 코일 스프링(137)이 끼워진다. 상기 안내봉(136)은 후술하는 지지 유닛(150)의 캡슐 지지판(155)의 승강을 안내한다.
상기 승강 유닛(140)은, 제2 레버(141)에 의해 회전하는 제2 부채꼴 기어(142)와, 상기 제2 부채꼴 기어(142)와 함께 회전하는 캠 롤러(143)와, 상기 캠 롤러(143)의 표면에 맞닿아 상기 캠 롤러(143)가 회전함에 따라 승강하는 승강판(144)을 가진다.
상기 승강판(144)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총 4개의 승강봉(145)이 위쪽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승강판(144)이 상승할 때, 승강봉(145)은 정렬판(120)에 형성된 위치결정용 핀(123)에 맞닿아 밀어올림으로써 정렬판(120)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 유닛(150)은, 제1 레버(151)에 의해 회전하는 제1 부채꼴 기어(152)와, 상기 제1 부채꼴 기어(152)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153)과, 상기 회전축(153)에 돌출 형성되는 회전 막대(154)와, 상기 회전 막대(154)에 의해서 지지되어 승강하는 캡슐 지지판(155)을 가진다.
상기 캡슐 지지판(155)의 상부표면에는 복수개의 캡슐 지지봉(156)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캡슐 지지봉(156)의 상단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캡슐(C)의 바디(b)가 안착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캡슐 지지봉(156)에는 관통구멍(156a)이 형성된다.
상기 캡슐 지지판(155)의 하부표면에는 롤러(157)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이 롤러(157)는 상기 회전 막대(154)와 맞닿아 있어, 상기 회전 막대(154)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캡슐 지지판(155)이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캡슐 지지판(155)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고정판(131)의 하부에 형성된 안내봉(136)이 삽입될 수 있는 안내구멍(155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캡슐 지지판(155)의 승강을 안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캡슐 지지판(155)이 상승하면 상기 안내봉(136)에 끼워진 코일 스프링(137)이 압축되므로 상기 캡슐 지지판(155)은 항상 아래쪽으로 가압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캡슐 지지판(155)의 하부에 마련된 롤러(157)와 상기 회전 막대(154)는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전방 상하부에는 각각 제1 및 제2 볼트(111, 112)가 관통 삽입되며, 상기 제1 및 제2 볼트(111, 112)는 상기 제1 부채꼴 기어(152)의 회전각도를 규제한다. 사용자는 상기 제1 및 제2 볼트(111, 112)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하우징(110)에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볼트(111)는 제1 부채꼴 기어(152)의 회전각도를 규제함으로써 상기 캡슐 지지판(155)의 하강거리를 규제할 수 있다. 상기 캡슐 지지판(155)의 하강거리는, 하강시 캡슐(C)의 바디(b) 상단 높이가 상기 고정판(131)의 표면과 동일 평면상에 일치할 수 있도록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슐 지지판(155)이 지나치게 하강하여, 캡슐 지지봉(156)에 지지되어 있는 캡슐(C)의 바디(b)에 있어서의 개방된 상단 부분이 고정구멍(135)이 형성된 고정판(131)의 표면보다 아래쪽으로 내려가게 되면, 의약을 충전할 때 각각의 바디(b) 내에 의약 분말이 동일하게 충전되지 않아 일부의 바디(b)에는 고정판(131)의 표면보다 내려간 높이만큼 의약이 초과 충전되고 또 나머지 바디(b)에는 다른 곳에 초과 충전된 양만큼 부족한 의약이 충전될 우려가 있다.
또한 캡슐 지지판(155)이 충분히 하강하지 않아, 캡슐 지지봉(156)에 지지되어 있는 캡슐(C)의 바디(b)에 있어서의 개방된 상단 부분이 고정구멍(135)이 형성된 고정판(131)의 표면보다 위쪽으로 돌출되게 되면, 의약을 충전할 때 의약 분말 중 일부가 바디(b)의 돌출된 상단 부분에 걸려 바디(b) 내로 충전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볼트(112)는 제1 부채꼴 기어(152)의 회전각도를 규제함으로써 상기 캡슐 지지판(155)의 상승거리를 규제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충전작업이 완료된 후 캡(a)과 바디(b)를 재결합시킬 때 바디(b)가 정확한 높이까지 상승되어야 캡(a)과의 결합이 완벽하기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캡슐 지지판(155)의 상승거리는 규제될 필요가 있다. 이때 캡(a)과의 결합이 완벽하기 이루어지는 높이, 즉 상기 캡슐 지지판(155)의 상승거리는 캡슐(C)의 규격화된 치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캡슐 지지판(155)이 지나치게 상승하면, 캡(a)과 바디(b)를 재결합시킨 후에도 바디(b)가 계속 상승되기 때문에 캡슐(C)이 파손되거나 변형될 우려가 있다.
또한 캡슐 지지판(155)이 충분히 상승하지 않으면, 캡(a)과 바디(b)가 서로 결합될 수 없어 의약이 누출되는 등의 우려가 있다.
상기 다짐 유닛(160)은, 상기 베이스(101) 상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161)과, 상기 하부 프레임(161)의 상단에 힌지축(161a)을 통하여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162)과, 다짐 봉(164)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다짐 판(163)과, 상기 다짐 판(163)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16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루 봉(165)을 갖는다.
상기 스크루 봉(165)의 상단에는 회전 손잡이(166)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 하며, 상기 다짐 판(163)이 수직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한 쌍의 가이드 봉이 다짐 판(163)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봉은 상부 프레임(162)에 관통 형성되는 가이드 구멍(도시생략)에 의해 안내된다.
또한 상기 다짐 판(163)이 하강되어 캡슐(C)의 바디(b) 내에 충전된 의약을 압축시킬 때 상기 상부 프레임(162)이 밀려 올라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부 프레임(162)의 말단에는 하우징(110)에 설치되는 걸림 고리(167)과 결합되는 걸림 봉(168)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 결합 유닛(170)은,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 힌지 축(171a)을 통하여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프레임(171)과, 상기 프레임(171)에 부착된 가압판(172)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판(172)의 표면에는 탄성이 있는 고무판(173)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판(172)은, 충전작업이 완료된 다음 바디(b)에 캡(a)을 결합할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캡슐 지지판(155)과 함께 상승하는 바디(b)에 의해 정렬판(120)의 정렬구멍(121)에 삽입 지지되어 있는 캡(a)이 밀려 올라가지 않도록 가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캡슐 지지판(155)이 상승되어 캡슐(C)의 바디(b)가 캡(a)과 결합될 때 상기 가압판(172)이 밀려 올라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프레임(171)의 말단에는 하우징(110)에 설치되는 걸림 고리(174)과 결합되는 걸림 봉(175)이 형성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는 캡슐(C)의 바디(b) 내로 의약을 충전할 때 사용하는 호퍼(18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호퍼(180)는 바닥의 일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사전에 계량된 분량의 의약을 담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의약을 담고 있는 호퍼(180)를 캡(a)이 제거된 상태의 상기 고정판(131) 상에 올려놓고 주걱(도시생략)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의약을 바디(b) 내로 쓸어 넣는다.
상기 호퍼(180)의 바닥면에는 상기 정렬판(120)에 형성된 것과 동일하게 위치결정용 핀(18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반자동 캡슐 충전장치의 작동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정렬판(120)의 정렬구멍(121)에 별도의 배향장치를 사용하여 캡슐(C)을 캡(a) 부분이 위쪽으로 가도록 삽입한다. 이때 각각의 캡슐(C)은 캡(a) 부분이 정렬구멍(121) 내의 단차(124)에 걸려 지지된다.
캡슐(C)이 정렬된 정렬판(120)을 위치결정용 핀(123)이 하우징(110)의 상단, 즉 파지 유닛(130) 상부의 위치결정용 구멍(131a)에 삽입되도록 하여 올려놓으면, 파지 유닛의 고정판(131) 및 가동판(132)에 형성된 고정구멍(135) 내로 캡슐(C)의 바디(b)가 삽입된다.
이때 핸들(133)을 작동시키면 편심축(134)의 작동에 의해 가동판(132)이 수평이동하면서 한 쌍의 고정판(131)과 가동판(132)에 형성된 고정구멍(135)이 서로 어긋나게 되고, 그 결과 캡슐(C)의 바디(b) 상측 부분이 엇갈린 고정판(131)과 가동판(132)의 내주면에 의해 끼워져 파지된다.
그 다음 승강 유닛의 제2 레버(141)를 작동시키면 제2 부채꼴 기어(142) 및 캠 롤러(143)가 회전하면서 승강판(144)이 위쪽으로 이동하며, 그에 따라 승강봉(145)이 위치결정용 핀(123)에 맞닿아 정렬판(120)을 위쪽으로 밀어 올린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파지 유닛(130)에 의해 캡슐(C)의 바디(b)가 파지된 상태에서 정렬판(120)이 밀려 올라가기 때문에 정렬구멍(121)의 단차(124)에 지지된 캡슐(C)의 캡(a) 부분이 바디(b)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캡(a)이 정렬구멍(121)의 단차(124)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들어올려진 정렬판(120)을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시켜 옆으로 내려놓고, 제2 레버(141)를 원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지지 유닛의 캡슐 지지판(155)은 하강된 상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캡슐 지지판(155)을 승강시키는 제1 부채꼴 기어(152)는 상기 제1 볼트(111)에 의해서 그 회전각도가 규제됨으로써 캡슐 지지판(155)의 하강거리를 규제하므로, 사용자는 제1 볼트(111)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하우징(110)에 대한 삽입 깊이를 조절함에 의해 캡슐 지지판(155)의 하강거리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캡슐 지지판(155)의 하강거리는 바디(b)의 상단 높이가 파지 유닛의 고정판(131) 표면과 일치하도록 정해진다.
그 다음 호퍼(180)를 이용해서 캡(a)이 분리된 캡슐(C)의 바디(b) 내에 분말 상태의 의약을 충전하고, 보다 많은 의약을 충전할 필요가 있으면 상기 다짐 유닛 (160)에 의해 충전된 의약을 압축시킨다. 이때 과립상의 의약은 압축시 과립이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압축작업은 생략한다.
압축작업 후 다시 호퍼(180)를 이용해서 바디(b) 내에 분말상태의 의약을 충전함으로써 압축하지 않았을 때에 비해 보다 많은 양의 의약을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압축을 위해 우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젖혀져 있는 상기 다짐 유닛(160)의 상부 프레임(162)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의 위쪽으로 선회시키고 걸림 고리(167)를 걸림 봉(168)에 걸어 상부 프레임(162)을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상부 프레임(162)에 설치된 다짐판(163)의 다짐봉(164)은 각각의 고정구멍(135) 상측, 즉 개구된 바디(b)의 바로 위쪽에 위치된다.
계속해서 회전 손잡이(166)를 회전시켜 스크루 봉(165)을 하강시킴으로써 다짐판(163)을 하강시킨다. 하강되는 다짐판에 형성되어 있는 다짐봉(164)에 의해 바디(b)에 충전된 의약이 압축될 수 있다.
압축이 완료되면 회전 손잡이(166)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스크루 봉(165)을 상승시킴으로써 다짐판(163)을 상승시키고, 상부 프레임(162)을 도 4a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그 후 의약이 충전된 바디(b)를 캡(a)과 결합시키기 위해서, 캡(a)이 지지되어 있는 정렬판(120)을 다시 하우징(110)의 상단에 위치시킨다.
계속해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젖혀져 있는 상기 캡 결합 유닛(170)의 프레임(171)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의 위쪽으로 선회시키고 걸림 고리(174)를 걸림 봉(175)에 걸어 프레임(171)을 고정시킨다.
이때 캡 결합 유닛(170)의 가압판(172)에 부착된 고무판(173)은 상기 정렬판(120)의 정렬구멍(121)에 삽입 지지되어 있는 캡(a)의 상단과 맞닿는다.
그 후 제1 레버(151)를 작동시켜 제1 부채꼴 기어(152), 회전축(153) 및 회전 막대(154)를 회전시킴으로써 캡슐 지지판(155)을 상승시킨다. 이와 같이 캡슐 지지판(155)이 상승하면서 바디(b)를 밀어올려 캡(a)과 결합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캡슐 지지판(155)을 승강시키는 제1 부채꼴 기어(152)는 상기 제2 볼트(112)에 의해서 그 회전각도가 규제됨으로써 캡슐 지지판(155)의 상승거리를 규제하므로, 사용자는 제2 볼트(112)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하우징(110)에 대한 삽입 깊이를 조절함에 의해 캡슐 지지판(155)의 상승거리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제2 볼트(112)에 의해 상기 제1 부채꼴 기어(152)의 회전이 멈춰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제1 레버(151)를 필요 이상의 강한 힘으로 작동시키더라도 캡슐 지지판(155)은 정해진 높이 이상으로 상승하지 않는다. 그에 따라 바디(b)가 과도하게 상승하여 캡슐(C)이 파손되거나 변형될 우려가 없다.
또한, 사용자는 제2 볼트(112)에 의해 상기 제1 부채꼴 기어(152)의 회전이 멈춰질 때까지 제1 레버(151)를 작동시키기만 하면 캡슐 지지판(155)이 정해진 높이까지 상승하기 때문에, 바디(b)가 캡(a)에 확실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캡(a)과 바디(b)를 서로 재결합시킨 후, 정렬판(120)을 하우징 (110)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정렬판(120)을 뒤집어 캡(a)과 바디(b)가 재결합된 캡슐(C)을 정렬구멍(121)으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캡슐(C)을 의약으로 충전하는 작업을 완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캡슐 충전작업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다수개의 캡슐의 캡 부분을 분리하여 의약 분말을 충전한 다음 충전된 의약을 압축시켜 다질 수 있는 다짐 수단을 구비한 반자동 캡슐 충전장치가 제공된다.
그에 따라 본 고안에 의하면, 분말 상태의 의약을 캡슐 내에 조밀하게 채워넣을 수 있어 하나의 캡슐 내에 충전되는 의약의 양이 많아질 수 있고, 종래에는 환자가 2개 이상의 캡슐을 삼켜야 하는 경우에도 본 고안의 캡슐 충전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캡슐 내에 필요한 분량의 의약을 충전할 수 있어 환자는 하나의 캡슐만 복용하는 것으로 필요량의 의약을 복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환자는 여러 개의 캡슐을 삼켜야 하는 불편함을 느끼지 않게 되고 하나의 캡슐을 복용하는 것만으로도 장기간의 약효가 지속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분리된 캡 부분을 다시 캡슐의 바디 부분과 결합시킬 때 바디 부분의 삽입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캡슐의 파손을 방지하고 캡슐의 불완전한 결합을 방지할 수 있는 반자동 캡슐 충전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와는 달리 압축시 혹은 캡 결합시 사용자는 많은 힘을 들일 필요가 없기 때문에, 1회 충전 가능한 캡슐의 개수를 대략 4백 ~ 5백 개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Claims (8)

  1. 베이스(101) 상에 설치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복수개의 캡슐(C)을 정렬구멍(121) 내에 삽입시켜 보관하기 위한 정렬판(120)과,
    상기 정렬판(120)에 정렬된 캡슐(C)의 바디(b)를 선택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 유닛(130)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정렬판(120)을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 유닛(140)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캡슐(C)의 바디(b)를 지지하여 승강시킬 수 있는 지지 유닛(150)과,
    캡슐(C)의 바디(b) 내에 충전되는 의약을 압축시켜 다질 수 있는 다짐 유닛(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다짐 유닛(160)은, 상기 베이스(101) 상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부 프레임(162, 161)과, 다짐 봉(164)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다짐 판(163)과, 상기 다짐 판(163)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16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루 봉(16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캡슐 충전장치.
  2. 베이스(101) 상에 설치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복수개의 캡슐(C)을 정 렬구멍(121) 내에 삽입시켜 보관하기 위한 정렬판(120)과,
    상기 정렬판(120)에 정렬된 캡슐(C)의 바디(b)를 선택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 유닛(130)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정렬판(120)을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 유닛(140)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캡슐(C)의 바디(b)를 지지하여 승강시킬 수 있는 지지 유닛(150)과,
    충전이 완료된 캡슐(C)의 캡(a)과 바디(b)를 서로 재결합시킬 때 캡(a)의 상부에 맞닿아 상기 캡(a)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지지 유닛(150)이 바디(b)를 상승시킬 때 캡(a)이 밀려 올라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캡 결합 유닛(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캡 결합 유닛(170)은,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171)과, 상기 프레임(171)에 부착되어 상기 캡(a)에 맞닿아 가압하는 가압판(17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캡슐 충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짐 유닛(160)의 하부 프레임(161)은 상기 베이스(101) 상에 고정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상부 프레임(162)은 상기 하부 프레임(161)의 상단에 힌지축(161a)을 통하여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크루 봉(165)의 상단에는 회전 손잡이(166)가 마련되며,
    상기 다짐 판(163)이 수직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다짐 판(163)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 프레임(162)에 관통 형성된 가이드 구멍에 의해 안내되는 가이드 봉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다짐 판(163)이 하강되어 캡슐(C)의 바디(b) 내에 충전된 의약을 압축시킬 때 상기 상부 프레임(162)이 밀려 올라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부 프레임(162)의 말단에는 하우징(110)에 설치되는 걸림 고리(167)과 결합되는 걸림 봉(16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캡슐 충전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172)의 표면에는 탄성이 있는 고무판(173)이 부착되며,
    상기 캡슐 지지판(155)이 상승되어 캡슐(C)의 바디(b)가 캡(a)과 결합될 때 상기 가압판(172)이 밀려 올라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프레임(171)의 말단에는 하우징(110)에 설치되는 걸림 고리(174)과 결합되는 걸림 봉(17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캡슐 충전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닛(150)은, 제1 레버(151)에 의해 회전하는 제1 부채꼴 기어(152)와, 상기 제1 부채꼴 기어(152)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153)과, 상기 회전축(153)에 돌출 형성되는 회전 막대(154)와, 상기 회전 막대(154)에 의해서 지지되어 승강하는 캡슐 지지판(155)과, 상기 캡슐 지지판(155)의 상부표면에 돌출 형성되어 캡슐(C)의 바디(b)가 안착되는 복수개의 캡슐 지지봉(156)과, 상기 캡슐 지지판(155)의 하부표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회전 막대(154)와 맞닿는 롤러(157)를 포함하는 것과,
    상기 하우징(110)에는 정역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10)에 삽입되는 깊이가 조절되는 제1 및 제2 볼트(111, 112)가 관통 삽입되며, 상기 제1 볼트(111)는 상기 제1 부채꼴 기어(152)의 회전각도를 규제함으로써 상기 캡슐 지지판(155)의 하강거리를 규제할 수 있고, 상기 제2 볼트(112)는 상기 제1 부채꼴 기어(152)의 회전각도를 규제함으로써 상기 캡슐 지지판(155)의 상승거리를 규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캡슐 충전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판(120)은, 내주면에 단차(124)가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정렬구멍(121)과,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위치결정용 핀(123)을 포함하는 것과,
    상기 파지 유닛(130)은,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판(131)과, 상기 한 쌍의 고정판(131) 사이에 개재되어 수평이동하는 가동판(132)과, 상기 가동판(132)을 일측으로 수평이동시켜 상기 고정판(131) 및 상기 가동판(132)에 형성된 고정구멍(135)을 엇갈리도록 하기 위한 핸들(133) 및 편심축(134)과, 상기 정렬판(120)의 위치결정용 핀(123)이 삽입되는 위치결정용 구멍(131a)을 포함하는 것과,
    상기 승강 유닛(140)은, 제2 레버(141)에 의해 회전하는 제2 부채꼴 기어 (142)와, 상기 제2 부채꼴 기어(142)와 함께 회전하는 캠 롤러(143)와, 상기 캠 롤러(143)의 표면에 맞닿아 상기 캠 롤러(143)가 회전함에 따라 승강하는 승강판(144)과, 상기 승강판(144)에 상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승강판(144)이 상승할 때 상기 위치결정용 핀(123)과 맞닿아 상기 위치결정용 핀(123)을 밀어올림으로써 정렬판(120)을 상승시키는 승강봉(1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캡슐 충전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유닛의 고정판(131) 하부에는 코일 스프링(137)이 개재된 안내봉(136)이 형성되고, 상기 캡슐 지지판(155)에는 상기 고정판(131)의 안내봉(136)이 삽입되어 상기 캡슐 지지판(155)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는 안내구멍(155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캡슐 지지판(155)이 상승하면 상기 안내봉(136)에 끼워진 코일 스프링(137)이 압축되므로 상기 캡슐 지지판(155)은 항상 아래쪽으로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고, 그에 따라 상기 캡슐 지지판(155)의 하부에 마련된 롤러(157)와 상기 회전 막대(154)는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캡슐 충전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은 하부면이 개방되고 지지다리(113)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101)의 표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과,
    상기 반자동 캡슐 충전장치는, 바닥의 일부가 개구되어 있고 사전에 계량된 분량의 의약을 담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호퍼(180)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호퍼(180)의 바닥면에는 위치결정용 핀(18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캡슐 충전장치.
KR2020060008460U 2006-03-30 2006-03-30 반자동 캡슐 충전장치 KR2004197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460U KR200419777Y1 (ko) 2006-03-30 2006-03-30 반자동 캡슐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460U KR200419777Y1 (ko) 2006-03-30 2006-03-30 반자동 캡슐 충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8906A Division KR100682647B1 (ko) 2006-03-30 2006-03-30 반자동 캡슐 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777Y1 true KR200419777Y1 (ko) 2006-06-26

Family

ID=44482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460U KR200419777Y1 (ko) 2006-03-30 2006-03-30 반자동 캡슐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977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758A (ko) * 2016-12-09 2018-06-19 유형종 곤충 알 수거장치
KR20180086076A (ko) * 2017-01-20 2018-07-30 유형종 곤충 알 산란유인캡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758A (ko) * 2016-12-09 2018-06-19 유형종 곤충 알 수거장치
KR102029934B1 (ko) 2016-12-09 2019-10-08 유형종 곤충 알 수거장치
KR20180086076A (ko) * 2017-01-20 2018-07-30 유형종 곤충 알 산란유인캡슐
KR102029935B1 (ko) 2017-01-20 2019-10-08 유형종 곤충 알 산란유인캡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0213B2 (en) Manual capsule loading machine
KR101209849B1 (ko) 약제 포장 장치의 정제 카세트
KR100682647B1 (ko) 반자동 캡슐 충전장치
KR200419777Y1 (ko) 반자동 캡슐 충전장치
CN108033147B (zh) 一种出料数量可调的药丸等量分料装置
KR200419778Y1 (ko) 반자동 캡슐 충전장치
KR100682648B1 (ko) 반자동 캡슐 충전장치
KR200476117Y1 (ko) 반자동 캡슐 정렬 및 충전장치
US20100032058A1 (en) Manual Apparatus For Dividing And Encapsulating Drug Powders
CN201431500Y (zh) 一种椎间融合器植骨块夯实器
CN110316464A (zh) 一种一次性口罩取用装置
IT201800009738A1 (it) “dispositivo di roto - pressatura calibrata per polvere di caffè macinato”
CN213311773U (zh) 通过直径调节装量的胶囊填充装置
CN111114863B (zh) 一种中药胶囊灌装装置
KR20220001316U (ko) 캡슐 충진기
JP2023522768A (ja) 個別化された錠剤の自動製造のための方法および個別化された錠剤の自動製造のための錠剤プレス機
CN209332351U (zh) 方便使用的种植牙工具盒
CN213311772U (zh) 通过高度调节装量的胶囊填充装置
CN217893327U (zh) 一种制药设备的药品装箱设备
KR810000471Y1 (ko) 반자동 캅셀 충전기
CN113041030B (zh) 一种危重患者护理康复装置
CN215130240U (zh) 一种麻醉师用医药箱
CN213723620U (zh) 一种高血压服药分层定量装置
CN217620759U (zh) 一种具有刀具自动复位功能的手动切茶装置
CN217366260U (zh) 一种疼痛缓解护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