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2641A - 가용성 타블렛차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용성 타블렛차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2641A
KR20140092641A KR1020130004947A KR20130004947A KR20140092641A KR 20140092641 A KR20140092641 A KR 20140092641A KR 1020130004947 A KR1020130004947 A KR 1020130004947A KR 20130004947 A KR20130004947 A KR 20130004947A KR 20140092641 A KR20140092641 A KR 20140092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weight
tablet
mixture
ad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4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2227B1 (ko
Inventor
김성호
Original Assignee
김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호 filed Critical 김성호
Priority to KR1020130004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227B1/ko
Publication of KR20140092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2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8Extraction of water soluble tea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2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 A23F3/26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by lyoph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30Further treatment of dried tea extrac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g. instant tea
    • A23F3/32Agglomerating, flaking or tabletting or gran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6Reducing or removing alkaloid conten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ea And Coffee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용성 타블렛 형태의 커피, 녹차, 홍차, 우롱차 및 허브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차의 맛과 향, 기능성 성분들을 추출 시간이나 물의 온도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음용할 수 있고, 가공과정에서 차 고유의 맛과 향이 소실되지 않으며, 이취감과 잔여물 없이 물에 빠르고 완전하게 녹아 식감이 부드럽고 음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용성 타블렛차의 제조방법{THE MANUFACTURING METHOD OF SOLUBLE TABLET TEA}
본 발명은 가용성 타블렛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물에 투입시 바로 용해되는 타블렛 형태의 커피, 녹차, 홍차, 우롱차 및 허브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활 수준이 향상되고 건강 생활에 대한 욕구가 증가함에 따라 고기능성 식품인 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더불어, 생활이 윤택해지면서 정신적, 경제적으로 여유가 생기고 각종 사회활동으로 인하여 대인관계가 더욱 다양해지고 빈번해짐에 따라 타인과의 만남시 기호식품인 차가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차가 즐겨 이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커피, 녹차, 홍차, 우롱차, 허브차가 있다.
커피는 커피나무에서 생두를 수확하여 가공공정을 거쳐 볶은 다음 분쇄한 한 가지 혹은 두 가지 이상의 커피가루를 섞어 추출한 것으로, 기호에 따라 분유나 설탕을 첨가하여 음용하기도 한다.
차나무의 잎을 사용해서 만든 녹차, 홍차, 우롱차는 찻잎 속에 들어 있는 탄닌 성분이 산화효소인 폴리페놀 옥시디아제에 의해 산화되어 독특한 향기와 맛, 물의 색을 나타내게 되는 발효 과정에 따라 구분된다. 녹차는 산화발효 단계를 갖지 않는 불발효차이고, 홍차는 몇 시간의 산화발효를 거쳐 85 ~ 100 % 발효된 발효차이며, 우롱차는 홍차보다 짧은 산화발효 시간을 갖고 10 ~ 65 % 발효된 반발효차이다.
허브차는 허브를 차로 가공, 성형한 것으로, 꽃, 잎, 줄기, 뿌리 또는 종자 등을 약이나 향신료 등으로 사용하는 식물인 허브를 사용하여 추출한 것을 말한다.
본디 차는 추출하고자 하는 식물을 건조시켜 얻은 건조물을 다기를 이용하여 물에 우려내는 방법을 통해 음용하였으나, 점차 편리성이 강화되면서 건조물을 티백에 포장하거나 추출물 또는 건조물을 가루형태로 가공하여 1회용으로 음용할 수 있도록 인스턴트 차의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입자 간의 응집력으로 인해 물에 완전히 녹지 않는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분산성이 향상된 과립형태나 휴대가 간편하고 음용이 손쉬운 편리성이 강화된 타블렛형태의 차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가공과정을 거치면서 차 고유의 맛과 향이 소실될 뿐만 아니라, 포장형태의 하나인 티백은 물에 우려낼 때 화학성분이 용해되어 건강에 좋지 않다는 우려가 있다.
종래 차의 음용형태로는 차의 맛과 향, 기능성 성분들이 차의 추출 시간과 물의 온도에 따라 달라져 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거나 조절하기도 쉽지 않다. 예를 들어, 저온에서 차를 우려내고자 할 경우 장시간 침지시키지 않는 이상 차의 유용한 성분들이 불충분하게 추출되므로 상당한 시간이 소요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37724호(가루녹차를 이용한 과립차 제조방법)는 가루녹차에 녹차 농축액 또는 점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식용분말을 혼합하고 과립용 부형제를 첨가하여 과립차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으나, 물에 완전히 용해되지 않아 식감이 부드럽지 못하고 침전으로 인해 수위에 따라 맛이 일정치 않으며 차의 고유한 맛과 향이 유지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3046호(녹차 종자 추출물을 이용한 타블렛 제조방법)는 녹차의 종자에서 오일성분을 추출하고 탈지박을 회수하여 분쇄한 다음 열수추출과정을 거쳐 저온 감압방식으로 농축시키고 원심분리를 통해 지용성성분을 분리시켜 얻은 농축액에 덱스트린을 첨가하여 분무 건조 및 타정하여 타블렛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00438호(차환 제조방법)는 가루차에 차추출액을 혼합하고 반죽하여 장환, 세절, 정환 및 건조하는 단계를 통해 환으로 성형하는 차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있으나, 전자는 녹차 종자에 함유된 성분을 추출하고 후자는 반죽물을 국수 형태로 제조하고 세절하여 단순히 타블렛 형태의 차를 제조하고 있을 뿐, 차 고유의 풍미가 보존되지 못하고 이취감과 잔여물 없이 즉시 녹는 가용성 타블렛 형태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지 못하다.
타블렛 형태의 차에 있어서 종래기술은 단순히 건조물을 분쇄한 가루를 압축하여 제조함으로써 잔여물이 남아 용해도가 떨어지며, 제조과정에서 맛과 향이 보존되지 못하고 이취감이 생겨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서지지 않는 견고함이 부여된 타블렛 형태를 제공하고 있을 뿐, 즉시 녹는 가용성 타블렛 형태가 아니어서 스푼과 같은 도구를 사용해야 하는 등 사용의 불편함이 잔존하고, 차의 형태로 음용하는 것이 아니라 알약처럼 섭취해야 하는 것도 있다.
게다가, 종래 타블렛 형태의 차는 주로 녹차를 중심으로 개발되어 왔을 뿐, 널리 이용되고 있는 커피, 홍차, 우롱차 및 허브차에 대해서는 그 개발이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커피의 경우 가공 후에 신선도가 떨어져 인스턴트커피 제조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의 맛과 향, 기능성 성분들을 추출 시간이나 물의 온도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하고, 차의 가공과정에서 차 고유의 맛과 향이 소실되지 않고 풍미를 유지시킬 수 있는 가용성 타블렛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를 음용하고자 할 때, 티백과 같은 포장을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고, 스푼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잔여물 없이 물에 빠르고 완전하게 녹아 식감이 부드러우며, 이취감이 발생하지 않는 음용이 편리한 가용성 타블렛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분쇄한 커피원두, 녹차잎, 홍차잎, 우롱차잎 및 허브차의 원료가 되는 허브의 꽃, 잎, 줄기, 뿌리 및 종자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열수추출하는 단계; (2) 상기 (1)단계에서 추출한 추출액을 농축하는 단계; (3) 상기 (2)단계에서 농축한 농축액을 동결건조하는 단계; (4) 상기 (3)단계에서 동결건조한 건조물을 과립화하는 단계; 및 (5) 상기 (4)단계에서 과립화한 분말에 탄산수소나트륨과 구연산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타블렛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용성 타블렛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1)단계에서 추출 방법은 분쇄한 커피원두, 녹차잎, 홍차잎, 우롱차잎 및 허브차의 원료가 되는 허브의 꽃, 잎, 줄기, 뿌리 및 종자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50 내지 72 ℃의 열수와 1 : 7 내지 10(w/v)으로 혼합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단계에서 농축 방법은 상기 (1)단계에서 추출한 추출액의 총량의 8 내지 14 %가 되도록 85 내지 100 ℃에서 가열농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단계에서 동결건조 방법은 수분함량이 2 내지 6 %가 되도록 -40 내지 -30 ℃에서 동결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4)단계에서 과립화 방법은 건조물의 중량대비 2/100 내지 4/100에 해당하는 수분을 분사하여 과립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5)단계에서 성형 방법은 과립화한 분말에 탄산수소나트륨과 구연산을 첨가하고 3 내지 10 ℃에서 혼합하여 타블렛 형태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5)단계에서 과립화한 분말에 부형제, 감미료, 분유, 향료, 색소, 습윤제, 방부제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부재료를 첨가하고 20 내지 40 ℃에서 1차 혼합한 다음, 상기 1차 혼합물에 탄산수소나트륨과 구연산을 첨가하고 3 내지 10 ℃에서 2차 혼합하여 타블렛 형태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1)단계에서 분쇄한 커피원두를 추출하여 가용성 타블렛차를 제조할 경우, 상기 (5)단계에서 과립화한 분말 10 내지 15 중량%에 부재료로 분유 25 내지 35 중량%와 설탕 30 내지 40 중량%를 첨가하고 20 내지 40 ℃에서 1차 혼합한 다음, 상기 1차 혼합물에 탄산수소나트륨 15 내지 25 중량%와 구연산 3 내지 7 중량%를 첨가하고 3 내지 10 ℃에서 2차 혼합하여 타블렛 형태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단계에서 녹차잎, 홍차잎 또는 우롱차잎을 추출하여 가용성 타블렛차를 제조할 경우, 상기 (6)단계에서 과립화한 분말 60 내지 70 중량%에 부재료로 덱스트린 3 내지 5 중량%와 수크랄로스 2 내지 4 중량%를 첨가하고 20 내지 40 ℃에서 1차 혼합한 다음, 상기 1차 혼합물에 탄산수소나트륨 15 내지 25 중량%와 구연산 3 내지 7 중량%를 첨가하고 3 내지 10 ℃에서 2차 혼합하여 타블렛 형태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단계에서 허브차의 원료가 되는 허브의 꽃, 잎, 줄기, 뿌리 또는 종자를 추출하여 가용성 타블렛차를 제조할 경우, 상기 (6)단계에서 과립화한 분말 65 내지 75 중량%에 부재료로 덱스트린 3 내지 5 중량%를 첨가하고 20 내지 40 ℃에서 1차 혼합한 다음, 상기 1차 혼합물에 탄산수소나트륨 15 내지 25 중량%와 구연산 3 내지 10 중량%를 첨가하고 3 내지 10 ℃에서 2차 혼합하여 타블렛 형태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용해된 것을 농축함으로써, 찬물에도 잔여물 없이 빠르게 용해되어 침전물이 없고 식감이 부드러워 상품성이 우수하며, 차에 함유되어 있는 유용한 기능성 성분을 추출 시간이나 물의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음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온추출과 간접가열방식의 열풍건조를 실시하고, 성형단계에서 탄산수소나트륨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저온에서 혼합하여 구연산과의 반응을 최소화함으로써, 스푼과 같은 도구의 사용 없이도 즉시 용해되고 이취감이 발생하지 않으며 차 고유의 맛과 향을 보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녹차 뿐만 아니라 커피, 홍차, 우롱차 및 허브차에 확대하여 맛과 향이 보존된 가용성 타블렛 형태의 차를 제공함으로써, 부피가 작아 휴대가 간편하고 물과 용기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든 손쉽고 빠르게 음용이 가능한 편리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종래 1회용 포장으로 인한 쓰레기 발생을 감소시키고 생산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가용성 타블렛차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식이다.
도 2는 가용성 타블렛차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가용성 타블렛차를 물에 용해시켜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차라 함은 차의 재료가 되는 식물의 꽃, 열매, 잎, 줄기, 뿌리 또는 종자를 달이거나 우려서 뜨겁게 혹은 차갑게 마시는 모든 음료를 말하며, 허브차로는 라벤더, 로즈마리, 페퍼민트, 루이보스, 쟈스민, 캐모마일, 펜넬, 바질, 레몬그라스 등이 있다.
본 발명은 (1) 분쇄한 커피원두, 녹차잎, 홍차잎, 우롱차잎 및 허브차의 원료가 되는 허브의 꽃, 잎, 줄기, 뿌리 및 종자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열수추출하는 단계; (2) 상기 (1)단계에서 추출한 추출액을 농축하는 단계; (3) 상기 (2)단계에서 농축한 농축액을 동결건조하는 단계; (4) 상기 (3)단계에서 동결건조한 건조물을 과립화하는 단계; 및 (5) 상기 (4)단계에서 과립화한 분말에 탄산수소나트륨과 구연산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타블렛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용성 타블렛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1)단계에서 추출 방법은 분쇄한 커피원두, 녹차잎, 홍차잎, 우롱차잎 및 허브차의 원료가 되는 허브의 꽃, 잎, 줄기, 뿌리 및 종자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50 내지 72 ℃의 열수와 1 : 7 내지 10(w/v)으로 혼합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2 내지 72 ℃의 열수에서 10 내지 30 시간,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24 시간 동안 열수추출하는 것이 최적의 효과를 나타내며, 72 ℃ 이상의 온도에서 추출할 경우 향이 증발하여 상품의 우수성 및 기호도가 떨어지게 된다. 또한, 향의 증발을 막기 위해 추출과정에서 상층부를 밀봉하고 상층부의 공기접촉면을 최대로 하여 수증기를 냉각응축시켜 물받이홈을 통해 응축된 수증기를 배출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저온추출하는 경우 맛과 향이 부드러워지며 카페인의 양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2)단계에서 농축 방법은 상기 (1)단계에서 추출한 추출액의 총량의 8 내지 14 %가 되도록 85 내지 100 ℃에서 가열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90 내지 95 ℃에서 20 내지 28 시간, 바람직하게는 23 내지 25 시간 동안 농축하는 것이 최적의 효과를 나타내며, 100 ℃를 초과하여 농축할 경우 급격한 향의 휘발로 인해 향의 총량이 20 % 이상 감소하여 풍미의 변화로 상품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추출한 추출액의 총량의 10 내지 12 %가 되도록 가열농축하는 것이 최적의 효과를 나타내며, 추출액에 따라 수분, 섬유소 등 성분별 함량이 다르므로 이후 동결건조와 열풍건조 단계에서 잔류량이 10 내지 12 %가 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 잔류량이 많으면 동결건조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비용의 증가를 가져오며, 잔류량이 적으면 열에 의해 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잔류량을 8 내지 14 % 범위로 조정해야 한다.
상기 (3)단계에서 동결건조 방법은 수분함량이 2 내지 6 %가 되도록 -40 내지 -30 ℃에서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0 ℃ 이하, 300 mbar 이상에서 15 내지 25 시간,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2 시간 동안 수분함량이 약 4 %가 되도록 동결건조하는 것이 최적의 효과를 나타낸다. 수분함량이 높으면 이후 타블렛 형태로 성형한 결과 부서지고 잘린 흔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수분함량을 4 % 이하로 감소시키는 것이 좋다.
이때, 동결건조한 건조물을 간접가열방식으로 표면온도가 50 내지 80 ℃가 되고, 수분함량이 3 내지 4 %가 되도록 2 내지 4 시간 동안 열풍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온으로 인한 제품의 변성과 향의 휘발을 막기 위해 45 분간 열풍건조, 15 분간 정지를 반복하는 것이 좋으며, 과립타입으로 만들기 전에 수분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스크루(screw)를 통해 분말이 계속 섞이도록 하여 수분을 골고루 증발시켜 분말내 수분함량이 약 3 %가 되도록 열풍건조하는 것이 최적의 효과를 나타낸다. 60 내지 120 ℃의 온도로 유지되는 히터를 통과시킨 열풍을 1 내지 2 m/sec의 풍속으로 불어 넣어 열풍건조할 수 있다.
동결건조만으로 수분함량을 약 3 %로 감소시키는 것은 시간의 효율면에서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직접가열방식으로 열풍건조할 경우 직사열에 의해 제품이 변성될 우려가 있고, 상기와 같은 열풍건조 방법은 과다한 열풍건조로 인한 풍미의 소실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4)단계에서 과립화 방법은 건조물의 중량대비 2/100 내지 4/100에 해당하는 수분을 분사하여 과립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한 분말을 공기 중에 흩날리게 하여 수분을 분사하는 과립화과정을 통해 기공을 극대화하여 제품의 물속 입수시 물의 침투시간을 줄이고 침투 후 조직의 해체를 가속화시켜 용해속도를 높일 수 있다. 1 mm의 체로 걸러낸 분말에 분말의 중량대비 3/100에 해당되는 수분을 미세분사하여 과립화하면 열풍건조로 인해 약 3 %로 감소한 분말내 수분함량이 약 5 %대로 증가하게 된다.
상기 (5)단계에서 성형 방법은 과립화한 분말에 탄산수소나트륨과 구연산을 첨가하고 3 내지 10 ℃에서 혼합하여 타블렛 형태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산수소나트륨과 구연산은 물에서 중화작용을 통해 빨리 녹게 만들어 주는 붕해제 역할을 하며, 선행기술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가용성 타블레차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약 20 중량%에 해당하는 탄산수소나트륨의 적은 함유율로도 이취감 없이 우수한 용해도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5)단계에서 과립화한 분말에 부형제, 감미료, 분유, 향료, 색소, 습윤제, 방부제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부재료를 첨가하고 20 내지 40 ℃에서 1차 혼합한 다음, 상기 1차 혼합물에 탄산수소나트륨과 구연산을 첨가하고 3 내지 10 ℃에서 2차 혼합하여 타블렛 형태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재료로 식, 음료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첨가물을 더 첨가할 수 있으며, 활택제, 코팅제를 부가할 수도 있다.
25 내지 35 ℃에서 1차 혼합하고, 5 내지 8 ℃에서 2차 혼합하는 것이 최적의 효과를 나타내며, 탄산수소나트륨과 구연산을 마지막에 첨가하여 저온에서 혼합함으로써 탄산수소나트륨과 구연산의 반응을 최소화시켜 변성을 예방하고, 혼합과정 및 혼합과정 이후 내부 습기에 의한 붕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구연산을 1차 혼합과정에서 혼합할 경우 다른 구성성분이나 수분에 의해 굳거나 변성이 일어날 수 있다.
이때, 상기 (1)단계에서 분쇄한 커피원두를 추출하여 가용성 타블렛차를 제조할 경우, 상기 (5)단계에서 과립화한 분말 10 내지 15 중량%에 부재료로 분유 25 내지 35 중량%와 설탕 30 내지 40 중량%를 첨가하고 20 내지 40 ℃에서 1차 혼합한 다음, 상기 1차 혼합물에 탄산수소나트륨 15 내지 25 중량%와 구연산 3 내지 7 중량%를 첨가하고 3 내지 10 ℃에서 2차 혼합하여 타블렛 형태로 성형할 수 있다.
분유와 설탕과 같은 부재료를 첨가하지 않고 상기 (1)단계에서 분쇄한 커피원두를 추출하여 가용성 타블렛차를 제조할 경우, 상기 (5)단계에서 과립화한 분말 30 내지 40 중량%에 탄산수소나트륨 50 내지 60 중량%와 구연산 10 내지 20 중량%를 첨가하고 3 내지 10 ℃에서 혼합하여 타블렛 형태로 성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1)단계에서 녹차잎, 홍차잎 또는 우롱차잎을 추출하여 가용성 타블렛차를 제조할 경우, 상기 (6)단계에서 과립화한 분말 60 내지 70 중량%에 부재료로 덱스트린 3 내지 5 중량%와 수크랄로스 2 내지 4 중량%를 첨가하고 20 내지 40 ℃에서 1차 혼합한 다음, 상기 1차 혼합물에 탄산수소나트륨 15 내지 25 중량%와 구연산 3 내지 7 중량%를 첨가하고 3 내지 10 ℃에서 2차 혼합하여 타블렛 형태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단계에서 허브차의 원료가 되는 허브의 꽃, 잎, 줄기, 뿌리 또는 종자를 추출하여 가용성 타블렛차를 제조할 경우, 상기 (6)단계에서 과립화한 분말 65 내지 75 중량%에 부재료로 덱스트린 3 내지 5 중량%를 첨가하고 20 내지 40 ℃에서 1차 혼합한 다음, 상기 1차 혼합물에 탄산수소나트륨 15 내지 25 중량%와 구연산 3 내지 10 중량%를 첨가하고 3 내지 10 ℃에서 2차 혼합하여 타블렛 형태로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용성 타블렛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타정은 일반 제약 또는 식품 공장에서 할 수 있으며, 떨어지고 부서짐 없는 타블렛 형태로 성형하기 위해 고압, 저속으로 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가용성 타블렛 커피의 제조
볶아서 분쇄한 커피원두 12 g을 50 ℃의 열수 100 L에 첨가하여 18 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때, 상층부를 밀봉하고 상층부의 공기접촉면을 최대로 하여 수증기를 냉각응축시켜 물받이홈을 통해 응축된 수증기를 배출시켰다.
상기 추출한 추출액을 90 ℃에서 24 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액 총량의 10 %가 되도록 농축한 다음, 농축액을 20 시간 동안 -30 ℃ 이하, 300 mbar 이상에서 동결건조하여 수분함량이 4 %가 되도록 분말화하였다.
상기 동결건조한 분말을 과립타입으로 만들기 전에 수분함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분말내 수분량이 3 %가 되도록 간접가열방식으로 분말의 표면온도를 60 내지 80 ℃로 조절하여 열풍건조하였다. 이때, 고온으로 인한 제품의 변성과 향의 증발을 막기 위해 45 분간 열풍건조하고 15 분간 정지하여 총 3 시간 동안 실시하였으며, 건조과정에서 스크루(screw)를 통해 분말이 계속 섞이도록 하여 수분이 골고루 증발되게 하였다.
상기 열풍건조한 분말을 공기 중에 흩날리게 한 후 수분을 스프레이하여 과립화(granule)함으로써 기공을 극대화시켜 제품의 물속 입수시 물의 침투시간을 줄이고 침투 후 조직의 해체를 가속화하여 용해속도를 높였다. 1 mm의 체에 걸러 떨어지는 분말에 분말의 중량대비 3/100에 해당하는 수분을 미세분사하여 과립화(granule)하였다.
상기 과립화(granule)한 분말 32.5 중량%에 탄산수소나트륨 54 중량%와 구연산 13.5 중량%를 첨가하고 5 내지 8 ℃에서 혼합하였다.
이후, 온도 약 23 ℃, 상대습도 약 25 %에서 고압, 저속으로 타정하여 중량 800 mg, 지름 1.2 cm, 두께 4 mm인 우유(크림, 분유)가 첨가되지 않은 아메리카노(americano)와 같은 가용성 타블렛 형태의 블랙커피(black coffee)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 25 ℃의 물 200 ml에 제조한 타블렛차 0.8 g을 첨가하였을 때 기포를 발생하며 15 초내 완전히 용해되었다.
커피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우유(크림, 분유)가 첨가된 커피믹스(coffee mix)와 같은 가용성 타블렛 형태의 화이트커피(white coffee)는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방법과 동일하되, 상기 제조된 과립화(granule)한 분말에 탄산수소나트륨과 구연산을 첨가하여 혼합하기 전에, 과립화(granule)한 분말 12 중량%에 분유 28 중량%와 설탕 35 중량%를 첨가하고 30 ℃에서 1차 혼합한 다음, 상기 1차 혼합물에 탄산수소나트륨 20 중량%와 구연산 5 중량%를 첨가하고 5 내지 8 ℃에서 2차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가용성 타블렛 녹차, 홍차 또는 우롱차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녹차잎, 홍차잎 또는 우롱차잎 14 g을 50 ℃의 열수 100 L에 첨가하여 18 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또한, 제조된 과립화(granule)한 분말 65 중량%에 덱스트린 4 중량 %, 수크랄로스 3 중량%, 향료 1 중량% 및 색소 2 중량%를 첨가하고 30 ℃에서 1차 혼합한 다음, 상기 1차 혼합물에 탄산수소나트륨 20 중량%와 구연산 5 중량%를 첨가하고 5 내지 8 ℃에서 2차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표 1.은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가용성 타블렛 형태의 녹차의 관능평가를 나타낸 것이다. 녹차를 선호하는 사람과 선호하지 않는 사람 1 : 1의 비율로 총 200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은 매우 불만족, 2는 불만족, 3은 보통, 4는 만족, 5는 매우 만족을 나타내며, 그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실시예 3. 가용성 타블렛 허브차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허브차 중의 하나인 라벤더차를 제조하기 위해 라벤더 14 g을 50 ℃의 열수 100 L에 첨가하여 18 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또한, 제조된 과립화(granule)한 분말 65 중량%에 덱스트린 5 중량%를 첨가하고 30 ℃에서 1차 혼합한 다음, 상기 1차 혼합물에 탄산수소나트륨 20 중량%와 구연산 10 중량%를 첨가하고 5 내지 8 ℃에서 2차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1) 분쇄한 커피원두, 녹차잎, 홍차잎, 우롱차잎 및 허브차의 원료가 되는 허브의 꽃, 잎, 줄기, 뿌리 및 종자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열수추출하는 단계;
    (2) 상기 (1)단계에서 추출한 추출액을 농축하는 단계;
    (3) 상기 (2)단계에서 농축한 농축액을 동결건조하는 단계;
    (4) 상기 (3)단계에서 동결건조한 건조물을 과립화하는 단계; 및
    (5) 상기 (4)단계에서 과립화한 분말에 탄산수소나트륨과 구연산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타블렛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용성 타블렛차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추출 방법은 분쇄한 커피원두, 녹차잎, 홍차잎, 우롱차잎 및 허브차의 원료가 되는 허브의 꽃, 잎, 줄기, 뿌리 및 종자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50 내지 72 ℃의 열수와 1 : 7 내지 10(w/v)으로 혼합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타블렛차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에서 농축 방법은 상기 (1)단계에서 추출한 추출액의 총량의 8 내지 14 %가 되도록 85 내지 100 ℃에서 가열농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타블렛차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에서 동결건조 방법은 수분함량이 2 내지 6 %가 되도록 -40 내지 -30 ℃에서 동결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타블렛차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4)단계에서 과립화 방법은 건조물의 중량대비 2/100 내지 4/100에 해당하는 수분을 분사하여 과립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타블렛차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5)단계에서 성형 방법은 과립화한 분말에 탄산수소나트륨과 구연산을 첨가하고 3 내지 10 ℃에서 혼합하여 타블렛 형태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타블렛차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5)단계에서 과립화한 분말에 부형제, 감미료, 분유, 향료, 색소, 습윤제, 방부제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부재료를 첨가하고 20 내지 40 ℃에서 1차 혼합한 다음, 상기 1차 혼합물에 탄산수소나트륨과 구연산을 첨가하고 3 내지 10 ℃에서 2차 혼합하여 타블렛 형태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타블렛차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분쇄한 커피원두를 추출하여 가용성 타블렛차를 제조할 경우, 상기 (5)단계에서 과립화한 분말 10 내지 15 중량%에 부재료로 분유 25 내지 35 중량%와 설탕 30 내지 40 중량%를 첨가하고 20 내지 40 ℃에서 1차 혼합한 다음, 상기 1차 혼합물에 탄산수소나트륨 15 내지 25 중량%와 구연산 3 내지 7 중량%를 첨가하고 3 내지 10 ℃에서 2차 혼합하여 타블렛 형태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타블렛차의 제조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녹차잎, 홍차잎 또는 우롱차잎을 추출하여 가용성 타블렛차를 제조할 경우, 상기 (6)단계에서 과립화한 분말 60 내지 70 중량%에 부재료로 덱스트린 3 내지 5 중량%와 수크랄로스 2 내지 4 중량%를 첨가하고 20 내지 40 ℃에서 1차 혼합한 다음, 상기 1차 혼합물에 탄산수소나트륨 15 내지 25 중량%와 구연산 3 내지 7 중량%를 첨가하고 3 내지 10 ℃에서 2차 혼합하여 타블렛 형태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타블렛차의 제조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허브차의 원료가 되는 허브의 꽃, 잎, 줄기, 뿌리 또는 종자를 추출하여 가용성 타블렛차를 제조할 경우, 상기 (6)단계에서 과립화한 분말 65 내지 75 중량%에 부재료로 덱스트린 3 내지 5 중량%를 첨가하고 20 내지 40 ℃에서 1차 혼합한 다음, 상기 1차 혼합물에 탄산수소나트륨 15 내지 25 중량%와 구연산 3 내지 10 중량%를 첨가하고 3 내지 10 ℃에서 2차 혼합하여 타블렛 형태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타블렛차의 제조방법.




KR1020130004947A 2013-01-16 2013-01-16 가용성 타블렛차의 제조방법 KR101542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947A KR101542227B1 (ko) 2013-01-16 2013-01-16 가용성 타블렛차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947A KR101542227B1 (ko) 2013-01-16 2013-01-16 가용성 타블렛차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641A true KR20140092641A (ko) 2014-07-24
KR101542227B1 KR101542227B1 (ko) 2015-08-06

Family

ID=51739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947A KR101542227B1 (ko) 2013-01-16 2013-01-16 가용성 타블렛차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222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4996A (ko) * 2014-12-19 2016-06-29 장웅상 타블릿 또는 캡슐형태의 커피 또는 차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한 커피 또는 차
KR20170062733A (ko) * 2015-11-30 2017-06-08 주식회사 로스팅컴퍼니로움 더치커피 제조방법
KR20170121810A (ko) * 2016-04-26 2017-11-03 김은경 물에 녹는 차 블록 제조방법
KR20190046365A (ko) * 2017-10-26 2019-05-07 주식회사 보락 녹차 잔사를 포함하는 타정용 부형제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녹차 타블렛의 제조방법
CN110122615A (zh) * 2019-04-30 2019-08-16 广西顺来茶业有限公司 一种茉莉碧螺春奶茶片及其制备方法
CN116058413A (zh) * 2021-11-02 2023-05-05 内蒙古蒙牛乳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乌龙茶乳饮料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68464A (zh) * 2017-11-08 2018-02-09 永安康健药业(武汉)有限公司 一种绿豆汤泡腾片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4996A (ko) * 2014-12-19 2016-06-29 장웅상 타블릿 또는 캡슐형태의 커피 또는 차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한 커피 또는 차
KR20170062733A (ko) * 2015-11-30 2017-06-08 주식회사 로스팅컴퍼니로움 더치커피 제조방법
KR20170121810A (ko) * 2016-04-26 2017-11-03 김은경 물에 녹는 차 블록 제조방법
KR20190046365A (ko) * 2017-10-26 2019-05-07 주식회사 보락 녹차 잔사를 포함하는 타정용 부형제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녹차 타블렛의 제조방법
CN110122615A (zh) * 2019-04-30 2019-08-16 广西顺来茶业有限公司 一种茉莉碧螺春奶茶片及其制备方法
CN116058413A (zh) * 2021-11-02 2023-05-05 内蒙古蒙牛乳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乌龙茶乳饮料及其制备方法
CN116058413B (zh) * 2021-11-02 2024-01-26 内蒙古蒙牛乳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乌龙茶乳饮料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2227B1 (ko) 2015-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2227B1 (ko) 가용성 타블렛차의 제조방법
CN103027140A (zh) 即溶金茯茶珍及制备方法
KR20130117331A (ko) 진피차 제조방법 및 그 진피차
KR102271286B1 (ko) 미선나무잎 음료, 차, 식품 원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10147B1 (ko) 한약재를 이용한 국화무차의 제조방법 및 그 국화무차 티백
KR101657348B1 (ko) 저온 추출법을 이용한 저카페인 커피원두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캡슐 커피의 제조 방법
KR100721705B1 (ko) 구기자차의 제조방법
KR101037572B1 (ko) 복분자를 이용한 발효분말 제조방법
KR20140050289A (ko) 타블렛 형태의 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61818A (ko) 수용성 산채 분말의 제조방법
KR20140105907A (ko) 가용성 타블렛형 청즙차의 제조방법
KR100563401B1 (ko) 사과 과립차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00118223A (ko) 배추뿌리 과립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88122A (ko) 산약 차 제조방법
KR101815231B1 (ko) 맨드라미를 이용한 커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393197A (zh) 大蒜保健饮料及制备方法
KR101959339B1 (ko) 미강 함유 분말 보리차의 제조방법
CN104938716B (zh) 一种纯天然微细研磨桑叶果蔬茶及其制备方法
KR100297244B1 (ko) 치커리를 이용한 인스탄트형 분말차의 제조방법
CN109315566A (zh) 一种复合固体饮料及其生产工艺
KR101609450B1 (ko) 홍삼그래뉼믹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664399B1 (ko) 친환경 다시마 차의 제조방법
CN104970139A (zh) 一种速溶饮料及其制备方法
KR102091737B1 (ko) 홍삼환의 제조 방법
CN106665945A (zh) 一种超微黄茶粉制作的水果茶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