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0414A - 의자와 방석의 구조 변형에 대한 발명 - Google Patents

의자와 방석의 구조 변형에 대한 발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0414A
KR20140090414A KR1020130002425A KR20130002425A KR20140090414A KR 20140090414 A KR20140090414 A KR 20140090414A KR 1020130002425 A KR1020130002425 A KR 1020130002425A KR 20130002425 A KR20130002425 A KR 20130002425A KR 20140090414 A KR20140090414 A KR 20140090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late
chair
cushion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경희
Original Assignee
어메이징썬 주식회사
한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메이징썬 주식회사, 한경희 filed Critical 어메이징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2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0414A/ko
Priority to PCT/KR2013/011371 priority patent/WO2014109484A1/ko
Publication of KR20140090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04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or bolt-and-nut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3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horizontally-adjustable seats ; Expandable seats or the like, e.g. seats with horizontally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6Chair or stool bases with cas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7/746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out active means, e.g. with openings or heat condu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무실용 의자 및 쇼파와 장애인 전동차 시트, 자동차 시트 등 기존 의자 등의 제조 방식과 제조 후 사용하는 과정과 사용 후 폐기하는 과정 등에서 야기 되는 비경제적, 비친환경적, 비위생적, 비효율적, 비효용성 등의 여러가지 저해 요소를 극복하고 해소하기 위하여 단일 구조로 형성된 상기 기존 의자 등의 각 부분들을 이중 구조로 형성시키고 양 구조물 사이에 지금까지 사용하여 온 탄성 소재가 아닌 가스스프링장치와 가압탄성구조체 등을 부착하여 새로운 개념의 탄성력 등을 구현하고 상기 의자 등의 좌판부와 좌판부 위에 올려지는 좌판과 동 좌판위에 올려 사용하는 방석의 구조를 인체공학적 형상으로 형성시켜 사람에게 친근감을 주고 사용의 편리함을 추구하며 환경오염 방지 등을 위한 기존 의자 등의 각 부분과 방석의 구조를 변형 및 개선에 관한 것 이다.

Description

의자와 방석의 구조 변형에 대한 발명 {Invention of structure transformation on a chair and a sitting cushion}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발명 출원한 0-2011-0047503 초간편 건강조립식의자(이하 “조립식의자” 라 한다)의 내용과 도면 중 좌판부 일부분을 기술적으로 의용하고 사무실용 의자 및 쇼파와 장애인 전동차 시트, 자동차 시트 등 기존의 의자 등의 제조 방식으로 제조된 의자 등의 제조하는 과정과 제조 후 사용하는 과정 및 사용 후 폐기하는 과정 등에 있어 인간과 환경 등에 미치는 불편함과 공해를 면밀히 분석하여 상기 과정에서 발생되는 비경제적, 비친환경적, 비위생적, 비효율적, 비효용성 등의 저해 요소를 극복하고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기존의 의자 등의 각 구조와 의자의 좌판부 좌판위에 올려 사용하는 방석과 바닥에 놓고 앉는 방석을 새로운 형식과 방법으로 변형 및 개선시키며 신체와 접촉되는 부위를 인체공학적 형상으로 형성시켜 사용자가 상기 의자 등을 사용함에 있어 친근감을 느끼게 하고 불편함을 해소함과 동시에 둔부의 건강을 개선 시키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주안점을 두었다.
본 발명은 기존의 의자 및 쇼파와 자동차 시트 등의 좌판부 등과 방석에 대한 새로운 개념의 인체공학적 형상 및 탄성력 등을 제공하는 것과 의자와 방석의 구조적 변형 및 개선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의자와 쇼파 등은 의자의 표면을 가죽이나 천 등으로 씌우고 이면에 고무스펀지 등의 탄성소재를 넣은 후 사이사이에 코일스프링을 부착하여 고정시켜 의자의 좌판부 등에 쿠션이나 탄성력을 발생시키고 유지시키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 경우 가죽 등이나 고무 스펀지 등 표면 및 탄성소재를 필요 이상 다량으로 사용되고 한 번 사용된 상기 소재 등은 재활용도 되지 않아 자원낭비와 환경오염을 발생하였으며 하절기에는 사용자의 둔부 등 신체부위와 부드러운 소재의 상기 의자 등의 좌판부 표면소재 사이에 공기 소통이 되지 않아 의자와 접촉되는 둔부 등 신체 부위에 땀 등의 분비물이 발생하여 습진등 피부병을 유발하는 경우가 빈발하였다.
또한 의자의 좌판부가 딱딱한 재질의 소재로 형성된 경우에는 둔부뼈 중 의자에 착석 시 돌출되어 의자의 좌판부 좌판 상면과 마찰되는 뼈(이하 “ 둔부뼈 ”라 약칭한다) 가 의자의 좌판부 상면과 마찰이나 상충되어 통증을 유발하고 의자에 장시간 착석 시에는 둔부에 혈액순환이 되지 않아 둔부의 경직성을 초래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와 같이 기존 의자의 제조 방식으로 제조된 의자 등은 제조하는 과정과 제조 후 사용함과 사용 후에 폐기하는 등 전 과정에 걸쳐서 인간과 환경에 불편함과 공해를 초래하는 비경제적, 비친환경적, 비위생적, 비효율적, 비효용성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데 상기의 저해 요소를 극복하고 해소하기 위하여 기존 의자 등의 구조를 변형 및 개선 시키고 상기와 같이 의자의 구조를 변형 개선에 ?추어 방석의 형상도 새롭게 변형 형성시켜 사용의 편리함과 둔부의 건강을 추구하는 것에 본 발명의 배경기술을 두었다.
(특허출원문헌)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11-0047503 초간편 건강 조립식 의자, (출원일자 2011.5.19), (특허출원문헌)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12-0141686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출원일자 2012.12.07)
본 발명은 기존의 사무실용 의자와 쇼파 및 장애인 전동차 시트, 자동차 시트 등의 좌판부 및 등받이와 팔걸이 등의 부분에 대한 인체공학적 형상 및 탄성력 등을 제공하는 것과 상기 의자 등의 상기 부분들과 방석의 구조적 변형 및 개선에 관한 것으로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지금까지의 사무실 용 의자와 쇼파 등은 표면을 가죽이나 천 등으로 씌우고 이면에 고무스펀지나 솜 등의 탄성소재를 넣은 후 사이사이에 코일스프링을 삽입하여 고정시켜 쿠션이나 탄성력 등을 유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이 경우 가죽 등이나 고무스펀지 등 표면 및 탄성 소재 등을 다량으로 사용하고 한 번 사용한 소재는 재활용도 되지 않아 비경제적이고 비친환경적으로서 자원낭비가 되어 왔으며 필요 이상으로 크고 무거워 이동이나 보관 하는데 있어 비효율적 이었다.
또한 하절기에 사용 시 상기의 의자 등에 접촉되는 신체부위와 의자 등의 좌판부 등 사이에 공기 소통이 잘 되지 않아 접촉되는 신체부위에서 발생되는 땀 등의 분비물이 상기 탄성 소재 속으로 스며들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느끼게 하였고 상기 분비물로 인하여 사용자의 둔부 등에 습진 등 피부병이 유발되는 경우도 있어 비위생적인 문제가 발생하였다.
아울러 의자 등의 좌판부가 딱딱한 재질의 소재로 형성된 경우에는 둔부뼈가 의자 등의 좌판부 상면과 마찰이나 상충되어 통증을 유발하고 장시간 착석 시에는 둔부에 혈액순환이 되지 않아 둔부에 경직성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어 의자의 비효용성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이 둔부 등에 발생되는 땀 등의 분비물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나무나 밀짚 등으로 만든 방석이나 등받이 등을 사용하여 왔으나 약간의 도움이 될 뿐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이 기존의 의자 등을 지금까지 사용하여 온 사용자가 겪게 되는 비경제적, 비위생적,비효율적, 비효용성 등의 문제점 등과 환경에 미치는 비친환경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 의자 등의 좌판부 및 등받이부, 팔걸이부, 머리받이부 등의 구조를 이중으로 하는 등 새롭게 변형 및 개선하고 상기의 의자 등의 제작 과정에서 탄성력 발생을 위하여 사용되는 소재 등도 새로운 소재와 새로운 기능적 방법으로 대체하고 그에 ?추어 방석의 소재와 형상도 새롭게 변형 형성시키는 데에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주안점을 두었다.
본 발명은 기존의 제조 방법에 의한 의자 등의 사용자가 사용중 겪게 되는 불편함과 환경 등에 악 영향을 주는 점 등에 대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대하여 기존의 사무실용 의자 및 쇼파와 장애인 전동카 시트, 자동차 시트 등은 의자의 좌판부 등의 표면에 가죽이나 천으로 씌우고 이면에 고무스펀지 등의 탄성 소재를 넣고 사이사이에 코일스프링을 부착하고 고정하여 쿠션이나 탄성력 등을 발생시키고 유지 시켰으나 이 경우 제조 과정에서 다량의 표면 및 탄성 소재가 사용되며 한 번 사용된 소재는 재활용도 되지 않고 완성 후 사용 중에는 사용자에게 여러가지 불쾌하고 불편한 점이 발생되며 필요 이상으로 부피가 크고 무거워 운반이나 보관 등에 있어서 비효율적인 문제가 발생하고 사용 후에는 재활용이 되지 않고 의자의 대부분이 그대로 폐기됨으로 인하여 환경 오염이 발생하므로서 비경제적, 비친환경적, 비효율적, 비위생적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여러가지의 저해 요소를 극복하고 해소하기 위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 의자 등의 좌판부 등의 구조를 단일 구조에서 이중 구조로 변형시켰다.
상기와 같이 이중 구조로 형성된 좌판부는 새로운 개념의 탄성체 등을 고정하고 연결시킬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기본 구조로서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이하 “ 좌판 플레이트 ” 라 칭한다) 좌판 플레이트가 먼저 형성되고 별도로 제작된 좌판을 그 위에 각 올려 부착하는 이중 구조로 형성되며 등받이부,팔걸이부,머리받이부 등도 상기와 같은 구조와 방식으로 이중구조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중 구조로 형성된 양 구조물 사이에 본 출원인이 발명 출원한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의 가압탄성돌기와 같은 구조체인 가압탄성구조체 등을 부착하여 지금까지 사용하여 온 상기와 같은 표면 및 탄성소재 등의 사용없이도 새로운 개념의 쿠션과 탄성력이 발생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의자 등의 좌판부 등은 플레이트 등 이중 구조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각 부분별로 해체와 분리가 가능하므로서 재활용도 가능하게 하였다.
상기의 의자 등의 좌판부 외의 다른 부분인 등받이 부분 및 팔걸이 부분, 머리받이 부분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이중 구조를 형성시키고 상기의 가압
탄성구조체 등을 부착하여 양 구조물 사이에 깨끗하고 위생적인 쿠션과 탄성력이 발생하게 하여 기존 의자 등이 단일 구조로 형성되어 다량의 표면 및 탄성 소재 등을 사용함으로 인하여 야기되는 여러가지 문제점인 비경제적, 비친환경적, 비효율적 등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해소할 수 있게 하였다.
아울러 의자의 좌판부의 좌판이 딱딱한 재질의 소재로 형성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 시 둔부의 뼈가 의자의 좌판부 좌판 상면과 마찰이나 상충되고 장시간 착석 시에는 둔부의 혈액순환이 되지 않고 공기 소통도 되지 않아 둔부에 통증과 경직성이 발생하고 하절기에는 땀 등의 분비물이 발생되어 사용자가 의자 등을 사용함에 있어 비효용적이고 비위생적인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의자 등의 좌판부 좌판을 본 출원인이 기히 발명 출원한 조립식의자의 내용 및 도면의 좌판과 같이 둔부 및 허벅지와 인체공학적 닮은 형상으로 함몰 및 홈을 내고 둔부뼈와 허벅지가 닿는 함몰된 지점과 의자 등의 좌판부 좌판 중심부위의 해당하는 위치에 돌출된 돌출부분의 상단부에 각 공기 소통구를 형성시켰으며
상기와 같이 형성된 의자의 좌판부 좌판 상면의 형상과 공기소통구에 맞추어 방석에도 인체공학적 형상을 형성시키고 공기소통구를 각 형성시키고 상기 방석의 상 하면에 크기가 위치에 따라 각각 다른 반원형의 돌기와 동 돌기들의 사이를 고인돌 형상으로 연결 고정시켜 동 형상들이 이격되지 않고 하절기에 시원한 착석감을 느끼게 하고 방석과 둔부 사이에 공기소통을 원활하게 하여 땀 등의 분비물 발생을 억제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의자 등의 좌판부 외에 등받이부, 팔걸이부, 머리받이부 등에도 다수 개의 공기 소통구를 각 형성시켜 의자 등의 등받이부 등과 접촉되는 신체 부위 사이에 공기 소통이 원할하게 하였으며 좀 더 많은 공기 소통을 위하여 상기 둔부뼈와 허벅지가 닿는 지점에 형성된 공기소통구 주변에 다수 개의 소형 공기 소통구를 더 형성시켜 하절기에 둔부의 위생 건강을 더욱 좋게 하였다.
아울러 상기의 의자 등에는 상기에서 명시한 기능 외에 사용자가 의자 사용시 등받이를 뒤로 젖히는 등 좀 더 편안한 휴식을 취하기 위한 기능이 더 필요하다.
상기와 같이 추가되는 기능은 의자의 좌판부를 착석 시 무릎 방향으로 상당부분 슬립 이동시키고 등받이부도 뒤로 젖혀짐과 동시에 좌판부를 따라서 함께 아랫방향으로 슬립 이동하게 하여 사용자가 편안히 뒤로 누워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후술하는 작동버튼을 해제시키면 상기 좌판부 등이 다시 원위치로 복원되는 기능을 말하며 상기 의자의 좌판부와 등받이부 등의 기능을 다양화시켰다.
본 발명에 의하여 의자 등의 구조와 형상이 새롭게 변형 및 개선되고 새로운 소재 등을 사용하므로서 나타나는 발명의 효과는 기존 의자 등에서 발생되어 온 비경제적, 비친환경적, 비위생적, 비효율적, 비효용성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을 극복하고 해소하는데 있다.
상기의 문제점이 발생되는 과정 등에 대해서 살펴보면 기존의자의 구조와 형식에 의하여 사무실용 의자와 쇼파 등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의자 등의 좌판부 등의 표면을 가죽이나 천으로 씌우고 고무스펀지 등 탄성 소재를 이면에 넣고 사이사이에 코일스프링을 부착하여 고정시켜 상기 좌판부 등의 표면에 쿠션이나 탄성력을 발생시켰으나 이 경우 표면 및 탄성 소재를 다량으로 사용하고 한 번 사용된 소재는 재활용도 되지 않아 자원낭비가 심하고 환경도 오염시켜 비경제적, 비친환경적인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의자 등은 필요 이상으로 크고 무거워 운반이나 보관상의 어려움이 있어 비효율적인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하절기 사용 시에는 상기의 의자 등의 좌판부 등에 접촉되는 신체부위에 땀 등의 분비물이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느끼게 하고 사용자의 둔부 등에 습진 등 피부병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비위생적인 문제도 발생하였다.
아울러 의자의 좌판부가 딱딱한 재질의 소재로 형성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둔부뼈가 의자의 좌판부 상면과 마찰이나 상충되어 통증을 유발하고 의자에 장시간 착석 시 둔부에 혈액순환이 되지 않아 둔부의 경직성을 유발하여 의자의 비효용성 등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위와 같이 기존의 제조 방식으로 제조된 의자 등은 사용자가 사용 시에 겪게되는 불편함과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발생하고 한 번 사용하면 재활용이 되지 않는 다량의 표면 및 탄성 소재를 사용함으로 인하여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지금까지의 사무실용 의자와 쇼파 등의 좌판부, 등받이부, 팔걸이부, 머리받이부 등이 단일 구조로 형성되고 의자 등의 표면에 가죽이나 천 등을 씌우고 이면에 다량의 고무스펀지 등의 탄성소재를 넣어 의자 등의 쿠션이나 탄성력 등을 발생하고 유지시키는 구조와 형식과는 다르게 의자 등의 좌판부와 등받이부 등을 이중 구조로 형성시키고 양 구조물 사이에 본 출원인이 기히 발명 출원한 내용 및 도면과 같은 가압탄성구조체 등을 부착하므로서 사용자가 의자 등에 착석 시 양 구조물 사이에 깨끗하고 위생적인 쿠션과 탄성력 등을 발생시키고 유지될 수 있게 하였다.
상기와 같이 양 구조물 사이에 가압탄성구조체 등을 부착하므로서 지금까지 사용되어 온 표면 및 탄성 소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탄성력 등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기존 의자 등의 제조 시 상기의 소재 등을 다량으로 사용함으로서 야기되는 환경 오염 등 여러가지의 문제점 등을 해소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의자 등의 좌판부 좌판이 딱딱한 재질의 소재로 형성된 경우에 사용자의 둔부와 마찰이나 상충되는 등 지금까지 발생되어 온 비효용성 등의 문제점 등을 극복하고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기히 발명 출원한 “조립식의자”의 내용 및 도면과 같이 의자 등의 좌판부 좌판 상면을 둔부 및 허벅지와 닮은 형상으로 함몰 및 홈을 내고 사용자의 둔부의 뼈와 허벅지가 닿는 함몰된 지점과 의자 등의 좌판부 좌판 중심부에 돌출된 부분의 상단부 지점에 공기소통구를 각 형성시켜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 시 둔부 등과 의자 등의 좌판부 좌판 상면과 마찰이나 상충됨을 완화시키고 접촉되는 상기의 신체부위와 의자 등의 좌판부 등과의 사이에 공기소통을 원활히 하게 하여 땀 등의 분비물 발생을 억제시키므로서 본 발명에 의하여 기존의자 등에서 발생되어 온 비경제적, 비친환경적, 비위생적, 비효율적, 비효용성 등의 문제를 해소하고 극복하여 사용의 편리함과 환경오염을 예방하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자가 사용 중인 의자의 좌판부를 아랫방향으로 약 20~25센티 정도 이동시키고 의자의 등받이부도 상기의 좌판부와 함께 아랫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뒤로 젖혀지게 하여 사용자가 의자의 사용 중 다리를 뻗고 허리와 등 부위를 뒤로 젖혀 누울 수 있게 하며 부착된 후술하는 제동버튼의 해제에 의하여 상기의 좌판부와 등받이부를 원위치로 복원되는 기능이 더 추가됨으로서 사용자가 편안히 의자에 누워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발생할 수 있게 하였으며 방석의 경우에는 지금까지의 의자와 기타 용처로 사용되는 방석은 천이나 비닐 등의 표면재를 사용하고 내부에는 솜 등의 소재를 넣어 둔부에 탄성력을 제공하고 보온을 유지하는 차원에서 사용되었으며 하절기에 사용되는 방석의 경우에는 대나무나 밀짚 등으로 제조하여 땀 등의 분비물 발생을 억제하여 왔으나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므로 방석의 구조 및 소재와 형상에 대해서도 좀더 적극적인 실용성으로 접근하여 인체와 친화적으로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시키고 방석 자체에 공기소통구와 충격흡수 등을 위한 다양한 형성체를 갖추기 위하여 탄성력과 경도가 유지되는 천연고무와 합성수지 등을 배합 합성시켜 변형성을 용이하게 하여 상기 의자의 좌판부 좌판과 같이 인체공학적 요입홈을 형성시키고 둔부뼈와 허벅지가 닿는 지점에도 공기소통구를 각 형성시키고 방석에 상.하면의 교차하는 각 위치에 크기가 다른 반원형의 돌기와 동 돌기들의 사이를 고인돌 형상으로 각 연결 고정시켜 상기 반원형의 돌기 등 사이로 공기소통이 되게 하고 자동차 시트위에 올려 사용할 경우에는 자동차 내부에 장착된 냉.온풍 에어컨을 이용하여 상기 방석의 내부에 직
접 찬공기와 더운 공기를 유입시켜 하절기와 동한기에 둔부에 적절한 온도가 유지되게 하여 둔부의 건강을 개선시키는 발명의 효과를 발생할 수 있게 하였다.
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완성품 측면 도면
도면 2는 의자 좌판부의 좌판과 좌판 플레이트 간의 상 하 연결 안전굽과 용수철 및 가압탄성중간연결구조체 등이 상 하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 3은 의자 좌판부의 좌판 플레이트에 양측면에 슬립바가 부착되고 동 슬립바에 가압탄성돌기가 부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 4는 의자 좌판부의 좌판 플레이트와 좌판 사이에 부착되는 가스스프링장치가 좌판 플레이트위에 부착된 형태의 도면
도면 5 는 상기 가스스프링장치의 가스압축바 상단에 연결부착되어 좌판 하면에 연결 고정시키는 가스압축바중간연결구조체의 연결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 6은 의자 좌판부의 좌판 상면에 둔부의 형상으로 함몰되어 양 둔부의 뼈가 닿는 지점과 좌판 가운데 돌출되는 지점 상단부에 각 구명이 형성된 평면 및 측면 도면
도면 7은 의자 좌판부의 좌판 가운데 둘출되는 지점의 등받이쪽으로 경사진 중간지점에 1개의 구멍을 형성시키고 돌출된 지점의 여백에 5개의 소형 구멍이 형성된 평면과 측면 도면.
도면 8은 의자 좌판부의 좌판 상면에 접촉되는 양쪽 허벅지부분 가운데 지점을 낮은 돌출선으로 가르는 경계선 및 양쪽 둔부와 허벅지를 구분하는 경계선과 양쪽 둔부뼈가 닿는 부분을 가운데서 낮은 돌출선으로 가르는 경계선이 각 형성된 도면.
도면 9는 상기 도면 8의 좌판 상면에 착석 시 양쪽 허벅지가 닿는 지점에 3개의 구멍이 각 형성된 평면과 측면 도면.
도면 10은 의자 좌판부 좌판 가운데 돌출된 부분의 상단지점이 아닌 그 아래 경사진 중간지점 4방향에 4개의 구멍이 지면을 향하여 휘어져 관통된 형태로 형성된 도면
도면 11은 좌판부 좌판 상면 가운데 돌출된 부분 상단부에 1개의 구멍이 형성되고 동 구멍의 주변에 6개의 소형 구멍이 형성된 경우 외에, 양측 둔부뼈가 닿는 지점에 각 1개씩 형성된 구멍 주변을 둥글게 에워싸는 7개의 소형 구멍이 형성되고 양쪽 허벅지가 닿는 지점에 형성된 각 3개의 구멍의 안쪽부분에는 5개의 소형 구멍이, 바깥쪽에는 6개의 소형 구멍이 각 종으로 형성되며 좌판 위에 착석 시 양쪽 둔부와 허벅지가 구분되는 경계선에 5개의 소형 구멍이 양측 경계선을 따라 각 형성되고 등받이쪽 좌판가장자리를 둥글게 돌아가면서 11개의 구멍이 형성된 좌판의 총체 도면.
도면 12는 좌판부 좌판 하면 앞 뒤부분에 각 2개의 보온 용 방석 고정끈 걸이대와 동 걸이대의 측면 도면.
도면 13은 상기 좌판부 좌판 하면 앞 뒤부분에 형성된 고정끈 걸이대에 보온 용 방석의 고정끝이 고정된 모습의 도면.
도면 14는 좌판부 좌판 상면 가운데에 종 방향으로 길쭉한 형태의 장공이 형성된 모습의 도면.
도면 15는 상기 좌판 상면 가운데에 종 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에 맞추어 보온용으로 올려 사용되는 방석의 도면.
도면 16은 좌판부 좌판 상면 중심부위에 지름 20~25센티미터 크기의 중심 홀이 형성된 도면.
도면 17은 상기 도면 16의 좌판에 형성된 지름 20~25센티미터 크기의 중심 홀에 맞추어 보온 용으로 좌판위에 올려 사용되는 방석의 도면.
도면 18은 좌판부 좌판 플레이트의 양측에 부착된 슬립바를 받아들이고 이동시키는 로드를 제공하는 좌판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이 양측에서 상기 슬립바를 받아들이는 형태의 분해 도면.(로드바의 로드와 슬립바가 무릎 방향으로 경사각도이루고 있으며 로드바 후레임 안쪽에는 회전 롤러가 부착되어 있다)
도면 19는 팔걸이부의 팔걸이 플레이트와 팔걸이의 분해 도면으로서 팔걸이 플레이트 상면부에는 5개의 가압탄성중간연결구조체가 상면부 돌출부분에 부착되어 있고 팔걸이는 이를 받아들이기 위하여 이면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가압탄성중간연결구조체를 연결 고정시킬 수 있게 형성된 모습의 도면
도면 20, 도면 21는 양측 좌판플레이트에 부착된 슬립바가 동 좌판 플레이트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을 쉽게 하기 위하여 무릎 방향으로 기우는 경사각도가 형성된 상태의 도면.
도면 22,도면 23은 양쪽에 작동레버가 부착된 가위형태의 가압탄성돌기해제장치와 동 장치가 부착된 좌판 플레이트 슬립바와 좌판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의 분해 도면.
도면 24 좌판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 양쪽 및 내측에 가압탄성돌기 작동레버와 탄성부재인 용수철이 각 부착 및 내장된 채 좌판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과 좌판 플레이트 슬립바와 결합된 상태의 도면.
도면 25는 양쪽 좌판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 앞 뒤 하면부에 각 1개의 가로 연결 후레임이 각 부착된 상태의 도면.
도면 26은 앙쪽 등받이지지 외곽 후레임 도면으로서 동 후레임 중심 부분의 가로연결 후레임은 반원형의 공간으로 형성되고 양 끝단은 원통형의 공간으로 형성되어 그 위에 안착되는 원통형의 등받이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의 가로연결후레임을 받아 들여 서로 암수형태로 접속 연결이 가능하게 함.
도면 27은 상기 도면 26의 등받이지지 외곽 후레임의 측면 도면.
도면 28은 양쪽 등받이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의 평면과 측면 도면(양쪽 등받이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의 중간 부분에 가로연결 후레임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 29는 상기 등받이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의 가로연결 후레임이 등받이지지 외곽 후레임의 가로연결 후레임에 암수형태로 안착되어 있는 상태의 도면.
도면 30은 상기 등받이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이 등받이지지 외곽 후레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등받이지지 외곽 후레임이 뒷다리 부분까지 연장되어 바퀴달린 다리가 양쪽에 형성되었고 상기 등받이지지 외곽 후레임의 하단부를 가로로 연결하는 가로연결 후레임의 중간 부분에 뒷다리 형태의 중간 보조바퀴가 형성된 상태와 상부다리와 하부다리의 연장 축소를 위한 가압탄성돌기해제 장치 및 작동레버와 작동레버 이동하기 위한 이동 홈의 도면
도면 31은 상기 등받이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은 동 후레임의 중심 부분에 링크 형식으로 연결된 로드바와 구분되는 바 상기 등받이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의 중심 부분에 링크에 의하여 연결된 로드바가 뒤쪽 방향으로 기우러져있는 상태의 도면.
도면 32는 상기 등받이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과 동 후레임에 링크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로드바의 측면 도면.
도면 33은 6등분된 등받이가 부착되기전 등받이 플레이트의 양쪽에 슬립바가 부착되고 상기 등받이와 등받이 플레이트 사이에 접속 연결될 용수철 및 가압탄성중간연결구조체 등의 도면.
도면 34는 상기 6등분된 등받이와 머리받이부를 부착한 등받이 플레이트 슬립바를 상기 등받이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에 안착시킨 상태의 도면(등받이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의 중심부에 링크로 연결된 로드바 상단부 내측에 탄성부재인 용수철이 부착되어 있다)
도면 35는 머리받이 플레이트에 가압탄성중간연결구조체를 부착시킨 채 머리받이가 분리된 형태의 도면
도면 36은 머리받이 플레이트에 머리받이를 부착시킨 상태의 도면.
도면 37은 머리받이 플레이트와 머리받이의 측면도면.
도면 38은 머리받이부의 단면도.
도면 39는 6등분된 등받이와 머리받이부를 부착한 등받이 플레이트 슬립바를 등받이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등받이지지 외곽 후레임에 안착시킨 형태의 도면.
도면 40은 가압탄성구조체의 조립과정 및 4각형으로 형성된 평면 도면.
도면 41은 상기 가압탄성구조체에 중간연결구조체를 결합과정 도면.
도면 42와 43은 6등분된 등받이와 등받이 전체를 씌우는 보온 용 커버의 형태의 도면.
도면 44는 방석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고리형의 고정끈과 양측면에 원터치 버튼이 부착된 고정끈이 각 부착되고 방석의 가운데 부분과 둔부뼈가 닿는 부분에 공기소통구가 형성된 보온 용 방석의 도면.
도면 45는 상기 도면에서 허벅지가 닿는 부분에 3개의 공기소통구가 더 형성된 보온 용 방석의 도면.
도면 46은 이격이나 이탈 방지를 위한 가압탄성중간연결구조체를 고정시키는 고정보조체의 도면.
도면 47은 천연고무와 합성수지 등으로 배합된 방석의 상.하면에 반원형 형태의 돌기를 형성시키고 동 돌기의 사이를 고인돌 형상으로 연결 부착하여 방석의 상 하표면을 상기의 반원형의 돌기와 고인돌 형상에 크기의 차이를 주어 둔부의 형상으로 함몰 및 요입부가 형성되고 공기소통구를 각 형성시킨 상태의 도면.
도면 48은 의자와 자동차 시트 용이 아닌 바닥에 놓고 사용하는 방석은 부드러운 솜이나 천을 사용하는 경우 외에 하절기 용으로 사용되는 천연고무와 합성수지 등을 배합한 재질을 사용하여 보온 용 방석의 둔부 형상 외에 양 발과 발목 및 종아리 부분도 방석의 상면에 접촉되므로 동 부분에 대해서도 인체공학적 요홈을 형성시킨 상태의 도면.
도면 49는 하절기에 사용되는 방석은 땀 등의 분비물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보온보다도 공기소통을 원할히 할 필요가 있으므로 천연고무와 합성수지 등을 배합한 재질을 사용한 방석이 사용 시 찌그러지지 않고 협착되지 않으며 또한 착석 시 시원함과 쾌적함을 느낄 수 있도록 방석의 상 하면에 반원형 형태의 돌기와 동 돌기 사이에 고인돌 형상으로 연결시킨 상기의 반원형 형태의 돌기 등을 방석의 상 하면의 교차하는 지점에 부착할 필요가 있어 빗살친 형상의 반원형 형태의 돌기를 방석의 하면에 부착시키고 빗살치지 않은 형태의 반원형 돌기는 방석의 상면에 부착시킨 상태의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사무실용 의자 및 쇼파 장애인 전동카 시트, 자동차 시트 등의 각 부분별 구조에 해당하는 좌판부, 등받이부, 팔걸이부, 머리받이부 등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종 의자 등의 좌판부 등은 기존 의자와는 다르게 이중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이중 구조는 상단부와 하단부로 형성되는데 하단부 구조는 기존의 의자 등의 좌판부에 해당하며 도2. 11과 같이 플레이트의 형식의 구조로 변형되어 그 위에 별도로 제작된 도2. 12와 같은 좌판을 올려 상기 좌판의 하중을 지탱하면서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기본 플레이트를 말하며 이하 “좌판 플레이트” 라 칭한다.
또한 상단부는 그 위에 별도로 제작되어 부착되므로서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의자를 사용 시에 둔부에 접촉되는 의자의 안착부 역할을 수행하는 좌판을 말한다.
상기와 같이 의자의 좌판 플레이트와 좌판을 포함하는 좌판부는 서로간에 간격을 두는 이중으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평준의 의자 좌판부보다 위치가 다소 높아질 수 있으므로 좌판 플레이트가 형성되는 높이는 위에 올려 부착되는 좌판 등의 두께만큼 낮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이중 구조 사이에는 후에 명시한 도40. 40 도41.41.41a.41b.와 같이 형성된 다수 개의 가압탄성중간연결구조체 등을 부착하여 상기의 의자 등의 좌판부 등에 쿠션과 탄성력이 발생되고 지속적으로 유지되게 한다.
이때 좌판 상면에 둔부뼈가 닿는 지점 (도2. 2a )과 좌판 중심부위에 돌출된 부분의 상단 지점 (도2. 2b)에 공기 소통구가 각 형성됨으로 인하여 동지점에는 상기와 같은 가압탄성중간연결구조체를 부착할 수 없으므로 양 구조물 사이에 도2 .2c.2d 와 같이 코일스프링을 각 부착하여 탄성력이 유지되게한다.
상기 코일스프링은 상기의 공기 소통구의 지름의 크기 보다 더 지름이 큰 코일스프링을 각 고정,부착하여 의자의 좌판이 전.후, 좌.우로 이동 하였을 경우에도 양 구조물 사이에 부착된 가압탄성중간연결구조체 등이 이격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상기의 좌판부 좌판이 다시 원위치로 환원 및 복구되어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상기의 등받이부의 경우도 상기의 좌판부와 마찬가지로 이중 구조로 형성되며 도33. 33.과 같이 등받이의 하중을 지탱하면서 고정시키고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기본 플레이트(이하 “등받이 플레이트”라 칭한다)와 상기의 등받이 플레이트 위에 올려 부착되는 등받이로 형성된다.
상기의 등받이 플레이트 위에 올려 부착되는 등받이는 도34. 34b 와 같이 좌.우를 3단계로 구분하여 6등분으로 나뉘어지고 6등분된 등받이의 각 중심부에는 공기 소통구가 각 형성되고 상기 공기 소통구 주변에는 도34. 34c 와 같이 4개의 소형 공기 소통구가 더 형성된다.
상기의 6등분 된 등받이에는 4개의 가압탄성중간연결구조체가 도33. 33c.와 같이 사각형을 이루는 지점에 각 부착되며,
상기와 같이 6등분된 등받이의 중심에 형성된 공기 소통구 부분에는 상기와 같은 가압탄성중간연결구조체를 부착할 수 없으므로 등받이 플레이트와 등받이의 사이에는 도 33. 33b.와 같이 상기 공기 소통구의 지름보다 더 큰 지름의 코일스프링을 부착하여 상기의 등받이가 좌.우로 이동하였을 경우에도 양 구조물 사이에 부착된 가압탄성중간연결구조체가 이격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상기의 등받이가 원위치로 환원 및 복원 되어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쿠션과 탄성력을 유지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의 팔걸이부도 상기의 좌판부 및 등받이부와 마찬가지로 도19.19와 같이 이중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팔걸이부 위에 팔걸이를 올려 부착하고 상기 팔걸이를 위에 올려 지탱하면서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도19,19a와 같은 기본 플레이트(이하 “팔걸이 플레이트”라 한다)와 상기의 팔걸이플레이트 위에 올려 부착되는 도 19,19d 와 같은 팔걸이로 형성된다.
상기의 팔걸이는 상기의 팔걸이 플레이트 위에 올려 3면을 감싼 형태로 부착됨으로 인하여 상기의 팔걸이 플레이트의 상단부를 도19. 19b 와 같이 돌출시킨다.
상기의 팔걸이 하부면에는 도19. 19g.와 같이 상기의 팔걸이 플레이트의 상단부에 돌출된 부분이 충분히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시킨다.
상기 팔걸이 플레이트의 돌출된 부분 상면에 도19. 19e.와 같이 가압탄성중간연결구조체 하단부 일부분이 삽입,고정될 수 있는 홈을 4~5개를 형성시켜 상기 홈에 도 19.19c 와 같이 가압탄성중간연결구조체의 하단부를 삽입, 고정시키고 도 19.19h 와 같은 형상의 상기 가압탄성중간연결구조체의 상단부를 상기의 도19. 19f 와 같이 팔걸이 하부면에 형성된 홈에 연결, 고정 시키므로서 도 19.19c 와 같이 팔걸이부의 하부면에 형성된 홈과 상기 팔걸이 플레이트의 상단부에 형성된 돌출 부분이 서로 간에 맞물린 요철의 형상으로 교합,결합되고 그 사이에 상기와 같이 가압탄성중간연결구조체가 연결되므로서 상기 팔걸이가 상기 팔걸이 플레이트에서 이탈되거나 이격되지 않고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상.하 방향으로의 탄성력이 유지되게 한다.
한편 상기의 좌판 플레이트 위에는 도2. 2e.와 같이 8방향으로 다수 개의 가압탄성중간연결구조체를 부착하고 상기의 가압탄성중간연결구조체의 상단부를 좌판 이면에 고정 부착하여 상기의 이중 구조 사이에 탄성력이 유지되게 한다.
또한 상기의 좌판을 위에 올려 하중을 지탱하면서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좌판 플레이트와 그 위에 올려지는 좌판의 가장자리의 8방향에는 도2. 2f. 2g.와 같이 좌판플레이트 상면과 좌판의 하면에 서로간에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 안전굽을 각 설치한다.
상기의 안전굽은 사용자가 의자 등의 사용 시 사용자의 체중 등의 하중이 상기 좌판 플레이트 위에 올려 부착된 좌판의 한 쪽으로 치우쳐 부하 되었을 때 반대 부분이 들떠 상기와 같이 양 구조물 사이에 부착된 가압탄성중간연결구조체 등이 이격되고 상기 좌판이 원 위치로 환원 및 복구가 되지 않음이 예상되는데 상기와 같이 안전굽을 각 형성 시키므로서 상기의 좌판이 한쪽으로 허용 정도를 초과하는 기울어짐이나 치우침을 예방하고 상기 좌판이 한쪽 방향으로 기운 후에 원위치로 복구되게 한다.
상기의 안전굽은 상.하 서로간에 원통형의 요철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의 좌판 플레이트 상면에 부착된 안전굽은 그 자체는 돌출되어 형성되었으나 내부가 원통형의 공간으로 형성되어 상기의 공간으로 상기의 좌판의 이면부에 형성된 원통형의 돌출된 형상의 안전굽을 받아들여 상기의 좌판 플레이트 위에 부착 설치된 상기의 좌판이 상기의 좌판 플레이트에서 이격되거나 이탈되지 않게 한다.
이때 상기의 좌판 플레이트 위에 부착된 안전굽 내부에는 탄성부재인 코일스프링을 부착하여 상기의 좌판 이면에 부착된 돌출형 안전굽을 받아들여 좌판에 부하되는 체중을 흡수하고 탄성력이 발생되게 하며 상기와 같은 상 하 안전굽에 의하여 상기의 좌판은 좌판 플레이트에서 상.하로 이동 시에 한쪽으로 지나치게 기울지 않고 이탈이나 이격되지 않으며 원위치로 복원됨을 반복하여 사용자가 좌판에 착석 할 경우에 상.하로의 탄성력이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발생되게 한다.
상기의 안전굽 대신에 도4. 4a 와 같은 소형 가스스프링 장치를 같은 위치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의 가스스프링 장치는 상기 안전굽보다 상대적으로 크고 무거워 상기 가스스프링 장치를 좌판 플레이트 상면에 부착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부재 (도4. 4b)를 설치하여 고정시키고 상기의 가스스프링 장치의 가스압축바 끝단을 좌판 하면 대응하는 위치에 각 연결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의 가스압축바를 좌판 하면에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가스압축바 끝단에 별도의 연결부재(도5. 5a)를 부착할 수 있다.
상기 가스스프링 장치를 8방향에 연결 고정시킨 좌판이 좌판에 부하된 무게를 충분히 감내할 수 있는 경우에는 경우에 따라서 상기의 가압탄성중간연결구조체 등의 부착을 생략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8방향에 부착된 가스스프링 장치를 6방향으로 축소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의 가압탄성중간연결구조체는 본 출원인이 발명 출원한 다목적솔라파워안전보행기의 내용과 같은 가압탄성구조체에 중간에서 연결 역할을 하는 도41 41a.와 같은 중간연결구조체를 도41.41b와 같이 상기의 가압탄성구조체의 상단부에 연결시켜 합성된 구조체를 말한다.
상기의 중간연결구조체가 상기의 가압탄성구조체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합성되는 과정은 먼저 상기의 가압탄성구조체의 상단부에 도41 41d와 같이 홈을 내어 조임쇠 틀을 만들고 상기 중간연결 구조체 하단부 가운데 중심부분을 도41. 41f.와 같이 돌출 된 형상의 볼트를 만들어 상기의 볼트를 가압탄성구조체의 상단부에 형성된 조임쇠틀에 넣고서 조여 연결시키므로서 완성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완성된 가압탄성중간연결구조체의 상단부에는 도41. 41g.와 같이 4개의 막대를 돌출 형성되어 상기의 돌출 막대가 상기의 좌판의 이면부에 삽입,고정되며 가압탄성중간연결구조체의 하단부에는 도41. 41c.와 같이 2~3개의 볼트를 형성시켜 만들고 도41.41e.와 같이 2~3개의 나사에 의하여 조일 수 있게 하여 상기의 가압탄성중간연결구조체를 좌판 플레이트 위에 고정, 연결시킬 수 있게 하여 상기의 좌판 플레이트와 좌판 사이에서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탄성력을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의 좌판 플레이트에는 상기의 볼트가 삽입되고 나사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홀이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의 좌판 플레이트 등 기타 플레이트는 공기 소통을 원활히 하게 하고 의자 등의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가압탄성중간연결구조체를 부착되는 부분 등과 8방향의 후레임 설치 부분 외에는 공간으로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한편 딱딱한 재질의 소재로 형성된 상기의 의자 등의 좌판부는 본 출원인이 발명 출원한 “조립식의자” 내용 및 도면 과같이 본 발명의 의자 좌판에도 도 9와 같이 상기 좌판에 사용자가 착석 시 둔부 및 허벅지가 닿는 부분을 인체공학적 닮은 형상으로 함몰 및 홈을 내고 둔부뼈와 허벅지가 닿는 지점과 좌판중심부에서 돌출된 부분의 상단부 꼭지 지점에 각 공기 소통구를 형성시켜 둔부뼈와 좌판 사이에 마찰이나 상충을 완화하고 공기 소통을 원할히 하여 하절기에 땀 등의 분비물 발생을 억제하고 둔부의 혈액 순환을좋게 한다.
아울러 좀 더 많은 공기소통을 위하여 본 발명의 의자 등의 좌판 상면에는 상기와 같이 본 출원인이 발명 출원한 조립식 의자의 좌판부 상면 둔부뼈가 닿는 함몰 된 지점에 형성된 2개의 공기소통구 외에 동 공기소통구 주변을 도 11. 11d 와 같이 각 7개의 소형 공기 소통구들이 둥글게 띠를 이루어 형성시키고 상기 좌판의 후반 여 부분에도 도 11.11e 와 같이 좌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11개의 공기소통구를 형성시키며 의자의 좌판 가운데에 돌출된 부분의 상단부 지점에 형성된 공기 소통구 주변에도 도 6.6a.와 같이 6개의 소형 공기 소통구들이 연이어 띠를 이루어 형성되게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 출원인이 발명 출원한 “조립식의자”의 좌판부 좌판과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도 좌판부 좌판 가운데 부분에서 돌출된 부분의 상단부 꼭지 지점에 공기소통구가 형성되며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 시 둔부와 좌판 사이에 좀더 원할한 공기소통을 위하여 도 7.7a.와 같이 상단부 꼭지지점이 아닌 등받이 방향으로 그 아래 경사진 중간 지점에 공기 소통구가 형성되는 별도의 경우가 있다.
상기와 같이 공기소통구가 등받이 ?향으로 경사진 중간지점에 형성될 경유에는 돌출부분의 경사각도는 다른 경우 보다 좌판 가운데에 돌출 된 부분의 경사 각도를 더 가파르게 하여 구멍을 형성시키기 용이하게 하고 사용자가 착석 시 둔부사이에 좀더 많은 공간을 형성시켜 원활한 공기 소통을 유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좌판 가운데 둘출된 부분의 경사진 중간지점에 형성된 공기소통구를 등받이 방향에 형성된 경우외에 도 10. 10a. 와 같이 4방향에 더 형성시켜 착석시 둔부와 좌판사이에 공기소통을 더욱 원할히 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돌출 부분의 상단부 꼭지 지점이 아닌 그 아래 등받이 방향의 경사진 중간 지점에 1개의 공기 소통구가 형성된 경우에는 도 7.7b. 와 같이 돌출 부분의 여백에 5개의 소형 공기 소통구가 형성된다.
또한 본 출원인이 발명 출원한 “조립식의자” 내용의 좌판부에서 의자에 착석 시 항문 부위에 해당하는 위치에 돌출된 부위를 남성의 경우 낭심부위에 해당하는 좌판 가운데 방향으로 이동시켜 공기소통구를 형성시킴으로서 상기의 부분이 공기중에 노출되게 하여 하절기에 동 부분에서 발생되는 땀 등의 분비물 발생을 억제시킨다.
상기와 같이 둔부가 좌판에 닿는 지점 외에 허벅지가 닿는 양측 지점에도 좀더 원할한 공기소통을 위하여 도 9.9a.와 같이 3개의 공기소통구를 허벅지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공기 소통구 안쪽과 바깥쪽에도 같은 방향으로 도 11. 11a.11b.와 같이 소형 공기 소통구를 5 개와 6 개가 각 형성 되며 일반적으로 사람이 의자에 착석 시 인체공학적으로 의자 좌판에 접촉되는 신체부위는 둔부와 허벅지 상단부 인 바 양 부분은 도 8.8c 와 같이 낮은 경계선을 이루며 구분되므로 상기 경계선에 해당하는 부분 위에 도 11. 11c.와 같이 동 경계선을 따라서 5개의 소형 공기소통구를 형성시켜 동 부분에서 발생되는 땀 등의 분비물
발생을 억제시킨다.
상기의 좌판 플레이트와 그 위에 올려 사용하는 좌판이 자동차시트용에 사용될 경우에는 상기의 좌판 플레이트와 좌판 사이에 공기 주입구를 부착하고 자동차 실내에 장착된 냉온방 에어컨에 실내 공기 출구를 별도로 제작하여 상기 좌판 공기주입구와 상기의 에어컨 공기 출구 사이를 공기튜브로 연결하여 상기의 좌판부 내부에 찬공기를 유입시켜 하절기에는 냉방를 작동시켜 냉풍을 유입시키고 동한기에는 온방를 작동하여 온풍을 유입시켜 하절기와 동절기를 각 구분하여 자동차 시트용으로 사용되는 좌판의 온도를 조절 사용할 수 있게한다.
상기와 같이 자동차 시트용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팔걸이부를 형성시키지 않으므로 다른 의자와는 달리 상기의 좌판 플레이트 슬립바와 좌판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을 상기 좌판 플레이트 측면 가장자리에 형성시키지 않고 좌판 플레이트 하면부에 슬립바를 형성시키고 상기의 슬립바를 감싸고 이동 로드를 제공하는 상기의 좌판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도 그 밑,자동차 바닥에 형성 고정시키며 상기와 같이 자동차 시트로 사용할 경우에는 자체 전원 공급이 가능하므로 상기의 좌판 플레이트 슬립바의 이동을 위하여 가압탄성돌기와 가압탄성돌기 작동 장치 등을 사용하지 않고 자동차내 젼원에 의하여 전기모터를 가동하여 상기의 좌판 플레이트 슬립바를 이동시키며 상기의 등받이부도 전기모터를 사용하여 뒤로 젖혀짐과 원위치 복원을 반복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등받이 플레이트 슬립바와 등받이 플레이
트 로드바 후레임을 형성시키지 않고 등받이 플레이트와 6등분된 등받이만을 형성시킨다.
본 출원인이 발명 출원한 “조립식의자” 내용 및 도면과 같이 동한기나 노약자 등이 의자 사용 시 체온 보호를 위한 방석과 방석끈 등은 본 발명에도 적용된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 보온 방석의 경우에는 도12. 12a.와 같이 좌판부 좌판 하면 앞 뒤부분에 각 2개의 보온방석 고정끈 걸이대를 형성시켜 도44. 44a. 와 같은 고리형 보온방석 고정끈을 상기 걸이대에 걸어 고정시켜 상기 4개의 다리에 고정끈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것 외에 추가로 좌판의 앞 뒤에서 방석을 고정시키므로 사용 시 방석이 이동하지 않게 하였으며 상기에서 4개의 다리에 고정시키는 고정끈은 끄나풀 형태가 아닌 도44. 44b.와 같이 원터치 버튼을 부착하여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게 하였다. 이 경우 상기의 고정끈과 원터치형 버튼을 부착한 고정끈은 신축성이 유지될 수 있는 탄력밴드로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여 의자 등의 좌판부와 등받이부에 기존 의자에 사용된 스펀지 등 탄성소재를 사용하지 않고 탄성부재가 내장된 가압탄성구조체와 가스스프링장치를 부착하여 새로운 개념의 쿠션 등 탄성력을 발생시키며 상기의 등받이를 6등분으로 나누어 분할된 1개의 등받이에는 도34,34b와 같이 공기소통구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의자의 보온성이 취약하게 되므로 동한기에 노약자 등이 사용 시 체온 보호를 위하여 별도의 등받이 용 보온커버가 필요하므로 이 경우 도 42. 42a. 도 43. 43a 와 같이 별도로 제작된 보온커버를 등받이에 씌워 체온을 보호할 수 있으며 상기의 보온방석의 경우에도 도 44.44a. 도 45. 45a와 같이 둔부와 인체공학적으로 닮은 형상으로 요입부 및 공기소통구를 각 형성시키고 상기의 방석에 형성된 고리형 고정끈과 원터치형 버튼이 부착된 고정끈을 이용하여 상기 좌판위에 올려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 출원의 의자등의 좌판부 좌판에 형성된 공기소통구는 본 출원인이 기히 발명 출원한 조립식의자에서 명시된 바와 같이 항문부위의 둘출지점에 형성된 공기소통구를 좌판 가운데로 이동 형성시키고, 둔부뼈가 닿는 지점에 형성된 구멍 외에 허벅지가 닿는 지점에도 공기소통구가 형성되고 동 공기 소통구의 주변에도 소형 공기구멍이 형성되는 등 둔부와 허벅지가 좌판에 접촉되는 부위에 추가로 공기 소통구가 형성되는 점이 다르고 기히 발명 출원한 조립식의자의 도면에서는 좌판의 형상이 4각형임에 반하여 본 발명 출원의 경우에는 좌판부 좌판 형상이 둥근 형태의 형상이므로 그에 맞추어 방석의 형상도 둥근 형태로 형성시키고 공기 소통구도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의자 좌판부 좌판이 딱딱한 재질인 경우 사용자가 하절기에 좌판에 착석 시 남성의 경우 낭심과 항문 부위를 여성의 경우에도 같은 부위가 좌판의 중심부에 압박과 밀착됨으로 인하여 공기소통이 되지 않아 땀 등의 분비물이 발생되고 장시간 착석 시에는 상기 부분이 좌판 상면에 밀착 압박됨으로 인하여 혈액순환장애 등이 발생되므로 상기와 같은 불편함과 장애를 개선하기 위하여 도14. 14a.와 같이 상기 부위가 접촉되는 좌판 중심 부위를 길쭉한 형태의 장공을 형성시켜 상기 부위가 밀착이나 압박되지 않고 공기소통을 원할하게 하여 땀 등의 분비물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게 하였으며 그에 ?추어 방석의 형상도 도 15. 15a와 같이 형성시켜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또 다른 형태로서 도 16.16a.와 같이 상기 좌판 가운데에 형성된 장공이나 공기소통구와 양측 둔부뼈가 닿는 지점에 형성된 공기소통구 전부를 포함하는 지름 20~25센치미터 크기에 해당하는 큰 중심홀을 좌판 중심부위에 형성시켜 상기 남성의 경우 낭심과 항문부위를 상기 중심홀에 포함시키므로서 상기 부위가 상기 좌판 상면에 밀착과 압박되지 않고 공기 중에 노출되어 공기소통을 원할히 하여 상기와 같은 혈액순환장애와 하절기에 땀 등의 분비물 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게 하였다.
이 경우에도 동 형상에 맞추어 방석의 형상을 도 17.17a와 같이 형성시켰으며 이 경우 상기와 같이 좌판 중심 부위에 큰 홀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착석 시 불편함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도 16.16b.16c.와 같이 좌판을 둔부와 허벅지 형상데로 함몰시킨 후 함몰된 부위에서부터 상기의 중심홀에 이르는 중간지점을 수평에서 시작되어 완만한 경사구조로 연결되는 중간받침대가 둥글게 형성되어 동 받침대가 사용자의 둔부를 충분히 받쳐줌으로 인하여 착석 시 불편함을 느끼지 않게 한다.
상기의 장공이나 중심홀은 등받이쪽으로 약간의 경사각도를 유지시켜 형성하므로서 사용자가 착석 시 안정감과 편안함을 느끼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형태의 좌판에 맞추어 사용되는 방석은 장공과 중심에 형성된 중심홀에 맞추어 같은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외는 다른 보온 방석과 다름이
없으며 이 경우에 동한기나 노약자 등이 사용 시에 체온 보호가 최우선 시 될 경우에는 다른 보온 방석과 마찬가지로 방석의 표면에 요입부만을 형성시키고 공기소통구나 중심홀을 형성시키지 않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에서 명시된 바와 같이 의자와 자동차 및 전동차 시트 위에 올려 사용되는 방석외에 바닥에 놓고 사용되는 방석 등으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유형의 방석들을 사용 목적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첫 번째는 의자와 자동차 시트 등에 올려 사용되는 경우로서 체온보호를 최우선 시 하고 편안한 착석감을 차 후 목적으로 하는 방석과
두 번째는 방석의 내부에 공기소통을 원할히 하여 땀 등의 분비물 발생을 억제하고 편안한 착석감을 차 후 목적으로 하는 방석과
세 번째는 상기와 같이 의자와 자동차 및 전동차 시트에 올려 사용되는 용도외에 바닥에 놓고 앉는 용도로만 사용되는 방석으로 구분하며 상기 첫 번째 경우의 방석은 체온보호가 최우선 시 되므로 방석의 외피를 부드러운 면이나 비닐
등으로 씌우고 이면에 솜 등을 넣어 체온을 보호하고 또한 편안한 착석감을 추구하기 위하여 필요할 경우에는 의자 등의 좌판의 형상에 맞추어 방석의 표면에 인체공학적 요입형상과 공기 소통구를 형성시키며 상기 두 번째의 경우와 세 번째 경우의 방석은 첫 번째의 경우와는 달리 방석의 내부에 공기 소통을 원할히 함과 동시에 방석의 표면에 둔부의 인체공학적 형상도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방석 사용 시에 방석 자체가 흐트러지지 않고 셋팅 상태가 유지되고 탄성력도 유지되는 소재가 요구 되므로 방석의 재질을 천연고무와 합성수지 등을 배합하여 방석에 탄성력과 경도를 유지시켜 방석의 상 하 표면에 반원형 돌기를 상 하면의 교차지점에 도 49. 49a.와 같이 빗살친 부분은 방석의 하면에, 빗살치지 않은 부분은 상면에 각 부착 형성시키고 상기 반원형 돌기 사이를 상기 고인돌 형상으로 연결 고정 시켜 서로간에 이탈되지 않고 사용 중 찌그러지지 않게 하므로서 내부에 공기 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사용 시 일부 흐트러진 반원형 돌기 등도 부하되는 압력해제 시에는 즉시 원상태로 복원력이 유지되므로서 둔부와 허벅지 등이 접촉되는 방석의 표면을 인체공학적 형상으로 유지시킬 수가 있어 편안한 착석감과 둔부의 건강을 유지시킬 수가 있다.
상기 세 번째 경우의 방석은 상기와 같이 의자와 자동차 및 전동차 시트에 올려 사용되는 용도외에 바닥에 놓고 앉는 용도로만 사용되는 방석의 경우이며 상기 용도로 사용되는 방석은 도 48.48a.와 같이 사용자가 착석 시 둔부와 허벅지 외에 인체부위 인 발과 발목 및 종아리 부분도 방석 위에 올려지므로 상기의 의자 등에 올려 사용되는 용도의 방석의 크기보다 가로 세로 길이가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부분들 중 발과 발목 및 종아리 부분이 방석 표면에 접촉정도와 부하되는 정도를 면적에 맞추어 방석의 표면에 인체공학적 요입부를 형성시키며 상기의 첫 번째와 두 번째의 경우에 적용된 방석의 표면의 재질과 형상 등은 본 방석의 경우에도 모두 적용된다
상기 반원형 돌기와 고인돌 형상의 크기와 높이는 0.5~1.5센티미터 이내에서 형성되며 도 47.47a 와 같이 방석의 외곽부분에 최대치의 반원형 돌기 등이 형성되고 방석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된 공기 소통구에 접근할수록 반원형 돌기 등이 단계적으로 작게 형성시키며 방석의 상면에 형성된 반원형 돌기 등 보다 하면에 형성된 반원형 돌기 등의 경도를 더 크게 하고 탄성력은 더 작게 하여 사용자가 착석 시 방석의 하면에 형성된 반원형 돌기 등은 축소, 협착되지 않고 원형을 유지되게 하여 공기 소통을 더욱 원활하게 하고 상기 방석 상면에 형성된 반원형 돌기 등은 하면에 형성된 반원형 돌기 등 보다 부드럽고 탄력성이 유지되게 하여 사용자가 방석에 착석 시 부드러운 착석감을 느끼게 하며 방석의 상면 형상은 의자 좌판부의
좌판과 같이 인체공학적 형상으로 형성시킨다.
상기의 의자의 좌판부 좌판에는 허벅지가 닿는 지점에 3개의 공기 소통구를 형성시켰으므로 상기의 방석에 있어서도 허벅지가 닿는 같은지점에 3개의 공기 소통구를 형성시키고 도 47. 47a. 와 같이 허벅지가 닿는 중심 저점보다 허벅지 바깥쪽에 형성되는 반원형 돌기 등의 크기를 크게 하여 바깥쪽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는 반원형 돌기 등을 각 형성시켜 허벅지가 닿는 지점의 방석 형상이 허벅지 형상대로 함몰 형성됨으로서 사용자가 방석에 착석 시 편안한 착석감을 느끼게 한다.
상기 방석을 자동차 내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자동차 실내에 장착되어 실내온도를 조절하는 냉.온풍에어컨의 공기를 사용자가 앉는 방석 내부에 유입시켜 온도를 조절하며,상기 방석의 내부에 하절기에는 냉풍을 동한기에는 온풍을 주입시켜 사용자의 둔부와 허벅지 등의 주변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게 한다.
상기 방석의 내부에 냉온풍을 유입시키는 과정은 자동차 내부에 장착된 냉.온풍에어컨에 공기출구를 부착한 후 상기 방석의 내부에 형성된 공기주입구와 상기 냉.온풍에어컨의 공기 출구간에 공기튜브를 연결시 냉.온풍을 방석의 내부에 주입한다.
한편 상기 의자 등의 좌판부 좌판 상면에 형성된 공기 소통구들의 뚫리는 방향에 대해서는 의자 등의 좌판부 중심부에서 도 10.10a 와 같이 돌출된 부분이 경사진 중간 지점에 형성된 공기소통구 등 일부를 제외한 공기 소통구들은 지면을 향하여 수직으로 형성된다.
상기 의자 등의 좌판부 중심부에 돌출된 부분에서 경사진중간 지점에 형성된 공기 소통구의 중간 통로는 지면을 향한 수직 방향이 아닌 곡선으로 둥글게 휘어진 후 지면으로 향하여 뚫리게 되어 있는데 이는 돌출 된 부분의 상단부 꼭지 지점에 공기 소통구의 초입구가 형성되지 않고 그 아래 경사진 중간지점에 형성되고 출구는 지면을 향하여 뚫리게 되어 있어 그 중간지점인 통로는 불가피하게 곡선을 이루게 되었다.
다만 의자의 좌판부가 두꺼운 목재 등이 아닌 비교적 얇은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제작 될 경우에는 제작 기법 상 공기 소통구의 뚫리는 방향이 공기 소통구의 초입구와 출구가 같은 방향으로 뚫릴 수 있다.
아울러 의자 등의 좌판부에 사용자가 착석 시 인체의 둔부와 허벅지는 좌.우 동형이므로 의자 등의 좌판부와 접촉되는 양 둔부와 양 허벅지를 중심 부분에서 갈라지는 도 8. 8a.8b 와 같은 중심선이 생긴다.
상기의 중심선은 의자 등의 좌판부 중심부분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 부분의 앞.뒤 경사선과 자연스럽게 연결되면서 양 둔부와 양 허벅지를 가운데서 가르고 좌.우를 대칭으로 형성되는 경계선을 이루는데 상기 경계선은 낮은 돌출선으로 형성되어 인체의 둔부 등과 인체공학적으로 교합되어 사용자가 좌판부에 착석 시 편안함을 느끼게 한다.
상기의 머리받이부도 상기의 좌판부, 등받이부, 팔걸이부와 마찬가지로 이중 구조로 형성되며 도 35.35a 와 같이 머리받이를 위에 올려 부착하고 하중을 지탱하면서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기본 플레이트(이하 “머리받이 플레이트”라 칭한다)와 상기의 머리받이 플레이트 위에 부착되는 머리받이로 형성된다.
상기의 양 구조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내장된 다수 개의 상기의 가압탄성중간연결구조체들이 머리받이 테를 둥글게 돌아가면서 부착하여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상기의 머리받이부는 도 36.36a 와 같이 전체적으로 둥글게 형성되고 가운데 부분은 공간을 크게 형성시켜 의자의 무게를 줄이고 상기의 머리받이부와 접촉되는 머리 부위에 공기소통을 원할하게 하였으며 사용자의 목부위가 직접 접촉되는 상기의 머리받이부의 아랫부분에도 도 36.36b 와 같이 소형 공기 소통구를 다수 개 더 형성시켜 하절기에 땀 등의 분비물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게 한다.
다만 머리받이부에는 사용자가 머리를 기대어 사용하는 특성상 사용의 편안함과 안전함을 위하여 머리 부분이 직접 접촉되는 부분에는 가죽 등의 부드러운 소재로 표면을 씌우고 이면에 소량의 고무스펀지 등을 넣어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의 등받이부 및 팔걸이부, 머리받이부 등도 상기의 좌판부 와 마찬가지로 인체공학적 닮은 형상으로 형성시키고 의자 등에 접촉되는 사용자의 신체부분에 원할한 공기소통과 의자의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다수개의 대.소 공기 소통구를 더 형성시킨다.
한편 상기의 등받이부 및 머리받이부에 있어서 양 구조물사이에 부착되는 상기의 가압탄성중간연결구조체와 코일스프링은 연결 방향이 수평방향으로 부착됨으로 인하여 장시간 사용 시에 중력을 받아 지면을 향하여 기울어질 수 있으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도 46.46a 와 같이 보조 받침대를 부착한다.
아울러 상기의 의자 등에는 지금까지 명시한 기능 외에 사용자가 의자 등의 좌판부에 착석 시 상기의 좌판부를 무릎 방향으로 상당 부분 슬립 이동시키고 등받이 부분도 뒤로 젖혀짐과 동시에 좌판 플레이트를 따라서 아랫 방향으로 함께 슬립 이동하게 하여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 한 상태에서 뒤로 누워 좀 더 편안한 휴식을 취하기 위한 의자 기능이 더 필요하다.
상기와 같이 의자의 사용자가 등받이를 뒤로 젖혀 사용 할 경우 의자의 좌판부와 등받이부가 함께 착석 시 무릎방향으로 이동함으로 의자의 좌판부를 등받이 쪽 후반 부분을 더 길게 형성시켜 좌판부가 착석 시 무릎 방향으로 상당 부분 이동하여도 상기의 좌판부가 사용자의 둔부를 충분히 받쳐주고 지지되어 사용자가 등받이를 뒤로 젖히고 누워도 둔부와 접촉되는 좌판부에 빈 공간이 생기지 않아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의자 등을 상기와 같은 기능을 더 형성시키기 위하여 먼저 도 18.18a 와 같이 상기의 좌판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좌판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목적의 슬립이동 용 슬립바를 형성시키고 도 18.18c와 같이 상기의 슬립바를 받아 들임과 동시에 상기의 슬립바가 좌판부와 함께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내부에 로드가 형성된 좌판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이 형성되며,등받이에도 마찬가지로 등받이 플레이트 양측면에 슬립바를 부착시키고 상기 슬립바를 받아 들이고 이동할 수 있도록 로드를 제공하는 등받이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의 등받이 플레이트에 부착 형성된 슬립바와 등 슬립바를 받아 들이는 등받이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에부착된 로드바의 경사각도가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의 좌판 플레이트 슬립바와 좌판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에 형성된 로드의 경사각도를 도 18.18d 와 같이 완만하게 형성시켜 상기의 등받이 플레이트와 함께 위 아랫방향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상기의 좌판 플레이트로드바후레임은 양쪽 팔걸이 플레이트 하단부에 고정,부착되어 상기의 좌판 플레이트 양 측면에 형성된 슬립바를 받아들이면서 상기의 좌판 플레이트에 이동 로드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착석 시 무릎 방향이나 등 방향으로 완만한 경사각도로 이동 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의 로드가 형성됨이 필요하다.
도20,20a의 좌판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형성된 슬립바는 상기의 좌판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에 인입된 채 완만한 경사각도로 왕복 이동하기 위하여 도 21. 21a 와 같이 무릎방향으로 경사각도가 형성된다.
상기의 슬립바가 좌판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 내부에서 이동할 시 상기의 좌판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의 로드 안쪽 방향 일단에 차단벽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벽과 상기 슬립바 간에 밀착과 간격유지가 반복되는 틈 사이에 코일스프링을 부착시켜 상기의 슬립바가 상기의 좌판 플레이트 로드바에서 이탈되지 않고 왕복 이동을 반복하며 이동을 제어하는 가압탄성돌기해제장치가 좌판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 하면에 부착되며 동 장치와 연결된 작동레버가 작동 해제되고 사용자가 의자의 좌판부에 부하 시키는 체중을 감소 및 해제 시킬 시 에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의 좌판 플레이트가 아랫방향으로 이동한 후 다시 원위치로 복원되게 한다.
상기의 좌판 플레이트가 아랫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는 필요에 따라 20~25 센티미터 이내에서 이동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작동레버는 좌판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 양 측면에 도 23.23c 와 같이 사용자가 손쉽게 작동할 수 있는 거리에 부착된다.
상기 작동레버는 도 22, 22a 와 같은 가압탄성돌기의 해제및 작동 장치와 연결된다.
상기의 작동레버는 상기의 양쪽 좌판 플레이트 슬립바 가운데 지점 내측에 도 3.3b, 도 23.23a 와 같이 각 부착된 가압탄성돌기가 도 23.23b 와 같이 상기의 양쪽 좌판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 내측에 형성된 5-6개의 가압탄성돌기공 이르렀을 때 상기의 가압탄성돌기가 돌출되고 상기의 제동레버를 당겨 돌출을 해제 시에는 원위치로 복원되게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상기의 좌판 플레이트와 좌판을 이동시키고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의 제동레버는 도 23.23d 와 같이 상기의 가압탄성돌기와 쇠줄로 각 연결되어 상기의 제동레버를 당기면 상기의 가압탄성돌기공에 돌출된 가압탄성돌기를 해제시키고 놓으면 원위치로 복원된다.
상기의 제동레버는 도 22.22a와 같은 X자 형의 가위형태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가압탄성돌기 해제장치와 쇠줄로 연결되며 상기의 X자형의 가위형태의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가압탄성돌기 해제장치는 쇠줄의 작동방향을 변동시키고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기 때문에 상기의 제동레버를 쉽게 작동하게 하여 상기의 가압탄성돌기를 돌출 및 복원 시키므로서 사용자가 상기의 좌판 플레이트를 원하는 위치에 이동 또는 정지 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압탄성돌기공은 도 23.23b 와 같이 양측 좌판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 내측에 5~6개를 형성시키고 상기의 돌기공 중 사용자가 상기의 좌판 플레이트와 좌판을 원하는 위치에 해당하는 돌기공에 상기의 가압탄성돌기를 돌출시켜 이동 또는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의 가압탄성돌기는 본 발명에서 명시한 가압탄성중간연결구조체와 동일한 구조체로 형성되나 상기의 가압탄성중간연결구조체의 상단부에 부착된 중간 연결구조체가 부착되지 않으며 상단부에 돌출된 돌출봉 일측면이 절삭되는 점이 다르다.
상기와 같이 가압탄성돌기의 돌출봉 일 측면이 절삭됨은 상기의 좌판플레이트와 좌판이 아랫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상기의 가압탄성돌기를 상기의 각 5~6개의 가압탄성돌기공 각 돌출시켜 사용자가 필요한 위치에 상기의 좌판 플레이트와 좌판을 정지되게 하고 상기의 좌판 플레이트와 좌판이 상기와 같이 아랫 방향으로 이동한 후 다시 윗 방향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원할 경우에는 상기의 가압탄성돌기의 제동력 발생이 없이 신속하게 원위치로 복원되어야 하므로 이에 부응하기 위하여 상기의 가압탄성돌기의 제동력을 윗 방향으로 소멸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제동력 발생 부위인 상기의 가압탄성돌기의 상단부 돌출봉 윗 방향 부분을 절삭
한다.
상기와 같이 가압탄성돌기의 상단부에 돌출된 돌출봉의 절삭 방향에 의하여 제동력의 발생 방향이 변동되므로 상기의 가압탄성돌기가 제자리에서 회전되지 않게 함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도 40. 40a 도 41. 41h 와 같이 상기의 가압탄성돌기를 감싸고 있는 외부 구조체를 사각형으로 형성시키고 그와 접촉되는 내부 구조체도 같은 형으로 형성시켜 상기의 가압탄성돌기가 자체적으로 회전이 되지않도록 하여 상기의 가압탄성돌기의 제동력이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만 발생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좌판 플레이트와 좌판이 아랫 방향으로 이동 할 때에 그와 연결된 등받이 플레이트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등받이 플레이트가 이동하기 위해서는 상기의 좌판 플레이트에 형성된 좌판 플레이트 슬립바와 같은 방법으로 도 33.33a와 같이 등받이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슬립바를 형성시키고 도 34.34a 와 같이 상기의 등받이 플레이트의 슬립바를 감싸면서 이동하는 로드를 제공하는 등받이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이 형성된다.
상기의 등받이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은 등받이 플레이트 양 측면에 각 1개씩 세로로 세워져 형성되며 동 로드바 후레임 가운데 지점에서 도 34.34b 와 같이 양쪽 로드바 후레임을 가로로 연결하는 가로 연결 후레임이 더 부착된다. 상기의 등받이 플레이트 슬립바는 상기의 등받이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 안쪽에 형성된 로드에 인입된 채 동 로드를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상기의 등받이 플레이트 슬립바와 상기의 등받이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 사이에는 제동력이 필요하지 않으나 도 34.34c 와 같이 상기 등받이 플레이트 슬립바와 등받이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에 부착된 로드에 밀착과 벌어짐이 반복되는 로드의 상단부 일측 내부 로드의 끝과 슬립바 일단에 코일스프링을 각 부착하여 상기의 좌판 플레이트와 함께 아랫 방향으로 이동한 후 상기의 제동레버가 해제되고 사용자가 좌판부에 가해지는 체중의 부하를 감소 및 해제시킬 경우 상기와 같이 양 단에 부착 된 코일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아렛 방향으로 이동하였던 상기의 등받이 플레이트와 좌판 플레이트가 원위치로 신속하게 복원 하는데 도움을 준다.
한편 상기와 같이 좌판 플레이트가 아랫방향으로 이동 할 경우에는 연결되어 있는 상기 등받이 플레이트가 같이 아랫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등받이 플레이트 슬립바의 로드를 제공하여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등받이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은 제자리에서 등받이 플레이트와 함께 뒤로 젖혀지므로 이들을 받쳐주고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대가 필요하다.
상기의 별도 지지대는 도 26.26a,26b 와 같이 등받이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 바깥쪽 양측에 각 세워져 형성되는 등받이 지지 외곽 후레임과 상기의 2개의 등받이 지지 외곽 후레임을 가운데 지점에서 가로로 연결하는 가로 연결 후레임으로 구성된다.
상기의 등받이 지지 외곽 후레임의 가로 연결 후레임은 상기의 등받이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의 가로 연결 후레임을 받아 들일 경우 상기 외곽 후레임의 가로연결 후레임은 반달 오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 플레이트 로드바의 가로연결 후레임은 둥근 볼록형으로 형성되어 서로 암수 형태로 접속 연결되므로서 상기의 등받이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이 상기와 같이 접속된 상태에서 뒤로 젖혀짐이 발생하고 동 등받이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의 가로연결후레임은 상기 등받이 외곽 후레임 가로연결후레임에 상기와 같이 암수 상태로 접속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의 등받이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이 뒤로 젖혀지고 다시 원위치로 복원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의 등받이 지지 외곽 후레임의 가로 연결 후레임에 안착된 상기의 등받이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의 가로 연결 후레임은 서로 분리되거나 이격되지 않아야 하므로 도 26.26c 와 같이 상기 등받이 지지 외곽 후레임의 가로연결 후레임 양 끝단에 내부가 공간으로 형성된 연결 원통을 부착시켜 도 28.28b 와 같이 형성된 상기 등받이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의 가로 연결 후레임의 양 끝단을 받아들이고 삽입 및 홀딩시켜 상기의 가로 연결후레임들이 서로 분리되지 않고 자체 회전할 수 있으므로 상기 등받이 지지외곽 후레임의 가로 연결 후레임을 지지 기반으로 하여 상기 등받이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이 상기 등받이 플레이트와 함께 안전하게 뒤로 젖혀짐과 원위치 복원을 반복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 의자의 기본적 외형의 틀을 갖추고 견고성과 안전성 유지를 위하여 도 25.25a 와 같이 상기 양측 좌판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의 하면부 앞부분과 뒷부분에 각 1개의 가로연결 후레임을 각 부착시켜 상기의 양측 좌판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의 이격이나 이탈을 방지 시키고 상기의 양측 좌판 플레이트 로드바후레임 끝단에 상기의 등받이 지지 외곽 후레임를 고정 연결하고 동 좌판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 양측 윗면에는 상기의 팔걸이 플레이트를 각 연결 고정시켜 의자 전체의 견고성과 안전성이 유지되게 한다.
이때 상기의 등받이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은 뒤로 젖혀 질 때 상기 등받이 지지 외곽후레임에 장애가 되지 않게 동 외곽후레임 내측에 형성시켜 자유롭게 젖혀지고 원위치 복귀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의 등받이 플레이트는 측면에 형성된 슬립바에 의하여 상기의 등받이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의 허용되는 로드 범위내에서 이동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경우 상기의 등받이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에 형성된 로드바를 따라 등받이 플레이트 가장자리에 형성된 슬립바가 상기의 등받이 플레이트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이동 각도의 변화가 크므로 이동의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31.31a,31b 와 같이 상기의 등받이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에 부착 형성된 로드바를 몸체에서 분리한 후 상기와 같 이 별도로 분리된 로드바를 상기 등받이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의 중심 위치에 회전링크로 연결시켜 상기 로드바는 상기 등받이 플레이트 술립바와 함께 상기 등받이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과는 별도로 앞 뒤로 자유스럽게 회전할 수 있게 하여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한편 상기의 좌판 플레이트와 등받이 플레이트는 서로간에 연결되어 동일체적으로 이동하는데 등받이 플레이트가 좌판 플레이트와 같은 방향인 아랫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 상기의 등받이 플레이트의 하단부 일부분이 수직 형태에서 수평 형태로 각도가 변동되고 휘어지지 않으면 상기의 등받이 플레이트가 아랫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으므로 안 쪽 방향으로 휘어지게 하기 위하여 상기의 등받이 플레이트 하단부와 좌판플레이트를 유연한 소재의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연결시켜 등받이 플레이트의 하단부가 수직 각도에서 수평 각도로 단계별로 변형되면서 휘어져 자유롭게 위.아래로 이동하게 한다.
또한 상기 좌판 플레이트와 유연한 소재의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아랫방향으로 이동하는 등받이 플레이트는 수직각도에서 수평각도 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면서 이동하므로 도 25. 25b 와 같이 방향전환을 용이하게 하는 방향 전환 롤러가 필요하다.
상기의 방향 전환 롤러는 상기 도면과 같이 좌판 플레이트로드바 안쪽 양 측면에 각 부착된다.
상기의 방향전환 롤러는 도 25. 25c 와 같은 방향전환 구조체에 상기 좌판 플레이트와 등받이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받아들여 회전하고 이동시키는 롤러를 장착하므로서 완성된다.
상기의 롤러가 부착된 방향전환 구조체는 각도 변화를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동 구조체 내부에 탄성부재를 내장시켜 동 구조체에 부착된 상기 롤러가 앞뒤 방향으로 45도 이내에서 회전하고 원위치로 복원할 수 있게 한다.
상기의 방향전환 롤러에 의하여 상기의 등받이 플레이트 하단부에 연결된 연결부재가 수직 각도에서 수평 각도 방향으로 방향전환을 쉽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좌판 플레이트와 함께 등받이 플레이트도 위.아래 방향으로 장애없이 반복하여 이동 및 원위치로 복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좌판 플레이트와 등받이 플레이트가 서로간에 연결되어 위.아래 방향으로 슬립 이동하는 기능은 의자의 제작 기법이나 구조상 회전의자에는 적용할 수 없다.
그러므로 의자의 회전기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의 의자다리 하단부에 도 30.30a 와 같이 제동장치가 구비된 케스터 방식의 바퀴를 부착하여 사용자가 의자의 착석 상태에서 전.후, 좌.우 방향으로 방향 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다.
상기의 의자의 다리는 상기의 좌판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 하단부의 앞부분에 2개가 부착되고 후방 부분에 형성된 2개의 다리는 상기 양측 등받이지지 외곽 후레임에 연장되어 연결된 후레임 양측 끝단에 각 1개씩 부착된다. 상기와 같이 의자의 다리에 바퀴가 부착 될 경우 의자의 무게중심의 이동이 빠르고 등받이가 뒤로 젖혀 질 경우에 의자의 무게 중심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뒤로 전도 될 위험이 있다.
상기와 같이 뒤로 전도될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30.30b와 같이 의자의 뒷 다리 사이에 보조 다리를 더 부착한다.
상기와 같이 뒷다리 사이에 부착된 보조다리는 상기 등받이지지 외곽후레임에 연장된 후레임 중간을 가로로 연결되는 가로 연결후레임 중간지점에 부착된다.
상기의 보조 다리는 뒷 다리 보다 후방으로 위치하게 하여 안정감이 유지되게 한다.
상기의 의자 등의 좌판부와 등받이부가 슬립 이동하는 기능은 회전의자에는 적용할 수 없으므로 본 발명의 의자에는 회전의자에 부착된 높낮이 조절기능을 부착할 수 없어 의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별도의 기능이 의자의 다리부분에 부착된다.
상기와 같이 의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기능은 도 30.30c와 같이 다리 중간지점에 부착되며 하부 다리를 상부 다리가 감싸는 형태로 상부 다리 양 측면에 3~5개의 가압탄성돌기공이 각 형성되며 하부 다리 내측에 내장된 2개의 가압탄성돌기의 아랫 공간에 X형의 지렛대를 부착하여 상기의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상기의 가압탄성돌기의 해제 및 작동 장치를 장착하여 의자의 높낮이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의 의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기능에는 도 30.30c와 같이 상기의 가압탄성돌기를 상기의 가압탄성돌기공에 돌출이나 복원 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작동버튼이 필요하다. 상기의 작동버튼은 하부 다리의 일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의 버튼을 양 쪽에서 함께 누르거나 놓으면 상기의 가압탄성돌기가 동 돌기공에 돌출이나 해제되어 이동이 가능하여 의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의 작동버튼의 작동원리는 도 30. 30e 와 같이 2개의 가압탄성 돌기를 내장시키고 상기와 같이 내장된 2개의 가압탄성돌기의 사이에 X자형의 가위 형태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가압탄성돌기의 해제 및 작동 장치가 부착되고 상기의 가위 형태의 지렛대 양 끝단에 상기의 가압탄성돌기의 내부와 연결된 쇠줄을 크로스 방향으로 각 연결하고 일 측면에 돌출되어 부착된 작동버튼을 양쪽에서 누르면 상기의 가위형태의 지렛대와 연결된 상기의 쇠줄을 잡아당겨 상기의 해제 장치가 작동된다.
상기의 작동버튼은 상부 다리 내측으로 인입되는 하부 다리 일 측면에 돌출되어 부착되므로 상기 하부 다리를 감싸는 상부 다리부분의 일 측면에는 상기 작동버튼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홀이 도 30. 30g 와 같이 형성된다.
상기의 작동버튼은 도 30.30f 와 같이 다리의 일 측면에 돌출 부착되므로 작동버튼 손잡이 부분 내측에 코일스프링을 부착하여 작동 버튼을 양쪽에서 압박을 가한 후 놓아 해제시킬 경우에 내장된 상기의 코일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작동버튼의 손잡이 부분이 압축과 팽창을 반복하게 한다.
2 : 좌판부. 2-1 : 좌판 플레이트. 2-2 : 좌판. 3a : 좌판 플레이트 슬립바. 3b : 좌판 플레이트 슬립바 가압탄성돌기., 23 : 좌판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 25a : 좌판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 가로연결 후레임.4a : 가스스프링 장치. 5a : 가스스프링 장치 중간연결부재. 5 : 중간연결부재 부착된 가스스프링장치, 22 : 좌판부 가압탄성돌기 해제장치 23c : 좌판부 가압탄성돌기 해제장치 작동레버. 15,17,44,45 : 보온 방석. 47,48 :하절기 용 방석. 19 : 팔걸이부. 19a : 팔걸이 플레이트. 19b :팔걸이. 19c : 팔걸이부 가압탄성중간연결구조체, 34 : 동받이부. 33 : 등받이 플레이트. 34d : 등받이. 33a : 등받이 플레이트 슬립바. 34a : 등받이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 31a : 등받이 플레이트 로드바. 28a : 등받이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 가로연결 후레임. 26 : 등받이지지외곽 후레임. 26b : 등받이지지외곽 후레임 가로연결 후레임. 36 : 머리받이부. 35a : 머리받이 플레이트.
35b : 머리받이. 25b : 회전 롤러. 25c : 회전 롤러 방향전환 구조체. 40 :가압탄성돌기구조체, 41 : 가압탄성돌기중간연결구조체, 30b : 회전 바퀴. 30a : 회전 바퀴 잠금 장치. 30e : 의자 다리 가압탄성돌기 해제장치. 30d : 의자 다리 가압탄성돌기 해제장치 작동레버.

Claims (24)

  1. 본 발명은 의자의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 시 접촉되는 좌판부 좌판 상면을 둔부 및 허벅지와 인체공학적 닮은 형상으로 함몰 및 홈을 내고 둔부뼈 중 의자에 착석 시 돌출되어 의자의 좌판부 좌판 상면과 마찰되는 뼈(이하 “둔부뼈”라 약칭한다)와 의자에 착석 시 의자의 좌판부 좌판 상면에 허벅지 부분이 접촉되는 위치에 각 1개와 각 3개의 공기소통구를 형성시키며 좌판부 좌판 상면 가운데 돌출된 부분의 꼭지지점이나 경사진 중간지점 4방향에 1개와 4개의 공기소통구를 각 형성시키고 의자의 좌판부를 좌판 플레이트와 그 위에 부착된 좌판으로 의자의 등받이부를 등받이 플레이트와 그 위에 부착된 등받이로 의자의 팔걸이부를 팔걸이 플레이트와 그 위에 부착된 팔걸이로 의자의 머리받이부를 머리받이 플레이트와 그 위에 부착된 머리받이로 각 이중으로 구분하여 각 형성시켜 상기의 양 구조물 사이에 탄성부재가 내장된 가압탄성구조체나 소형 가스스프링장치를 각 부착하며 탄성력을 발생시키고 상기의 좌판부 좌판위에는 상기와 같이 형성된 둔부와 허벅지의 인체공학적 형상과 공기 소통구에 대응하여 보온 용 방석 상면에 같은 형상을 형성시키고 경도와 탄성력이 형성된 재질의 하절기 용 방석의 상 하 표면의 교차하는 지점에 반원형 형태의 돌기나 고인돌 형상을 의용하여 둔부와 허벅지의 인체공학적 형상과 공기 소통구를 각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와 방석의 구조 변형에 관한 것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 좌판부 좌판 상면의 양쪽 둔부뼈가 닿는 위치에 상기와 같이 형성된 2개의 공기소통구 주변에 둥글게 띠를 이루어 7개의 소형공기소통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구조 변형에 관한 것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 좌판부 좌판 상면의 양측 허벅지가 접촉되는 위치에 각 형성된 3개의 공기소통구의 안쪽과 바깥쪽에 각 5 개와 6 개의 소형 공기소통구가 같은 방향으로 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구조 변형에 관한 것이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의 좌판부 좌판 가운데에 상기와 같이 돌출된 부분의 꼭지지점에 형성된 1개의 공기소통구 주변을 6 개의 소형 공기소통구가 둥글게 띠를 이루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구조 변형에 관한 것이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 좌판부 좌판 상면에 착석 시 둔부와 허벅지의 경계선을 이루는 지점에 상기 경계선을 따라 5개의 소형 공기소통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구조 변형에 관한 것이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 좌판부 좌판 상면의 등받이 쪽 후반 부분 가장자리를 따라 11개의 공기소통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구조 변형에 관한 것이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 좌판부 좌판 상면 가운데 돌출된 부분의 등받이 쪽으로 경사지는 길쭉한 형태의 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구조 변형에 관한 것이다.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 좌판부 좌판 상면에 인체의 둔부와 허벅지 형상데로 함몰된 상태에서 좌판 가운데에 지름의 크기 20~25센치미터에 해당하는 중심홀을 형성하거나 상기와 같이 좌판의 상면에 인체의 형상데로 함몰되지 않은 상태에서 좌판 가운데에 형성된 20~25센치미터 크기의 중심홀 주변 좌판 표면에서부터 중심홀에 이르기까지 완만한 경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구조 변형에 관한 것이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 좌판부의 좌판 플레이트 상면에는 원통형의 오목한 형상으로 내부에 탄성부재가 내장된 안전굽이 형성되고 상기 좌판 하면에는 볼록한 형태의 안전굽이 형성되어 상 하 안전굽이 서로 결합되는 안전굽이 상기 좌판 플레이트와 좌판사이 가장자리에 8방향으로 각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구조 변형에 관한 것이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부의 좌판 플레이트 상면에는 상기 소형 가스스프링 장치가 6~8방향에 부착되고 같은 위치의 좌판부 좌판 하면에 상기 소형 가스스프링 장치의 가스압축바 끝단을 각 고정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구조 변형에 관한 것이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가스스프링 장치를 상기 좌판부 좌판 플레이트 상면에 부착할 경우 별도의 고정장치가 부착되고 상기 좌판부 좌판 하면에 부착되는 상기 소형 가스스프링 장치의 가스 압축바 끝단에는 별도의 고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구조 변형에 관한 것이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 좌판부의 좌판 플레이트 바깥쪽 양측 가장자리에 슬립바가 부착,형성되며 상기 슬립바를 양쪽에서 감싸고 이동 로드를 제공하는 양쪽 좌판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이 상기 양쪽 팔걸이 플레이트 하단부에 각 고정 부착되고 상기 좌판 플레이트와 연결부재에 의하여 연결된 상기 등받이 플레이트의 바깥쪽 양쪽 가장자리에 슬립바가 부착 형성되며 상기 슬립바를 양쪽에서 감싸고 이동 로드를 제공하는 등받이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이 양쪽에 각 부착되고 상기 등받이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에 부착된 로드바는 동 후레임의 몸체에서 분리된 후 분리된 로드바는 상기 후레임 중심위치에서 회전링크로 연결시켜 상기 등받이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과는 독립으로 앞 뒤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구조 변형에 관한 것이다.
  13. 제12항 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등받이 플레이트 슬립바를 양쪽에서 감싸고 이동 로드를 제공하는 상기 양쪽 등받이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은 자체에 동 로드바 후레임의 중간지점을 가로로 연결하는 둥근 형태의 가로연결 후레임을 갖추고 있고 동 가로연결 후레임은 상기 등받이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의 지지대 역할과 의자의 등받이부 전체를 지지하는 양쪽 등받이지지 외곽 후레임의 중간지점을 가로로 연결하는 반원형 형태의 가로연결 후레임에 서로 암 수 형태로 접속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이 뒤로 젖혀짐과 원위치로 반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구조 변형에 관한 것이다.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의 좌판 플레이트와 등받이 플레이트는 휨성이 있는 연결부재로 연결되고 상기의 좌판 플레이트 슬립바와 등받이 플레이트 슬립바가 각자의 로드바 후레임의 로드를 따라서 상.하로 이동 시 밀착과 간격 유지가 반복되는 상기의 슬립바와 로드의 후방쪽 공간 사이의 양단에 탄성 부재를 상기 슬립바 일단과 로드의 일단에 각 고정 부착하여 상기의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좌판 플레이트와 등받이 플레이트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 후 원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구조 변형에 관한 것이다.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 플레이트와 등받이 플레이트가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상.하로이동 시 상기의 연결부재의 방향 전환을 위한 방향전환 롤러가 양쪽 좌판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 안쪽 끝 부분에 각 부착되며 상기의 방향전환 롤러는 내부에 탄성부재가 내장된 방향전환구조체와 상기 연결부재를 받아 들여 회전하면서 이동시키는 롤러의 결합체로 형성되며 상기 방향전환구조체에 내장된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의 롤러가 전.후방으로 45도 회전과 원위치로 복원을 반복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구조 변형에 관한 것이다.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양쪽 좌판 플레이트 슬립바 가운데 내측에는 탄성부재가 내장된 각 1개의 가압탄성돌기가 각 부착되고 상기의 양측 슬립바를 감싸고 이동 로드를 제공하는 양측 좌판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 내측에는 5~6 개의 가압탄성돌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좌판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 바깥쪽 양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가압탄성돌기 작동레버는 상기 좌판 플레이트 하면부에 장착된 가압탄성돌기 해제장치와 쇠줄로 연결되어 상기의 가압탄성돌기 작동레버의 당김과 놓음에 의하여 상기의 가압탄성돌기가 상기의 가압탄성돌기공에 돌출과 해제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구조 변형에 관한 것이다.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 좌판부 좌판 하면 앞 뒤 부분에 상기 보온 용 방석의 고정끈고정에 사용되는 각 2 개의 고정끈 걸이대가 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구조 변형에 관한 것이다.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에 올려 사용하는 보온 용 방석의 상 하단에 상기의자 좌판부 좌판 하면 앞 뒤 부분에 형성된 각 2 개의 고정끈 걸이대에 걸어서 고정시키는 고리형태의 고정끈이 각 1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석의 구조 변형에 관한 것이다.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부의 좌판 플레이트와 그 위에 올려 사용하는 좌판이 자동차 용 시트에 사용될 경우 상기 양 구조 사이에 공기 주입구를 부착하고 자동차 내에 장착된 냉 온풍기 에어콘 공기 출구와 상기 공기 주입구 간에 공기 튜브를 연결하여 상기의 좌판부 내부에 하절기에는 냉풍을 동한기에는 온풍을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구조 변형에 관한 것이다.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양쪽 좌판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의 하면부 앞.뒤부분에 가로연결후레임이 각 1개 부착되고 상기 양쪽 좌판 플레이트 로드바 후레임의 앞 부분 하면부와 상기 양쪽 등받이지지 외곽 후레임 하단부에 부착된 각 2개의 다리에 제동 장치가 구비된 케스터 방식의 바퀴가 각 부착되고 상기 양쪽 등받이지지 외곽 후레임 하단부에 가로로 연결하는 가로연결 후레임 중간 구간 부분에 상기와 같은 형식의 1개의 보조 다리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구조 변형에 관한 것이다.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5개의 다리는 하부다리와 상부다리와 구분되며 하부다리 내측에는 탄성부재가 내장된 2개의 가압탄성돌기가 부착되고 상기의 가압탄성돌기의 사이에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의 가압탄성돌기와 쇠줄로 연결된 가압탄성돌기 해제 장치가 장착되며 상기 장치와 쇠줄로 연결된 작동버튼이 하부다리 일 측면에 노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부다리에는 상기 가압탄성돌기에 대응하는 양 측면에 3~5개의 가압탄성돌기공이 각 형성되고 다른 측면에는 작동버튼 이동 홀이 각 형성되어 상기의 작동 버튼을 양쪽에서 압박하여상기 가압탄성돌기를 해제 또는 복원 시키므로서 상기의 다리의 연장과 축소 기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구조 변형에 관한 것이다.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의 좌판부 좌판 상면에 올려 사용하는 보온 용 방석 표면에는 둔부와 허벅지의 형상과 닮은 인체공학적 형태가 형성되고 의자의 좌판부 좌판 상면에 둔부뼈가 닿는 함몰된 지점 및 가운데 돌출된 부분의 꼭지지점에 형성된 공기소통구나 그 아래 경사진 곳에 각 형성된 공기소통구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방석 표면에 각 공기소통구가 각 형성되며 하절기 용 경도와 탄성력이 유지된 방석에 상기와 같은 인체공학적 형태와 공기소통구를 각 형성시킴과 동시에 높이와 크기가 0.5~1.5 센티미터 이내에 해당하는 반원형 형태의 돌기와 고인돌 형태를 상기 방석의 상 하면 교차하는 위치에 각 형성 부착하고 상기 방석 상면에 형성된 반원형 형태의 돌기나 고인돌 형태보다 하면에 형성된 반원형 형태의 돌기나 고인돌 형태의경도를 강하게 하고 탄성력은 더 적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석의 구조 변형에 관한 것이다.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방석의 상면에 형성된 공기소통구의 주변에 형성된 상기의 반원형형태의 돌기나 고인돌 형태는 외곽에서 중심에 있는 공기소통구에 다가갈수록 상기 반원형 형태 등의 크기가 작아지고 상기 방석의 상면에 허벅지가 닿는 지점에도 허벅지 중심으로 다가갈수록 상기 반원형 형태의 크기가 작아져 허벅지가 닿는 방석의 상면이 허벅지의 형상대로 함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석의 구조 변형에 관한 것이다.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방석이 의자와 자동차 시트 용이 아닌 바닥에 놓고 않는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방석 표면에 형성된 둔부와 허벅지의 인체공학적 형상 외에 착석 시 양쪽 발목과 복숭아 뼈 및 종아리 부분도 함몰되어 형성되므로 상기와 같이 방석의 표면에 접촉되는 상기 부분들과 닮은 형상으로 방석의 표면을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석의 구조 변형에 관한 것이다.
KR1020130002425A 2013-01-09 2013-01-09 의자와 방석의 구조 변형에 대한 발명 KR2014009041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425A KR20140090414A (ko) 2013-01-09 2013-01-09 의자와 방석의 구조 변형에 대한 발명
PCT/KR2013/011371 WO2014109484A1 (ko) 2013-01-09 2013-12-09 의자와 방석의 구조 변형에 대한 발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425A KR20140090414A (ko) 2013-01-09 2013-01-09 의자와 방석의 구조 변형에 대한 발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414A true KR20140090414A (ko) 2014-07-17

Family

ID=51167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425A KR20140090414A (ko) 2013-01-09 2013-01-09 의자와 방석의 구조 변형에 대한 발명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090414A (ko)
WO (1) WO20141094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51693A (zh) * 2018-08-31 2018-11-23 美佳德科技(无锡)有限公司 一种便于调整的凳子
CN110074580A (zh) * 2019-04-15 2019-08-02 中南林业科技大学 一种双面软木座面
CN111407111B (zh) * 2020-03-09 2023-08-01 安吉伊纳福家居有限公司 一种办公椅
CN111685524A (zh) * 2020-07-29 2020-09-22 榆逗(上海)智能科技有限公司 坐椅微调机构
CN112869452A (zh) * 2021-01-29 2021-06-01 侯志强 一种基于新一代技术的智能制造椅座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505Y1 (ko) * 2003-05-07 2003-08-19 민영기 방석
KR20070109168A (ko) * 2006-05-10 2007-11-15 김정인 건강팩 포켓 엠 의자
EP2095745A1 (en) * 2008-02-26 2009-09-02 Technogel Italia S.R.L. Modular supporting element to make mattresses and the like
KR101228569B1 (ko) * 2011-05-19 2013-02-07 한경희 초간편 건강 조립식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09484A1 (ko) 2014-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907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ssure management having temperature controlled air flow
US7713220B2 (en) Multiple mode massage chair
KR20170127777A (ko) 점진적 근육 이완법이 적용된 안마의자에서의 취침 모드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이 동작 가능한 안마의자
KR20140090414A (ko) 의자와 방석의 구조 변형에 대한 발명
JP4908747B2 (ja) 患者用椅子
KR101285459B1 (ko) 안락좌석
JP3163091U (ja) 背もたれクッション板の構造
KR200469668Y1 (ko) 기능성 방석
US7377889B2 (en) Chair providing dynamic thrust to exercise lumbar area of spine
KR20060128702A (ko) 각 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굴절형 좌식 의자
KR102189808B1 (ko) 점진적 근육 이완법이 적용된 안마의자에서의 취침 모드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이 동작 가능한 안마의자
GB2414178A (en) Pillow/cushion/bolster/mattress with interchangeable sections
US20160095768A1 (en) Post-Operative Assistive Device
JP2008284259A (ja) 携帯用正座椅子
KR200435467Y1 (ko) 다리 받침대
KR20070010516A (ko) 프레스가열접착방식의 쿠션방석
JPH10263031A (ja) ヒータ付マッサージ椅子
KR200426278Y1 (ko) 각 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굴절형 좌식 의자
JP6527320B2 (ja) 作業用椅子
KR200397445Y1 (ko) 프레스가열접착방식의 쿠션방석
JP2004215916A (ja) 背部押圧治療器具
KR101022761B1 (ko) 의자
JP2012200317A (ja) 椅子
KR200285597Y1 (ko) 에어쿠션 의자
JP3219913U (ja) エステティック用ベ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