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278Y1 - 각 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굴절형 좌식 의자 - Google Patents

각 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굴절형 좌식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278Y1
KR200426278Y1 KR2020060015391U KR20060015391U KR200426278Y1 KR 200426278 Y1 KR200426278 Y1 KR 200426278Y1 KR 2020060015391 U KR2020060015391 U KR 2020060015391U KR 20060015391 U KR20060015391 U KR 20060015391U KR 200426278 Y1 KR200426278 Y1 KR 2004262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atchet
chair
angle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53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성
시바타 코오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홈파워
가부시키가이샤 아마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홈파워, 가부시키가이샤 아마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홈파워
Priority to KR20200600153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2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2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2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 A47C1/03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in combination with movably coupled seat and back-rest, i.e. the seat and back-rest being movably coupled in such a way that the extension mechanism of the foot-rest is actuated at least by the relative movements of seat and backrest
    • A47C1/035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in combination with movably coupled seat and back-rest, i.e. the seat and back-rest being movably coupled in such a way that the extension mechanism of the foot-rest is actuated at least by the relative movements of seat and backrest actuated by linkages, e.g. lazy-tongs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6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head-rest
    • A47C1/037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head-rest in combination with a leg-rest or foot-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2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4Stackable chairs; Nesting chairs
    • A47C3/045Stackable chairs; Nesting chairs with tipping-up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8Use of remote contr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8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각 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굴절형 좌식 의자는 머리지지부(15), 상기 머리지지부(15)와 상호 굴절가능하게 연결된 허리지지부(14), 상기 허리지지부(14)와 상호 굴절가능하게 연결된 둔부지지부(16), 상기 둔부지지부(16)와 상호 굴절가능하게 연결된 무릎지지부(17) 및 상기 무릎지지부(17)와 상호 굴절가능하게 연결된 종아리 지지부(18)로 구성되며, 상기 머리지지부(15), 허리지지부(14), 둔부지지부(16), 무릎지지부(17) 및 종아리 지지부(18)의 내부에는 각각 철제의 머리지지부 프레임(15a), 허리지지부 프레임(14a), 둔부지지부 프레임(16a), 무릎지지부 프레임(17a) 및 종아리 지지부 프레임(18a)이 장착되고, 상기 머리지지부 프레임(15a), 허리지지부 프레임(14a), 둔부지지부 프레임(16a) 및 종아리 지지부 프레임(17a)의 연결부위에는 라체트식 회전기구(20)를 개재하여 상호 굴절가능하며, 상기 프레임들(15a,14a,16a,17a,18a)의 주위에는 합성수지재의 매트부재(22)가 설치되고, 상기 매트부재(22)의 위에는 연질의 우레탄 폼(23)과 커버부재(25)가 설치된다. 또한, 진동마사지를 위한 바이브레이터(32)와 온열찜질을 위한 온열시트(33)가 내장된다.
침대, 의자, 굴절식 의자, 접이식 의자, 간이침대, 온열, 온열시트, 바이트 레이터, 마사지, 라체트

Description

각 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굴절형 좌식 의자{Flexible seat chair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between the respective parts}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각 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굴절형 좌식 의자(11)의 사시도이다.
도2a는 도1의 굴절형 좌식의자(11)의 펼침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2b는 위에서 내려다 본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2c는 측면에서 바라 본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3a는 도1의 굴절형 좌식의자(11)의 라체트식 회전기구(20)의 구성도이며, 도3b는 상기 라체트식 회전기구(2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3c는 라체트 고정부재(225)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3d는 상기 라체트식 회전기구(20)의 결합상태의 사시도이다.
도3e는 도3a에서 프레임들(211,221)이 90도로 굴절된 상태에서의 상기 라체트식 회전기구(20)의 단면 구성도이며, 도3f는 라체트 고정부재(225)가 라체트(212)와 톱니들(224)간의 결합을 해제한 상태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4a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굴절형 좌식의자(11)를 접은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4b는 그 단면도이다.
도5a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굴절형 좌식의자(11)의 무릎지지부를 세운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5b는 그 단면도이다.
도6a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굴절형 좌식의자(11)의 종아리 지지부(18)를 접어 단순한 의자 형태로 사용하는 것을 도시하며, 도6b는 그 단면도이다.
도7a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굴절형 좌식의자(31)의 사시도이고, 도7b는 그 단면도이다.
도8은 도7a의 굴절형 좌식의자(31)에 채용된 바이브레이터(3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9a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굴절형 좌식의자(41)의 배면도이며, 도9b는 그 측단면도이다.
도10a는 도9a의 굴절형 좌식의자(41)를 접은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10b는 그 단면도이다.
도11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굴절형 좌식의자(61)의 사시도이며, 도12는 상기 굴절형 좌식의자(61)의 허리부 각도조절장치의 구조를 보인 일부 해체 사시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31,41,61: 굴절형 좌식의자 12: 상반신 지지부
12a: 상반신 지지부 프레임 13: 하반신 지지부
13a: 하반신 지지부 프레임 14: 허리 지지부
14a: 허리 지지부 프레임 15: 머리 지지부
15a: 머리 지지부 프레임 16: 둔부 지지부
16a: 둔부 지지부 프레임 17: 무릎 지지부
17a: 무릎 지지부 프레임 18: 종아리 지지부
18a: 종아리 지지부 프레임 20,20a,20b,20c: 라체트식 회전기구
22: 매트부재 23: 우레탄 폼
25: 커버부재 26: 허리부측 각도조절부
27: 머리부측 각도조절부 28: 다리부측 각도조절부
29: 자유굴곡부 32:바이브레이터(vibrator)
33: 온열시트 34: 리모콘
42: 베개부재 43:베개연결부재
44a,44b: 면 패스너(fastener) 45: 지퍼수단
62: 각도조절 레버
210: 라체트 수납부재 211, 221: 프레임
212: 라체트 212a,212b,212c: 발톱
213: 고정리벳 214: 공간부
215: 스프링 220: 톱니형성 부재
222: 톱니부 223: 결합리벳
224: 톱니 225: 라체트 고정부재
225a: 제1턱 225c: 라체트고정돌기
226: 스프링 고정구멍 227: 스프링
228: 미는 부분 301: 회전부 고정수단
302: 연결강재 320: 모터
321: 웨이트 322a,322b: 커버
323a,323b: 전선
본 고안은 각 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굴절형 좌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반신지지부와 상반신지지부의 각 부위가 자유롭게 굴곡가능하고 온열시트와 맛사지 기구를 내장하여 의자 또는 침대로서 편리하게 사용하면서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며, 간편한 형태로 접을 수 있어 보관 및 운반이 편리한 굴절형 좌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의자형태로 굴절시켜 사용할 수 있는 간이침대가 시판된 바 있으나, 이러한 굴절식 간이침대들은 부피가 너무 크고 무거워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편리하게 사용하기 어려웠다. 특히, 보관시에는 큰 부피 그대로 두거나, 혹은 절반크기로 접어 세워서 보관하였는데, 일반 가정의 실내 면적에 비해 상당한 부피를 차지하여 부담이 될 뿐만 아니라 사용을 위해 설치하는 것도 번거로워 구입시의 의도와는 달리 자주 사용하지 않는 애물단지가 되는 일이 빈번하였다.
또한, 종래 사람들이 의자나 침대를 이용한 마사지와 온열찜질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그 목적에 맞는 전용 침대나 의자를 사용하여야만 하였고, 아직까지 이러한 마사지 기능과 온열찜질기능을 간이침대에 적용한 예는 없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좌식 의자의 각 부가 90도 각도로 자유롭게 굴절되어 콤팩트한 형태로 수납가능하며, 사용자가 자기의 몸에 맞도록 각 부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온열찜질 기능과 마사지 기능을 구비한 각 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굴절형 좌식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해 제공된 각 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굴절형 좌식 의자는, 사람의 신체 중 머리부를 지지하는 머리지지부(15); 상기 머리지지부(15)와 상호 굴절가능하게 연결되며, 사람의 신체 중 허리부를 지지하는 허리지지부(14); 상기 허리지지부(14)와 상호 굴절가능하게 연결되며, 사람의 신체 중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는 둔부지지부(16); 상기 둔부지지부(16)와 상호 굴절가능하게 연결되며, 사람의 신체 중 무릎부분을 지지하는 무릎지지부(17); 및 상기 무릎지지부(17)와 상호 굴절가능하게 연결되며, 사람의 신체 중 종아리와 발 부분을 지지하는 종아리 지지부(18);로 구성되며, 상기 머리지지부(15), 허리지지부(14), 둔부지지부(16), 무릎지지부(17) 및 종아리 지지부(18)의 내부에는 각각 철제의 머리지지부 프레임(15a), 허리지지부 프레임(14a), 둔부지지부 프레임(16a), 무릎지지부 프레임(17a) 및 종아리 지지부 프레임(18a)이 장착되고, 상기 머리지지부 프레임(15a), 허리지지부 프레임(14a), 둔부지지부 프레임(16a) 및 종아리 지지부 프레임(17a)의 연결부위에는 라체트식 회전기구(20)를 개재하여 상호 굴절가능하며, 상기 프레임들(15a,14a,16a,17a,18a)의 주위에는 합성수지재의 매트부재(22)가 설 치되며, 상기 매트부재(22)의 위에는 연질의 우레탄 폼(23)과 커버부재(2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각 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굴절형 좌식 의자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각 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굴절형 좌식 의자(11)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따른 굴절형 좌식의자(11)는 크게 사람의 상반신을 지지하는 상반신 지지부(12)와 하반신을 지지하는 하반신 지지부(13)로 나뉜다. 상기 상반신 지지부(12)는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지지부(15)와 허리부분을 지지하는 허리지지부(14)의 2부분으로 나뉘고, 상기 하반신 지지부는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는 둔부지지부(16), 무릎 부분을 지지하는 무릎지지부(17) 및 종아리와 발 부분을 지지하는 종아리 지지부(18)로 나뉜다.
본 고안의 굴절형 좌식의자(11)의 각 부분은 상호 굴절가능하게 구성되며, 도1과 같이 앉은 의자 형태로 굴절될 수도 있고,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반신 지지부(12)를 하반신 지지부(13)에 대해서 눕혀서 침대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2a는 도1의 굴절형 좌식의자(11)의 펼침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2b는 위에서 내려다 본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2c는 측면에서 바라 본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2a의 형태로서 사람이 올라탔을 때, 굴절형 좌식의자(11)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사람의 머리가 위치하는 쪽을 머리 쪽 방향이라 하고, 사람의 다리가 위치하는 쪽을 다리 방향이라 한다.
본 고안의 굴절형 좌식의자(11)는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반신 지지부(12) 및 하반신 지지부(13)의 각 부분을 길이방향에 있어서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상반신 지지부(12)는 주로 허리부분을 지지하는 허리부 지지부(14) 및 주로 머리부분을 지지하는 머리부 지지부(15)로 구분된다. 그리고, 상기 하반신 지지부(13)는 주로 둔부를 지지하는 둔부지지부(16)와 주로 대퇴부 등의 무릎 위 부분을 지지하는 무릎 지지부(17), 주로 종아리와 발을 지지하는 종아리 지지부(18)의 순으로 구분된다.
상기 굴절형 좌식의자(11)의 각 구분 부분의 길이를 살펴보면, 무릎 지지부(17)의 길이가 가장 짧고, 다음으로 허리지지부(14)의 길이가 짧으며, 그 다음에는 종아리 지지부(18), 엉덩이 지지부(16), 머리지지부(15)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예로서는, 상기 굴절형 좌식의자(11)를 구성하는 각 지지부의 길이는 다음과 같이 정해진다.
상기 종아리 지지부(18)는, 사용자의 슬하(膝下)부분(발끝으로부터 무릎 뒤쪽까지의 부분)에 상당하는 길이에 대응되고, 상기 무릎 지지부(17)는 슬상(膝上)부위(즉, 대퇴부)에 상당하는 길이로 되며, 상기 둔부지지부(10)는 엉덩이 부분 혹은 엉덩이에 대퇴부와 허리부로 포함하는 부위에 상당하는 길이로 되고, 상기 허리지지부(14)는 허리부 혹은 허리부로부터 등부위에 상당하는 길이로 되며, 상기 머리지지부(15)는 등 부위로부터 머리부 혹은 어깨부로부터 머리부에 상당하는 길이 로 구성된다.
도2b를 참고하면, 상기 굴절형 좌식의자(11)의 내부에는 각 지지부들의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들이 설치된다. 즉, 머리지지부(15)의 뼈대를 이루는 머리지지부 프레임(15a), 허리지지부(14)의 뼈대를 이루는 허리지지부(14a), 엉덩이 지지부(14)의 뼈대를 이루는 엉덩이 지지부 프레임(13a), 무릎지지부(17)의 뼈대를 이루는 엉덩이 지지부 프레임(17a), 및 종아리 지지부(18)의 뼈대를 이루는 종아리 지지부 프레임(18a)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들은 강재(鋼材) 파이프로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프레임들 중에서, 머리지지부 프레임(15a), 허리지지부 프레임(14a), 엉덩이 지지부 프레임(16a) 및 무릎 지지부 프레임(17a)은 각각 라체트식 회전기구(20a,20b,20c)로 구성된 각도조절부들(26,27,28)에 의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나, 상기 종아리 지지부 프레임(18a)은 무릎 지지부 프레임(17a)과 직접 연결되지 않고 떨어져 있으며, 상기 프레임들 위로 채워진 매트부재(22)와 연질 우레탄 폼(23) 및 커버부재(2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종아리 지지부 프레임(18a)은 도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릎 지지부 프레임(17a)에 대해서 거의 150~160° 이상의 각도로 굴절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2b에서 미설명부호 12a는 상반신 지지부 프레임이고, 13a는 하반신 지지부 프레임이며, 26은 허리부측 각도조절부, 27은 머리부측 각도조절부이고 28은 다리부측 각도조절부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아리 지지부 프레임(18a)을 제외한 각 프레임 들(14a,15a,16a,17a)이 상기 각도조절부들(26,27,28)을 매개하여 서로 연결되고, 종아리 지지부 프레임(18a)이 무릎 지지부 프레임(17a)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져 놓인 다음에는 그 상하로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 매트부재(22)가 덮여지며, 매트부재(22)의 위로는 연질 우레탄 폼(23)이 놓인다. 그리고, 프레임들과 매트부재 및 연질우레탄 폼으로 구성된 굴절형 좌식의자(11)는 자루형의 커버부재(25)안에 넣어진다. 상기 커버부재(25)는 폴리에스테르 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b를 참고하여, 상기 굴절형 좌식의자(11)를 구성하는 각 지지부의 상대적인 길이 배분을 살펴보면, 상기 무릎 지지부 프레임(17a)은 "매트리스"의 형태로서의 굴절형 좌식의자(11)의 두께(예를 들어, 80~100mm)의 약 1.5배 내지 2배 정도의 길이로 구성되고, 상기 허리지지부 프레임(14a)은, 상기 굴절형 좌식의자(11)의 두께의 약 4배 정도(상기 무릎지지부 프레임(17a)의 약 2배 정도)의 길이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종아리 지지부(18), 둔부지지부(16) 및 머리지지부(15)는 대략 동일한 길이로 구성되되, 허리지지부(14)의 약 3배 정도의 길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굴절형 좌식의자(11)를 "콤팩트"한 형태로 굴절하여 접을 때에는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머리지지부(15), 허리지지부(14) 및 둔부 지지부(15)가 ㄷ자형으로 굴절되어 제1굴절형태를 이루며, 상기 종아리 지지부(18), 무릎 지지부(16) 및 둔부 지지부(15)가 ㄷ자형으로 굴절되어 제2굴절형태를 이룬다. 이때, 상반신 지지부(12)가 이루는 상기 제1굴절형태 안에 하반신 지지부(13)가 이루는 제2굴절형태가 쏙 들어감으로써 결국 둔부 지지부(15)의 길이 만큼으로 작게 접을 수 있다.
즉, 허리지지부(14) 내지 무릎 지지부(17)는 둔부지지부(16)에 대해 대략 직립된 형태로 되고, 상기 허리지지부(14)와 무릎 지지부(17)가 이와 같은 형태(제2굴절형태)로 될 때, 상기 종아리 지지부(18)는 이 선단이 허리지지부(14)에 대략 접촉할 때까지 상기 머리지지부(15) 내지 상기 둔부지지부(16)의 사이에 수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굴절형 좌식의자(11)가 "매트리스"의 형태일 때에 그 전체 길이는 1950mm 정도로 하고, 폭은 550m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b 및 도2c에 도시된 라체트식 회전기구(20a, 20b, 20c)는 회전가능 범위안에서 단계적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며, 그 조절된 각도에 머물러 있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라체트식 회전기구(20a, 20b, 20c)의 회동가능 범위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본 고안에서는 대략 90°의 회동범위에서 각도조절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3a는 도2b 및 도2c에 도시된 굴절형 좌식의자(11)의 라체트식 회전기구(20)의 구성도이며, 도3b는 상기 라체트식 회전기구(2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3c는 라체트 고정부재(225)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3d는 상기 라체트식 회전기구(20)의 결합상태의 사시도이다.
도3a를 참고하면, 라체트식 회전기구(20)는 2개의 서로 마주보는 프레임들(211,221)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며, 양쪽 프레임들(211,221)에 각각 결합된 라체 트 수납부재(210)와 톱니형성부재(220)간의 결합을 이룬다.
상기 라체트 수납부재(210)는 그 일단이 프레임 부재(211)에 장착되고 그 타단은 U자형으로 갈라져 2개의 대향판들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라체트 수납부재(210)의 공간부(214, 도3b 참조) 안에는 라체트(212)가 내설되어 일 방향(도3a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라체트(212)에는 제1발톱(212a), 제2발톱(212b) 및 제3발톱(212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톱니형성부재(220)의 톱니부(222)가 상기 라체트 수납부재(210)안에 삽입되어 상기 라체트(212)와 결합되면, 톱니들(224)이 상기 제1발톱(212a)에 순차적으로 걸린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프레임 부재들(211,221)의 상대적 위치를 굴절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3a에서 미설명부호 213은 라체트(212)를 라체트 수납부재(210)안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리벳이고, 223은 톱니부(222)를 라체트 수납부재(210)안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결합리벳이다.
도3b를 참고하면, 상기 라체트 수납부재(210)의 공간부(214)안에는 라체트(212)와 스프링(215)이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의 제1단(215a)은 라체트 수납부재(210)안에 지지되고 제2단(215b)은 라체트(212)의 하단부에 지지됨으로써 라체트(212)가 시계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받게 된다.
톱니형성부재(220)의 일단은 프레임 부재(212)에 장착되고 그 타단은 U자형으로 갈라져 2개의 톱니부들(222)을 가지며, 상기 2개의 톱니부들(222)의 사이에는 라체트(212)와 톱니들(224)간의 결합을 일시적으로 해제하여 굴절상태를 풀을 수 있도록 하는 라체트 고정부재(225)가 삽입된다. 상기 라체트 고정부재(225)는 납작한 판 형상이며, 그 외주(外周)를 따라 제1턱(225a), 제2턱(225b), 라체트 고정돌기(225c) 및 제3턱(225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라체트 고정부재(225)의 제1턱(225a)과 제3턱(225d)은 도3c, 도3e 및 도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톱니부들(222)사이에 형성된 걸림턱 형상의 "미는 부분"(228)에 의해 밀려서 상기 라체트 고정돌기(225c)가 상기 라체트(212)의 제2발톱(212b)과 제3발톱(212c)의 사이에 끼워지거나 그 끼워진 상태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도3b에서 스프링(227)은 그 일단(227a)이 톱니부(222)의 스프링 고정구멍(226)안에 끼워지며, 그 타단(227b)이 라체트 수납부재(210)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이로써, 상기 프레임(221)은 프레임(211)에 대해 항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복원력을 받는다.
도3b에서 미설명부호 213a와 223a는 각각 라체트 수납부재(210)에 형성된 체결공들이고, 223b는 톱니부(222)에 관통 형성된 체결공이다.
도3e는 도3a에서 프레임들(211,221)이 90도로 굴절된 상태에서의 상기 라체트식 회전기구(20)의 단면 구성도이며, 도3f는 라체트 고정부재(225)가 라체트(212)와 톱니들(224)간의 결합을 해제한 상태의 단면 구성도이다.
상기 라체트식 회전기구(20)는 프레임(221)을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톱니(224)를 하나씩 라체트(212)의 제1발톱(212a)을 밀고 이동시킬 때마다 그 각도에서 지지될 수 있으며, 90°만큼 완전히 이동한 뒤에 상기 스프링(227)의 힘 을 이기고 더 밀면, 상기 미는 부분(228)이 라체트 고정부재(225)의 제1턱(225a)을 밀게 됨으로써 라체트 고정돌기(225c)가 라체트(212)의 제2발톱(212b)과 제3발톱(212c)사이에 놓이게 되고, 이로써 제1발톱(212a)이 톱니부(222)로부터 분리된다(도3c, 도3e 및 도3f 참조). 이 상태에서는, 스프링(227)의 복원력에 의해 프레임(221)이 자연스럽게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굴절형 좌식의자(11)가 침대형태로 펼쳐진다. 프레임(221)이 프레임(211)과 평행한 위치까지 회전된 후에는, 상기 미는 부분(228)이 라체트 고정부재(225)의 제3턱(225d)을 밀게 됨으로써 라체트 고정돌기(225c)가 라체트(212)로부터 이탈되고, 다시 라체트(212)의 제1발톱(212a)이 톱니들(224)과 결합된다.
도3f는 라체트 고정부재(225)의 라체트 고정돌기(225c)가 라체트(212)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며, 이때 톱니부(222)는 라체트(212)로부터 분리되어 A또는 B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도4a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굴절형 좌식의자(11)를 접은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4b는 그 단면도이다.
도4a 및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절형 좌식의자(11)는 간편한 형태로 포개져 정리됨으로써 보관 및 운반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각 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굴절형 좌식 의자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을 중점으로 상술한다.
도5a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굴절형 좌식의자(11)의 무릎지지부를 세운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5b는 그 단면도이다.
도5a와 같이 사용하면, 사람이 굴절형 좌식의자(11)에 올라가 앉아 있을 때 체중에 의해 엉덩이 부분이 발끝 쪽으로 미끄러짐으로써 배와 엉덩이에 불편하게 힘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무릎 지지부(17)와 종아리 지지부(18)가 프레임간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자유굴곡부(29, 도5b 참조)에 의해 매트부재(22)에 얹힌 형태로 연결되어 있더라도, 무릎 지지부(17)를 둔부지지부(15)에 대해서 소정각도로 세워놓기만 하면, 무릎 지지부(17)의 위치가 고정되고, 종아리 지지부(18)는 사람의 종아리와 발의 무게에 의해 그 끝이 지면에 닿게 되므로, 종아리 지지부(18)가 제멋대로 요동하는 일은 없다.
도6a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굴절형 좌식의자(11)의 종아리 지지부(18)를 접어 단순한 의자 형태("콤팩트형")로 사용하는 것을 도시하며, 도6b는 그 단면도이다.
굴절형 좌식의자(11)를 "매트리스" 형태로부터, 둔부지지부(16)에 대하여 무릎지지부(17)를 시계방향으로 90° 회전시키고, 그 다음으로 종아리 지지부(18)를 무릎지지부(17)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90° 회전시켜, 종아리 지지부(18)가 둔부지지부(16)에 대접(對接)하도록 한다. 그리고, 계속해서 둔부지지부(16)에 대하여 상반신 지지부(12)를 시계반대방향으로 90° 회전시키면, 도6a와 같은 콤팩트형의 좌식의자(11)가 되며, 이러한 형태는 비좁은 공간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7a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굴절형 좌식의자(31)의 사시도이고, 도7b는 그 단면도이다.
도7a를 참고하면, 굴절형 좌식의자(31)의 소정의 부위에는 진동 마사지를 위한 바이브레이터(32)가 설치되며, 사람의 엉덩이에 대응되는 부분(둔부지지부)에는 온열찜질을 위한 온열시트(33)가 내장된다.
상기 바이브레이터(32)는 사람의 어깨, 등, 허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 설치되며, 이에 추가하여 무릎과 종아리의 위치에도 바이브레이터(32)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이브레이터(32)와 온열시트(33)는 전기에 의해 작동되는 것으로서,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절형 좌식의자(31)에 연결된 리모콘(34)에 의해 그 작동과 정지 및 마사지 세기, 온열시트의 발열 온도 등을 설정할 수 있고, 소정의 마사지 프로그램과 온열시트 작동프로그램을 내장하여, 사용자가 간단히 버튼만 누르면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마사지 및 온열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바이브레이터(32)는, 하반신 지지부(13)에 2개, 상반신 지지부(12)에 5개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하반신지지부(13)에 구비된 2개의 바이브레이터(32)는 사용자가 굴절형 좌식의자(31)위에 앉았을 때 무릎 뒤에 상당하는 부위에 매설되어 있다. 즉, 상기 굴절자재부(29) 혹은 그 근방부위에 폭 방향으로 매설되어 있어서 의자(31)에 올라탄 사람(사용자)의 좌우 양 무릎 뒤를 자극하게 된다.
또한, 상반신지지부(12)에 구비된 5개의 바이브레이터(32) 중의 4개는 허리지지부(14) 내지 머리지지부(15)에 매설되어 있으며, 폭 방향의 중앙부에 기준으로 좌우 양측 부위에 각각 매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5개의 바이브레이터(32)중의 나머지 1개는 머리지지부(15)와 허리지지부(14) 사이의 폭방향 중앙측에 매설되어 있다.
도7b를 참고하면, 상기 바이브레이터(32)와 온열시트(33)는 매트부재(22)와 연질 우레탄 폼(23)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자유굴곡부(29)에 상당하는 부위에는, 프레임과 라체트식 회동기구와 같은 부재들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바이브레이터(32)를 매설하는 것이 용이하며, 특히, 무릎 뒤에 대응하는 적절한 부위에 매설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바이브레이터(32)는,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상반신지지부(12)에도 매설되어 있기 때문에 허리부와 엉덩이 부분을 마사지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예를 들어 허리지지부(14)에 마주보게 머리지지부(15)를 사용자의 신체 측에 경사시켜 머리부에 대응하게 누르는 힘이 향상되도록 함으로써 사람의 머리부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마사지를 시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반신지지부(12)에 있어서도, 여전히 둔부지지부(16)에 대한 허리지지부(14)의 경사각도 또는 허리지지부(14)에 대한 머리지지부(15)의 경사각도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마사지의 강약을 임의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8은 도7a의 굴절형 좌식의자(31)에 채용된 바이브레이터(32)의 분해사시도이다. 여러 가지 종류의 바이브레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편심웨이트(321)가 장착된 소형의 직류모터(320)를 작동시킴으로써 진동이 일어나도록 하는 구성을 취하였다. 도8의 미설명부호 322a 및 322b는 상기 모터(321)를 감싸는 상하부 커버이며, 323a 및 323b는 모터(320)에 연결된 전선이다.
도9a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굴절형 좌식의자(41)의 배면도이며, 도9b는 그 측단면도이다.
도9a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굴절형 좌식의자(41)는 상반신지지부(12)의 머리부측에 베개부재(42)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베개부재(42)는, 도9a 및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개 연결부재(43)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에 봉착되어 있다. 머리지지부(15)의 배면측 부위에는 면 패스너(44a)를 봉착되어 있어서 상기 베개 연결부재(43)가 이에 결합된다. 상기 베개연결부재(43)의 길이방향 타 단부측에는 상기 면 패스너(43)에 계합가능한 면 패스너(44b)가 봉착되어 있다.
또한, 도9a를 참고하면, 굴절형 좌식의자(41)의 커버부재(25)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굴절형 좌식의자(41)의 본체가 출입할 수 있다. 즉, 커버부재가 교체가능하다. 도면번호 45는 지퍼수단으로서, 이 밖에도 개구부를 여닫을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패스너들이 적용가능하다.
도9b를 참고하면, 머리지지부(15)의 선단측에는 베개부재(42)가 연설(連設)된 상태가 된다. 즉, 머리지지부(15)의 배면 측에 베개연결부재(43)를 개재시켜 베개부재(42)를 연결하며, 상기 베개부재(42)를 머리지지부(15)의 전면측으로부터 떼어내 후면측으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베개부재(42)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상반신 지지부(12)의 후면측에 베개연결부재(43)에 매달리 상태로 베개부재(42)를 늘어뜨리는 것이 가능하며(도9b의 가상선 참조), 상기 면 패스너들(44a,44b)의 계합을 해제하여 베개연결부재(43)와 베개부재(42)를 굴절형 좌식의자(41)로부터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베개부재(42)를 상기 상반신지지부(12)에 대응하여 취부하고 혹은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베개부재(42)를 떼어내어 좌식의자(41)의 쿠션 부재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는 떼어낸 후에 세탁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10a는 도9a의 굴절형 좌식의자(41)를 접은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10b는 그 단면도이다.
도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개부재(42)가 종아리 지지부(18)와 머리지지부(15)의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굴절형 좌식의자(41)를 접었을 때에 각 지지부들이 불필요하게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11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굴절형 좌식의자(61)의 사시도이며, 도12는 상기 굴절형 좌식의자(61)의 허리부 각도조절장치의 구조를 보인 일부 해체 사시도이다.
도11에 도시된 굴절형 좌식의자(61)는 제2실시예(도7a 및 도7b)의 굴절형 좌식의자(31)와 비교하여 상반신 지지부(12)와 하반신 지지부(13)의 사이에 각도조절레버(62)를 설치하여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점이 차이가 난다.
제2실시예의 경우에는, 일단 사람이 굴절형 좌식의자(31)위에 앉은 상태에서 상반신 지지부(12)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다시 일어나서 상반신 지지부(12), 즉 허리지지부(14)의 각도를 조절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상반신 지지부(12)와 하반신 지지부(13)사이의 결합상태를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레버(62)를 구비한 것이다.
도12를 참고하면, 상기 각도조절레버(62)는 자동차 시트의 각도조절장치의 구성과 동일하며, 각도조절레버(62)를 수평으로 둔 상태에서는 각도조절 회전부(300)의 각도가 그대로 유지되지만, 레버(62)를 당겨 올리게 되면(D방향) 각도조절 회전부(300)안의 라체트 결합이 풀려서 스프링(미도시)의 작용에 의해 상반신 지지부(12)가 세워지는 방향(E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도조절레버(62)를 당긴 상태에서 등과 허리의 힘을 이용하여 상반신 지지부(15)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2에서 미설명부호 301은 회전기구(300)안에 장착된 회전부 고정수단을 지시하며, 302는 좌식의자(61)의 한쪽에만 설치된 각도조절레버(62)의 동작을 반대쪽의 각도조절회전부(300)에 전달하기 위한 연결강재이다.
도12와 같이 한쪽의 각도조절레버(62)의 동작이 의자의 반대 쪽의 각도조절회전부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와 달리 각도조절회전부(300)가 한 개만 있어도 사람의 체중을 충분히 버틸 수 있는 경우에는 각도조절레버(62)가 장착되지 않은 쪽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아무런 제재수단을 설치하지 않는 구성도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각 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굴절형 좌식 의자는 각 지지부가 약 90°의 각도로 자유롭게 굴절되어 콤팩트한 형태로 수납가능하며, 사용자가 자 기의 몸에 맞도록 각 부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온열찜질 기능과 마사지 기능까지 구비하여 언제 어디서나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2)

  1. 사람의 신체 중 머리부를 지지하는 머리지지부(15);
    상기 머리지지부(15)와 상호 굴절가능하게 연결되며, 사람의 신체 중 허리부를 지지하는 허리지지부(14);
    상기 허리지지부(14)와 상호 굴절가능하게 연결되며, 사람의 신체 중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는 둔부지지부(16);
    상기 둔부지지부(16)와 상호 굴절가능하게 연결되며, 사람의 신체 중 무릎부분을 지지하는 무릎지지부(17); 및
    상기 무릎지지부(17)와 상호 굴절가능하게 연결되며, 사람의 신체 중 종아리와 발 부분을 지지하는 종아리 지지부(18);로 구성되며,
    상기 머리지지부(15), 허리지지부(14), 둔부지지부(16), 무릎지지부(17) 및 종아리 지지부(18)의 내부에는 각각 철제의 머리지지부 프레임(15a), 허리지지부 프레임(14a), 둔부지지부 프레임(16a), 무릎지지부 프레임(17a) 및 종아리 지지부 프레임(18a)이 장착되고,
    상기 머리지지부 프레임(15a), 허리지지부 프레임(14a), 둔부지지부 프레임(16a) 및 종아리 지지부 프레임(17a)의 연결부위에는 라체트식 회전기구(20)를 개재하여 상호 굴절가능하며,
    상기 프레임들(15a,14a,16a,17a,18a)의 주위에는 합성수지재의 매트부재(22)가 설치되며, 상기 매트부재(22)의 위에는 연질의 우레탄 폼(23)과 커버부재(2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 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굴절형 좌식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지지부(15), 상기 허리지지부(14) 및 상기 둔부지지부(16)는 ㄷ자형으로 굴절되어 제1굴절형태로 접혀지고, 상기 종아리 지지부(18), 상기 무릎 지지부(17) 및 상기 둔부지지부(16)는 상기 제1굴절형태에 마주보는 방식으로 ㄷ자형으로 굴절되어 제2굴절형태로 접혀지며,
    상기 각 부는 상기 제2굴절형태가 상기 제1굴절형태 안으로 들어가 포개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각 부의 길이가 배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 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굴절형 좌식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지지부(15), 상기 둔부지지부(16) 및 상기 종아리 지지부(18)를 대략 동일한 길이로 구성하고, 상기 무릎 지지부(17)는 상기 허리지지부(14)의 길이의 절반 정도의 길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 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굴절형 좌식 의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아리 지지부와 상기 무릎지지부의 각 프레임들은 서로 연결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 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굴절형 좌식 의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지지부와 상기 허리지지부 및 상기 종아리지지부 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바이브레이터(32)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 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굴절형 좌식 의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브레이터(32)는 상기 매트부재(22)와 상기 우레탄 폼(23)의 사이에 매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 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굴절형 좌식 의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브레이터(32)의 작동 및 정지와 강약 정도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는 리모콘(34)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 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굴절형 좌식 의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둔부지지부(16)에는 온열시트(33)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 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굴절형 좌식 의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온열시트(33)의 발열기능을 작동 및 정지하는 리모콘(34)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 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굴절형 좌식 의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체트식 회전기구(20)는,
    일단은 한쪽의 프레임 부재(211)에 장착되고 타단은 U자형으로 갈라져 2개의 대향판들을 가진 라체트 수납부재(210);
    일단은 다른 한쪽의 프레임 부재(212)에 장착되고 타단은 U자형으로 갈라져 2개의 톱니부들(222)을 가진 톱니형성부재(220);
    상기 라체트 수납부재(210) 안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어 일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제1발톱(212a) 및 제2발톱(212b)을 갖는 라체트(212); 및
    상기 2개의 톱니부들(222) 사이에 위치되는 라체트 고정부재(225);를 구비하며,
    상기 톱니형성부재(220)의 톱니들(224)은 상기 제1발톱(212a)에 순차적으로 걸린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프레임 부재들(211,221)의 상대적 위치가 굴절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 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굴절형 좌식 의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라체트 고정부재(225)의 외주(外周)에는 제1턱(225a), 제2턱(225b), 라체트 고정돌기(225c) 및 제3턱(225d)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톱니형성부재(220)의 내부 공간에는 미는 부분(228)이 형성되며, 상기 미는 부분(228)이 상기 제1턱(225a)을 밀을 때에 상기 라체트 고정돌기(225c)가 상기 라체트(212)의 제2발톱(212b)과 결합되어 상기 라체트(212)와 상기 톱니부(222) 간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 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굴절형 좌식 의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지지부(15) 또는 그 근방에 베개 부재(42)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 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굴절형 좌식 의자.
KR2020060015391U 2005-06-09 2006-06-08 각 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굴절형 좌식 의자 KR2004262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391U KR200426278Y1 (ko) 2005-06-09 2006-06-08 각 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굴절형 좌식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68993 2005-06-09
KR2020060015391U KR200426278Y1 (ko) 2005-06-09 2006-06-08 각 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굴절형 좌식 의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1464A Division KR20060128702A (ko) 2005-06-09 2006-06-08 각 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굴절형 좌식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278Y1 true KR200426278Y1 (ko) 2006-09-19

Family

ID=41774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5391U KR200426278Y1 (ko) 2005-06-09 2006-06-08 각 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굴절형 좌식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2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755B1 (ko) * 2023-03-07 2023-06-21 노은경 L자 다리 스트레칭 운동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755B1 (ko) * 2023-03-07 2023-06-21 노은경 L자 다리 스트레칭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89711B2 (ja) マッサージ椅子
JP3655094B2 (ja) 椅子式エアーマッサージ機
JP3782254B2 (ja) エアマッサージ機
US5630651A (en) Pressure adjustable cervical pillow with lateral sides
JP4226283B2 (ja) マッサージ機
KR20060128702A (ko) 각 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굴절형 좌식 의자
JP2011224035A (ja) マッサージ機
KR20140090414A (ko) 의자와 방석의 구조 변형에 대한 발명
KR200426278Y1 (ko) 각 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굴절형 좌식 의자
JP3105499B2 (ja) マッサージ器及び椅子型マッサージ装置
KR100524660B1 (ko) 사우나겸 안마기능을 갖는 안락의자
KR101927653B1 (ko) 기능성 베개
JPH11178874A (ja) マッサージ機
CN105982806A (zh) 全身按摩装置
JP4866720B2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JP3836857B2 (ja) 整体装置
JP2003169836A (ja) 姿勢矯正用身体押し当て装置
JP2620116B2 (ja) 腰掛用家具
KR200456599Y1 (ko) 척추 받침대
JP2004024886A (ja) 二重足載台を備えた椅子
KR20020076213A (ko) 자동 공기압 조절에 의한 요동형 에어 매트
KR200361519Y1 (ko) 다목적 등받이
JP2004215916A (ja) 背部押圧治療器具
JP2004215895A (ja) 椅子型マッサージ装置及び局所用マッサージ機
KR200312300Y1 (ko) 사우나겸 안마기능을 갖는 안락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