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467Y1 - 다리 받침대 - Google Patents
다리 받침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5467Y1 KR200435467Y1 KR2020060027068U KR20060027068U KR200435467Y1 KR 200435467 Y1 KR200435467 Y1 KR 200435467Y1 KR 2020060027068 U KR2020060027068 U KR 2020060027068U KR 20060027068 U KR20060027068 U KR 20060027068U KR 200435467 Y1 KR200435467 Y1 KR 20043546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surface
- calf
- angle
- less
- thig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2—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20/021—Foot or leg supports
Abstract
본 고안은 다리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면, 4개의 측면 및 상면을 구비한 육면체 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지되,상기 몸체는 딱딱한 재질의 스펀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4개의 측면 중 하나의 측면은, 바닥에 누운 사용자의 넓적다리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바닥면과 40°이상 70°이하의 각을 이루는 넓적다리 지지면이고, 상기 상면은, 상기 넓적다리 지지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종아리부분을 지지하는 종아리 지지면이며, 상기 종아리 지지면의 가상의 연장면은 상기 바닥면의 가상의 연장면과 15°이상 35°이하의 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의 다리 받침대의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다리 받침대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개략적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다리 받침대에 높이보충부재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높이보충부재가 몸체가 결합된 상태의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다리 받침대 10 ... 몸체
11 ... 바닥면 12 ... 옆면
13 ... 뒷면 14 ... 넓적다리 지지면
16 ... 종아리 지지면 18 ... 쿠션부재
20 ... 높이보충부재 22 ... 탄성밴드
본 고안은 다리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누워서 다리를 올려놓고 편하게 쉴 수 있는 다리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오랜 시간 동안 걷고 난 후나 오랜 시간 서 있게 되면, 대부분 다리에 피로를 느끼고 사람에 따라서는 다리가 붓고 이로 인한 통증을 호소하게 된다. 붓고 통증을 느끼는 사람들은 다리를 둔부보다 높게 하고 누워있으면 평평한 바닥이나 침대에 그냥 누워있으면 다리의 피로가 더 빨리 풀린다는 사실을 경험을 통해서 혹은 여러가지 의학적인 정보를 통해 알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피로는 느끼는 다리를 올려놓을 만한 적당한 것이 별도로 준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베개나 쿠션 등을 무릎 밑에 놓고 누워있거나 혹은 바닥에 누워 다리를 침대 위나 의자 위에 올려놓을 수밖에 없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누워 편하게 다리를 올려놓고 쉴 수 있는 다리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다리 받침대는, 바닥면, 4개의 측면 및 상면을 구비한 육면체 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는 딱딱한 재질의 스펀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4개의 측면 중 하나의 측면은, 바닥에 누운 사용자의 넓적다리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바닥면과 40°이상 70°이하의 각을 이루는 넓적다리 지지면이고, 상기 상면은, 상기 넓적다리 지지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종아리부분을 지지하는 종아리 지지면이며, 상기 종아리 지지면의 가상의 연장면은 상기 바닥면의 가상의 연장면과 15°이상 35°이하의 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몸체의 넓적다리 지지면과 종아리 지지면에는, 상기 몸체의 재질보다 부드러운 재질로 만들어진 쿠션부재가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종아리 지지면의 위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종아리 지지면의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는 높이보충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높이보충부재는 상부로 갈수록 상하방향의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높이보충부재에는 탄성밴드를 구비하여, 그 탄성밴드가 탄성변형되며 상기 몸체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높이보충부재가 상기 종아리 지지면의 위에 결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넓적다리 지지면과 바닥면이 이루는 각도는 53°이상 57°도 이하이고, 상기 상면의 가상의 연장면이 상기 바닥면의 가상의 연장면과 이루는 각도는 21°이상 25°이하이며, 상기 넓적다리 지지면의 상하방향 길이는 27cm 이상 33cm 이하이고, 상기 종아리 지지면의 상하방향의 길이는 40cm 이상 50c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다리 받침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개략적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다리 받침대(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누운 사용자(100)가 다리를 올려놓을 수 있는 것으로서, 몸체(10) 및 높이보 충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몸체(10)는, 딱딱한 재질의 스폰지로 이루어지며, 바닥면(11), 4개의 측면 및 상면을 구비한 육면체 형상이다.
몸체(10)를 이루는 스폰지는, 사용자가 다리를 올려놓아도 그 형태가 크게 변하지 않는 정도로 딱딱하다. 하지만, 몸체(10)가 푹신푹신한 느낌을 주는 정도의 스폰지로 만들어진 것은 아니지만, 다른 소재 예컨대 나무 등과는 달리 외력에 의해 어느 정도의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몸체(10)는 커버(19, 도 3참조)에 의해 전체적으로 감싸있다. 커버(19)는 사용자가 접촉하는 경우 좋은 느낌을 주도록 자연섬유인 면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19)는 몸체(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입체 재단되고, 지퍼 혹은 밸크로접착테이프 등을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19)는 지퍼 등을 이용하여 내부를 개방한 후, 몸체(10)에 씌우고 난 후 지퍼 등을 다시 채운다.
상기 몸체(10)의 바닥면(11)은, 몸체(10)의 하측면을 이루는 면으로서, 일반적으로 몸체(10)가 놓여져 사용되는 거실바닥, 방바닥이나 침대의 상면과 접하는 면이다.
4개의 측면은,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바닥면(11)과 직각을 이루며 몸체(10)의 양측에 대면하도록 배치된 두 개의 옆면(12)과, 뒤에 위치한 뒷면(13) 및 앞에 위치한 넓적다리 지지면(14)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넓적다리 지지면(14)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누운 사용 자(100)의 넓적다리(102)의 아래부분을 지지하는 면이다. 넓적다리는 사람의 무릎관절 위의 다리 부분을 말한다.
넓적다리 지지면(14)과 바닥면이 이루는 각(α)은, 40°이상 70°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53°이상 57°이하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55°로 되어있다.
넓적다리 지지면(14)과 바닥면이 이루는 각이 위에 제시한 범위 내에 있어야 누운 사용자가 다리를 올려놓았을 때, 편안함을 느낄 수 있고 다리의 피로도 빨리 풀리게 된다. 즉, 상기 각(α)이, 40°보다 작을 경우, 올려진 다리의 높이가 너무 낮게 되어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되고, 70°보다 큰 경우에는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각(α)이 55°로 되어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가장 편한함을 느끼고 피로회복이 빨리 이루어지는 각도이다. 각(α)이 55°라는 의미는, 수학적으로 정확한 55°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대략적으로 혹은 실질적으로 55°정도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각(α)이 53°이상 57°이하 정도이면, 55°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상면은, 넓적다리 지지면(14)으로부터 위쪽을 향해 연장형성된 면으로서, 사용자의 종아리부분을 지지하는 종아리 지지면(16)이다.
종아리 지지면(16)은, 도 2를 참조하면, 바닥에 누운 사용자의 다리 부분 중에서 무릎 아래부분인 종아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종아리 지지면(16)은, 그 가상의 연장면과 바닥면(11)의 가상의 연장면이 만나서 이루는 각(β)이, 15°이상 35°이하가 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각(β)은 바람직하게는, 21°이상 25° 이하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23°로 되어있다.
종아리 지지면(16)과 바닥면이 이루는 각(β)이 위에 제시한 범위 내에 있어야 누운 사용자가 다리를 올려놓았을 때, 편안함을 느낄 수 있고 다리의 피로도 빨리 풀리게 된다. 즉, 상기 각(β)이, 21°보다 작을 경우, 올려진 다리의 높이가 너무 낮게 되어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되고, 25°보다 큰 경우에는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각(β)이 23°로 되어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가장 편한함을 느끼고 피로회복이 빨리 이루어지는 각도이다. 각(β)이 23°라는 의미는, 수학적으로 정확한 23°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대략적으로 혹은 실질적으로 23°정도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각(β)이 23°이상 25°이하 정도이면, 55°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넓적다리 지지면(14)의 상하방향 길이(L1)는 27cm 이상 33cm 이하이고, 종아리 지지면(16)의 상하방향의 길이(L2)는 40cm 이상 50c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길이의 범위는 한국인 성인남녀의 넓적다리 및 종아리 부분의 평균길이를 고려하여 설정된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넓적다리 지지면(14)의 상하방향 길이는 29cm 이고, 종아리 지지면(16)의 상하방향의 길이는 44cm로 되어 있다. 한편, 상하방향의 길이라 함은 수직방향의 길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넓적다리 지지면(14)과 종아리 지지면(16) 각각이 위쪽으로 상승하는 경사면을 따라 연장된 부분의 길이를 의미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넓적다리 지지면(14)과 종아리 지지면(16)의 폭은 상호 동일하며, 본 실시예의 경우 40cm 정도로 되어 있다. 이러한 폭의 길이는 사용자의 두 다리를 동시에 지지하기에 적합하다. 다만, 두 다리를 동시에 지지할 수만 있다면. 폭의 길이는 작게 하거나 크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다리 받침대(1)는, 쿠션부재(18)를 더 구비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쿠션부재(18)는 몸체(10)의 넓적다리 지지면(14)과 종아리 지지면(16)에 결합되어 있다. 쿠션부재(18)는, 몸체(10)의 재질보다 부드러운 재질로 만들어져 있다. 몸체(10)는 사용자의 다리를 지지해야 하기 때문에 딱딱한 재질의 스폰지로 되어 있지만, 사용자에게 보다 편한 느낌을 주기 위해 사용자의 다리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부드러운 재질의 쿠션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쿠션부재(18)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형상의 부드러운 스폰지 소재로 만들어지며, 넓적다리 지지면(14) 및 종아리 지지면(16)의 상면에 부착되어 결합되고, 넓적다리 지지면(14) 및 종아리 지지면(16)을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다리 받침대(1)는 높이보충부재(20)를 더 구비한다.
상기 높이보충부재(20)는, 종아리 지지면(16)의 위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종아리 지지면(16)의 높이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평균보다 긴 다리를 가지는 사용자가 다리 받침대를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길이에 맞도록 높이보충부재(20)를 이용하여 종아리 지지면(16)의 높이, 즉 사용자가 누운 바닥으로부터의 종아리 지지면(16)까지의 높이를 증가시켜 다리 받침대를 이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몸체(10)에 결합된 높이보충부재(20)의 상면이 결과적으로 종아리 지지면(16)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높이보충부재(20)는, 몸체(10)와 동일한 재질의 딱딱한 스폰지로 만들어지며, 딱딱한 스폰지의 위에 쿠션부재(18)와 동일한 재질의 부드러운 스폰지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외측면은 몸체의 커버(19)와 같은 재질의 면 소재의 커버로 감싸여져 있다. 높이보충부재(20)의 구성은 몸체(10)와 비교하여 크기와 형상은 상이하나, 만들어지는 재료나 구성은 상호 유사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높이보충부재(20)는, 상부로 갈수록 상하방향의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아래쪽에 위치한 높이보충부재(20)의 하부(24)는 얇게 되어 있지만, 위쪽의 상부(26)로 갈수록 점차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만, 점차 두꺼워져 소정의 두께에 이르면, 그 두께를 그대로 유지할 채 상부(26)가 연장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높이보충부재(20)에는 탄성밴드(22)를 구비하고 있다.
탄성밴드(22)는, 탄성을 가지는 띠형상의 고무줄로 만들어진다. 탄성밴드(22)의 양단부는 각각 높이보충부재(20)의 폭 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높이보충부재(20)를 도 4의 가상선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종아리 지지면(16) 위에 올려 놓은 후, 탄성밴드(22)를 탄성가 탄성변형시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에 걸쳐 놓으면, 높이보충부재(20)가 종아리 지지면(16)의 위에 안정되게 결합되는 것이다. 탄성밴드(22)를 이용해 몸체(10)에 고정된 높이보충부재(20)는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몸체(10)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다리 받침대(1)에 의하면, 바닥에 누운 사용자가 다리를 올려놓고 편하게 쉬기만 하면, 다리의 피로가 신속하게 풀리는 것은 물론 다리의 붓기도 없애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소위 '디스크'라고 불리는 추간판탈출증이나 그 밖에 각종 허리 질병, 혹은 다른 여러 원인으로 의해 허리에 통증을 느끼는 사용자가, 본 고안에 따른 다리 받침대에 다리를 올려놓고 누워있게 되면, 허리가 곧바르게 펴지고 척추에 가해지는 하중이 최소화되어, 결과적으로 척추가 올바르게 위치하여 허리의 통증이 크게 완화되고 부수적으로 질병이 빠르게 치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다리 받침대(1)는 이동이 용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곳이며 어디에나, 예컨대 거실, 방, 침대 등에 놓고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높이보충부재(20)를 구비하는 경우, 평균보다 긴 다리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도 자신의 신체의 특성에 맞추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높이보충부재(20)는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구조에 보다 잘 대응하기 위해, 하나가 아니고 다양한 두께를 가지는 여러 개가 마련된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리 받침대에 따르면, 바닥에 누운 사용자가 편하게 다리를 올려놓고 쉴 수 있어서, 다리의 피로는 물론 붓기도 신속하게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 바닥면, 4개의 측면 및 상면을 구비한 육면체 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지되,상기 몸체는 딱딱한 재질의 스펀지로 이루어지고,상기 4개의 측면 중 하나의 측면은, 바닥에 누운 사용자의 넓적다리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바닥면과 40°이상 70°이하의 각을 이루는 넓적다리 지지면이고,상기 상면은, 상기 넓적다리 지지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종아리부분을 지지하는 종아리 지지면이며,상기 종아리 지지면의 가상의 연장면은 상기 바닥면의 가상의 연장면과 15°이상 35°이하의 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받침대.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몸체의 넓적다리 지지면과 종아리 지지면에는, 상기 몸체의 재질보다 부드러운 재질로 만들어진 쿠션부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받침대.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종아리 지지면의 위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종아리 지지면의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는 높이보충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받침대.
- 제3항에 있어서,상기 높이보충부재는 상부로 갈수록 상하방향의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되고,상기 높이보충부재에는 탄성밴드를 구비하여, 그 탄성밴드가 탄성변형되며 상기 몸체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높이보충부재가 상기 종아리 지지면의 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받침대.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넓적다리 지지면과 바닥면이 이루는 각도는 53°이상 57°이하이고,상기 상면의 가상의 연장면이 상기 바닥면의 가상의 연장면과 이루는 각도는 21°이상 25°이하이며,상기 넓적다리 지지면의 상하방향 길이는 27cm 이상 33cm 이하이고, 상기 종아리 지지면의 상하방향의 길이는 40cm 이상 50c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받침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7068U KR200435467Y1 (ko) | 2006-09-29 | 2006-09-29 | 다리 받침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7068U KR200435467Y1 (ko) | 2006-09-29 | 2006-09-29 | 다리 받침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5467Y1 true KR200435467Y1 (ko) | 2007-01-24 |
Family
ID=41562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27068U KR200435467Y1 (ko) | 2006-09-29 | 2006-09-29 | 다리 받침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5467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1571B1 (ko) * | 2018-07-31 | 2019-07-18 | 한상호 | 수술 보조용 다리 받침대 |
KR102363423B1 (ko) * | 2020-11-19 | 2022-02-14 | 도원석 | 높이 및 경사를 조절할 수 있는 다리베개 |
-
2006
- 2006-09-29 KR KR2020060027068U patent/KR20043546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1571B1 (ko) * | 2018-07-31 | 2019-07-18 | 한상호 | 수술 보조용 다리 받침대 |
KR102363423B1 (ko) * | 2020-11-19 | 2022-02-14 | 도원석 | 높이 및 경사를 조절할 수 있는 다리베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044355C (en) | Mattress with removable insert | |
US4912788A (en) | Seat pad for invalid patients | |
JPH10509357A (ja) | 授乳その他の用途に使用する腰部支持体を有する支持枕 | |
KR101577903B1 (ko) | 교정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베개 | |
JP3163090U (ja) | 椅子布団 | |
KR200435467Y1 (ko) | 다리 받침대 | |
KR200469668Y1 (ko) | 기능성 방석 | |
KR200405706Y1 (ko) | 기능성 메모리폼 베개 | |
JP5592094B2 (ja) | 腹臥位用敷き寝具 | |
JP4220492B2 (ja) | 下肢安定用具 | |
KR200438607Y1 (ko) | 베개 | |
JP2006015129A (ja) | 看護用マット | |
KR100760469B1 (ko) | 허리를 받쳐주는 뒷무릎 베개 | |
KR200496116Y1 (ko) | 다용도 쿠션 | |
JP3208649U (ja) | 敷マット | |
KR200340222Y1 (ko) | 치료 의자용 매트 | |
CN210870602U (zh) | 一种复合式枕垫结构及坐垫结构 | |
RU2144302C1 (ru) | Эргономическое ложе | |
KR20100009871U (ko) | 건강용 발 베개 | |
CA1239709A (en) | Thigh support cushion | |
KR200405725Y1 (ko) | 다리 쿠션 | |
JPS5828580Y2 (ja) | 胡座もしくは横座り姿勢における姿勢矯正用具 | |
JP3050136U (ja) | クッション | |
JPH11235254A (ja) | 多目的クッション | |
KR200411079Y1 (ko) | 발 침낭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129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