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445Y1 - 프레스가열접착방식의 쿠션방석 - Google Patents

프레스가열접착방식의 쿠션방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7445Y1
KR200397445Y1 KR20-2005-0021003U KR20050021003U KR200397445Y1 KR 200397445 Y1 KR200397445 Y1 KR 200397445Y1 KR 20050021003 U KR20050021003 U KR 20050021003U KR 200397445 Y1 KR200397445 Y1 KR 2003974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elastic member
user
upper cover
press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10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일호
Original Assignee
송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일호 filed Critical 송일호
Priority to KR20-2005-00210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4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4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4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15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modular blocks, or inserts, with layers of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021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51Mattresses, cush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항문질환자나 출산직후의 임산부 혹은 하반신이 마비되어 거동이 불편한 자의 신체 특정 부위가 집중적으로 지면에 닿는 것을 방지하고, 히프나 허벅지 등 지면과 접하는 신체 하중을 전체로 분산시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돕고, 근력이 약한 노약자의 자세를 안정감 있게 교정할 수 있는 쿠션기능, 압력분산기능 및 자세교정기능을 갖는 프레스가열압착방식의 쿠션방석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소정 넓이의 면적을 갖는 고신축성의 상부커버와, 상부커버에 비해서 신축성이 같거나 떨어지는 하부커버와, 사용자의 체중을 지탱하면서 함몰되지 않고 탄성력을 줄 수 있는 탄성부재 및 상부커버, 하부커버 및 탄성부재를 수직으로 접착 연결하는 다수개의 프레스 가열 압착선으로 구성되는 쿠션방석에 있어서, 상기 면적의 후방 중앙에 구비되어 항문질환자의 항문 등의 압박을 최소화하는 생식기보호부와, 상기 면적의 전방 중앙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앞으로 기울지 않고 직립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전방지지부 및 상기 면적의 가장자리 외둘레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외측으로 기울지 않도록 하는 외측보호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프레스가열접착방식의 쿠션방석 {Hot-press type cushion seat}
본 고안은 프레스가열압착방식의 쿠션방석에 관한 것으로, 항문질환자나 출산직후의 임산부 혹은 하반신 마비로 거동이 불편한 자의 신체 특정 부위가 집중적으로 지면에 닿는 것을 방지하고, 히프나 허벅지 등 지면과 접하는 신체 하중을 고루게 분산시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며, 근력이 약한 노약자의 자세를 안정감 있게 교정할 수 있도록 신체 하중을 지탱하면서도 함몰되지 않고 탄성력을 줄 수 있는 탄성부재를 신축성이 우수한 상부커버와 신축성이 비교적 떨어지는 하부커버 사이에 게재시켜 프레스 가열 압착함으로써 다양한 높낮이의 엠보싱을 형성하는 쿠션방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석은 가정, 사무실, 학교, 식당, 자동차 등 인간이 생활하고 작업하는 곳이면 어디에서든 사용되는 것이다. 특히 장시간 의자에서 생활하는 학생, 컴퓨터 앞에서 오랜 시간을 보내는 직장인, 차를 장시간 운전하는 운전자들은 스폰지 등으로 제작된 쿠션이 있는 방석을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석(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12)가 솜이나 스폰지와 같은 쿳숀(14)을 감싸는 형태로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나 병원 등에서 사용되는 방석 역시도 쿳숀(14)에 외피(12) 등을 덮어 그 위에 환자가 앉아 사용하게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의자는 환자가 앉았을 때 골반이나 허벅지 부분이 솜이나 스폰지류의 쿳숀(14)과 외피(12)에 직접 접촉하게 되어 이러한 방석(10)에 사용자가 앉게 되면 방석(10)에 중량이 실려 신체의 특정 부위가 압박을 받게 된다.
더욱이, 치질 등의 수술 후에 통증을 호소하는 항문질환자나 출산 전후의 임산부 또는 하반신이 마비되어 거동이 불편한 휠체어 사용자의 경우에는 환부나 신체의 특정부위가 항상 방석(10)에 접촉되어 압박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좌골이나 골반 또는 허벅지의 피부가 장시간 압박을 받게 되면 피부 내부의 혈관도 압박을 받게 되어 혈액순환의 장애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혈액순환의 장애를 방지하기 위하여는 방석(10)과 신체의 접촉면을 가능한 한 자주 바꾸어서 하중을 분산시키거나 일어나서 통풍을 시켜주어야 하는데, 거동이 불편한 휠체어 사용자나 중환자의 경우에는 간병인의 도움에 의해서만 접촉면을 바꾸어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치질 등의 항문질환자나 출산 직후의 임산부의 경우에는 항문이나 회음부가 바닥에 닿아서 압박을 받게 되면 통증이나 염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질병 혹은 사고로 장기적으로 앉아서 불편한 생활을 할 수 밖에 없는 사람의 히프, 항문, 생식기, 꼬리뼈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쿠션용 방석(40)이 개시되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석(40)은 메모리성 우레탄 폼(50)을 재질로 하고, 상기 폼에 중앙 공간부(52)를 설정하여 항문질환자, 생식기질환자의 항문과 생식기의 압박을 최소화하고, 작은 공간부(54)를 설정하여 꼬리뼈 부분의 압박을 최소화하며, 굴곡면(56)을 형성하여 엉덩이 및 허벅지 접촉 부분의 압박을 최소화하며, 평면 불록부(58)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앞으로 기울지 않고 안정적으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폼(50)에 통풍이 잘되는 망사식 원단으로 커버(60)를 씌워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 메모리성 우레탄 폼(50)은 그 가격이 고가이고 탄력적이지만 신체의 하중에 의하여 쉽게 함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성 우레탄 폼(50)을 제작한 다음 상기 폼(50) 외부에 커버(60)를 다시 씌워야 하거나 별도로 접착제를 사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항문질환자나 임산부의 항문이나 회음부가 바닥에 닿아 압박받지 않도록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며, 히프나 허벅지 등 기타 신체부위의 압박을 전체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압력분산기능 및 쿠션기능을 갖는 프레스가열압축방식의 쿠션방석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우레탄 폼과 커버를 별도로 제작하여 조립하지 않고도 일체로 가공 생산할 수 있으며, 신체의 하중에 의하여 쉽게 함몰되지 않는 프레스가열압축방식의 쿠션방석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사용자의 신체와 접하는 상단에 구비되고 소정 넓이의 면적을 갖는 고신축성의 상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와 대응되며, 상기 상부커버에 비해서 신축성이 같거나 떨어지는 하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 사이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체중을 지탱하면서 함몰되지 않고 탄성력을 줄 수 있는 탄성부재 및 상기 상부커버, 하부커버 및 탄성부재를 상기 면적에 대하여 수직으로 접착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면적 상에 가로, 세로 혹은 사선, 곡선 기타 여러가지 모양으로 고온의 열 프레스에 의하여 가열 압착된 다수개의 프레스 가열 압착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인접 프레스 가열 압착선 사이에는 엠보싱이 형성되고, 프레스 가열 압착선 사이의 간격이 좁을수록 엠보싱의 크기가 작아지며, 프레스 가열 압착선 사이의 간격이 넓을수록 엠보싱의 크기가 커지는 특징을 가지며, 상기 면적의 후방 중앙에 항문질환자나 생식기질환자의 항문 혹은 생식기의 압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변 영역에 비하여 상기 프레스 가열 압착선 사이의 간격이 조밀하게 형성되는 생식기보호부와, 상기 면적의 전방 중앙에는 사용자가 앞으로 기울지 않고 직립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주변 영역에 비하여 상기 프레스 가열 압착선 사이의 간격이 느슨하게 형성되는 전방지지부 및 상기 면적의 가장자리 외둘레에는 사용자가 외측으로 기울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주변 영역에 비하여 상기 프레스 가열 압착선 사이의 간격이 느슨하게 형성되는 외측보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의 신체와 접하는 상부커버와 바닥에 접하는 하부커버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체중을 지탱하면서 함몰되지 않도록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쿠션방석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다양한 크기와 높이 그리고 형상의 엠보싱으로 구성되며, 쿠션방석 후방 중앙에 항문 혹은 생식기의 압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엠보싱이 존재하지 않는 생식기보호부와, 쿠션방석 전방 중앙에 사용자가 앞으로 기울지 않고 직립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외측영역에 비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엠보싱 크기와 높이가 상대적으로 큰 전방지지부와; 상기 쿠션방석의 가장자리에 사용자가 외측으로 기울지 않도록 내측영역에 비하여 엠보싱의 크기와 높이가 상대적으로 큰 외측보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커버는 신축성이 우수한 스판덱스 혹은 벨로드 원단과 같은 폴리우레탄 탄성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는 형상 복귀성이 우수한 발포우레탄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는 폐스폰지를 평균 일세제곱센티미터 이하로 분쇄한 다음 접착제를 혼합하여 일정한 형상의 폼으로 제작된 마불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생식기보호부는 전후로 길게 형성된 타원형상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프레스가열압축방식의 쿠션방석에 의하면 상기 탄성부재를 연질의 폴리우레탄 폼 이외에 경질의 폴리우레탄 폼 혹은 폐스폰지를 재생한 마블 등을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탄성력을 향상하면서도 함몰되지 않아 자세교정에 효과적이며, 폐품을 재활용하여 재료비가 저감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프레스가열압축방식의 쿠션방석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는 본 고안에 의한 프레스가열접착방식의 쿠션방석 구성이 각각 사시도 및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의 A-A'선을 절단한 정단면도의 구성이 그리고 도 7에는 도 5의 B-B'선을 절단한 측단면도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스가열접착방식의 쿠션방석 구성이 부분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의 프레스가열압축방식의 쿠션방석(100)에 의하면, 상단에 고탄력의 상부커버(110)가 구비되고, 하단에 상기 상부커버(110)에 비하여 탄력성이 떨어지는 하부커버(120)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커버(110)와 하부커버(120) 사이에 사용자의 신체하중을 지탱하면서 탄성을 줄 수 있는 탄성부재(130)가 게재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커버(110)는 탄성회복이나 신축성에서 우수한 특성을 갖는 고무와 비슷한 폴리우레탄 탄성사가 사용된다. 예컨데, 고도의 신장·수축성을 가지는 스판덱스가 사용되거나 신축성이 뛰어나면서도 감촉이 부드럽고 고급스러운 벨로드 원단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부커버(110)는 땀이 잘 흡수되거나 통풍이 잘 되는 재질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커버(120)는 상기 상부커버(110)에 비하여 탄력이나 형상 복원력이 뛰어나지 않아도 무방하며 레이온·무명 또는 폴리에스테르·나일론 등의 합성섬유나 일반 천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30)는 폴리우레탄을 골격으로 하는 발포체 다시말해서 폴리우레탄 폼이 사용되며, 상기 폴리우레탄 폼 중에서도 쿠션성 즉 형상 복귀성이 우수한 연질의 발포우레탄폼이 사용된다.
상기 탄성부재(130)는 쿠션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연질의 폴리우레탄 폼만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상기 탄성부재(130)의 경도가 너무 부드러우면 작은 하중에도 크게 변형되어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경도가 높은 소재를 사용하거나 이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신체의 하중으로 인한 지나친 함몰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단한 재질의 소재로 보강하는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구성이 있을 수 있다. 쿠션력과 소정의 강성을 결합하기 위하여 경질의 폴리우테탄 폼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질의 폴리우레탄 폼(132)과 연질의 폴리우레탄 폼(134)을 불균일하게 다층으로 반복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연질 혹은 경질의 폴리우테탄 폼(132, 134)은 그 가격이 고가이며, 쿠션감을 유지하면서도 함몰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다량의 폴리우레탄 폼이 사용되기 때문에, 비용면에서 비현실적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폐스폰지를 분쇄하여 접착제 등으로 결합한 마블(136)을 상기 폴리우레탄 폼(132, 134)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령,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스폰지를 수세제곱센티미터로 분쇄한 다음 접착제를 혼합하여 일정한 형상의 폼으로 제작한 다음 사용할 수 있다.
방석에는 가로 혹은 세로, 직선 혹은 곡선 기타 여러 모양으로 다수의 프레스 가열 압착선(1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스 가열 압착선(140)은 소정 온도로 가열된 상태에서 프레스로 압착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커버(110)와 하부커버(120) 그리고 탄성부재(130)를 일체로 접착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인접 프레스 가열 압착선(140) 사이에는 엠보싱(142)이 형성되고, 프레스 가열 압착선(140) 사이의 간격(a)이 좁을수록 엠보싱(142)의 크기와 높이(A)는 낮아지며 프레스 가열 압착선(b) 사이의 간격(b)이 넓을수록 엠보싱(142)의 크기와 높이(B)는 높아지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110)가 하부커버(12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신축성이 커야 하는 이유는 도 6 내지 도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엠보싱(142)이 사용자의 신체가 접하는 상부커버(110) 측으로 크게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프레스가열압축방식의 쿠션방석(100)은, 후방 중앙에 항문질환자나 생식기질환자의 항문 혹은 생식기의 압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생식기보호부(150)가 형성된다. 상기 생식기보호부(150)에는 상기 프레스 가열 압착선(140)의 간격이 조밀하여 여타 부분에 비하여 엠보싱(142)의 크기가 비교적 작고, 이로 인해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간을 통하여 생식기의 압박이 최소화된다.
본 고안 실시예의 생식기보호부(150)는 전후로 길게 형성된 타원형상을 하고 있다. 인체의 생식기 및 항문 그리고 등뼈 꼬리 부분을 모두 보호할 수 있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생식기보호부(150)는 타원형상에 제한되지 않으며 항문 및 생식기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다.
쿠션방석(100)의 전방 중앙에는 사용자가 앞으로 기울지 않고 직립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전방지지부(152)가 형성된다. 상기 전방지지부(152)에는 프레스 가열 압착선(140)의 간격이 느슨하여 엠보싱(142)의 크기가 크며 여타 부분에 비하여 상방으로 돌출되어 허벅지 내측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쿠션방석(100)의 가장자리 외둘레에는 사용자가 외측으로 기울지 않도록 하는 외측보호부(154)가 형성된다. 상기 외측보호부(154)는 "∩" 형상으로 프레스 가열 압착선이 한 개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 가열 압착선이 한 개 형성되어 있지만,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다수개 형성하게 되면 외측보호부(154, 156, 158)가 완만한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 밖의 히프와 허벅지가 위치하는 영역에는 프레스 가열 압착선(140)이 소폭 혹은 큰폭으로 다양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생식기보호부(150)에 비하여 엠보싱(142)의 크기가 크며, 상기 전방지지부(152) 및 외측보호부(154)에 비하여 엠보싱(142)의 크기가 작다.
또한,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가열 압착선 사이의 간격에 의하지 않더라도 엠보싱의 높낮이나 크기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과 기능을 구비한 쿠션방석(100)의 제작이 가능하다. 즉, 쿠션방석(100)를 압착하여 엠보싱을 형성하는 금형에 있어서, 볼록부와 오목부의 크기와 형상을 각각 다르게 함으로써 상기 금형에 의하여 제작되는 쿠션방석(100)은 엠보싱의 크기와 형상이 각각 다른 전방지지부(152), 생식기보호부(154), 외측보호부(154) 등을 구비하게 된다.
본 고안은 항문질환자나 출산 직후의 임산부 혹은 하반신이 마비되어 거동이 불편한 자의 신체 특정 부위가 집중적으로 지면에 닿는 것을 방지하고, 지면과 접하는 신체 하중을 전체에 골고루 분산시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돕고, 근력이 약한 노약자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쿠션기능, 압력분산기능 및 자세교정기능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신체 하중을 지탱하면서도 함몰되지 않고 탄성력을 줄 수 있는 탄성부재를 신축성이 우수한 상부커버와 비교적 신축성이 떨어지는 하부커버 사이에 게재시켜 프레스 가열 압착함으로써 다양한 높낮이의 엠보싱을 형성하는 것을 기술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기 탄성부재를 연질의 폴리우레탄 폼 이외에 경질의 폴리우레탄 폼 혹은 폐스폰지를 재생한 마블 등을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탄성력을 향상하면서도 함몰되지 않아 자세교정에 효과적이며, 폐품을 재활용하여 재료비가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탄성부재를 게재시킨 채 양 측에 커버를 대고 프레스 가공하기 때문에 제작 및 조립이 간편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며,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방석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방석을 부분절개하여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방석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프레스가열접착방식의 쿠션방석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프레스가열접착방식의 쿠션방석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을 절단한 정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선을 절단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스가열접착방식의 쿠션방석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측단면도.
도 9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의한 프레스가열접착방식의 쿠션방석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측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스가열접착방식의 쿠션방석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A-A'선을 절단한 측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4는 도 13의 A-A'선을 절단한 측단면도.
도 1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구성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쿠션방석 110: 상부커버
120: 하부커버 130: 탄성부재
132, 134: 폴리우레탄 폼 136: 마블
140: 프레스 가열 압착선 142: 엠보싱
150: 생식기보호부 152: 전방보호부
154: 외측보호부

Claims (12)

  1. 사용자의 신체와 접하는 상단에 구비되고, 소정 넓이의 면적을 갖는 고신축성의 상부커버;
    상기 상부커버와 대응되며, 상기 상부커버에 비해서 신축성이 같거나 떨어지는 하부커버;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 사이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체중을 지탱하면서 함몰되지 않고 탄성력을 줄 수 있는 탄성부재 및
    상기 상부커버, 하부커버 및 탄성부재를 상기 면적에 대하여 수직으로 접착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면적 상에 가로, 세로 혹은 사선, 곡선 기타 여러가지 모양으로 고온의 열 프레스에 의하여 가열 압착된 다수개의 프레스 가열 압착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레스가열접착방식 쿠션용 방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프레스 가열 압착선 사이에는 엠보싱이 형성되고, 프레스 가열 압착선 사이의 간격이 좁을수록 엠보싱의 크기가 작아지며, 프레스 가열 압착선 사이의 간격이 넓을수록 엠보싱의 크기가 커지는 특징을 가지며,
    상기 면적의 후방 중앙에 항문질환자나 생식기질환자의 항문 혹은 생식기의 압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변 영역에 비하여 상기 프레스 가열 압착선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는 생식기보호부와,
    상기 면적의 전방 중앙에는 사용자가 앞으로 기울지 않고 직립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주변 영역에 비하여 상기 프레스 가열 압착선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는 전방지지부 및
    상기 면적의 가장자리 외둘레에는 사용자가 외측으로 기울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주변 영역에 비하여 상기 프레스 가열 압착선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는 외측보호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가열접착방식 쿠션용 방석.
  3. 사용자의 신체와 접하는 상부커버와 바닥에 접하는 하부커버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체중을 지탱하면서 함몰되지 않도록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쿠션방석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다양한 크기와 높이 그리고 형상의 엠보싱으로 구성되며,
    쿠션방석 후방 중앙에 항문 혹은 생식기의 압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엠보싱이 존재하지 않는 생식기보호부와,
    쿠션방석 전방 중앙에 사용자가 앞으로 기울지 않고 직립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외측영역에 비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엠보싱 크기와 높이가 상대적으로 큰 전방지지부와;
    상기 쿠션방석의 가장자리에 사용자가 외측으로 기울지 않도록 내측영역에 비하여 엠보싱의 크기와 높이가 상대적으로 큰 외측보호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가열압착방식 쿠션용 방석.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는 신축성이 우수한 스판덱스 혹은 벨로드 원단과 같은 폴리우레탄 탄성사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가열접착방식 쿠션용 방석.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형상 복귀성이 우수한 발포우레탄폼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가열접착방식 쿠션용 방석.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폐스폰지를 평균 일세제곱센티미터 이하로 분쇄한 다음 접착제를 혼합하여 일정한 형상의 폼으로 제작된 마불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가열접착방식 쿠션용 방석.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생식기보호부는 전후로 길게 형성된 타원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가열접착방식 쿠션용 방석.
  8. 사용자의 신체와 접하는 상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에 대응되는 하부커버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체중을 지탱하면서 함몰되지 않도록 탄력성을 갖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쿠션방석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상기 탄성부재와 상하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엠보싱으로 구성되며,
    쿠션방석 후방 중앙에 항문 혹은 생식기의 압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엠보싱이 존재하지 않는 생식기보호부와,
    쿠션방석 전방 중앙에 사용자가 앞으로 기울지 않고 직립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외측영역에 비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엠보싱 크기와 높이가 상대적으로 큰 전방지지부와;
    상기 쿠션방석의 가장자리에 사용자가 외측으로 기울지 않도록 내측영역에 비하여 엠보싱의 크기와 높이가 상대적으로 큰 외측보호부와,
    상기 면적의 전방 중앙에는 사용자가 앞으로 기울지 않고 직립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주변 영역에 비하여 상기 프레스 가열 압착선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는 전방지지부 및
    상기 면적의 가장자리 외둘레에는 사용자가 외측으로 기울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주변 영역에 비하여 상기 프레스 가열 압착선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는 외측보호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가열접착방식 쿠션용 방석.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는 신축성이 우수한 스판덱스 혹은 벨로드 원단과 같은 폴리우레탄 탄성사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가열접착방식 쿠션용 방석.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형상 복귀성이 우수한 발포우레탄폼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가열접착방식 쿠션용 방석.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폐스폰지를 평균 일세제곱센티미터 이하로 분쇄한 다음 접착제를 혼합하여 일정한 형상의 폼으로 제작된 마불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가열접착방식 쿠션용 방석.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생식기보호부는 전후로 길게 형성된 타원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가열접착방식 쿠션용 방석.
KR20-2005-0021003U 2005-07-19 2005-07-19 프레스가열접착방식의 쿠션방석 KR2003974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003U KR200397445Y1 (ko) 2005-07-19 2005-07-19 프레스가열접착방식의 쿠션방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003U KR200397445Y1 (ko) 2005-07-19 2005-07-19 프레스가열접착방식의 쿠션방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179A Division KR100690502B1 (ko) 2005-07-19 2005-07-19 프레스가열접착방식의 쿠션방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445Y1 true KR200397445Y1 (ko) 2005-10-04

Family

ID=43698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003U KR200397445Y1 (ko) 2005-07-19 2005-07-19 프레스가열접착방식의 쿠션방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44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795B1 (ko) 2014-12-30 2016-05-23 (주)세계화성 볼륨 시트 커버 및 그 제조 방법
CN109717665A (zh) * 2018-12-05 2019-05-07 罗雄平 一种通风透水减震垫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795B1 (ko) 2014-12-30 2016-05-23 (주)세계화성 볼륨 시트 커버 및 그 제조 방법
CN109717665A (zh) * 2018-12-05 2019-05-07 罗雄平 一种通风透水减震垫
CN109717665B (zh) * 2018-12-05 2024-05-28 罗雄平 一种通风透水减震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63547A (en) Flexible chair seat
US5402545A (en) Orthopedic seat cushion with upstanding projections
US3740096A (en) Orthopedic seat
US6079782A (en) Seat construction which corrects the pelvis so that it influences a proper alignment of the human body
US4696516A (en) Contoured aircraft and car seat
EP2559358B1 (en) Lumbar support seat
US7607738B2 (en) Contoured seat and method
US6142573A (en) Cushion element for use in a wheelchair
JPS61272052A (ja) ボデイ−支持パツド
US20120112506A1 (en) Posture Trainer
KR200493915Y1 (ko) 좌식의자
JP2008259811A (ja) 背凭れ部に形状記憶スポンジが設けられた椅子
WO1986007528A1 (en) Seat for chair
KR20120003800A (ko) 경추보호 베개
KR100690502B1 (ko) 프레스가열접착방식의 쿠션방석
JP2023500176A (ja) 車椅子用の調整可能な解剖学的支持及びシートクッション装置
KR200397445Y1 (ko) 프레스가열접착방식의 쿠션방석
KR100826365B1 (ko) 변위 각도 설정 기능을 갖는 골반 보호용 의자
JP2008110096A (ja) 福祉用椅子の背もたれおよび着座部
JP6923398B2 (ja) クッションおよび車椅子
KR20090048281A (ko) 변위 각도 설정 기능을 갖는 골반 보호용 의자
JP2003116894A (ja) 座位姿勢矯正クッション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M504517U (zh) 用於預防脊椎疾病的坐式裝置
CN216316723U (zh) 一种便携式可调节角度的人体工学坐垫
KR102482778B1 (ko) 의자용 등받이 쿠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