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7251A - 방진 및 뒤틀림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시트용 통풍장치 - Google Patents

방진 및 뒤틀림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시트용 통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7251A
KR20140087251A KR1020120156747A KR20120156747A KR20140087251A KR 20140087251 A KR20140087251 A KR 20140087251A KR 1020120156747 A KR1020120156747 A KR 1020120156747A KR 20120156747 A KR20120156747 A KR 20120156747A KR 20140087251 A KR20140087251 A KR 20140087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housing
section
seat frame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6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달영
강병권
Original Assignee
갑을오토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갑을오토텍(주) filed Critical 갑을오토텍(주)
Priority to KR1020120156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7251A/ko
Publication of KR20140087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2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5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blown towards the seat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7/74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 active means, e.g. by using air blowers or liquid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35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coming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진 및 뒤틀림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시트용 통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제1 결합부를 갖는 시트프레임; 통풍블로어가 내장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연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시트프레임의 제1 결합부에 장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통풍수단; 및 상기 연결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시트프레임과 상기 통풍수단의 하우징을 이격 배치시키고, 상기 하우징의 뒤틀림 방지를 위해 상기 제2 결합부를 탄성 지지하는 방진용 뒤틀림방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진 및 뒤틀림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시트용 통풍장치{CIRCULATION APPARATUS FOR CAR SEAT}
본 발명은 차량의 고급화를 위해 시트에 통풍이나, 쿨링 기능을 가지는 통풍수단이 도입되는데, 이러한 통풍수단은 시트프레임에 통풍블로어가 내장된 하우징이 장착되어 있어, 통풍블로어의 구동 시, 발생하는 진동이 시트프레임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어 불쾌감을 주는 문제와, 사용자의 승하차 시, 시트프레임에 발생되는 변위에 의하여 통풍수단의 하우징이 뒤틀려 통풍블로어와 하우징간에 접촉으로 인한 통풍수단의 파손이나, 소음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시트프레임과 통풍수단의 하우징 간의 결합부위에 방진성능을 갖는 뒤틀림방지수단이 도입된 방진 및 뒤틀림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시트용 통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의 고급화를 위하여 시트에 통풍이나, 쿨링 또는 난방 기능을 갖는 통풍장치들이 도입되어 차량 내부를 환기시키거나, 냉난방을 제공함으로써 차량의 내부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키고 있다.
이러한 통풍장치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64439호(2012.06.19.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 "차량의 냉난방 통풍시트 모듈"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되고, 공개된 것으로 차량의 시트프레임에 통풍시트 모듈이 장착되는 구조를 취하게 되는데,
이때 통풍시트 모듈의 상하부 케이스가 시트프레임에 직접 설치되어 고정되나, 송풍팬의 회전 시, 발생하는 진동이 시트프레임에 전달되고, 이렇게 전달된 진동은 시트프레임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어 불쾌감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의 승하차 시, 승차 후,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시트프레임의 변위에 의하여 각 케이스가 뒤틀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각 케이스에 내장된 송풍팬과, 각 케이스가 접촉되어 케이스나, 송풍팬이 파손되는 문제와,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송풍팬의 회전 시 발생되는 진동의 전달을 차단하고, 각 케이스의 뒤틀림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시트프레임과 통풍수단의 하우징 간의 결합부위에 방진성능을 갖는 뒤틀림방지수단을 도입하여 통풍블로어의 구동으로 인한 진동이 시트프레임이나,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뒤틀림방지수단이 사용자의 빈번한 승하차 시, 발생되는 시트프레임에 변형으로 인한 하우징의 변위를 수용함으로써 하우징의 뒤틀림을 방지하여 통풍블로어와 하우징 간의 접촉을 방지하여 부품의 파손이나, 소음의 발생을 저감시키고자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뒤틀림방지수단에 변단면부를 도입하여 유동공간을 형성하거나, 또는 변단면부의 변형률을 증대시키기 위한 변위홈을 형성하여 제2 결합부의 변위 발생 시, 제2 결합부의 변위 수용력을 증대시켜 하우징의 뒤틀림현상을 보다 완전하게 저지시키고자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및 뒤틀림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시트용 통풍장치는 제1 결합부를 갖는 시트프레임; 통풍블로어가 내장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연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시트프레임의 제1 결합부에 장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통풍수단; 및 상기 연결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시트프레임과 상기 통풍수단의 하우징을 이격 배치시키고, 상기 하우징의 뒤틀림 방지를 위해 상기 제2 결합부를 탄성 지지하는 방진용 뒤틀림방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뒤틀림방지수단은 상기 연결부재가 관통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주변에 형성되고, 상기 통풍수단의 제2 결합부가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의 유동을 보장하기 위한 변단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변단면부는 상기 제2 결합부의 상부에 배열되고, 상광하협(上廣下狹)형상을 갖는 제1 변단면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하부에 배열되고, 상협하광(上狹下廣)형상을 갖는 제2 변단면부와, 상기 제1 및 제2 변단면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2 결합부가 끼워지는 장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변단면부는 복수의 환형 돌기부와, 상기 각 돌기부을 연결하고, 잘록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2 결합부가 끼워지는 장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변단면부에는 변형용이성을 보장하기 위한 변위홈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변단면부는 상기 제2 결합부를 기준으로 상하로 분리 형성된 분체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변단면부의 각 분체 일부 또는 전부에는 변형용이성을 보장하기 위한 변위홈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및 뒤틀림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시트용 통풍장치는 시트프레임과 통풍수단의 하우징 간의 결합부위에 방진성능을 갖는 뒤틀림방지수단을 도입하여 통풍블로어의 구동으로 인한 진동이 시트프레임이나,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뒤틀림방지수단이 사용자의 빈번한 승하차 시, 발생되는 시트프레임에 변형으로 인한 하우징의 변위를 수용함으로써 하우징의 뒤틀림을 방지하여 통풍블로어와 하우징 간의 접촉을 방지하여 부품의 파손이나, 소음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뒤틀림방지수단에 변단면부를 도입하여 유동공간을 형성하거나, 또는 변단면부의 변형률을 증대시키기 위한 변위홈을 형성하여 제2 결합부의 변위 발생 시, 제2 결합부의 변위 수용력을 증대시켜 하우징의 뒤틀림현상을 보다 완전하게 저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트용 통풍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트용 통풍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트용 통풍장치의 또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및 뒤틀림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시트용 통풍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및 뒤틀림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시트용 통풍장치는
시트프레임(10)과, 통풍블로어(21)가 내장되고, 시트프레임(10)에 장착되는 하우징(23)으로 구성되는 통풍수단(20)과, 시트프레임(10)과 하우징(23)간의 결합부위에 도입되는 방진용 뒤틀림방지수단(30)으로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시트프레임(10)은
차량의 운전석, 조수석이나, 뒤좌석에 배치되고, 가죽이나, 인조피혁 또는 합성수지재 등과 같은 시트커버로 쌓여지게 된다.
상기 시트프레임(10)은 등받이프레임(15)과, 상기 등받이프레임(15)에 연결되는 좌석프레임(17)으로 구성되고, 상기 좌석프레임(17)에는 통풍수단(20)의 하우징(23)을 설치하기 위한 고정브래킷(11)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브래킷(11)에는 홀 형태를 갖는 제1 결합부(13)가 다수 구비된다.
상기 제1 결합부(13)는 통풍수단(20)의 하우징(23) 설치 시, 하우징(23)의 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장방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통풍수단(20)은
상기 시트프레임의 좌석프레임(17)(이하 '시트프레임'이라 함) 장착되어 통풍이나, 쿨링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차량의 내부 환경을 환기시키거나, 냉방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통풍수단(20)은 팬 형태의 통풍블로어(21)가 하우징(23)에 내장되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23)에는 통풍블로어(21)의 가동 시, 바람을 유입 및/또는 배출시킬 수 있도록 빗살 형태의 통기공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23)의 외측에는 통풍수단(20)을 시트프레임(10)에 설치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1 결합부(13)에 대응하도록 홀을 갖고, 상기 하우징의 외측부로 돌출 형성된 제2 결합부(25)가 형성되고, 상기 각 결합부(13)(25)에 연결부재(40), 즉 볼트(41)를 관통 삽입시켜 너트(43)를 체결하여 하우징(23)의 시트프레임(10)에 설치 고정시키게 된다.
종래의 통풍수단은 상기한 바와 같이 시트프레임과 하우징 또는 케이스의 각 결합부를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와 같이 각 결합부가 접촉되어 직접 연결되는 경우 통풍블로어, 즉 팬의 회전 시, 발생되는 진동이 시트프레임에 직접 전달될 뿐만 아니라, 시트프레임을 통하여 시트에 앉아 있는 사용자에게까지 전달되어 불쾌감을 주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사용자의 승하차 시, 또는 운행 주 시트에 착석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시트프레임은 일정한 변위를 일으키게 되는데,
이때 각 결합부가 접촉되어 직접 연결되는 경우 하우징에도 변위가 전달되어 뒤틀림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뒤틀림은 가동 중에 통풍블로어와 하우징 간의 접촉을 일으켜 하우징이나, 통풍블로어가 파손될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일거에 해결하기 위해 방진용 뒤틀림방지수단(30)을 도입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진용 뒤틀림방지수단(30)은
통풍블로어(21)의 가동으로 인한 진동이 시트프레임(10)이나,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하우징(23)의 뒤틀림 현상의 방지하여 통풍블로어(21)의 가동 중에 하우징(23)과 통풍블로어(21) 상호간의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통풍수단(20)의 파손이나, 소음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뒤틀림방지수단(30)은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고, 장착부가 중간 부분에 환형 형태의 장착부(35)가 구비되어 상기 통풍수단의 제2 결합부가 결합되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뒤틀림방지수단(30)이 통풍블로어(21)의 회전 시, 발생되는 진동이 절달되지 않도록 하는 데에는 유효하나,
상기 시트프레임(10)의 변위 발생 시, 상기 통풍수단(20)의 제2 결합부(25)가 장착부(35)에 끼워진 형태로 장착됨으로써 하우징(23)의 변형을 방지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뒤틀림방지수단은 도 3 및 도 4의 도시와 같은 형태로 도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뒤틀림방지수단(30)은 상기 연결부재(40)에 장착되어 상기 시트프레임(10)과 상기 통풍수단(20)의 하우징(23)을 이격 배치시키고, 상기 하우징(23)의 뒤틀림 방지를 위해 상기 제2 결합부(25)를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기 뒤틀림방지수단(30)는 상기 연결부재(40)가 관통하는 삽입부(31)와, 상기 삽입부(31)에 주변에 형성되고, 상기 통풍수단(20)의 제2 결합부(25)가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23)의 유동을 보장하기 위한 변단면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상기 뒤틀림방지수단(30)은 상기 제2 결합부(25)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뒤틀림방지수단(30)의 삽입부(31)에 상기 연결부재(40)인 볼트(41)가 관통 삽입되며, 상기 볼트(41)의 상단은 상기 제1 결합부(13)를 관통하여 상부로 노출되어 너트(43)에 의하여 체결된다.
이 경우 상기 뒤틀림방지수단(30)의 상단면은 상기 제1 결합부(13)의 하면에 접촉되고, 하단면은 상기 볼트(41)의 헤드에 접촉되어 볼트(41)와 너트(43)의 체결되어 시트프레임(10)의 고정브래킷(11)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뒤틀림방지수단(30)는 상기 시트프레임(10)의 제1 결합부(13)와 상기 통풍수단(20)의 제2 결합부(25) 간에 접촉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뒤틀림방지수단(30)은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과 같이 탄성을 갖는 가요성 소재로 이루어져 통풍블로어(21)의 가동 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통풍수단(20)이 장착된 시트프레임(10)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시트에 착석한 사용자에게까지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사용자의 불쾌감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뒤틀림방지수단(30)은 사용자가 승하차 시, 또는 시트에 착석 후,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시트프레임(10)에 일정한 변위가 발생하는 경우 하우징(23)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뒤틀림방지수단(30)의 장착부(35)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25)의 변위, 즉 유동을 상기 변단면부(33)가 수용하여 하우징(23)의 뒤틀림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한 상기 뒤틀림방지수단(30)의 변단면부(33)는 첨부된 도면과 같이 다양한 변형례의 도입이 가능하고, 이하에서는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의 도시와 같이 상기 뒤틀림방지수단(30)의 변단면부(33)는 상기 제2 결합부(25)의 상부에 배열되고, 상광하협(上廣下狹)형상을 갖는 제1 변단면부(33A)와, 상기 제2 결합부(25)의 하부에 배열되고, 상협하광(上狹下廣)형상을 갖는 제2 변단면부(33B)와, 상기 제1 및 제2 변단면부(33A)(33B)를 연결하고, 상기 제2 결합부(25)가 끼워지는 장착부(35)로 구성된다.
즉 상기 변단면부(33)는 상기 제1 변단면부(33A)와 상기 제2 변단면부(33B)를 연결하는 장착부(35)가 잘록한 형태로 이루어져 각 변단면부 사이에 유동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이때 상기 장착부(35)에 끼워진 제2 결합부(25)는 시트프레임(10)의 변위 시, 상기 유동공간 상에서의 유동이 허용되어 결과적으로 하우징(23)의 뒤틀림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4의 도시와 같이 상기 뒤틀림방지수단(30)의 변단면부(33)는 또 다른 변형례로서,
복수의 환형 돌기부(33b)와, 상기 각 돌기부(33b)을 연결하고, 잘록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2 결합부(25)가 끼워지는 장착부(35)로 구성된다.
즉 상기 변단면부(33)는 주름 또는 자바라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돌기부(33b) 사이에 유동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이때 상기 장착부(35)에 끼워진 제2 결합부(25)는 시트프레임(10)의 변위 시, 상기 유동공간 상에서의 유동이 허용되어 하우징(23)의 뒤틀림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도 4의 변단면부(33)는 도 3의 변단면부(33)에 대비하여 다수의 주름이 형성되어 있어,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에 대하여 압축변형이 커, 그만큼 완충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 4에서는 상기 변단면부(33)를 구성하는 돌기부(33b)가 2개소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다양한 구현례 중에 일례에 불과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그 수를 증감하여 보다 효과적인 대처가 가능하게 된다.
도 3의 (b) 및 도 4의 (b) 도시는 본 발명에 따른 뒤틀림방지수단(30)의 변단면부(33)에 관한 또 다른 변형례로서,
상기 변단면부(33)는 상기 제2 결합부(25)를 기준으로 상하로 분리 형성된 분체(33a)로 이루어진다.
상기 변단면부(33)의 각 분체(33a) 하면(상부에 위치하는 분체(33a))과 상면(하부에 위치하는 분체(33a)) 사이에 통풍수단(20)의 결합부가 배치되어 결합부의 상하면에 접하여 접촉 내지 가압 지지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볼트(41)를 하나의 분체(33a)에 끼워 하부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통풍수단(20)의 제2 결합부(25)에 볼트(41)를 삽입한 후, 또 다른 하나의 분체(33a)를 끼워 제2 결합부(25)의 상부에 배치시켜 볼트(41)를 제1 결합부(13)에 삽입하여 너트(43) 체결을 통하여 뒤틀림방지수단(30)을 조립하게 된다.
이는 상기 뒤틀림방지수단(30)의 변단면부(33)가 하나의 형체로 구성되는 경우 굴곡에 의하여 통풍수단(20)의 제2 결합부(25)에 끼우는 작업이 쉽지 않기 때문에 조립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뒤틀림방지수단(30)의 변단면부(33)를 분체화하여 조립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3 및 도 4의 도시는 본 발명에 따른 뒤틀림방지수단(30)의 변단면부(33)의 또 다른 변형례로서,
상기 변단면부(33) 또는, 상기 각 분체(33a) 일부 또는 전부에는 변형용이성을 보장하기 위한 변위홈(33c)이 더 구비된다.
상기 변위홈(33c)은 변단면부(33) 또는, 각 분체(33a)의 일부 또는 전부의 변형률을 크게 하여 제2 결합부(25)의 변위 발생 시, 수용력을 증대시켜 하우징(23)의 뒤틀림현상을 보다 완전하게 저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뒤틀림방지수단(30)은 상기 하우징(23)에 성형 시, 이중 사출금형을 도입하여 이중사출로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중사출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제2 결합부(25)에 뒤틀림방지수단(30)을 조립하는 공정을 줄일 수 있어 조립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통풍장치는 통풍, 냉방 이외에도 히터를 구비하여 난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차량 이외의 시트나, 좌석, 의자 등에 도입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하고, 안락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방진 및 뒤틀림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시트용 통풍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시트프레임
11 : 고정브래킷 13 : 제1 결합부
15 : 등받이프레임 17 : 좌석프레임
20 : 통풍수단
21 : 통풍블로어 23 : 하우징
25 : 제2 결합부
30 : 뒤틀림방지수단
31 : 삽입부 33 : 변단면부
33A : 제1 변단면부 33B : 제2 변단면부
33a : 분체 33b : 돌기부
33c : 변위홈 35 : 장착부
40 : 연결부재
41 : 볼트 43 : 너트

Claims (7)

  1. 제1 결합부(13)를 갖는 시트프레임(10);
    통풍블로어(21)가 내장되는 하우징(23)과,
    상기 하우징(23)에 구비되고, 연결부재(40)에 의하여 상기 시트프레임(10)의 제1 결합부(13)에 장착되는 제2 결합부(25)를 포함하는 통풍수단(20); 및
    상기 연결부재(40)에 장착되어 상기 시트프레임(10)과 상기 통풍수단(20)의 하우징(23)을 이격 배치시키고, 상기 하우징(23)의 뒤틀림 방지를 위해 상기 제2 결합부(25)를 탄성 지지하는 방진용 뒤틀림방지수단(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방진 및 뒤틀림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시트용 통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뒤틀림방지수단(30)은
    상기 연결부재(40)가 관통하는 삽입부(31)와,
    상기 삽입부(31)에 주변에 형성되고, 상기 통풍수단(20)의 제2 결합부(25)가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23)의 유동을 보장하기 위한 변단면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및 뒤틀림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시트용 통풍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단면부(33)는
    상기 제2 결합부(25)의 상부에 배열되고, 상광하협(上廣下狹)형상을 갖는 제1 변단면부(33A)와,
    상기 제2 결합부(25)의 하부에 배열되고, 상협하광(上狹下廣)형상을 갖는 제2 변단면부(33B)와,
    상기 제1 및 제2 변단면부(33A)(33B)를 연결하고, 상기 제2 결합부(25)가 끼워지는 장착부(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및 뒤틀림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시트용 통풍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단면부(33)는
    복수의 환형의 돌기부(33b)와,
    상기 각 돌기부(33b)을 연결하고, 잘록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2 결합부(25)가 끼워지는 장착부(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및 뒤틀림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시트용 통풍장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단면부(33)에는 변형용이성을 보장하기 위한 변위홈(33c)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및 뒤틀림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시트용 통풍장치.
  6.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단면부(33)는 상기 제2 결합부(25)를 기준으로 상하로 분리 형성된 분체(33a)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및 뒤틀림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시트용 통풍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변단면부(33)의 각 분체(33a) 일부 또는 전부에는 변형용이성을 보장하기 위한 변위홈(33c)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및 뒤틀림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시트용 통풍장치.
KR1020120156747A 2012-12-28 2012-12-28 방진 및 뒤틀림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시트용 통풍장치 KR201400872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747A KR20140087251A (ko) 2012-12-28 2012-12-28 방진 및 뒤틀림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시트용 통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747A KR20140087251A (ko) 2012-12-28 2012-12-28 방진 및 뒤틀림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시트용 통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251A true KR20140087251A (ko) 2014-07-09

Family

ID=51736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6747A KR20140087251A (ko) 2012-12-28 2012-12-28 방진 및 뒤틀림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시트용 통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72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5457A (ko) * 2021-03-05 2022-09-14 (주)대성파인텍 블로워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5457A (ko) * 2021-03-05 2022-09-14 (주)대성파인텍 블로워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13555B2 (ja)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JP5505404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US11235719B2 (en) Vehicle seat
US8727434B2 (en) Vehicle seat
US9452697B2 (en) Seat device for vehicle
US20050285438A1 (en) Vehicle seat
US20150032037A1 (en) Vehicle seat
CN114523889A (zh) 交通工具用座椅
CN210129702U (zh) 线缆固定装置
JP2013057395A (ja) 車両用エンジンマウント
KR101284313B1 (ko) 차량시트의 프레임 일체형 백커버
JP2019026081A (ja) シートへのセンサーの配置構造
US10543762B2 (en) Vehicle seat air-blowing apparatus and vehicle seat
JP7453575B2 (ja) 乗物用シート
US10322653B2 (en) Vehicle seat fan apparatus and vehicle seat
JP5573827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20140087251A (ko) 방진 및 뒤틀림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시트용 통풍장치
JP2007137218A (ja)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KR101488179B1 (ko) 차량용 통풍시트
JP2005029085A (ja)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KR20150063707A (ko) 자동차 시트의 통풍 장치
JP5691620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アンダーカバー取付構造
KR20160062237A (ko) 통풍시스템 내장형 시트 폼 패드를 이용한 차량용 시트
JP7406125B2 (ja) 乗物用シート
KR20180059978A (ko) 차량용 시트의 통풍팬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