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6806A - 낚시용 릴의 표시 케이스, 및 낚시용 릴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의 표시 케이스, 및 낚시용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6806A
KR20140086806A KR1020130100919A KR20130100919A KR20140086806A KR 20140086806 A KR20140086806 A KR 20140086806A KR 1020130100919 A KR1020130100919 A KR 1020130100919A KR 20130100919 A KR20130100919 A KR 20130100919A KR 20140086806 A KR20140086806 A KR 20140086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display device
display
body member
ligh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0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타로 하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40086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68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21Frame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표시 케이스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에 있다.
[해결 수단] 본 카운터 케이스(5)는, 표시 장치(51)와, 케이스 본체(50)와, 프런트 패널(front panel)(52)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 본체(50)는, 개구부(開口部)(60d)와, 복수의 지지부(60e)를 가지고 있다. 개구부(60d)에는, 표시 장치(51)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LCD(91)가 배치된다. 복수의 지지부(60e)는, 표시 장치(51)의 외주부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프런트 패널(52)은, 표시 장치(51)의 표시 측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50)에 장착된다.

Description

낚시용 릴의 표시 케이스, 및 낚시용 릴{DISPLAY CASE FOR FISHING REEL AND FISHING REEL}
본 발명은, 낚시용 릴의 표시 케이스, 및 낚시용 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낚시용 릴에서는, 표시 케이스를 구비한 것이 있다(특허 문헌 1을 참조). 표시 케이스는, 주로, 표시 장치(14)와, 기판(15)과, 외장재(外裝材)(10, 10B)를 가지고 있다. 이 표시 케이스에서는, 기판(15)이 외장재(10, 10B)에 배치되고, 나사 부재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기판 상(上)에는, 완충재(16)를 통하여, 표시 장치(14)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표시 장치(14)는, 기판 상에 설치된 지지 부재(14A)에 의하여, 좌우의 방향의 위치 결정이 행하여지고 있다.
일본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529127호
종래의 표시 케이스에서는, 표시 장치(완충재를 포함한다)가 기판 상에 배치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기판에는 표시 장치를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 및 표시 장치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지지 부재를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준비할 필요가 있었다. 즉, 종래의 구성에서는, 상기의 스페이스를 확보하기 위하여, 기판의 크기가 커져 버릴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기판 주위의 구성, 즉 기판을 덮는 표시 케이스가 커져 버릴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케이스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에 있다.
발명 1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표시 케이스는, 표시 장치와, 케이스 본체와, 패널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 본체는, 개구부(開口部)와, 복수의 지지부를 가지고 있다. 개구부에는 표시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다. 복수의 지지부는, 표시 장치의 외주부(外周部)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패널 부재는, 표시 장치의 표시 측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에 장착된다.
이 표시 케이스에서는, 표시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부에 배치되도록, 표시 장치의 외주부가 케이스 본체의 복수의 지지부에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 표시 케이스에서는, 표시 장치가, 기판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고, 케이스 본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기판 상에 상기의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것에 의하여, 기판을 소형화할 수 있다. 즉, 표시 케이스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를 기판에 고정하는 종래 기술로는, 기판의 면적의 제약으로, 표시 장치를 대형화하는 것이 어렵다. 그렇지만, 이 표시 케이스에서는, 표시 장치를 기판에 고정하는 것이 아니고, 케이스 본체에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표시 장치를 대형화할 수 있다.
발명 2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표시 케이스에서는, 발명 1에 기재된 표시 케이스에 있어서, 표시 장치의 외주부가, 복수의 지지부와 케이스 본체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경우, 표시 장치의 외주부가, 복수의 지지부와 케이스 본체와의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표시 장치를 케이스 본체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발명 3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표시 케이스에서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표시 케이스에 있어서, 복수의 지지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암나사부와, 암나사부에 나합(螺合, 나사를 끼워 맞추는 것)되는 볼트 부재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 상기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의 암나사부에, 볼트 부재가 나합되기 때문에, 표시 장치를 케이스 본체에 의하여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발명 4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표시 케이스에서는, 발명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케이스에 있어서, 표시 장치의 외주부가 오목부를 가지고 있다. 오목부는, 복수의 지지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계합(係合, 걸어 맞춤)한다. 이 경우, 표시 장치의 외주부의 오목부가, 복수의 지지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계합하기 때문에, 표시 장치를 케이스 본체에 확실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발명 5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표시 케이스에서는, 발명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케이스에 있어서, 표시 장치가, 표시부와, 표시부로 광(光)을 도광(導光)하는 도광부를 가지고 있다. 표시 장치의 외주부는 도광부의 외주부이다. 표시부는, 패널 부재와 도광부와의 사이에 있어서, 개구부에 배치된다. 이 경우, 도광부의 외주부가, 복수의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된다. 또한, 표시부는, 패널 부재와 도광부와의 사이에 있어서, 개구부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도광부 및 표시부를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표시 케이스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발명 6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표시 케이스에서는, 발명 5에 기재된 표시 케이스에 있어서, 표시 장치가, 도광부를 보강하는 보강부를 더 가지고 있다. 표시 장치의 외주부는, 도광부의 외주부 및 보강부의 외주부이다. 이 경우, 도광부의 강성(剛性)이 작아도, 보강부가 도광부를 보강하고 있기 때문에, 도광부의 외주부를, 복수의 지지부에 의하여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발명 7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표시 케이스에서는, 발명 5 또는 6에 기재된 표시 케이스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가, 패널 부재를 장착하기 위한 패널 장착부를 가지고 있다. 패널 장착부의 외형은 다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패널 장착부의 외주에 가까운 개구부의 우각부(隅角部)는 모퉁이 자름되어 있다.
이 경우, 케이스 본체에는, 다각형상의 패널 장착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패널 장착부의 외주에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는 개구부의 우각부는 모퉁이 자름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패널 장착부의 외주와, 개구부의 우각부와의 사이의 간격을 크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패널 부재와 패널 장착부의 외주와의 간극(間隙)으로부터의 이물(물을 포함한다)의 침입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발명 8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표시 케이스는, 발명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케이스에 있어서, 표시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기판을 더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 본체는, 제1 본체 부재와, 제2 본체 부재를 가지고 있다. 제1 본체 부재는, 상기의 개구부와, 상기의 복수의 지지부를 가지고 있다. 제2 본체 부재는 제1 본체 부재에 장착된다. 제2 본체 부재는 제1 본체 부재와의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제2 본체 부재에는 제어 기판이 배치된다. 패널 부재는 제1 본체 부재에 배치된다.
이 경우, 제1 본체 부재가, 상기의 개구부와 상기의 복수의 지지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표시 장치는 제1 본체 부재에 배치된다. 또한, 제2 본체 부재에는 제어 기판이 배치된다. 이것에 의하여, 본 표시 케이스에서는, 종래 기술과 같이 기판 상에 표시 장치용의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판을 소형화할 수 있다. 즉, 표시 케이스를 소형화할 수 있다.
발명 9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에서는, 발명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케이스를 가지는 릴 본체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과, 핸들의 회전에 의하여 낚싯줄이 감기는 스풀을 구비하고 있다.
이 낚시용 릴에서는, 표시 케이스가, 발명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케이스가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표시 케이스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즉, 낚시용 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 케이스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전동 릴의 사시도.
도 2는 그 정면 단면도.
도 3은 카운터 케이스의 상면도.
도 4는 카운터 케이스의 내부를 하방으로부터 본 도면.
도 5는 카운터 케이스의 내부를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6은 카운터 케이스의 단면도.
도 7은 LCD의 상면도.
도 8은 도광판의 상면도.
도 9는 표시 장치의 부분 단면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 케이스의 내부를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전체 구성>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채용한 전동 릴(10)은, 낚싯줄을 전방으로 방출한다. 전동 릴(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로, 핸들(1)과, 릴 본체(2)와, 스풀(3)과, 모터(4)와, 카운터 케이스(5)(표시 케이스의 일례)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1)은 릴 본체(2)에 장착되어 있다. 스풀(3)은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모터(4)는 스풀(3)에 내장되어 있다. 카운터 케이스(5)는, 수심 표시 등을 행하기 위한 것이고, 릴 본체(2)의 상부(上部)에 장착되어 있다. 릴 본체(2)의 내부에는, 핸들(1)의 회전 및 모터(4)의 회전을 스풀(3)에 전달하는 회전 전달 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도 2를 참조).
<릴 본체의 구성>
릴 본체(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13)과, 프레임(13)의 양측(兩側)을 덮는 제1 측 커버(14) 및 제2 측 커버(15)와, 상(上) 커버(16)와, 전(前) 커버(17)를 가지고 있다.
상 커버(16)는, 프레임(13)과, 제1 측 커버(14) 및 제2 측 커버(15)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제1 측 커버(14) 및 제2 측 커버(15)와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 커버(16)는, 제1 측 커버(14) 및 제2 측 커버(15)에 대하여, 전후(前後) 방향 및 좌우 방향을 따르도록, 제1 측 커버(14) 및 제2 측 커버(15)에 장착되어 있다.
전 커버(17)는 프레임(13)의 전방(前方)을 덮고 있다. 프레임(13)은,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제의 일체(一體) 성형된 부재이고, 제1 측판(側板)(13a) 및 제2 측판(13b)과, 연결 부재(13c)를 가지고 있다.
제1 측판(13a)에는 원형의 제1 개구(13d)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개구(13d)에는 모터 홀더(7)가 장착되어 있다. 제1 측판(13a)의 제1 개구(13d)의 주위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예를 들어 6개)의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는다)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은, 모터 홀더(7)를 제1 측판(13a)에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제2 측판(13b)에는 원형의 제2 개구(13e)가 형성되어 있다. 제2 개구(13e)에는, 회전 전달 기구(6)를 포함하는 각종의 기구를 장착하기 위한 기구 장착판(19)이 장착되어 있다. 제1 측 커버(14)는, 핸들(1)과 반대쪽에 배치되고, 제1 측판(13a)의 외방(外方)을 덮고 있다.
연결 부재(13c)는, 제1 측판(13a) 및 제2 측판(13b)을 복수 개소에서 연결한다.
제1 측 커버(14)는, 커버 본체(14a)와, 냉각 커버(14b)를 가지고 있다. 냉각 커버(14b)는, 커버 본체(14a)의 모터 배치 부분에 장착된다. 냉각 커버(14b)는, 모터(4)의 냉각용의 슬릿(14c)을 가지고 있다.
제2 측 커버(15)는 핸들(1) 장착 측에 배치되고, 제2 측판(13b)의 외방을 덮고 있다. 기구 장착판(19)은, 제2 측판(13b)과 제2 측 커버(15)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기구 장착판(19)의 중심부에는, 스풀(3)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44)이 장착된다.
상부의 연결 부재(13c)에는, 카운터 케이스(5)가 장착되기 위한 케이스 받이부(113c)(도 1을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카운터 케이스(5)는, 고정 부재 예를 들어 나사 부재를, 케이스 받이부(113c)의 암나사부(113d)에 나합하는 것에 의하여, 케이스 받이부(113c)에 장착된다. 하부(下部)의 연결 부재(13c)에는, 낚싯대를 장착하기 위한 장대 장착 다리(18)가 설치되어 있다.
<스풀의 구성>
스풀(3)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이 권회(卷回)되는 줄 감기 몸통부(3a)와, 줄 감기 몸통부(3a)의 양단(兩端)에 일체 형성된 제1 플랜지부(3b) 및 제2 플랜지부(3c)를 가지고 있다. 줄 감기 몸통부(3a)는 중공(中空)으로 형성되어 있다. 줄 감기 몸통부(3a)의 내부에는, 모터 수납 공간(3d)과, 유성(遊星) 수납 공간(3e)이 형성되어 있다. 모터 수납 공간(3d)에는 모터(4)가 수납된다. 유성 수납 공간(3e)에는, 회전 전달 기구(6)를 구성하는 유성 감속 기구(40)가 수납된다. 유성 감속 기구(40)는, 모터(4)의 회전을 감속하여 스풀(3)에 전달한다. 스풀(3)의 일단(一端)(도 2의 좌측)은, 베어링(42)에 의하여, 모터(4)(후술하는 모터 케이스(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3)의 타단(他端)(도 2의 우단(右端))에는, 회전 지지용의 고정판(46)이 고정되어 있다. 고정판(46)은, 베어링(44)에 의하여, 릴 본체(2)의 기구 장착판(19)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모터의 구성>
모터(4)는, 예를 들어, 브러시리스 모터(brushless motor)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4)는, 모터 케이스(20)와, 모터 케이스(20)의 내주면(內周面)에 설치된 고정자(22)와, 고정자(22)의 내주 측에 배치된 회전자(24)와, 회전자가 고정된 출력축(26)을 가지고 있다. 모터 케이스(20)는, 내식성을 높이기 위하여 알루마이트(alumite) 처리된 알루미늄 합금제의 부재이다.
모터 케이스(20)는 고정자(22)와 회전자(24)를 덮는 케이스이다. 모터 케이스(20)에는, 출력축(2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30)이 장착되어 있다. 고정자(22)는 모터 케이스(20)의 내주부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자(22)는, 도시하지 않는, 복수(예를 들어 3개)의 적층 코어와 적층 코어에 권회되는 코일을 가지고 있다. 회전자(24)는, 출력축(26)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취부(取付)되어 있다.
출력축(26)에는 회전자(24)가 장착된다. 출력축(26)은, 모터 케이스(20)에 장착된 베어링(30)과, 모터 홀더(7)에 장착된 베어링(32)에 의하여 지지된다. 출력축(26)의 일단(도 2의 좌측)에는, 출력축(26)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금지하기 위한 원웨이(one way) 클러치(34)가 장착되어 있다. 출력축(26)의 타단(도 2의 우측)에는, 회전 전달 기구(6)를 구성하는 유성 감속 기구(40)가 장착되어 있다.
<카운터 케이스>
도 1 내지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운터 케이스(5)는, 케이스 본체(50)와, 표시 장치(51)와, 프런트 패널(front panel)(52)(패널 부재의 일례)을 가지고 있다.
케이스 본체(50)는 프레임(13)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스 본체(50)는, 프레임(13)에, 고정 부재 예를 들어 나사 부재(도시하지 않는다)를 통하여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스 본체(50)는, 상 커버(16)와, 제1 측 커버(14) 및 제2 측 커버(15)와의 사이에 있어서, 상부의 연결 부재(13c)의 케이스 받이부(113c)(암나사부(113d))에, 고정 부재 예를 들어 나사 부재(도시하지 않는다)를 통하여 고정된다.
케이스 본체(50)는, 제1 본체 부재(60)와, 제2 본체 부재(70)를 가지고 있다. 제1 본체 부재(60)는, 케이스 본체(50)의 상부를 구성하는 부재이다. 제1 본체 부재(60)는, 제2 본체 부재(70)의 상부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본체 부재(60)는, 제2 본체 부재(70)에 끼워 넣음 장착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본체 부재(60)와 제2 본체 부재(70)와의 사이에는, 표시 장치(51) 및 제어 기판(98)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본체 부재(60)가 제2 본체 부재(70)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카운터 케이스(5)(제1 본체 부재(60) 및 제2 본체 부재(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본체 부재(70)에 형성된 나사 구멍부(70f)를 통하여, 프레임(13)에 고정된다.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 카운터 케이스(5)(제1 본체 부재(60) 및 제2 본체 부재(70))는, 제2 본체 부재(70)에 형성된 나사 구멍부(70g)를 통하여, 나사 부재(도시하지 않는다)에 의하여, 상 커버(16)에 고정된다.
제1 본체 부재(60)는, 본체부(60a)와, 패널 장착부(60b)와, 3개의 단추 구멍(60c)과, 개구부(60d)와, 복수의 지지부(60e)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60a)의 상면(上面)에는, 패널 장착부(60b)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널 장착부(60b)는, 패널 장착면(160b)과 틀부(260b)를 가지고 있다. 패널 장착면(160b)에는, 프런트 패널(52)이 접착제에 의하여 장착된다.
패널 장착면(160b)의 외형은 다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패널 장착면(160b)의 외형은, 실질적으로 사다리꼴상(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패널 장착면(160b)의 외주부에는 틀부(260b)가 형성되어 있다. 틀부(260b)는, 패널 장착면(160b)의 외주부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즉, 틀부(260b)는, 실질적으로 사다리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3개의 단추 구멍(60c)에는 조작 단추가 배치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부(60d)는 패널 장착면(160b)에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60d)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60d)의 4개의 우각부(260d) 중의 2개의 우각부(261d)는, 모퉁이 자름되어 있다. 이들 2개의 우각부(261d)(모퉁이 자름부)는 전방 측의 우각부이다. 구체적으로는, 이들 2개의 우각부(261d)는, 다른 2개의 우각부보다 패널 장착부(60b)의 외주에 가까운 우각부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들 2개의 우각부(261d)는, 다른 2개의 우각부(260d)보다, 패널 장착면(160b)의 틀부(260b)에 가까운 우각부이다. 개구부(60d)에는, 표시 장치(51)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후술하는 LCD(91)(Liquid Crystal Monitor)가 배치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지지부(60e)는, 표시 장치(51)의 외주부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복수의 지지부(60e), 예를 들어 3개의 지지부가, 개구부(60d)의 근방(近傍)에 있어서, 제1 본체 부재(6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3개의 지지부(60e) 중의 2개의 지지부(제1 지지부(61e))가, 개구부(60d)의 일변(一邊)을 구성하는 제1 가장자리부(161d)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제1 지지부(61e) 각각은, 갈고랑이상(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2개의 제1 지지부(61e) 각각은, 실질적으로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제1 지지부(61e) 각각은, 기단부(基端部)(71e)와, 선단부(先端部)(72e)를 가지고 있다. 기단부(71e)는, 제1 가장자리부(161d)로부터, 패널 장착부(60b)와는 반대 측을 향하게 하여 연장되는 부분이다. 선단부(72e)는, 기단부(71e)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기단부(71e)의 선단으로부터 개구부(60d)의 개구 측을 향하게 하여 연장되는 부분이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개의 지지부(60e) 중의 하나의 지지부(제2 지지부(62e))는, 패널 장착부(60b)의 반대 측의 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지지부(62e)는, 암나사부(81e)와 볼트 부재(82e)를 가지고 있다. 볼트 부재(82e)는 암나사부(81e)의 암나사에 나합된다.
제2 본체 부재(70)는, 케이스 본체(50)의 하부를 구성하는 부재이다. 도 3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본체 부재(70)에는, 제어 기판(98)과, 모터 제어용의 기판(99)과, 히트 싱크(heat sink)(97)가 장착되어 있다. 제어 기판(98)은 릴 전체를 통괄 제어한다. 제어 기판(98)에는, 플렉시블 프린트(flexible print) 기판(도시하지 않는다)의 일단부가 접속된다. 또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타단부는, 표시 장치(51)에 접속된다.
예를 들어, 제어 기판(98)은, LCD(91) 및 광원(光源)(95)을 제어한다. 제어 기판(98)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광판(92)(도광부의 일례)에 광을 조사(照射)하기 위한 광원(95)이 배치되어 있다. 광원(95)은, 제어 기판(98)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광의 조사 타이밍 및 조사 시간이 제어된다. 도 5에서는, 광원(95)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광원(95)을 제1 본체 부재(60) 상(上)에서 파선(破線)으로 도시하고 있다.
모터용의 기판(99)에는, 예를 들어, FET(Field effect transistor)를 포함하는 모터 구동 회로가 배치되어 있다. FET는, 듀티비에 따라 스위칭하는 스위치 소자로서 기능한다. 또한, FET는, 예를 들어, 모터(4)의 고정자(22)의 코일을 순서대로 여자(勵磁) 및 소자(消磁)하기 위한 스위치 소자로서 기능한다.
히트 싱크(97)는, 제1 본체 부재(60) 및 제2 본체 부재(70)와의 사이의 공간의 열을 방열한다. 히트 싱크(97)는, 모터용의 기판(99)의 하방(下方)에 있어서, 제2 본체 부재(70)에 장착되어 있다.
표시 장치(51)는, 수심 표시 등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표시 장치(51)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통하여, 제어 기판(98)으로부터의 신호를 받고, 이 신호에 기초하여, 수심 표시 등을 행한다. 표시 장치(51)는, 외주부에 있어서, 3개의 지지부(60e), 예를 들어 2개의 제1 지지부(61e) 및 하나의 제2 지지부(62e)에 의하여 지지된다. 표시 장치(51)의 외주부는, 제1 지지부(61e) 및 제2 지지부(62e)와, 케이스 본체(50)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 3 및 도 5 내지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51)는, LCD(91)(Liquid Crystal Monitor)와, 도광판(92)을 가지고 있다. LCD(91)는 액정 패널이고, 제어 기판(98)으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정보를 표시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CD(91)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LCD(91)의 4개의 우각부(191) 중의 2개의 우각부(191a)(모따기부)는 모따기되어 있다. LCD(91)의 모따기부(191a)가 개구부(60d)의 모퉁이 자름부(261d)(도 3 및 도 4를 참조)에 대향하도록, LCD(91)는 개구부(60d)에 배치된다. 또한, LCD(91)는, 도광판(92)과, 후술하는 프런트 패널(52)과의 사이에 있어서, 개구부(60d)에 배치된다.
도 4 내지 5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광판(92)은, 광원(95)으로부터의 광을, LCD(91)로 이끌기 위한 것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광판(92)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광판(92)의 외주부, 예를 들어 도광판(92)의 일변에는, 2개의 제1 오목부(92a)가 형성되어 있다. 도광판(92)의 제1 오목부(92a)는, 제1 지지부(61e)에 계합한다. 구체적으로는, 도광판(92)의 제1 오목부(92a)는, 제1 지지부(61e)의 기단부(71e)에 감합된다. 또한, 도광판(92)의 외주부, 예를 들어 상기의 도광판(92)의 일변에 대향하는 변(邊)에는, 하나의 제2 오목부(92b)가 형성되어 있다. 도광판(92)의 제2 오목부(92b)는 제2 지지부(62e)에 계합한다(도 4를 참조). 구체적으로는, 도광판(92)의 제2 오목부(92b)에는, 제2 지지부(62e)의 암나사부(81e)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1 오목부(92a) 및 제2 오목부(92b)를, 제1 지지부(61e) 및 제2 지지부(62e)에 계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도광판(92)(표시 장치(51))이, 제1 본체 부재(60)(케이스 본체(50))에 위치 결정된다. 이 상태에서, 볼트 부재(82e)를 암나사부(81e)의 암나사에 나합하는 것에 의하여, 도광판(92)(표시 장치(51))이, 제1 본체 부재(60)(케이스 본체(50))에 고정된다. 이것에 의하여, 도광판(92)의 외주부는, 제1 지지부(61e)의 선단부(72e) 및 제2 지지부(62e)의 볼트 부재(82e)의 머리부와, 제1 본체 부재(60)의 패널 장착부(60b)의 배면(背面)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지지된다.
즉, 표시 장치(51)의 외주부(도광판(92))는, 제1 지지부(61e) 및 제2 지지부(62e)와, 케이스 본체(50)와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지지부(61e) 및 제2 지지부(62e)에 의하여 지지된다.
도 3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런트 패널(52)은, LCD(91)를 덮는 패널이다. 또한, 프런트 패널(52)은 광을 투과하는 패널이다. 프런트 패널(52)은, 표시 장치(51)의 표시 측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50)의 제1 본체 부재(60)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프런트 패널(52)은, 제1 본체 부재(60)의 패널 장착부(60b)에, 접착제 예를 들어 양면 테이프에 의하여 장착된다. 이것에 의하여, 프런트 패널(52)과 도광판(92)과의 사이에 있어서, LCD(91)가 개구부(60d)에 배치된다. 덧붙여, 도 3에서는, 프런트 패널(52)을 파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카운터 케이스의 조립>
본 카운터 케이스(5)에서는, 우선, 도광판(92)이 제1 본체 부재(60)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도광판(92)의 2개의 제1 오목부(92a)가, 제1 본체 부재(60)에 있어서의 2개의 제1 지지부(61e)에 감합(嵌合)된다. 또한, 도광판(92)의 제1 오목부(92a)를 제1 본체 부재(60)의 제1 지지부(61e)에 감합한 상태에서, 도광판(92)의 제2 오목부(92b)가, 제1 본체 부재(60)에 있어서의 제2 지지부(62e)의 암나사부(81e)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볼트 부재(82e)가, 제2 지지부(62e)의 암나사부(81e)에 형성된 암나사에 나합된다. 이것에 의하여, 도광판(92)이, 복수의 지지부(제1 지지부(61e) 및 제2 지지부(62e))와, 제1 본체 부재(60)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LCD(91)가, 제1 본체 부재(60)의 개구부(60d)에 끼워 넣어지고, 도광판(92)의 위에 배치된다. 계속하여, 프런트 패널(52)이, 제1 본체 부재(60)의 패널 장착부(60b)에 장착된다. 계속하여,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통하여, 제2 본체 부재(70)에 장착된 제어 기판(98)의 커넥터(도시하지 않는다)와, 제1 본체 부재(60)에 장착된 LCD(91)의 커넥터(91a)(도 5 및 도 7을 참조)가 접속된다. 마지막으로, 이 상태에서, 제1 본체 부재(60)가 제2 본체 부재(70)에 장착된다.
<정리>
(1) 본 카운터 케이스(5)는, 표시 장치(51)와, 케이스 본체(50)(제1 본체 부재(60))와, 프런트 패널(52)(패널 부재)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 본체(50)는, 개구부(60d)와, 복수의 지지부(60e)를 가지고 있다. 개구부(60d)에는, 표시 장치(51)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LCD(91)가 배치된다. 복수의 지지부(60e)(제1 지지부(61e) 및 제2 지지부(62e))는, 표시 장치(51)의 외주부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프런트 패널(52)은, 표시 장치(51)의 표시 측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50)에 장착된다.
이 카운터 케이스(5)에서는, LCD(91)가 개구부(60d)에 배치되도록, 표시 장치(51)의 외주부가 복수의 지지부(60e)에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 카운터 케이스(5)에서는, 표시 장치(51)를, 제어 기판(98)에 고정하는 것이 아니고, 케이스 본체(50)에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제어 기판(98) 상에 상기의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것에 의하여, 제어 기판(98)을 소형화할 수 있다. 즉, 제어 기판(98)을 덮는 카운터 케이스(5)를 소형화할 수 있다.
(2) 본 카운터 케이스(5)에서는, 표시 장치(51)의 외주부가, 제1 지지부(61e) 및 제2 지지부(62e)(복수의 지지부)와 제1 본체 부재(60)(케이스 본체(50))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경우, 표시 장치(51)의 외주부가, 제1 지지부(61e) 및 제2 지지부(62e)와 제1 본체 부재(60)와의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표시 장치(51)를 케이스 본체(50)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3) 본 카운터 케이스(5)에서는, 제1 지지부(61e) 및 제2 지지부(62e)(복수의 지지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암나사부(81e)와, 암나사부(81e)에 나합되는 볼트 부재(82e)를 가지고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지지부(61e) 및 제2 지지부(62e)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2 지지부(62e)에 대응하고 있다. 이 경우, 제2 지지부(62e)의 암나사부(81e)에, 볼트 부재(82e)가 나합되기 때문에, 표시 장치(51)를 케이스 본체(50)에 의하여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4) 본 카운터 케이스(5)에서는, 표시 장치(51)의 외주부가, 제1 오목부(92a) 및 제2 오목부(92b)를 가지고 있다. 제1 오목부(92a) 및 제2 오목부(92b)는, 제1 지지부(61e) 및 제2 지지부(62e)에 계합하고 있다. 이와 같이, 표시 장치(51)의 외주부의 제1 오목부(92a) 및 제2 오목부(92b)가, 제1 지지부(61e) 및 제2 지지부(62e)에 계합하기 때문에, 표시 장치(51)를 케이스 본체(50)에 확실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5) 본 카운터 케이스(5)에서는, 표시 장치(51)가, LCD(91)와, LCD(91)로 광을 도광하는 도광판(92)(도광부)을 가지고 있다. LCD(91)는, 프런트 패널(52)과 도광판(92)과의 사이에 있어서, 개구부(60d)에 배치된다. 이 경우, 도광판(92)의 외주부가, 제1 지지부(61e) 및 제2 지지부(62e)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또한, LCD(91)는, 프런트 패널(52)과 도광판(92)과의 사이에 있어서, 개구부(60d)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도광판(92) 및 LCD(91)를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카운터 케이스(5)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6) 본 카운터 케이스(5)에서는, 제1 본체 부재(60)(케이스 본체(50))가, 프런트 패널(52)을 장착하기 위한 패널 장착부(60b)를 가지고 있다. 패널 장착부(60b)의 외형은, 다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패널 장착부(60b)의 외형은, 실질적으로 사다리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패널 장착부(60b)의 외주에 가까운 개구부(60d)의 우각부(261d)는 모퉁이 자름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본체 부재(60)에는, 예를 들어, 사다리꼴상의 패널 장착부(60b)가 설치되어 있다. 이 패널 장착부(60b)의 외주에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는 개구부(60d)의 우각부(261d)는 모퉁이 자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패널 장착부(60b)의 사다리꼴의 다리에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는 개구부(60d)의 우각부(261d)는 모퉁이 자름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패널 장착부(60b)의 외주와, 개구부(60d)의 우각부(261d)와의 사이의 간격 D(도 3을 참조)를 크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프런트 패널(52)과 패널 장착부(60b)의 외주와의 간극으로부터의 이물(물을 포함한다)의 침입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7) 본 전동 릴(10)은, 표시 장치(5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기판(98)을 더 구비하고 있다. 제어 기판(98)은 제2 본체 부재(70)에 배치된다.
이 경우, 표시 장치(51)는 제1 본체 부재(60)에 배치되고, 제어 기판(98)은 제2 본체 부재(70)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하여, 종래 기술과 같이 기판 상에 표시 장치용의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판을 소형화할 수 있다. 즉, 표시 케이스를 소형화할 수 있다.
(8) 본 전동 릴(10)은, 상기의 카운터 케이스(5)를 가지는 릴 본체(2)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1)과, 핸들(1)의 회전에 의하여 낚싯줄이 감기는 스풀(3)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전동 릴(10)에서는, 상기와 같은 카운터 케이스(5)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카운터 케이스(5)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즉, 전동 릴(1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특히, 본 명세서에 쓰여진 복수의 실시예 및 변형예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합 가능하다.
(A) 상기 실시예에서는, 표시 장치(51)가, LCD(91)와 도광판(92)을 가지고 있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51)가, 도광판(92)을 보강하는 보강판(93)(보강부의 일례)을 더 가지고 있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보강판(93)의 외주부에는, 표시 장치(51)의 외주부와 마찬가지로, 제1 오목부(92a)에 대응하는 오목부(93a)와, 제2 오목부(92b)에 대응하는 오목부(도시하지 않는다)가 형성된다. 이것에 의하여, 도광판(92)의 외주부 및 보강판(93)의 외주부를, 제1 지지부(61e) 및 제2 지지부(62e)에 지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광판(92)의 강성이 작아도, 도광판(92)이 보강판(93)에 의하여 보강되기 때문에, 도광판(92)을, 제1 지지부(61e) 및 제2 지지부(62e)에 의하여,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표시 장치(51)가, 2개의 제1 지지부(61e) 및 하나의 제2 지지부(62e)에 의하여 지지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표시 장치(151)가, 복수의 지지부, 예를 들어 3개의 제1 지지부(161e)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광판(192)에는 3개의 제1 오목부(192a)가 형성된다. 또한, 제1 본체 부재(160)(케이스 본체(150))에는, 3개의 제1 지지부(161e)가 형성된다.
3개의 제1 오목부(192a) 각각은, 대응하는 제1 지지부(161e)에 감합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도광판(192)의 2개의 제1 오목부(192a)가, 제1 본체 부재(160)에 있어서의 2개의 제1 지지부(161e)에 감합된다. 또한, 이들 2개의 제1 오목부(192a)를, 제1 본체 부재(160)의 제1 지지부(161e)에 감합한 상태에서, 도광판(192)을 탄성 변형시켜, 다른 제1 오목부(192a)가, 다른 제1 본체 부재(160)의 제1 지지부(161e)에 감합된다. 이것에 의하여, 도광판(192)이, 3개의 제1 지지부(161e)와, 제1 본체 부재(160)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 장치(151)를 케이스 본체(150)에 의하여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덧붙여, 이 경우도, 다른 실시예 (A)의 보강판(93)에 의하여, 도광판(192)을 보강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낚시용 릴의 케이스 본체, 및 낚시용 릴에 대하여, 넓게 적용 가능하다.
10: 전동 릴
1: 핸들
2: 릴 본체
3: 스풀
4: 모터
5: 카운터 케이스
50: 케이스 본체
51: 표시 장치
52: 프런트 패널
60: 제1 본체 부재
60b: 패널 장착부
60d: 개구부
60e: 지지부
61e: 제1 지지부
62e: 제2 지지부
81e: 암나사부
82e: 볼트 부재
91: LCD
92: 도광판
92a: 제1 오목부
92b: 제2 오목부
93: 보강판
161e: 제1 지지부
192: 도광판
192a: 제1 오목부
261d: 우각부

Claims (9)

  1. 낚시용 릴의 표시 케이스이고,
    표시 장치와,
    상기 표시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개구부(開口部)와, 상기 표시 장치의 외주부(外周部)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부를 가지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표시 장치의 표시 측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에 장착되는 패널 부재
    를 구비한 표시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외주부는, 복수의 상기 지지부와 상기 케이스 본체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 케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암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에 나합(螺合)되는 볼트 부재를 가지고 있는,
    표시 케이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외주부는, 복수의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계합(係合)하는 오목부를 가지고 있는,
    표시 케이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로 광(光)을 도광(導光)하는 도광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표시 장치의 외주부는, 상기 도광부의 외주부이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패널 부재와 상기 도광부와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는,
    표시 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도광부를 보강하는 보강부를 더 가지고 있고,
    상기 표시 장치의 외주부는, 상기 도광부의 외주부 및 상기 보강부의 외주부인,
    표시 케이스.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는, 상기 패널 부재를 장착하기 위한 패널 장착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패널 장착부의 외형은, 다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패널 장착부의 외주에 가까운 상기 개구부의 우각부(隅角部)는, 모퉁이 자름되어 있는,
    표시 케이스.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기판
    을 더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 본체는, 상기 개구부와 복수의 상기 지지부를 가지는 제1 본체 부재와, 상기 제1 본체 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본체 부재와의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어 기판이 배치되는 제2 본체 부재를 가지고,
    상기 패널 부재는, 상기 제1 본체 부재에 배치되는,
    표시 케이스.
  9. 상기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 케이스와,
    상기 표시 케이스가 장착되는 릴 본체와,
    상기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과,
    상기 핸들의 회전에 의하여 낚싯줄이 감기는 스풀
    을 구비하는 낚시용 릴.
KR1020130100919A 2012-12-28 2013-08-26 낚시용 릴의 표시 케이스, 및 낚시용 릴 KR201400868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88548 2012-12-28
JP2012288548A JP2014128238A (ja) 2012-12-28 2012-12-28 釣用リールの表示ケース、及び釣用リー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806A true KR20140086806A (ko) 2014-07-08

Family

ID=51033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0919A KR20140086806A (ko) 2012-12-28 2013-08-26 낚시용 릴의 표시 케이스, 및 낚시용 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4128238A (ko)
KR (1) KR20140086806A (ko)
CN (1) CN103907576A (ko)
TW (1) TWI5803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54059B2 (ja) 2016-03-31 2019-07-3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電動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528Y2 (ko) * 1987-02-16 1992-03-10
JPH02138568U (ko) * 1989-04-24 1990-11-19
US5397071A (en) * 1993-07-26 1995-03-14 Daiwa Seiko, Inc. Motor-operated fishing reel
TWI289431B (en) * 2002-09-30 2007-11-11 Shimano Kk Fishing reel, fishing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fishing information display system
JP4250067B2 (ja) * 2003-12-01 2009-04-0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07006782A (ja) * 2005-06-30 2007-01-18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4416824B2 (ja) * 2008-04-10 2010-02-17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2010263837A (ja) * 2009-05-15 2010-11-25 Shimano Inc 電動リールのカウンタケース
JP2010263838A (ja) * 2009-05-15 2010-11-25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水深表示装置
JP5460404B2 (ja) * 2010-03-24 2014-04-02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のカウンタケース
JP5986724B2 (ja) * 2010-10-26 2016-09-0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電動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80351B (zh) 2017-05-01
JP2014128238A (ja) 2014-07-10
TW201424583A (zh) 2014-07-01
CN103907576A (zh) 201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2354B1 (ko) 양 베어링 릴의 릴 본체
US20230387749A1 (en) Driving motor equipped with bldc motor, and actuator using same
JP2004274834A (ja) 駆動回路内蔵型サーボモータ
JP2007086625A (ja) 表示装置
JP4416824B2 (ja) 魚釣用リール
CN102197794B (zh) 电动渔线轮的计数器盒体
KR20140086806A (ko) 낚시용 릴의 표시 케이스, 및 낚시용 릴
JP2009201277A (ja) 減速機構付き電動モータ
CN209843150U (zh) 一种用于组成机械旋转点阵屏的舵机组件
JP6046385B2 (ja) 電動リールのレベルワインド機構
JP2014128238A5 (ko)
JP2014000029A5 (ko)
US20240081307A1 (en) Control case and fishing electric reel comprising the same
JP4144894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5343950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4760205B2 (ja) 駆動装置
JP2007006782A (ja)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CN1623383A (zh) 双轴承卷线器的卷线器主体
JP2005224077A (ja) モータ駆動装置
KR20080019230A (ko) 전자기 액츄에이터
JP5986724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530816Y2 (ja) 電動リール
JP2009023458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6936768B2 (ja) 開閉装置、シャッタ装置
JP6885220B2 (ja) 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