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354B1 - 양 베어링 릴의 릴 본체 - Google Patents

양 베어링 릴의 릴 본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2354B1
KR101372354B1 KR1020070038888A KR20070038888A KR101372354B1 KR 101372354 B1 KR101372354 B1 KR 101372354B1 KR 1020070038888 A KR1020070038888 A KR 1020070038888A KR 20070038888 A KR20070038888 A KR 20070038888A KR 101372354 B1 KR101372354 B1 KR 101372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er case
reel
spool
frame
mount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8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21512A (ko
Inventor
카즈히토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70121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1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01K89/0193Frame details with bearing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5Axial unwind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카운터 케이스를 가지는 릴 본체에서 카운터 케이스의 장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릴 본체는 프레임(7)과 카운터 케이스(4)와 위치 결정 돌기(7f) 및 위치 결정 오목부(40a)와 제1 및 제2 측 커버(8a, 8b)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에는 스풀(10)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측판(7a, 7b)과 연결부(7c)를 가진다. 카운터 케이스는 프레임의 앞쪽 상부에 재치되는 수심 표시용의 상자상이다. 위치 결정 돌기 및 위치 결정 오목부는 재치면에 설치되고, 카운터 케이스를 평면적으로 위치 결정한다. 제1 및 제2 측 커버는 카운터 케이스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1 및 제2 이동 규제부(8e, 8h)를 가지고, 프레임을 축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는다.
릴, 양 베어링 릴, 스풀, 프레임, 카운터 케이스

Description

양 베어링 릴의 릴 본체{REEL BODY FOR DUAL BEARING REE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채용한 양 베어링 릴의 사시도.
도 2는 그 양 베어링 릴의 배면 단면도.
도 3은 그 양 베어링 릴의 측면 단면도.
도 4는 그 릴 본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카운터 케이스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릴 본체
4 : 카운터 케이스
7 : 프레임
7a, 7b : 제1 및 제2 측판
7c1 ~ 7c3 : 제1 내지 제3 연결부
7c4 : 재치면
7f : 위치 결정 돌기
8a, 8b : 제1 및 제2 측 커버
8d, 8g, 9b : 제1 내지 제3 대향부
8e, 8h, 9c : 제1 내지 제3 이동 규제부
10 : 스풀
40a : 위치 결정 오목부
41c ~ 41e : 제1 내지 제3 돌기부
본 발명은 릴 본체 특히, 내부에 스풀이 배치되고, 낚싯줄이 스풀로부터 전방으로 방출되는 양 베어링 릴의 릴 본체에 관한 것이다.
양 베어링 릴은 일반적으로, 낚싯대에 장착되는 릴 본체와, 릴 본체의 내부에 배치된 스풀과, 핸들의 회전을 스풀에 전달하는 회전 전달 기구를 가지고 있다. 이 종류의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수심 표시용 카운터 케이스를 가지는 릴 본체가 종래 알려져 있다. 종래의 릴 본체는 사이에 스풀이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측판과 양 측판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앞쪽 상부에 배치되는 카운터 케이스와, 양 측판의 축 방향 외방(外方)을 덮는 좌우 한 쌍의 측 커버와, 스풀의 전방(前方)에서 제1 및 제2 측판 사이를 전방으로부터 덮는 전 커버를 가지고 있다.
종래의 카운터 케이스는 직사각형 상자형의 형상이며, 미관이 좋지 않은 것과 함께, 낙하 시에 카운터 케이스의 모서리부에 응력이 집중하여 모서리부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릴의 미관을 좋게 하는 것과 함께 모서리부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카운터 케이스를 측 커버나 전 커버의 곡면 형상으로 연속하도록 구성한 릴 본체가 종래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이와 같은 카운터 케이스에서는 릴 본체의 프레임에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210903호 공보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볼트에 의하여 프레임에 고정하고 있으므로, 카운터 케이스에 릴을 재치(載置)하고, 카운터 케이스의 하나 또는 복수 개소(個所)를 볼트에 의하여 고정하여야 한다. 이 때문에 카운터 케이스의 장착이 번잡하게 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카운터 케이스를 가지는 릴 본체에서 카운터 케이스의 장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발명 1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릴 본체는, 스풀이 내부에 배치되고, 낚싯줄이 스풀로부터 전방으로 방출되는 양 베어링 릴의 릴 본체이며, 프레임과 카운터 케이스와 위치 결정부와 제1 및 제2 측 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은 스풀이 사이에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제1 및 제2 측판과, 제1 및 제2 측판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고 있다. 카운터 케이스는 프레임의 앞쪽 상부에 재치되는 수심 표시용 상자상(狀)의 것이다. 위치 결정부는, 프레임의 카운터 케이스가 재치되는 재치면 및 카운터 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카운터 케이스를 재치면의 교차하는 두 방향에서 위치 결정하는 것이다. 제1 및 제2 측 커버는 카운터 케이스의 재치면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1 및 제2 이동 규제부를 각각 별도로 가지고, 제1 및 제2 측판을 축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는 좌우 한 쌍의 커버이다.
본 양 베어링 릴의 릴 본체에서는, 상자상의 카운터 케이스는 프레임의 재치면에 카운터 케이스를 재치하면, 위치 결정부에 의하여 재치면의 교차하는 두 방향에서 위치 결정된다. 이 상태에서 프레임의 양측으로부터 제1 및 제2 측 커버를 프레임에 장착하면, 제1 및 제2 이동 규제부가 카운터 케이스의 재치면으로부터의 이동을 규제하고, 카운터 케이스가 프레임의 앞쪽 상부에 고정된다. 여기에서는 위치 결정부에 의하여 재치면의 두 방향에서 위치 결정하는 것과 함께, 위치 결정된 카운터 케이스의 재치면으로부터의 이탈을 제1 및 제 2 이동 규제부에 의하여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이용하는 일 없이, 프레임에 카운터 케이스를 고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카운터 케이스의 프레임에의 장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발명 1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릴 본체는, 카운터 케이스의 재치면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3 이동 규제부를 가지며, 스풀의 전방에서 제1 및 제2 측판 사이를 전방으로부터 덮는 전 커버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전 커버의 제3 이동 규제부로 카운터 케이스의 전부(前部)의 이동도 규제되므로, 카운터 케이스를 프레임에 한층 더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발명 3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릴 본체는, 발명 1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제1 및 제2 측 커버는 카운터 케이스의 적어도 좌우 측에 대향하는 제1 및 제2 대향부를 각각 별도로 가지며, 전 커버는 카운터 케이스의 전측(前側)의 적어도 일부에 대향하는 제3 대향부를 가지며, 제1 내지 제3 대향부에 의하여 카운터 케이스의 적어도 세 방면을 둘러싸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및 제2 대향부를 가지는 제1 및 제2 측 커버가 카운터 케이스의 좌우 측에 대향하고, 전측의 적어도 일부에는 전 커버의 제3 대향부가 대향하고, 제1 내지 제3 대향부에서 카운터 케이스의 적어도 세 방면이 둘러싸인다. 이 때문에, 카운터 케이스와 릴 본체의 형상 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각 대향부의 형상을 통일하는 것에 의하여 같은 카운터 케이스에 다른 기종이나 크기의 측 커버 및 전 커버를 맞출 수 있어, 카운터 케이스의 공통화를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도록 된다.
발명 4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릴 본체는, 발명 1 또는 3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카운터 케이스는 연결부 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카운터 케이스를 연결부 상에 재치되므로, 카운터 케이스의 장착이 용이하다.
발명 5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릴 본체는, 발명 1 또는 3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위치 결정부는 재치면과 카운터 케이스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요철 감합부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카운터 케이스가 프레임에 대하여 요철 감합에 의하여 위치 결정되므로, 카운터 케이스의 2개의 방향에서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실시예>
<전체 구성>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 베어링 릴은 낚싯줄을 감기 가능한 스풀(10)이 내부에 배치되고, 낚싯줄이 전방으로 방출되는 릴이다. 또한, 양 베어링 릴은 줄 방출 길이 또는 줄 감기 길이에 따라 채비의 수심을 표시하는 수심 표시 기능을 가지는 소형의 카운터 릴이다. 양 베어링 릴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대에 장착 가능한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측방에 배치된 스풀 회전용 핸들(2)과, 핸들(2)의 릴 본체(1) 측에 배치된 드래그 조정용 스타 드래그(3)을 주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양 베어링 릴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1)에 장착된 권사용 스풀(10)과, 핸들의 회전을 스풀(10)에 전달하는 회전 전달 기구(18)와, 낚싯줄을 스풀(10)에 균일하게 감아내기 위한 레벨 와인드 기구(14)를 가지고 있다.
회전 전달 기구(18)는 릴 본체(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핸들(2)과 스풀(10)의 구동 전달을 온, 오프하는, 도시하지 않은 클러치 기구를 가지고 있다. 레벨 와인드 기구(14)는 핸들(2)의 회전에 연동하여 낚싯줄을 좌우로 안내하는 낚싯줄 가이드(14a)를 가지고 있다.
릴 본체(1)의 후부(後部)에는 클러치 기구를 온 오프 조작하는 클러치 조작 부재(11)가 배치되어 있다. 이 클러치 기구를 오프하면, 스풀(10)이 자유 회전 가능하게 되고, 채비의 자중(自重)에 의한 줄 방출을 행할 수 있다. 클러치 기구를 온하면, 핸들의 회전이 스풀(10)에 전달되는 것과 함께, 채비의 자중에 의한 줄 방출 중에 줄 방출 동작을 정지할 수 있다.
클러치 조작 부재(1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1)의 후단에 배치되는 제1 조작부(11a)와, 릴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조작부(11b)와, 양 조작부(11a, 11b)를 릴 본체를 따라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결부(11c, 11d)를 가지고 있다. 제1 및 제2 연결부(11c, 11d)는 릴 본체(1)를 따라 만곡(彎曲)하여 형성되어 있고, 사이에 스풀(10)을 노출시키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조작부(11a)는 주로 클러치 오프 조작을 행할 때에 사용되고, 제2 조작부(11b)는 주로 클러치 온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제2 조작부(11b)에는 릴 본체(1)에 계합하는 가이드 축(11e)이, 양단이 돌출하도록 좌우로 관통하여 장착되어 있고, 클러치 조작 부재(11)의 일단은 릴 본체(1)에 의하여 스풀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라 안내된다. 또한, 클러치 조작 부재(11)의 타단에는 클러치 기구에 연결되는 클러치 플레이트(11f)가 고정되어 있다. 클러치 플레이트(11f)는 릴 본체(1)에 계합하고 있어, 클러치 조작 부재(11)의 타단이 스풀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라 안내된다. 따라서, 클러치 조작 부재(11)는, 스풀 축심 회전 방향으로 도 3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클러치 온 위치와, 클러치 온 위치보다 도 3에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回動, 정방향 역방향으로 원운동함)한,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클러치 오프 위치로 요동한다.
<릴 본체의 구성>
릴 본체(1)는, 도 2 ~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10)이 사이에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제1 및 제2 측판(7a, 7b) 및 제1 및 제2 측판(7a, 7b)을 연결하는 연결부(7c)를 가지는 프레임(7)과, 프레임(7)의 앞쪽 상부에 배치되는 수심 표시용 액정 표시부(5)를 가지는 직사각형 상자상의 카운터 케이스(4)와, 제1 및 제2 측판(7a, 7b)을 축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는 좌우 한 쌍의 제1 및 제2 측 커버(8a, 8b)와, 스풀(10)의 전방에서 제1 및 제2 측판(7a, 7b) 사이를 전방으로부터 덮는 전 커버(9)를 구비하고 있다. 덧붙여, 도 2에 있어서, 스풀 축심(X)에서의 단면과, 스풀 축심(X)보다 전방에 배치된 핸들 축심(Y)에서의 단면과, 핸들 축심(Y)보다 한층 더 전방에 위치하는 카운터 케이스(4)의 단면의 3개의 단면이 도 2의 좌측과 우측과 상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제1 측판(7a)은 후부가 대략 반원상으로 형성되고, 스풀이 통과 가능한 원형의 개구(開口, 7g)를 가지고 있다. 개구(7g)에는 스풀(10)의 중심을 관통하는 스풀 축(12)의 일단을 지지하기 위한 원판상의 스풀 지지부(13)가 고정되어 있다. 스풀 지지부(13)의 중심에는 스풀 축(12)의 일단을 지지하는 볼 베어링(25)이 장착되어 있다. 스풀 지지부(13)는 제1 측판(7a)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스풀 지지부(13) 및 제1 측판(7a)에는 전지(電池) 케이스(17)가 나사 멈춤 고정되어 있다. 전지 케이스(17)에는 카운터 케이스(4)의 전원인 전지가 수납되어 있고, 카운터 케이스(4)와 전기 배선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전지 케이스(17)에는 스풀(1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스풀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측판(7a)의 상부에는 클러치 조작 부재(11)의 가이드 축(11e)이 안내되는 제1 가이드 홈(7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부에는 클러치 플레이트(11f)가 안내되는 제2 가이드 홈(7e)이 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 홈(7d, 7e)은 스풀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의 홈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가 이드 홈(7d)의 외측면에는 가이드 축(11e)을 발지(拔止, 빠지는 것을 방지/고정)하기 위한 발지판(60)이 나사 고정되어 있다. 발지판(60)은 제1 가이드 홈(7d)에 계합하는 돌기부(60a)를 양 측면에 가지고 있다. 이것은 제1 측판(7a)과 제2 측판(7b)에 장착되는 발지판(60)의 형상을 같게 하기 위한 것이고, 내측의 돌기부(60a)가 제1 가이드 홈(7d)에 계합한다.
제2 측판(7b)은 후부가 대략 반원상으로 형성되며, 핸들(2)이 선단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 핸들 축(20)의 기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제2 측판(7b)은 스풀 축(12)을 스풀(10)의 도 2 우측에 배치된 볼 베어링(26)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제1 측판(7b)의 상부에도 클러치 조작 부재(11)의 가이드 축(11e)이 안내되는 제1 가이드 홈(7d)이 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부에도 클러치 플레이트(11f)가 안내되는 제2 가이드 홈(7e)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 홈(7d, 7e)도 스풀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홈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가이드 홈(7d)의 외측면에도 가이드 축(11e)을 발지하기 위한 발지판(60)이 나사 고정되어 있다. 발지판(60)은 제1 가이드 홈(7d)에 계합하는 돌기부(60a)를 양 측면에 가지고 있지만, 내측의 돌기부(60a)가 제1 가이드 홈(7d)에 계합한다.
연결부(7c)는 제1 및 제2 측판(7a, 7b)과 일체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7c)는 릴 본체(1)의 앞쪽 상부에 배치된 판상의 상(上) 연결부(7c1)와, 릴 본체(1)의 하부에 배치된 하(下) 연결부(7c2)와, 릴 본체(1)의 뒤쪽 하부에 배치된 후(後) 연결부(7c3)를 가지고, 상부, 후부 및 하부의 3개소에서 양 측판(7a, 7b)을 연결하고 있다. 상 연결부(7c1) 상에는 카운터 케이스(4)가 재치되어 있다. 상 연결부(7c1)의 상면(上面)은 카운터 케이스(4)의 재치면(7c4)으로 이루어져 있다. 재치면(7c4)에는 카운터 케이스(4)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2개의 위치 결정 돌기(위치 결정부의 일례, 7f)가 좌우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위치 결정 돌기(7f)는 원주상으로 돌출하여 상 연결부(7c1)에 형성되어 있다. 하 연결부(7c2)에는 양 베어링 릴을 낚싯대에 장착하기 위한 장대 장착 다리부(15)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제1 측 커버(8a)는 핸들(2)의 장착 측과 반대 측(逆側)에 배치되는 커버이며, 제1 측판(7a)에 내측으로부터 나사 고정되어 있다. 제1 측 커버(8a)는 중앙부에 전지 케이스(17)를 노출시키기 위한 원형의 개구(8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에 카운터 케이스(4)의 적어도 좌변에 대향하는 제1 대향부(8d)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대향부(8d)는 카운터 케이스(4)의 전변(前邊) 및 후변(後邊)의 좌단 측에도 대향하도록 제1 측 커버(8a)의 내측 가장자리(8a1)로부터 패여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대향부(8d)에 의하여 카운터 케이스(4)의 좌방(左方) 및 후방(後方)과 제1 측 커버(8a)의 간극이 작게 된다. 제1 대향부(8d)의 하방(下方)에는 카운터 케이스(4)의 재치면(7c4)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 즉, 상방(上方)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제1 이동 규제부(8e)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측 커버(8b)는 핸들(2)의 장착 측에 배치되는 커버이며, 핸들 축(20)을 지지하는 것과 함께, 역전을 금지하기 위한 원 웨이(one way) 클러치(21)가 장착되는 지지통부(8f)가 축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에 카운터 케이스(4)의 적어도 우변에 대향하는 제2 대향부(8g)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 시예에서는 제2 대향부(8g)는 카운터 케이스(4)의 전변 및 후변의 우단 측에도 대향하도록 제2 측 커버(8b)의 내측 가장자리(8b1)로부터 패여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대향부(8g)에 의하여 카운터 케이스(4)의 우방(右方) 및 후방과 제2 측 커버(8b)의 간극이 작게 된다. 제2 대향부(8g)의 하방에는 카운터 케이스(4)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제2 이동 규제부(8h)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측 커버(8b)와 제2 측판(7b)의 사이에 회전 전달 기구(18)가 배치되어 있다.
전 커버(9)는 릴 본체(1)의 전부의 형상을 규정하는 형상이며, 양 측판(7a, 7b)에 나사 멈춤 고정되어 있다. 전 커버(9)에는 낚싯줄을 통과시키기 위한 직사각형의 개구부(9a)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전 커버(9)의 후부에는 카운터 케이스(4)의 전변의 적어도 일부에 대향하는 제3 대향부(9b)가 형성되어 있다. 제3 대향부(9b)의 하방에는 카운터 케이스(4)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제3 이동 규제부(9c)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1 내지 제3 대향부(8d, 8g, 9b)에 의하여 카운터 케이스(4)의 적어도 세 방면이 둘러싸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이동 규제부(8e, 8h, 9c)에 의하여 카운터 케이스(4)의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카운터 케이스(4)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측 커버(8a, 8b) 및 전 커버(9)보다 약간 상방으로 돌출하여 배치되어 있다. 카운터 케이스(4)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형이 대략 직사각형의 상자상 부재이며, 상 연결부(7c1)에 재치된 케이스 부재(30)와, 케이스 부재(30)의 내부에 장착된 회로 기판(31)과, 회로 기판(31) 상에 회로 기판(31)과 간극을 두고 배치된 액 정 표시부(5)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기 부품(32)을 가지고 있다. 케이스 부재(30)는 상 연결부(7c1)에 재치된 하 케이스 부재(40)와, 하 케이스 부재(40)을 덮도록 배치된 상 케이스 부재(41)을 가지고 있다.
하 케이스 부재(40)는 바구니상(狀)의 상 케이스 부재(41)와의 사이에서 회로 기판(31)을 협지하는 부재이며, 나사 부재(42)에 의하여 상 케이스 부재(41)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하 케이스 부재(40)에는 상 연결부(7c1)에 형성된 위치 결정 돌기(7f)에 요철 감합하여 위치 결정되는 2개의 위치 결정 오목부(위치 결정부의 일례, 40a)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제1 및 제2 측 커버(8a, 8b)와 전 커버(9)를 프레임(7)에 대하여 위치 결정하는 것에 의하여, 제1 ~ 제3 대향부(8d, 8g, 9b)와 카운터 케이스(4)의 각 변의 사이의 간극을 가급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결정 돌기(7f)와 위치 결정 오목부(40a)가 요철 감합하는 것에 의하여, 카운터 케이스(4)의 재치면(7c4)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2개의 방향의 위치 결정이 되는 것과 함께, 2개의 위치 결정 돌기(7f) 및 위치 결정 오목부(40a)의 요철 감합에 의하여, 재치면(7c4)과 수직인 축 회전 방향의 회전 방지도 행할 수 있다.
상 케이스 부재(41)의 상면에는 대략 직사각형의 표시창(41a)이 형성되며, 표시창(41a)를 통하여 액정 표시부(5)가 면하고 있다. 표시창(41a)에는 투명 수지제의 커버(41b)가 끼워 넣어져 있다. 표시창(41a)의 우측에는, 도 2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위치 조작부(6)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 조작부(6)는 상하로 나란히 배치된 전원 스위치(6a), 모드 스위치(6b) 및 바닷속 물고기가 서식하는 층의 메모 스위치(6c)를 가지고 있다. 상 케이스 부재(41)의 하부에는 제1 내지 제3 이동 규제부(8e, 8h, 9c)의 하면에 각각 접촉하는 제1 내지 제3 돌기부(41c ~ 41e)가 전부 및 좌우의 측부로부터 판상으로 외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상면(장대 장착 다리부로부터 이탈하는 측)에 제1 내지 제3 이동 규제부(8e, 8h, 9c)가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카운터 케이스(4)가 들려 올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위치 결정 돌기(7f)와 위치 결정 오목부(40a)에 의하여 카운터 케이스(4)가 재치면(7c4) 상에서 두개의 방향에서 위치 결정되어 있으므로, 카운터 케이스(4)를 상 연결부(7c1)에 위치 결정한 상태로 재치하고, 제1 및 제2 측 커버(8a, 8b) 및 전 커버(9)를 프레임에 고정하는 것만으로, 제1 내지 제3 이동 규제부(8e, 8h, 9c)로 카운터 케이스(4)가 들려 올려지는 것(상방으로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어, 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이용하는 일 없이, 카운터 케이스(4)를 프레임(7)에 고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카운터 케이스(4)의 프레임(7)에의 장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회로 기판(31)은 상 케이스 부재(41)에 복수 개소에서 나사 고정되어 있다. 회로 기판(31)에는 수심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 컴퓨터로 이루어지는 제어부나 액정 표시부(5)의 구동 회로나 스위치 조작부(6) 등의 전기 부품(32)이 접속되어 있다. 액정 표시부(5)는 채비의 수심이나 바닷속 물고기가 서식하는 층의 위치를 수면으로부터와 바닥으로부터의 2개의 기준으로 표시하기 위한 것이고, 세그먼트(segment) 방식이다.
<카운터 케이스의 고정 순서>
이 양 베어링 릴에서는 각종의 기구를 프레임(7)에 장착한 후, 카운터 케이스(4)를 프레임(7)에 장착할 때에는 최초로 카운터 케이스(4)를 상 연결부(7c1)의 재치면(7c4)에 위치 결정 오목부(40a)를 위치 결정 돌기(7f)에 맞추어 재치한다. 이것에 의하여 카운터 케이스(4)가 상 연결부(7c1)의 재치면(7c4)에 재치된 상태로 재치면에 대하여 교차하는 2개의 방향으로 평면적으로 위치 결정된다. 이 상태에서 전 커버(9)를 제1 및 제2 측판(7a, 7b)에 나사 고정하고, 이어서, 좌우의 제1 및 제2 측 커버(8a, 8b)를 프레임(7)의 제1 및 제2 측판(7a, 7b)에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내측으로부터 각각 나사 고정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내지 제3 이동 규제부(8e, 8h, 9c)가 카운터 케이스(4)의 제1 내지 제3 돌기부(41c ~ 41e)의 상면에 접촉하고, 카운터 케이스(4)가 들려 올려지는 것이 방지되어, 카운터 케이스(4)를 프레임(7)에 고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위치 결정 돌기(7f)와 위치 결정 오목부(40a)의 요철 감합에 의하여 재치면의 두 방향에서 위치 결정하는 것과 함께, 위치 결정된 카운터 케이스(4)의 재치면(7c4)으로부터의 이탈을 제1 내지 제3 이동 규제부(8e, 8h, 9c)에 의하여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이용하는 일 없이, 프레임(7)에 카운터 케이스(4)를 고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카운터 케이스(4)의 프레임(7)에의 장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된다.
<양 베어링 릴의 동작>
이 양 베어링 릴에서는 낚싯줄을 방출할 때에는 클러치 기구를 클러치 조작 부재(11)에 의하여 오프하고, 스풀(10)을 자유롭게 회전시켜, 낚싯줄에 장착된 낚싯봉의 자중에 의하여 낚싯줄을 방출한다. 낚싯줄이 방출되면 스풀(10)이 회전하 고, 액정 표시부(5)의 수심 표시가 방출량에 따라 변화한다. 채비가 바닷속 물고기가 서식하는 층에 도달하면, 클러치 조작 부재(11)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를 온하여 낚싯줄의 방출을 정지한다. 채비의 반응이 있으면, 핸들(2)을 회전시켜 스풀(10)을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켜 물고기를 걷어 들인다.
이와 같은 구성의 양 베어링 릴의 릴 본체(1)에서는 카운터 케이스(4)는 직사각형 상자상의 형상이며, 직선적인 전변 및 좌우의 변에 제1 내지 제3 대향부(8d, 8g, 9b)가 대향하도록 릴 본체(1)의 제1 및 제2 측 커버(8a, 8b)와 전 커버(9)를 구성하였으므로, 카운터 케이스(4)와 대향하는 제1 내지 제3 대향부(8d, 8g, 9b)도 직선적인 형상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 때문에, 카운터 케이스(4)와, 제1 및 제2 측 커버(8a, 8b) 및 전 커버(9)의 형상 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각 대향부(8d, 8g, 9b)의 형상을 통일하는 것에 의하여, 같은 카운터 케이스(4)에 다른 기종이나 크기의 측 커버 및 전 커버를 맞출 수 있어, 카운터 케이스의 공통화를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위치 결정 돌기(7f)와 위치 결정 오목부(40a)의 요철 감합에 의하여 재치면의 두 방향에서 위치 결정하는 것과 함께, 위치 결정된 카운터 케이스(4)의 재치면(7c4)으로부터의 이탈을 제1 내지 제3 이동 규제부(8e, 8h, 9c)에 의하여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이용하는 일 없이, 프레임(7)에 카운터 케이스(4)를 고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카운터 케이스(4)의 프레임(7)에의 장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된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 커버(9)에 제3 이동 규제부(9c)를 설치하였지만, 전 커버(9)에 이동 규제부를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위치 결정 돌기(7f)와 위치 결정 오목부(40a)를 재치면(7c4)과 카운터 케이스(4)에 설치하고, 그것들의 요철 감합에 의하여 카운터 케이스(4)를 재치면(7c4)에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구성하였지만, 예를 들면, 재치면에 카운터 케이스의 2개의 측면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설치하고, 그 접촉부를 위치 결정부로 하여도 무방하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모터를 가지지 않는, 손으로 감는 양 베어링 릴을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모터와 카운터 케이스를 가지는 전동 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위치 결정부에 의하여 재치면의 두 방향에서 위치 결정하는 것과 함께, 위치 결정된 카운터 케이스의 재치면으로부터의 이탈을 제1 및 제2 이동 규제부에 의하여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이용하는 일 없이, 프레임에 카운터 케이스를 프레임에 고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카운터 케이스의 프레임에의 장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된다.

Claims (5)

  1. 스풀이 내부에 배치되고, 낚싯줄이 스풀로부터 전방(前方)으로 방출되는 양 베어링 릴의 릴 본체이며,
    상기 스풀이 사이에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제1 및 제2 측판(側板)과, 상기 제1 및 제2 측판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앞쪽 상부에 재치(載置)되는 수심 표시용 상자상(狀)의 카운터 케이스와,
    상기 프레임의 상기 카운터 케이스가 재치되는 재치면 및 상기 카운터 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카운터 케이스를 상기 재치면의 교차하는 두 방향에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와,
    상기 카운터 케이스의 상기 재치면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1 및 제2 이동 규제부를 각각 별도로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측판을 축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는 좌우 한 쌍의 제1 및 제2 측(側) 커버
    를 구비하고,
    상기 카운터 케이스의 상기 재치면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3 이동 규제부를 가지며, 상기 스풀의 전방에서 상기 제1 및 제2 측판 사이를 전방으로부터 덮는 전(前) 커버를 더 구비하는
    양 베어링 릴의 릴 본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 커버는 상기 카운터 케이스의 적어도 좌우 측에 대향하는 제1 및 제2 대향부를 각각 별도로 가지며,
    상기 전 커버는 상기 카운터 케이스의 전측(前側)의 적어도 일부에 대향하는 제3 대향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내지 제3 대향부에 의하여 상기 카운터 케이스의 적어도 세 방면을 둘러싸도록 구성된 양 베어링 릴의 릴 본체.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치면은 상기 연결부 상에 설치되어 있는 양 베어링 릴의 릴 본체.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재치면과 상기 카운터 케이스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요철 감합부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의 릴 본체.
KR1020070038888A 2006-06-22 2007-04-20 양 베어링 릴의 릴 본체 KR1013723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72371A JP4934358B2 (ja) 2006-06-22 2006-06-22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JP-P-2006-00172371 2006-06-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512A KR20070121512A (ko) 2007-12-27
KR101372354B1 true KR101372354B1 (ko) 2014-03-11

Family

ID=38990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888A KR101372354B1 (ko) 2006-06-22 2007-04-20 양 베어링 릴의 릴 본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934358B2 (ko)
KR (1) KR101372354B1 (ko)
CN (1) CN101091484B (ko)
TW (1) TW20080001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50881B2 (ja) * 2009-05-15 2013-11-27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5883241B2 (ja) * 2011-06-30 2016-03-09 株式会社シマノ カウンタケース取付構造
CN102499198B (zh) * 2011-10-14 2013-06-26 佛山市南海中宇渔具有限公司 渔轮支架的装配方法
JP6247834B2 (ja) * 2012-11-19 2017-12-13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
JP6517466B2 (ja) * 2012-12-28 2019-05-2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166558B2 (ja) * 2013-03-13 2017-07-1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368525B2 (ja) * 2014-04-16 2018-08-0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操作部材
JP2016136929A (ja) * 2015-01-29 2016-08-04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7049093B2 (ja) * 2017-10-06 2022-04-0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924116B2 (ja) * 2017-10-25 2021-08-25 株式会社シマノ クラッチ操作部及び両軸受リール
JP7095986B2 (ja) * 2017-12-22 2022-07-0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CN108835058A (zh) * 2018-05-25 2018-11-20 宁波海宝渔具有限公司 一种渔线轮的框架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6904A (ko) * 1998-01-14 1999-08-16 마쯔이 요시유끼 낚시용 릴
KR20050001347A (ko) * 2003-06-26 2005-01-06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양 베어링 릴
JP2005304430A (ja) * 2004-04-23 2005-11-04 Shimano Inc 電動リールのカウンターケース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1187B2 (ja) * 1990-05-15 1995-07-3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JPH0448974A (ja) * 1990-06-15 1992-02-18 Kawasaki Steel Corp 帯状物表面の異物除去装置
JP4250067B2 (ja) * 2003-12-01 2009-04-0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SG116585A1 (en) * 2004-04-13 2005-11-28 Shimabno Inc Reel unit for dual-bearing reel.
JP2007267729A (ja) * 2006-03-08 2007-10-18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6904A (ko) * 1998-01-14 1999-08-16 마쯔이 요시유끼 낚시용 릴
KR20050001347A (ko) * 2003-06-26 2005-01-06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양 베어링 릴
JP2005304430A (ja) * 2004-04-23 2005-11-04 Shimano Inc 電動リールのカウンターケ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512A (ko) 2007-12-27
TWI376196B (ko) 2012-11-11
TW200800010A (en) 2008-01-01
CN101091484B (zh) 2011-08-31
JP4934358B2 (ja) 2012-05-16
CN101091484A (zh) 2007-12-26
JP2008000065A (ja) 2008-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2354B1 (ko) 양 베어링 릴의 릴 본체
JP2003225039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KR20140036946A (ko) 스피닝 릴
JP5872822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9247322A (ja) 魚釣用リール
US10058083B2 (en) Electric fishing reel
KR20130142059A (ko) 전동 릴의 레벨 와인드 기구
KR20160093553A (ko) 낚시용 릴
JP2007006782A (ja)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KR20190046611A (ko) 클러치 조작부 및 양 베어링 릴
KR102643542B1 (ko) 양 베어링 릴
TWI580351B (zh) 釣魚用捲線器的顯示盒及釣魚用捲線器
JPH06189655A (ja) 両軸受型リール
JP6792460B2 (ja) 魚釣用リール
JP7257314B2 (ja) 魚釣用リール
JP2024039438A (ja) 制御ケース及びこれを備える魚釣用電動リール
KR20190038284A (ko) 낚시용 릴의 전지 케이스 및 낚시용 릴
JP2014128238A5 (ko)
JP2000189016A (ja) 魚釣用リ―ル
JP7049093B2 (ja) 両軸受リール
JP2010263838A (ja) 釣り用リールの水深表示装置
KR20200007639A (ko) 낚시용 전동 릴
JP2019017718A (ja) 遊技機
JP2525025Y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1252429A (ja) 遊技機の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