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7639A - 낚시용 전동 릴 - Google Patents

낚시용 전동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7639A
KR20200007639A KR1020190031615A KR20190031615A KR20200007639A KR 20200007639 A KR20200007639 A KR 20200007639A KR 1020190031615 A KR1020190031615 A KR 1020190031615A KR 20190031615 A KR20190031615 A KR 20190031615A KR 20200007639 A KR20200007639 A KR 20200007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nnector
body frame
reel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타로 하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200007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6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motor-drive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과제] 조립성을 향상할 수 있고, 성형 후의 외관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해결 수단] 외부로부터 전원부가 접속되는 것에 의하여 내부의 모터(4)가 구동하는 낚시용 전동 릴에 있어서, 모터(4)가 수용되고, 외곽부에 본체 프레임(21)을 가지는 릴 본체(2)와, 모터(4)에 접속되고, 전원부가 전기적으로 착탈(着脫) 가능하게 설치된 커넥터(10)와, 본체 프레임(21)의 취부벽(取付壁)(21D)에 고정 나사(66)에 의하여 장착되고, 커넥터(10)를 고정하는 보지(保持) 구멍(62)을 가지는 고정 홀더(6)를 구비한 낚시용 전동 릴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낚시용 전동 릴{ELECTRICAL FISHING REEL FOR FISHING}
본 발명은, 낚시용 전동 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외부로부터 전원부가 접속되는 것에 의하여 내부의 스풀 구동용 모터의 회전 구동력에 의하여 낚싯줄이 돌려 감아지는 스풀을 구동하는 낚시용 전동 릴에서는, 전동 릴의 스풀 구동용 모터에 급전(給電)하는 수단으로서는 배터리 장치를 낚시 위치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설치하고, 스풀 구동용 모터가 내장된 릴 본체에 설치한 급전 접속부(급전 커넥터)에 대하여 급전 코드를 접속하여 급전하는 방식의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낚시용 전동 릴에 설치되는 급전 커넥터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2에 나타내지는 바와 같은 릴 본체의 일부를 덮는 커버에 커넥터가 설치되는 것이나, 예를 들어 특허 문헌 3에 나타내지는 바와 같은 릴 본체의 본체 프레임에 커넥터 취부부(取付部)를 일체로 설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333899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135517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157122호
그렇지만, 상술한 종래의 낚시용 전동 릴에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특허 문헌 1, 2의 경우에는, 커버를 릴 본체에 짜 넣을 때에, 릴 본체에 고정되는 카운터 등의 전기(電氣) 구동부와 급전 커넥터를 접속하는 리드(lead)선(線)이 물려 들어갈 우려가 있는 것으로부터, 조립성의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또한, 특허 문헌 3의 경우에는, 본체 프레임에 급전 커넥터의 회전 멈춤의 기능을 가지게 하기 위한 회전 멈춤 형상의 육후부(肉厚部)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육후 부분의 영향에 의하여 본체 프레임의 성형 시에 싱크 마크(sink mark) 등이 발생하고, 외관상의 불량이 생기기 쉬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에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조립성을 향상할 수 있고, 성형 후의 외관 불량을 억제할 수 있는 낚시용 전동 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1)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시용 전동 릴은, 외부로부터 전원부가 접속되는 것에 의하여 내부의 전기 구동부가 구동하는 낚시용 전동 릴이고, 상기 전기 구동부가 수용되고, 외곽부에 본체 프레임을 가지는 릴 본체와, 상기 전기 구동부에 접속되고, 상기 전원부가 전기적으로 착탈(着脫) 가능하게 설치된 커넥터와, 상기 본체 프레임에 고정 수단에 의하여 장착되고, 상기 커넥터를 고정하는 보지(保持) 구멍을 가지는 고정 홀더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시용 전동 릴에 의하면, 본체 프레임에 고정 수단에 의하여 고정된 고정 홀더를 통하여 커넥터가 고정된다. 그 때문에, 전기 구동부에 접속되는 커넥터는, 릴 본체의 일부를 덮는 커버 측이 아니라, 릴 본체 측에서 전기 구동부와 함께 설치된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낚시용 전동 릴을 조립할 때에, 미리 본체 프레임 측에서 커넥터와 전기 구동부를 접속하는 리드선을 조립 장착하여 두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체 프레임에 커버를 짜 넣을 때에, 종래와 같이 커버에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와 같이 리드선이 물려 들어가는 것과 같은 결함을 막을 수 있고,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 홀더를 통하여 커넥터가 고정된다. 즉, 커넥터의 취부부가 직접,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커넥터의 회전 멈춤 형상의 육후 부분이 본체 프레임에 형성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상기 육후 부분의 영향에 의하여 본체 프레임의 성형 시의 싱크 마크 등의 발생을 없앨 수 있고, 이 싱크 마크 등에 수반하는 외관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2)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시용 전동 릴은, 외부로부터 전원부가 접속되는 것에 의하여 내부의 전기 구동부가 구동하는 낚시용 전동 릴이고, 상기 전기 구동부가 수용되고, 외곽부에 본체 프레임을 가지는 릴 본체와, 상기 전기 구동부에 접속되고, 상기 전원부가 전기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커넥터와, 상기 본체 프레임에 고정 수단에 의하여 장착되고, 상기 커넥터를 보지한 상태에서 당해 커넥터와 일체로 설치되어 유닛화된 고정 홀더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시용 전동 릴에 의하면, 본체 프레임에 고정 수단에 의하여 고정된 고정 홀더에 커넥터가 일체로 유닛화되어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기 구동부에 접속되는 커넥터는, 릴 본체의 일부를 덮는 커버 측이 아니라, 릴 본체 측에서 전기 구동부와 함께 설치된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낚시용 전동 릴을 조립할 때에, 미리 본체 프레임 측에서 커넥터와 전기 구동부를 접속하는 리드선을 조립 장착하여 두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체 프레임에 커버를 짜 넣을 때에, 종래와 같이 커버에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와 같이 리드선이 물려 들어가는 것과 같은 결함을 막을 수 있고,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 홀더와 커넥터가 유닛화되어 있다. 즉, 커넥터의 취부부가 직접,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커넥터의 회전 멈춤 형상의 육후 부분이 본체 프레임에 형성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상기 육후 부분의 영향에 의하여 본체 프레임의 성형 시의 싱크 마크 등의 발생을 없앨 수 있고, 이 싱크 마크 등에 수반하는 외관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3) 상기 고정 수단은 고정 나사이고, 상기 본체 프레임은, 상기 고정 홀더를 상기 고정 나사로 고정 가능한 취부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본체 프레임의 취부벽에 대하여 고정 홀더를 고정 나사에 의하여 나사 멈춤하는 고정 구조가 되고, 취부벽을 제외한 본체 프레임의 성형 시의 영향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4) 상기 본체 프레임은, 알루미늄제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에 직접 커넥터의 취부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구조가 되기 때문에, 본체 프레임이 알루미늄제여도 간단한 금형 구조에 의하여 성형할 수 있고, 제조 코스트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시용 전동 릴에 의하면, 조립성을 향상할 수 있고, 성형 후의 외관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전동 릴을 위쪽 비스듬히 후방(後方)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전동 릴을 아래쪽 비스듬히 전방(前方)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전동 릴을 비스듬히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우측 커버를 생략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커넥터 취부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커넥터 취부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하는 커넥터 취부부의 요부(要部)를 확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8은 고정 홀더를 홀더 고정면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고정 홀더를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으로부터 볼 때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시용 전동 릴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낚시용 릴로서 양 베어링 릴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부재를 시인(視認) 가능한 크기로 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각 구성 부재의 축척을 적의(適宜) 변경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전동 릴(1)(낚시용 전동 릴)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과 함께, 손으로 감는 양 베어링 릴로서 사용할 때의 전원을 내부에 가지고 있다.
전동 릴(1)은, 낚싯대에 장착 가능한 릴 본체(2)와, 릴 본체(2)에 대하여 핸들축(C1)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취부된 핸들(20)과, 릴 본체(2)에 대하여 핸들축(C1)과 평행한 스풀축(C2) 둘레로 회전 가능하고 도시하지 않는 낚싯줄이 감기는 스풀(3)(회전 구동부)과, 릴 본체(2)에 설치되고, 스풀(3)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4)(전기 구동부)와, 스풀(3)과 핸들(20)을 연결하는 연결 상태 및 차단하는 차단 상태를 전환 가능한 클러치 기구(5)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핸들축(C1) 및 스풀축(C2)은, 각각 평행으로 설치되고, 이것들의 방향을 필요에 따라 좌우 방향(L1)으로서 정의하는 것과 함께, 좌우 방향(L1)에 직교하는 것과 함께 스풀(3)에 감긴 낚싯줄이 방출되는 방향을 따르는 방향을 전후 방향(L2)으로서 정의한다. 또한, 전후 방향(L2)에 있어서 스풀(3)로부터 낚싯줄이 방출되는 방향을 전방, 그 반대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하는 것과 함께, 전동 릴(1)을 후방 측으로부터 본 시점에서 좌우를 정의한다. 덧붙여, 도 1은 전동 릴(1)을 위쪽 비스듬히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2는 전동 릴(1)을 아래쪽 비스듬히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릴 본체)
릴 본체(2)는, 본체 프레임(21)과, 본체 프레임(21)의 일부를 덮는 커버(22)와, 본체 프레임(21)의 상측(上側)에 위치하는 수심 표시부(23)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 프레임(21)은,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또는 금속제의 일체 형성된 부재이다. 본체 프레임(21)은, 좌우 방향(L1)으로 스풀(3)을 사이에 두고 핸들(20) 측이 되는 우측판(21A)과, 우측판(21A)과 반대 측에 위치하는 좌측판(21B)과, 우측판(21A)과 좌측판(21B)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부재(21C)를 가지고 있다.
우측판(21A)과 좌측판(21B)은, 서로 좌우 방향(L1)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측판(21A, 21B)에는, 스풀(3)이나 모터(4)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클러치 기구(5) 등의 회전 구동 기구가 배치되어 있다.
우측판(21A) 및 좌측판(21B)에는, 스풀(3)의 스풀 회전축(도시 생략)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연결 부재(21C)는, 판상(板狀)을 이루고, 우측판(21A) 및 좌측판(21B)의 하부를 연결한다. 연결 부재(21C) 중 하나에는, 좌우 방향(L1)의 대략 중앙 부분에 낚싯대에 취부하기 위한 낚싯대 장착부(24)가 장착되어 있다.
커버(22)는, 우측 커버(22A), 좌측 커버(22B), 및 전(前) 커버(22C)를 구비하고 있다. 우측 커버(22A)는, 우측판(21A)을 소정의 수용 공간을 설치하여 덮고, 우측판(21A)의 외연부(外緣部)에 예를 들어 나사 멈춤되어 있다. 좌측 커버(22B)는, 좌측판(21B)을 소정의 수용 공간을 설치하여 덮고, 좌측판(21B)의 외연부에 예를 들어 나사 멈춤되어 있다. 전 커버(22C)는, 본체 프레임(21)의 전부(前部)을 덮고 있다.
우측판(21A)의 전방 하부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의 급전 케이블(11)(전원부)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10)가 삽입구(13a)를 하향으로 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수심 표시부)
수심 표시부(23)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판(21A)과 좌측판(21B)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수심 표시부(23)는, 낚싯줄의 선단(先端)에 장착 가능한 채비의 수심을 표시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지는 표시판(23A)과, 릴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수심 표시부(23)는, 우측판(21A) 및 좌측판(21B)의 상부에 재치(載置)되는 케이스부를 구성하고, 우측판(21A) 및 좌측판(21B)의 외측면(外側面)에 나사 멈춤 고정되고, 표시 조작을 행하기 위한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조작 버튼(23B)을 가지고 있다.
(핸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20)은, 핸들축의 선단부(20a)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암(25)과, 핸들 암(25)의 일단에 핸들축(C1)과 평행한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노브(knob)(26)와, 릴 본체(2) 측에 배치된 드래그(27)를 가지고 있다.
핸들(20)로부터의 토크(torque)는, 클러치 기구(5)가 클러치 온(on)된 상태에 있어서 스풀(3)에 직접 전달된다.
(스풀)
스풀(3)은, 우측판(21A)과 좌측판(21B)과의 사이에서 각각 베어링(도시 생략)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스풀(3)은, 도시하지 않는 스풀 회전축과, 스풀 회전축과 같은 축에 배치되어 연동하여 회전 가능한 통상(筒狀)의 줄 감기 몸통부(32)와, 줄 감기 몸통부(32)의 양단(兩端)에 경(徑)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확경(擴徑)된 플랜지부(33)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3)은, 모터(4)로부터 도시하지 않는 스풀 구동 기구를 통하여 회전 구동되고, 클러치 조작 부재(50)에 의하여 구동되는 클러치 기구(5)가 연동하고 있다. 스풀 회전축은, 우측 커버(22A) 및 좌측 커버(22B)에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각각 별도로 지지되어 있다.
(클러치 기구)
클러치 기구(5)는, 클러치 조작 부재(50)의 조작에 의하여 핸들(20)의 회전을 스풀(3)에 전달 가능한 클러치 온 상태와, 핸들(20)의 회전을 스풀(3)에 전달 불가능한 클러치 오프 상태로 전환 가능하다. 클러치 온 위치에서는, 피니언 기어의 회전이 스풀 회전축에 전달되고, 클러치 온 상태가 되고, 피니언 기어와 스풀 회전축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클러치 오프 위치에서는, 피니언 기어의 회전이 스풀 회전축에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클러치 오프 상태가 되고, 스풀(3)은 자유 회전 가능하게 된다.
(클러치 조작 부재)
클러치 조작 부재(5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기구(5)를 클러치 온 상태와 클러치 오프 상태로 전환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클러치 조작 부재(50)는, 릴 본체(2)의 후부(後部)에 있어서, 우측판(21A)과 좌측판(21B)과의 사이에서 릴 본체(2)의 후부에 낚싯대 장착부(24)에 대하여 접근 및 이반(離反)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클러치 조작 부재(50)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스풀 회전축 둘레로 요동(搖動)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풀 구동 기구)
상술한 스풀 구동 기구는, 스풀(3)을 줄 감기 방향으로 구동한다. 또한, 감기 시에 스풀(3)에 대하여 드래그(27)에 의하여 드래그력을 발생시켜 낚싯줄의 절단을 방지한다.
드래그(27)는, 핸들(20)의 핸들 암(25)과 우측 커버(22A)와의 사이에 있어서 핸들축에 같은 축으로 설치되어 있다. 스풀 구동 기구는, 도시하지 않는 롤러 클러치의 형태의 역전 방지부에 의하여 줄 감기 방향의 회전이 금지된 상기의 모터(4)와, 모터(4)의 회전을 감속하여 스풀(3)에 전달하거나, 핸들(20)의 회전을 증속하여 스풀(3)에 전달하는 회전 전달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모터)
모터(4)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 릴(1)의 전부에 있어서 스풀(3)(도 1 참조)보다도 앞쪽의 위치에 배치되고, 반으로 나눈 형상의 모터 수용체(40)에 덮인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판(21A)의 전부 하면(下面)(21a)에는, 전원 케이블 접속용의 커넥터(10)가 본체 프레임(21)과는 별체로 설치된 고정 홀더(6)를 통하여 하향으로 장착되어 있다.
커넥터(1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는 리드선에 의하여 모터(4)에 접속되고, 전원부가 전기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고정 홀더(6)는, 고정 나사(66)(고정 수단)에 의하여 우측판(21A)에 장착되고, 커넥터(10)를 고정하는 보지 구멍(62)을 가지고 있다.
우측판(21A)의 하단에는, 고정 홀더(6)를 고정 나사(66)로 고정 가능하고 하방으로 돌출하는 취부벽(21D)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취부벽(21D)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축(C1)에 대하여 직교하는 취부면을 가지고 있다. 취부벽(21D)은, 후술하는 고정 홀더(6)의 암나사 구멍(64)(도 8 참조)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한 쌍의 관통(貫通) 구멍(21b)과, 후술하는 고정 홀더(6)의 볼록부(65)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한 쌍의 계합(係合) 구멍(21c)을 가지고 있다.
취부벽(21D)을 포함하는 본체 프레임(21)은, 알루미늄제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커넥터(1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 장소에 배치되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연장된 급전 케이블(11)의 소켓형의 단자(11a)가 접속된다. 커넥터(10)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천벽(天壁)(12)과 통부(筒部)(13)로 이루어지는 정상(頂上)이 있는 통상을 이루고 있다. 천벽(12)의 외주면(外周面)에는, 경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전체 둘레에 걸쳐 돌출하는 외주 플랜지(14)가 형성되어 있다. 통부(13)의 내측(內側)에는, 급전 케이블(11)의 단자(11a)가 삽입되는 것으로 전기적으로 감합(嵌合)되는 삽입구(13a)가 형성되어 있다. 천벽(12)으로부터 돌출하는 접속 단자(15)에는, 도시하지 않는 리드선이 접속되고, 모터(4) 측에 연결되어 있다.
덧붙여, 급전 케이블(11)을 커넥터(10)에 접속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커넥터(10)의 하방으로 돌출하는 선단 부분에, 예를 들어 전기적 절연성을 가지는 수지 재료에 의하여 형성되는 보호 캡(도시 생략)이 착탈 가능하게 피감(被嵌)하여 덮도록 취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미사용 시에 있어서 커넥터(10)의 선단이 노출하는 일이 없이, 방수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 플랜지(14)에 있어서 외주부가 직선상(直線狀)으로 노치(notch)된 한 쌍의 노치면(14a)을 가지고 있다. 한 쌍의 노치면(14a)은, 각각 평면으로 되어 있고, 경방향에 대향하는 위치에 2개소 배치되어 있다.
(고정 홀더)
고정 홀더(6)는, 도 6 ~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형상(圓形狀)의 보지 구멍(62)을 가지는 베이스부(61)와, 베이스부(61)의 상면(上面)(61a)에 있어서 보지 구멍(62)의 주위를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コ자 형상으로 둘러싸도록 설치된 오목상 테두리(63)와, 오목상 테두리(63)의 개구(開口) 측과 반대 측에 위치하는 홀더 고정면(6a)에 형성된 한 쌍의 암나사 구멍(64)과, 홀더 고정면(6a)에서 한 쌍의 암나사 구멍(64)끼리의 사이에 설치된 한 쌍의 볼록부(65)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부(61)는, 판상의 부재이며, 상면(61a)에 커넥터(10)의 외주 플랜지(14)가 상방으로부터 당접(當接)한다. 이와 같이 베이스부(61) 상에 외주 플랜지(14)가 재치한 상태에서, 보지 구멍(62)을 상방으로부터 통과한 커넥터(10)의 하반 부분이 베이스부(61)보다 하방으로 돌출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보지 구멍(62)에는, 커넥터(10)의 통부(13)가 액밀(液密)하게, 또한 이탈 불가능한 상태로 상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10)의 돌출하는 선단 부분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너트 부재(67)가 좌금(座金)(68)과 함께 단단히 조여져 나합(螺合)된다(도 5 참조). 커넥터(10)의 외주 플랜지(14)와 너트 부재(67)로 베이스부(61)를 협지(挾持)하는 것으로 커넥터(10)가 고정 홀더(6)에 장착되고, 탈락하는 일 없이 보지할 수 있다.
오목상 테두리(63)는, 한 쌍의 측 테두리(63A)와, 측 테두리(63A, 63A)의 일단끼리를 접속하는 연결 테두리(63B)로 이루어진다. 각 측 테두리(63A)끼리의 대향하는 내면은, 서로 평행한 평활면을 이루는 계지면(係止面)(63a)에 형성되어 있다. 이 계지면(63a)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10)를 취부한 상태에 있어서, 커넥터(10)의 외주 플랜지(14)에 형성된 노치면(14a)이 면접촉에 의하여 감합된다. 즉, 계지면(63a)과 노치면(14a)은,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직선상으로 접하고 있기 때문에, 고정 홀더(6)에 대한 커넥터(10)의 중심축 둘레의 회전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것으로, 급전 케이블(11)이 커넥터(10)에 접속되어, 커넥터(10)로부터 전기 케이블을 통하여 구동부(모터(4)나 제어부)에 급전되면, 모터(4)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고, 나아가 모터(4)의 회전 구동력이 스풀(3)에 전달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낚시용 전동 릴의 작용에 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본체 프레임(21)의 취부벽(21D)에 대하여 고정 나사(66)에 의하여 나사 멈춤된 고정 홀더(6)를 통하여 커넥터(10)가 고정된다. 그 때문에, 모터(4)에 접속되는 커넥터(10)는, 릴 본체(2)의 일부를 덮는 커버(22) 측이 아니라, 릴 본체(2) 측에서 모터(4)와 함께 설치된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전동 릴(1)을 조립할 때에, 미리 본체 프레임(21) 측에서 커넥터(10)와 모터(4)를 접속하는 리드선을 조립 장착하여 두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체 프레임(21)에 커버(22)를 짜 넣을 때에, 종래와 같이 커버에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와 같이 리드선이 물려 들어가는 것과 같은 결함을 막을 수 있고,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 프레임(21)에 대하여 고정 홀더(6)를 통하여 커넥터(10)가 고정된다. 즉, 커넥터(10)의 취부부가 직접, 본체 프레임(21)에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커넥터의 회전 멈춤 형상의 육후 부분이 본체 프레임에 형성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상기 육후 부분의 영향에 의하여 본체 프레임(21)의 성형 시의 싱크 마크 등의 발생을 없앨 수 있고, 이 싱크 마크 등에 수반하는 외관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 프레임(21)이 고정 홀더(6)를 고정 나사(66)로 고정 가능한 취부벽(21D)을 가지고, 본체 프레임(21)의 취부벽(21D)에 대하여 고정 홀더(6)를 고정 나사(66)로 나사 멈춤하는 고정 구조가 되고, 취부벽(21D)을 제외한 본체 프레임(21)의 성형 시의 영향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 프레임(21)을 알루미늄제의 부재로 형성하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21)에 직접 커넥터(10)의 취부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구조가 되기 때문에, 본체 프레임(21)이 알루미늄제여도 간단한 금형 구조에 의하여 성형할 수 있고, 제조 코스트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낚시용 전동 릴에서는, 조립성을 향상할 수 있고, 성형 후의 외관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전동 릴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것들의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실시 형태는, 그 외 여러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생략, 옮겨 놓기,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예에는, 예를 들어 당업자가 용이하게 상정할 수 있는 것,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 균등한 범위의 것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 프레임(21)에 고정 수단에 의하여 장착되는 고정 홀더(6)와, 고정 홀더(6)의 보지 구멍(62)에 고정되는 커넥터(10)가 별체로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고정 홀더(6)와 커넥터(10)가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즉, 고정 홀더는, 본체 프레임(21)에 고정 수단에 의하여 장착되고, 커넥터를 보지한 상태에서 커넥터와 일체로 설치되어 유닛화된 것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덧붙여, 고정 홀더와 커넥터를 일체로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아연 다이캐스트 등의 다이캐스트나, 수지 성형, 소결, 혹은 깎아냄에 의한 방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 홀더와 커넥터를 유닛화하는 경우도,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커넥터가 릴 본체의 일부를 덮는 커버 측이 아니라, 릴 본체 측에서 전기 구동부와 함께 설치되기 때문에, 본체 프레임에 커버를 짜 넣을 때에, 리드선의 커버와의 물려 들어감을 막을 수 있고,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나아가,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 홀더와 커넥터가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 프레임의 성형 시의 싱크 마크 등의 발생을 없앨 수 있고, 이 싱크 마크 등에 수반하는 외관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릴 본체(2)의 취부벽(21D)에 고정 홀더(6)를 고정하는 고정 수단으로서 고정 나사(66)를 채용하고 있지만, 고정 나사(66)인 것에 제한될 것은 없다. 예를 들어,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계합만에 의하여 가고정하여 두고, 본체 프레임과 커버와의 사이에서 고정 홀더를 끼워 넣는 것에 의한 고정 수단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 프레임(21)에 설치한 취부벽(21D)에 고정 홀더(6)를 고정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취부벽(21D)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요(要)는, 커넥터(10)가 직접, 본체 프레임(21)에 고정하지 않기 때문에 본체 프레임(2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별체의 고정 홀더(6)가 설치되어 있으면 되는 것이다.
나아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넥터(10)의 외주 플랜지(14)에 형성된 노치면(14a)과, 고정 홀더(6)의 오목상 테두리(63)에 형성된 계지면(63a)을 면접촉시키는 것으로, 고정 홀더(6)에 대하여 커넥터(10)의 회전을 규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회전 규제 수단으로서 다른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1: 전동 릴(낚시용 전동 릴)
2: 릴 본체
3: 스풀
4: 모터(전기 구동부)
6: 고정 홀더
10: 커넥터
11: 급전 케이블(전원부)
13a: 삽입구
14: 외주 플랜지
14a: 노치면
21: 본체 프레임
21A: 우측판
21B: 좌측판
21D: 취부벽
22: 커버
22A: 우측 커버
22B: 좌측 커버
62: 보지 구멍
63: 오목상 테두리
63A: 측 테두리
63a: 계지면
66: 고정 나사(고정 수단)
C1: 핸들축
C2: 스풀축

Claims (4)

  1. 외부로부터 전원부가 접속되는 것에 의하여 내부의 전기(電氣) 구동부가 구동하는 낚시용 전동 릴에 있어서,
    상기 전기 구동부가 수용되고, 외곽부에 본체 프레임을 가지는 릴 본체와,
    상기 전기 구동부에 접속되고, 상기 전원부가 전기적으로 착탈(着脫) 가능하게 설치된 커넥터와,
    상기 본체 프레임에 고정 수단에 의하여 장착되고, 상기 커넥터를 고정하는 보지(保持) 구멍을 가지는 고정 홀더
    를 구비하고 있는, 낚시용 전동 릴.
  2. 제1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전원부가 접속되는 것에 의하여 내부의 전기 구동부가 구동하는 낚시용 전동 릴에 있어서,
    상기 전기 구동부가 수용되고, 외곽부에 본체 프레임을 가지는 릴 본체와,
    상기 전기 구동부에 접속되고, 상기 전원부가 전기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커넥터와,
    상기 본체 프레임에 고정 수단에 의하여 장착되고, 상기 커넥터를 보지한 상태에서 당해 커넥터와 일체로 설치되어 유닛화된 고정 홀더
    를 구비하고 있는, 낚시용 전동 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고정 나사이고, 상기 본체 프레임은, 상기 고정 홀더를 상기 고정 나사로 고정 가능한 취부벽(取付壁)을 가지는, 낚시용 전동 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은, 알루미늄제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낚시용 전동 릴.
KR1020190031615A 2018-07-13 2019-03-20 낚시용 전동 릴 KR202000076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33115 2018-07-13
JP2018133115A JP7187196B2 (ja) 2018-07-13 2018-07-13 魚釣用電動リー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639A true KR20200007639A (ko) 2020-01-22

Family

ID=69170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615A KR20200007639A (ko) 2018-07-13 2019-03-20 낚시용 전동 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87196B2 (ko)
KR (1) KR20200007639A (ko)
CN (1) CN110710503B (ko)
TW (1) TWI798449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7122A (ja) 1998-11-27 2000-06-13 Shimano Inc 電動リール
JP2005333899A (ja) 2004-05-27 2005-12-08 Daiwa Seiko Inc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7135517A (ja) 2005-11-21 2007-06-07 Daiwa Seiko Inc 魚釣用電動リールのバッテリ支持用コネクタ装置とバッテリ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9081A (en) * 1974-02-01 1976-09-07 Toshiaki Miyamae Motorized fishing reel
JPH0660367U (ja) * 1993-02-03 1994-08-23 リョービ株式会社 魚釣用電動リール
JP3008695U (ja) 1994-09-07 1995-03-20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電動リ−ル
JP3518981B2 (ja) * 1997-10-24 2004-04-12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及びそれに接続されるケーブル
JPH11206295A (ja) * 1998-01-27 1999-08-03 Daiwa Seiko Inc 魚釣用電動リ−ルの給電コ−ド
JP2001224284A (ja) * 2000-02-10 2001-08-21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表示装置
CN205667269U (zh) * 2016-06-16 2016-11-02 武平泓鑫工业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智能变速可调型电动鱼线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7122A (ja) 1998-11-27 2000-06-13 Shimano Inc 電動リール
JP2005333899A (ja) 2004-05-27 2005-12-08 Daiwa Seiko Inc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7135517A (ja) 2005-11-21 2007-06-07 Daiwa Seiko Inc 魚釣用電動リールのバッテリ支持用コネクタ装置とバッテリ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010607A (ja) 2020-01-23
CN110710503A (zh) 2020-01-21
TW202005528A (zh) 2020-02-01
JP7187196B2 (ja) 2022-12-12
TWI798449B (zh) 2023-04-11
CN110710503B (zh) 202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4358B2 (ja)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07293199A (ja) 回動装置及び回動装置を備えた映像表示装置
KR20170075191A (ko) 회전형 광고장치
KR20200007639A (ko) 낚시용 전동 릴
TW201735784A (zh) 釣魚用電動捲線器
JP6046385B2 (ja) 電動リールのレベルワインド機構
JP2019062790A (ja) 釣り用リールの電池ケース及び釣り用リール
CN104918754A (zh) 纵型电动工具
JP2014000029A5 (ko)
JP2007006782A (ja)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US11197470B2 (en) Fishing reel
TWI780285B (zh) 雙軸承捲線器
JP6792460B2 (ja) 魚釣用リール
JP7456875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US10765097B2 (en) Dual-bearing reel
JP2008154522A (ja) 魚釣用リール
KR102615172B1 (ko) 양 베어링 릴
CN117461604A (zh) 钓鱼用电动渔线轮
TWI630866B (zh) Fishing reel
JP2019062789A (ja) 釣り用リールの電池ケース及び釣り用リール
JP5986724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6792461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TW202412616A (zh) 釣魚用電動捲線器
JP2020022413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17176112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