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3826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3826A
KR20140083826A KR1020120153964A KR20120153964A KR20140083826A KR 20140083826 A KR20140083826 A KR 20140083826A KR 1020120153964 A KR1020120153964 A KR 1020120153964A KR 20120153964 A KR20120153964 A KR 20120153964A KR 20140083826 A KR20140083826 A KR 20140083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terminal
housing
connector
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3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훈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3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3826A/ko
Publication of KR20140083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38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10)의 외관을 하우징(12)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2)을 전후로 관통하여 터미널(40)이 설치되는 터미널안착공간(14)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4)에는 랜스(16)가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40)을 지지하여 밀리지 않게 한다.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4)과 연통되게 상기 하우징(12)의 외면으로 개방되는 지지부재안착부(19)가 형성되는데, 상기 하우징(12)의 후단에는 기저부(22)가 하우징(12)에 연결되고 선단부(24)가 상기 지지부재안착부(19)에 체결되는 지지부재(2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20)는 상기 터미널(40)을 상기 랜스(16)와 함께 지지한다. 상기 지지부재(20)의 기저부(22)는 상기 선단부(24)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탄성변형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20)에는 상대 커넥터(50)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32)가 형성되고, 상기 기저부(22)에는 기저부(22)의 탄성변형을 위한 힘을 받는 누름돌기(34)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지지부재(20)가 하우징(12)에 탄성변형가능한 기저부(22)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소형화가 가능하고, 지지부재(20)를 보다 정확한 위치에 장착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 내부의 터미널을 이중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절연재질로 만들어진 하우징의 내부에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 터미널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커넥터는 와이어의 선단에 상기 터미널이 연결되어 일반적으로 와이어와 와이어 사이에서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터미널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랜스에 의해 지지되어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시에 밀리지 않고 제 자리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터미널에 가해지는 결합력이 큰 경우에는 상기 랜스만을 가지고 터미널을 지지할 수 없어, 별도의 지지부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선행기술문헌에 나오는 바와 같이 별도의 지지부재인 스페이서를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하여 터미널을 이중으로 지지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와 같이 하우징과 별도로 만들어진 스페이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분실의 위험이 있고, 스페이서를 임시결합상태와 완전결합상태로 나누어 하우징에 결합되도록 하여야 하므로 이를 위하 구조 때문에 하우징과 스페이서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895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터미널을 랜스와 함께 이중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하면서도 커넥터를 소형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미널을 이중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면서도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과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터미널을 이중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에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과 분리를 위한 구조를 두면서도 지지부재에 의한 터미널의 지지가 견고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 터미널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의 내부에는 랜스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에 상기 랜스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되어 상대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탄성변형가능한 기저부가 연결되고 선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지지부재안착부에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기저부가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연결되는 기저부가 선단부에 비해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지지부재의 기저부에는 누름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저부와 선단부의 사이에 해당되는 지지부재에는 상대 커넥터에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와 하우징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위치설정공과 위치설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위치를 안내한다.
상기 지지부재에는 체결턱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안착부에는 상기 체결턱이 걸어지는 걸이편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지지부재안착부에 체결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터미널을 랜스와 함께 하우징 내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몰드힌지를 사용하여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하였으므로 임시결합상태를 위한 구성이 필요없게 되고 완전결합을 위한 구조만이 하우징과 지지부재에 있으면 되므로 하우징과 지지부재가 소형화될 수 있어 전체적으로 커넥터가 소형화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을 위한 구조와 분리를 위한 구조를 지지부재의 몰드힌지에 인접하여 두므로 몰드힌지의 탄성변형을 활용할 수 있어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과 분리가 상대적으로 쉽게 이루어져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몰드힌지에 의해 하우징에 연결된 지지부재가 터미널을 지지하기 위해 하우징에 결합되는 위치를 가이드하는 구조를 하우징과 지지부재에 두었으므로 지지부재가 하우징의 정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어 터미널의 지지가 보다 견고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지지부재가 하우징에서 해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가 상대 커넥터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10)의 외관과 골격을 하우징(12)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2)은 절연성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절연성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12)의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서는 터미널안착공간(14)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4)은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40)이 안착되는 부분으로 다수개가 상기 하우징(12)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터미널안착공간(14)이 나란히 한 줄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4)의 내부에는 랜스(16)가 형성된다. 상기 랜스(16)는 터미널(40)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4)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되게 형성되는 외팔보 형상이다. 상기 랜스(16)에는 터미널(40)의 일측에 걸어지는 걸이턱(18)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2)의 외면 일측으로 개방되도록 지지부재안착부(19)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안착부(19)는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4)과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4)의 연장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안착부(19)는 상기 모든 터미널안착공간(14)과 연통된다.
상기 하우징(12)에는 지지부재(24)가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24)는 상기 하우징(12)의 후단에 그 기저부(22)가 연결된다. 즉, 상기 지지부재(24)의 기저부(22)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두께로 형성되는데 상기 기저부(22)가 몰드힌지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부재(24)의 선단부(24)는 상기 기저부(22)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껍게 되어 있다. 물론, 상기 선단부(24)가 반드시 상기 기저부(22)에 비해서 두께가 두꺼워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기저부(22)가 탄성변형이 가능한 두께와 형상을 가지도록 지지부재(24)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지지부재(20)의 선단은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40)의 일측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20)의 선단은 상기 지지부재안착부(19)에 안착되어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4)으로 일정 정도 들어갈 수 있도록 설계된다. 상기 지지부재(20)에는 체결턱(26)이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턱(26)은 상기 지지부재안착부(19)의 내면에 형성된 걸이편(19')에 걸어지게 된다. 상기 체결턱(26)은 상기 지지부재(20)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데, 폭방향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지지부재(20)의 폭 일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재(20)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형상인데, 그 일측 관통하여 위치설정공(28)이 형성된다. 상기 위치설정공(28)과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12)의 외면에는 위치설정돌기(3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위치설정돌기(30)는 상기 위치설정공(28)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재(20)가 상기 하우징(12)에서 정확한 위치에 있도록 한다. 이는 상기 지지부재(20)가 어느 정도의 길이를 가지고 그 기저부(22)가 탄성변형가능하기 때문에 만든 것이다. 상기 위치설정돌기(30)와 상기 위치설정공(28)은 서로 반대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재(20)의 기저부(22)와 선단부(24)의 사이에는 체결부(32)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부(32)는 아래에서 설명될 상대 커넥터(50)와의 체결을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부(32)는 상기 지지부재(20)의 표면에 돌기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20)의 기저부(22) 일측에는 누름돌부(34)가 형성된다. 상기 누름돌부(34)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상기 기저부(22)에 위치되므로 사용자가 누름돌부(34)를 눌러주면 기저부(22)에 탄성변형이 발생하면서 상기 체결부(32)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한다. 즉, 상기 누름돌부(34)를 눌러 상기 체결부(32)가 상대 커넥터(50)의 상대 체결부(56)에서 해제되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12)의 터미널안착공간(14) 내에는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 터미널(40)이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40)은 상대 커넥터(50)의 상대 터미널(60)과 결합하여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상기 터미널(4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간략하게 설명한다.
상기 터미널(40)의 선단에는 결합부(42)가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부(42)는 상대 터미널(60)과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부(42)는 일반적으로 전후방향으로 내부가 개방된 통형상이다. 상기 결합부(42)의 내부에는 탄성편(44)이 형성되어 상대 커넥터(60)와 탄성변형된 상태로 밀착된다. 상기 결합부(42)의 일측에 상기 랜스(16)의 걸이턱(18)이 걸어진다. 상기 결합부(42)의 후단에 상기 지지부재(20)의 선단이 걸어진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지지부재(20)가 터미널(40)의 후단중 아래에서 설명될 바렐부(46)의 일측을 지지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부(42)의 후단에는 바렐부(46)가 구비된다. 상기 바렐부(46)는 와이어와의 연결을 위한 것이다. 상기 바렐부(46)는 와이어의 심선과 결합되는 와이어바렐과 와이어의 표면절연층과 결합되는 인슐레이션바렐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와이어를 도시하지 않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커넥터(10)와 결합되는 상대 커넥터(50)의 구성을 참고로 설명한다. 도 4에는 상대 커넥터(50)와 본 발명의 커넥터(10)가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상대 커넥터(50)의 외관과 골격을 상대 하우징(52)이 형성한다. 상기 상대 하우징(52)의 내부에는 상기 커넥터(10)가 삽입되는 삽입공간(54)이 형성된다. 상기 상대 하우징(52)의 삽입공간(54)의 내면에는 상대 체결부(56)가 형성된다. 상기 상대 체결부(56)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공간(54)과 외부를 관통하도록 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삽입공간(54)의 내면에 홈형상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상기 상대 하우징(52)의 내부에는 상기 삽입공간(54)과 연통되게 터미널안착공간(58)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안착공간(58)은 상기 상대하우징(52)의 후방으로도 개구된다. 상기 터미널안착공간(58)에는 상기 터미널(40)과 결합되는 상대 터미널(60)이 설치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커넥터(10)는 상기 터미널(40)을 상기 하우징(12)의 터미널안착공간(14) 내에 삽입하기 전에 상기 지지부재(20)는 도 2에 도시된 상태로 둔다. 하지만, 상기 지지부재(20)는 상기 기저부(22)가 상기 하우징(12)과 일체로 되어 있어, 상기 하우징(12)에서 탈락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40)을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4)에 삽입한다. 상기 터미널(40)의 삽입은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4)의 후단에서 선단을 향해 이루어지낟. 상기 터미널(40)이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4)에 삽입되어 들어갈 때 상기 랜스(16)를 탄성변형시키는데, 이는 상기 걸이턱(18)이 상기 터미널(40)의 결합부(42) 외면을 따라 안내되기 때문이다. 상기 걸이턱(18)이 상기 터미널(40)의 결합부(42)에 걸어지는 통공을 만나면 상기 랜스(16)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랜스(16)가 상기 터미널(40)에 걸어지게 된다.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4)들에 터미널(40)들을 모두 삽입하고 나면 상기 지지부재안착부(19)에 지지부재(20)의 선단이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재(20)가 상기 지지부재안착부(19)에 삽입되면 상기 걸이편(19')에 상기 체결턱(26)이 걸어지게 된다. 이는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걸이편(19')에 상기 체결턱(26)이 걸어질 때, 상기 위치설정돌기(30)는 상기 위치설정공(28)에 삽입되면서 상기 지지부재(20)가 하우징(12)의 정확한 위치에 체결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위치설정돌기(30)는 그 상단이 상대적으로 횡단면적이 좁고 아래에 갈수록 횡단면적이 넓어지도록 외면을 둘러 경사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20)가 상기 지지부재안착부(19)에 장착되면 상기 지지부재(20)의 선단이 상기 터미널(40)의 일측을 지지하여 터미널(40)이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4)의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상태의 커넥터(10)는 상기 상대 커넥터(50)와 결합되는데, 상기 상대 커넥터(50)의 상대 하우징(52)에 형성된 삽입공간(54)에 삽입된다. 상기 커넥터(10)가 상기 삽입공간(54)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부재(2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체결부(32)가 상기 상대 커넥터(50)의 상대 체결부(56)에 걸어지면 상대 커넥터(50)와의 결합이 완성된다. 이는 상기 체결부(32)가 형성된 상기 지지부재(20)의 기저부(22)가 탄성변형되었다가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터미널(40)과 상대 터미널(60) 사이의 결합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루어져 전기적 연결이 된다.
상기와 같이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50)가 결합된 상태에서 이들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도 4의 상태에서 상기 누름돌부(34)를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누른다. 상기 누름돌부(34)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기저부(22)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누름돌부(34)를 누름에 의해 상기 기저부(22)가 탄성변형된다.
상기 기저부(22)가 탄성변형되면 상기 기저부(22)의 선단부(24)의 사이에 있는 상기 체결부(32)가 상기 기저부(22)의 탄성변형에 따라 상기 상대 체결부(56)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상기 상대 체결부(56)에서 상기 체결부(32)가 빠져나오면 상기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50)가 분리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50)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당기면 이들이 분리된다.
다음으로, 상기 터미널(40)을 상기 하우징(12)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지지부재(20)를 상기 지지부재안착부(19)에서 분리해야 한다. 이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즉, 상기 걸이편(19')에서 상기 체결턱(26)이 분리되도록 하여 상기 지지부재(20)를 상기 지지부재안착부(19)에서 분리하고, 상기 랜스(16)의 선단을 조작하여 상기 걸이턱(18)이 상기 터미널(40)에 분리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하우징(12)의 선단쪽에서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4)으로 공구를 삽입하여 상기 랜스(16)의 선단을 조작함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랜스(16)의 걸이턱(18)이 상기 터미널(40)에서 분리되면 상기 터미널(40)을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4)에서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지지부재(20)와 하우징(12)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위치설정공(28)과 위치설정돌기(30)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상기 지지부재(20)의 길이나 크기가 어느 정도 이상으로 큰 경우에 필요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체결부(32)가 상기 지지부재(20)에 형성되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상기 지지부재(20)가 형성된 반대쪽에 구비될 수도 있다.
10: 커넥터 12: 하우징
14: 터미널안착공간 16: 랜스
18: 걸이턱 19: 지지부재안착공간
19': 걸이편 20: 지지부재
22: 기저부 24: 선단부
26: 체결턱 28: 위치설정공
30: 위치설정돌기 32: 체결부
34: 누름돌부 40: 터미널
42: 결합부 44: 탄성편
46: 바렐부 50: 상대 커넥터
52: 상대 하우징 54: 삽입공간
56: 상대 체결부 58: 터미널안착공간
60: 상대 터미널

Claims (6)

  1.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 터미널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의 내부에는 랜스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에 상기 랜스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되어 상대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탄성변형가능한 기저부가 연결되고 선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지지부재안착부에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기저부가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연결되는 기저부가 선단부에 비해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한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기저부에는 누름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저부와 선단부의 사이에 해당되는 지지부재에는 상대 커넥터에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는 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와 하우징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위치설정공과 위치설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체결턱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안착부에는 상기 체결턱이 걸어지는 걸이편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지지부재안착부에 체결되는 커넥터.
KR1020120153964A 2012-12-26 2012-12-26 커넥터 KR201400838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964A KR20140083826A (ko) 2012-12-26 2012-12-26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964A KR20140083826A (ko) 2012-12-26 2012-12-26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826A true KR20140083826A (ko) 2014-07-04

Family

ID=51734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3964A KR20140083826A (ko) 2012-12-26 2012-12-26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38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29106A1 (en) * 2022-08-26 2024-02-2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4462Y2 (ko) * 1986-08-13 1990-11-26
JPH0719964U (ja) * 1993-09-16 1995-04-0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H118004A (ja) * 1997-06-18 1999-01-12 Sumitomo Wiring Syst Ltd 二重係止コネクタ
JP2002158057A (ja) * 2000-11-17 2002-05-31 Sumitomo Wiring Syst Ltd リテーナ付きコネクタ
JP2009099471A (ja) * 2007-10-18 2009-05-07 Sumitomo Wiring Syst Ltd リテーナ一体型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4462Y2 (ko) * 1986-08-13 1990-11-26
JPH0719964U (ja) * 1993-09-16 1995-04-0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H118004A (ja) * 1997-06-18 1999-01-12 Sumitomo Wiring Syst Ltd 二重係止コネクタ
JP2002158057A (ja) * 2000-11-17 2002-05-31 Sumitomo Wiring Syst Ltd リテーナ付きコネクタ
JP2009099471A (ja) * 2007-10-18 2009-05-07 Sumitomo Wiring Syst Ltd リテーナ一体型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29106A1 (en) * 2022-08-26 2024-02-2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69452B (zh) Receptacles and connectors that use the receptacle
TWI489706B (zh) Plugs and connectors that use the plug
US9608373B2 (en)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product
US9960538B2 (en) Connector Assembly
KR20200077919A (ko) 방수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방수커넥터조립체
KR20160118145A (ko) 전기 커넥터
US8287298B2 (en) Detachment-preventing plug
JP2006260920A (ja) 電気的接続装置
US9407017B2 (en) Terminal attachment base, terminal and audio apparatus
KR101707144B1 (ko) 커넥터
CN209233075U (zh) 连接器和二次锁的组合件及连接器组件
KR20140083826A (ko) 커넥터
KR20120070721A (ko)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US7037130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1839388B1 (ko) 레버타입 커넥터
KR20100022841A (ko) 커넥터
CN209169506U (zh) 连接器和二次锁的组合件及连接器组件
JP5243588B2 (ja) コネクタ
KR20130047442A (ko) 커넥터
KR101578128B1 (ko) 커넥터 조립체
CN211082503U (zh) 插接固定机构及包含其的固定器
US20160372854A1 (en) Plug connector assembly for establishing an electrical plug connection
KR20100070834A (ko) 커넥터어셈블리
JP2007317581A (ja)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KR20220019482A (ko) 커넥터 및 커넥터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