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8145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8145A
KR20160118145A KR1020160038141A KR20160038141A KR20160118145A KR 20160118145 A KR20160118145 A KR 20160118145A KR 1020160038141 A KR1020160038141 A KR 1020160038141A KR 20160038141 A KR20160038141 A KR 20160038141A KR 20160118145 A KR20160118145 A KR 20160118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tainer
lance
locking piece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히로 스즈키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8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1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7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rear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2개의 단자 계지편의 이중 계지 구조에 의한 단자 보유지지력을 높인다.
전기 커넥터(1)는 하우징(11)에 단자(51)를 보유지지하는 구조로서, 하우징(11)에 형성된 랜스(32)와, 하우징(11)에 부착되는 리테이너(71)에 형성된 단자 계지편(74)을 이용한 이중 계지 구조를 갖는다. 단자(51)가 하우징(11)에 대하여 후방으로 끌어당겨졌을 때에는, 랜스 당접부(61)에 의해 랜스(32)의 볼록형상부(33)가 밀려, 랜스(32)의 볼록형상부(33)가 하방으로 이동함과 함께, 리테이너 당접부(62)에 의해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가 밀려,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가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랜스(32)의 볼록부(33)와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가 서로 접촉한다. 그에 따라, 이중 계지 구조에 의한 단자 보유지지력이 높아진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하우징에 리테이너를 부착함으로써 하우징 내에 수용된 단자를 유지하는 구조를 가지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에 전기 커넥터를 부착하는 경우, 케이블의 선단에 단자를 코킹 고정하고, 그 단자를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 내에 삽입한다. 하우징에는 랜스가 설치되고, 단자는 하우징 내에 있어서 랜스에 계지된다. 이 랜스에 의해, 단자 또는 케이블이 하우징에 대해서 후방으로 끌어당겨졌을 때에 단자가 하우징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단자를 하우징 내에 보유지지(保持)하는 힘(단자 보유지지력)이 형성된다.
또한, 전기 커넥터에 따라서는, 랜스와 리테이너의 이중 계지에 의해 단자 보유지지력을 높인 것이 알려져 있다. 즉, 하우징에 리테이너를 부착한다. 이에 따라, 하우징 내에 삽입된 단자가 리테이너에 의해 하우징 내의 규정 위치에 위치 결정됨과 함께, 랜스에 의해 계지된 단자가, 리테이너에 의해서도 계지된다. 그리고, 리테이너 자체도 하우징에 계지된다.
하기의 특허 문헌 1에는, 커넥터 하우징의 단자 수용실의 저벽에 설치된 가요(可撓) 계지편과, 단자 계지구에 설치된 가요 지지편에 의해 단자 금구를 이중 계지하는 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 4-85577호
그런데, 예를 들면 자동차에 탑재하는 전기 기기 등의 전기 접속에 이용되는 전기 커넥터와 같이, 전기 커넥터의 용도에 따라서는, 높은 단자 보유지지력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그 한편으로, 전기 커넥터의 소형화, 경량화의 요청도 있다. 이 요청에 따른 경우에는, 랜스 및 리테이너가 소형으로 되거나, 또는, 랜스 및 리테이너에 높은 강성을 가지는 재료를 채용하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요구되는 높은 단자 보유지지력을 형성하는데 충분한 랜스 및 리테이너의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여기서, 도 1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단자(200)가 하우징에 대하여 후방(도 12 중의 화살표 K방향)으로 끌어당겨지는 힘에 대하여, 하우징에 설치된 랜스(210)의 강도가 불충분하기 때문에, 랜스(210)가 변형하여, 단자(200)가 하우징으로부터 빠지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랜스(210)는, 외팔보의 구조를 갖고 있다. 랜스(210)는, 전후 방향으로 신장하고, 후단부가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다. 도 12 중의 G는 랜스(210)가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는 지지점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랜스(210)의 전단부는 자유단으로 되어 있고, 또한, 당해 전단부에는 하향으로 돌출하는 돌기(2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랜스(210)는, 하우징과 동일한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전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변위하도록 탄성 변형할 수 있다. 한편, 단자(200)는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단자(200)의 상부에는, 랜스(210)의 돌기(211)가 들어가는 구멍(201)이 형성되어 있다.
단자(200)가 하우징 내에 삽입되고,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랜스(210)의 돌기(211)가 구멍(201)으로 들어가, 돌기(211)의 전단이 구멍(201)의 주연(周緣)의 일부에 맞닿는다. 도 12 중의 H는, 랜스(210)의 돌기(211)와 구멍(201)의 주연의 일부가 서로 맞닿는 당접점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 내에 있어서 단자(200)는 랜스(210)에 의해 당접점(H)에서 계지된다.
이 상태에서, 단자(200)(단자(200)에 접속된 케이블)가 하우징에 대하여 후방으로 끌어당겨지고, 이 인장력이 랜스(210)의 단자 보유지지력을 초과하면, 랜스(210)가 도 12(2) 및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한다. 즉, 단자(200)가 후방으로 끌어당겨짐으로써, 당접점(H)에 있어서, 랜스(210)의 돌기(211)의 전단에, 후방을 향하여 힘이 가해진다. 지지점(G)보다 당접점(H)의 쪽이 하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 결과, 도 1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랜스(210)의 돌기(211)가 구멍(201)에 들어가도록 하방으로 변위한다. 돌기(211)가 구멍(201)에 들어가도록 변위함으로써, 랜스(210)의 전체가 상향으로 구부러진다. 랜스(210)의 전체의 구부러짐의 정도가 커지면, 당접점(H)에 있어서 후방을 향하여 가해지는 힘에 대하여, 랜스(210)의 강도가 급격하게 낮아진다. 이 때문에, 도 1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랜스(210)가 절곡되어, 돌기(211)가 구멍(201)으로부터 빠져나간다. 이 결과, 랜스(210)에 의한 단자(200)의 계지가 해제된 상태로 되어, 단자(200)는 하우징으로부터 빠져나간다.
이와 같이 단자가 후방으로 끌어당겨지는 힘에 의해 랜스가 절곡되어 계지가 해제되는 현상은, 외팔보 구조에 의해 단자를 계지하는 리테이너에도 해당된다.
확실히, 전기 커넥터의 구조를,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에 설치된 랜스와, 하우징에 부착된 리테이너에 의해 단자를 이중 계지하는 구조로 하면, 전기 커넥터의 단자 보유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전기 커넥터의 소형화·경량화 때문에, 랜스 및 리테이너의 강도가 각각 저하한 경우에는, 랜스 및 리테이너의 각각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가 후방으로 끌어당겨지는 힘을 견디지 못하고 절곡되어 버려, 단자가 하우징으로부터 빠져나가 버리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과제는, 예를 들면, 랜스와 리테이너와 같은 2개의 단자 계지편의 이중 계지 구조에 의한 단자 보유지지력을 높일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하우징, 단자 및 리테이너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하우징은, 당해 하우징의 전부(前部)에 형성되고,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춤되는 끼워맞춤부와, 당해 하우징의 후부에 형성되어, 상기 단자를 보유지지하는 통형상의 단자 보유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 보유지지부는, 당해 단자 보유지지부 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단자를 수용하는 단자 수용부와, 당해 단자 보유지지부 내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를 수용하는 리테이너 수용부와, 전후 방향으로 신장하고, 후단부가 당해 단자 보유지지부의 상벽부에 지지되고, 전단부가 자유단으로 되며, 상기 전단부에는 하향으로 돌출하는 볼록형상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자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단자를 계지하는 제1의 단자 계지편과, 당해 단자 보유지지부의 하벽부 또는 측벽부에 설치되어, 상기 리테이너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리테이너를 계지하는 리테이너 계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리테이너 기부(基部)와, 상기 리테이너 기부에 설치되어, 상기 리테이너 계지부에 계지됨으로써 당해 리테이너를 상기 리테이너 수용부 내에 고정하는 리테이너 고정부와, 전후 방향으로 신장하고, 후단부가 상기 리테이너 기부에 지지되고, 전단부가 자유단으로 되며, 상기 단자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단자를 계지하는 제2의 단자 계지편을 구비하고, 상기 단자는, 당해 단자의 전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대방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부와, 당해 단자의 후부에 형성되어, 케이블의 단부를 접속하는 케이블 접속부와, 상기 접촉부와 상기 케이블 접속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당해 단자를 상기 단자 수용부에 고정하는 단자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 고정부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는 위치 또는 상기 관통공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1의 단자 계지편의 볼록형상부의 전단(前端)에 맞닿는 제1의 당접부와,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는 위치 또는 상기 관통공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2의 단자 계지편의 전단부에 맞닿는 제2의 당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의 단자 계지편의 볼록형상부와 상기 제2의 단자 계지편의 전단부는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고 있고, 상기 단자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단자가 후방으로 끌어당겨졌을 때에, 상기 제1의 단자 계지편의 볼록형상부와 상기 제2의 단자 계지편의 전단부가 서로 접근한 후,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 양태에서는, 단자 수용부에 수용된 단자가 후방으로 끌어당겨졌을 때에, 제1의 단자 계지편의 볼록형상부와 제2의 단자 계지편의 전단부가 서로 접촉함으로써, 제1의 단자 계지편의 전단부의 하방으로의 변위가 제한되어, 제1의 단자 계지편 전체가 상향으로 만곡하는 것이 제한된다. 따라서, 단자가 후방으로 끌어당겨지는 힘에 대한 제1의 단자 계지편의 강도가, 제1의 단자 계지편 전체의 큰 만곡에 기인하여 급격하게 저하하는 것이 저지된다. 또한, 제1의 단자 계지편의 볼록형상부와 제2의 단자 계지편의 전단부가 서로 접촉함으로써, 제2의 단자 계지편의 전단부의 상방으로의 변위가 제한되어, 제2의 단자 계지편 전체가 하향으로 만곡하는 것이 제한된다. 따라서, 단자가 후방으로 끌어당겨지는 힘에 대한 제2의 단자 계지편의 강도가, 제2의 단자 계지편 전체의 큰 만곡에 기인하여 급격하게 저하하는 것이 저지된다. 이와 같이, 단자가 후방으로 끌어당겨졌을 때에, 제1의 단자 계지편과 제2의 단자 계지편이 서로 지지하여, 각각의 강도의 급격한 저하를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의 단자 계지편과 제2의 단자 계지편의 이중 계지 구조에 의한 단자 보유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자 보유지지부 하벽부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수용부에 임하는 부분에는, 전방을 향함에 따라서 상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는 경사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의 단자 계지편은, 상기 리테이너 수용부에 삽입되기 전은 전후 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신장되어 있고, 상기 단자 보유지지부의 후방으로부터 상기 리테이너 수용부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경사부의 경사면을 따라서 상방으로 구부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 양태에 의하면, 제2의 단자 계지편을 리테이너 수용부에 삽입했을 때에 제2의 단자 계지편의 전단부를 상방으로 구부림으로써, 단자가 후방으로 끌어당겨져 제2의 단자 계지편의 전단부가 제2의 당접부에 밀렸을 때에, 제2의 단자 계지편의 전단부를 제1의 단자 계지편의 볼록형상부에 접근, 접촉시키도록 상방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의 단자 계지편이 리테이너 수용부에 삽입되기 전은, 제2의 단자 계지편이 전후 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신장하고 있기 때문에, 제2의 단자 계지편을 리테이너 수용부에 삽입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 수용부의 입구 부분의 상하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기 커넥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경사면은 전방을 향함에 따라서 경사 각도가 점차 증가하도록 만곡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 양태에 의하면, 제2의 단자 계지편이 리테이너 수용부에 삽입되어, 경사부의 경사면에 밀렸을 때에, 제2의 단자 계지편이 구부러지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2의 단자 계지편의 좌우 방향의 치수는, 상기 리테이너 기부의 좌우 방향의 치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 양태에 의하면, 제2의 단자 계지편이 리테이너 수용부에 삽입되어, 경사부의 경사면에 밀렸을 때에, 제2의 단자 계지편이 구부러지기 쉬워진다. 또한, 제2의 단자 계지편의 리테이너 수용부로의 삽입시에 제2의 단자 계지편이 구부러지기 쉬워진다고 해도, 단자가 후방으로 끌어당겨졌을 때에는, 제2의 단자 계지편의 전단부가 제1의 단자 계지편의 볼록형상부에 접촉하여, 제2의 단자 계지편 전체의 만곡이 제한되기 때문에, 단자가 후방으로 끌어당겨지는 힘에 대한 제2의 단자 계지편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자가 상기 단자 수용부에 완전하게 수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의 당접부가, 상기 경사부의 정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 양태에 의하면, 제2의 단자 계지편이 리테이너 수용부에 삽입되었을 때, 제2의 단자 계지편을 경사부에 의해서 만곡시킨 후에, 제2의 단자 계지편의 전단부를 제2의 당접부에 맞닿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자가 후방으로 끌어당겨졌을 때에 제2의 단자 계지편의 전단부가 제1의 단자 계지편의 볼록형상부에 접근, 접촉하는 구조를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단자 고정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의 단자 계지편의 볼록형상부는, 상기 단자가 후방으로 끌어당겨져 있지 않을 때라도, 상기 단자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단자의 단자 고정부의 관통공에 들어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 양태에 의하면, 제1의 단자 계지편의 볼록형상부가 단자의 단자 고정부의 관통공에 들어감으로써, 단자를 단자 수용부에 삽입했을 때에 단자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고, 또한, 단자를 단자 수용부에 삽입한 후는, 단자가 위치 결정된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2개의 단자 계지편의 이중 계지 구조에 의한 단자 보유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높은 단자 보유지지력을 확보하면서, 전기 커넥터의 소형화 또는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전방의 우측 상부로부터 본,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전방의 좌측 하부로부터 본,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위로부터 본,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5는 도 4 중의 화살표 V-V 방향으로부터 본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6은 거의 후방으로부터 본,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의 단자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의 리테이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에 단자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5와 동 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에 단자 및 리테이너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5와 동 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단자가 후방으로 끌어당겨짐으로써 랜스와 리테이너가 변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 5와 동 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단자가 후방으로 끌어당겨짐으로써 랜스가 절곡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1은 당해 전기 커넥터를 전방의 우측 상부로부터 본 도면이며, 도 2는 당해 전기 커넥터를 전방의 좌측 하부로부터 본 도면이며, 도 3은 당해 전기 커넥터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전, 후, 상, 하, 좌, 우의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정하는 것으로 한다. 즉,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단자를 하우징에 부착하기 위해 단자를 하우징에 꽂아넣는 방향을 전방향으로 하고, 단자를 하우징으로부터 빼내는 방향을 후방향으로 한다. 또한, 이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고,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 등 중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대로이다.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1)는, 케이블의 선단에 부착하는 타입의 전기 커넥터이다. 전기 커넥터(1)에는, 예를 들면, 전력 공급용의 단심(單芯)의 케이블인 전원 케이블(2)과, 신호 전송용의 동축 케이블인 신호 케이블(3)이 각각 부착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1)는, 하우징(11)과, 전원 케이블(2)용의 단자(51)와, 신호 케이블(3)용의 단자(65)와, 리테이너(71)를 구비하고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하우징(11)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도 4는 하우징(11)을 위로부터 본 도면이며, 도 5는 도 4 중의 화살표 V-V 방향으로부터 본 하우징(11)의 단면도이며, 도 6은 하우징(11)을 거의 뒤로부터 본 도면이다.
하우징(11)은, 전기 커넥터(1)의 외각을 형성함과 함께, 단자(51, 65)를 수용하는 부재이다. 하우징(11)은 수지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1)의 전부(前部)에는, 상대방 커넥터와 끼워맞춤되는 커넥터 끼워맞춤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끼워맞춤부(12)는 대략 각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커넥터 끼워맞춤부(12)의 전단부에는 커넥터 끼워맞춤구(13)가 형성되어 있다. 상대방 커넥터는 커넥터 끼워맞춤구(13)로부터 커넥터 끼워맞춤부(12) 내에 삽입된다. 또한, 커넥터 끼워맞춤부(12)의 상벽부에는, 커넥터 끼워맞춤부(12) 내에 끼워맞춤된 상대방 커넥터를 잠그기 위한 록 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11)의 후부에는, 단자(51, 65)를 보유지지하는 단자 보유지지부(16)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 보유지지부(16)는 전체적으로 봐서 대략 각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벽부(17)(도 4 참조), 하벽부(18)(도 5 참조), 좌벽부(19)(도 6 참조), 및 우벽부(20)(도 6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보유지지부(16)의 좌우 방향 중간부에는 격벽부(21)가 형성되고, 단자 보유지지부(16) 내의 공간은 격벽부(21)에 의해 좌, 우로 분할되어 있다. 또한, 단자 보유지지부(16)의 후단부에서 격벽부(21)를 경계로 하여 우측과 좌측에는, 삽입구(22, 2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단자 보유지지부(16) 내의 상부에서 격벽부(21)를 경계로 하여 우측에는, 단자 수용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 수용부(23)는 전원 케이블(2)용의 단자(51)를 수용하는 부분이다. 단자 수용부(23)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1)의 후단부로부터 전후 방향 중간부에 걸쳐 전후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고, 단자 수용부(23)의 후단은 삽입구(22)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단자 수용부(23)의 전단은, 하우징(11)의 전후 방향 중간부의 내부에 형성된 삽통공(24)을 통하여 커넥터 끼워맞춤부(12) 내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보유지지부(16) 내의 상부에서 격벽부(21)를 경계로 하여 좌측에는, 단자 수용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자 수용부(26)는 신호 케이블(3)용의 단자(65)를 수용하는 부분이다. 단자 수용부(26)는, 하우징(11)의 후단부로부터 전후 방향 중간부에 걸쳐 전후 방향으로 신장하고 있고, 단자 수용부(26)의 후단은 삽입구(25)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단자 수용부(26)의 전단은, 하우징(11) 내에 형성된 삽통공(27)을 통하여 커넥터 끼워맞춤부(12) 내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단자 보유지지부(16) 내의 하부, 즉 단자 수용부(23, 26)의 하방에는 리테이너 수용부(30)가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 수용부(30)는 리테이너(71)를 수용하는 부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 수용부(30)는, 하우징(11)의 후단부로부터 전후 방향 중간부를 향해 전후 방향으로 신장하고 있는데, 리테이너 수용부(30)의 전단은, 단자 수용부(23, 26)의 전단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보유지지부(16)의 후단부에 있어서 격벽부(21)의 하부는 절제되고, 이에 따라, 좌, 우의 삽입구(22, 25)는 단자 보유지지부(16)의 하부에 있어서 서로 연결되어 있고, 리테이너 수용부(30)의 후단은, 이 삽입구(22, 25)의 연결된 부분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리테이너 수용부(30)는, 단자 보유지지부(16)의 후단부로부터 약간 전방으로 진행된 위치에서, 격벽부(21)에 의해 좌, 우로 분할되어 있다. 분할된 리테이너 수용부(30)의 우부는, 전원 케이블(2)용의 단자(51)를 수용하는 단자 수용부(23)의 하방으로 연장되고, 분할된 리테이너 수용부(30)의 좌부는, 신호 케이블(3)용의 단자(65)를 수용하는 단자 수용부(26)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보유지지부(16)의 상벽부(17)의 전부의 우측 및 좌측에는, 2개의 랜스 배치공(31, 3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우측의 랜스 배치공(31)은, 전원 케이블(2)용의 단자(51)를 수용하는 단자 수용부(23)의 상방에 형성되어 있고, 단자 수용부(23)에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랜스 배치공(31)에는 랜스(32)가 설치되어 있다.
랜스(32)는, 단자 수용부(23)에 수용된 단자(51)를 계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랜스(32)는, 전후 방향으로 신장하고, 후단부가 상벽부(17), 구체적으로는 랜스 배치공(31)의 주연의 후부에 연결되어, 지지점(P)에서 지지되어 있다. 한편, 랜스(32)의 전단부는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또한, 랜스(32)의 전단부에는, 하향으로 돌출하는 볼록형상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랜스(32)는, 외팔보의 형상을 갖고, 또한, 하우징(11)과 동일한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랜스(32)는, 지지점(P)을 기준으로 하여 그 전단부를 상하 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탄성력을 갖고 변형(만곡)할 수 있다. 또한, 랜스(32)는 제1의 단자 계지편의 구체예이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의 랜스 배치공(34)은, 신호 케이블(3)용의 단자(65)를 수용하는 단자 수용부(26)의 상방에 형성되어 있고, 단자 수용부(26)에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랜스 배치공(34)에는 랜스(35)가 설치되어 있다. 랜스(35)는, 단자 수용부(26)에 수용된 단자(65)를 계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랜스(35)는 랜스(32)와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보유지지부(16)의 하벽부(18)에 있어서, 리테이너 수용부(30)의 우부를 향하는 부분에는, 경사부(39)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39)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71)에 형성된 단자 계지편(74)을 상방으로 구부리는 기능을 갖는다. 경사부(39)는, 전원 케이블(2)용의 단자(51)를 수용하는 단자 수용부(23)의 하방에 위치하고, 단자 보유지지부(16)의 하벽부(18)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39)의 상면에는, 전방을 향함에 따라서 상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40)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40)의 경사는 완만하다. 또한, 경사면(40)은, 전방을 향함에 따라서 경사 각도가 점차 증가하도록 만곡해 있다.
또한, 경사부(39)는, 리테이너 수용부(30)의 전부에 배치되어 있다. 즉, 단자 보유지지부(16)의 하벽부(18)는, 리테이너 수용부(30)의 후부에서는 경사져 있지 않다. 하벽부(18)는, 리테이너 수용부(30)의 전후 방향 중간부, 예를 들면 랜스(32)의 후단부(지지점(P))의 하방의 위치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기 시작한다. 그리고, 하벽부(18)는, 리테이너 수용부(30)의 전부, 예를 들면 랜스(32)의 전단부(볼록형상부(33))의 하방의 위치에서 가장 높아진다. 이와 같이, 경사부(39)는, 리테이너 수용부(30)의 우부의 전후 방향 중간부로부터 전부에 걸친 영역에 존재하고 있다. 예를 들면, 경사부(39)가 존재하고 있는 영역은, 랜스(32)가 존재하고 있는 영역과 대응하고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 수용부(30) 내에 있어서, 경사부(39)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안내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4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71)의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를, 랜스(32)의 볼록형상부(33)의 하방, 즉, 단자 수용부(23)에 수용된 단자(51)의 리테이너 당접부(62)가 배치된 위치에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다. 안내부(41)는, 경사부(39)의 좌측에 있어서 격벽부(21)로부터 우방으로 뻗은 부분과, 경사부(39)의 우측에 있어서 우벽부(20)로부터 좌방으로 뻗은 부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41)가 형성됨으로써, 경사면(40)의 좌우 방향의 치수는, 단자 수용부(23)의 좌우 방향의 치수(격벽부(21)의 우면으로부터 우벽부(20)의 좌면과의 간격)보다 작아지고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보유지지부(16)의 하벽부(18)에 있어서, 리테이너 수용부(30)의 좌부를 향하는 부분, 즉, 하벽부(18)의 상면에 있어서, 신호 케이블(3)용의 단자(65)를 수용하는 단자 수용부(26)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후술하는 리테이너(71)의 각 단자 지지편(78)을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4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보유지지부(16)의 하벽부(18)의 후부에는, 리테이너 계지부(43)가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 계지부(43)는, 리테이너(71)를 리테이너 수용부(30)에 계지하여, 고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단자 보유지지부(16)의 하벽부(18)의 후부에는, 좌, 우의 2개소에 절입(44)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절입(44)에 끼워진 부분이 리테이너 계지부(43)이다. 양측의 절입(44)에 의해, 리테이너 계지부(43)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할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 계지부(43)에는, 후술하는 리테이너(71)에 형성된 리테이너 고정부(79)를 계지하는 계지공(45)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전원 케이블용의 단자(51)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7(1)은 단자(51)를 후방의 우측 상부로부터 본 도면이며, 도 7(2)는 단자(51)를 후방의 우측 하부로부터 본 도면이며, 도 7(3)은 도 7(1) 중의 화살표 Ⅶ-Ⅶ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단자(51)는, 예를 들면, 구리, 구리합금,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료 또는 도전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단자(51)의 전부에는, 커넥터 끼워맞춤부(12)에 끼워맞춤된 상대방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핀형상의 접촉부(5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자(51)의 후부에는, 전원 케이블(2)의 선단과 단자(51)를 접속하는 케이블 접속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 접속부(53)는, 전원 케이블(2)의 선단을 코킹함으로써, 케이블(2)의 선단을 단자(51)의 후부에 고정한다.
또한, 단자(51)에 있어서, 접촉부(52)와 케이블 접속부(53)의 사이에는 단자 고정부(54)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 고정부(54)는, 단자(51)를 단자 수용부(23)에 고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단자 고정부(54)는, 상판부(55), 좌판부(56), 우판부(57) 및 하판부(58)를 갖는다.
단자 고정부(54)의 상판부(55)에는, 당해 상판부(55)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59)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59)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랜스(32)의 볼록형상부(33)가 삽입된다. 관통공(59)은, 단자 수용부(23) 내에 삽입된 단자(51)를 위치 결정하는 기능과, 후술하는 공간(60)을 형성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하판부(58)의 후단의 위치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관통공(59)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고, 이에 따라, 단자 고정부(54)에는, 관통공(59)을 통하여 단자(5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공간(60)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6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랜스(32)의 볼록형상부(33)와 리테이너(71)의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를 서로 접근, 접촉시키는 공간이 된다.
또한, 좌판부(56) 및 우판부(57)의 각각의 후부는, 공간(60)의 좌우 양측을 칸막이하고 있다. 이들 후부는, 랜스(32)의 볼록형상부(33)와 리테이너(71)의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가 접근할 때에, 랜스(32)의 볼록형상부(33)와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의 이동 방향을 규제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자(51)가 후방으로 끌어당겨졌을 때에, 랜스(32)의 볼록형상부(33)와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를 확실하게 접촉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판부(55)에는 랜스 당접부(61)가 형성되어 있다. 랜스 당접부(6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랜스(32)의 볼록형상부(33)의 전단과 맞닿고, 랜스(32)에 의해 단자(51)를 계지하는 구조를 형성한다. 랜스 당접부(61)의 위치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관통공(59)에 대응하는 위치, 또는 관통공(59)의 전방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랜스 당접부(61)의 위치는 관통공(59)의 전방에 설정되어 있다. 즉, 관통공(59)의 주연의 전부의 후방을 향한 단면이 랜스 당접부(61)에 닿는다. 또한, 랜스 당접부(61)는 제1의 당접부의 구체예이다.
또한, 도 7(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랜스(32)의 하판부(58)에는 리테이너 당접부(62)가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 당접부(6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71)의 우부에 형성된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와 맞닿고, 리테이너(71)에 의해 단자(51)를 계지하는 구조를 형성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리테이너 당접부(62)는, 하판부(58)의 후단부를 상방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즉, 하판부(58)의 후단부의 상방으로 절곡된 부분의 후방을 향한 표면이 리테이너 당접부(62)이다.
또한, 리테이너 당접부(62)는, 랜스 당접부(61)의 거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리테이너 당접부(62)의 위치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관통공(59)에 대응하는 위치, 관통공(59)의 전방, 또는 랜스 당접부(61)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7(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 당접부(62)의 위치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관통공(59)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또한, 단자(51)가 단자 수용부(23)에 완전하게 수용된 상태에서는, 리테이너 당접부(62)가, 경사부(39)의 정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도 9 참조). 또한, 리테이너 당접부(62)는 제2의 당접부의 구체예이다.
한편,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호 케이블용의 단자(65)는, 그 전부에는 상대방 커넥터의 단자가 끼워맞춤되는 단자 끼워맞춤부(66)가 설치되고, 후부에는 신호 케이블(3)을 접속하는 케이블 접속부(6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단자 끼워맞춤부(66)와 케이블 접속부(67)의 사이에는, 랜스(35)에 의해 계지되는 랜스 계지부(68), 및 리테이너(71)의 단자 지지편(78)에 의해 지지되는 당접 단면(69)이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리테이너(71)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8(1)은 리테이너(71)를 후방의 우측 상부로부터 본 도면이며, 도 8(2)는 리테이너(71)를 후방의 우측 하부로부터 본 도면이며, 도 8(3)은 도 8(1) 중의 화살표 Ⅷ-Ⅷ 방향으로부터 본 리테이너(71)의 단면도이다.
도 8(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71)는, 단자 수용부(23, 26)에 수용된 단자(51, 65)를 단자 수용부(23, 26) 내에 있어서 위치 결정함과 함께, 이들 단자(51, 65)를 단자 수용부(23, 26) 내에 계지하고, 보유지지하는 부재이다. 리테이너(71)는, 수지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71)는, 단자 수용부(23)에 수용된 단자(51)의 위치 결정 및 보유지지를 행하는 부분인 리테이너 우부(72)와, 단자 수용부(26)에 수용된 단자(65)의 위치 결정 및 보유지지를 행하는 부분인 리테이너 좌부(76)를 구비하고 있다.
리테이너 우부(72)는, 상면에서 봐서 대략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된 리테이너 기부(73)를 구비하고 있다. 리테이너 기부(73)에는 단자 계지편(74)이 설치되어 있다. 단자 계지편(74)은, 전원 케이블(2)용의 단자(51)를 계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단자 계지편(74)은 리테이너 기부(73)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단자 계지편(74)은, 전후 방향으로 신장하고, 후단부가 리테이너 기부(73)의 전부에 지지점(R)(도 8(3) 참조)에서 지지되고, 전단부가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단자 계지편(74)은, 리테이너(71)가 리테이너 수용부(30)에 삽입되기 전은, 도 8(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신장하고 있다. 즉, 리테이너 기부(73) 및 단자 계지편(74)은 모두, 전후 좌우 방향으로 넓어지는 동일한 평면내를 전후 방향으로 신장하고 있다. 또한, 단자 계지편(74)은, 리테이너(71)가 리테이너 수용부(30)에 삽입되었을 때에는, 단자 보유지지부(16)의 하벽부(18)에 형성된 경사부(39)의 경사면(40)에 밀려, 상방으로 구부러진다(도 10 참조). 구체적으로는, 단자 계지편(74)의 후단(지지점(R))으로부터 전단에 걸친 부분이 경사면(40)의 만곡을 따라서 만곡한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계지편(74)의 전후 방향의 치수는, 리테이너(71)가 리테이너 수용부(30)에 수용되어 경사면(40)에 의해 상방으로 만곡된 상태에서,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가 리테이너 당접부(62)에 맞닿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8(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계지편(74)의 좌우 방향의 치수는, 리테이너 기부(73)의 좌우 방향의 치수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리테이너 기부(73)와 단자 계지편(74)의 경계 부분(측면에서 봐서 지지점(R)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단자 계지편(74)의 좌우 양측에는 단부(75)가 형성되어 있다. 각 단부(75)는, 리테이너(71)가 리테이너 수용부(30)에 수용되었을 때에 안내부(41)의 후단부에 맞닿는다.
또한, 리테이너 기부(73)의 상하 방향의 치수(두께 치수)는, 단자(51)를 단자 수용부(23)에 수용한 상태에서, 단자(51)의 후부의 하면과, 단자 보유지지부(16)의 하벽부(18)의 상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의 상하 방향의 치수 A(도 9 참조)와 거의 동일하다.
한편, 리테이너 좌부(76)는, 상면에서 봐서 대략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된 리테이너 기부(77)를 구비하고 있다. 리테이너 기부(77)에는 한쌍의 단자 지지편(78)이 일체 형성되어 있다. 각 단자 지지편(78)은, 신호 케이블(3)용의 단자(65)를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각 단자 지지편(78)은 전후 방향으로 신장하고 있고, 리테이너(71)가 리테이너 수용부(30)에 수용되었을 때, 각 단자 지지편(78)의 전단부가, 단자 보유지지부(16)의 하벽부(18)에 형성된 위치 결정부(42)(도 6 참조)에 맞닿음과 함께, 단자(65)에 형성된 당접 단면(69)(도 3 참조)에 맞닿는다.
또한, 도 8(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71)의 하부에는 리테이너 고정부(79)가 설치되어 있다. 리테이너 고정부(79)는, 리테이너(71)를 리테이너 수용부(30) 내에 고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리테이너 고정부(79)는, 리테이너(71)의 후부의 하면에 있어서 좌우 방향 중간부에 배치되고, 리테이너 우부(72)의 리테이너 기부(73)의 하면과 리테이너 좌부(76)의 리테이너 기부(77)의 하면에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테이너 고정부(79)는 리테이너(71)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리테이너 고정부(79)는, 리테이너 계지부(43)의 계지 구멍(45)에 계합한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71)가 리테이너 수용부(30)에 고정된다.
또한, 리테이너(71)의 후단부에는 인출부(80)가 설치되어 있다. 인출부(80)는, 리테이너(71)가 리테이너 수용부(30)에 삽입되었을 때에, 단자 보유지지부(16)의 후단부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삽입구로부터 후방으로 밀려난다. 하우징(11)으로부터 단자(51, 65)를 떼어낼 때는, 우선, 공구를 이용해 리테이너 계지부(43)를 하방으로 밀어 움직여 리테이너 고정부(79)를 계지공(45)으로부터 빼내면서, 인출부(80)에 손가락끝 또는 공구를 걸어 인출부(80)를 후방으로 빼낸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71)를 리테이너 수용부(30)로부터 빼낼 수 있다. 다음에, 공구를 이용해 랜스(32)의 전단부를 들어 올림으로써 단자(51)를 떼어낼 수 있다. 또한, 공구를 이용해 랜스(35)의 전단부를 들어 올림으로써 단자(65)를 떼어낼 수 있다.
도 9는 하우징(11)에 단자(51)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하우징(11)에 리테이너(71)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단자(51, 65)를 하우징(11)에 부착할 때에는, 우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51, 65)를 단자 수용부(23, 26)에 삽입하고, 다음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71)를 리테이너 수용부(30)에 삽입한다. 이하, 단자(51, 65)의 하우징(11)에의 부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작업자는, 단자(51)의 케이블 접속부(53)에 전원 케이블(2)의 선단을 접속한다. 또한, 작업자는, 단자(65)에 신호 케이블(3)의 선단을 접속한다. 또한, 도 9 내지 도 11에서는, 전원 케이블(2) 및 신호 케이블(3)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계속하여, 작업자는, 단자(51)의 접촉부(52)를 하우징(11)의 후방으로부터 삽입구(22)에 삽입한다. 계속하여, 작업자는 단자(51)를 단자 수용부(23) 내의 안으로 밀어넣는다. 이에 따라, 단자(51)가 단자 수용부(23) 내를 전방으로 이동해 간다. 이 동안, 랜스(32)의 볼록형상부(33)가 단자 고정부(54)의 상벽부(17)에 밀려, 상방으로 이동한다.
단자(51)가 단자 수용부(23)에 완전하게 삽입되었을 때,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51)의 접촉부(52)가 삽통공(24)에 삽입되어 커넥터 끼워맞춤부(12) 내에 도달한다. 또한, 이 때, 단자(51)의 관통공(59)이 랜스(32)의 볼록형상부(33)에 대향하는 위치에 도달해 랜스(32)의 볼록형상부(33)가 관통공(59)에 상방으로부터 들어간다. 랜스(32)의 볼록형상부(33)가 관통공(59)에 들어감으로써, 단자(51)가 단자 수용부(23) 내에서 위치 결정된다. 또한, 단자(51)가 단자 수용부(23)에 완전하게 삽입되었을 때, 단자(51)의 리테이너 당접부(62)가 경사부(39)의 정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단자(65)를 삽입구(25)에 삽입하고, 단자 수용부(26)의 안으로 밀어넣는다. 단자(65)가 단자 수용부(26)에 완전하게 삽입되면, 단자(65)가 랜스(35)에 의해 지지된다. 이 때, 단자(51, 65)는, 각각 랜스(32, 35)에 의해서 계지된 상태로 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리테이너(71)의 전단부를, 하우징(11)의 후방으로부터, 삽입구(22) 및 삽입구(25)가 연결된 부분에 삽입한다. 여기서, 단자(51, 65)가 단자 수용부(23, 26)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단자(51, 65)의 각각의 후부의 하면과, 단자 보유지지부(16)의 하벽부(18)의 상면의 사이에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치수 A를 가지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이 리테이너 수용부(30)의 입구이다. 또한, 삽입구(22) 및 삽입구(25)의 연결된 부분은 이 입구에 대응하고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리테이너(71)를 리테이너 수용부(30) 내의 안으로 밀어넣는다. 여기서, 리테이너 우부(72)의 단자 계지편(74)은, 리테이너(71)가 리테이너 수용부(30)에 삽입되기 전은 전후 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신장하고 있기 때문에, 삽입구(22) 및 삽입구(25)의 연결된 부분에 삽입된 리테이너(71)는, 저항없이 원활하게, 리테이너 수용부(30)의 안을 향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리테이너(71)가 리테이너 수용부(30) 내를 전방을 향해 진행하고, 리테이너(71)의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가 리테이너 수용부(30)의 전후방향 중간부를 통과하면, 단자 계지편(74)이 경사부(39)의 경사면(40) 상을 이동하게 된다. 단자 계지편(74)이 경사면(40) 상을 이동하는 동안, 단자 계지편(74)은 경사면(40)에 밀려, 경사면(40)을 따라서 상방으로 만곡해 간다.
즉, 리테이너 수용부(30)의 입구 부분의 공간은, 단자 수용부(23)에 수용된 단자(51)의 후부와 단자 보유지지부(16)의 하벽부(18)의 사이에 끼워진, 상하 방향으로 작은 공간이다. 그리고, 리테이너 우부(72)의 리테이너 기부(73)는, 리테이너 수용부(30)의 입구 부분에 있어서, 단자(51)의 후부와 단자 보유지지부(16)의 하벽부(18)의 사이에 협지되어 있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리테이너 수용부(30)의 안쪽의 공간은, 리테이너 수용부(30)의 입구 부분의 공간보다 상방으로 확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단자 계지편(74)은 경사면(40)을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리테이너 기부(73)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단자 계지편(74)은 경사면(40)에 밀림으로써,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점(R)으로부터 상방으로 구부러지기 시작한다. 또한, 이 때, 단자 계지편(74)은 안내부(41)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협지되어,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가 리테이너 당접부(62)에 이르도록, 좌우 방향의 이동 방향이 규제된다.
그리고, 리테이너(71)가 리테이너 수용부(30)에 완전하게 삽입되었을 때,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 우부(72)의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가 리테이너 당접부(62)에 맞닿고, 리테이너 우부(72)의 단부(75)가 안내부(41)의 후단부에 맞닿는다. 한편, 이와 동시에, 리테이너 좌부(76)의 각 단자 지지편(78)이, 단자 보유지지부(16)의 하벽부(18)에 형성된 위치 결정부(42)(도 6 참조)에 맞닿음과 함께, 단자(65)에 형성된 당접 단면(69)(도 3 참조)에 맞닿는다. 또한, 리테이너 고정부(79)가 리테이너 계지부(43)의 계지공(45)에 계합한다(도 2 참조).
이와 같이, 단자(51)를 단자 수용부(23)에 완전하게 삽입하고, 또한 리테이너(71)를 리테이너 수용부(30)에 완전하게 삽입함으로써, 단자(51)는, 랜스(32)의 볼록형상부(33)와, 리테이너(71)의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에 의해 이중으로 계지된다. 즉, 랜스(32)의 볼록형상부(33)에 의한 단자(51)의 계지는, 볼록형상부(33)의 전단이 랜스 당접부(61)에 맞닿음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리테이너(71)의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에 의한 단자(51)의 계지는, 리테이너 수용부(30) 내에 고정된 리테이너(71)의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가 리테이너 당접부(62)에 맞닿음으로써 실현된다. 하우징(11)에 부착된 단자(51)는, 랜스(32)의 볼록형상부(33)와 리테이너(71)의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에 의한 이중 계지에 의해, 하우징(11)에 보유지지되어, 단자(51)의 하우징(11)으로부터의 빠짐 방지가 실현된다.
도 11은 하우징(11)에 부착된 단자(51)가 하우징(11)에 대하여 후방으로 끌어당겨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1)에 있어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51)가 후방으로 끌어당겨졌을 때에, 랜스(32)의 볼록형상부(33)와 리테이너(71)의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가 서로 접촉한다. 이에 따라, 단자(51)가 하우징(11)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단자(51)를 하우징(11) 내에 보유지지하는 힘, 즉, 단자 보유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랜스(32)의 볼록형상부(33)와 리테이너(71)의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는, 관통공(59) 및 공간(60)을 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단자(51)가 후방으로 끌어당겨져 있지 않을 때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랜스(32)는 전후 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신장하여, 경사지지 않는다. 또한, 랜스(32)의 볼록형상부(33)는, 단자(51)의 단자 고정부(54)의 관통공(59)에 상방으로부터 들어가 있고, 볼록형상부(33)의 전단이 랜스 당접부(61)에 맞닿아 있다.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 볼록형상부(33)와 랜스 당접부(61)의 당접점(Q)은, 랜스(32)의 지지점(P)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단자(51)가 후방으로 끌어당겨져 있지 않을 때에는, 리테이너(71)의 단자 계지편(74)은 경사면(40)을 따라서 상방으로 만곡하고 있다. 또한,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는, 단자(51)의 단자 계지편(74)의 공간(60)에 하방으로부터 들어가 있고,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가 리테이너 당접부(62)에 맞닿고 있다.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와 리테이너 당접부(62)의 당접점(S)은, 단자 계지편(74)의 지지점(R)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랜스(32)의 볼록형상부(33)와 리테이너(71)의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가 서로 이격되어 있다.
단자(51)가 후방으로 끌어당겨지면, 단자(51)가 하우징(11)에 대해서 후방으로 이동하려 하여, 랜스(32)의 볼록형상부(33)의 전단이 랜스 당접부(61)에 의해 후방으로 밀린다. 랜스(32)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고, 당접점(Q)은 지지점(P)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고, 볼록형상부(33)의 하방에는 관통공(59)을 통하여 공간(60)이 존재하기 때문에, 볼록형상부(33)가 랜스 당접부(61)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면, 랜스(32)가 약간 만곡하여, 볼록형상부(33)가 관통공(59)으로 더 들어가도록, 하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단자(51)가 후방으로 끌어당겨져, 단자(51)가 하우징(11)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하고자 하면, 리테이너(71)의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가 리테이너 당접부(62)에 의해 후방으로 밀린다. 단자 계지편(74)은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고, 당접점(S)은 지지점(R)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의 상방에는 공간(60)이 존재하기 때문에,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가 리테이너 당접부(62)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면, 단자 계지편(74)의 만곡의 정도가 약간 커져,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가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 단자 계지편(74)은 리테이너(71)가 리테이너 수용부(30)에 수용된 직후부터 경사면(40)을 따라서 상방으로 만곡하고 있기 때문에 상방으로 구부러지기 쉽다. 또한, 단자 계지편(74)의 좌우 방향의 치수는, 리테이너 기부(73)의 좌우 방향의 치수보다 작기 때문에, 상방으로 구부러지기 쉽다. 또한, 경사면(40)은 전방을 향함에 따라서 경사 각도가 점차 증가하도록 만곡하고 있기 때문에, 상방으로 만곡하기 쉽다. 이 결과,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가 리테이너 당접부(62)에 의해 후방으로 밀림에 따라, 단자 계지편(74)은 확실하게 상방으로 구부러지고,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는 상방으로 원활하게 이동한다.
이와 같이, 단자(51)가 후방으로 끌어당겨짐으로써, 랜스(32)의 볼록형상부(33)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리테이너(71)의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결과, 랜스(32)의 볼록형상부(33)와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가 서로 접근한다. 그리고, 단자(51)가 후방으로 끌어당겨지는 힘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에 도달했을 때,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랜스(32)의 볼록형상부(33)와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가 서로 접촉한다.
랜스(32)의 볼록형상부(33)와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가 서로 접촉하면, 랜스(32)의 볼록형상부(33)는,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에 밀려, 그 이상 하방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이 결과, 랜스(32)는 그 이상 만곡하는 것이 매우 곤란해진다. 또한, 랜스(32)의 볼록형상부(33)와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가 서로 접촉하면,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는, 랜스(32)의 볼록형상부(33)에 밀려, 그 이상 상방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이 결과, 단자 계지편(74)은 그 이상 만곡하는 것이 매우 곤란해진다.
여기서, 전술한 종래 기술에 의한 전기 커넥터와 같이, 랜스의 전체의 만곡의 정도가 커지면, 단자가 후방으로 끌어당겨지는 힘에 대하여 랜스의 강도가 급격하게 저하하고, 랜스가, 도 1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곡되어, 랜스에 의한 단자의 계지가 해제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1)에서는, 랜스(32)의 볼록형상부(33)와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와의 접촉에 의해, 랜스(32) 및 단자 계지편(74)의 쌍방의 만곡이 각각 제한되기 때문에, 단자(51)가 후방으로 끌어당겨지는 힘에 대하여 랜스(32) 및 단자 계지편(74)의 쌍방의 강도가 급격하게 저하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랜스(32) 및 단자 계지편(74)에 의한 단자(51)의 계지를 유지할 수 있어, 단자 보유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랜스(32)의 볼록형상부(33)와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가 서로 접촉함으로써, 후방으로 끌어당겨지는 단자가, 랜스(32)의 볼록형상부(33)와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와 접촉점(T), 지지점(P) 및 지지점(R)으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의 지지 구조가 형성되기 때문에, 후방으로 끌어당겨지는 단자(51)를 지지하는 강도가 높아진다. 이에 따라, 단자 보유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대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1)에 의하면, 랜스(32) 및 단자 계지편(74)의 이중 계지 구조에 의한 단자 보유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랜스(32)의 볼록형상부(33)와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의 접촉에 의해, 랜스(32) 및 단자 계지편(74)의 만곡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이중 계지 구조를 구성하는 각 개의 계지편, 즉, 랜스(32) 및 단자 계지편(74)의 각각의 강도를 높이지 않아도, 이중 계지 구조에 의한 단자 보유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랜스(32) 및 단자 계지편(74)의 각각의 좌우 방향의 치수, 또는 상하 방향의 치수를 크게 하지 않아도, 혹은, 랜스(32) 및 단자 계지편(74)의 각각을 형성하는 재료를 보다 강성이 높은 재료로 변경하지 않아도, 이중 계지 구조에 의한 단자 보유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높은 단자 보유지지력을 실현하면서, 전기 커넥터(1)의 소형화 또는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1)에 의하면, 리테이너(71)의 단자 계지편(74)을, 리테이너(71)를 리테이너 수용부(30)에 삽입하기 전은 직선형상으로 하고, 리테이너(71)를 리테이너 수용부(30)에 삽입했을 때에, 경사면(40)에 밀려 구부러지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리테이너 수용부(30)를 상하 방향으로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커넥터(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단자 보유지지부(16)의 하벽부(18)에 있어서, 그 전후 방향 중간부로부터 전단부를 향해 상승하는 경사면(40)을 갖는 경사부(39)를 설치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는데, 경사부(39)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경사를 개시하는 위치를 전방으로 밀리게 해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경사면(40)의 형상을, 전방을 향함에 따라서 경사 각도가 점차 증가하도록 만곡하는 형상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경사면의 형상을, 일정한 경사 각도로 직선형상으로 상승하는 형상으로 해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커넥터 끼워맞춤부(12)가 전후 방향으로 신장하고, 커넥터 끼워맞춤구(13)가 전방으로 개구하고 있는 경우를 예로 들었는데, 커넥터 끼워맞춤부의 형상이나, 커넥터 끼워맞춤구의 개구 방향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커넥터 끼워맞춤부가 도중에서 상, 하, 좌 또는 우로 굴곡해도 좋고, 커넥터 끼워맞춤구의 개구 방향이 상방, 하방, 좌방 또는 우방이어도 좋다. 또한, 단자는 수형이라도 좋고, 암형이라도 좋다. 또한, 리테이너 계지부(43)는, 단자 보유지지부(16)의 하벽부(18)가 아니라, 측벽부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단자 보유지지부(16) 내에 경사부(39)를 설치하고, 리테이너(71)를 리테이너 수용부(30)에 삽입했을 때에 리테이너(71)의 단자 계지편(74)을 상방으로 구부리는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서는, 리테이너(71)를 리테이너 수용부(30)에 삽입하기 전의 단계에서, 리테이너(71)의 단자 계지편(74)을 미리 상방으로 구부려 두고, 경사부(39)를 폐지해도 좋다. 리테이너(71)의 단자 계지편(74)을 미리 상방으로 구부리는 경우, 단자 계지편(74)을 그 전후 방향 중간부로부터 전단부에 걸쳐 상방으로 완만하게 만곡시켜도 좋고, 단자 계지편(74)의 전단 부분만을 90도 또는 90도에 가까운 각도, 상방으로 굴곡시켜도 좋다. 또한, 단자 계지편(74)을 구부리지 않고,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에 상방으로 돌출하는 볼록형상부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이와 같이 단자 계지편(74)을 미리 구부리고, 또는 단자 계지편(74)에 볼록형상부를 형성한 경우라도, 단자(51)가 후방으로 끌어당겨졌을 때에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단자 계지편(74)의 전단과 리테이너 당접부(62)의 당접점이 단자 계지편(74)의 지지점(R)(도 10 참조)보다 상방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전기 커넥터의 상하 방향의 치수가 커질 우려가 있지만, 이중 계지 구조에 의한 단자 보유지지력을 높이는 효과는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단자(51)가 후방으로 끌어당겨져 있지 않을 때에는, 랜스(32)의 볼록형상부(33)와 리테이너(71)의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가 서로 이격되어 있고, 한편, 단자(51)가 후방으로 끌어당겨졌을 때에, 랜스(32)의 볼록형상부(33)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또한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이 결과, 랜스(32)의 볼록형상부(33)와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가 서로 접근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자(51)가 후방으로 끌어당겨졌을 때에, 랜스(32)의 볼록형상부(33)와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의 쌍방이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한쪽이 이동함으로써, 랜스(32)의 볼록형상부(33)와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의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하고, 이에 따라,랜스(32)의 볼록형상부(33)와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가 서로 접근하는 동작을 실현해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랜스(32)의 볼록형상부(33)와 리테이너(71)의 단자 계지편(74)의 전단부를 서로 접촉시킴으로써 이중 계지 구조에 의한 단자 보유지지력을 높이는 구조를, 단심의 전원 케이블(2)용의 단자(51)의 보유지지에 적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동축 케이블용의 단자 등의 다른 타입의 단자의 보유지지에도 적용할 수 있고, 신호 전송용의 단자 등의 다른 용도의 단자의 보유지지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단일의 하우징(11)에 2개의 단자를 보유지지하는 타입의 전기 커넥터(1)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은, 단일의 하우징에 단일의 단자를 보유지지하는 타입의 전기 커넥터나, 단일의 하우징에 3개 이상의 단자를 보유지지하는 타입의 전기 커넥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 및 명세서 전체로부터 읽어낼 수 있는 발명의 요지 또는 사상에 위반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고, 그러한 변경에 수반하는 전기 커넥터도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된다.
1 : 전기 커넥터
2 : 전원 케이블
3 : 신호 케이블
11 : 하우징
12 : 커넥터 끼워맞춤부(끼워맞춤부)
13 : 커넥터 끼워맞춤구(끼워맞춤구)
16 : 단자 보유지지부
22 : 삽입구
23 : 단자 수용부
30 : 리테이너 수용부
32 : 랜스(제1의 단자 계지편)
33 : 볼록형상부
39 : 경사부
40 : 경사면
43 : 리테이너 계지부
45 : 계지공
51 : 단자
52 : 접촉부
53 : 케이블 접속부
54 : 단자 고정부
59 : 관통공
60 : 공간
61 : 랜스 당접부(제1의 당접부)
62 : 리테이너 당접부(제2의 당접부)
71 : 리테이너
72 : 리테이너 우부
73 : 리테이너 기부
74 : 단자 계지편(제2의 단자 계지편)
79 : 리테이너 고정부

Claims (6)

  1. 하우징, 단자 및 리테이너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하우징은, 당해 하우징의 전부(前部)에 형성되고, 상대방 커넥터와 끼워맞춤되는 끼워맞춤부와, 당해 하우징의 후부에 형성되어, 상기 단자를 보유지지하는 통형상의 단자 보유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 보유지지부는, 당해 단자 보유지지부 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단자를 수용하는 단자 수용부와, 당해 단자 보유지지부 내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를 수용하는 리테이너 수용부와, 전후 방향으로 신장하고, 후단부가 당해 단자 보유지지부의 상벽부에 지지되고, 전단부가 자유단으로 되며, 상기 전단부에는 하향으로 돌출하는 볼록형상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자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단자를 계지하는 제1의 단자 계지편과, 당해 단자 보유지지부의 하벽부 또는 측벽부에 설치되어, 상기 리테이너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리테이너를 계지하는 리테이너 계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리테이너 기부와, 상기 리테이너 기부에 설치되어, 상기 리테이너 계지부에 계지됨으로써 당해 리테이너를 상기 리테이너 수용부 내에 고정하는 리테이너 고정부와, 전후 방향으로 신장하고, 후단부가 상기 리테이너 기부에 지지되고, 전단부가 자유단으로 되며, 상기 단자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단자를 계지하는 제2의 단자 계지편을 구비하고,
    상기 단자는, 당해 단자의 전부(前部)에 형성되어, 상기 상대방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부와, 당해 단자의 후부에 형성되어, 케이블의 단부를 접속하는 케이블 접속부와, 상기 접촉부와 상기 케이블 접속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당해 단자를 상기 단자 수용부에 고정하는 단자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 고정부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는 위치 또는 상기 관통공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1의 단자 계지편의 볼록형상부의 전단에 맞닿는 제1의 당접부와,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는 위치 또는 상기 관통공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2의 단자 계지편의 전단부에 맞닿는 제2의 당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의 단자 계지편의 볼록형상부와 상기 제2의 단자 계지편의 전단부는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고 있고, 상기 단자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단자가 후방으로 끌어당겨졌을 때에, 상기 제1의 단자 계지편의 볼록형상부와 상기 제2의 단자 계지편의 전단부가 서로 접근한 후,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보유지지부의 하벽부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수용부에 임하는 부분에는, 전방을 향함에 따라서 상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는 경사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의 단자 계지편은, 상기 리테이너 수용부에 삽입되기 전은 전후 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신장하고 있고, 상기 단자 보유지지부의 후방으로부터 상기 리테이너 수용부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경사부의 경사면을 따라서 상방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경사면은 전방을 향함에 따라서 경사 각도가 점차 증가하도록 만곡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단자 계지편의 좌우 방향의 치수는, 상기 리테이너 기부의 좌우 방향의 치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가 상기 단자 수용부에 완전하게 수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의 당접부가, 상기 경사부의 정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단자 고정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의 단자 계지편의 볼록형상부는, 상기 단자가 후방으로 끌어당겨져 있지 않을 때라도, 상기 단자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단자의 단자 고정부의 관통공에 들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160038141A 2015-04-01 2016-03-30 전기 커넥터 KR201601181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75165 2015-04-01
JP2015075165A JP6445376B2 (ja) 2015-04-01 2015-04-01 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145A true KR20160118145A (ko) 2016-10-11

Family

ID=57162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141A KR20160118145A (ko) 2015-04-01 2016-03-30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445376B2 (ko)
KR (1) KR2016011814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4116A (ko) * 2019-07-03 2021-01-13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기판 접속용 커넥터 구조
WO2021250534A1 (en) * 2020-06-08 2021-12-16 Molex, Llc Cable terminal and connector
WO2021250503A1 (en) * 2020-06-08 2021-12-16 Molex, Llc Connector, connector assembly, and retai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D202846S (zh) 2019-01-31 2020-02-21 美商莫仕有限公司 電連接器之部分
CN209217300U (zh) * 2019-01-31 2019-08-06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连接器
JP7256961B2 (ja) * 2019-09-17 2023-04-1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端子金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5577A (ja) 1990-07-30 1992-03-18 Canon Inc 定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72167A (ja) * 1988-12-24 1990-07-03 Nippon Ee M P Kk 電気コネクタ
JPH081571Y2 (ja) * 1990-03-05 1996-01-17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係止具付コネクタ
JP2585191Y2 (ja) * 1991-03-26 1998-11-11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係止具付コネクタ
JP2581487Y2 (ja) * 1993-09-16 1998-09-2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022175B2 (ja) * 1994-06-08 2000-03-15 住友電装株式会社 リテーナ付きコネクタ
JP3013718B2 (ja) * 1994-09-16 2000-02-2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5577A (ja) 1990-07-30 1992-03-18 Canon Inc 定着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4116A (ko) * 2019-07-03 2021-01-13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기판 접속용 커넥터 구조
WO2021250534A1 (en) * 2020-06-08 2021-12-16 Molex, Llc Cable terminal and connector
WO2021250503A1 (en) * 2020-06-08 2021-12-16 Molex, Llc Connector, connector assembly, and retainer
TWI798713B (zh) * 2020-06-08 2023-04-11 美商莫仕有限公司 線纜端子及連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95080A (ja) 2016-11-17
JP6445376B2 (ja) 2018-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18145A (ko) 전기 커넥터
US10170857B2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TWI408853B (zh) 基板對基板連接器
US8974244B2 (en) Connector
US20070093130A1 (en) Perpendicular fitting female terminal and housing to mount it therein
US9246260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462070B2 (en) Connector having lock mechanism
TW201517394A (zh) 基板對基板連接器
JP5005822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5651652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2005302602A (ja) コネクタ
KR20190045138A (ko) 전력 커넥터
JP2008041664A (ja) コネクタ
JP2008311040A (ja) コネクタプラグ
JP2012089318A (ja) 端子金具
JP2017117734A (ja) コネクタ
JP2012028303A (ja) コネクタ
CN111224261B (zh) 连接器
EP2693245B1 (en) Connector
JP2022107105A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JP2014075308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4082512B2 (ja) 垂直嵌合コネクタ
JP2010140884A (ja) コネクタ
JP5129792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010073440A (ja) 端子金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