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2872A - 트레이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트레이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2872A
KR20140082872A KR1020120151598A KR20120151598A KR20140082872A KR 20140082872 A KR20140082872 A KR 20140082872A KR 1020120151598 A KR1020120151598 A KR 1020120151598A KR 20120151598 A KR20120151598 A KR 20120151598A KR 20140082872 A KR20140082872 A KR 20140082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losing
magazine
pallet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1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5775B1 (ko
Inventor
황영수
김용성
이상수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1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775B1/ko
Publication of KR20140082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2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2Easels, stands or shelves, e.g. castor-shelves, supporting mean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07Means for moving conveyor frames and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65G41/008Means for moving conveyor frames and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frames mounted on wheels or caterpilla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8Trays, totes or 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30Modula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전자부품이 정렬된 트레이를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이송이 되는 트레이를 다양한 위치에서 공급 장치 내에 설치된 매거진에 수납될 수 있도록 하는 트레이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트레이 공급 장치는 다수 개의 팔레트(150)가 수용된 매거진(140); 매거진(14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모듈(160); 매거진(140)에 팔레트(150)를 공급하기 위한 투입 모듈(110); 및 매거진(140)으로부터 이송된 팔레트(150)를 이송시키는 이송 모듈(120)을 포함하고, 상기 투입 모듈(110)에 형성된 투입 도어(111a)의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 2개의 개폐 장치(11a, 11b)가 설치되어 투입 도어(111)는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서 개폐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트레이 공급장치{Tray Feeder}
본 발명은 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전자부품이 정렬된 트레이를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이송이 되는 트레이를 다양한 위치에서 공급 장치 내에 설치된 매거진에 수납될 수 있도록 하는 트레이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부품을 위한 표면실장기술(Surface Mount Technology)은 인쇄회로기판(PCB)의 표면에 직접 실장이 될 수 있는 표면 실장 부품(Surface Mounted Component)을 전자 회로에 부착시키는 기술을 말하고 이와 같이 배치된 전자부품을 표면 실장 소자(Surface-mount Device)라고 한다. 전자부품을 회로기판에 실장을 하기 위하여 전자부품은 트레이에 배치되어 공급이 될 수 있고 트레이의 공급을 위한 장치는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트레이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는 일반적으로 트레이 피더(Tray Feeder)라고 명해진다.
트레이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2006-0048148호 ‘논스톱방식의 트레이 공급장치’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전자부품이 수납된 트레이가 탑재되는 팔레트; 상기 팔레트를 복수 개 적재할 수 있는 매거진; 상기 팔레트가 탑재된 매거진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 상기 매거진에 적재된 팔레트를 인출하여 픽업 위치로 이송하는 이송수단; 전자부품이 소진된 빈 팔레트를 교체하기 위해 상기 매거진의 상부에 구비되어 팔레트의 전자부품만 교체하거나 빈 팔레트를 들어내어 새로운 팔레트로 교체하는 교체 매거진; 상기 매거진과 교체 매거진을 서로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제1 고정 실린더와 제2 고정 실린더; 상기 제1 고정 실린더와 제2 고정 실린더가 착탈외어지며 상기 교체 매거진의 측단부에 구비되는 브라켓; 상기 승강 수단과 이송 수단 및 고정 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전자부품 실장 장치에 트레이 공급 장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트레이 공급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트레이 공급과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2008-0081475호 ‘칩 트레이 공급 장치’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 트레이가 재치가 된 팔레트를 적층 수납하는 복수 개의 매거진; 상기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이송 스크류; 상기 각 매거진의 팔레트를 승강 및 하강을 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송 스크류에 연결 설치되는 복수 개의 엘리베이터; 상기 이송 스크류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복수 개의 회전 부재; 상기 각 엘리베이터와 상기 각 회전 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 개의 베어링; 상기 각 회전 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각 엘리베이터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 개의 구동 모터; 및 상기 각 구동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각 회전 부재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각 구동 모터의 회전 축과 상기 각 회전 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동력전달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이송 스크류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제1 이송부; 및 한쪽은 상기 제1 이송부의 외주 면에 결합되고 다른 쪽은 상기 동력 전달 유닛과 결합되는 제2 이송부로 이루어지는 트레이 공급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트레이 공급과 관련된 또 다른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2012-0070094호 ‘트레이 피더’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다수의 부품이 수납된 트레이를 그 상부에 탑재하여 운반하는 팔레트가 내부에 적재되도록 매거진을 구비한 본체; 상기 팔레트 상의 부품들이 상기 부품을 픽업하는 마운터의 부품 픽업 위치로 이송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팔레트의 이송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레일; 상기 매거진에 적재된 팔레트를 상기 마운터의 부품 픽업 위치로 이송하거나 상기 마운터의 부품 픽업 위치에 위치된 팔레트를 상기 매거진 내부로 이송하는 팔레트 이송 유닛; 및 상기 팔레트의 이송 경로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팔레트의 이송 경로의 하부에 고정되는 제1 브라켓과, 제1 브라켓과 연결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마운터에 고정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트레이 피더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트레이 또는 트레이가 고정된 팔레트가 하나의 투입 경로를 통하여 투입이 될 수 있는 공급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트레이로부터 픽업이 되어 전자부품이 배치된 다양한 규격의 회로 기판이 이송될 수 있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트레이 공급 장치에서 트레이 또는 트레이가 적재된 팔레트는 다양한 위치에서 공급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그리고 트레이 공급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전자부품이 배치된 회로기판이 이송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공지 기술은 이와 관련된 과제를 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쪽 방향에서 트레이가 공급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트레이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규격을 가지는 회로기판이 이송될 수 있는 회로기판 이송모듈이 통합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트레이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트레이 공급 장치는 다수 개의 팔레트가 수용된 매거진; 매거진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모듈; 매거진에 팔레트를 공급하기 위한 투입 모듈; 및 매거진으로부터 이송된 팔레트를 이송시키는 이송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투입 모듈에 형성된 투입 도어의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 2개의 개폐 장치가 설치되어 투입 도어는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서 개폐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투입 도어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가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투입 도어는 개폐 손잡이 및 개폐 조절 장치를 포함하고, 개폐 조절 장치는 누름 버튼, 누름 버튼에 의하여 회전 핀에 의하여 회전되는 걸림 쇠 및 걸림 쇠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는 탄성 수단 바를 포함하고, 걸림 쇠의 한 쪽 끝이 고정 유닛에 접촉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자 부품이 소진이 된 빈 팔레트를 교체하기 위하여 투입 모듈에 설치되어 투입 도어로부터 투입되는 팔레트를 고정시키는 체인지 랙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투입 도어는 베어링 모듈에 의하여 레일 슬라이더가 레일 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는 것에 의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투입 모듈의 아래쪽에 양쪽으로 설치되는 기판 이송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판 이송 모듈의 이송 통로의 폭은 조절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공급 장치는 다양한 위치에서 트레이 또는 팔레트가 투입이 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작업 능률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공급 장치는 다양한 규격을 가지는 전자부품이 배치된 회로 기판이 이송될 수 있는 장치가 통합이 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공간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면서 회로 기판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공급 장치의 사시도, 평면도 및 정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투입 도어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는 도 2a의 정면도 및 부분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c는 도 2a의 서로 다른 위치의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 장치에서 투입 도어의 개폐 구조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e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공급 장치에서 투입 도어의 슬라이딩 구조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공급 장치에 통합된 회로 기판의 이송을 위한 장치의 실시 예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도 3a에 대한 평면도 및 배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3c는 도 3a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공급 장치의 사시도, 평면도 및 정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1a,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면, 트레이 공급 장치(100)는 다수 개의 팔레트(150)가 수용된 매거진(140); 매거진(14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모듈(160); 매거진(140)에 팔레트(150)를 공급하기 위한 투입 모듈(110); 및 매거진(140)으로부터 이송된 팔레트(150)를 이송시키는 이송 모듈(130)을 포함하고, 상기 투입 모듈(110)에 형성된 투입 도어(111)의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 2개의 개폐 장치(112a, 112b)가 설치되어 투입 도어(111)는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서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급 장치는 트레이를 공급하기 위한 임의의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매거진 또는 팔레트의 구조와 같은 것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아래의 설명에서 공지된 장치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제외시키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투입 모듈(110)은 매거진(140) 또는 팔레트(150)를 투입하기 위한 장치로 윈도우(W)가 설치된 투입 도어(111)를 가질 수 있다. 매거진(140) 또는 팔레트(150)는 투입 모듈(110)을 통하여 투입이 되거나 또는 하부 도어(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투입이 될 수 있다.
매거진(140) 또는 팔레트(150)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매거진(140)에 다수 개의 팔레트(150)가 상하로 수용이 될 수 있고 각각의 팔레트(150)는 정해진 순서에 따라 엘리베이터 모듈(160)의 상하 이동에 따라 공급 모듈(130)로 전달될 수 있다. 매거진(140)은 엘리베이터 모듈(160)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팔레트(150)는 정해진 순서에 따라 해당 팔레트(150)가 이송 모듈(130)에 위치하도록 엘리베이터 모듈(160)의 상하로 이동되어 이송 모듈(130)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 모듈(130)은 매거진(140)으로부터 배출된 팔레트(150)를 전자 부품(E)의 픽업 위치로 이동시킨다.
팔레트(150)의 배출 및 이송은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팔레트(150)의 배출, 이송, 고정 및 회수와 관련된 기술은 특허출원번호 제2011-0080790호에 개시되어 있고 상기 명세서의 내용 전체는 본 발명의 내용으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투입 도어(111)는 양쪽 방향에서 개방될 수 있고 그리고 매거진(140) 또는 팔레트(150)는 양쪽 방향에서 투입될 수 있다. 양쪽 방향이란 서로 마주보는 위치를 의미하며 공급 장치(100)가 설치된 곳을 기준으로 마주보는 방향 또는 위치를 의미한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것처럼, 투입 도어(111)가 양쪽 방향에서 개방될 수 있다는 것은 공급 장치(100)를 중심으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개방될 수 있도록 개폐 장치(112a, 112b)가 설치되고 그리고 개폐 장치(112a, 112b)의 조작에 의하여 투입 도어(111)가 열리고 닫힐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투입 도어(111)가 양쪽 방향에서 개폐가 될 수 있으므로 매거진(140) 또는 팔레트(150)는 공급 장치(100)의 설치 상황 또는 작업자의 위치에 따라 마주보는 위치 중 임의의 위치에서 투입 모듈(110)로 공급이 될 수 있다. 마주보는 위치에서 개폐는 하나의 투입 도어(111)의 마주 보는 위치에 각각 개폐 장치(112a, 112b)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가능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투입 모듈(110)의 아래쪽에 한 쌍의 기판 이송 모듈(120a, 120b)이 배치될 수 있다. 기판 이송 모듈(120a, 120b)은 회로 기판의 이송을 위한 것으로 각각 설치된 위치에서 개폐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기판 이송 모듈(120a)에 제1 개폐 도어(121a)가 설치되고 그리고 제2 기판 이송 모듈(120b)에 제2 개폐 도어(121b)가 설치될 수 있다. 각각의 기판 이송 모듈(120a, 120b)은 개폐 도어(121a, 121b)에 의하여 개폐가 될 수 있다.
이송 모듈(130)을 통하여 트레이(151)가 고정된 팔레트(150)가 이동될 수 있다. 매거진(140)은 엘리베이터 모듈(160)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될 수 있고 그리고 매거진(140)의 특정 위치에 수용된 팔레트(140)는 엘리베이터 모듈(160)의 상하 이동에 의하여 이송 모듈(130)에 대응되는 높이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151)가 고정된 팔레트(150)는 매거진(140)으로부터 이송 모듈(130)로 전달되어 전자부품(E)의 픽업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팔레트(150)는 훅과 같은 고정 수단(152)에 의하여 이송 모듈(13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픽업 위치에서 트레이(151)에 배열된 각각의 전자부품(E)은 노즐 장치(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것에 의하여 회로기판으로 이송되어 정해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부품(E)의 공급이 완료되면 다시 팔레트(150)가 이송 모듈(130)에 의하여 매거진(14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전자부품(E)의 배치가 완료된 회로기판은 기판 이송 모듈(120a, 120b)에 의하여 이송되어 정해진 위치에서 배출될 수 있다.
매거진(140)은 엘리베이터 모듈(160)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될 수 있고 그리고 정해진 위치에서 이송 모듈(130)로 팔레트(150)를 공급하거나 또는 이송 모듈(130)로부터 팔레트(150)를 회수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모듈(160)은 매거진(14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 유닛(161), 승강 유닛(161)의 이동을 위한 회전 축(162), 승강 유닛(161)의 상하 이동을 유도하는 가이드 유닛(163) 및 회전 축(162)을 구동시키거나 모터로부터 회전 축(162)에 대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 유닛(164)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 유닛(161)은 매거진(140)을 이동시키는 한편 이송 모듈(130)로부터 전달되는 팔레트(150)를 전달받을 수 있다. 구동 유닛(164)은 예를 들어 모터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가이드 유닛(163)은 선형 가이드와 같은 장치가 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모듈(160)은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급 장치(100)는 예를 들어 투입 모듈(11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패널(C)과 같은 것을 가질 수 있고 아래쪽에 투입 도어가 설치되어 매거진(140)을 투입하거나 또는 빈 트레이를 가진 매거진(140)을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급 장치에 체인지 랙(change rack)이 설치될 수 있다. 매거진 (140)을 교체하는 경우 공급 슬라이더(170)가 이용될 수 있다. 전자부품을 가진 팔레트(150)가 수반된 매거진(140)은 공급 슬라이더(170)에 적재되어 정해진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전자부품의 공급 과정에서 하나의 빈 팔레트(150)를 교체하기 위하여 체인지 랙이 이용될 수 있다. 체인지 랙은 팔레트(150)를 고정할 수 있는 예를 들어 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투입 도어(111)의 아래쪽에 설치될 수 있다. 투입 도어(111)가 개방되어 요구되는 전자부품을 가진 팔레트(150)가 투입이 되면 체인지 랙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모듈(160)이 상승하게 되어 체인지 렉으로부터 투입된 팔레트(150)를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다시 하강하여 투입된 팔레트(150)을 공급 모듈(130)로 이송하여 요구되는 전자부품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급 장치는 투입 도어(111)와 체인지 랙을 이용하여 전자부품의 공급 과정에서 요구되는 전자부품을 가진 팔레트(150)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다. 다양한 구조를 가진 체인지 랙이 투입 모듈(110)에 설치될 수 있고 체인지 랙에 팔레트가 고정되는 방식은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 방법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투입 도어(111)를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키거나 또는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 유닛(S) 및 회로기판의 이송을 위한 이송 구조(T)는 각각 도 2a 내지 도 2e 및 도 3a 내지 도 3c에 제시된 실시 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이 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투입 도어가 개폐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투입 도어(2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투입 도어(20)는 판형의 슬라이딩 몸체(21), 슬라이딩 몸체의 중앙 부근에 형성된 윈도우(W), 슬라이딩 몸체(21)의 앞쪽 및 뒤쪽 부분에 각각 형성된 개폐 손잡이(22a, 22b), 슬라이딩 몸체(21)에 형성되어 투입 도어(20)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 조절 장치(23a, 23b) 및 슬라이딩 몸체(21)의 양쪽 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 손잡이(22a, 22b)와 개폐 조절 장치(23a, 23b)가 개폐 장치(112a, 112b)를 형성한다.
슬라이딩 몸체(21)는 판형이 될 수 있고 슬라이딩 레일 장치를 따라 이동이 되어 투입 모듈을 통하여 팔레트가 공급 장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슬라이딩 몸체(21)는 양쪽 방향으로 이동이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팔레트는 슬라이딩 몸체(21)의 마주 보는 양쪽 방향에서 투입이 가능하다.
개폐 손잡이(22a, 22b)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고 도 2a의 (가) 및 (나)에 도시된 것처럼, 함몰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개폐 손잡이(22a, 22b)의 구조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개폐 조절 장치(23a, 23b)는 슬라이딩 몸체(21)의 위쪽 평면으로 돌출된 누름 버튼(P), 슬라이딩 몸체(21)의 아래쪽 평면에 설치되는 회전 걸림 쇠(232), 회전 걸림 쇠(232)의 중앙 부분을 관통하면서 회전 걸림 쇠(232)가 일정 범위의 각도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 핀(234) 및 회전 핀(234)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몸체(233)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걸림 쇠(232)의 한쪽 끝은 누름 버튼(P)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끝에 돌출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걸림 쇠(232)은 전체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설치된 상태에서 아래쪽 부분을 향하는 외부 면은 누름 버튼(P)과 접촉하는 부분으로부터 점차로 회전 걸림 쇠(232)의 높이가 커지면서 경사진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슬라이딩 몸체(21)의 내부 면으로부터 점차로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거리가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외부 면의 경사진 형상으로 인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는 것처럼 고정 유닛(S)의 한쪽 방향으로 이동이 누름 버튼(P)의 조작이 없이 가능하도록 한다. 누름 버튼(P)을 누르면 회전 걸림 쇠(232)가 회전 핀(234)을 축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돌출 부분이 슬라이딩 몸체(21)의 아래쪽 평면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슬라이딩 몸체(21)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투입 모듈이 개방 상태가 된다. 누름 버튼(P)은 슬라이딩 몸체(21)가 일정 거리만큼 이동이 되면 다시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 간다. 이후 슬라이딩 몸체(21)가 닫히는 경우 누름 버튼(P)의 조작이 없이 슬라이딩 몸체(21)이 이동이 가능하고 이는 회전 누름 쇠(232)의 외부 면의 구조에 기인한다.
도 2a의 (가) 및 (나)에 도시된 것처럼, 개폐 손잡이(22a, 22b)와 마찬가지로 개폐 조절 장치(23a, 23b)도 슬라이딩 몸체(21)의 마주 보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투입 도어(20)는 마주보는 양쪽 위치에서 개폐가 될 수 있다.
투입 도어(20)는 슬라이딩 몸체(21)의 양쪽 가장자리에 형성된 레일 장치에 의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일 장치는 공급 장치의 외부 프레임에 고정되는 레일 가이드(25a, 25b) 및 슬라이딩 몸체(21)에 고정되어 함께 이동하는 레일 슬라이더(26a, 26b)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레일 가이드(25a, 25b)를 따라 이동되는 레일 슬라이더(26a, 26b)의 이동에 의하여 슬라이딩 몸체(21)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이 되면서 양쪽 위치에서 개폐가 될 수 있다. 레일 가이드(25a, 25b)는 예를 들어 투입 모듈의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고 그리고 레일 슬라이더(26a, 26b)는 슬라이드 몸체(21)에 고정될 수 있다. 레일 슬라이더(26a, 26b)는 아래에서 설명이 되는 것처럼 베어링 유닛에 의하여 레일 가이드(25a, 25b)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레일 슬라이더(26a, 26b)의 안쪽 표면에 슬라이드 몸체(21)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이동 탐지 센서(265)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레일 슬라이더(26a, 26b)의 안쪽 면에 이동 제한 유닛(267)이 설치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것처럼, 이동 제한 유닛(267)은 양쪽의 돌출 부분과 돌출 부분 사이에 형성된 개방 틈을 가질 수 있다. 개방 틈에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와 장치와 같은 것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이동이 가능한 고정 핀이 위쪽으로부터 또는 아래쪽으로부터 삽입이 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슬라이딩 몸체(21)가 정해진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이동 탐지 센서(265) 또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이동 제한 유닛(267)이 투입 도어(20)에 설치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b는 도 2a의 정면도 및 부분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의 아래쪽 부분은 각각 정면도에 B-B 라인 및 C-C 라인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회전 걸림 쇠(232)의 한쪽 끝에 수용 홈이 형성되고 그리고 수용 홈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 유닛(235)의 한쪽 끝이 결합될 수 있다. 탄성 유닛(235)은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고 그리고 복원력을 가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누름 버튼(P)에 압력이 가해지면 걸림 쇠(232)가 회전 핀(234)을 회전 축으로 회전이 되면서 수용 홈이 형성된 부분이 위쪽으로 상승을 하면서 탄성 유닛(235)을 밀어 올리게 된다. 그리고 이로 인하여 걸림 쇠(232)의 앞쪽 부분이 상승하면서 고정 유닛(S)을 벗어날 수 있는 상태가 되면서 투입 도어(20)의 개방이 가능해진다. 누름 버튼(P)을 누른 상태에서 일정 거리만큼 슬라이딩 몸체(21)를 이동시키면 회전 걸림 쇠(232)의 수용 홈이 형성된 부분이 고정 유닛(S)을 벗어나게 된다. 그리고 일단 회전 걸림 쇠(232)가 고정 유닛(S)을 넘어서면 누름 버튼(P)은 원래 상태로 되돌아 오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 걸림 쇠(232)도 탄성 유닛(235)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원래 상태로 되돌아 오게 된다. 이후 팔레트가 투입 도어(20)를 통하여 투입이 되면 슬라이딩 몸체(21)는 투입 모듈을 닫기 위하여 다시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될 수 있다.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되는 경우 회전 걸림 쇠(235)의 외부 면의 경사진 형상으로 인하여 고정 유닛(S)은 별도의 조작이 없이 외부 면에 접촉되어 이동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고정 유닛(S)이 회전 걸림 쇠(232)와 접촉하게 되고 이후 회전 핀(234)이 형성된 부분을 지나면서 고정 유닛(S)이 회전 걸림 쇠(232)에 가하는 압력으로 인하여 회전 걸림 쇠(232)가 탄성 유닛(235)에 힘을 가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 유닛(S)이 회전 걸림 쇠(232)의 수용 홈 또는 끝 부분을 지나게 되면 다시 회전 걸림 쇠(232)가 탄성 유닛(235)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원래 상태로 되돌아 오게 된다. 이로 인하여 다시 회전 걸림 쇠(232)가 탄성 유닛(235)에 의하여 반대 방향 또는 개방되는 상태로 이동할 수 없게 되고 슬라이딩 몸체(21)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2b에 제시된 실시 예에서 슬라이딩 몸체(21)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 부재(27)가 설치될 수 있다. 다만 보강 부재(27)는 슬라이딩 몸체(21)의 전체 구조를 고려하여 적절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구조의 개폐 조절 장치 및 고정 유닛(S)의 구조가 본 발명에 따른 투입 도어에 적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c는 도 2b의 서로 다른 위치의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2c의 (가)는 도 2b의 정면도, (나)는 D-D 라인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 그리고 (다)는 F-F 라인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레일 가이드(25a)는 예를 들어 공급 장치의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고 그리고 레일 슬라이더(26a)는 레일 가이드(25a)와 마주보는 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이 될 수 있고 그리고 박스 형상의 내부에 베어링 모듈(28)이 설치될 수 있다. 레일 슬라이드(26a)는 베어링 모듈(28)에 의하여 레일 가이드(25a)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레일 슬라이드(26a)의 이동은 이동 탐지 센서(265)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고 슬라이딩 몸체(21)는 이동 제한 유닛(267)에 의하여 정해진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베어링 모듈(28)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이 된다.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 장치에서 투입 도어의 개폐 구조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d를 참조하면, 팔레트(150)의 투입을 위하여 투입 도어(2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가 될 수 있다. 투입 도어(20)는 양쪽 방향에 설치된 고정 유닛(S)에 걸림 쇠(232)의 한쪽 끝이 접촉되는 것에 의하여 닫힌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투입 도어(20)의 개방을 위하여 누름 버튼(P)을 누르면 걸림 쇠(232)가 회전하면서 위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투입 도어(20)가 슬라이딩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위에서 설명을 한 것처럼, 팔레트(150)의 투입 위치는 투입 도어(20)의 양쪽 중 임의의 위치가 될 수 있다. 투입 도어(20)의 개방에 의하여 팔레트(150)가 투입이 되면 다시 투입 도어(20)가 슬라이딩이 되면서 원래의 위치로 복원이 되고 이와 동시에 걸림 쇠(232)가 아래쪽으로 이동되어 고정 유닛(S)에 접촉이 되어 투입 도어(20)가 닫힌 상태로 고정이 될 수 있다. 투입 도어(20)가 다시 닫히는 과정은 위에서 이미 설명이 되었다.
도 2e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공급 장치에서 투입 도어의 슬라이딩 구조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e의 위쪽은 투입 도어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그리고 아래쪽은 정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2e를 참조하면, 레일 슬라이더(26a)는 회전 축이 레일 슬라이더(26a)의 폭 방향이 되는 제1 베어링 유닛(281, 284) 및 회전 축이 레일 슬라이더(26a)의 높이 방향이 되는 제2 베어링(282)에 의하여 레일 가이드(25a)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제1 베어링 유닛(281, 284)과 제2 베이링 유닛(282)은 적절한 고정 수단(283)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고 레일 슬라이더(26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절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레일 슬라이더(26a)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레일 가이드(25a)를 따라 이동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e의 아래 부분에 도시된 부분은 도 1b에 표시된 부분에 해당된다. 이동 제한 유닛(267)에 의하여 투입 도어는 정해진 위치에 고정될 수 있고 이동 제한 유닛(267)은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장치와 같은 전자식 고정 장치(267a), 고정 걸쇠(267b) 및 탄성체(267c)에 의하여 이동 제한 또는 이동 가능 상태로 될 수 있다. 다양한 형태의 고정 장치가 이동 제한 유닛(267)에 결합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에서 회로 기판의 이송을 위한 장치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공급 장치에 통합된 회로 기판의 이송을 위한 장치의 실시 예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도 1a의 기판 이송 모듈(120a, 120b)를 도시한 것이다. 기판 이송 모듈(120a, 120b)는 공급 모듈(130)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전자 부품(E)의 배치가 완료된 회로 기판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a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판 이송 모듈(120a, 120b)의 일부만 도시한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전자부품의 배치가 완료된 회로 기판은 이송 통로(32)를 통하여 이송될 수 있고 회로 기판의 이송은 이송 탐지 센서(37)에 의하여 탐지될 수 있다. 기판 이송 모듈(120a)에 개폐 손잡이(122a, 122b)를 가진 개폐 도어(121a, 121b)가 설치될 수 있다. 개폐 도어(121a, 121b)는 예를 들어 경첩과 같은 연결 장치에 의하여 개폐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한편으로 이송 통로(32)에서 회로기판이 이송되는 과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C2)이 설치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것처럼, 기판 이송 모듈(120a, 120b)는 공급 장치의 양쪽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회로기판이 이송이 되는 이송 통로(32)의 폭이 조절될 수 있다.
도 3b는 도 3a에 대한 평면도 및 배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회로기판은 컨베이어와 같은 이송 장치에 의하여 이송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이송 통로(32)에 컨베이어 고정 장치(35a, 35b)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컨베이어 고정 장치(35a, 36b)를 연결하는 선형 가이드(33)가 컨베이어 고정 장치(35a, 36b)에 적절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와 같은 이송 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34a, 34b)가 설치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르면, 기판 이송 모듈은 컨베이어 고정 장치(35a, 36b)의 폭을 조절하여 이로 인하여 이송 통로(32)의 폭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조절 모터(34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c는 도 3a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컨베이어 고정 장치(35a. 35b)는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는 기준 고정 장치(35a)와 선형 가이드(33)를 따라 폭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가변 고정 장치(35b)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변 고정 장치(35b)는 스텝 모터와 같은 조절 모터(34c)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컨베이어 벨트(V)를 따라 이동되어야 할 회로기판의 폭에 따라 이송 통로(32)의 폭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컨베이어 벨트(V)는 예를 들어 회전 롤러(39)와 같은 장치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고 회로 기판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이동 탐지 센서(37)가 컨베이어 고정 장치(35a, 35b)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이송 통로(32)을 감지하기 위한 폭 감지 센서(38a)가 설치되어 이송 통로(32)의 폭이 탐지되고 그에 따라 컨베이어의 폭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각각의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 장치(P)가 기판 이송 모듈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급 장치는 이송 통로의 폭이 조절될 수 있는 기판 이송 모듈이 설치되어 회로기판의 생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공급 장치는 다양한 위치에서 트레이 또는 팔레트가 투입이 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작업 능률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공급 장치는 다양한 규격을 가지는 전자부품이 배치된 회로 기판이 이송될 수 있는 장치가 통합이 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공간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면서 회로 기판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0: 트레이 공급 장치 110: 투입 모듈
111: 투입 도어 112a, 112b: 개폐 장치
120a, 120b: 기판 이송 모듈 121a, 121b: 개폐 도어
130: 공급 모듈 140: 매거진
150: 팔레트 151: 트레이
152: 고정 수단 160: 엘리베이터 모듈
161: 승강 유닛 162: 회전 축
163: 가이드 유닛 170: 공급 슬라이더
20: 투입 도어 21: 슬라이딩 몸체
22a, 22b: 개폐 손잡이 23a, 23b: 개폐 조절 장치
25a, 25b: 레일 가이드 26a, 26b: 레일 슬라이더
27: 보강 부재 28: 베어링 모듈
232: 회전 걸림 쇠 234: 회전 핀
233: 고정 몸체 235: 탄성 유닛
265: 이동 탐지 센서 267: 이동 제한 유닛
267a: 전자식 고정 장치 267b: 고정 걸쇠
267c: 탄성체 281, 285: 제1 베어링 유닛
282: 제2 베어링
32: 이송 통로 35a, 35b: 고정 장치
33: 선형 가이드 34a, 34b: 구동 장치
34c: 조절 모터 37: 이송 탐지 센서
38a: 폭 감지 센서

Claims (7)

  1. 다수 개의 팔레트(150)가 수용된 매거진(140);
    매거진(14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모듈(160);
    매거진(140)에 팔레트(150)를 공급하기 위한 투입 모듈(110); 및
    매거진(140)으로부터 이송된 팔레트(150)를 이송시키는 이송 모듈(120)을 포함하고,
    상기 투입 모듈(110)에 형성된 투입 도어(111a)의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 2개의 개폐 장치(112a, 112b)가 설치되어 투입 도어(111)는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서 개폐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공급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투입 도어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공급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투입 도어는 개폐 손잡이 및 개폐 조절 장치를 포함하고, 개폐 조절 장치는 누름 버튼, 누름 버튼에 의하여 회전 핀(234)에 의하여 회전되는 걸림 쇠(232) 및 걸림 쇠(232)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는 탄성 수단 바를 포함하고, 걸림 쇠(232)의 한 쪽 끝이 고정 유닛(S)에 접촉되는 것에 의하여 투입 도어의 개폐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공급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자 부품이 소진이 된 빈 팔레트를 교체하기 위하여 투입 모듈(100)에 설치되어 투입 도어(111)로부터 투입되는 팔레트(150)를 고정시키는 체인지 랙을 더 포함하는 트레이 공급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투입 도어는 베어링 모듈에 의하여 레일 슬라이더가 레일 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는 것에 의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공급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투입 모듈의 아래쪽에 양쪽으로 설치되는 기판 이송 모듈을 더 포함하는 트레이 공급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기판 이송 모듈의 이송 통로의 폭은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공급 장치.
KR1020120151598A 2012-12-22 2012-12-22 트레이 공급장치 KR101435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598A KR101435775B1 (ko) 2012-12-22 2012-12-22 트레이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598A KR101435775B1 (ko) 2012-12-22 2012-12-22 트레이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2872A true KR20140082872A (ko) 2014-07-03
KR101435775B1 KR101435775B1 (ko) 2014-09-01

Family

ID=51733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1598A KR101435775B1 (ko) 2012-12-22 2012-12-22 트레이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5775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541A (ko) 2015-07-03 2017-01-11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트레이 공급 위치 탐지 기능을 가진 트레이 피더
KR20170023914A (ko) 2017-02-23 2017-03-06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트레이 공급 위치 탐지 기능을 가진 트레이 피더
CN107150033A (zh) * 2016-03-04 2017-09-12 泰克元有限公司 电子部件供应用托盘的供应推车及处理电子部件的分选机
CN108811482A (zh) * 2018-09-05 2018-11-13 深圳市鼎晖伟业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多工位悬挂插件机
KR102012878B1 (ko) * 2019-05-08 2019-08-21 주식회사 디에스이엔티 전자부품 소성용 메쉬망 공급장치
CN110713006A (zh) * 2019-09-27 2020-01-21 云梭(宁波)科技有限公司 一种pcb电路板的上板装置
KR102162097B1 (ko) 2020-06-25 2020-10-06 주식회사 지에스아이 메쉬망 정렬장치 및 이를 구비한 메쉬망 이송로봇
KR102162092B1 (ko) 2020-06-25 2020-10-06 주식회사 지에스아이 메쉬망 정렬장치 및 이를 구비한 메쉬망 이송로봇
KR20210023964A (ko) 2021-02-25 2021-03-04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트레이 공급 위치 탐지 기능을 가진 트레이 피더
KR102296044B1 (ko) 2020-02-26 2021-09-01 주식회사 씨케이엘 제품 언로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029B1 (ko) * 2004-10-30 2006-07-24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논스톱방식의 트레이 공급장치
KR101157155B1 (ko) * 2007-03-05 2012-06-2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칩 트레이 공급장치
KR20090098222A (ko) * 2008-03-13 2009-09-1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칩 트레이 공급장치
KR101155659B1 (ko) * 2009-06-10 2012-06-13 주식회사 우성엠엔피 인서트 플레이트 공급 장치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541A (ko) 2015-07-03 2017-01-11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트레이 공급 위치 탐지 기능을 가진 트레이 피더
CN107150033A (zh) * 2016-03-04 2017-09-12 泰克元有限公司 电子部件供应用托盘的供应推车及处理电子部件的分选机
CN107150033B (zh) * 2016-03-04 2019-12-24 泰克元有限公司 电子部件供应用托盘的供应推车及处理电子部件的分选机
KR20170023914A (ko) 2017-02-23 2017-03-06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트레이 공급 위치 탐지 기능을 가진 트레이 피더
CN108811482B (zh) * 2018-09-05 2023-12-26 深圳市鼎晖伟业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多工位悬挂插件机
CN108811482A (zh) * 2018-09-05 2018-11-13 深圳市鼎晖伟业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多工位悬挂插件机
KR102012878B1 (ko) * 2019-05-08 2019-08-21 주식회사 디에스이엔티 전자부품 소성용 메쉬망 공급장치
CN110713006A (zh) * 2019-09-27 2020-01-21 云梭(宁波)科技有限公司 一种pcb电路板的上板装置
CN110713006B (zh) * 2019-09-27 2021-04-27 宁夏隆基宁光仪表股份有限公司 一种pcb电路板的上板装置
KR102296044B1 (ko) 2020-02-26 2021-09-01 주식회사 씨케이엘 제품 언로딩 장치
KR102162092B1 (ko) 2020-06-25 2020-10-06 주식회사 지에스아이 메쉬망 정렬장치 및 이를 구비한 메쉬망 이송로봇
KR102162097B1 (ko) 2020-06-25 2020-10-06 주식회사 지에스아이 메쉬망 정렬장치 및 이를 구비한 메쉬망 이송로봇
KR20210023964A (ko) 2021-02-25 2021-03-04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트레이 공급 위치 탐지 기능을 가진 트레이 피더
KR20210134275A (ko) 2021-02-25 2021-11-09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트레이 공급 위치 탐지 기능을 가진 트레이 피더
KR20220097864A (ko) 2021-02-25 2022-07-08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트레이 공급 위치 탐지 기능을 가진 트레이 피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5775B1 (ko) 2014-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5775B1 (ko) 트레이 공급장치
KR102383305B1 (ko) 수납 장치 및 인쇄 시스템
CN107150906B (zh) 工件分离系统及工件分离方法
CN106604627B (zh) 部件供给装置以及部件安装装置
JPH10270894A (ja) 電子部品装着装置における部品供給装置
JPH0249560B2 (ko)
US9896277B2 (en) Component supply device
KR101604044B1 (ko) 멀티 스택 구조의 트레이 피더
CN218808944U (zh) 上下料装置
JP2002246791A (ja) マガジン、トレイ部品供給装置及び部品実装装置
JP4527131B2 (ja) 実装機
KR101427084B1 (ko) 트레이 피더
KR20170023914A (ko) 트레이 공급 위치 탐지 기능을 가진 트레이 피더
KR102165875B1 (ko) 리드프레임 로딩장치
CN112262620B (zh) 对基板作业机
KR101231191B1 (ko) 칩 트레이 공급장치
CN111747116A (zh) 面板搬运装置及面板搬运系统
JP6437707B2 (ja) 基板搬送装置
JP2003023295A (ja) 電気部品装着システム
JP2003095409A (ja) プリント基板用ストッカー
KR100503041B1 (ko) 표면 실장기용 스틱 피이더 장치
KR101550867B1 (ko) 컨베이어의 기판 폭 대응 스토퍼 위치 조절장치
JPH0983189A (ja) 基板搬送方法とその装置
JP6704121B2 (ja) 部品実装装置
KR101282836B1 (ko) 팔레트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