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1439A - 격벽이 형성된 종이컵 - Google Patents

격벽이 형성된 종이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1439A
KR20140081439A KR1020120151197A KR20120151197A KR20140081439A KR 20140081439 A KR20140081439 A KR 20140081439A KR 1020120151197 A KR1020120151197 A KR 1020120151197A KR 20120151197 A KR20120151197 A KR 20120151197A KR 20140081439 A KR20140081439 A KR 20140081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paper cup
walls
hinge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1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치환
최재영
Original Assignee
최치환
최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치환, 최재영 filed Critical 최치환
Priority to KR1020120151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1439A/ko
Publication of KR20140081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14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격벽이 형성된 종이컵에 관한 것으로, 격벽이 형성된 종이컵에 있어서, 상기 종이컵(100)은 좌측컵(110)과 우측컵(120) 두 개로 분리되며, 상기 좌, 우측컵(110, 120)은 외측부는 좌측, 우측 원형벽(111, 121)이 각각 형성되며, 내측부는 직선형의 좌측, 우측 격벽(112, 122)이 형성되어, 내용물을 각각 분리하여 담을 수 있되, 상기 좌측 격벽(112)과 우측 격벽(122)은 좌측상변(113)과 우측상변(114)이 서로 붙어서 힌지부(130)를 형성하고, 상기 힌지부(130)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좌, 우측 컵(110, 120)의 격벽(112, 122)외면이 서로 접촉하거나 벌어지는 것으로,
본발명은 종이컵(100) 좌측컵(110)과 우측컵(120)으로 각각의 격벽에 의해 구분되되, 격벽 상변이 붙어 있으므로 다른 내용물을 서로 섞이지 않게 담을 수 있고, 또한 적층시, 상부 종이컵의 벌어진 틈이 하부 종이컵의 힌지부를 포함하는 격벽부분 위에 얹히며 삽입되어 용적층이 용이하며, 또한 적층후의 부피가 극히 작게 되어 운반비나 보관비가 절약되며 운반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이라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격벽이 형성된 종이컵{PAPER CUP WITH SEPARATING WALL}
본발명은 격벽이 형성된 종이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격벽에 의해 두 개의 좌, 우측컵 용기로 구분되어, 각각 다른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종이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와 같은 내용물을 담기위해 종이컵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례로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0-0012323호에는 통상의 종이컵 측면에 고리와 부착부, 그리고 상기 고리와 부착부 사이에 절곡부를 형성하여서 된 손잡이를 설치 고정하여 적층시에는 고리 가 종이컵 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적층시키고 사용시에는 고리를 절곡부를 기준으로 절곡시켜 손잡이를 쥐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손잡이를 부설한 종이컵이 공개되어 있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0-0125613호에는 1개의 1회용 종이컵 및 종이컵 덮개를 세로 방향으로 반으로 절단 후 절단된 부위를 봉합하여 2개로 나누고 이를 다시 하나로 묶은 후 두 종류의 음식을 1개의 종이컵으로 사용하는 분리형 1회용 종이컵 및 종이덮개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종이컵은 하나로 되어 있어서, 두 가지 종류의 물질을 따로 보관하기가 곤란했고, 종이컵이 구분되어 있더라도 중간격벽이 붙어 있어서, 이동이나 보관을 위한 적층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종이컵(100) 좌측컵(110)과 우측컵(120)으로 각각의 격벽에 의해 구분되되, 격벽 상변이 붙어 있으므로 다른 내용물을 서로 섞이지 않게 담을 수 있고, 또한 적층시, 상부 종이컵의 벌어진 틈이 하부 종이컵의 힌지부를 포함하는 격벽부분 위에 얹히며 삽입되어 용적층이 용이하며, 또한 적층후의 부피가 극히 작게 되어 운반비나 보관비가 절약되며 운반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인 격벽이 형성된 종이컵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격벽이 형성된 종이컵에 관한 것으로, 격벽이 형성된 종이컵에 있어서, 상기 종이컵(100)은 좌측컵(110)과 우측컵(120) 두 개로 분리되며, 상기 좌, 우측컵(110, 120)은 외측부는 좌측, 우측 원형벽(111, 121)이 각각 형성되며, 내측부는 직선형의 좌측, 우측 격벽(112, 122)이 형성되어, 내용물을 각각 분리하여 담을 수 있되, 상기 좌측 격벽(112)과 우측 격벽(122)은 좌측상변(113)과 우측상변(114)이 서로 붙어서 힌지부(130)를 형성하고, 상기 힌지부(130)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좌, 우측 컵(110, 120)의 격벽(112, 122)외면이 서로 접촉하거나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은 종이컵(100) 좌측컵(110)과 우측컵(120)으로 각각의 격벽에 의해 구분되되, 격벽 상변이 붙어 있으므로 다른 내용물을 서로 섞이지 않게 담을 수 있고, 또한 적층시, 상부 종이컵의 벌어진 틈이 하부 종이컵의 힌지부를 포함하는 격벽부분 위에 얹히며 삽입되어 용적층이 용이하며, 또한 적층후의 부피가 극히 작게 되어 운반비나 보관비가 절약되며 운반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이라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발명 격벽이 형성된 종이컵 사시도
도 2는 본발명 격벽이 형성된 종이컵에서 좌우측컵 하부가 벌어진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발명 격벽이 형성된 종이컵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
도 5는 본발명 격벽이 형성된 종이컵 저면도
도 6은 본발명 격벽이 형성된 종이컵 뚜껑 평면도
도 7은 본발명 격벽이 형성된 종이컵 뚜껑 저면도
본발명은 격벽이 형성된 종이컵에 관한 것으로, 격벽이 형성된 종이컵에 있어서, 상기 종이컵(100)은 좌측컵(110)과 우측컵(120) 두 개로 분리되며, 상기 좌, 우측컵(110, 120)은 외측부는 좌측, 우측 원형벽(111, 121)이 각각 형성되며, 내측부는 직선형의 좌측, 우측 격벽(112, 122)이 형성되어, 내용물을 각각 분리하여 담을 수 있되, 상기 좌측 격벽(112)과 우측 격벽(122)은 좌측상변(113)과 우측상변(114)이 서로 붙어서 힌지부(130)를 형성하고, 상기 힌지부(130)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좌, 우측 컵(110, 120)의 격벽(112, 122)외면이 서로 접촉하거나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측컵(110)과 우측컵(120)은 동일형상으로, 서로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 1은 본발명 격벽이 형성된 종이컵 사시도, 도 2는 본발명 격벽이 형성된 종이컵에서 좌우측컵 하부가 벌어진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발명 격벽이 형성된 종이컵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 도 5는 본발명 격벽이 형성된 종이컵 저면도, 도 6은 본발명 격벽이 형성된 종이컵 뚜껑 평면도, 도 7은 본발명 격벽이 형성된 종이컵 뚜껑 저면도이다.
본발명은 격벽이 형성된 종이컵에 관한 것으로, 상기 종이컵(100)은 좌측컵(110)과 우측컵(120) 두 개로 구분된다. 그러므로 상기 좌측우측컵에는 각각 따로 다른 내용물을 섞이지 않게 담을 수 있다.
한편, 본발명은 상기 좌, 우측컵(110, 120)은 외측부는 좌측, 우측원형벽(111, 121)이 형성되며, 내측부는 직선형의 좌측, 우측 격벽(112, 122)이 형성되어, 내용물을 각각 분리하여 담을 수 있되, 상기 좌측 격벽(112)과 우측 격벽(122)은 좌측, 우측 상변(113, 114)이 서로 붙어서 힌지부(130)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상기 힌지부(130)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좌, 우측 컵(110, 120)의 격벽(112, 122)외면이 서로 접촉하거나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발명은 상기 종이컵을 적층하여 쌓게 될 경우 상기 벌어진 틈이 하부 종이컵의 힌지부를 포함하는 격벽위에 얹히며 삽입되어 용이하게 적층되며, 또한 적층후의 부피가 극히 작게 되어 운반비나 보관비가 절약된다.
그리고 적층 후, 차에 실어서 운반하게 되더라도 상부 종이컵의 벌어진 틈과 하부종이컵의 힌지부가 확실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상부 종이컵과 하부종이컵이 흔들리거나 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발명의 상기 좌측컵(110)과 우측컵(120)은 동일형상으로, 서로 대칭으로 형성한다.
한편, 본발명은 상기 종이컵위에 뚜껑을 씌우되, 상기 뚜껑은 반으로 접혀지게 하면 중간부위에 직선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뚜껑을 씌우더라도 상기 종이컵의 격벽이 직선홈에 삽입될 수 있어서, 뚜껑을 닫는데 지장이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 상면에는 원형홈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원형홈의 지름은 종이컵 하면 지름과 동일하게 형성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종이컵을 탁자위에 놓아둘 경우에는 먼저 뚜껑을 탁자위에 둔 후, 종이컵의 하면을 상기 뚜껑의 원형홈 위에 두게 되면, 종이컵에서 손을 떼게 되더라도, 좌측컵(110)과 우측컵(120)이 벌어지게 되어서 내용물이 쏟아지는 우려가 없게 된다.
따라서 본발명은 종이컵(100) 좌측컵(110)과 우측컵(120)으로 각각의 격벽에 의해 구분되되, 격벽 상변이 붙어 있으므로 다른 내용물을 서로 섞이지 않게 담을 수 있고, 또한 적층시, 상부 종이컵의 벌어진 틈이 하부 종이컵의 힌지부를 포함하는 격벽부분 위에 얹히며 삽입되어 용적층이 용이하며, 또한 적층후의 부피가 극히 작게 되어 운반비나 보관비가 절약되며 운반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이라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 종이컵 110 : 좌측컵
120 : 우측컵 111 : 좌측원형벽
121 : 우측원형벽 112 : 좌측격벽
122 : 우측 격벽 113 : 좌측상변
114 : 우측상변 130 : 힌지부
200 : 뚜껑 201 : 직선홈
202 : 원형홈

Claims (2)

  1. 격벽이 형성된 종이컵에 있어서, 상기 종이컵(100)은 좌측컵(110)과 우측컵(120) 두 개로 분리되며, 상기 좌, 우측컵(110, 120)은 외측부는 좌측, 우측 원형벽(111, 121)이 각각 형성되며, 내측부는 직선형의 좌측, 우측 격벽(112, 122)이 형성되어, 내용물을 각각 분리하여 담을 수 있되, 상기 좌측 격벽(112)과 우측 격벽(122)은 좌측상변(113)과 우측상변(114)이 서로 붙어서 힌지부(130)를 형성하고, 상기 힌지부(130)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좌, 우측 컵(110, 120)의 격벽(112, 122)외면이 서로 접촉하거나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벽이 형성된 종이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컵(110)과 우측컵(120)은 동일형상으로, 서로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벽이 형성된 종이컵
KR1020120151197A 2012-12-21 2012-12-21 격벽이 형성된 종이컵 KR201400814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197A KR20140081439A (ko) 2012-12-21 2012-12-21 격벽이 형성된 종이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197A KR20140081439A (ko) 2012-12-21 2012-12-21 격벽이 형성된 종이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439A true KR20140081439A (ko) 2014-07-01

Family

ID=51732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1197A KR20140081439A (ko) 2012-12-21 2012-12-21 격벽이 형성된 종이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14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142B1 (ko) 2016-10-04 2017-03-13 (주)수성인투 서로 분리결합되고 두개의 공간을 갖는 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142B1 (ko) 2016-10-04 2017-03-13 (주)수성인투 서로 분리결합되고 두개의 공간을 갖는 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00088B (zh) 收纳箱
US20130233858A1 (en) Container used for dispensing solid and liquid food items
JP5698275B2 (ja) 蓋体と該蓋体を備えた包装用容器
KR20140081439A (ko) 격벽이 형성된 종이컵
KR101249002B1 (ko) 찬합식 도시락 용기
JP3200776U (ja) 食品包装用容器
KR101029739B1 (ko) 음식물 배달용 포장 박스
JP4671137B2 (ja) 梱包箱
US8978466B2 (en) System for decorative space-saving measuring cups
JP3214341U (ja) 食品用容器
USD638310S1 (en) Carton for holding beverage or other containers
JP3176897U (ja) 折りたたんでコンパクトになる容器
JP3141988U (ja) ティッシュ収納箱
KR101152148B1 (ko) 식품 포장 박스
JP3183850U (ja) 容器
JP6843507B2 (ja) ホルダ
CN105600063A (zh) 用于可灌注食物产品的容器的包装
JP3167921U (ja) 折り畳み式密閉容器
JP2010202251A (ja) 重ね合わせ容器
US9604752B2 (en) Box with a lid
JP3188153U (ja) 積み重ね容器
CN215437718U (zh) 一种包装盒
JP2017088202A (ja) 蓋体付き容器体
JP3067554U (ja) 組立式紙製岡持ち
KR101839288B1 (ko) 적층식 사각보관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