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142B1 - 서로 분리결합되고 두개의 공간을 갖는 컵 - Google Patents

서로 분리결합되고 두개의 공간을 갖는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142B1
KR101711142B1 KR1020160145362A KR20160145362A KR101711142B1 KR 101711142 B1 KR101711142 B1 KR 101711142B1 KR 1020160145362 A KR1020160145362 A KR 1020160145362A KR 20160145362 A KR20160145362 A KR 20160145362A KR 101711142 B1 KR101711142 B1 KR 101711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child
partition
coupl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5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경환
Original Assignee
(주)수성인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성인투 filed Critical (주)수성인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4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and joined together by interconnecting formation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e.g. dove-tail, snap connections, hook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2019/12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for holding and dispensing a plurality of different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자(子)컵의 제1격벽 상단에 형성된 제1결합구가 제2자(子)컵의 제2격벽에 결합되고, 제2자(子)컵의 제2격벽 상단에 형성된 제2결합구가 제1자(子)컵의 제1격벽에 결합되어 모(母)컵으로 완성되어 한컵에 두개의 공간부를 형성하여 두개의 공간부에 두가지의 음료를 구분저장하여 이 음료를 마실 수 있고, 한개의 모(母)컵을 이루는 구성을 제1,2자(子)컵으로 결합 및 분리를 손쉽고 신속하게 하여 별개의 컵으로 구성된 제1,2자(子)컵을 분리하여 보관의 용이함과, 이를 운반하는 것을 손쉽게하도록한 서로 분리결합되고 두개의 공간을 갖는 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서로 분리결합되고 두개의 공간을 갖는 컵{A Cup has more inner space}
본 발명은 서로 분리결합되고 두개의 공간을 갖는 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1자(子)컵의 제1격벽 상단에 형성된 제1결합구가 제2자(子)컵의 제2격벽에 결합되고, 제2자(子)컵의 제2격벽 상단에 형성된 제2결합구가 제1자(子)컵의 제1격벽에 결합되어 모(母)컵으로 완성되어 한컵에 두개의 공간부를 형성하여 두개의 공간부에 두가지의 음료를 구분저장하여 이 음료를 마실 수 있고, 한개의 모(母)컵을 이루는 구성을 제1,2자(子)컵으로 결합 및 분리를 손쉽고 신속하게 히여 별개의 컵으로 구성된 제1,2자(子)컵을 분리하여 보관의 용이함과, 이를 운반하는 것을 손쉽게하도록한 서로 분리결합되고 두개의 공간을 갖는 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 등을 담기 위한 잔을 총칭하는 컵(cup)은 사용빈도가 높아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생활용품 중 하나로서, 사용목적에 따라 금속, 플라스틱, 종이, 나무 등의 여러 가지 재질로 제조되며, 그 형태 또한 심미감(審美感) 등을 이유로 매우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컵의 일례로 종이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일회용 컵은 사용이 간편하고 위생적인 특징을 나타내어 자판기를 비롯한 기타 일회적 용도에 주로 활용되는데,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일회용 컵(2)은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원형을 나타내도록 곡면(曲面)으로 이루어진 외측면(4)에 의해 전체적으로 원기둥 내지는 이와 유사한 형태를 나타냄과 동시에 입구(6)는 개방되고 바닥은 밑면(8)으로 밀폐되는바, 이로써 입구(6)를 통해 그 내부로 투입되는 음료 등을 담아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일회용 컵(2)은 한번에 두 가지 음료를 구분해서 저장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두 가지 음료를 담고자 할 경우에는 음료별로 별도의 컵을 사용하거나 또는 먼저 담긴 음료를 비운 후 다음 음료를 담아야 한다. 때문에 전자의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많은 컵을 소모하게 되고, 후자의 경우에는 먼저 담긴 음료를 버리거나 원치 않게 음용해야 하며, 특히 먼저 담긴 음료의 일부가 컵 내에 남아 다음 음료에 섞이는 등의 불편함을 나타낸다.
공개특허 10-2014-0081439호 격벽이 형성된 종이컵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1자(子)컵의 제1격벽 상단에 형성된 제1결합구가 제2자(子)컵의 제2격벽에 결합되고, 제2자(子)컵의 제2격벽 상단에 형성된 제2결합구가 제1자(子)컵의 제1격벽에 결합되어 모(母)컵으로 완성되어 한컵에 두개의 공간부를 형성하여 두개의 공간부에 두가지의 음료를 구분저장하여 이 음료를 마실수 있고, 한개의 모(母)컵을 이루는 구성을 제1,2자(子)컵으로 결합 및 분리를 손쉽고 신속하게 하여 별개의 컵으로 구성된 제1,2자(子)컵을 분리하여 보관의 용이함과, 이를 운반하는 것을 손쉽게 하도록한 새로운 서로 분리결합되고 두개의 공간을 갖는 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일측면이 제1원호부(11a)로 형성되고, 상기 제1원호부(11a)의 양단을 일직선으로 형성하여 상기 제1원호부(11a)의 타측면에 제1격벽(12a)이 형성되고, 상부는 개방되고, 측면둘레면 및 하부면이 폐쇄된 제1자(子)컵(10a)과; 타측면이 제2원호부(11b)로 형성되고, 상기 제2원호부(11b)의 양단을 일직선으로 형성하여 상기 제2원호부(11b)의 일측면에 제2격벽(12b)이 형성되고, 상부는 개방되고, 측면둘레면 및 하부면이 폐쇄된 제2자(子)컵(10b)과; 상기 제1격벽(12a)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2격벽(12b)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1결합구(20a)와; 상기 제2격벽(12b)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격벽(12a)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2결합구(20b)로 구성되고,
상기 제1,2결합구(20a,20b)는 상기 제1,2격벽(12a,12b)의 상단 중 전체가 아닌 상단 일부에만 형성되고,
상기 제1격벽(12a)은 제1파형부(13a)로 형성되고, 제1파형부(13a)로 형성된 상기 제1격벽(12a)과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제2격벽(12b)도 제2파형부(13b)로 형성되고, 상기 제1파형부(13a)의 상단에 상기 제1결합구(20a)가 형성되며, 상기 제2파형부(13b)의 상단에 상기 제2결합구(20b)가 형성되는 서로 분리결합되고 두개의 공간을 갖는 컵에 있어서,
상기 제1자(子)컵(10a)의 일측에 돌기(15a)가 형성되고, 상기 제1자(子)컵(10a)의 타측에 홈부(16a)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15a)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2자(子)컵(10b)의 일측에 홈부(16b)가 형성되며, 상기 홈부(16a)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2자(子)컵(10b)의 타측에 돌기(15b)가 형성되고,
상기 제1,2자(子)컵(10a,10b)의 하부에서 상부로 다수개의 걸림턱(17)이 형성되고,
상기 제1자(子)컵(10a)의 상기 제1격벽(12a)의 일면에 제1돌출부(18a)와 제1결합부(18b)가 형성되며, 상기 제1돌출부(18a)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1돌출부(18a)에 대응되는 상기 제2자(子)컵(10b)의 상기 제2격벽(12b)의 일면에 제2결합부(18c)가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18c)의 일측에 형성된 제2돌출부(18d)가 상기 제1결합부(18b)와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모(母)컵(30)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돌출부(18a)와 상기 제1결합부(18b)의 중앙에 제1절곡결합부(18e)가 형성되고, 상기 제1절곡결합부(18e)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2돌출부(18d)와 상기 제2결합부(18c)의 중앙에 제2절곡결합부(18f)가 형성되고,
상기 제1,2결합구(20a,20b)의 상부에는 돌기턱(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분리결합되고 두개의 공간을 갖는 컵.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제1자(子)컵의 제1격벽 상단에 형성된 제1결합구가 제2자(子)컵의 제2격벽에 결합되고, 제2자(子)컵의 제2격벽 상단에 형성된 제2결합구가 제1자(子)컵의 제1격벽에 결합되어 모(母)컵으로 완성되어 한컵에 두개의 공간부를 형성하여 두개의 공간부에 두가지의 음료를 구분저장하여 이 음료를 마실 수 있고, 한개의 모(母)컵을 이루는 구성을 제1,2자(子)컵으로 결합 및 분리를 손쉽고 신속하게 하여 별개의 컵으로 구성된 제1,2자(子)컵을 분리하여 보관의 용이함과, 이를 운반하는 것을 손쉽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 결합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결합구를 나타낸 개략단면도.
도 5는 제1,2결합구에 형성된 돌기턱을 나타낸 개략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자컵에 형성된 돌기와 홈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자컵에 형성된 걸림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자컵에 제1,2돌출부와 제1,2결합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절곡결합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11은 종래의 컵을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사시도이고,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 결합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결합구를 나타낸 개략단면도이고, 도 5는 제1,2결합구에 형성된 돌기턱을 나타낸 개략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자컵에 형성된 돌기와 홈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자컵에 형성된 걸림턱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자컵에 제1,2돌출부와 제1,2결합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절곡결합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서로 분리결합되고 두개의 공간을 갖는 컵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서로 분리결합되고 두개의 공간을 갖는 컵은 제1자(子)컵(10a)과, 제2자(子)컵(10b)과, 제1결합구(20a)와, 제2결합구(20b)로 구성된다.
컵은 제1자(子)컵(10a)과, 제2자(子)컵(10b)이 서로 결합되어 모(母)컵(30)으로 조립되고, 상기 모(母)컵(30)의 상단에는 뚜껑(40)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자(子)컵(10a)은 일측면이 제1원호부(11a)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원호부(11a)의 양단을 일직선으로 형성하여 상기 제1원호부(11a)의 타측면에 제1격벽(12a)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자(子)컵(10a)은 상부는 개방되고, 측면둘레면 및 하부면이 폐쇄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자(子)컵(10a)의 내부에는 음료수 또는 식음료수가 수용되는 공간부10)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자(子)컵(10a)은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좁게 형성되어 상부가 하부보다 넓게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자(子)컵(10a)은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좁게 형성되어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게 형성하는 것은 상기 제1자컵(10a)에 음료수 또는 식음료가 수용시 보다 상기 제1자(子)컵(10a)에 수용된 음료수 또는 식음료를 보다 손쉽게 마실수 있고 상기 제1자(子)컵(10a)의 외측둘레를 손으로 손쉽게 파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자컵(10b)는 타측면이 제2원호부(11b)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2원호부(11b)의 양단을 일직선으로 형성하여 상기 제2원호부(11b)의 타측면에 제2격벽(12b)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자(子)컵(10b)은 상부는 개방되고, 측면둘레면 및 하부면이 폐쇄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자(子)컵(10b)의 내부에는 음료수 또는 식음료수가 수용되는 공간부10)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2자(子)컵(10b)은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좁게 형성되어 상부가 하부보다 넓게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2자(子)컵(10b)은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좁게 형성되어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게 형성하는 것은 상기 제2자컵(10b)에 음료수 또는 식음료가 수용시 보다 상기 제2자(子)컵(10b)에 수용된 음료수 또는 식음료를 보다 손쉽게 마실수 있고 상기 제2자(子)컵(10b)의 외측둘레를 손으로 손쉽게 파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2자(子)컵(10b)의 상기 제2격벽(12a)과, 상기 제1자(子)컵(10a)의 상기 제1격벽(12a)은 서로 맞닿아 하나의 모(母)컵(3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2자(子)컵(10a,10b)이 서로 결합되어 모(母)컵(30)으로 구성되고, 상기 모(母)컵(30)의 상부에 안착되는 뚜껑(40)으로 구성 된다.
상기 뚜껑(40)은 상기 제1자(子)컵(10a)의 상단이 결합되도록 상기 뚜껑(40)의 일측에 상부결합홈(40a)이 형성되고, 상기 제2자(子)컵(10b)의 상단의 결합되도록 상기 뚜겅(40)의 타측에 상부결합홈(40a)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결합구(20a)는 상기 제1격벽(12a)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2격벽(12b)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결합구(20a)는 상기 제1격벽의(12a) 상단 중 전체가 아닌 상단 일부에만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구(20a)의 상부에는 돌기턱(14)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결합구(20a)의 상부에는 돌기턱(14)이 형성되는 것은 상기 제1결합구(20a)의 상부형성된 상기 돌기턱(14)을 손으로 손쉽게 잡아서 일측 또는 타측으로 밀면 상기 제1결합구(20a)는 상기 제2격벽(12b)의 상단에서 손쉽게 이탈 및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1결합구(20a)는 상기 제1격벽(12a)의 상단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된 수평부(20-1)와, 상기 수평부(20-1)의 일측에서 하부로 내향지게 절곡된 내향 절곡걸림턱(20-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결합구(20b)는 상기 제2격벽(12b)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격벽(12a)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결합구(20b)는 상기 제2격벽의(12b) 상단 중 전체가 아닌 상단 일부에만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구(20b)의 상부에는 돌기턱(14)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2결합구(20b)의 상부에는 돌기턱(14)이 형성되는 것은 상기 제2결합구(20b)의 상부형성된 상기 돌기턱(14)을 손으로 손쉽게 잡아서 일측 또는 타측으로 밀면 상기 제2결합구(20b)는 상기 제1격벽(12a)의 상단에서 손쉽게 이탈 및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결합구(20b)는 상기 제2격벽(12b)의 상단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된 수평부(20-1)와, 상기 수평부(20-1)의 일측에서 하부로 내향지게 절곡된 내향 절곡걸림턱(20-2)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자(子)컵(10a)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15a)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자(子)컵(10a)의 타측에 형성된 홈부(16a)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돌기(15a)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2자(子)컵(10b)의 일측에 홈부(16b)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홈부(16a)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2자(子)컵(10b)의 타측에 돌기(15b)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자(子)컵(10a)에 상기 돌기(15a) 및 홈부(16a)가 형성되고, 상기 제2자(子)컵(10b)의에 상기 홈부(16b) 및 상기 돌기(15b)가 형성되는 것은;
상기 제1자(子)컵(10a)의 일측에 돌기(15a)가 형성되고, 상기 제1자(子)컵(10a)의 타측에 홈부(16a)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15a)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2자(子)컵(10b)의 일측에 홈부(16b)가 형성되며, 상기 홈부(16a)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2자(子)컵(10b)의 타측에 돌기(15b)가 형성되어 상기 제1자(子)컵(10a)이 상기 제2자(子)컵(10b)에 결합시, 제1자(子)컵(10a)에 상기 돌기(15a) 및 홈부(16a)와, 상기 제2자(子)컵(10b)에 상기 홈부(16b) 및 상기 돌기(15b)로 인해, 상기 제1자(子)컵(10a)이 상기 제2자(子)컵(10b) 또는 상기 제2자(子)컵(10b)이 상기 제1자(子)컵(10a)이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제1자(子)컵(10a)과 상기 제2자(子)컵(10b)이 서로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사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2자(子)컵(10a,10b)의 하부에서 상부로 다수개의 걸림턱(17)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2자(子)컵(10a,10b)의 하부에서 상부로 다수개의 걸림턱(17)이 형성되는 것은;
상기 제1,2자(子)컵(10a,10b)이 결합되어 상기 모(母)컵(30)으로 구성시, 상기 제1,2자(子)컵(10a,10b)에 형성된 상기 걸림턱(17)들로 인해 다수개의 상기 모(母)컵(30)을 하부에서 상부로 다수개로 적층되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1격벽(12a)은 제1파형부(13a)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제1파형부(13a)로 형성된 상기 제1격벽(12a)과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제2격벽(12b)도 제2파형부(13b)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제1파형부(13a)의 형상에 대응되어 결합되게 상기 제2파형부(13b)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파형부(13a)의 상단에 상기 제1결합구(20a)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파형부(13b)의 상단에 상기 제2결합구(20b)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2격벽(12a,12b)을 상기 제1,2파형부(13a,13b)로 형성하는 것은 서로 결합된 상기 제1,2자컵(10a,10b)의 평면으로 볼 때 상기 제1,2자컵(10a,10b)의 상기 제1,2격벽(12a,12b)이 파형으로 형성되어 결합되어 평면상으로 디자인 미감을 불어넣어 심미감을 느끼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1자(子)컵(10a)의 상기 제1격벽(12a)의 일면에 제1돌출부(18a)와 제1결합부(18b)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상기 제1돌출부(18a)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1돌출부(18a)에 대응되는 상기 제2자(子)컵(10b)의 상기 제2격벽(12b)의 일면에 제2결합부(18c)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돌출부(18a)와 상기 제1결합부(18b)의 중앙에 제1절곡결합부(18e)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절곡결합부(18e)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2돌출부(18d)와 상기 제2결합부(18c)의 중앙에 제2절곡결합부(18f)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결합부(18c)의 일측에 형성된 제2돌출부(18d)가 상기 제1결합부(18b)와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모(母)컵(3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격벽(12a)의 상기 제1돌출부(18a)가 상기 제2격벽(12b)의 상기 제2결합부(18b)에 결합되고, 상기 제1격벽(12a)의 상기 제1결합부(18b)에 상기 제2격벽(12b)의 상기 제2돌출부(18d)가 결합되어지고, 다시 상기 제1절곡결합부(18e)와 상기 제2절곡결합부(18f)가 접촉되어 결합하므로 상기 모(母)컵(30)으로 조립되어 상기 제1,2자(子)컵(10a,10b)의 외측둘레를 손으로 파지하게 되면 상기 제1자(子)컵(10a)의 상기 제1격벽(12a)에 구성된 상기 제1돌출부(18a) 및 상기 제1결합부(18b)와 상기 제2자(子)컵(10b)의 상기 제2격벽(12b)에 구성된 상기 제2돌출부(18c) 및 상기 제2결합부(18d)가 서로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제1절곡결합부(18e)와 상기 제2절곡결합부(18f)가 서로 접촉되면서 결합되어 상기 제1자(子)컵(10a)과, 상기 제2자(子)컵(10b)이 서로 결합되었을시 상기 제1자(子)컵(10a)과, 상기 제2자(子)컵(10b)은 회전되지 않는 것이다.
상술하는 본 발명은 상기 제1자(子)컵(10a)의 상기 제1격벽(12a) 상단에 형성된 상기 제1결합구(20a)가 상기 제2자(子)컵(10b)의 상기 제2격벽(12b)에 결합되고, 상기 제2자(子)컵(20b)의 상기 제2격벽(12b) 상단에 형성된 상기 제2결합구(20b)가 상기 제1자(子)컵(10b)의 상기 제1격벽(12a)에 결합되어 모(母)컵으로 완성되어 한컵에 두개의 공간부를 형성하여 두개의 공간부에 두가지의 음료를 구분저장하여 이 음료를 마실수 있고, 한개의 모(母)컵을 이루는 구성을 상기 제1,2자(子)컵(10a,10b)으로 결합 및 분리를 손쉽고 신속하게 하여 별개의 컵으로 구성된 상기 제1,2자(子)컵(10a,10b)을 분리하여 보관의 용이함과, 이를 운반하는 것을 손쉽게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a : 제1자(子)컵 10b : 제2자(子)컵
11a : 제1원호부 11b : 제2원호부
12a : 제1격벽 12b : 제2격벽
13a : 제1파형부 13b : 제2파형부
14 : 돌기턱 15a,15b : 돌기
16a,16b : 홈부 17 : 걸림턱
18a : 제1돌출부 18b : 제1결합부
18c : 제2돌출부 18d : 제2결합부
20a : 제1결합구 20b : 제2결합구
30 : 모(母) 컵 40 : 뚜껑

Claims (10)

  1. 일측면이 제1원호부(11a)로 형성되고, 상기 제1원호부(11a)의 양단을 일직선으로 형성하여 상기 제1원호부(11a)의 타측면에 제1격벽(12a)이 형성되고, 상부는 개방되고, 측면둘레면 및 하부면이 폐쇄된 제1자(子)컵(10a)과;
    타측면이 제2원호부(11b)로 형성되고, 상기 제2원호부(11b)의 양단을 일직선으로 형성하여 상기 제2원호부(11b)의 일측면에 제2격벽(12b)이 형성되고, 상부는 개방되고, 측면둘레면 및 하부면이 폐쇄된 제2자(子)컵(10b)과;
    상기 제1격벽(12a)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2격벽(12b)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1결합구(20a)와;
    상기 제2격벽(12b)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격벽(12a)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2결합구(20b)로 구성되고,
    상기 제1,2결합구(20a,20b)는 상기 제1,2격벽(12a,12b)의 상단 중 전체가 아닌 상단 일부에만 형성되고,
    상기 제1격벽(12a)은 제1파형부(13a)로 형성되고, 제1파형부(13a)로 형성된 상기 제1격벽(12a)과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제2격벽(12b)도 제2파형부(13b)로 형성되고, 상기 제1파형부(13a)의 상단에 상기 제1결합구(20a)가 형성되며, 상기 제2파형부(13b)의 상단에 상기 제2결합구(20b)가 형성되는 서로 분리결합되고 두개의 공간을 갖는 컵에 있어서,
    상기 제1자(子)컵(10a)의 일측에 돌기(15a)가 형성되고, 상기 제1자(子)컵(10a)의 타측에 홈부(16a)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15a)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2자(子)컵(10b)의 일측에 홈부(16b)가 형성되며, 상기 홈부(16a)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2자(子)컵(10b)의 타측에 돌기(15b)가 형성되고,
    상기 제1,2자(子)컵(10a,10b)의 하부에서 상부로 다수개의 걸림턱(17)이 형성되고,
    상기 제1자(子)컵(10a)의 상기 제1격벽(12a)의 일면에 제1돌출부(18a)와 제1결합부(18b)가 형성되며, 상기 제1돌출부(18a)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1돌출부(18a)에 대응되는 상기 제2자(子)컵(10b)의 상기 제2격벽(12b)의 일면에 제2결합부(18c)가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18c)의 일측에 형성된 제2돌출부(18d)가 상기 제1결합부(18b)와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모(母)컵(30)을 이루고,
    상기 제1돌출부(18a)와 상기 제1결합부(18b)의 중앙에 제1절곡결합부(18e)가 형성되고, 상기 제1절곡결합부(18e)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2돌출부(18d)와 상기 제2결합부(18c)의 중앙에 제2절곡결합부(18f)가 형성되고,
    상기 제1,2결합구(20a,20b)의 상부에는 돌기턱(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분리결합되고 두개의 공간을 갖는 컵.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60145362A 2016-10-04 2016-11-02 서로 분리결합되고 두개의 공간을 갖는 컵 KR1017111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404 2016-10-04
KR20160127404 2016-10-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1142B1 true KR101711142B1 (ko) 2017-03-13

Family

ID=58411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362A KR101711142B1 (ko) 2016-10-04 2016-11-02 서로 분리결합되고 두개의 공간을 갖는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11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5232U (ko) * 1986-05-19 1987-11-25
KR200305916Y1 (ko) * 2002-12-12 2003-03-03 채점석 용기
KR200434078Y1 (ko) * 2006-09-14 2006-12-15 이정주 내용물 분할형 컵
KR20140081439A (ko) 2012-12-21 2014-07-01 최치환 격벽이 형성된 종이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5232U (ko) * 1986-05-19 1987-11-25
KR200305916Y1 (ko) * 2002-12-12 2003-03-03 채점석 용기
KR200434078Y1 (ko) * 2006-09-14 2006-12-15 이정주 내용물 분할형 컵
KR20140081439A (ko) 2012-12-21 2014-07-01 최치환 격벽이 형성된 종이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49635S1 (en) Insulating container for a beverage container
US20170245666A1 (en) Nesting and reconfigurable wine glass
KR20100106947A (ko)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
KR101711142B1 (ko) 서로 분리결합되고 두개의 공간을 갖는 컵
USD982977S1 (en) Insulating beverage container with cup
JP3194623U (ja) 飲料カップ構造
US20110095039A1 (en) Multi-user Lid for Beverage Containers
KR101884195B1 (ko) 케이스를 구비한 휴대용 이중 물병
CA2917506A1 (en) Beverage crate with handle
KR200324204Y1 (ko) 회전식 다단 찬합
JP2006321540A (ja) 飲料用ボトル
USD998423S1 (en) Insulating container with cover for a beverage can
KR20090008895U (ko) 식품용기의 결합구조
KR20090009093U (ko) 분리용기와 캡의 결합구조
KR100541265B1 (ko) 적층이 가능한 2분할 음료용기
KR20170004381U (ko) 분할된 공간의 다양한 결합이 가능한 모듈방식의 용기
KR200486266Y1 (ko) 컵과 결합 가능한 리드
KR200357016Y1 (ko) 다단 적층용기
KR200208422Y1 (ko) 국물이 누설되지 않는 도시락 용기
KR200474750Y1 (ko) 컵의 상단에 결합하여 이종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용기
KR200475801Y1 (ko) 홀더 기능이 있는 일회용컵 뚜껑
KR200429167Y1 (ko) 체결부가 형성된 일회용 포장용기
KR101918394B1 (ko) 내부 적재를 위한 트레이를 가지는 용기
KR200366658Y1 (ko) 적층식 컵
KR200277880Y1 (ko) 다 분할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