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801Y1 - 홀더 기능이 있는 일회용컵 뚜껑 - Google Patents

홀더 기능이 있는 일회용컵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801Y1
KR200475801Y1 KR2020140007286U KR20140007286U KR200475801Y1 KR 200475801 Y1 KR200475801 Y1 KR 200475801Y1 KR 2020140007286 U KR2020140007286 U KR 2020140007286U KR 20140007286 U KR20140007286 U KR 20140007286U KR 200475801 Y1 KR200475801 Y1 KR 2004758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lid
disposable
disposable cup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2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학
Original Assignee
송재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학 filed Critical 송재학
Priority to KR20201400072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8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8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8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3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of stack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A47G23/0233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with a lid, e.g. for a beer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회용컵 뚜껑의 안쪽 면에 다단으로 다수의 돌기 형태로 된 걸림턱을 형성함으로써, 뚜껑을 덮을 경우 적층된 다수의 일회용컵 각각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테두리부가 뚜껑 안쪽 면에 형성된 상응하는 단의 걸림턱에 걸리게 하여 일회용컵이 뚜껑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고 적층된 상태를 유지한 채로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게 하였으며, 적층된 맨 위의 컵 내부에는 커피믹스와 같은 간단한 내용물을 담아 휴대할 수 있도록 한 홀더 기능이 있는 일회용컵 뚜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홀더 기능이 있는 일회용컵 뚜껑{paper cup cover combined with holder}
본 고안은 홀더 기능이 있는 일회용컵 뚜껑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일회용컵 다수를 포개진 상태로 적층하여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컵의 뚜껑이 쉽게 이탈되지 않게 일회용컵에 결착되며, 적층된 맨 위의 컵 내부에는 간단한 내용물을 담아 휴대할 수 있도록 한 홀더 기능이 있는 일회용컵 뚜껑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고안은 일회용컵 뚜껑의 안쪽 면에 다단으로 다수의 돌기 형태로 형성된 걸림턱에 적층된 다수의 일회용컵 각각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테두리부가 걸리게 함으로써 일회용컵이 뚜껑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고 적층된 상태를 유지한 채로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게 하였으며, 적층된 맨 위의 컵 내부에는 커피믹스와 같은 간단한 내용물을 담아 휴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석에서 간편하게 커피나 음료를 담아 마실 때 사용하는 일회용컵은 보통 종이로 된 종이컵 및 플라스틱수지로 된 플라스틱컵이 주로 사용되는데, 이들 일회용컵은 다수를 포개서 적층할 수 있도록 컵의 상부직경이 하부직경보다 크게 되어있고, 컵의 상부에는 위에 적층된 컵이 아래 컵에 잠기지 않게 하고 컵을 꺼낼 때 파지가 용이하도록 돌출테두리부가 형성된 형태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일회용컵의 뚜껑과 관련하여 다양한 선행기술이 공지되어 있는데, 그 예로는 선행기술문헌 1 및 2가 있다.
선행기술문헌 1은 음료용 컵의 컵뚜껑에 관한 것으로, 음용부의 상부 덮개의 돌출부에 조립철부와 조립요부가 형성되게 하고, 이와 조립되는 고정홈상에 고정요부를 형성시켜 덮개가 확실하게 고정홈에 조립되게 하여 덮개의 돌출부가 상기 고정홈상에 확실하게 조립 고정되므로 사용에 편리를 기하고, 컵조립부의 모서리상에 3/4이 음료용 컵에 밀착되게 조립되어 쉽게 벗겨지지 않게 되어 안전하게 음료용 컵 내에 음료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선행기술문헌 2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일회용컵의 상단에 탈부착되는 컵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일단부에 음용구가 관통형성된 상면부, 상면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일정 높이를 갖는 몸통부, 몸통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일회용컵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는 플랜지형태의 뚜껑결합부, 및 상면부의 중앙부에 개구가 형성되며 몸통부 방향으로 움푹 파여지도록 형성되어 내부공간에 씨앗과 배양토가 삽입되는 배양토 삽입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의 컵뚜껑은 하나의 컵에 대한 개별적인 컵뚜껑에 대한 내용이고 본 고안과 같이 다수의 적층된 일회용컵을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컵뚜껑에 대한 기술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1.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4685호 2.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1638호
일상생활에서 너덧 명이 가볍게 산책이나 걷기운동을 하는 경우 도중에서 잠시 쉬는 동안 커피 등을 마시게 되며, 이때 주로 일회용컵을 사용하게 된다. 보통의 경우는 이때 사용할 일회용컵과 커피믹스 등을 별도의 비닐봉지와 같은 것에 담아 휴대하게 되는데 이는 보기에도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휴대하기가 거추장스러운 문제가 있는데,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너덧 개의 일회용컵을 포개서 적층한 상태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뚜껑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일회용컵 뚜껑의 안쪽 면에 다단으로 다수의 돌기 형태로 된 걸림턱을 형성함으로써, 뚜껑을 덮을 경우 적층된 다수의 일회용컵 각각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테두리부가 뚜껑 안쪽 면에 형성된 상응하는 단의 걸림턱에 걸리게 하여 일회용컵이 뚜껑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고 적층된 상태를 유지한 채로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게 하였으며, 적층된 맨 위의 컵 내부에는 커피믹스와 같은 간단한 내용물을 담아 휴대할 수 있도록 한 홀더 기능이 있는 일회용컵 뚜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홀더 기능이 있는 일회용컵 뚜껑은, 하단은 적층된 다수의 일회용컵 돌출테두리부를 덮어씌울 수 있도록 개방된 개구부를 이루고 상단은 막힌 원통체로 되어있고, 적층된 일회용컵 돌출테두리부와 접하는 뚜껑의 안쪽 면에는 적층된 각각의 일회용컵 돌출테두리부 밑부분이 돌출턱의 윗부분에 밀착되게 걸쳐지도록 다수의 돌기 형태의 걸림턱이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다단으로 형성된 걸림턱에 있어서 각단의 걸림턱 돌기 밀도는 상단으로 갈수록 하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걸림턱의 개수를 적게하여 뚜껑 개구부에 인접한 최하단의 걸림턱을 가장 조밀하게 형성하고 위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듬성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통체를 이루는 뚜껑의 본체는 일회용컵 상부의 돌출테두리부의 외경과 같은 내경을 갖는 컵홀더부와, 컵홀더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컵홀더부의 내경보다 내경이 점차 작아지는 형태의 수납공간부 부분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뚜껑은 가공이나 비용 측면을 고려할 때 투명 또는 반투명의 플라스틱수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적절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일회용컵 뚜껑의 안쪽 면에 다단으로 다수의 돌기 형태로 된 걸림턱을 형성함으로써, 뚜껑을 덮을 경우 적층된 다수의 일회용컵 각각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테두리부가 뚜껑 안쪽 면에 형성된 상응하는 단의 걸림턱에 걸리게 하여 일회용컵이 뚜껑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고 적층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다수의 일회용컵을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층된 맨 위의 컵 내부에는 커피믹스와 같은 간단한 내용물을 담아 일회용컵과 함께 휴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컵 뚜껑과 일회용컵 일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컵 뚜껑과 일회용컵의 분해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컵 뚜껑과 일회용컵의 조립상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컵 뚜껑 컵홀더부의 걸림턱 부분의 확대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본 고안은 포개진 상태로 적층된 다수의 일회용컵을 뚜껑에 밀착되게 고정시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피믹스 같은 간단한 내용물을 일회용컵 내부에 담아 함께 휴대할 수 있는 홀더 기능이 있는 일회용컵 뚜껑으로 본 고안의 일회용컵 뚜껑은 대여섯 개의 일회용컵을 적층하여 내용물과 함께 휴대할 때 특히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홀더 기능이 있는 일회용컵 뚜껑은 돌출테두리부(100t)를 갖는 다수의 일회용컵(100)을 적층하여 휴대하기 위한 뚜껑(10)으로, 하단은 적층된 일회용컵 돌출테두리부를 덮어씌울 수 있도록 개방된 개구부를 이루고 상단은 막힌 원통체로 되어있다.
적층된 일회용컵 돌출테두리부(100t)와 접하는 뚜껑(10)의 안쪽 면에는 적층된 각각의 일회용컵 돌출테두리부 밑부분이 각단의 걸림턱의 윗부분에 밀착되게 끼워져 걸쳐지도록 다수의 돌기 형태로 돌출된 걸림턱(10d)을 다단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걸림턱(10d)은 일회용컵의 돌출테두리부(100t)가 걸쳐 끼워지는 홀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적층된 일회용컵의 개수와 같은 개수의 단으로 형성되며, 걸림턱(10d) 각단 사이의 간격은 각단의 걸림턱 사이에 상기 돌출테두리부(100t)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이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형성한다.
이때, 다단으로 형성된 걸림턱(10d)에 있어서 각단의 걸림턱 돌기 밀도는 상단으로 갈수록 하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걸림턱의 개수를 적게하여 뚜껑 개구부에 인접한 최하단의 걸림턱을 가장 조밀하게 형성하고 위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듬성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뚜껑(10) 개구부에 인접한 최하단의 걸림턱(10d) 개수를 가장 조밀하게 형성하고 위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듬성하게 형성하는 이유는 포개져 적층된 다수의 일회용컵 중에서 맨 아래에 있는 일회용컵의 돌출테두리부가 뚜껑에 견고하게 결합되어야 그 위에 포개져 적층된 전체 일회용컵을 지지하기 때문이다.
한편, 전체적으로 원통체 형상을 이루는 뚜껑(10)의 본체는 일회용컵 상부의 돌출테두리부(100t)의 외경과 같은 내경을 갖는 컵홀더부(11)와, 컵홀더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컵홀더부의 내경보다 내경이 점차 작아지는 형태의 수납공간부(12) 두 부분으로 형성된다.
상기 컵홀더부(11)는 그 안쪽 면에 다단의 걸림턱(10d)이 형성되어 적층된 일회용컵 돌출테두리부와 결합되는 부분으로 적층된 다수의 일회용컵 전체 돌출테두리부 높이와 상응하거나 약간 긴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어야 위쪽의 일회용컵이 컵홀더부(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상기 수납공간부(12)는 적층된 일회용컵 중 맨 위의 컵에 커피믹스와 같이 일회용컵의 길이보다 더 긴 내용물을 담을 때 필요한 수납공간이며, 수납공간부(12)의 내경을 컵홀더부(11) 내경보다 좁게 형성하는 이유는 좁아진 내경으로 인하여 적층된 일회용컵 중 맨 위의 일회용컵이 컵홀더부(11)에서 이탈되어 수납공간부(12)로 올라오지 못하도록 눌러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홀더 기능이 있는 일회용컵 뚜껑은 가공과 비용의 측면을 고려하여 투명한 플라스틱재질의 수지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뚜껑 10d: 걸럼턱
11: 컵홀더부
12: 수납공간부
100: 종이컵 100t: 돌출테두리부
200: 내용물

Claims (3)

  1. 상부에 바깥쪽으로 말린 돌출테두리부(100t)가 형성된 다수의 일회용컵(100)을 적층시켜 휴대하는 일회용컵 뚜껑에 있어서,
    뚜껑(10)의 하단은 개방되어 적층된 일회용컵의 돌출테두리부(100t) 전체를 덮어씌울 수 있는 개구부를 갖고 상단은 막힌 원통체를 이루고,
    적층된 일회용컵 돌출테두리부(100t)와 접하는 뚜껑(10)의 안쪽 면에는 돌기 형태로 돌출된 다수의 걸림턱(10d)을 다단으로 형성하여,
    적층된 일회용컵 각각의 돌출테두리부(100t) 밑부분이 상응하는 각단의 걸림턱(10d)의 윗부분에 밀착되게 걸쳐 끼움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기능이 있는 일회용컵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다단으로 형성된 걸림턱(10d)에 있어서 각단의 걸림턱(10d) 개수를 달리하여 최하단의 걸림턱(10d) 개수를 가장 조밀하게 형성하고, 상단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점차 개수를 듬성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기능이 있는 일회용컵 뚜껑.
  3. 제1항에 있어서,
    원통체 형상을 이루는 뚜껑(10) 본체는 일회용컵 상부의 돌출테두리부(100t)의 외경과 같은 내경을 갖는 컵홀더부(11)와, 컵홀더부(1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컵홀더부(11)의 내경보다 내경이 점차 작아지는 형태의 수납공간부(12) 두 부분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기능이 있는 일회용컵 뚜껑.
KR2020140007286U 2014-10-07 2014-10-07 홀더 기능이 있는 일회용컵 뚜껑 KR2004758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286U KR200475801Y1 (ko) 2014-10-07 2014-10-07 홀더 기능이 있는 일회용컵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286U KR200475801Y1 (ko) 2014-10-07 2014-10-07 홀더 기능이 있는 일회용컵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801Y1 true KR200475801Y1 (ko) 2015-01-09

Family

ID=52588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286U KR200475801Y1 (ko) 2014-10-07 2014-10-07 홀더 기능이 있는 일회용컵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8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647B1 (ko) * 2019-02-14 2020-05-15 한길산업주식회사 용기뚜껑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9622U (ko) * 1989-12-28 1991-09-12
KR200245971Y1 (ko) * 2001-05-25 2001-10-17 정종국
KR200258072Y1 (ko) * 2001-01-22 2001-12-24 박주선 끼임방지구조를 갖는 분말이 수납된 1회용 컵 및 이를 수용하는 컵 홀더 박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9622U (ko) * 1989-12-28 1991-09-12
KR200258072Y1 (ko) * 2001-01-22 2001-12-24 박주선 끼임방지구조를 갖는 분말이 수납된 1회용 컵 및 이를 수용하는 컵 홀더 박스
KR200245971Y1 (ko) * 2001-05-25 2001-10-17 정종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647B1 (ko) * 2019-02-14 2020-05-15 한길산업주식회사 용기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8535B1 (en) Container lid with a food compartment and a sip-hole
USD828723S1 (en) Beverage vessel with lid
US8939312B1 (en) Container lid system with a lid portion and food container portion
US8733582B2 (en) Drinking assembly with integral straw
US11447302B2 (en) Injection molded lid
US20060016819A1 (en) Bottle assembly with removable container assembly
US8146737B2 (en) Beverage cup carrier
US9254929B2 (en) Reusable food container with re-sealable cap
KR20070119617A (ko) 적재가능한 뚜껑 및 기부를 갖는 밀봉용기
US20180141723A1 (en) Lid and a container assembly having the lid
RU148678U1 (ru) Емкость, содержащая сосуд и крышку
US20210171239A1 (en) Portable reusable beverage bottle with drinking cup
US7398893B2 (en) Cup and lid combination
KR200475801Y1 (ko) 홀더 기능이 있는 일회용컵 뚜껑
US20040251259A1 (en) Beverage mug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20190315528A1 (en) Food container
JP5841829B2 (ja) 蓋付きのコーヒーカップ
KR200486389Y1 (ko) 조립식 원통용기
US20140263336A1 (en) Bottle opener
WO2022076937A1 (en) Portable reusable beverage bottle with drinking cup
TWI663107B (zh) 可卡扣罐蓋的金屬容器
JP2017178391A (ja) 容器本体
US20180118419A1 (en) Food Storage Unit
WO2015190681A1 (ko) 테이크 아웃용 음료용기
US20180229905A1 (en) Hanging container lid assemb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