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7016Y1 - 다단 적층용기 - Google Patents

다단 적층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7016Y1
KR200357016Y1 KR20-2004-0012719U KR20040012719U KR200357016Y1 KR 200357016 Y1 KR200357016 Y1 KR 200357016Y1 KR 20040012719 U KR20040012719 U KR 20040012719U KR 200357016 Y1 KR200357016 Y1 KR 2003570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upling groove
stage
containers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27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희
Original Assignee
한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정희 filed Critical 한정희
Priority to KR20-2004-00127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70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70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70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3Closed containers provided with local cooperating elements in the top and bottom surfaces, e.g. projection and recess
    • B65D21/0231Bottles, canisters or jars whereby the neck or handle project into a cooperating cavity in the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61Bottom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단 적층용기에 관한 것으로, 그 하면에 다른 용기의 상부가 결합될 수 있게 결합홈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동일한 형태의 다수개 용기 상부를 다른 용기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각각 적층시켜 휴대가 간편하고 적정 용량의 음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한 다단 적층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그 하면에 용기의 상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동일한 크기 및 형태의 다른 용기의 상부가 결합될 수 있게 결합홈이 형성되어져 있는 다수개의 용기를 각각 그 길이방향으로 적층시켜 휴대가 간편하고 적정 용량의 음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소비자가 한번에 섭취할 수 있을 정도의 용량으로 음료용기를 제조하고, 그 하부에 용기의 상부와 대칭되는 결합홈을 형성함으로써 다수개의 용기를 다단으로 적층할 수 있게 함으로써 휴대가 매우 용이하며 그 용량도 소비자가 1회에 용이하게 마실 수 있을 정도의 소량이므로 대용량의 용기를 개봉하고 장시간 방치함으로써 음료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단 적층용기{A MULTI-HEAPING VESSEL}
본 고안은 다단 적층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그 하면에 다른 용기의 상부가 결합될 수 있게 결합홈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동일한 형태의 다수개용기 상부를 다른 용기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각각 적층시켜 휴대가 간편하고 적정 용량의 음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한 다단 적층용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술병이나 기타 음료용기의 경우에는 하나의 용기가 단일의 제품으로써 일정 용량을 그 용기내부에 수용하여 판매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용기는 휴대하면서 일정량씩 섭취하기에는 그 용량이 상당히 많은 편이어서 불편하고, 일단 한번 개봉한 용기의 경우에는 내부의 음료가 손상되므로 그 용량이 많은 경우에는 사용자의 상태와 무관하게 1, 2일 내에 내부에 저장된 음료를 모두 마셔야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현재 판매되는 음료나 술 등은 대부분 외국인의 신체에 맞도록 300㎖나 350㎖ 정도로 제작되어 출시되므로, 한국인이 수월하게 섭취 가능한 음료량에 비해 너무 크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150㎖ 내지 200㎖의 용량을 갖는 미니 술병이나 미니 음료병이 출시되고는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소비자의 섭취 용량에 따라 한번에 여러 개의 용기를 각각 휴대하거나 취급해야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런 경우에는 오히려, 대용량의 용기 한 개를 휴대하거나 취급하는 것보다 더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하면에 다른 용기의 상부가 결합될 수 있게 결합홈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동일한 형태의 다수개 용기 상부를 다른 용기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각각 적층시켜 휴대가 간편하고 적정 용량의 음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한 다단 적층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단 적층용기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단 적층용기를 분리한 단일의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단 적층용기를 적층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단 적층용기의 다른 결합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10b,10c:다단적층용기, 12a,12b,12c:용기상부,
14a,14b,14c:결합홈, 16a,16b,16c:결합돌기,
18a,18b,18c:결합홈, 20a,20b,20c:뚜껑.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그 하면에 용기의 상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동일한 크기 및 형태의 다른 용기의 상부가 결합될 수 있게 결합홈이 형성되어져 있는 다수개의 용기를 각각 그 길이방향으로 적층시켜 휴대가 간편하고 적정 용량의 음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적층용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다단으로 적층된 다수의 용기는 그 외주연에 비닐랩을 말아서 휴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적층용기가 제공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용기의 뚜껑 외주연을 따라 일정 깊이의 결합홈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용기의 결합홈 내주연에는 하부에 적층되는 다른 용기의 뚜껑에 형성된 결합홈과 대칭되는 결합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각 용기의 적층 및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적층용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단 적층용기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단 적층용기를 분리한 단일의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단 적층용기를 적층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단 적층용기(10)는 다수개의 술이나 음료의 용기(10a, 10b, 10c...)를 각각 그 길이방향으로 적층시켜서 휴대가 용이하면서 동시에 소비자가 한번에 섭취하기에 적당할 정도의 용량으로 각 용기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다단 적층용기(10)는 각 용기(10a, 10b, 10c...)를 각각 적층시킬 수 있도록 용기(10a, 10b, 10c...)의 하면에는 용기의 중심방향으로 결합홈()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결합홈(14a, 14b, 14c...)의 형상은 용기(10a, 10b, 10c...)의 상부(12a, 12b, 12c...)와 대칭된 형상을 갖게 된다. 따라서, 그 상기 다단 적층용기(10a, 10b, 10c...)가 모두 분리된 상태에서, 어느 한 다단 적층용기(예컨대, 10a)의 결합홈(14a)에 다른 다단 적층용기(예컨대, 10b)의 상부(12b)를 끼워넣고, 다시 그 다단 적층용기(10b)의 결합홈(14b)에 다른 적층용기(10c)의 상부(12c)를 끼워넣으면 용기가 다단으로 적층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다수개의 용기(10a, 10b, 10c...)를 소비자가 자신의 음료 섭취 용량에 맞게 적층하여 구매하게 되면, 다수개의 용기를 각각 그 길이방향으로 적층시켜 휴대가 간편하고 적정 용량의 음료를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다단으로 적층된 다수의 용기(10a, 10b, 10c...)는 그 외주연에 비닐랩(미도시)을 말아서 휴대가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적층되는 용기(10a, 10b, 10c...)의 개수는 일정하게 한정되지 않으며, 소비자가 휴대한 상태로 이동이 용이할 정도로 적당히 적층시켜서 휴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단 적층용기의 다른 결합구조를 도시한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다단 적층용기(10a, 10b...)는 용기 뚜껑(18a)과 결합홈(14a)의 구조를 달리하여 다단 적층용기(10a, 10b...)가 보다 용이하게 적층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예에서는 용기 뚜껑(20a)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깊이의 결합홈(18a)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용기(10a)의 결합홈(14a) 내주연에는 하부에서 결합되는 다른 음료용기의 뚜껑(20b)에 형성된 결합홈(18b)과 대칭되는 결합돌기(16a)가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각 용기(10a, 10b...)의 적층 및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는 어느 한 용기(10a)의 하부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결합홈(14a)에 다른 용기(10b)의 상부(12b)를 끼워넣게 되는 데, 이때 상측에 위치된 용기(10a)를 소비자가 한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결합되는 하측의 용기(10b)를 그 상부방향으로 밀어넣으면, 결합되는 용기(10b)의 뚜껑(20b)에 형성된 결합홈(18b)에 상기 결합홈(14a)의 내주연에 형성된 결합돌기(16a)가 결합되게 된다.
이런 방법으로, 다수개의 용기(10a, 10b, 10c..)를 차례로 결합시키면 각 용기(10a, 10b, 10c...)는 용이하게 적층되면서 결합되게 된다. 반면에, 이들 용기(10a, 10b, 10c..)의 해체는 결합의 역순이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 적층용기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단 적층용기는 소비자가 한번에 섭취할 수 있을 정도의 용량으로 음료용기를 제조하고, 그 하부에 용기의 상부와 대칭되는 결합홈을 형성함으로써 다수개의 용기를 다단으로 적층할 수 있게 함으로써 휴대가 매우 용이하며 그 용량도 소비자가 1회에 용이하게 마실 수 있을 정도의 소량이므로 대용량의 용기를 개봉하고 장시간 방치함으로써 음료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그 하면에 용기의 상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동일한 크기 및 형태의 다른 용기의 상부가 결합될 수 있게 결합홈이 형성되어져 있는 다수개의 용기를 각각 그 길이방향으로 적층시켜 휴대가 간편하고 적정 용량의 음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적층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다단으로 적층된 다수의 용기는 그 외주연에 비닐랩을 말아서 휴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적층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뚜껑 외주연을 따라 일정 깊이의 결합홈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용기의 결합홈 내주연에는 하부에 적층되는 다른 용기의 뚜껑에 형성된 결합홈과 대칭되는 결합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각 용기의 적층 및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적층용기.
KR20-2004-0012719U 2004-05-07 2004-05-07 다단 적층용기 KR2003570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719U KR200357016Y1 (ko) 2004-05-07 2004-05-07 다단 적층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719U KR200357016Y1 (ko) 2004-05-07 2004-05-07 다단 적층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7016Y1 true KR200357016Y1 (ko) 2004-07-21

Family

ID=49434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2719U KR200357016Y1 (ko) 2004-05-07 2004-05-07 다단 적층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701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097B1 (ko) 2011-11-30 2014-02-26 염지원 물 분리 보관용 물병
KR200474673Y1 (ko) * 2014-02-04 2014-10-06 유충일 다트게임 기능이 있는 뚜껑과 그 용기
KR20160126506A (ko) * 2015-04-24 2016-11-02 권희성 미니어처 다형상 위생병
WO2024025262A1 (ko) * 2022-07-26 2024-02-01 주식회사 포디크리에이터 복층 구조를 갖는 다기능 용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097B1 (ko) 2011-11-30 2014-02-26 염지원 물 분리 보관용 물병
KR200474673Y1 (ko) * 2014-02-04 2014-10-06 유충일 다트게임 기능이 있는 뚜껑과 그 용기
WO2015119398A1 (ko) * 2014-02-04 2015-08-13 유충일 다트게임 기능이 있는 뚜껑과 그 용기
KR20160126506A (ko) * 2015-04-24 2016-11-02 권희성 미니어처 다형상 위생병
KR101710262B1 (ko) * 2015-04-24 2017-03-08 권희성 미니어처 다형상 위생병
WO2024025262A1 (ko) * 2022-07-26 2024-02-01 주식회사 포디크리에이터 복층 구조를 갖는 다기능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0521B2 (en) Low depth stackable tray
US9156587B2 (en) Multiple sealed beverage vessels in a case
US6041935A (en) Stackable case assembly
JPS60240645A (ja) 多容器パツケ−ジ
US20130068635A1 (en) Carrier having stabilizing tabs
US10450128B2 (en) Nesting packaging design for planters
KR20100106947A (ko)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
KR200357016Y1 (ko) 다단 적층용기
US20240067445A1 (en) Nesting packaging design for planters
KR102099946B1 (ko) 테이블 기능을 갖는 포장 박스
KR200267294Y1 (ko) 탈착 가능한 다단식 음료용기
JP2001072071A (ja) 容 器
KR100541265B1 (ko) 적층이 가능한 2분할 음료용기
JP2006188283A (ja) 品物の包装容器におけるコンパクトディスクの収納構造
KR200261100Y1 (ko) 다단으로 적층되는 음료용기
KR20130038079A (ko) 수직 적층형 액체용기
KR102220212B1 (ko) 직렬 또는 병렬 결합이 가능한 조립식 음료 용기
KR200187666Y1 (ko) 음료수 캔
KR200179872Y1 (ko) 음료수 용기
KR200487454Y1 (ko) 즉석 식품 포장 세트
KR200237024Y1 (ko) 적층 되도록 된 냉장고 포켓용 용기
KR200366851Y1 (ko) 식품 보관용기의 다단식 적층장치
KR200191415Y1 (ko) 음료수 캔
KR200193535Y1 (ko) 음료 용기
KR200296158Y1 (ko) 음료용기의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