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3535Y1 - 음료 용기 - Google Patents

음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3535Y1
KR200193535Y1 KR2020000008181U KR20000008181U KR200193535Y1 KR 200193535 Y1 KR200193535 Y1 KR 200193535Y1 KR 2020000008181 U KR2020000008181 U KR 2020000008181U KR 20000008181 U KR20000008181 U KR 20000008181U KR 200193535 Y1 KR200193535 Y1 KR 2001935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aps
beverage container
container
beverage contain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81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신훈
Original Assignee
김신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신훈 filed Critical 김신훈
Priority to KR20200000081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35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35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35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4Multi-cavity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음료수 수용부가 각각 구비되는한편, 컵 형태로 이루어진 상하부 음료용기의 개구부에는 상하부 캡이 각각 나선 결합되며, 상하부 캡의 마주보는 면의 가장자리에는 고정돌기와 고정홈이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 캡의 고정돌기의 측면에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한편, 하부캡의 고정돌기의 측면에는 체결홈에 끼워지는 체결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하부 캡의 이음부에는 상표, 제조회사 등의 광고문구, 도안이 인쇄된 테이프가 부착된다.
그리고, 상하부 캡 사이의 공간에는 행운의 복권, 오늘의 운수, 퀴즈놀이 등의 오락물이 보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서로 다른 음료수가 충진된 단품의 상하부 음료용기가 회전시키는 등의 불필요한 작업없이 끼움방식으로 결합되어 제조및 사용이 편리해지며, 상하부 음료용기가 컵의 형상을 갖추면서 부담없이 마실수있는 적당 용량을 충진할 수 있게 되어 음료수의 구입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고, 판매 촉진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음료 용기{A RACEPTACLE FOR DRINKING WATER}
본 고안은 음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수 잔량을 보관한수 있으며, 컵 형태의 복수의 용기를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 용기는 내부에 음료수가 충진되는 통체로 구성되고, 여러 형태의 마개에 의해 개폐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마개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음료수 잔량을 보관할 수 있는 사양과, 한번 분리되면 결합할 수 없는 원터치방식의 마개 등이 있다.
그러나, 현재 제공되는 음료 용기는 하나의 음료수 수용부 갖추고 있기 때문에 2종류 이상의 음료수를 섭취하려는 경우 단품으로 이루어진 음료수를 각각 구입하여야 하는 부담이 있다.
그리고, 여러명이 음료수를 구입하려는 경우 각자 기호가 다르기 때문에 자신이 원하는 음료수를 구입할 수밖에 없으며, 이때, 모든 음료수 구입자가 음료수를 남길 경우에는 보관하여야 하므로 소비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느끼게 한다. 특히, 대형 음료 용기의 경우에는 그 심각성이 더욱 클 수밖에 없다.
또한, 대형 음료 용기를 구입한 경우 음료수의 섭취를 위해서는 별도의 컵을이용하여야 하는데, 컵을 준비하지 못한 상황에서는 비위생적인 방법으로 음료수를마시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함 및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단종 또는 2종류 이상의 음료수를 하나로 패키지화하여 여러 종류의 음료수를 마실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간편한 작업으로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도록 한 음료 용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컵을 사용하지 않고 음료수를 마실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음료수 잔량을 보관 및 휴대를 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음료 용기는, 내부에 음료수 수용부가구비되는 제 1,2용기부재와; 상기 제 1,2용기의 개구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음료수 수용부를 각각 개폐시키는 제 1,2캡과; 상기 제 1,2용기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 1,2캡의 마주보는 면의가장자리부에 서로 끼워지도록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돌출부 및 삽입부와; 상기제 1,2캡의 이음부에 부착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음료 용기에 따르면, 용기를 분리하여 자신이 원하는 음료용기의 캡을 오픈한 후 음료수를 섭취할 수 있게 되며, 캡을 이용하여 음료용기를밀폐시킨 후 다시 결합하게 되면 하나의 패키지로 보관, 휴대할 수 있게 되므로 소비자는 서로 다른 음료수를 하나의 패키지로 구입 및 마실 수 있게 되어 경제적 부담을 절감할 수 있으며, 아울러,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해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음료 용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용기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 : 음료 용기 11,21 : 음료수 수용부
12,22 : 캡 12a,22a : 고정돌기
12b,22b : 고정홈 12c : 체결홈
22c : 체결돌기 30 : 테이프
이하,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용기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음료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음료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음료 용기(100)는, 일측이 개구되는 음료수수용부(11)(21)가 갖추어진 상하부 음료용기(10)(20)와, 상하부 음료용기(10)(20)의 개구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부 캡(12)(22)으로 구성되며, 음료용기(10)(20) 및 상하부 캡(12)(22)는 합성수지를 재질로 한다.
상하부 캡(12)(22)의 마주보는 면의 가장자리부에는 고정돌기(12a)(22a)와 고정홈(12b)(22b)이 번갈아가면서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요철형상을 갖추게 되며, 고정돌기(12a)(22a)와 고정홈(12b)(22b)는 중심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하부 음료용기(10)(20)의 결속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부 캡(12)의 고정돌기(12a)의 측면에는 체결홈(12c)이 형성되며, 하부 캡(22)의 고정돌기(22a)의 측면에는 체결홈(12c)에 끼워지는 체결돌기(22c)가 돌출 형성된다.
한편, 테이프(30)는 상하부 음료용기(10)(20)의 이음부 즉, 상하부캡(12)(22)이 맞닿는 부분에 부착되어 그 결속력을 유지시키게 된다.
테이프(30)의 외부면에는 음료수 제품의 상표명 등이 인쇄될 수 있으며, 상하부 음료용기(10)(20), 상하부 캡(12)(22)의 표면에는 제품 및 제조회사를 선전할수 있는 광고 문구, 도안, 소비자가 선호하는 캐릭터 등이 인쇄된 광고물이 부착될 수 있고, 또한, 상하부 캡(12)(22) 사이의 공간(40)에는 복권, 오늘의 운수 등의 오락용 물건을 보관할 수 있다.
상하부 음료용기(10)(20)는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중앙부가 오목 또는 볼록하게 형성되는 한편, 컵의 형태를 갖추도록 하여 본 고안 음료 용기(100)의 특성을부각시킨다.
상하부 음료용기(10)(20)와 캡(12)(22)에는 나선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하부캡(12)(22)을 회전시킴으로써 조립, 분리가 가능해지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하부 캡(12)(22)은 고정돌기 및 고정돌기가 끼워 고정되는 홈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는 등 여러방식 모두 사용 가능하다.
한편, 상하부 음료용기(10)(20)를 끼움방식, 테이프(30)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방법이외에 두 음료용기(10)(20)의 캡(12)(22)이 일정 공간을 두고 마주보도록원통형 떠에 삽입 결합하고, 이 원통형 띠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하여 용기를 결합할 수 있으며, 원통형 띠 내부의 진공을 해제함으로써 용기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음료 용기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상하부 음료용기(10)(20)의 음료수 수용부(11)(21)에는 하나의 음료수 또는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수를 충진한 후, 각각의 캡(12)(22)을 결합하여 밀폐시킨다.
상하부 캡(12)(22)이 상하부 음료용기(10)(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음료용기(10)(20)를 뒤집어 캡(12)(22)이 마주보도록 한 상태에서 끼우게 되면, 상부 캡(12)의 고정돌기(12a)는 하부 캡(22)의 고정홈(22b)에 끼워지는 동시에, 상부캡(12)의 고정홈(12b)에는 하부 캡(22)의 고정돌기(22a)가 탄력적으로 끼워지게 되며, 이때, 체결돌기(22c)가 체결홈(12c)에 삽입되면서 결속력이 증대된다.
이어서, 캡(12)(22)의 연결부에 테이프(30)를 부착함으로써 본 고안 음료 용기(100)의 제조가 완료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음료 제품의 음료수를 섭취하기 위해서는 먼저 테이프(30)를 제거하여 상하부 음료용기(10)(20)의 결속력을 감소시킨다.
이어서, 상하부 음료용기(10)(20)를 강제로 잡아당기게 되면 고정돌기(12a)가 삽입부(22a)로부터 빠지게 되어 즉, 상하부 음료용기(10)(20)가 단품으로 분리되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음료수를 선택하여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원하는 음료용기(10)(20)의 캡(12)(22)을 제거하여 음료수를 섭취하게 되며, 음료수의 잔량이 남게 되면, 캡(12)(22)을 다시 용기(10)(20)에 결합 밀폐시켜 각각 단품으로 보관하거나, 캡(12)(22)의 고정돌기(12a)(22a)와 고정홈(22b)(12b)를 끼워 결합함으로써 하나의 패키지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음료 용기(10)(20)의 분리시 캡(12)(22)의 사이에 보관된 복권, 오늘의 운세 등의 오락 물건을 이용하여 소비자들은 재미를 느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상하부 음료용기(10)(20)가 하나로 패키지화되며, 이용기(10)(20)에 소비자의 취향에 맞는 2종류의 음료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하부 음료용기(10)(20)가 상하부에서 끼우는 작업에 의해 결합되어 상하부 음료용기(10)(20)의 결합을 위하여 회전시키는 등의 불필요한 동작이 없어진다.
또한, 상하부 음료용기(10)(20)가 컵의 형상을 갖추는 동시에, 적당 용량이제공되어 별도의 컵이 불필요해지는 한편, 부담없이 섭취할 수 있으며, 아울러, 잔량의 음료수를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시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음료 용기에 의하면, 서로 다른 음료수가 충진된 복수의 음료용기가 하나로 패키지화되어 소비자는 복수의 음료수를 적은비용으로 섭취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이 절감된다.
그리고, 용기의 결합이 간편해져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컵을 사용하지 않고 음료수를 간편하게 섭취 및 잔량을 보관할수 있으며, 또한, 음료수 섭취 이외에 오락물에 의한 재미가 부가되어 소비자들의소비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므로 판매촉진을 기대할 수 있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되고 청구된 원리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 안에서 수정및 변경할 수 있는 여러가지 실시형태는 본 고안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내부에 음료수 수용부가 구비되는 제 1,2용기부재와; 상기 제 1,2용기의 개구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음료수 수용부를 각각 개폐시키는 제 1,2캡과; 상기 제 1,2용기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 1,2캡의 마주보는 면의 가장자리부에 서로 끼워지도록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돌출부 및 삽입부와; 상기 제 1,2캡의 이음부에 부착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캡의 돌출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체결홈과; 상기제 2캡의 돌출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는 체결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캡의 사이에는 복권, 오늘의 운세 등의 오락물이 보관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KR2020000008181U 2000-03-22 2000-03-22 음료 용기 KR2001935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181U KR200193535Y1 (ko) 2000-03-22 2000-03-22 음료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181U KR200193535Y1 (ko) 2000-03-22 2000-03-22 음료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3535Y1 true KR200193535Y1 (ko) 2000-08-16

Family

ID=19648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8181U KR200193535Y1 (ko) 2000-03-22 2000-03-22 음료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353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4501A (en) Beverage container for use with drinking cup
US6971521B2 (en) Packaging system for multiple discrete foodstuffs
US6179146B1 (en) Double chambered container
US8033409B2 (en) Packaged combination including a fluid container having walls dimensioned to receive a solid object, including edible items
EP0779050A1 (en) Figure cup
KR200193535Y1 (ko) 음료 용기
KR101076388B1 (ko) 벤딩 스트로
JP2001072071A (ja) 容 器
WO2004094254A1 (en) Combined toy/bottlecap system
JP2000153841A (ja) 飲料容器
US20050155974A1 (en) Drinking vessel designed to incorporate an alcoholic beverage container
KR200203011Y1 (ko) 다중 용기
KR200237745Y1 (ko)
KR200191415Y1 (ko) 음료수 캔
KR200324260Y1 (ko) 하나의 용기로 두가지의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용기
CN213355482U (zh) 一种用于固定饮料瓶的连接体
JP3146619U (ja) 市販ボトル装着容器
JP2006321540A (ja) 飲料用ボトル
KR200342890Y1 (ko) 음료용기
KR20000036991A (ko) 다중 용기
KR200365557Y1 (ko) 종이팩 음료 음용구
KR200296158Y1 (ko) 음료용기의 결합장치
JP3102139U (ja) 2種類以上の飲み物を、1つの容器にセット出来るようにしたドリンク容器
KR200204276Y1 (ko) 병뚜껑과 결합된 위생컵이 부착되어 있는 페트병
KR200325536Y1 (ko) 착탈 가능한 이중 음료수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