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6388B1 - 벤딩 스트로 - Google Patents

벤딩 스트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6388B1
KR101076388B1 KR1020090011930A KR20090011930A KR101076388B1 KR 101076388 B1 KR101076388 B1 KR 101076388B1 KR 1020090011930 A KR1020090011930 A KR 1020090011930A KR 20090011930 A KR20090011930 A KR 20090011930A KR 101076388 B1 KR101076388 B1 KR 101076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bending
circumferential surface
solid food
outer st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2682A (ko
Inventor
조제복
Original Assignee
조제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제복 filed Critical 조제복
Priority to KR1020090011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6388B1/ko
Publication of KR20100092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47G21/186Details of bendable stra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47G21/183Drinking straws or the like with means for changing the flavour of th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65D77/283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located initially inside the container, whereby the straw is revealed only upon opening the container, e.g. pop-up str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09F23/06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the advertising matter being combined with articles for restaurants, shops or offices
    • G09F23/08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the advertising matter being combined with articles for restaurants, shops or offices with table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4Influencing taste or nutritional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용 스트로(straw)에 관한 것으로서, 제1외부스트로(110); 상기 제1외부스트로(110)와 분리되어 있는 제2외부스트로(120); 하단부는 상기 제1외부스트로(110)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제2외부스트로(120)의 하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외부스트로(110)와 상기 제2외부스트로(120)를 하나로 결합하며,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벤딩(bending)되었다가 외력이 소멸되면 원상 복귀하는 연질튜브(130); 및, 일체로 결합된 상기 제1외부스트로(110), 상기 연질튜브(130), 및 상기 제2외부스트로(120)의 내부에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외부스트로(110) 및 상기 제2외부스트로(120)의 내부면과 수밀성을 유지하는 내부스트로(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외부스트로, 연질튜브, 제2외부스트로, 장식부, 내부스트로, 고형식품, 쐐기형 첨부, 절개부, 저장홈부

Description

벤딩 스트로{Bending Straw}
본 발명은 음료용 스트로(straw)에 관한 것으로서, 제1외부스트로(110); 상기 제1외부스트로(110)와 분리되어 있는 제2외부스트로(120); 하단부는 상기 제1외부스트로(110)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제2외부스트로(120)의 하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외부스트로(110)와 상기 제2외부스트로(120)를 하나로 결합하며,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벤딩(bending)되었다가 외력이 소멸되면 원상 복귀하는 연질튜브(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벤딩 스트로에 관한 것이다.
음료수 섭취 시 보조용 기구로 사용되는 스트로의 경우 장식적인 요소를 함께 추구하는 것과 함께 음료수의 섭취를 용이하게 하는 기능적인 요소만을 추구하는 것이 있다.
즉, 접은 종이를 사용한 장신구를 부착하여 심미감을 추구하는 장식적인 스트로가 있는 반면, 스트로의 길이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늘어나는 망원경 스트로, 상부에 벨로우즈가 구비되어 휘어지는 플랙시블 스트로, 슬러쉬 등과 같은 작은 알 갱이를 용이하게 떠먹을 수 있도록 하단부에 스푼이 구비된 스트로 등과 같이 기능적인 스트로가 있다.
이러한 종래 방식의 스트로를 이용하여 뚜껑이 있는 음료수 용기에 들어있는 음료수를 섭취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뚜껑을 개방하고 음료수 용기의 입구에 스트로를 넣어서 음료수를 섭취하게 되는데, 음료수 섭취 도중에 뚜껑을 닫았다가 나중에 다시 마시는 경우도 종종 있다.
이럴 경우 종래의 스트로의 경우 직접 손으로 스트로의 상단부를 잡고 벤딩하여 음료수 용기 내부에 밀어 넣거나, 망원경 스트로의 경우 돌출되어 연장된 스트로를 다시 밀어 넣거나, 아니면 스트로 자체를 음료수 용기에서 제거한 후 뚜껑을 닫게 되는데, 나중에 다시 음료수를 마시기 위해서는 뚜껑을 개방한 후 벤딩된 스트로의 상단부를 다시 손으로 잡고 음료수 용기의 외부로 돌출시켜야 하는데, 위생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행위가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스트로를 제거한 경우에는 새로운 스트로를 사용하여야만 하는데 자원낭비 및 환경오염의 문제점이 수반되며, 여분의 스트로가 준비되지 못한 경우에는 그냥 마셔야만 하는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또한, 패스트푸드점에서 판매하는 음료수의 경우 대부분이 탄산음료로서 과다 섭취하는 경우에는 비만을 비롯한 각종 성인병의 원인이 되고 있는데, 이러한 패스트푸드 또는 탄산음료의 독성을 중화하고 영양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녹차성분이나 건강보조식품(비타민, 키토산, 홍삼, 칼슘, 셀레늄, 유산균 등)을 별도로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녹차성분이나 건강보조식품을 별도로 섭취한다는 것은 그만큼 번거로운 일이 되어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다면 녹차성분이나 건강보조식품을 제대로 섭취한다는 것이 매우 어렵다.
이에 녹차성분, 건강보조식품 또는 섭취하고자 하는 다양한 식품을 용매 또는 분산매에 녹이거나 분산시켜 섭취를 보다 편리하게 해주는 수단의 필요성이 요구되었으며, 그 수단의 하나로서 음료용 스트로를 이용하는 방안이 모색되었다.
아울러 접은 종이를 사용한 장신구를 부착하여 심미감을 추구하는 종래의 장식적인 스트로의 경우 스트로의 부피가 증가한다는 문제점과 장신구 자체의 비용이 상대적으로 고가라는 문제점이 있어 일반화되지 못하고 일부 고급 카페나 레스토랑에서 제품의 품격을 높이기 위하여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에 불과하였다.
이에 저렴한 비용으로 심미감을 증대시키고, 나아가 특정 업체의 광고 기능까지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된 음료용 스트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벤딩과 원상복귀 기능이 탁월하여 단순히 음료수 용기의 뚜껑을 닫아주는 작용만으로 음료수 용기 내부에 스트로가 벤딩된 상태로 보관되고, 다시 뚜껑을 열여주는 경우 스트로 자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의 모습(길이)으로 복귀되어 재사용할 수 있는 스트로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스트로의 내부에 건강식품을 내장하고 슬라이드 방식을 이용하여 이를 스트로 외부로 밀어내어 음료수와 함께 섭취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스트로에 별도의 밀폐된 수납공간을 마련하고 필요시 이를 개방하여 수납공간에 저장된 내용물을 녹여서 용액과 함께 마실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넷째, 스트로의 부피를 증대시키지 않으면서 심미감을 유발하고, 필요시 특정 문구나 로고, 문양 등을 표시하여 광고 효과도 함께 거둘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다섯째, 스트로의 재사용시 발생될 수 있는 비위생적인 요소를 제거하여 사용자의 보건과 건강을 도모하고,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스트로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음료용 스트로(straw)에 관한 것으로서, 제1외부스트로(110); 상기 제1외부스트로(110)와 분리되어 있는 제2외부스트로(120); 하단부는 상기 제1외부스트로(110)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제2외부스트로(120)의 하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외부스트로(110)와 상기 제2외부스트로(120)를 하나로 결합하며,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벤딩(bending)되었다가 외력이 소멸되면 원상 복귀하는 연질튜브(130); 및, 일체로 결합된 상기 제1외부스트로(110), 상기 연질튜브(130), 및 상기 제2외부스트로(120)의 내부에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외부스트로(110) 및 상기 제2외부스트로(120)의 내부면과 수밀성을 유지하는 내부스트로(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벤딩과 원상복귀 기능이 탁월하여 단순히 음료수 용기의 뚜껑을 닫아주는 작용만으로 음료수 용기 내부에 스트로가 벤딩된 상태로 보관되고, 다시 뚜껑을 열여주는 경우 스트로 자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의 모습(길이)으로 복귀되어 재사용할 수 있다.
둘째, 스트로의 내부에 건강식품을 내장하고 슬라이드 방식을 이용하여 이를 스트로 외부로 밀어내어 음료수와 함께 섭취할 수 있다.
셋째, 스트로에 별도의 밀폐된 수납공간을 마련하고 필요시 이를 개방하여 수납공간에 저장된 내용물을 녹여서 용액과 함께 마실 수 있다.
넷째, 스트로의 부피를 증대시키지 않으면서 심미감을 유발하고, 필요시 특정 문구나 로고, 문양 등을 표시하여 광고 효과도 함께 거둘 수 있다.
다섯째, 스트로의 재사용시 발생될 수 있는 비위생적인 요소를 제거하여 사용자의 보건과 건강을 도모하고,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로서 제1외부스트로(110), 제2외부스트로(120), 및 이들을 하나로 연결하는 연질튜브(130)로 구성된 경우로서, 필요에 따라 중공(11)이 형성된 고형식품(22)이 결합되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음료용 스트로(straw)는 제1외부스트로(110), 제2외부스트로(120) 및 연질튜브(130)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제1외부스트로(110)는 음료용 스트로의 하부 구조를 구성하며, 제2외부스트로(120)는 음료용 스트로의 상부 구조를 구성하는데, 제1외부스트로(110)와 분리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제1외부스트로(110)와 동일한 직경을 가진다.
연질튜브(130)의 하단부는 제1외부스트로(110)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결합되 고, 연질튜브(130)의 상단부는 제2외부스트로(120)의 하단부에 삽입되어 제1외부스트로(110)와 제2외부스트로(120)를 하나로 결합하는데,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벤딩(bending)되었다가 외력이 소멸되면 원상 복귀하는 성질을 가진다.
연질튜브(130)의 구체적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실리콘 러버(silicon rubber)와 같이 외력에 의한 벤딩과 원상 복귀가 가능하고 인체에 무해한 것이면 어떤 재질이라도 무방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수용성 또는 분산성의 고형식품(22)은 중공(11)이 형성되어 제1외부스트로(110)의 외주면에 삽입결합되며, 본 발명인 벤딩 스트로를 음료수에 담그고 스트로를 저어주면 고형식품(22)이 자연스럽게 음료수에 용해되거나 분산되어 음료수와 함께 고형식품 성분을 섭취할 수 있다.
이러한 고형식품(22)의 구체적 실시예들이 도7에 도시되어 있으나, 고형식품(22)의 형태 자체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 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형태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고형식품(22)의 성분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종류에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용매 또는 분산매 역할을 하는 음료수 내에서 용해되거나 분산될 수 있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면 충분한데, 예를 들어 녹차, 커피, 코코아, 홍차, 비타민, 효모, 꽃가루, 효소, 유산균, 클로렐라, 배아, 버섯, 동충하초, 키토산, 글루코사민, 인삼, 홍삼, 허브, 칼슘, 셀레늄, 알로에 등의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제1외부스트로(110)의 하단부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형 첨부(33)가 구비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와 같이 쐐기형 첨부(33)가 구비되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외부스트로(120)의 상단부를 음료수 용기의 뚜껑으로 눌러주면 제1외부스트로(110)가 쐐기형 첨부(33)의 경사단면(44) 방향으로 쉽게 기울어지고, 제1외부스트로(110)가 기울어지게 되면 연질튜브(130)에서 벤딩이 발생되어 제2외부스트로(120)의 상단부가 음료수 용기의 내부로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다시 뚜껑을 개방하는 경우 제2외부스트로(120)를 눌러주던 외력이 소멸되어 벤딩된 연질튜브(130)가 원래의 모습으로 복귀하고 음료수 용기 내부로 수용되었던 제2외부스트로(120)의 상단부가 음료수 용기의 입구 외측으로 다시 돌출되어 스트로의 재사용이 가능하다.
도2는 내부스트로(200)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어 함께 사용되는 실시예인데, 필요에 따라 제1외부스트로(110)의 내측에 고형식품(22)이 내장되고, 내부스트로(200)의 상단부를 제2외부스트로(120)의 내부로 밀어 넣으면 고형식품(22)이 제1외부스트로(110)의 외부로 밀려 나오게 된다.
내부스트로(2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로 연결된 제1외부스트로(110), 연질튜브(130), 및 제2외부스트로(120)의 내부에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데, 제1외부스트로(110) 및 제2외부스트로(120)의 내부면과 수밀성을 유지하여 음료수를 흡입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한다.
내부스트로(200)에는 외주면의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230)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절개부(230)는 제1외부스트로(110)의 상단부와 제2외부스트로(120) 하단부 사이(다시 말하면 연질튜브(130)와 겹쳐지는 부위)에 위치한다.
이러한 절개부(230)는 내부스트로(200)가 연질튜브(130)와 함께 쉽게 벤 딩(bending)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2 또는 도3에 도시된 절개부(230)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원형으로 절개되어 있는데 반드시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하는 방향으로 벤딩이 쉽게 이루어진다면 어떤 형태라도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절개부(230)가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고 3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는데, 외력이 작용하면 내부스트로(200)는 절개부(230)가 형성된 방향(여러 개의 절개부(230)가 형성된 경우 그 가운데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보다 쉽게 굽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외부스트로(110)의 하단부에 구비된 쐐기형 첨부(33)의 경사단면(44)과 절개부(230)가 나란하게 배열되도록 조립하면 연질튜브(130)의 벤딩이 보다 잘 이루어질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고형식품(22)은 도1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제1외부스트로(110)의 하단부 내측에 내장되며 내부스트로(200)의 상단부를 제2외부스트로(120)의 상단부 내부로 밀어 넣으면 고형식품(22)이 제1외부스트로(110)의 외부로 밀려 나오게 된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2의 경우에도 도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고형식품(22)이 제1외부스트로(110)의 외주면에 삽입결합되도록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따라서 내부스트로(200)는 고형식품(22)을 제1외부스트로(110)의 외부로 밀어낼 수 있을 정도의 길이만큼 제2외부스트로(120)의 상단부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내부스트로(200)의 하단부는 고형식품(22)이 삽입된 길이 이상으로 제1외부스트로(110) 하단부에서 상방향으로 밀려 올라가 있고, 내부스트로(200)의 상단부는 고형식품(22)을 제1외부스트로(110)의 외측으로 밀어 내기에 충분한 길이 만큼 제2외부스트로(120)의 상단부 외측으로 돌출되어야 한다.
이러한 고형식품(22)의 형태는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으나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외부스트로(110)의 내측에 내장될 수 있도록 원기둥 형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고형식품(22)의 성분은 분산성 또는 수용성 물질로서 음료수에 녹이거나 분산시켜 음료수와 함께 섭취할 수 있는 물질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도3은 내부스트로(200)의 외주면 표면에 부착되는 장식부(300)가 구비된 실시예로서, 이러한 장식부(300)는 제1외부스트로(110)의 내주면과 내부스트로(200)의 외주면 사이에 밀착되거나, 제2외부스트로(120)의 내주면과 내부스트로(200)의 외주면 사이에 밀착되는데, 이 경우에도 필요에 따라 제1외부스트로(1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고형식품(22)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외부스트로(110)의 하단부에는 쐐기형 첨부(33)가 구비되어 경사단면(44) 방향으로 연질튜브(130)가 벤딩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식부(3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스트로(200) 외주면 표면에 부착되어 제1외부스트로(110)의 내주면과 내부스트로(200)의 외주면 사이에 밀착되거나, 제2외부스트로(120)의 내주면과 내부스트로(200)의 외주면 사이에 밀착될 수도 있는데, 장식부(300)가 구비되는 경우 제1외부스트로(110) 또는 제2외부스트로(12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되어 외부에서 장식부(300)의 형상을 인식 할 수 있도록 한다.
장식부(30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형, 숫자, 문자, 또는 기호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또는 색상)가 절개되거나 인쇄되어 있는 시트(sheet)로서, 하나의 조각 또는 두 개 이상의 조각으로 구성되어 내부스트로(200)의 외주면을 감싸게 된다.
이러한 장식부(300)를 이용하면 심미감과 함께 특정 내용의 광고효과도 창출할 수 있다.
도4는 내부스트로(200)에 저장홈부(240)가 구비된 실시예인데, 이 경우에도 저장홈부(240)와는 별도로 필요에 따라 제1외부스트로(1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고형식품(22)이 결합될 수 있다.
저장홈부(240)는 제1외부스트로(110)와 겹쳐지는 내부스트로(200)의 하부 외주면에 구비되는데, 내부스트로(200)의 중심축을 향하여 내측으로 함몰되어 수용성 또는 분산성 분말이나 과립이 저장되는 저장고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저장홈부(240)가 구비된 경우 제2외부스트로(120)의 상단부 외측으로 돌출된 내부스트로(200) 상단부를 제2외부스트로(120)의 내부로 밀어 넣으면 저장홈부(240)가 제1외부스트로(110)의 하단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저장홈부(240)에 저장된 수용성 또는 분산성 분말이나 과립이 음료수에 용해되거나 분산되어 음료수와 함께 섭취할 수 있다.
고형식품(22)이 제1외부스트로(110)의 내측에 결합된 경우 내부스트로(200)의 상단부를 제2외부스트로(120)의 상단부 내부로 밀어 넣음에 따라 먼저 고형식 품(22)이 제1외부스트로(110)의 외부로 빠져나오게 되는데, 내부스트로(200)를 더 이상 밀어 넣지 않으면 저장홈부(24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저장홈부(240)에 저장된 분말이나 과립을 섭취하자 않을 수도 있으며, 단계별로 형성된 저장홈부(240)의 일부만 노출되도록 내부스트로(200)를 삽입 길이를 조절하면 용해(분산)되는 분말이나 과립의 종류나 용량도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
도5는 제1수용돌기부(210), 제2수용돌기부(220), 제1멈춤돌기부(111), 및 제2멈춤돌기부(121)가 구비된 실시예이다. 이 경우에도 필요에 따라 제1외부스트로(1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고형식품(22)이 결합될 수 있다.
제1수용돌기부(210)는 내부스트로(200)의 외주면 표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2수용돌기부(220)는 내부스트로(200)의 외주면 표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는데, 제1수용돌기부(210)와 제2수용돌기부(220)는 장식부(300)의 길이만큼 이격되어 형성되어 장식부(300)가 제1수용돌기부(210)와 제2수용돌기부(220) 사이의 내부스트로(200) 외주면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제1수용돌기부(210)와 제2수용돌기부(220)가 구비되는 경우 내부스트로(200)의 슬라이딩 과정에서 장식부(300)가 최초의 부착 위치를 이탈하여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멈춤돌기부(111)는 제1외부스트로(110)의 외주면 표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는데, 연질튜브(130)가 결합되면 연질튜브(130)의 하단부가 제1멈춤돌기부(111)와 맞닿게 된다.
제2멈춤돌기부(121)는 제2외부스트로(120)의 외주면 표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는데, 연질튜브(130)가 결합되면 연질튜브(130)의 상단부가 제2멈춤돌기 부(121)와 맞닿게 된다.
이와 같이 제1멈춤돌기부(111)와 제2멈춤돌기부(121)가 구비되면 연질튜브(130)와 결합되는 제1외부스트로(110) 및 제2외부스트로(120)가 각각 연질튜브(130) 내부로 소정의 길이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8은 고형식품(22)이 외주면에 결합된 스트로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8(a)는 서로 분리되지 않고 일체형으로 제작된 튜브 형상의 스트로(400)의 외주면에 고형식품(22)이 삽입결합된다.
고형식품(22)은 중공(11)이 구비되어 스트로(400)의 외주면에 삽입결합되는데, 고형식품(22)은 도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바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8(b)는 3개의 부위로 구분되도록 일체형으로 제작된 스트로(400)인데, 구체적으로 하부관(410), 벤딩관(420), 및 상부관(430)으로 구분되고, 고형식품(22)은 하부관(410)의 외주면에 삽입결합된다.
벤딩관(420)은 하부관(410)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주름을 형성하는 반복된 요철부가 구비되어 자유롭게 벤딩되는 성질이 있고, 상부관(430)은 벤딩관(420)의 상단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도8(c)는 도8(b)과 벤딩관(420)의 성질에 차이점이 있는데, 도8(c)의 경우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벤딩관(420)이 벤딩되었다가 외력이 소멸되면 벤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다시 원래의 모습으로 복귀하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도8(c)의 경우 도9와 같이 음료수 용기 내부에 벤딩되었다가 뚜껑을 열면 되시 원상 복귀되어 음료수 용기의 외부로 돌출되어 재사용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로서 제1외부스트로(110), 제2외부스트로(120), 및 이들을 하나로 연결하는 연질튜브(130)로 구성된 경우로서, 필요에 따라 중공(11)이 형성된 고형식품(22)이 결합되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2는 내부스트로(200)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어 함께 사용되는 실시예인데, 필요에 따라 제1외부스트로(110)의 내측에 고형식품(22)이 내장되고, 내부스트로(200)의 상단부를 제2외부스트로(120)의 내부로 밀어 넣으면 고형식품(22)이 제1외부스트로(110)의 외부로 밀려 나오게 된다.
도3은 내부스트로(200)의 외주면 표면에 부착되는 장식부(300)가 구비된 실시예로서, 이러한 장식부(300)는 제1외부스트로(110)의 내주면과 내부스트로(200)의 외주면 사이에 밀착되거나, 제2외부스트로(120)의 내주면과 내부스트로(200)의 외주면 사이에 밀착되는데, 이 경우에도 필요에 따라 제1외부스트로(1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고형식품(22)이 결합될 수 있다.
도4는 내부스트로(200)에 저장홈부(240)가 구비된 실시예인데, 이 경우에도 저장홈부(240)와는 별도로 필요에 따라 제1외부스트로(1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고형식품(22)이 결합될 수 있다.
도5는 제1수용돌기부(210), 제2수용돌기부(220), 제1멈춤돌기부(111), 및 제2멈춤돌기부(121)가 구비된 실시예이다. 이 경우에도 필요에 따라 제1외부스트로(1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고형식품(22)이 결합될 수 있다.
도6은 장식부(300)의 구체적 실시예들이다.
도7은 고형식품(22)의 구체적 실시예들이다.
도8은 고형식품(22)이 외주면에 결합된 스트로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9는 음료수 용기 내부에 벤딩되었다가 뚜껑을 열면 되시 원상 복귀되어 음료수 용기의 외부로 돌출되는 스트로를 보여준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제1외부스트로
111:제1멈춤돌기부
120:제2외부스트로
121:제2멈춤돌기부
130:연질튜브
200:내부스트로
210:제1수용돌기부
220:제2수용돌기부
230:절개부
240:저장홈부
300:장식부
11:중공
22:고형식품
33:쐐기형 첨부
44:경사단면
400:스트로
410:하부관
420:벤딩관
430:상부관

Claims (13)

  1. 음료용 스트로(straw)에 관한 것으로서,
    제1외부스트로(110);
    상기 제1외부스트로(110)와 분리되어 있는 제2외부스트로(120); 및,
    하단부는 상기 제1외부스트로(110)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제2외부스트로(120)의 하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외부스트로(110)와 상기 제2외부스트로(120)를 하나로 결합하며,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벤딩(bending)되었다가 외력이 소멸되면 원상 복귀하는 연질튜브(130); 및,
    하나로 연결된 상기 제1외부스트로(110), 상기 연질튜브(130), 및 상기 제2외부스트로(120)의 내부에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외부스트로(110) 및 상기 제2외부스트로(120)의 내부면과 수밀성을 유지하는 내부스트로(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외부스트로(110)의 상단부와 상기 제2외부스트로(120) 하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내부스트로(200)의 외주면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23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스트로.
  2. 제1항에서,
    상기 내부스트로(200) 외주면 표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1외부스트로(110)의 내주면과 상기 내부스트로(200)의 외주면 사이에 밀착되거나, 상기 제2외부스트로(120)의 내주면과 상기 내부스트로(200)의 외주면 사이에 밀착되는 장식부(300);
    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1외부스트로(110) 또는 상기 제2외부스트로(12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되어 외부에서 상기 장식부(300)의 형상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스트로.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중공(11)이 구비되어 상기 제1외부스트로(110)의 외주면에 삽입결합되는 수용성 또는 분산성 고형식품(22);
    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스트로.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제1외부스트로(110)의 하단부 내측에 삽입되는 수용성 또는 분산성 고형식품(22);
    이 더 포함되고,
    상기 내부스트로(200)의 하단부는 상기 고형식품(22)이 삽입된 길이 이상으로 상기 제1외부스트로(110) 하단부에서 상방향으로 밀려 올라가 있고, 상기 내부스트로(200)의 상단부는 상기 고형식품(22)을 상기 제1외부스트로(110)의 외측으로 밀어 내기에 충분한 길이 만큼 상기 제2외부스트로(120)의 상단부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스트로.
  5.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제1외부스트로(110)의 하단부에는 쐐기형 첨부(33);
    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스트로.
  6. 제2항에서,
    상기 장식부(300)는 도형, 숫자, 문자, 또는 기호 형태가 절개되어 있거나 인쇄되어 있으며, 하나의 조각 또는 두 개 이상의 조각으로 구성되어 상기 내부스트로(200)의 외주면을 감싸고,
    상기 내부스트로(200)의 외주면 표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돌출된 제1수용돌기부(210); 및,
    상기 내부스트로(200)의 외주면 표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1수용돌기부(210)와 상기 장식부(300)의 길이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수용돌기부(220);
    가 더 구비되고,
    상기 장식부(300)는 상기 제1수용돌기부(210)와 상기 제2수용돌기부(220) 사이의 상기 내부스트로(200) 외주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스트로.
  7.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절개부(230)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원형으로 절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스트로.
  8.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제1외부스트로(110)의 외주면 표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질튜브(130)의 하단부와 맞닿는 제1멈춤돌기부(111); 및,
    상기 제2외부스트로(120)의 외주면 표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질튜브(130)의 상단부와 맞닿는 제2멈춤돌기부(121);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스트로.
  9.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제1외부스트로(110)와 겹쳐지는 상기 내부스트로(200)의 하부 외주면에는 상기 내부스트로(200)의 중심축을 향하여 내측으로 함몰되어 수용성 또는 분산성 분말이나 과립이 저장되는 저장홈부(240);
    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외부스트로(120)의 상단부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내부스트로(200) 상단부를 상기 제2외부스트로(120)의 내부로 밀어 넣으면 상기 저장홈부(240)가 상기 제1외부스트로(110)의 하단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스트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90011930A 2009-02-13 2009-02-13 벤딩 스트로 KR101076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930A KR101076388B1 (ko) 2009-02-13 2009-02-13 벤딩 스트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930A KR101076388B1 (ko) 2009-02-13 2009-02-13 벤딩 스트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682A KR20100092682A (ko) 2010-08-23
KR101076388B1 true KR101076388B1 (ko) 2011-10-25

Family

ID=42757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930A KR101076388B1 (ko) 2009-02-13 2009-02-13 벤딩 스트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63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68871B (zh) 2015-12-22 2021-09-28 西斯泰克斯有限责任公司 两端具有十字狭缝阀门封闭件的预填充饮用吸管
HUE048549T2 (hu) * 2017-06-20 2020-08-28 Sisteks D O O Elõre megtöltött szívószál mindkét végén keresztbemetszett membránszeleppel
US10123641B1 (en) * 2017-10-30 2018-11-13 Miles Pepper Reusable foldable drinking straw in storage case
KR102212090B1 (ko) * 2020-03-10 2021-02-04 (주)넥스코 스트로가 구비된 텀블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827Y1 (ko) * 2001-11-29 2002-04-11 우이구 분말이 내장된 빨대
JP2002179073A (ja) * 2000-12-15 2002-06-26 Daito Nyugyo Kk 飲料容器用ストロ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9073A (ja) * 2000-12-15 2002-06-26 Daito Nyugyo Kk 飲料容器用ストロー
KR200271827Y1 (ko) * 2001-11-29 2002-04-11 우이구 분말이 내장된 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682A (ko) 2010-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4501A (en) Beverage container for use with drinking cup
AU2010244987A1 (en) Cap for a drinking straw
JP2012511991A (ja) 固形食品が内蔵されたスライディングストロー
KR101076388B1 (ko) 벤딩 스트로
KR100990714B1 (ko) 탄성수단이 구비된 슬라이딩 스트로
JP2020011057A (ja) 飲料カップ蓋
US20120228166A1 (en) Single Serve Combination Wine Bottle and Wine Glass
KR20130091922A (ko) 식품내장형벤딩스트로
KR100952175B1 (ko) 접이식 슬라이딩 스트로
US20180237186A1 (en) Individual beverage bottle accessory
KR101037372B1 (ko) 절개장식부가 구비된 슬라이딩 스트로
KR20090009093U (ko) 분리용기와 캡의 결합구조
KR20110032825A (ko) 식품이 내장된 슬라이딩 스트로
KR100883828B1 (ko) 고형식품이 내장된 슬라이딩 스트로
US20050155974A1 (en) Drinking vessel designed to incorporate an alcoholic beverage container
JP3117755U (ja) コップ
KR200226849Y1 (ko)
KR20130012699A (ko) 일체형 연질튜브 스트로
CN214297337U (zh) 一种新型饮品包装
US20060043206A1 (en) Drink Pouch with Inner Snap-on Straw/Spout
TWM573609U (zh) Container with straw function
KR20090008896U (ko) 식품용기의 결합구조
KR200406456Y1 (ko) 액체용기 부착형 일회용 컵
KR200421585Y1 (ko) 컵용 기능성뚜껑
KR200397840Y1 (ko) 착탈형 컵을 갖는 플라스틱 음료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