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262B1 - 미니어처 다형상 위생병 - Google Patents

미니어처 다형상 위생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262B1
KR101710262B1 KR1020150057624A KR20150057624A KR101710262B1 KR 101710262 B1 KR101710262 B1 KR 101710262B1 KR 1020150057624 A KR1020150057624 A KR 1020150057624A KR 20150057624 A KR20150057624 A KR 20150057624A KR 101710262 B1 KR101710262 B1 KR 101710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bottle
constituent
constru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7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6506A (ko
Inventor
권희성
Original Assignee
권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희성 filed Critical 권희성
Priority to KR1020150057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262B1/ko
Publication of KR20160126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6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28Containers joined together by screw-, bayonet-, snap-fit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일체형 병 용기의 내용물이 소비되는 과정에서 오염, 변질, 낭비되는 단점을 보완하고자 고안하였으며, 기술적 요지는 다수의 통형상으로 된 구성체용기들로 기존의 병을 영역별로 수평등분하고, 돌출선(198)과 사선면(199)의 끼워맞춤 결합으로 착탈되며, 날개뚜껑(21c)이 밀봉과 밀폐를 강화하고, 내용물에 대한 정보를 점자표기(20)하며, 제2 구성체용기(2)의 상,하단 둘레를 양방향 동일한 형태로 구비하여 도 1과 같이, 병(537)의 순방향은 물론 다형상 조합과 역방향전환 기술을 도출한 것을 요지로 하며, 위생안전과 역방향 보관 등의 효율적인 병 활용을 모색하고자 고안된 미니어처 다형상 위생병(537)입니다.

Description

미니어처 다형상 위생병 {Miniature of multiformat hygiene bottle}
본 발명은 PET 병 등의 병 용기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대안으로 고안한 미니어처 다형상 위생병(537)에 관한 기술분야이며, 상기 병은 다형상의 구성체용기들로 구성되고, 도 1에서 나열된 전개도와 같이 구성체용기 간의 결합과 분리 및 활용의 기술로 방향전환과 다형상 조합을 도출하는 병에 관한 기술분야 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도 3(A,B,C1,C2)의 구성 과정과 같이, 통형상의 제1(1), 제3(3,4), 제2(2) 구성체용기가 일체형 병을 영역으로 수평등분하고, 돌출선(198)과 사선면(199)이 각각의 환경에 맞게 구비되어 상호 끼워맞춤 결합이 되고, 날개뚜껑(21c)이 용기의 밀봉과 밀폐를 담당하며, 상단과 하단이 동일한 형태를 갖는 제2 구성체용기(2)의 가교역할로 역방향전환 기능과 다형상조합을 도출할 수 있는 것이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이다.
상기는 구성체용기(1,3,4,2)가 부분적으로 병(537)의 통합에서 분리되어도, 잔여 용기를 지닌 병(537)의 기능은 유지되며, 각 구성체용기는 독자적으로 수용과 소비 및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의 기술은 원통형 외에도 통상의 재료와 기타 결합형태와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으며, 기존의 일체형의 병과는 달리 병의 위생적인 효율성과 다변화 모색 및 정서적인 활용이 가능한 기술이다.
종래에는 PET 등 병 용기의 생수 및 여러 내용물이 적정량 이상의 경우, 병의 환경은 개폐의 반복과 빈 공간의 증가 및 잔여 내용물에 의해 유해한 세균성 미생물의 증식이 우려되는 현시점에서, 병 용기의 빈 공간 제거와 반복 재사용 최소화 및 정서적인 활용 모색은 업계에서도 미흡한 듯하다. 컵에 부어진 깨끗한 물이 버려지지않게, 식용유의 산화 등 내용물의 변질과 전염병 발병 우려에 무방비로 노출되지 않게 등등, 진화된 뚜껑의 기술이나 병의 디자인만큼이나 종래의 병 용기가 세분화된 생활 패턴에 맞추어 실질적인 대안을 찾아야 하는 이유이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기존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아래와 같다.
1. 미니어처 다형상 위생병(537)의 구성체용기(1,3,4,2)의 구성은,
통형상으로 되어 내부에 액상 및 비액상 물질을 담을 수 있도록 한 다수개의 구성체용기에 있어서,
상부에 배치되고, 상단 중심부에 입구(32)와 날개뚜껑(21c) 및 내용물의 정보가 점자 표기(20)된 외부뚜껑(21a)을 구비하며, 하단 내측 둘레에는 제3 구성체용기(3,4)의 사선면(199)과 제2 구성체용기(2)의 상,하단의 사선면(199)과 끼워맞춤 결합할 수 있는 돌출선(198)을 구성하고, 장애물이 없는 수용공간(25)을 구비한 통형상의 제1 구성체용기(1);
중간부에 배치되고, 몸체의 상단평면(29)에 입구(31) 및 밀착된 날개뚜껑(21c)을 구비하고, 상단 둘레에 상측 구성체용기의 돌출선(198)과 끼워맞춤 결합되도록 내측 중심부를 향해 경사지게 사선면(199)이 형성되고, 사선면 내측부터는 수용공간(25)을 구비하며, 하단 내측 둘레에는 순방향과 역방향에서 제2 구성체용기(2)의 상단과 하단의 양방향 사선면(199)과 개별적으로 끼워맞춤 결합할 수 있는 돌출선(198)을 구비한 통형상의 제3 구성체용기(3,4);
하부에 배치되고, 몸체의 상단평면(29)에 입구(31) 및 밀착된 날개뚜껑(21c)을 구비하고, 상단과 하단둘레는 동일한 형태의 사선면(199)이 내측 중심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었고, 상기는 순방향과 역방향에서 상,하측 구성체용기의 돌출선(198)과 양방향 모두 끼워맞춤 결합할 수 있는 기능을 지녔으며, 사선면(199) 내측은 수용공간(25)으로 구비된 통형상의 제2 구성체용기(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어처 다형상 위생병.
2. 제2 구성체용기(2)의 방향전환기능 기술은,
상기 통형상의 제2 구성체용기(2)는 다수개의 용기 중에서 유일하게 상단과 하단 둘레가 동일한 사선면(199) 형태을 구비하여 양방향이 각 구성체용기 하단의 돌출선(198)과 대응하여, 병의 순방향, 역방향 전환, 역방향의 부분 재회전, 다형상 조합이 가능하도록 결합을 주도하며, 상기 외의 나사줄 또는 돌출과 홈 등의 형태에도 전환기술의 원리를 적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어처 다형상 위생병.
3. 끼워맞춤 결합 기술은,
상기 제1 내지 제3 구성체용기(3,4)의 하단 내부의 돌출선(198)과 제2 구성체용기(2)의 상단과 하단둘레의 사선면(199)이 대응하여, 유격과 고정력 및 탄성력을 활용하여 끼워 맞춤 형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어처 다형상 위생병.
4. 구성체용기(1,3,4,2)의 날개뚜껑(21c)은,
상기 입구(31,32)를 개폐하는 속뚜껑 평면에 속뚜껑 평면보다 넓은 평면의 날개 갓을 부착, 고정시켜 날개 갓 가장자리가 구성체용기의 상단평면(29)에 부착 또는 용융되어 밀폐와 밀봉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어처 다형상 위생병.
5. 병의 유동적인 변화와 활용은,
상기 제1 내지 제3과 제2 구성체용기(1,3,4,2)는 통합된 한 가지 유형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고, 유동적인 다형상으로 가감할 수 있으며, 구성체용기를 선택하여 내용물을 역방향 보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어처 다형상 위생병.
6. 점자표기는,
상기 제1 구성체용기(1)의 외부뚜껑((21a) 상단 평면에 내용물의 정보를 점자표기(20)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어처 다형상 위생병.
7. 병(537)의 용량과 재질, 디자인 등의 통상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각 구성체용기의 최소 용량은 180ml 내외가 적당하며, 병의 전체 용량은 500ml,1.5L,2.0L등 통상의 용량 혹은 임의로 정하고, 바닥(28)의 굴곡 및 뚜껑과 용기 및 돌출선(198)과 사선면(199)의 크기에 대한 규격 제한은 없으며, 사용하다 남은 여러 병(537)의 구성체용기들(1,3,4,2)의 정리정돈은 결합 부위의 크기가 같으면 상호 조합할 수 있고, 재질은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재료의 복합 접목 및 기타 가능한 재질을 사용하며, 원통형 외에도 여러 디자인에 기술의 요지를 접목할 수 있으며, 용기의 임의적인 위치에 인쇄 혹은 부착물을 부착할 수 있는것이다.
상기는 생수와 음료 기타 액상, 비액상의 물질을 통합적이고 세분화하여 수용, 보관, 소비하며, 단시간 내 소비 종료를 유도하여 종래의 개폐 횟수와 빈 공간을 감소시키고, 잔여 내용물에 의한 유해한 세균성 미생물의 증식 등의 우려를 줄일 수 있으며, 정서적인 활용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고안된 미니어처 다형상 위생병(537)이며 기존 병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병(537)의 구성체용기 간의 기본적인 결합, 분리, 이동은 물론 임의적인 선택적 조합 및 역방향 전환과 역방향 보관이 가능하며, 밀봉과 밀폐를 강화하고, 유사시 구성체용기를 연이어 투척하여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뚜껑에 점자 표기하여 시각 장애인분들도 내용물에 대한 인지가능, 위생 걱정 감소 및 정서적인 흥미 유발, 대용량의 세분화 수용 및 소용량의 통합 편리 등의 효과를 지녔으며, 기타의 결합형태와 디자인에 고안의 기술 적용이 가능하여 병의 효율적인 다변화를 모색할 수 있다.
(이하, 대표도와 도 1은 동일 도면임).
도 1은 본 발명의 정면도에 내포된 구성체용기와 다형상 예 도시한 전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를 도시한 사시도(21c는 이중 내부 개재,비투시됨).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A), 결합(B), 완료(C1), 전환(C2)을 도시한 과정도.
도 4는 본 발명의 내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중앙종단면도.
본 고안은 미니어처 다형상 위생병(537)이며, 상기 병(537)은 구성체용기(1,3,4,2)의 다형상과 용기 간의 결합과 분리 기술 및 활용 기술을 통합하여 다형상을 도출하고 방향 전환하는 병이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의 실시예와 같다.(이하, 미니어처 다형상 위생병(537)을, 병(537)으로 축약함.)
병(537)의 구성은,
기존의 일체형 병을 다수의 통형상으로 된 구성체용기(1,3,4,2)들로 상부(1), 중간부(3,4), 하부(2)영역으로 수평 등분하고, 각 용기는 날개뚜껑(21c)을 구비하며, 내용물의 상표, 종류 등의 정보를 점자표기하며, 각 용기의 바닥은 완만히 굴곡지며, 제2 구성체용기(2)의 가교역할로 도 1과 같이, 형상의 전환기능을 갖는 등의 환경을 지니고 액상 및 비액상의 물질을 수용한다. 상기의 구성체용기들은 상호 끼워맞춤 결합되어 통합되어도, 병(537)의 통합과 분리 과정에서 독립적인 수용과 소비 및 이동을 할 수 있다.
병(537)의 구성체용기의 구성은,
제1(1),제3(3,4),제2(2) 구성체용기는 개별적으로 용융재질의 날개뚜껑(21c)이 입구의 밀봉과 밀폐를 강화하고, 구조물이 없는 수용공간(25)을 확보하고, 각 영역에 맞는 돌출선(198)과 사선면(199)의 끼워맞춤 결합 기술을 구비하는 3요소가 통합된 독립된 통형상의 용기이며, 제2 구성체용기(2)의 상단과 하단 둘레는 결합에 대응하는 형태가 사선면으로 동일하여, 도 1의 전개도와 같이 역방향 전환과 다형상의 조합이 성립되도록 하는 가교역할을 담당한 주요 요소이다.
병(537)의 제1 구성체용기(1)의 형태는,
병(537)의 상부에 통형상으로 배치되고 병의 중심축 역할을 하며, 나사줄 입구가 제거된 상단 중심부에 입구(32) 및 외부뚜껑(21a)과 날개 뚜껑(21c)을 구비하며, 외부뚜껑(21a)의 평면에는 내용물의 정보를 점자(20)로 표기하고, 상단과 하단 사이에 장애물이 없는 반타원형의 수용공간(25)을 확보한다. 그리고 하단 내측 둘레에는 돌출선(198)을 구비하여 각 용기의 사선면(199)과 끼워맞춤 결합되도록 한다.
병(537)의 제3 구성체용기(3,4)의 형태는,
병(537)의 중간부에 통형상으로 배치되고 수량의 가감을 주도하며, 상단평면(29)에 개구부(31,21c)가 형성되어 입구(31)를 개폐하도록 수평으로 밀착된 날개뚜껑(21c)을 구비하고 또한 용기 상단 둘레에 이웃하는 구성체 용기의 돌출선(198과 끼워맞춤 되도록 내측 중심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사선면(199)을 구비하며, 하단 내측 하부 둘레에는 이웃하는 구성체용기의 사선면(199)과 결합하는 돌출선(198)을 구비하고, 상단과 하단의 사선면 내측부터 장애물이 없는 넓은 수용공간(25)을 구비한 형상이다. 상기는 제1(1) 및 제2(2) 구성체용기 사이에 개재되어 순방향으로 결합(537)되거나, 제2 구성체용기(2)의 상,하부에 역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다.
병(537)의 제2 구성체용기(2)의 형태는,
병(537)의 하부에 통형상으로 배치되고, 상단과 하단 둘레는 내측 중심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동일한 사선면(199)의 형태가 구성되고, 사선면 내부는 전체가 수용공간이다. 상기는 구성체용기 간의 이동과 다형상조합 및 역방향 전환 기능 기술이 실행되도록 가교역할을 한다. 상세설명은 다음과 같다.
상기는 통형상이고 상단평면(29)에 개구부(31,21c)가 형성되었으며, 입구를 개폐하도록 수평으로 밀착되는 날개뚜껑(21c)이 구비되고, 상단과 하단 사이에는 장애물이 없는 수용공간(25)을 구비하며, 상단과 하단 둘레는 내측 중심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양방향 동일한 사선면(199)의 형태를 한다. 상기의 동일한 상,하단 둘레의 형태는 제1(1),제3(3,4) 구성체용기의 하단 내부의 돌출선(198)과 양방향 모두 끼워맞춤 결합 기능이 가능하여 도 1의 전개도와 같이, 역방향 전환과 다형상의 조합 기술을 성립시키는 가교 역할을 담당하는 고안의 주요 요소가 된다.
상기의 동일한 상,하단 형태의 의미는, 돌출선과 사선면 외에도 나사줄 등의 다른 형태를 사용하여 결합하는 경우라도 기술의 형태와 상관없이 결합에 대응하는 상,하단 둘레의 기술 형태가 그 환경에서 동일하면, 방향 전환의 기술을 실행할 수 있어서 상기에 대한 내용이 청구항에 기재하지 않아도 본 고안의 기술적 원리와 동일한 것이다.
실시예 1에 있어서, 제1(1),제3(3,4),제2(2) 구성체용기의 입구를 밀봉하고 밀폐하는 날게뚜껑(21c)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입구(31,32)에 삽입되는 속뚜껑의 면보다 넓은 평면의 날개 갓을 뚜껑 평면에 부착 고정 시킨 것으로, 상단평면(29) 또는 속뚜껑과 이웃하는 면에 부착되거나 용융되어 밀폐와 밀봉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입구의 크기와 날개뚜껑의 크기 및 날개 갓의 너비는 임의로 정하며, 속뚜껑의 크기도 입구에 맞게 정하고, 규격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날개뚜껑(21c)은 외부의 공기 유입과 내부의 누출을 줄이고, 입구가 쉽게 찢어지는것을 방지하고, 개봉 여부 확인도 겸하며, 재사용이 가능하고, 종이 등의 통상적인 재질로 제작할 수있다.
병(537)의 기술적 요지는,
도 3의 전체와 같이, 다수의 구성체용기에 있어서, 제1, 제3 구성체용기(1,3,4)의 하단 내부에 구비된 돌출선(198)과 대응하는 제2 구성체용기(2)의 상,하단 둘레의 양방향이 동일한 사선면(199)의 형태로 구비되어있어서, 상측과 하측의 용기를 연결하는 가교역할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상기는 끼워맞춤 결합을 하여, 병의 역방향전환과 다형상 조합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는 용기가 통구조로 되어있고, 날개뚜껑(21c)이 입구(32,31)의 밀봉과 밀폐를 동시에 실행하여서, 이동하여 전환되는 과정에서 내용물이 유출되지않고 독립적으로 보존이 되는 것이 요지이다.
기타 부가설명은 다음과 같다.
상기는 끼워맞춤 결합으로 착탈되고, 각 용기의 사선면은 돌출선이 구비된 다른 구성체 용기의 하단 내부를 채움으로서 용기 간의 뜬 공간을 줄이고, 유격이 있어도 용기 간의 고정과 신속한 분리 및 탄성을 활용할 수있다. 돌출선과 사선면의 크기는, 예를 들어 200ml의 경우 사선면의 높이와 돌출선이 구비된 하부의 깊이는 약0.5mm로 설정하는 등으로 용도에 맞게 정하는 것으로, 규격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병(537)의 활용의 요지는,
내용물이 반복성 소비 형태로 인해 오염, 변질, 낭비되는 현실에서, 현대인의 생활 패턴에 맞는 효율적인 용기 사용과 위생 안전을 도모하고, 도 1의 전반에서와 같이, 용기의 역방향 보관과 다형상의 조합 등 병을 사용하는 과정에서도 형상의 변화를 취하는 병으로서, 심리적인 흥미 유발을 유도하여 역방향 보관이나 음용 혹은 게임의 도구 등 다양한 병 활용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것이 활용의 요지이다.
병(537)의 형상의 다변화 요지는,
병(537)의 형상은 도 1의 전개도와 같이 하나의 유형으로 고정되어있지 않고, 구성체용기 간의 임의적인 조합이나, 유동적인 소비경로에 의한 변화의 과정으로 인하여, 분할 또는 가감되거나 교차이동 및 역방향 전환과 같은 다형상으로 변화가 진행되고,, 소비가 완료된 용기는 제거할 수 있는 것 등이 형상의 다변화 요지이다.
병(537)의 방향전환의 요지는,
병(537)을 역방향 회전하여, 상위의 거꾸로 된 구성체용기를 정방향 위치로 재회전하여, 음용위치를 환원시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요지이고, 상기의 전환형상은 다양하며, 상세설명과 예는 다음과 같다.
병(537) 전체를 순방향에서 역방향 회전하면, 병의 하부였던 제2 구성체용기(2) 의 입구(31)가 제2(2)의 상단과 제4(4)의 하단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서 음용이 불가능하게 되는데, 본 고안은 제2 구성체용기(2) 상,하단의 측면이 양방향 동일한 사선면(199)의 형태를 구비하였으므로, 양방향 모두 각 용기 하단에 구비된 돌출선(198)에 대응하여 결합할 수 있어서, 병(537)은 거꾸로 된 상태이지만, 또 다른 개구부를 개방하지 않아도 제2 구성체용기(2)의 개구부 위치를 일상적인 상위방향이 되도록 부분적으로 환원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다른 용기들도 도 3의 C2와 같이, 상부의 위치가 된 제2 용기(2) 하나를 재회전시키거나 혹은 제2 구성체용기(2) 하단과 제1 구성체용기(1)의 하단이 결합하여 다수의 용기의 방향을 재회전시키는 등으로, 제2 구성체용기(2)의 가교 역할을 활용하여 개구부가 순방향으로 환원하여 정상적으로 음용하거나, 반대로 역회전하여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는 병(537)이 역방향의 위치에서 부분적으로 구성체용기를 순방향으로 환원 하거나 필요에 의하여 구성체용기를 이동시켜서 혼합할 수 있는 기술이며, 기술형태가 나사줄과 나사줄, 돌출과 홈 등의 다른 형태이어도, 똑같은 결과가 된다.
병(537)의 용량과 재질, 디자인등의 통상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상기의 외부뚜껑(21a)과 날개뚜껑(21c)의 속뚜껑 개폐는 끼워맞춤 형식이며, 크기의 제한적 규정은 없다. 각 구성체용기의 바닥면(28)은 제2 구성체 용기(2)의 가장자리의 폭이 조금 좁은 것을 제외하고는 형태의 구성은 동일한 것으로, 내부가 타원형 굴곡을 지닌 형상으로 필요에 의해 통상적인 변화를 주어 제작할 수 있다.
각 구성체용기의 사용하다 남은 여러 병(537)의 구성체 용기들(1,3,4,2)의 정리정돈은 결합 부위의 크기가 같으면 상호 조합할 수 있고, 재질은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재료의 복합 접목 및 기타 가능한 재질을 사용하며, 원통형 외에도 여러 디자인에 기술의 요지를 접목 할 수 있으며, 용기의 임의적인 위치에 인쇄 혹은 부착물을 부착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용기의 적정량으로 위생적인 효율성과 형상의 다변화 모색 및 정서적인 활용이 통합된 병을 목적으로 고안된 미니어처 다형상 위생병(537)이다.
537 : 미니어처 다형상 위생병( 본 고안을 지칭함).
1(제1),3,4(제3),2(제2): 영역별 구성체용기임.
A : 병의 영역별 등분과 구성과정 및 상세 형태.
B : 제1 하부로 끼워맞춤 결합되는 과정.
C1 : 537병의 결합이 완료된 정면도.
C2 : 537병이 역방향 전환된 조합체의 예,.
25 : 수용공간, 21a: 1의 외부뚜껑.
28 : 1,3,4,2의 바닥면(2의크기 외는 동일 구성임).
20: 점자 표기 위치, 19a: 1의 평면도, 32 : 1의 입구.
27 : 돌출선을 구비한 1,3,4의 저면도, 26 : 2의 저면도.
31b : 3,4,2의 평면도, 29 : 상단평면, 31 : 3,4,2의 입구.
198 : 돌출선, 199 : 사선면, 32 : 1의 입구.
21c : 1,3,4,2의 날개뚜껑(크기 외는 동일 구성임).
제2의 21c: 1,3,4,2 날개뚜껑의 내부 형태를 상세 도시함.

Claims (10)

  1. 통형상의 구조로 되어 내부에 액상 및 비액상 물질을 담을 수 있도록 한 다수개의 구성체용기에 있어서,
    상부에 배치되고, 상단 중심부에 입구(32)와 날개뚜껑(21c) 및 점자 표기(20)된 외부뚜껑(21a)과 하단 내측 둘레에 끼워맞춤 결합할 수 있는 돌출선(198) 및 반타원형의 수용공간(25)을 구비한 통형상의 제1 구성체용기(1);
    중간부에 배치되고, 몸체의 상단평면(29)에 입구(31)와 날개뚜껑(21c) 및 상단 둘레에 내측 중심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사선면(199)과 하단 내측 둘레에 끼워맞춤 결합되는 돌출선(198) 구비 및 사선면 내측부터 수용공간(25)을 구비한 통형상의 제3 구성체용기(3,4);
    하부에 배치되고, 몸체의 상단평면(29)에 입구(31)와 날개뚜껑(21c) 및 상단과 하단 둘레에 양방향 동일한 사선면 형태를 내측 중심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상,하단의 사선면 사이에 수용공간(25)이 구비된 통형상의 제2 구성체 용기(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어처 다형상 위생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성체용기(2)는 상단과 하단 둘레가 양방향 동일한 사선면(199) 형태이므로, 제1 내지 제3 구성체용기의 하단 내부 돌출선(198)과 끼워맞춤 결합하여 순방향에서 역방향 회전과 역방향에서 부분 재회전 및 다형상의 조합으로 방향전환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어처 다형상 위생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 결합은 제1 및 제3 구성체용기의 하단 내부 둘레의 돌출선(198)과 제3 및 제2 구성체용기 상단 및 하단 둘레의 사선면(199)이 대응하여, 유격과 고정력 및 탄성력을 활용하여 끼워맞춤 결합으로 착탈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어처 다형상 위생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뚜껑(21c)은 제1 내지 제3 구성체용기의 입구를 개폐하는 속뚜껑 평면에 속뚜껑보다 넓은 평면의 날개갓을 부착고정하여, 날개갓 가장자리가 구성체용기의 상단평면(29) 또는 입구와 이웃하는 곳에 부착 또는 용융되어 입구의 밀폐와 밀봉을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어처 다형상 위생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구성체용기(1,3,4,2)는 통합된 단일 유형으로 고정되지 않고, 필요에 의해 이동하여 유동적인 역방향과 순방향 및 다형상의 조합으로 가감되며, 용기를 택일하여 내용물을 역방향 보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어처 다형상 위생병.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체용기(1)의 외부뚜껑(21a)에 내용물의 정보를 점자표기(20)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어처 다형상 위생병.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57624A 2015-04-24 2015-04-24 미니어처 다형상 위생병 KR101710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624A KR101710262B1 (ko) 2015-04-24 2015-04-24 미니어처 다형상 위생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624A KR101710262B1 (ko) 2015-04-24 2015-04-24 미니어처 다형상 위생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506A KR20160126506A (ko) 2016-11-02
KR101710262B1 true KR101710262B1 (ko) 2017-03-08

Family

ID=57518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7624A KR101710262B1 (ko) 2015-04-24 2015-04-24 미니어처 다형상 위생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026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016Y1 (ko) * 2004-05-07 2004-07-21 한정희 다단 적층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978U (ko) * 2008-11-05 2010-05-13 김영일 분리형 음료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016Y1 (ko) * 2004-05-07 2004-07-21 한정희 다단 적층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506A (ko) 201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41684B (zh) 具有多位置选择器的液体分配容器
KR101317556B1 (ko)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
US5462185A (en) Dispensing closure for fluid containers
US11203468B2 (en) Pouring spout of container
WO1999037190A1 (en) Bottle convertible into drinking utensil
DE60109488T2 (de) Entlüftungsöffnung mit luftdurchlässiger zwischenlage
WO2015133855A1 (ko)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
US20070113920A1 (en) Measuring bottle cap
RU2151090C1 (ru) Колпачок для укупорки сосуда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в качестве элемента строительного конструктора
WO2006087740A1 (en) Push-pull cap for bottles
KR101710262B1 (ko) 미니어처 다형상 위생병
DE60025211T2 (de) Behälter und ausgussventil
CN201610231U (zh) 一种瓶
JP2011512174A (ja) 流体容器
JP2007161298A (ja) 容器ユニット
CA3204469A1 (en) A drinks container
US20150375901A1 (en) Reusable, eco-friendly container for storing and dispensing food and beverage
KR20080000223U (ko) 티 캡
CN201791085U (zh) 用于药瓶的封盖
CN214566889U (zh) 一种可组合拼接的饮料水瓶
KR100558748B1 (ko) 착탈형 컵을 갖는 플라스틱 음료병
CN211002465U (zh) 饮用水容器
GB2389835A (en) Travelling flask for a baby
CN210708306U (zh) 液体容器结构
JP6606795B1 (ja) 飲料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