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133855A1 -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 - Google Patents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133855A1
WO2015133855A1 PCT/KR2015/002169 KR2015002169W WO2015133855A1 WO 2015133855 A1 WO2015133855 A1 WO 2015133855A1 KR 2015002169 W KR2015002169 W KR 2015002169W WO 2015133855 A1 WO2015133855 A1 WO 201513385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quid
solid
sealing
receiv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216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재구
Original Assignee
최재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구 filed Critical 최재구
Publication of WO201513385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13385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5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7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the element being a lid or cover seated on a passage between the auxiliary container and the main containe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ainer in which a liquid beverage and a solid dosage agent are stored in the beverage container so as to be separated, and the beverage and the dosage agent can be motivated to drink at the time of drinking.
  • Tea and beverages are sold and used in certain shaped beverage containers.
  • the beverage container contains a liquid beverage or tea drinkable, the cap is opened to drink.
  •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0-6405 discloses a technique for a container cap and a container including the same.
  •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2010-6405 discloses a container cap having a double screw cap and containing a solid dose in the container cap, and opening the container cap with a liquid beverage inside the container. Disclosed is a container cap and a container which can be mixed with a beverage and drinkable in a state in which a dose and a beverage are mixed.
  •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0-6405 has been improved to drink a dose and a drink at the same time, but it is generally not desirable to drink a mixture of a dose and a drink. If you drink it mixed with a drink can be unpleasant or disgusting.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17556 proposed by the present applicant proposes a new type of container that does not exist in the past so that the liquid beverage and the solid adjuvant can be stor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in one container, and can be eaten together when drinking.
  • the structure of the cap except for the outer lid is composed of a solid auxiliary container, a sealing body and an auxiliary cap,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way to reduce the components to increase the production efficiency and lower the unit price .
  • Patent Document 1 JP JP 2010-6405A (2010.01.14)
  • Patent Document 2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10-1317556 (2013.10.04)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verage container that can be stored separately in a beverage container of the liquid beverage and solid dosage, and can be taken simultaneously when drinking.
  • the present applicant proposes to improve the patent registr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10-1317556 to receive a drink to reduce the components to increase the production efficiency and lower the production cost.
  • a container capable of separately storing and simultaneously drinking a liquid and a solid may include: a liquid container containing a liquid beverage and a thread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a tip end thereof; An outer wall screwed to an upper end of the liquid container, and a lid in which a sealing cylindrical tube formed in a cylindrical tube shape is formed at an inner center to seal the receiving plate body in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late body; An outer frame having a receiving plate body on which the solid agent is placed, an outer frame having a fitting portion fitted to the front end of the liquid container, and a space connecting the receiving plate body and the outer frame to b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form a space through which the liquid can pass. It comprises a; a solid container in which a bridge is formed.
  • a sealing groove (or a seal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late body, and a sealing protrusion (or a sealing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aling cylinder tube to be coupled with the sealing groove (or the sealing protrusion).
  • a sealing protrusion or a sealing groove
  • a sealing jaw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ridge, a sealing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receiving plate body and the sealing jaw, and the tip end of the sealing cylinder tube is fitted into the sealing groove to further increase the sealing effect.
  • the liquid beverage and the solid dosage agent can be stored separately in one beverage container, and when taking the dosage agent and the drink, the double cap is opened by only one time and the dosage agent is in this state. And beverages can be taken at the same time, reducing the components to increase production efficiency and lower production cost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capable of separate storage and simultaneous drinking of a liquid and a so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capable of separate storage and simultaneous drinking of a liquid and a so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tainer capable of separate storage and simultaneous drinking of a liquid and a so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closed state and an open state of a container capable of separately storing and simultaneously drinking liquid and solid ag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capable of separate storage and simultaneous drinking of a liquid and a so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capable of separate storage and simultaneous drinking of a liquid and a so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tainer capable of separate storage and simultaneous drinking of a liquid and a so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ainer 10 capable of separate storage and simultaneous drinking of liquid and so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quid container 11, a lid 12 and a solid container 13 Is done.
  • the liquid container 11 is a container in which a liquid beverage can be placed in a general plastic, pulp (paper), glass or metal material.
  • 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pening 11a of the liquid container 11 to be coupled to the lid 12, and an interpolation groove 11c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11a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lid 12 serves as a cover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everage container 11, and is responsibl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everage container 11 and opening and closing of the solid container 13.
  • the solid container 13 is made of a soft plastic material, and is inserted into a forced fitting method or a thread fitting method on the opening side of the liquid container 11, and a solid material is placed therein.
  • outer lid 14 shown may be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lid 12 as needed and may cover the container only with the lid 12 itself without the outer lid 14.
  • the lid 12 may be coupled to the liquid container 11 by having an outer wall 21 having a thread 21a on its inner side that may be coupled to a thread formed on the upper opening side of the liquid container 11.
  • a cylindrical tube-shaped sealing cylindrical tube 23 coupled with the receiving plate body 25 for accommodating and sealing a solid agent is forme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and the sealing cylindrical tube ( 23 is introduced into the solid container 13 and self-locked in the sealing groove 22 formed by the receiving plate body 25 and the sealing jaw 26a to prevent the liquid phase from penetrating into the receiving plate body 25.
  • the solid container 13 is formed with a receiving plate 25 for containing or placing a soli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ceiving plate 25 is formed with at least one bridge 26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y the bridge 26
  • the outer frame 27 connected to the receiving plate body 25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fitting portion 27a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at the tip end of the outer frame 27.
  • a sealing groove (or a sealing protrusion 25a) may be formed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receiving plate body 25, and at this time, an inner wall of the sealing cylindrical tube 23 may correspond to the sealing groove (or the sealing protrusion 25a).
  • a sealing protrusion (or sealing groove 23a) may be formed at the position, which may further enhance the sealing or sealing effect between the liquid container 11 and the solid container 13.
  • the receiving plate body 25 is a member containing or placing a solid, the shape of the bowl, dish or cup form, etc. does not matter.
  • the receiving plate body 25 may be formed in a horizontal plane, and may have a concave portion formed in a concave shape at the center thereof, and may have a convex surface so that the solid agent can be easily drawn out.
  • the bridge 26 allows the outer frame 27 and the receiving plate 25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forms a space 28 between the bridges 26 so that the liquid beverage contained in the liquid container 11 is discharged. .
  • the liquid beverage is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plate body 25 through the bridge 26, the liquid beverage with the solid containe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let.
  • the liquid drink is not limited to the general fruit drink, fruit flavor drink, health functional drink, health supplement drink, etc., solid foods such as vitamins, health supplements, food in the form of capsules and foods that can be ingested with water or beverages Or drugs.
  • the container 10 of such a structure is a liquid drink is contained in the liquid container 11, and the solid container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solid agent is contained in the container 13 to cover and close the lid 12.
  • the lid 12 is opened in this state, both the liquid container 11 and the solid container 13 are placed in an open state, and when a person takes the liquid, the liquid container 11 and the solid container 13 can be ingested at the same time. do.
  • FIG.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closed state and an open state of a container capable of separately storing and simultaneously drinking liquid and solid ag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ainer 10 is fastened by screwing the liquid container 11 and the lid 12, and the solid container 13 is disposed in the upper container opening 11a of the liquid container 11. ) Is inserted.
  • the thread 21a of the outer wall 21 of the lid 12 is fitted while being screwed with the thread 11b of the liquid container 11.
  • the container interpolation groove 24 formed inside the lid 12 is coupled to the fitting portion 27a.
  • the solid container 13 is coupled to the lid 12 while sealing the opening side of the receiving plate body 25 of the solid container 13 by the sealing cylindrical tube 23 and at the same time a container shape for accommodating the solid material. It will have a, the opening of the liquid container 11 is screwed with the lid 12 is also the liquid container 11 is also sealed.
  • the liquid container 11 is opened by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lid 12, and at the same time, the sealing cylinder tube 23 is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plate 25 of the solid container 13 to open the solid container 13. They will be in a state where they can take both liquid drinks and solid supplements at the same time.
  • (A) is an enlarged view in a state where the liquid container 11 and the lid 12 are coupled
  • (B) is an enlarged view in a state where the lid 12 is separated from the liquid container 11 and opened.
  • the liquid container 11 and the lid 12 are the thread 11b and the lid 12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pening 11a with the solid container 13 positioned therein. It is fastened by screwing of the screw thread 21a formed in the inner side of the.
  • the solid container 13 is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solid container 13 is engaged with the interpolation groove 11c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liquid container 11 by the fitting portion 27a of the upper end, and the receiving plate body of the solid container 13 ( 25 is sealed or sealed to the sealing cylinder tube 23, the sealing cylinder tube 23 is coupled to the sealing groove 22 formed by the receiving plate 25 and the sealing jaw (26a).
  • sealing groove (or sealing projection, 25a) of the receiving plate body 25 and the sealing projection (or sealing groove, 23a) of the sealing cylindrical tube 23 are coupled to each other.
  • the liquid beverage is filled in the liquid container 11, and the solid auxiliary agent is placed in the solid container 13, and the liquid container 11 is in a state before taking (or opening).
  • the sealing structure of the 12 and the solid container 13 is separated and stored in a state where the liquid beverage and the solid agent cannot be mixed with each other.
  • the lid 12 when the screw 12 is disassembled by disassembling the screw 12 to separate the lid 12 from the liquid container 11, the lid 12 is separated from the liquid container 11 while the opening 11a of the liquid container 11 is removed. Is opened, and at the same time, the sealing cylindrical tube 23 of the lid 12 is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plate body 25 of the solid container 13, and 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plate body 25 is also opened. That is, the liquid beverage in the liquid container 11 and the solid auxiliary agent in the solid container 13 can be taken.
  • the liquid beverage can be discharged (a) through the spaces 28 formed by the bridges 26, and the solid auxiliary agent can come out from the receiving plate body 25 (b).
  • the contain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ainer for drinking a liquid beverage and a solid adjuvant together, and can realize sealing, opening and closing and simultaneous drinking with two configurations of the lid 12 and the solid container 13. have.
  • sealing cylinder pipe 23a sealing projection (or sealing groo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 용기 내에 액상의 음료와 고체의 복용제가 분리되도록 저장되고 음용시 음료와 복용제를 동기에 음용이 가능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는, 액상음료를 수용하고 선단부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액상 용기와; 상기 액상 용기 상단에 나사 결합되는 외측벽과, 수용판체의 외측면과 접하여 상기 수용판체를 실링하도록 내측 중심에 원통관 형태로 형성되는 밀봉원통관이 형성되는 뚜껑과; 고체제가 놓이는 수용판체와, 상기 액상 용기의 선단부에 끼워지는 끼움부를 갖는 외곽틀과, 상기 수용판체와 외곽틀을 서로 연결하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액상이 통과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브릿지가 형성되는 고체제 용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
본 발명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 용기 내에 액상의 음료와 고체의 복용제가 분리되도록 저장되고 음용시 음료와 복용제를 동기에 음용이 가능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차나 음료는 일정한 형상의 음료 용기에 담겨져 판매되고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음료 용기에는 마실 수 있는 액상의 음료나 차가 들어있고, 캡을 개봉하여 음용하게 된다.
하지만, 건강보조식품이나 비타민제와 같은 복용제를 먹을 때 음료(이 경우는 건강보조음료)와 같이 마시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러한 것을 고려하여 일본국 특개 2010-6405에는 용기캡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 2010-6405에는 용기캡을 이중 나사캡으로 형성하고 용기캡 내부에 고체의 복용제를 수용하고, 용기 내부에는 액상의 음료를 수용한 상태에서 용기캡을 열면 고체의 복용제가 용기 내부의 음료와 섞여 복용제와 음료가 혼합된 상태에서 음용이 가능한 용기캡 및 용기가 개시된다.
하지만, 일본국 특개 2010-6405는 복용제와 음료를 동시에 음용할 수 있도록 개선은 되었지만, 일반적으로 복용제와 음료가 섞인 상태에서 음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며 특히 복용제가 알약 형태로 되어 있는 건강보조제인 경우 이를 음료와 섞인 상태에서 마시는 것은 불쾌하거나 역겨울 수 있는 부분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17556의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를 제안하여 특허등록을 받은 바 있다.
본 출원인이 제안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17556는 액상의 음료와 고체 보조제를 하나의 용기 내에서 서로 분리 저장하도록 하고, 음용시에는 함께 먹을 수 있도록 한 기존에 없던 새로운 방식의 용기를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17556는 외부 뚜껑을 제외한 캡의 구조가 고체보조제 용기, 밀봉체 및 보조캡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구성요소를 줄여 생산 효율을 높이고 단가를 낮출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될 필요성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1) JP 특개 2010-6405A(2010.01.14)
(특허문헌2)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17556(2013.10.04)
본 발명의 목적은 액상의 음료와 고체의 복용제를 하나의 음료 용기내에 분리 보관할 수 있고, 음용시에는 동시 복용이 가능한 음료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출원인이 제안하여 특허등록을 받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17556를 개선하여 구성요소를 줄여 생산 효율을 높이고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음료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본 발명에 따른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는, 액상음료를 수용하고 선단부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액상 용기와; 상기 액상 용기 상단에 나사 결합되는 외측벽과, 수용판체의 외측면과 접하여 상기 수용판체를 실링하도록 내측 중심에 원통관 형태로 형성되는 밀봉원통관이 형성되는 뚜껑과; 고체제가 놓이는 수용판체와, 상기 액상 용기의 선단부에 끼워지는 끼움부를 갖는 외곽틀과, 상기 수용판체와 외곽틀을 서로 연결하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액상이 통과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브릿지가 형성되는 고체제 용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수용판체의 외측면으로는 실링홈(또는 실링돌기)이 형성되고, 상기 밀봉원통관의 내측면으로는 상기 실링홈(또는 실링돌기)과 결합되는 실링돌기(또는 실링홈)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브릿지의 하단부에는 실링턱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판체와 상기 실링턱 사이에는 실링홈이 형성되며, 상기 밀봉원통관의 선단부는 상기 실링홈에 끼워지는 것이 실링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액상의 음료와 고체의 복용제를 하나의 음료 용기내에 분리 보관할 수 있고, 복용제와 음료를 복용시 이중 캡을 단 1회에 의해 개봉하고 이 상태에서 복용제와 음료를 동시에 복용할 수 있으며, 구성요소를 줄여 생산 효율을 높이고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의 밀폐 상태와 개구 상태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저장 및 음용이 가능한 용기의 구조 및 작용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10)는 액상 용기(11), 뚜껑(12) 및 고체제 용기(13)로 이루어진다.
액상 용기(11)는 일반적인 플라스틱, 펄프(종이), 유리 또는 금속재 등으로 내부에 액상 음료를 담아둘 수 있는 용기이다.
액상 용기(11)의 개구부(11a)의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뚜껑(12)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개구부(11a)의 상단부에는 원주방향으로 내삽홈(11c)이 형성된다.
뚜껑(12)은 음료 용기(11)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커버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음료 용기(11)의 개폐 및 고체제 용기(13)의 개폐를 담당한다.
고체제 용기(13)는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액상 용기(11)의 개구부 측에 강제 끼움 방식 또는 나사산 끼움방식으로 끼워지며, 내부에 고체제가 놓여진다.
또한, 필요에 따라 도시된 외부 뚜껑(14)이 뚜껑(12)의 외측으로 끼워질 수도 있고 외부 뚜껑(14) 없이 뚜껑(12) 자체로만 용기를 커버할 수도 있다.
뚜껑(12)은 액상 용기(11)의 상단 개구부 측에 형성된 나사산에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21a)을 내측면에 갖는 외측벽(21)을 가져 액상 용기(11)와 결합될 수 있다.
뚜껑(12)의 내측 중심으로는 고체제를 수용하고 밀봉하기 위해 수용판체(25)와 결합되는 원통관 형상의 밀봉원통관(23)이 상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하방향으로 형성되고, 밀봉원통관(23)은 고체제 용기(13) 내측으로 인입되어 수용판체(25)와 실링턱(26a)이 형성하는 실링홈(22)에 셀프락킹되어 수용판체(25)로 액상이 침투되는 것을 막는다.
고체제 용기(13)는 고체제를 담거나 놓여지는 수용판체(25)가 형성되며, 수용판체(25) 외주면으로는 브릿지(26)가 하나 이상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브릿지(26)에 의해 수용판체(25)와 연결되는 외곽틀(27)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외곽틀(27)의 선단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끼움부(27a)가 형성된다.
또한, 수용판체(25)의 내측면으로는 실링홈(또는 실링돌기, 25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밀봉원통관(23)의 내측벽에는 실링홈(또는 실링돌기, 25a)과 대응되는 위치에 실링돌기(또는 실링홈, 23a)가 형성될 수 있고, 이는 액상 용기(11)와 고체제 용기(13)간의 밀폐 또는 실링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수용판체(25)는 고체제를 담거나 놓여지는 부재로서 그릇형태, 접시형태 또는 컵 형태 등 그 형상은 문제되지 않는다.
수용판체(25)는 그 면이 수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중심부에 오목한 형태로 오목부가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고체제가 잘 나올 수 있도록 볼록한 면을 가질 수도 있다.
브릿지(26)는 외곽틀(27)과 수용판체(25)가 서로 연결되도록 함과 동시에 브릿지(26)들 사이에 공간(28)들을 형성시켜 액상 용기(11)에 담겨진 액상음료가 토출되도록 한다.
음용시, 브릿지(26)를 통해 액상음료는 수용판체(25) 측으로 인입되어 고체 용기와 함께 액상음료가 출구로 토출될 수 있다.
여기서, 액상음료는 일반 과일음료, 과일맛음료, 건강기능음료, 건강보조음료 등 그 제한이 없으며, 고체제는 비타민, 건강기능보조제, 캡슐형태의 식품 등 물이나 음료와 같이 섭취할 수 있는 식품이나 약품 등이 이에 해당된다.
이러한 구조의 용기(10)는 액상 용기(11) 내에 액상음료가 담기고, 고체제 용기(13) 내에 고체제가 담긴 상태에서 서로 섞이지 않도록 분리되어 뚜껑(12)을 덮어 밀폐된다. 이 상태에서 뚜껑(12)을 열면 이와 함께 액상 용기(11) 및 고체제 용기(13) 모두가 개구된 상태에 놓이고 이를 사람이 복용하면 고체제와 액상음료를 동시에 섭취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의 밀폐 상태와 개구 상태의 확대 단면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용기(10)는 액상 용기(11)와 뚜껑(12)의 나사 결합에 의해 체결되며, 액상 용기(11)의 상단측 용기 개구부(11a)에는 고체제 용기(13)가 끼워진다.
뚜껑(12)의 외측벽(21)의 나사산(21a)은 액상 용기(11)의 나사산(11b)과 나사결합되면서 끼워지게 된다.
뚜껑(12)의 내측에 형성된 용기 내삽홈(24)은 끼움부(27a)에 결합된다.
뚜껑(12)에 고체제 용기(13)가 결합되면서 밀봉원통관(23)에 의해 고체제 용기(13)의 수용판체(25)의 개구측을 밀봉시킴과 동시에 고체제를 수용하기 위한 컨테이너 형태를 가지게 되고, 액상 용기(11)의 개구부가 뚜껑(12)과 나사 결합되어 액상 용기(11) 또한 실링된다.
뚜껑(12)의 열리는 동작에 의해 액상 용기(11)가 개봉되고, 동시에 밀봉원통관(23)이 고체제 용기(13)의 수용판체(25)로부터 분리되어 고체제 용기(13)가 개봉되며, 액상 음료와 고체보조제를 동시에 복용할 수 있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용기의 결합구조를 더 상세히 볼 수 있게 된다.
(A)는 액상 용기(11)와 뚜껑(12)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확대도이고, (B)는 뚜껑(12)이 액상 용기(11)로부터 분리되어 개봉된 상태에서의 확대도이다.
먼저 (A)를 참조하면, 액상 용기(11)와 뚜껑(12)은 고체제 용기(13)를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개구부(11a)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11b)과 뚜껑(12)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산(21a)의 나사 결합에 의해 체결된다.
이때, 고체제 용기(13)는 상단부의 끼움부(27a)에 의해 액상 용기(11)의 상단부에 형성된 내삽홈(11c)과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고체제 용기(13)의 수용판체(25)는 밀봉원통관(23)에 밀봉 내지 실링되고, 밀봉원통관(23)은 수용판체(25)와 실링턱(26a)이 형성하는 실링홈(22)에 결합된다.
여기서, 수용판체(25)의 실링홈(또는 실링돌기, 25a)과 밀봉원통관(23)의 실링돌기(또는 실링홈, 23a)가 서로 대응되면서 결합된다.
(A)와 같은 상태에서는 액상 용기(11) 내에 액상음료가 채워진 상태이고, 고체제 용기(13) 내에는 고체 보조제가 넣어진 상태로서 복용전(또는 개봉전)의 상태가 되며, 이때에는 뚜껑(12)과 고체제 용기(13)의 실링 구조에 의해 액상음료와 고체제가 서로 혼합될 수 없는 상태로 분리 및 저장된다.
(A)와 같은 상태에서, 복용을 위해 뚜껑(12)을 돌리게 되면 (B)와 같이 바뀌게 된다.
(B)를 참조하면, 뚜껑(12)을 액상 용기(11)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나사결합을 돌려 해체하면 뚜껑(12)은 액상 용기(11)로부터 분리되면서 액상 용기(11)의 개구부(11a)가 개봉되고, 동시에 뚜껑(12)의 밀봉원통관(23)이 고체제 용기(13)의 수용판체(25)로부터 분리되면서 수용판체(25)의 상단부도 개봉되는 상태가 된다. 즉, 액상 용기(11) 내의 액상음료와 고체제 용기(13) 내의 고체 보조제를 복용할 수 있는 상태에 놓인다.
이 상태에서 용기(10)를 입에 대고 기울이게 되면, 액상음료가 브릿지(26)를 통해 수용판체(25) 내측으로 인입되고, 액상음료와 고체 보조제가 함께 입안으로 투입되면서 한꺼번에 복용이 가능하게 된다.
액상음료는 브릿지(26)들이 형성하고 있는 공간(28)들을 통해 토출(ⓐ)될 수 있고, 고체 보조제는 수용판체(25)로부터 밖으로 나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용기(10)는 액상음료와 고체 보조제를 함께 음용하기 위한 용기로서, 뚜껑(12)과 고체제 용기(13)의 2가지 구성으로 실링, 개폐 및 동시 음용을 구현할 수 있다.
종래의 본 출원인의 특허 10-1317556는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이를 구현하기 위해 고체보조제 용기, 밀봉체 및 보조캡의 3가지 구성으로 실링, 개폐 및 동시 음용을 구현할 수 있는 것에 비해 본 발명은 동일한 기능을 구현하면서 구성요소(부품)를 줄여 생산 공정을 효율화하고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부호의 설명]
10 : 용기 11 : 액상 용기
11a : 개구부 11b : 나사산
11c : 내삽홈 12 : 뚜껑
13 : 고체제 용기 21 : 외측벽
21a : 나사산 22 : 실링홈
23 : 밀봉원통관 23a : 실링돌기(또는 실링홈)
24 : 용기 내삽홈 25 : 수용판체
25a : 실링홈(또는 실링돌기) 26 : 브릿지
27 : 외곽틀 27a : 끼움부
28 : 공간

Claims (3)

  1. 액상음료를 수용하고 선단부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액상 용기와;
    상기 액상 용기 상단에 나사 결합되는 외측벽과, 수용판체의 외측면과 접하여 상기 수용판체를 실링하도록 내측 중심에 원통관 형태로 형성되는 밀봉원통관이 형성되는 뚜껑과;
    고체제가 놓이는 수용판체와, 상기 액상 용기의 선단부에 끼워지는 끼움부를 갖는 외곽틀과, 상기 수용판체와 외곽틀을 서로 연결하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액상이 통과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브릿지가 형성되는 고체제 용기;를 포함하는,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판체의 외측면으로는 실링홈(또는 실링돌기)이 형성되고,
    상기 밀봉원통관의 내측면으로는 상기 실링홈(또는 실링돌기)과 결합되는 실링돌기(또는 실링홈)가 형성되는,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의 하단부에는 실링턱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판체와 상기 실링턱 사이에는 실링홈이 형성되며,
    상기 밀봉원통관의 선단부는 상기 실링홈에 끼워지는,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
PCT/KR2015/002169 2014-03-07 2015-03-06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 WO201513385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227 2014-03-07
KR1020140027227A KR101916400B1 (ko) 2014-03-07 2014-03-07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33855A1 true WO2015133855A1 (ko) 2015-09-11

Family

ID=54055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2169 WO2015133855A1 (ko) 2014-03-07 2015-03-06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16400B1 (ko)
WO (1) WO201513385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0732A1 (ko) * 2020-05-15 2021-11-18 안진희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667B1 (ko) 2020-03-26 2020-08-31 한국콜마주식회사 내용물 용기
WO2022149679A1 (ko) * 2021-01-05 2022-07-14 제이씨텍(주) 마개 및 이를 구비한 용기
KR102616898B1 (ko) * 2021-01-05 2023-12-22 제이씨텍(주) 이중 차단막을 구비한 마개 및 이를 구비한 용기
KR102548724B1 (ko) 2021-04-27 2023-06-29 주식회사 드림시스얼 기능성 보충제가 수용된 음료용기
KR20230137084A (ko) 2022-03-21 2023-10-04 주식회사 드림시스얼 기능성 보충제가 수용된 뚜껑을 구비한 음료용기
KR102589547B1 (ko) * 2022-08-19 2023-10-16 주식회사 테오코퍼레이션 다기능 음료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9397A (ko) * 2003-12-31 2005-07-05 조영국 용기마개
KR20090110695A (ko) * 2008-04-18 2009-10-22 안인재 혼합원료 캡슐이 구비된 음료용기
KR20120119552A (ko) * 2011-04-21 2012-10-31 이정민 회전형 작동부내에서 용기목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수용부세트를 갖는 병뚜껑
KR101295505B1 (ko) * 2012-08-20 2013-08-09 이영재 저면가스켓을 이용하여 첨가제를 수용 및 배출하는 용기마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9397A (ko) * 2003-12-31 2005-07-05 조영국 용기마개
KR20090110695A (ko) * 2008-04-18 2009-10-22 안인재 혼합원료 캡슐이 구비된 음료용기
KR20120119552A (ko) * 2011-04-21 2012-10-31 이정민 회전형 작동부내에서 용기목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수용부세트를 갖는 병뚜껑
KR101295505B1 (ko) * 2012-08-20 2013-08-09 이영재 저면가스켓을 이용하여 첨가제를 수용 및 배출하는 용기마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0732A1 (ko) * 2020-05-15 2021-11-18 안진희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565A (ko) 2015-09-17
KR101916400B1 (ko) 2018-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33855A1 (ko)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
WO2018084367A1 (ko) 내열용기마개
US2008030280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dible substances with a beverage
KR101317556B1 (ko)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
CN102482008A (zh) 杯子和用于杯子的盖组件
WO2009128626A2 (ko) 혼합원료 캡슐이 구비된 음료용기
US20130032566A1 (en) Compound sports water bottle
KR20050029204A (ko) 액체 영양 보충제를 계량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4142445A1 (ko) 2액형 음료용기
KR101503798B1 (ko)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
WO2017204381A1 (ko) 카트리지 펌프
CN110325450A (zh) 饮料瓶的分配装置
WO2014030806A1 (ko) 음료용 컵 뚜껑 및 음료용 컵
WO2015020365A1 (ko)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
JP3226268U (ja) ボトル
WO2001042101A1 (en) Bottle cap
KR101694903B1 (ko) 일렬로 결합된 기능성 페트병
KR19980065677U (ko) 수납공간을 갖는 병마개
WO2017122938A1 (ko) 분말, 곡물과 같은 식품류 사용 편의성을 갖춘 트위스트캡 보관용기
WO2008151522A1 (fr) Contenant de mélange automatique à chambre intérieure séparable sous pression
CN217146980U (zh) 一种能安装于容器口的冷泡茶装置
CN203593281U (zh) 双腔饮料瓶
WO2018026058A1 (ko) 차거름망이 결합된 마개
CN214317693U (zh) 一种医用饮水杯
CN204056666U (zh) 一种可内部自动冲泡粉剂的一次性包装盖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75834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75834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