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9547B1 - 다기능 음료 용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음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9547B1
KR102589547B1 KR1020220103905A KR20220103905A KR102589547B1 KR 102589547 B1 KR102589547 B1 KR 102589547B1 KR 1020220103905 A KR1020220103905 A KR 1020220103905A KR 20220103905 A KR20220103905 A KR 20220103905A KR 102589547 B1 KR102589547 B1 KR 102589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spout
gap
main body
beve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3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경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오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오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오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20103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5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65D81/3211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coaxially and provided with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2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3개 이상의 내용물을 서로 분리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으며, 특히, 액상의 내용물에 분리되어 보관되던 고상의 내용물을 바로 용해시켜 음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다기능 음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음료 용기는, 음료를 수용하는 제1 공간을 가지고, 상단 중앙이 개구된 구조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된 상단 중앙에 상측으로 결합되어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제2 공간을 형성하는 주둥이부; 상기 본체와 주둥이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2 공간과 제1 공간을 연통시키거나 차단하는 공간 단속부; 상기 주둥이부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주둥이부의 개방된 상단을 차단하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음료 용기{THE MULTI FUNCTIONAL BEVERAGE CONTAINER}
본 발명은 다기능 음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3개 이상의 내용물을 서로 분리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으며, 특히, 액상의 내용물에 분리되어 보관되던 고상의 내용물을 바로 용해시켜 음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다기능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우리의 식생활은 인스턴트 식품과 가공 식품의 이용도가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영양 불균형 현상과 성인병 및 비만의 문제가 초래되었으며, 이는 개인을 넘어 국민건강을 위협하는 문제로 확대되어가고 있다.
그런데, 동물성 식품류의 섭취는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들에게는 반드시 공급되어야 하는 식품이기에 무조건 나쁘다고 할 수만은 없고, 균형잡힌 영양식단을 편성함이 가장 올바른 방안이라 보여지는데, 적당한 영양균형과 과다 동물성 식품류 섭취로 발생할 수 있는 건강에 대한 문제점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균형식이 권장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균형잡힌 영양식단을 위해 면역기능의 증진과 필수영양소 공급을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다양한 비타민제제도 그 한가지로 사용자에게 매우 권장되고 있다.
종래의 비타민제제는 분말 형태이거나, 혹은 일반적인 정제 형태이기 때문에, 남녀노소 모두 섭취하기에는 한계가 있는데, 분말의 경우 정량 섭취가 어렵고, 정제의 경우 목넘김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비타민 성분(예를 들면, 비타민 C 등)을 쉽게 섭취할 수 있는 발포성 비타민제제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발포성 비타민제제를 휴대하기가 불편하고, 이를 물에 용해시켜 음용하기 위하여 별도의 음료 용기를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도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서로 다른 3개 이상의 내용물을 서로 분리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으며, 특히, 액상의 내용물에 분리되어 보관되던 고상의 내용물을 바로 용해시켜 음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다기능 음료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음료 용기는, 음료를 수용하는 제1 공간을 가지고, 상단 중앙이 개구된 구조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된 상단 중앙에 상측으로 결합되어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제2 공간을 형성하는 주둥이부; 상기 본체와 주둥이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2 공간과 제1 공간을 연통시키거나 차단하는 공간 단속부; 상기 주둥이부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주둥이부의 개방된 상단을 차단하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공간 단속부는, 상기 본체와 주둥이부 사이에 형성되며, 다수개의 빗살형 틈이 형성되는 틈 형성부; 상기 주둥이부 내측에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틈 형성부의 다수개의 빗살형 틈을 차단하거나 연통시키는 틈 단속구; 상기 주둥이부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틈 단속구를 일정 각도 회전시켜 상기 틈 형성부를 단속하는 단속구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주둥이부의 외주면에 나사결합하는 나사면 형성부; 상기 나사면 형성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면이 개방된 제3 공간을 형성하는 제3 공간 형성부; 상기 제3 공간 형성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3 공간의 개방된 상면을 단속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3 공간 형성부는 상기 제2 공간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음료 용기에는, 상기 제3 공간 형성부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나사면 형성부와 주둥이부를 외측에서 감싸는 외측 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다기능 음료 용기에 의하면 서로 다른 3개 이상의 내용물을 서로 분리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으며, 특히, 액상의 내용물에 분리되어 보관되던 고상의 내용물을 바로 용해시켜 사용자가 손으로 접촉하지 않고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음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음료 용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음료 용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동이부와 공간 단속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동이부와 공간 단속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틈 단속구 및 단속구 회전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음료 용기에 내용물이 채워진 상태를 도시하는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음료 용기(100)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 주둥이부(120), 공간 단속부(130) 및 커버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본체(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음료 용기(100)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며, 음료를 수용하는 제1 공간(101)을 가지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본체(110)는 내부 공간이 빈 원통형 또는 다각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상단 중앙은 개구된 구조를 가진다. 이렇게 개구된 부분으로 음료 등의 내용물을 반출입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주둥이부(120)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개구된 상단 중앙에서 상측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제2 공간(102)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주둥이부(120)는 상기 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음료 용기(100)에서 상기 본체(110) 내부로 음료 등의 내용물을 반출입하는 통로 즉, 주둥이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주둥이부(120)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이 상기 공간 단속부(130)에 의하여 제1 공간(101)과 분리되면서 제2 공간(102)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 제2 공간(102)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공간(101)에 채워지는 음료와 달리 고체 형상의 내용물(20) 등이 음료(10)와 분리되어 보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주둥이부(120)의 외주면에는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140)와 체결될 수 있는 나사면(1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공간 단속부(130)는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와 주둥이부(1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2 공간(102)과 제1 공간(101)을 연통시키거나 차단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공간 단속부(130)에 의하여 제2 공간(102)이 상기 제1 공간(101)과 분리되는 것이며, 필요시에는 상기 공간 단속부(130)가 상기 제1 공간(101)과 제2 공간(102)을 연통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간 단속부(130)를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틈 형성부(132), 틈 단속구(134) 및 단속구 회전부(136)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틈 형성부(132)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와 주둥이부(120) 사이를 차단하여 형성되며, 다수개의 빗살형 틈(131)이 형성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틈 형성부(132)는 상기 본체(110)와 동일한 재질로 상기 본체(110)와 주둥이부(120)의 경계면에 제1 공간(101)과 제2 공간(102)를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플레이트이다.
그리고 상기 틈 형성부(132)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틈 형성부(132)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다수개의 빗살형 틈(131)이 일정한 각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틈 단속구(134)는 도 2,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둥이부(120)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틈 형성부(132)의 다수개의 빗살형 틈(131)을 차단하거나 연통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틈 단속구(134)는 상기 틈 형성부(132)와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다수개의 빗살형 틈(132)을 차단하거나 연통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틈 단속구(134)에도 상기 틈 형성부(132)와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개수의 빗살형 틈(13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틈 단속구(134)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빗살형 틈(133) 사이의 간격은 상기 틈 형성부(132)에 형성되는 빗살형 틈(131)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상기 틈 단속구(134)는 상기 단속구 회전부(136)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틈 형성부(132)의 빗살형 틈(131)과 상기 틈 단속구(134)의 빗살형 틈(133)이 일치하는 위치가 되면, 제1 공간(101)과 제2 공간(102)을 연통시키고, 상기 틈 형성부(132)의 빗살형 틈(131)과 상기 틈 단속구(134)의 빗살형 틈(133)이 서로 엇갈리는 위치가 되면, 제1 공간(101)과 제2 공간(102)을 차단시키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단속구 회전부(136)는 도 2,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둥이부(120)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틈 단속구(134)를 일정 각도 회전시켜 상기 틈 형성부(132)를 단속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단속구 회전부(136)는 상기 틈 단속구(134)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틈 형성부(132)를 단속하는 것이며,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위하여 상기 주둥이부(120)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단속구 회전부(136)는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틈 단속구(134)와 연결하는 연결부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주둥이부(120)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주둥이부(120)와 상기 공간 단속부(130)는 상기 본체(110)의 상측에 나사결합되는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상기 본체(110) 내부의 세척에 유리하여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부(140)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둥이부(120)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주둥이부(120)의 개방된 상단을 차단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커버부(140)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음료 용기(100)에서 뚜껑 역할을 하는 것이며, 상기 주둥이부(120)에 결합하여 상기 주동이부(120)를 차단하면서 제3 공간(103)도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부(140)를 구체적으로 도 2,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면 형성부(142), 제3 공간 형성부(144) 및 덮개부(146)를 포함하여 형성한다. 먼저 상기 나사면 형성부(142)는 상기 주둥이부(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면(121)에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면이 내면에 형성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나사면 형성부(142)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을 가지며, 그 내면에 나사면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3 공간 형성부(144)는 구체적으로 도 2,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사면 형성부(142)의 상측 중앙에 형성되며, 상면이 개방된 제3 공간(103)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제3 공간 형성부(144)는 하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져서 상기 제2 공간(102)과 차단된 제3 공간(103)을 형성하며, 상기 커버부(140)에 상기 나사면 형성부(142)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3 공간(103)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공간(102)과 또 다른 종류의 내용물(30)들을 보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덮개부(146)는 상기 제3 공간 형성부(144)에 설치되며, 상기 제3 공간(103)의 개방된 상면을 단속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덮개부(146)는 상기 커버부(140)에 힌지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제3 공간 형성부(144)의 개방된 상면을 단속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음료 용기(100)에서 상기 커버부(140)에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커버(148)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측 커버(148)는 상기 제3 공간 형성부(146)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나사면 형성부(142)와 주둥이부(120)를 외측에서 감싸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상기 외측 커버(148)는 상기 본체(110)의 외측면과 일치하는 크기를 가지는 것이,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음료 용기
110 : 본체 120 : 주둥이부
130 : 공간 단속부 140 : 커버부

Claims (5)

  1. 음료를 수용하는 제1 공간을 가지고, 상단 중앙이 개구된 구조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된 상단 중앙에 상측으로 결합되어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제2 공간을 형성하는 주둥이부;
    상기 본체와 주둥이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2 공간과 제1 공간을 연통시키거나 차단하는 공간 단속부;
    상기 주둥이부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주둥이부의 개방된 상단을 차단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 단속부는,
    상기 본체와 주둥이부 사이에 형성되며, 다수개의 빗살형 틈이 형성되는 틈 형성부;
    상기 주둥이부 내측에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커버부가 상기 주둥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틈 형성부의 다수개의 빗살형 틈을 차단하거나 연통시키는 틈 단속구;
    상기 주둥이부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틈 단속구를 일정 각도 회전시켜 상기 틈 형성부를 단속하는 단속구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음료 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주둥이부의 외주면에 나사결합하는 나사면 형성부;
    상기 나사면 형성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면이 개방된 제3 공간을 형성하는 제3 공간 형성부;
    상기 제3 공간 형성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3 공간의 개방된 상면을 단속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음료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공간 형성부는,
    상기 제2 공간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음료 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공간 형성부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나사면 형성부와 주둥이부를 외측에서 감싸는 외측 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음료 용기.
KR1020220103905A 2022-08-19 2022-08-19 다기능 음료 용기 KR102589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905A KR102589547B1 (ko) 2022-08-19 2022-08-19 다기능 음료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905A KR102589547B1 (ko) 2022-08-19 2022-08-19 다기능 음료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9547B1 true KR102589547B1 (ko) 2023-10-16

Family

ID=88506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3905A KR102589547B1 (ko) 2022-08-19 2022-08-19 다기능 음료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54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957Y1 (ko) * 2001-06-08 2001-10-19 장태순 수용부가 구비된 용기용 뚜껑
JP2008120456A (ja) * 2006-10-03 2008-05-29 Donna Roth 飲料ボトルおよびこれを製造する方法
KR20150105565A (ko) * 2014-03-07 2015-09-17 최재구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957Y1 (ko) * 2001-06-08 2001-10-19 장태순 수용부가 구비된 용기용 뚜껑
JP2008120456A (ja) * 2006-10-03 2008-05-29 Donna Roth 飲料ボトルおよびこれを製造する方法
KR20150105565A (ko) * 2014-03-07 2015-09-17 최재구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8292Y1 (ko) 용기 내용물 이외에 별도의 복용제제를 포장할 수 있는포장병용 뚜껑
CN101801250B (zh) 盖子、尤其是饮料杯的盖子
US11377250B2 (e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US5673789A (en) Drinking cup package
US7851003B2 (en) Method of making a beverage using a beverage assembly
US10421595B2 (en) Multi-compartment snack storage and dispensing appliance
KR101916400B1 (ko)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
MX2014013905A (es) Desplazamiento ascendente del vaso de cereal.
KR101503798B1 (ko)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
TWM570062U (zh) Drink cup
KR102589547B1 (ko) 다기능 음료 용기
KR102126633B1 (ko) 대상물의 개별 내장 및 추출이 허용되는 선택 조절형 병 구조체
US10906696B1 (en) Edible supplement and liquid container assembly
KR200369670Y1 (ko) 액체 및 분말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WO2014111489A2 (en) Sports bottle
KR20140090827A (ko) 투약 타이머가 구비된 음료보관장치
US11434062B2 (e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CN115427320A (zh) 携带用食品收纳容器
US20190337704A1 (en) Compartmentalized vessel apparatu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20190003085U (ko) 테이크아웃용 컵 뚜껑
KR200446651Y1 (ko) 분리가능한 발열용기
KR101391783B1 (ko) 이중 컵
CN215133631U (zh) 泡奶器
WO2006021143A1 (fr) Conteneur à boissons multifonctionnel portatif
KR200300478Y1 (ko) 덮개를 형성한 숟가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