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1147A -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어셈블리 및 이의 밀봉부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어셈블리 및 이의 밀봉부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1147A
KR20140081147A KR1020120150565A KR20120150565A KR20140081147A KR 20140081147 A KR20140081147 A KR 20140081147A KR 1020120150565 A KR1020120150565 A KR 1020120150565A KR 20120150565 A KR20120150565 A KR 20120150565A KR 20140081147 A KR20140081147 A KR 20140081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ell
adhesive
metal plate
hole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0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호
김성한
윤종식
구본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0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1147A/ko
Priority to US13/831,623 priority patent/US20140178787A1/en
Priority to JP2013087295A priority patent/JP2014123542A/ja
Publication of KR20140081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11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01M8/0286Processes for forming se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01M8/028Sealing mean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04Processes or apparatus for grouping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1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solid or matrix-supported electrolytes
    • H01M8/2425High-temperature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243Grouping of unit cells of tubular or cylindrical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84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characterised by external manifo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84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characterised by external manifolds
    • H01M8/2485Arrangements for sealing external manifolds; Arrangements for mounting external manifolds around a sta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7Arrangements for tightening a stack, for accommodation of a stack in a tank or for assembling different tan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단위 전지와; 이 단위 전지에 연료와 공기를 비접촉상태로 제공하는 박스형상의 하우징; 연료와 공기의 접촉차단을 돕도록 하우징을 구획하는 플레이트 형상에 하나 이상의 관통구를 형성하고 있는 금속판; 및 단위 전지의 외주면과 금속판의 관통구 사이의 이격 틈새를 밀폐하는 밀봉부;를 구비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밀재와 접착재 및 실링재로 이루어진 밀봉부를 수단으로 단위전지와 금속판 사이에 신뢰할 수 있는 밀봉상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어셈블리 및 이의 밀봉부 형성방법 {Solid oxide fuel cell assembly and method for forming seal}
본 발명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어셈블리 및 이의 밀봉부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연료전지는 연료(수소, LNG, LPG 등)와 공기(산소)의 화학에너지를 전기화학반응을 통해 전기와 열로 직접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종래의 발전기술이 연료 연소, 증기 발생, 터빈 구동, 발전기 구동 등의 과정을 거치는 것과는 달리 연료전지는 연료 연소나 터빈 구동의 과정이 없으므로 효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환경문제를 유발하지 않는 새로운 개념의 발전 기술이다. 이러한 연료전지는 SOX와 NOX 등의 대기오염물질을 거의 배출하지 않고 이산화탄소의 발생도 적어 무공해 발전이 가능하며, 저소음, 무진동 등의 장점이 존재한다.
연료전지는 인산형 연료전지(PAFC), 알칼리형 연료전지(AFC),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PEMFC), 직접메탄올 연료전지(DMFC),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등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이 중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는 활성화 분극을 바탕으로 한 과전압이 낮고, 비가역적 손실이 적으므로 발전효율이 높다. 또한, 전극에서의 반응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전극 촉매로서 값비싼 귀금속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향후 수소 경제 사회로의 진입을 위해서 필수적인 발전기술이다.
이러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특징은 기존의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와 달리 탄소 또는 하이드로 카본계의 어떤 연료이든 모두 활용가능하기 때문에 연료 선택의 자유도가 높은 장점이 있으며, 수소(H2)가 연료로 사용되었을 때의 화학 반응식은 아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 연료극 반응(Anode reaction): H2(g) + O2 - → H2O(g) + 2e-
CO(g) + O2 - → CO2(g) + 2e-
- 공기극 반응(Cathode reaction): O2(g) + 4e- → 2O2 -
- 전체 반응(Overall reaction): O2 + H2 + CO → H2O + CO2
기존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어셈블리는 전술된 화학 반응을 기초로 하여 다수의 단위 전지를 직렬 및/또는 병렬방식으로 스택킹(stacking)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데, 이때 다수의 단위 전지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어셈블리 내에서 채용된 금속판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위치고정된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103422호(특허문헌 1)에서는 도전성을 갖는 금속판과 단위 전지를 접합하기 위해 용접 방식, 나사체결 방식, 끼움결합 고정방식 등 다양한 유형의 접합 방식을 개시하고 있는데, 통상적으로 금속판과 단위 전지 사이의 접합 부위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어셈블리의 구조상 고온의 발전 온도에 노출되어 접합 부위에 도포된 밀봉재를 용융시켜 금속판과 단위 전지 사이의 밀봉상태를 불안전하게 만들어 내구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103422호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어셈블리 내에서 금속판과 이 금속판 사이에 끼워 넣어질 다수의 단위 전지 사이의 밀봉상태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단위전지와 금속판 사이에 밀봉부를 갖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에 관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단위 전지와; 이 단위 전지에 연료와 공기를 비접촉상태로 제공하는 박스형상의 하우징; 연료와 공기의 접촉차단을 돕도록 하우징을 구획하는 플레이트 형상에 하나 이상의 관통구를 형성하고 있는 금속판; 및 단위 전지의 외주면과 금속판의 관통구 사이의 이격 틈새를 밀폐하는 밀봉부;를 구비하고, 특히 밀봉부는 기밀재와 접착재 및 실링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밀재는 관통구멍을 갖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바람직하기로, 기밀재의 관통구멍은 금속판의 관통구의 배열위치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단위 전지의 스택킹을 돕는다.
접착재는 기밀재의 관통구멍 가장자리와 단위 전지의 외주면 사이에 도포되되, 이 접착재는 기밀재와 단위 전지 사이를 밀봉하면서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매개물이다.
이와 더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실링재는 접착재의 외주면을 덮어씌울 수 있게 도포된다. 특히, 실링재는 기밀재의 상부면과 단위 전지의 외주면 사이에 도포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기밀재는 통전 방지, 가공성 그리고 산화방지를 위해서 마이카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접착재는 열적 팽창과 수축을 충분히 허용할 수 있게 다공성의 세라믹계 본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실링재는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유리계 소재로 구성된다.
덧붙여서, 기밀재는 플레이트 형상을 대신하여 O링형상으로 이루어져, 단위전지의 외주면과 금속판의 관통구 가장자리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어셈블리에서 밀봉부를 형성하는 방법을 포함하는데, 기밀재를 공급하는 단계(S100)와; 기밀재를 금속판 상에 안착하는 단계(S200); 기밀재의 관통구멍에 접착재를 도포하는 단계(S300); 및 접착재 상에 실링재를 도포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선택가능하기로, 본 발명은 열처리 단계(S500)를 추가로 포함한다.
여기서, 열처리 단계는 접착재에 영향을 미칠 수 있게 100℃ ~ 200℃로 열처리한다. 또한, 열처리 단계는 실링재에 영향을 미칠 수 있게 700℃ ~ 900℃로 열처리할 수 있다.
기밀재는 통전 방지, 가공성 그리고 산화방지를 위해서 마이카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접착재는 열적 팽창과 수축을 충분히 허용할 수 있게 다공성의 세라믹계 본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밀재는 금속판과 대응되게 관통구멍을 갖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금속판 상에 배열된다.
접착재는 기밀재의 관통구멍 가장자리와 단위 전지의 외주면 사이에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링재는 접착재의 외주면을 덮어씌울 수 있게 도포된다. 특히, 실링재는 기밀재의 상부면과 단위 전지의 외주면 사이에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금속판의 관통구에 끼워 넣어질 단위 전지와 관통구 사이의 밀봉부를 배열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마이카 소재로 만들어진 기밀재를 금속판 상에 배치하여 금속판의 산화를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온의 발전온도 하에서 실링재의 유실을 방지하여 연료와 공기의 접촉방지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어셈블리에 별도의 설계변경을 거치지 않고 단순히 금속판과 동일한 형상의 기밀재를 배치하고 기밀재의 관통구멍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접착재와 실링재를 도포하여 성취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공수 뿐만 아니라 제조단가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Ⅱ-Ⅱ 선에서 바라본 도시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어셈블리의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원호부(A)를 부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어셈블리에 밀봉재의 형성 단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장점, 특징, 그리고 이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어셈블리(1)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단위 전지(100)를 박스형상의 하우징(10)에 금속판(60)을 매개로 하여 스택 상태로 배열한다. 단위 전지(100)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에 채용될 수 있는 원통형 혹은 평관형 단위 전지를 적용할 수 있는데, 단위 전지(100)는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이미 널리 알려져 있듯이 중심으로부터 내부전극과 전해질 및 외부전극의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단위 전지(100)의 일례는 연료극(내부전극)과 전해질 및 공기극(외부전극)으로 적층되거나, 이와 다른 일례로 공기극(내부전극)과 전해질 및 연료극(외부전극)으로 적층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는 연료극을 내부전극으로 하는 단위 전지(100)를 채용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어셈블리(1)를 토대로 하여 기술하도록 한다. 물론, 본 실시예와 달리 공기극을 내부전극으로 하는 단위 전지(100)를 채용할 경우에는 연료와 공기의 이동 경로에 대한 구성만을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하우징(10)은 연료공급부(20)와 연료배출부(3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연료공급관(21)을 통해 연료공급부(20)로 공급된 연료는 다수의 유로관(22)을 따라 단위 전지(100) 속으로 안내된다. 그런 다음에, 연료가 단위 전지(100)와 산화반응을 일으키고 나머지 연료를 연료배출부(30)을 지나 연료배출관(31)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을 구현하기 위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료공급부(20)와 연료배출부(30)를 하우징(10)의 내부공간 상측에 배열한다. 또한, 연료공급부(20)는 다수의 유로관(22)을 유체연통가능하게 구비하여 각각의 단위 전지(100) 내부로 연료를 공급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전지(100)의 상단부는 연료배출부(30)와 유체연통가능하게 연결되어, 단위 전지(100)를 가로지른 연료를 연료배출부(30)로 안내이동시킨다.
또한, 하우징(10)은 내부공간 하측에 공기공급부(40)를 구비하고, 공기공급관(41)을 통해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공기공급부(40)과 분배판(42)을 관통하여 공기배출부(50)로 공급된다. 분배판(42)은 다수의 관통구멍을 갖춘 플레이트 형상이거나, 이와 달리 다공성 재질로 만들어진 플레이트일 수도 있다. 분배판(42)은 공기배출부(50)에 공기를 균일하게 확산공급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공기배출부(50)로 공급된 공기는 단위 전지(100)의 외부전극과 접촉하여 환원반응을 야기시킨다. 나머지 공기는 공기배출관(5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을 구현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공기공급부(40)와 공기배출부(50)를 상호 유체연통가능하게 구비하며, 공기공급부(40)와 공기배출부(50) 사이에 분배판(42)을 추가로 배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하우징(10) 내에서 공기와 연료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연료배출부(30)와 공기배출부(50) 사이에 금속판(60)을 배열한다. 이 금속판(60)은 연료배출부(30)와 공기배출부(50)를 구획하는 동시에 상호 밀폐하는 구성부재로, 다수의 관통구(61)를 구비한다. 단위 전지(100)는 도 1 및/또는 도 2에 도시되었듯이 금속판(60)의 관통구(61)에 삽입되어 하우징(10) 내에 위치고정된다.
더욱이, 금속판(60)은 이의 관통구(61)와 단위 전지(100) 사이의 이격 틈새를 확실하게 밀봉해야 하는 한편 고온 환경하에서도 밀봉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해야만 한다. 만약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어셈블리(1)는 고온 상태의 하우징(10) 내에서 연료와 공기가 접촉하게 될 경우에는, 격렬한 산화반응 및/또는 폭발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연료와 공기의 확실한 차단을 실현하기 위해서, 전술된 바와 같이 금속판(60)이 하우징(10)을 확실하게 구획하면서 밀폐시켜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금속판(60)의 관통구(61)와 단위 전지(100)의 외주면 사이의 이격 틈새에 본 발명만의 독창적인 밀봉부(2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어셈블리(1)에 형성된 밀봉부(200)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금속판(60)의 관통구(61)에 단위 전지(100)를 배치한다. 단위 전지(100)가 관통구(61)에서 확실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그리고 이들 사이의 이격 틈새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부(200)를 단위 전지(10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한다.
밀봉부(200)는 기밀재(210)와 접착재(220) 및 실링재(230)로 구성된다. 기밀재(210)는 금속판(60)의 관통구(61)와 단위 전지(100)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이격 틈새를 좁혀 밀봉성(혹은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금속판(60) 상에 배열되되, 발전온도와 동일한 고온의 온도에서 내구성을 제공하면서 금속판(60)과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도록 내열성과 절연성을 보장하는 마이카(mica)를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별하기로, 기밀재(21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플레이트에 다수의 관통구멍(211)을 형성한다. 기밀재(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판(60)의 상부면을 완전히 덮어씌우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연료와 접촉차단되어 금속판(60)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기밀재(210)의 관통구멍(211)은 금속판(60)의 관통구(61)와 동일한 갯수 그리고 동일한 배열위치를 갖추도록 한다.
이는 기밀재(210)의 관통구멍(211)과 금속판(60)의 관통구(61)를 상호 정렬되게 배열하여, 관통구멍(211)과 관통구(61)에 단위 전지(100)를 통과시켜 용이한 삽입을 돕도록 한다.
기밀재(210)가 금속판(60) 및/또는 단위 전지(100)에 대해서 확실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관통구멍(211) 가장자리 둘레에 접착재(220)를 도포한다. 접착재(220)는 세라믹 본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라믹 본드로 이루어진 접착재(220)는 기밀재(210)의 관통구멍(211)과 단위 전지(100)의 외주면 사이에 도포되어 관통구멍(211)과 단위 전지(100) 사이의 이격 틈새를 밀봉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동시에 기밀재(210)의 접착상태를 보장할 수 있다.
접착재(220)는 앞서 기술되었듯이 알루미나 계열, 지르코니아 계열 등의 세라믹 본드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세라믹 본드는 특성상 다공성을 갖추게 된다. 다공성 소재로 된 접착재(220)는 기밀재(210)와 단위 전지(100)의 외주면 사이를 밀폐시켜 접착시키는데,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운전에 따른 온도차 등의 외부 조건에 따라 접착재(220)에 약간의 수축성과 팽창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수축성과 팽창성은 접착재(220)의 탈거 혹은 크랙을 방지하여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어셈블리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접착재(220)는 세라믹 본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소재의 본드를 적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덧붙여서, 접착재(220)는 기밀재(210)의 접착을 돕기 위해 기밀재(210)의 가장자리와 하우징(10;도 1 참조) 내주면 사이에 도포될 수도 있다.
이와 더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밀봉재(200)는 접착재(220) 상에 유리계열의 실링재(230)를 배열한다. 실링재(230)는 단위 전지(200)의 외주면을 따라 링형상으로 도포된 접착재(220)를 외부 환경에 노출되지 않도록 접착재(220) 위를 확실하게 덮어씌운다.
종래기술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어셈블리는 금속판과 단위 전지 사이를 유리계열의 실링재로만 마감처리하여 밀봉효과를 제공하게 되는데, 고온 하에서 실링재가 용융되어 단위 전지의 외주면을 타고 하방으로 흐르게 되는데, 본 발명은 고온 하에서 실링재(230)를 용융 상태로 변환되어도 접착재(220) 및/또는 기밀재(210)에 의해 하방으로 흘러내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밀봉부(200)를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어셈블리, 더욱 구체적으로 금속판(60)과 단위 전지(100)의 접촉 부위에 형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마이카 소재로 제작된 기밀재(210)를 공급하는 단계(S100)를 포함한다(도 3 참조). 기밀재(210)는 가공이 용이한 마이카 소재로 제작되며, 단위 전지(100)의 스택을 돕기 위해 다수의 관통구멍(211)을 천공한다.
바람직하기로, 기밀재(210)의 관통구멍(211)은 금속판(60)의 관통구(61)의 갯수와 배열위치를 동일하게 형성하여, 관통구멍(211)와 관통구(61)에 단위 전지(100)를 삽입할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관통구멍(211)의 직경이 관통구(61)의 직경보다 작게 설계되어, 금속판(60)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시킨다.
그런 다음에, 본 발명은 기밀재(210)를 금속판(60) 상에 안착하는 단계(S200)를 포함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단위 전지(100)를 하우징에 배치하기 위해, 기밀재(210)는 연료와 접촉될 가능성이 높은 금속판(60) 위에 배치되야 한다. 각각의 구성부재는 관통구멍(211)과 관통구(61)를 구비하고 있는바, 관통구멍(211)과 관통구(61)를 나란하게 정렬시켜 단위 전지(100)의 삽입을 돕는다.
본 발명은 접착재(220)를 도포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접착재(220)는 기밀재(210)의 관통구멍(211)과 단위 전지(100)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될 이격 틈새 주변에 도포된다. 이러한 접착재(220)는 금속판(60)과 기밀재(210) 그리고 단위전지(100)와 기밀재(210)의 결합을 보장한다. 접착재(200)는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진 세라믹계열의 본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실링재(230)를 도포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실링재(230)는 경화된 접착재(220) 외부면을 완전히 덮어씌울 수 있을 정도로 단위 전지(100)의 외주면과 기밀재(210)의 상부면 사이를 도포한다.
덧붙여서, 본 발명은 밀봉부(200)에 열처리 단계(S500)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열처리를 통해 각 구성부재들 간의 접착 그리고 안정화를 꾀할 수 있다.
열처리 단계(S500)에서, 접착재(220)에 영향을 미칠 수 있게 100℃ ~ 200℃에서 별도의 열처리를 행한다.
또한, 실링재(230)에 영향을 미칠 수 있게 700℃ ~ 900℃에서 별도의 열처리를 추가로 행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어셈블리 및 이의 밀봉부 형성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어셈블리 10 : 하우징
60 : 금속판 100 : 단위 전지
200 : 밀봉부 210 : 기밀재
220 : 접착재 230 : 실링재

Claims (20)

  1. 하나 이상의 단위 전지와;
    상기 단위 전지가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구를 형성하고 있는 금속판; 및
    기밀재와 접착재 및 실링재로 갖춰져, 상기 단위 전지의 외주면과 상기 금속판의 관통구 사이의 이격 틈새를 밀폐하는 밀봉부;를 포함하고 있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밀재는 상기 금속판과 대응되게 관통구멍을 갖춘 플레이트 형상으로 되어 있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재는 상기 기밀재의 관통구멍 가장자리와 상기 단위 전지의 외주면 사이에 도포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링재는 상기 접착재의 외주면을 덮어씌울 수 있게 도포되어 있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어셈블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실링재는 기밀재의 상부면과 상기 단위 전지의 외주면 사이에 도포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어셈블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밀재는 마이카 소재로 제작되어 있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어셈블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재는 다공성의 세라믹계 본드로 구성되어 있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어셈블리.
  8. 상기 실링재는 유리계 소재로 구성되어 있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어셈블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밀재는 O링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단위전지의 외주면과 상기 금속판의 관통구 가장자리를 따라 배열될 수 있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어셈블리.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의 직경은 상기 관통구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어셈블리.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어셈블리에서,
    기밀재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기밀재를 연료와 공기의 접촉차단하는 금속판 상에 안착하는 단계;
    상기 기밀재의 관통구멍에 접착재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접착재 상에 실링재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어셈블리의 밀봉부 형성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열처리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밀봉부 형성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단계는 상기 접착재에 영향을 미칠 수 있게 100℃ ~ 200℃로 열처리하는 밀봉부 형성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단계는 상기 실링재에 영향을 미칠 수 있게 700℃ ~ 900℃로 열처리하는 밀봉부 형성방법.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기밀재는 마이카 소재로 제작되어 있는 밀봉부 형성방법.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접착재는 다공성의 세라믹계 본드로 구성되어 있는 밀봉부 형성방법.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기밀재는 상기 금속판과 대응되게 관통구멍을 갖춘 플레이트 형상으로 되어 있는 밀봉부 형성방법.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접착재는 상기 기밀재의 관통구멍 가장자리와 상기 단위 전지의 외주면 사이에 도포되는 밀봉부 형성방법.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실링재는 상기 접착재의 외주면을 덮어씌울 수 있게 도포되어 있는 고체산화물 밀봉부 형성방법.
  20.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실링재는 기밀재의 상부면과 상기 단위 전지의 외주면 사이에 도포되는 밀봉부 형성방법.
KR1020120150565A 2012-12-21 2012-12-21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어셈블리 및 이의 밀봉부 형성방법 KR2014008114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565A KR20140081147A (ko) 2012-12-21 2012-12-21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어셈블리 및 이의 밀봉부 형성방법
US13/831,623 US20140178787A1 (en) 2012-12-21 2013-03-15 Solid oxide fuel cell assembly and method for forming seal
JP2013087295A JP2014123542A (ja) 2012-12-21 2013-04-18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アセンブリ及びその密封部形成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565A KR20140081147A (ko) 2012-12-21 2012-12-21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어셈블리 및 이의 밀봉부 형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147A true KR20140081147A (ko) 2014-07-01

Family

ID=50975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0565A KR20140081147A (ko) 2012-12-21 2012-12-21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어셈블리 및 이의 밀봉부 형성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40178787A1 (ko)
JP (1) JP2014123542A (ko)
KR (1) KR201400811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9763A (ko) * 2016-09-13 2019-04-15 니뽄 도쿠슈 도교 가부시키가이샤 마이카제 부재, 전기 화학 반응 단위, 및 전기 화학 반응 셀 스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00683B2 (ja) * 2013-12-27 2017-03-22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燃料電池用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燃料電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010A (ja) * 1991-07-17 1993-02-05 Yuasa Corp 固体電解質燃料電池装置
JP4616496B2 (ja) * 2001-03-30 2011-01-1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JP4578114B2 (ja) * 2004-01-28 2010-11-10 京セラ株式会社 燃料電池
JP2009016223A (ja) * 2007-07-05 2009-01-22 Central Res Inst Of Electric Power Ind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の作動方法及び作動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9763A (ko) * 2016-09-13 2019-04-15 니뽄 도쿠슈 도교 가부시키가이샤 마이카제 부재, 전기 화학 반응 단위, 및 전기 화학 반응 셀 스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78787A1 (en) 2014-06-26
JP2014123542A (ja) 2014-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9482B2 (en) Stack of generators and fuel cell system having the same
KR101184486B1 (ko)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밀봉부재 및 이를 채용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US10056640B2 (en) Bipolar plate for fuel cell, fuel cel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bipolar plate
JP2013182818A (ja) 燃料電池スタック
JP6131426B2 (ja) 燃料電池のシール構造
JP2009217959A (ja) 平板型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スタック
JP2009041044A (ja) 反応セ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反応システム
KR20140081147A (ko)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어셈블리 및 이의 밀봉부 형성방법
JP2013501319A (ja)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システム
JP5331252B2 (ja) 平管型固体酸化物セルスタック
JP2012124020A (ja) 固体電解質燃料電池
JP6118230B2 (ja) 燃料電池スタック
JP5393918B2 (ja) 燃料電池
KR100786368B1 (ko) 연료전지 스택용 단위전지
JP2014072140A (ja) 燃料電池スタック
JP6078285B2 (ja) 筐体の貫通部構造
KR101423614B1 (ko) 연료전지용 막전극접합체
JP4288919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KR101009621B1 (ko) 연료 전지용 스택 및 이를 구비한 연료 전지 시스템
JP6113646B2 (ja) 還元処理装置及び還元処理方法
JP6766005B2 (ja) 電気化学反応セルスタック
JP2013222505A (ja) 燃料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48553A (ko) 고온용 연료전지 분리판
JP2012182032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KR101495285B1 (ko) 연료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