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1044A - 재활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재활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1044A
KR20140081044A KR1020120150348A KR20120150348A KR20140081044A KR 20140081044 A KR20140081044 A KR 20140081044A KR 1020120150348 A KR1020120150348 A KR 1020120150348A KR 20120150348 A KR20120150348 A KR 20120150348A KR 20140081044 A KR20140081044 A KR 20140081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lever
brake
wheel
turnin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0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피빌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피빌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피빌리지
Priority to KR1020120150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1044A/ko
Publication of KR20140081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10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by rotating cycl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25Sitting on the buttocks
    • A61H2203/0431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position, like on a chair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의자(11)가 구비된 메인 프레임(1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장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휘일(2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일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방향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터닝 휘일(3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구비된 레버부재(40)와; 상기 레버부재(40)와 상기 터닝 휘일(30)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레버부재(40)의 조작에 따라 상기 터닝 휘일(30)을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대해 상대 회동시켜서 상기 터닝 휘일(30)을 기준으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링크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재활 운동기구{Rehabitation exercise implement}
본 발명은 재활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나 장애인과 같이 몸이 불편한 사람이 휠체어식으로 타고 다니면서 하체 부분의 재활 운동을 할 때에 원하는 방향으로 손쉽고 신속하게 방향 전환을 할 수 있는 새로운 재활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라도 혼자 힘으로 방향 전환을 하면서 재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재활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라는 점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다리를 마음대로 움직일 수 없는 사람이 앉은 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를 달아 놓은 의자로서, 휠체어는 장애인이나 환자의 이동을 위한 보조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으면서도 재활 병원에서는 환자의 재활을 운동 기구로도 채용되기도 한다. 환자의 재활을 돕기 위한 재활 병원 등에서는 각종 재활 운동 기구를 갖춘 재활 운동실을 확보하고, 이러한 재활 운동실에서 휠체어를 타고 다리를 포함한 하체 부분의 재활 운동을 하도록 하는 경우가 많다. 즉, 환자의 하체 재활 운동을 위한 재활 운동 기구는 휠체어식으로 프레임에 휘일이 장착되고, 프레임에는 의자를 구비하며, 프레임에는 환자가 다리를 결합하는 페달을 구비하여, 환자가 의자에 앉아서 페달에 발을 고정한 다음, 환자가 페달을 밟아 주면, 프레임에 장착된 휘일이 회전하면서 동시에 환자는 자전거 페달을 밟듯이 페달을 밟아주는 운동을 하게 되어, 환자가 휠체어식으로 타고 이동하면서 하체 부분의 재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하체(특히 다리 부분)의 재활 운동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어느 한 방향으로만 이동하면서 운동하기보다는 여러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운동하는 것이 보다 좋으며 환자 자신도 여러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재활 운동을 하게 되면, 지루하지도 않고 여러 가지 측면에서 보다 좋다. 이때, 환자가 휠체어 식으로 타고 있는 상태에서 여러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재활 운동 기구 자체를 방향 전환할 수 있는 동작(즉, 선회 동작 내지 터닝 동작)이 필요하다. 그리고, 재활 운동실은 다른 환자들도 이용하는 실정이라서 운동 공간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제한된 공간 내에서 효율적으로 재활 운동을 하기 위해서라도 재활 운동 기구의 터닝 동작이 요구된다.
따라서, 재활 운동실과 같이 비교적 제한된 공간에서도 휠체어에 탑승한 채로 방향 전환을 쉽게 하고 하체 운동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바람직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새로운 재활 운동 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나 장애인과 같이 몸이 불편한 사람이 휠체어식으로 타고 다니면서 하체 부분의 재활 운동을 할 때에 원하는 방향으로 손쉽고 신속하게 방향 전환을 할 수 있으므로, 하체 부분의 재활 운동 효율성도 보다 높이면서도 환자 자신의 지루함 등도 방지하여 재활 운동 의욕을 보다 고취시킬 수 있으며, 재활 운동실과 같이 비교적 제한된 공간에서도 크게 제약받지 않고 편리하게 재활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므로, 사용성 등에서도 매우 우수한 새로운 재활 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재활 운동기구는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라도 적어도 한쪽 손만 움직일 수 있으면 얼마든지 혼자의 힘으로 방향 전환을 하면서 효율적인 재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재활 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충족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의자가 구비된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휘일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일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터닝 휘일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구비된 레버부재와; 상기 레버부재와 상기 터닝 휘일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레버부재의 조작에 따라 상기 터닝 휘일을 상기 메인 프레임에 대해 상대 회동시켜서 상기 터닝 휘일을 기준으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운동기구가 제공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방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휘일에 동력 전달수단을 매개로 연결된 페달을 포함하며, 상기 페달을 밟음에 따라 상기 휘일이 회전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적어도 한쪽 측면부에 회동 결합부를 매개로 장착되어 상기 회동 결합부를 기준으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후 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터닝 휘일은 상부로 연장된 로터리 샤프트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휘일의 후방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터닝 휘일과 상기 레버부재에 상기 링크부재의 양단부가 각각 상대 회동 작동부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링크부재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터닝 휘일에는 별도의 커넥션 브라켓이 구비되어, 상기 링크부재의 양단부가 상기 상대 회동 작동부를 매개로 상기 커넥션 브라켓과 상기 레버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상대 회동 작동부는 유니버설 조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버부재의 상기 회동 결합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적어도 한쪽 측면부로 돌출된 회동 지지축과, 상기 레버부재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 지지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동 지지보스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회동 결합부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링크부재를 통해 상기 터닝 휘일이 상기 메인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대 회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버부재에 장착된 레버 서포트 브라켓과, 상기 레버 서포트 브라켓에 힌지부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레버부재에 설치된 브레이크 레버와, 상기 터닝 휘일에 구비되며 상기 브레이크 레버에 브레이킹 전달부재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브레이크 레버의 작동시 상기 터닝 휘일의 자체 회전 동작을 멈추는 브레이킹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브레이크 드럼과, 상기 레버 서포트 브라켓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브레이크 레버가 상기 힌지부를 매개로 회동되어 상기 브레이킹 전달부재를 통해 상기 브레이크 드럼이 상기 터닝 휘일을 브레이킹 작동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 레버의 상기 힌지부와 인접된 단부를 받쳐주어 상기 터닝 휘일의 브레이킹 상태(브레이크 레버의 당김 상태)를 유지하는 브레이크 리테이너핀(76)과, 상기 브레이크 레버의 상기 힌지부와 인접된 단부가 받쳐지는 상태 및 상기 터닝 휘일의 브레이킹 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브레이크 리테이너핀(76)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리트릿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부에는 스톱핑 부재에 의해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힌지부를 매개로 상향 회동되는 팔걸이대가 더 구비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방 위치에는 적어도 두 개의 나란한 서포팅 포스트가 구비되고, 상기 서포팅 포스트에는 승강 가능한 핸들이 구비되며, 상기 핸들과 상기 서포팅 포스트의 서로 마주하는 면 중에서 어느 하나의 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의 조절홀(18h)이 구비되고, 다른 면에는 승강 조절 셋팅홀(19h)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 조절 셋팅홀(19h)과 상기 조절홀(18h)이 만난 상태에서 고정핀이나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는 고정볼이 승강 조절 셋팅홀(19h)과 조절홀(18h)에 공통으로 결합되어 상기 서포팅 포스트에 대해 상기 핸들의 상대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터닝 휘일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터닝 휘일을 상기 휘일 방향과 나란한 방향(전후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탄지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재활 운동을 할 수 있음은 물론 레버부재의 간단한 회동 동작(레버부재를 밀고 당기는 동작)에 의해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얼마든지 방향을 바꾸어 가면서 재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 자신이 손수 원하는 방향으로 얼마든지 방향 전환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환자 자신이 재활 운동을 하면서 지루함을 느끼거나 힘이 든다는 느낌을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환자 자신의 재활 의욕도 보다 고취시킬 수 있어서 더욱 좋다.
또한,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라도 혼자 힘으로 방향 전환을 하면서 재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재활 운동기구라는 점에서 보다 각별하다. 양손 중에서 적어도 한쪽 손만 사용이 가능한 사람이면, 자기 자신이 손수 방향을 바꾸어 가면서 재활 치료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시 환자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어서, 재활 운동실과 같은 제한된 공간 내에서도 충분히 효율적으로 재활 운동을 실시할 수 있게 되며, 이처럼 재활 운동기구를 필요한 방향으로 전환하여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은 재활 운동실과 같이 비교적 제한된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면서도 다른 사람들에게 방해가 되는 일도 유발되지 않으므로, 여러 가지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한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재활 운동기구에서 의자를 제외한 다른 주요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재활 운동기구의 외관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재활 운동기구의 구조와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측면도로서 주요부인 브레이크 레버 부분의 구조와 작동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브레이크 레버 부분의 작동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일측단면도
도 9는 도 7의 A-A선 단면도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팔걸이대와 레버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주요부인 레버부재와 링크부재를 메인 프레임의 반대쪽 측면부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재활 운동기구는 의자(11)가 구비된 메인 프레임(10)과, 이 메인 프레임(10)에 장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휘일(2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일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메인 프레임(10)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터닝 휘일(30)과, 메인 프레임(10)에 구비된 레버부재(40)와, 이 레버부재(40)와 터닝 휘일(30)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레버부재(40)의 조작에 따라 터닝 휘일(30)을 메인 프레임(10)에 대해 상대 회동시켜서 터닝 휘일(30)을 기준으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링크부재(50)를 구비한 것으로, 환자나 장애인 등의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하체 운동을 할 때에 원하는 방향으로 방향 전환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하체 운동 효율성도 높이고 재활 운동 욕구도 고취시키며, 비교적 제한된 재활 운동 공간에서도 편리하고 손쉽게 재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여러 가지 바람직한 특징이 있는 발명이다.
상기 메인 프레임(10)은 전후 방향으로 나란한 복수개의 가로 지지 바아(12) 양단부측에 각각 하나씩 두 개의 사이드 프레임(13)이 구비되고, 가로 지지 바아(12)의 중앙부 위치에는 길이 방향(메인 프레임(10)의 상면에서 볼 때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페달 지지 바아(14)가 구비된 구조이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13)은 측면에서 볼 때에 전후 방향으로 수평 연장된 하부 프레임 바아(13a)와, 이 하부 프레임 바아(13a)의 상부 위치에 구비됨과 동시에 전단부 부분이 후단부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더 위쪽으로 올라간 상부 프레임 바아(13b)와, 상기 하부 프레임 바아(13a)와 상부 프레임 바아(13b)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이어지는 원호형 바아 형상의 프론트 연결 바아(13c) 및 리어 연결 바아(13d)를 구비한다. 앞쪽의 프론트 연결 바아(13c)는 뒤쪽의 리어 연결 바아(13d)에 비하여 그 반경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구성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 바아(13b)의 전단부가 후단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위치에 있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전단부측의 리어 연결 바아(13d)가 후단부측의 리어 연결 바아(13d)보다 그 반경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구성된 것이다. 상기 하부 프레임 바아(13a)는 전단부와 근접한 하부 위치에 전후 방향으로 나란한 한 쌍의 결합 가이드편(15)이 구비된다. 한 쌍의 결합 가이드편(15) 사이에 그립편 결합홈부가 형성되며, 그립편 결합홈부의 상면, 다시 말해, 하부 프레임 바아(13a)의 저면 중에서 두 개의 전후 결합 가이드편(15) 사이에 구비된 하부면에는 반원형의 바아 결합홈부(15a)가 구비되어 있다. 반원형의 바아 결합홈부(15a)는 전후 결합 가이드편(15) 사이에 두 개로 구비되어 있다. 전방측 바아 결합홈부(15a)와 후방측 바아 결합홈부(15a)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전방측 바아 결합홈부(15a)와 후방측 바아 결합홈부(15a) 사이에는 나사홀 형태의 체결구 결합홀(15b)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결합 가이드편(15) 사이에 형성된 그립편 결합홈부에는 블록 형상(사각 블록 형상)의 픽싱 그립편(16)이 결합된다. 즉, 픽싱 그립편(16)은 상면에 전후 두 개의 바아 서포팅 홈부(16a)가 구비되고, 두 개의 전방측 바아 서포팅 홈부(16a)와 후방측 바아 서포팅 홈부(16a) 사이에는 상면에서 저면으로 연통된 체결구 관통홀(16b)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픽싱 그립편(16)을 사이드 프레임(13)의 하부측으로 연장된 두 개의 결합 가이드편(15) 사이에 끼우면, 픽싱 그립편(16)의 전방측 바아 서포팅 홈부(16a)와 후방측 바아 서포팅 홈부(16a)가 사이드 프레임(13)의 전방측 바아 결합홈부(15a)와 후방측 바아 결합홈부(15a)와 만난 상태로 됨과 동시에 픽싱 그립편(16)의 체결구 관통홀(16b)과 사이드 프레임(13)의 체결구 결합홀(15b)이 만난 상태가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픽싱 그립편(16)의 체결구 관통홀(16b)에 끼워진 볼트 등의 체결구를 사이드 프레임(13)의 체결구 결합홀(15b)에 조여주면 픽싱 그립편(16)이 사이드 프레임(13)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13) 두 개가 전후 두 개의 가로 지지 바아(12)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두 개의 사이드 프레임(13)이 좌우측에 구비된 메인 프레임(10)을 구성하게 된다. 두 개의 사이드 프레임(13)이 메인 프레임(10)의 좌우 두 개의 측면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전방측의 가로 지지 바아(12) 양단부측에는 픽싱 그립편(16)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13)의 전방측 하부가 고정된다. 즉, 상기 사이드 프레임(13)의 전방측 하부에 구비된 두 개의 결합 가이드편(15) 사이에 두 개의 전방측 바아 결합홈부(15a)와 후방측 바아 결합홈부(15a)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후방측 바아 결합홈부(15a)가 전방측 가로 지지 바아(12)의 위에서 외주면에 끼워지도록 한 다음, 상기 사이드 프레임(13)의 아래 위치에서 두 개의 결합 가이드편(15) 사이에 형성된 그립편 결합홈부에 블록 형태의 픽싱 그립편(16)을 끼워주면, 픽싱 그립편(16) 상면에 구비된 두 개의 전방측 바아 결합홈부(15a)와 후방측 바아 결합홈부(15a) 중에서 후방측 바아 결합홈부(15a)가 상기 전방측 가로 지지 바아(12)의 아래에서 외주면에 결합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픽싱 그립편(16)의 체결구 관통홀(16b)에 끼워진 볼트 등의 체결구를 사이드 프레임(13)의 하부에 연통도록 구비된 체결구 결합홀(15b)에 조여주게 되면, 상기 픽싱 그립편(16)이 전방측 가로 지지 바아(12)를 밑에서 받치고 있으므로, 사이드 프레임(13)의 전방측 하부가 상기 전방측 가로 지지 바아(12)에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사이드 프레임(13)은 측방으로 돌출된 회동 지지축(42a)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이드 프레임(13)의 상부 프레임 바아(13b)에 회동 지지축(42a)이 각각 구비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후방 위치에는 적어도 두 개의 나란한 서포팅 포스트(18)가 구비된다. 각각의 좌우 사이드 프레임(13) 후방 위치에 상하로 연장된 두 개의 서포팅 포스트(18)가 구비된다. 또한, 서포팅 포스트(18)에는 승강 가능한 핸들(19)이 구비된다. 핸들(19)은 서포팅 포스트(18)에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는 직립 결합부(19a)에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파지부(19b)가 구비되어, 본 발명의 재활 운동기구를 재활 운동 당사자가 아닌 다른 사람이 옮길 때에는 상기 핸들(19)의 파지부(19b)를 손으로 잡고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핸들(19)과 서포팅 포스트(18)의 서로 마주하는 면 중에서 어느 하나의 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의 조절홀(18h)이 구비되고, 다른 면에는 승강 조절 셋팅홀(19h)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 조절 셋팅홀(19h)과 조절홀(18h)이 만난 상태에서 고정핀이나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는 고정볼이 승강 조절 셋팅홀(19h)과 조절홀(18h)에 공통으로 결합되어 서포팅 포스트(18)에 대해 핸들(19)의 상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핸들(19)의 직립 결합부에 승강 조절 셋팅홀(19h)이 구비되고, 상기 직립 결합부에 내부에는 구비된 고정볼의 일부가 스프링 등의 탄성체(38) 의해 탄지되어 승강 조절 셋팅홀(19h)로 탄성적으로 출몰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서포팅 포스트(18)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이루어 복수개의 조절홀(18h)이 구비되어, 상기 승강 조절 셋팅홀(19h)이 각각의 조절홀(18h)에 만난 상태에서 고정볼이 승강 조절 셋팅홀(19h)과 조절홀(18h)에 공통으로 결합됨으로써, 핸들(19)의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1에서는 승강 조절 셋팅홀(19h)과 조절홀(18h)에 공통으로 고정핀(P)이 결합되어 핸들(19)의 인출 정도를 셋팅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승강 조절 셋팅홀(19h)과 조절홀(18h)이 만난 상태에서 고정핀(P)을 승강 조절 셋팅홀(19h)과 조절홀(18h)에 공통으로 끼워줌으로써 상기 핸들(19)이 상하 높이 조절된 상태로 유지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페달 지지 바아(14)는 전방측 가로 지지 바아(12)와 후방측 가로 지지 바아(12)에 각각 후방측과 대략 중간 부분이 결합되어 메인 프레임(10)의 가운데에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페달 지지 바아(14)는 후단부측 인접 양쪽 측면부가 후방측 가로 지지 바아(12)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페달(60) 마운팅의 대략 중간 부분은 픽싱 그립편(16)에 의해 전방측 가로 지지 바아(12) 중간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페달 지지 바아(14)의 대략 중간 부분 저면에는 전후 두 개의 반원형 바아 결합홈부(15a)가 구비된다. 반원형의 전방측 바아 결합홈부(15a)와 후방측 바아 결합홈부(15a)가 구비된 것이다. 그리고, 전방측 바아 결합홈부(15a)와 후방측 바아 결합홈부(15a) 사이에는 나사홀 형태의 체결구 결합홀(15b)이 하면으로 연통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페달 지지 바아(14)의 하부에서 결합되기 위한 픽싱 그립퍼도 역시 상면에 반원형의 바아 결합홈부가 구비된다. 즉, 페달 지지 바아(14)를 가로 지지 바아(12)에 고정하기 위한 픽싱 그립퍼도 전후 위치에 두 개의 전방측 바아 서포팅 홈부아 후방측 바아 서포팅 홈부가 구비된 것이다. 그리고, 전방측 바아 서포팅 홈부와 후방측 바아 서포팅 홈부 사이에는 픽싱 그립퍼의 상면에서 저면으로 연통된 체결구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페달 지지 바아(14)의 후방측 바아 결합홈부(15a)를 전방측 가로 지지 바아(12)의 위에서 외주면에 결합하고, 상기 전방측 가로 지지 바아(12)의 아래에서 픽싱 그립퍼의 후방측 바아 서포팅 홈부를 전방측 가로 지지 바아(12) 외주면에 결합하면, 상기 픽싱 그립퍼의 체결구 관통홀과 페달 지지 바아의 체결구 결합홀이 만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픽싱 그립퍼의 체결구 관통홀을 통과한 볼트 등의 체결구를 페달 지지 바아(14)의 체결구 결합홀에 조여주면 페달 지지 바아(14)의 대략 중간 부분이 픽싱 그립퍼에 의해 상기 전방측 가로 지지 바아(12) 중간 부분에 고정 결합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달 지지 바아(14)는 전단부가 후술할 휘일(20)보다 앞으로 더 돌출되어 있는데, 이러한 페달 지지 바아(14)의 대략 중간 부분보다 더 앞으로 나간 위치의 저면에는 보조 휘일 브라켓(25)이 구비된다.
또한, 페달 지지 바아(14)의 후단부에는 후술할 터닝 휘일(30)의 로터리 샤프트(34)를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샤프트 지지보스(14SB)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가로 지지 바아(12)와 사이드 프레임(13)과 페달 지지 바아(14)이 메인 프레임(10)을 형성한다. 상기 가로 지지 바아(12)와 사이드 프레임(13)과 페달 지지 바아(14)에 더하여 서포팅 포스트(18)가 메인 프레임(10)을 형성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10)에는 본 발명의 재활 운동 기구를 사용하기 위한 사람이 착석하는 의자(11)가 구비된다. 의자(11)는 자체에 구비된 의자 장착 프레임이나 고정 밴드와 같은 공지의 장착 기구를 매개로 메인 프레임(10)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자(11)에 고정밴드를 구비하여 고정 밴드를 메인 프레임(10)의 사이드 프레임(13)에 각각 감아주고, 고정 밴드는 클램프와 같은 공지의 그립 기구로 고정함으로써, 메인 프레임(10)에 의자(11)를 설치할 수 있다. 의자(11) 자체에 구비된 의자 장착 프레임을 용접이나 볼트와 같은 공지의 장착 기구에 의해 메인 프레임(10)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의자(11)는 착석자의 둔부를 받쳐주는 시트부와, 이 시트부의 후방에 구비된 등받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10)에는 좌우로 나란하게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휘일(20)이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각각의 좌우 사이드 프레임(13)에 두 개의 휘일(20)이 결합되어 있다. 각각의 휘일(20)은 회전 중심부에 구비된 회전 샤프트가 사이드 프레임(13)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지면에서 굴러갈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두 개의 휘일(20)은 메인 프레임(10)의 전방측 가로 지지 바아(12)와 두 개의 사이드 프레임(13)을 결합할 때에 동시에 메인 프레임(10)에 장착될 수 있다.
두 개의 휘일(20) 중에서 한쪽의 휘일(20)(이하, 편의상 제1 휘일(20)이라 함)은 그 회전 중심부에 회전 샤프트(22)가 구비되고, 이러한 회전 샤프트(22) 외주면에는 베어링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전방측 가로 지지 바아(12)가 한쪽 사이드 프레임(13)의 하부에 구비된 후방측 바아 결합홈부(15a)에 대략 반 정도 끼워진 상태에서 동시에 상기 사이드 프레임(13)의 전방측 바아 결합홈부(15a)에 제1 휘일(20)의 회전 샤프트(22) 외주면에 구비된 베어링을 대략 반 정도 끼운 다음, 상기와 같이 픽싱 그립편(16)의 상면으로 연통된 전방측 바아 결합홈부와 후방측 바아 결합홈부를 각각 전방측 가로 지지 바아(12)의 대략 아래쪽 나머지 반과 제1 휘일(20)의 회전 샤프트(22) 외주면에 구비된 베어링의 나머지 반을 결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픽싱 그립편(16)의 체결구 관통홀(16b)에 끼워진 체결구를 사이드 프레임(13)의 하부에 구비된 체결구 결합홀(15b)에 조여주게 되면,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한쪽 사이드 프레임(13)과 전방측 가로 지지 바아(12)는 상호 연결되도록 결합되면서 동시에 한쪽의 제1 휘일(20)은 베어링을 중심으로 메인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두 개의 휘일(20) 중에서 나머지 휘일(20)(이하, 편의상 제2 휘일(20)이라 함)도 다른 쪽 사이드 프레임(13)에 상기 제1 휘일(20)이 결합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메인 프레임(10)에 장착된다. 즉, 제2 휘일(20)도 그 회전 중심부에 회전 샤프트(22)가 구비되고, 이러한 회전 샤프트(22) 외주면에는 베어링이 구비되는데,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전방측 가로 지지 바아(12)가 다른 쪽 사이드 프레임(13)의 하부에 구비된 후방측 바아 결합홈부(15a)에 대략 반 정도 끼워진 상태에서 동시에 상기 사이드 프레임(13)의 전방측 바아 결합홈부(15a)에 제2 휘일(20)의 회전 샤프트(22) 외주면에 구비된 베어링을 대략 반 정도 끼운 다음, 상기와 같이 픽싱 그립편(16)의 상면으로 연통된 전방측 바아 결합홈부와 후방측 바아 결합홈부를 각각 전방측 가로 지지 바아(12)의 대략 아래쪽 나머지 반과 제2 휘일(20)의 회전 샤프트 외주면에 구비된 베어링의 나머지 반을 결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픽싱 그립편(16)의 체결구 관통홀(16b)에 끼워진 체결구를 사이드 프레임(13)의 하부에 구비된 체결구 결합홀(15b)에 조여주게 되면,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한쪽 사이드 프레임(13)과 전방측 가로 지지 바아(12)는 상호 연결되도록 결합되면서 동시에 한쪽의 제2 휘일(20)은 베어링을 중심으로 메인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제2 휘일(20)의 회전 샤프트(22)는 제1 휘일(20)의 회전 샤프트(22)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어서 그 선단부가 페달 지지 바아(14)의 한쪽 면에 근접된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제2 휘일(20)의 회전 샤프트(22)에는 자전거 페달(60)과 같이 발로 밟아서 회전시킬 수 있는 페달(60)이 연결되어 있어서, 페달(60)을 밟는 동작을 함에 따라 제2 휘일(20)이 회전하면서 본 발명의 재활 운동기구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제2 휘일(20)이 페달(60)에 의해 회전하는 추진력을 얻는 구동 휘일(20) 기능을 하게 되는 한편, 상기 제1 휘일(20)은 제2 휘일(20)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하는 아이들 휘일 기능을 하게 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10)을 구성하는 페달 지지 바아(14)의 선단부측에는 양면으로 관통되면서 동시에 상대 회전되는 페달 로터축(62)을 구비한다. 또한, 페달 로터축(62)의 한쪽 단부에 그 기단부가 연결됨과 동시에 선단부는 메인 프레임(10)의 후방쪽으로 연장된 제1페달 링크(64)와, 페달 로터축(62)의 다른 쪽 단부에 그 기단부가 연결됨과 동시에 선단부는 제1페달 링크(64)와 반대되는 위치인 메인 프레임(10)의 ㅈ전단부 위치로 연장된 제2페달 링크(66)를 구비하며, 상기 제1페달 링크(64)의 선단부와 제2페달 링크(66)의 선단부에 각각 하나씩 두 개의 페달(60)이 구비된다. 이때, 각각의 페달(60)은 그 저면부가 힌지부를 매개로 제1페달 링크(64)와 제2페달 링크(66)의 선단부측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페달 로터축(62)에는 동축적으로 구동 스프로켓이 구비되고, 상기 제2 휘일(20)의 회전 샤프트(22)에는 동축적으로 종동 스프로켓이 구비되며, 상기 페달 로터축(62)의 구동 스프로켓과 제2 휘일(20)의 회전 샤프트(22)의 종동 스프로켓은 체인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동 스프로켓과 종동 스프로켓 및 체인은 커버부재(68)에 의해 가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구비된 의자(11)에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두 개의 페달(60) 위에 발을 얹어놓고 자전거 페달(60)을 밟아주듯이 상기 페달(60)을 밟으면 상기 페달(60)을 밟아주는 회전력이 구동 스프로켓과 체인 및 종동 스프로켓에 의해 상기 제2 휘일(20)에 전달되어, 제2 휘일(20)이 회전되고 동시에 제1 휘일(20)도 함께 회전하므로, 본 발명의 재활 운동 기구를 휠체어를 끌듯이 타고 다니면서 하체 부분(특히, 다리 부분)의 재활 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 휘일(20)과 제2 휘일(20)은 메인 프레임(10)에 전후 방향으로 나란하게 장착되어, 페달(60)을 밟아주면 본 발명의 재활 운동기구를 직선 방향으로 전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페달 지지 바아(14)에 하부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보조 휘일 브라켓(25)에는 보조 휘일(26)이 구비되어 있다. 보조 휘일(26)은 보조 휘일 브라켓(25)에 롤링 지지축을 매개로 롤링될 수 있게 결합되고, 휘일 브라켓(31)에 구비되어 상부로 연장된 연결 지지축은 힌지부를 매개로 보조 휘일 브라켓(25)에 결합되어, 보조 휘일(26)이 페달 지지 바아(14)의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보조 휘일(26)은 본 발명의 재활 운동 기구를 휠체어를 타고 다니듯이 사용할 때에 아래에서 보조적으로 지면에 받쳐주면서 지면에서 구름 운동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즉, 보조 휘일(26)은 페달(60)을 자전거 패달과 같이 밟아주는 운동을 할 때에 아래에서 받쳐주어 보다 안정적인 페달(60)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의미가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후방 위치에는 좌우 양쪽 두 개의 보조 캐스터(28)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메인 프레임(10)의 각각의 좌우 사이드 프레임(13) 후방 위치에 아래로 연장된 캐스터 지지 포스트(27)가 구비되고, 보조 캐스터(28)는 볼 형상으로 구성되어 캐스터 브라켓에 롤링 지지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캐스터 브라켓은 그 중심부가 상대 회동 연결부를 매개로 캐스터 지지 포스트(27) 하단부에 결합됨으로써, 본 발명의 재활 운동 기구를 휠체어를 타고 다니듯이 사용할 때에 상기 보조 캐스터(28)가 후방 아래 위치에서 보조적으로 지면에 받쳐주면서 동시에 지면에서 구름 운동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보조 캐스터(28)의 상대 회동 연결부는 캐스터 브라켓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캐스터 지지 포스트(27) 하단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동 연결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캐스터(28)는 제1 휘일(20)과 제2 휘일(20)보다 후방 위치의 아래에서 의자(11) 착석자를 보다 안정적으로 받쳐주면서도 지면에서 원활한 구름 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는데 의미가 있다. 두 개의 제1 휘일(20)과 제2 휘일(20)은 상대적으로 앞쪽 위치에서 사용자를 받쳐주고 보조 캐스터(28)는 상대적으로 뒤쪽 위치에서 사용자를 받쳐주므로, 본 발명의 재활 운동기구를 보다 안정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10)에 일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방향 전환(본 발명의 재활 운동기구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터닝 휘일(30)을 구비한다.
상기 터닝 휘일(30)은 회전 중심부에 구비된 롤링 지지축을 매개로 휘일 브라켓(31)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것으로, 상기 휘일 브라켓(31)의 상부에 구비된 로터리 샤프트(34)가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페달 지지 바아(14) 후단부에 구비된 샤프트 지지보스(14SB)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터닝 휘일(30)이 메인 프레임(10)의 후방 위치에서 메인 프레임(10)에 대해 상대 회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메인 프레임(10)의 상면에서 볼 때에 터닝 휘일(30)이 메인 프레임(10)의 후방 위치에서 원형 방향(360° 방향)으로 상대 회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터닝 휘일(30)에는 별도의 커넥션 브라켓(32)이 구비된다. 커넥션 브라켓(32)은 일정 면적의 판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터닝 휘일(30)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휘일 브라켓(31)의 로터리 샤프트(34) 외주면에 구비된다. 또한, 커넥션 브라켓(32)은 휘일 브라켓(31)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쪽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10)과 터닝 휘일(30) 사이에 연결되어 메인 프레임(10) 양쪽 측면부에 구비된 휘일(20)과 나란한 방향(즉, 전후 방향)으로 터닝 휘일(30)을 정렬되도록 탄지하는 탄성체(38)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탄성체(38)가 스프링 구조이고, 터닝 휘일(30)이 상대 회전되게 지지되는 휘일 브라켓(31)에는 스프링 행거부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페달 지지 바아(14)의 저면에는 핀형상의 스프링 행거부가 구비되어, 휘일 브라켓(31)의 스프링 행거부에 구비된 걸이홀에 스프링의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페달 지지 바아(14)에 구비된 스프링 행거부에 스프링의 타단부가 결합(바람직하게, 페달 지지 바아(14)의 스프링에 행거부에 형성된 걸이홀에 스프링의 타단부가 결합)됨으로써, 평상시에 스프링의 힘에 의해 터닝 휘일(30)을 메인 프레임(10) 측면부에 있는 휘일(20)과 나란한 방향(페달 지지 바아(14)의 길이 방향과도 나란한 방향)으로 정렬하고, 상기 터닝 휘일(30)이 메인 프레임(10)을 기준으로 좌우 회동된 상태에서는 신장되어 터닝 휘일(30)을 정렬되는 방향으로 회동복귀시키려는 탄성력을 작용시키게 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10)에는 레버부재(40)가 구비된다. 메인 프레임(10)의 좌우 양쪽 사이드 프레임(13)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프레임(13)에 레버부재(40)가 회동 결합부(42)를 매개로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사이드 프레임(13)에는 돌출된 회동 지지축(42a)이 구비되고, 상기 레버부재(40)의 대략 중간 위치에는 환형 블록 형태의 회동 지지보스(42b)가 구비되어, 상기 레버부재(40)의 회동 지지보스(42b)를 메인 프레임(10)의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회동 지지축(42a) 외주면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상기 레버부재(40)가 회동 결합부(42)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메인 프레임(10)에 설치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상기 회동 지지축(42a)과 회동 지지보스(42b)가 레버부재(40)의 회동 지지부가 되며, 이러한 회동 지지부를 기준으로 레버부재(40)를 메인 프레임(10)의 전방 및 후방 위치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레버부재(40)와 터닝 휘일(30)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레버부재(40)의 조작에 따라 터닝 휘일(30)을 메인 프레임(10)에 대해 상대 회동시켜서 터닝 휘일(30)을 기준으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링크부재(50)를 구비한다.
상기 링크부재(50)는 일정 길이의 바아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링크부재(50)의 일단부는 상대 회동 작동부(54)를 매개로 레버부재(4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링크부재(50)의 타단부는 터닝 휘일(30)에 구비된 커넥션 브라켓(32)에 상대 회동 작동부(54)를 매개로 연결되어, 링크부재(50)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때, 링크부재(50)와 레버부재(40)를 연결하는 상대 회동 작동부(54)와 링크부재(50)와 터닝 휘일(30)측의 커넥션 브라켓(32)을 연결하는 상대 회동 작동부(54)는 유니버설 조인트이다. 한쪽 유니버설 조인트의 연결 조인트편은 레버부재(4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조인트볼은 볼트 등의 고정구를 매개로 링크부재(50)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유니버설 조인트를 기준으로 레버부재(40)에 대해 링크부재(50)가 상대 미끄럼되는 상대 회동 작동부(54) 기능을 할 수 있고, 다른 쪽의 유니버설 조인트의 연결 조인트편은 링크부재(50)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조인트볼은 볼트 등의 고정구를 매개로 터닝 휘일(30)측의 커넥션 브라켓(32)에 연결되어, 유니버설 조인트를 기준으로 링크부재(50)에 대해 터닝 휘일(30)의 커넥션 브라켓(32)이 상대 미끄럼되는 상대 회동 작동부(54)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니버설 조인트는 연결 조인트편의 볼결합홈에 조인트볼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것인데, 연결 조인트편의 내부에는 윤활재 챔버가 구비되고, 연결 조인트편의 일측에는 윤활제 챔버와 연통되는 주입 포트가 구비되며, 연결 조인트편의 볼결합홈 내주면에는 윤활제 챔버와 연통되는 윤활제 배급홀이 구비되어, 상기 주입 포트로 그리스와 같은 윤활제를 주입하면 윤활제 챔버와 윤활제 배급홀을 통해서 연결 조인트편과 조인트볼 사이의 결합 부위에 윤활제가 공급되어 조인트볼이 원활하게 연결 조인트편의 볼결합홈에서 원활하게 상대 회전하므로, 레버부재(40)의 회동 작동시의 운동력이 링크부재(50)를 통해 터닝 휘일(30) 쪽으로 전달되어 터닝 휘일(30)이 메인 프레임(10)의 후방 위치에서 로터리 샤프트(34)를 기준으로 상대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레버부재(40)가 회동 결합부(42)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동되면, 후술할 링크부재(50)를 통해 터닝 휘일(30)이 메인 프레임(10)을 기준으로 상대 회동될 수 있게 되며, 터닝 휘일(30)이 메인 프레임(10)의 상부에서 볼 때에 메인 프레임(1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상대 회동됨으로 인하여, 터닝 휘일(30)에 의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메인 프레임(10)의 좌우 양쪽 사이드 프레임(13)에 모두 회동 지지축(42a)이 구비되어, 상기한 회동 결합부(42)를 매개로 좌측 또는 우측에 레버부재(40)를 전후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좌측 레버부재(40) 또는 우측 레버부재(40)에 링크부재(50)를 매개로 터닝 휘일(30)을 연결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2에서는 레버부재(40)와 링크부재(50)가 우측에 구비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는 레버부재(40)와 링크부재(50)가 우측에 구비된 것 이외에는 다른 구성을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레버부재(40)에 장착된 레버 서포트 브라켓(70)에 브레이크 레버(72)가 구비되고, 브레이크 레버(72)는 터닝 휘일(30)에 설치된 브레이크 드럼(74)에 브레이킹 전달부재(73)를 매개로 연결되며, 브레이크 레버(72)의 레버부재(40) 방향으로 좁혀서 브레이크 드럼(74)에 의해 브레이킹 동작은 브레이크 리테이너핀(76)에 의해 유지되는 구성을 가진다. 브레이킹 전달부재(73)는 브레이크 레버(72)와 브레이크 드럼(74) 사이에 연결된 와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 서포트 브라켓(70)은 레버부재(40)의 외주면에 클램프 등의 고정수단으로 설치된 것으로, 레버 서포트 브라켓(70)에는 힌지부를 매개로 브레이크 레버(72)의 하단부측이 결합되어, 브레이크 레버(72)가 힌지부를 기준으로 레버부재(40)의 외주면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작동을 하게 된다. 브레이크 레버(72)가 레버부재(40)의 상하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세워져 있어서, 사용자가 손으로 레버부재(40)와 브레이크 레버(72)를 손가락을 움켜쥐는 동작을 하게 되면, 브레이크 레버(72)가 힌지부를 기준으로 레버부재(40) 방향으로 좁혀지는 작동을 하게 됨과 동시에 브레이크 레버(72)의 하단부는 상측으로 들리는 작동을 하게 된다.
상기 브레이크 레버(72)에는 브레이킹 동력 전달체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브레이킹 동력 전달체의 타단부는 상기 터닝 휘일(30)에 구비된 브레이크 드럼(74)에 연결된다. 브레이크 드럼(74)은 자전거의 바퀴에 구비된 브레이크 드럼(74)과 같이 통상의 브레이크 구조를 가지며, 상기 브레이킹 동력 전달체는 브레이크 레버(72)가 레버부재(40) 방향으로 좁혀질 때(즉, 사용자가 손으로 브레이크 레버(72)를 움켜쥘 때) 당겨지면서 브레이크 드럼(74)에 의해 터닝 휘일(30)을 브레이크시키는 와이어로 구성된다. 즉, 브레이크 드럼(74)은 터닝 휘일(30)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된 브레이크 디스크의 적어도 일면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를 통해 브레이크 레버(72)에 연결되어 브레이크 레버(72)가 사용자가 손으로 움켜지는 동작 등을 함으로 인하여 레버부재(40) 방향으로 좁혀질 때에 터닝 휘일(30)의 브레이크 디스크에 밀착되어 터닝 휘일(30)이 회전이 멈추는 브레이킹 작동이 이루어지는 브레이크 패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레버(72)와 와이어와 브레이크 드럼(74)은 자전거의 바퀴를 회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 구조를 취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중요한 것은 브레이크 리테이너핀(76)에 의해 터닝 휘일(30)의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구성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레버 서포트 브라켓(70)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브레이크 레버(72)가 힌지부를 매개로 회동(즉, 레버부재(40) 방향으로 브레이크 레버(72)가 가까워지도록 당겨져 회동)되어 브레이킹 전달부재(73)를 통해 상기 브레이크 드럼(74)이 터닝 휘일(30)을 브레이킹 작동되도록 한 상태에서 브레이크 레버(72)의 힌지부와 인접된 단부를 받쳐줌으로써 터닝 휘일(30)의 브레이킹 상태(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브레이크 리테이너핀(76)을 구비한 것이 중요하다.
상기 레버 서포트 브라켓(70)에는 양쪽 측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핀홀이 관통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리테이너핀(76)이 핀홀에 상대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핀홀 자체는 헤드부와, 이 헤드부에 이어지며 상대적으로 직경이 더 큰 브레이크 리테니잉 축부(76a)와, 이 브레이크 리테니잉 축부(76a)에 이어지면서 브레이크 리테니잉 축부(76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직경이 더 작은 서포트 축부(76b)를 구비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브레이크 레버(72)의 힌지부와 인접된 단부가 받쳐지는 상태 및 터닝 휘일(30)의 브레이킹 상태(회전 정지 상태)를 해제하도록 브레이크 리테이너핀(76)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리트릿 탄성체(78)(retreat elastic member)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리트릿 탄성체(78)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데, 이 리트릿 탄성체(78)가 브레이크 리테이너핀(76)의 헤드부와 상기 레버 서포트 브라켓(70)의 한쪽 측면(내측면) 사이에 개재되어, 브레이크 리테이너핀(76)이 눌려진 상태에서 압축되면서 브레이크 리테이너핀(76)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작용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메인 프레임(1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부에 스톱핑 부재(82)에 의해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힌지부를 매개로 상향 회동되는 팔걸이대(80)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후방 위치(구체적으로, 좌우 양쪽 사이드 프레임(13)의 후방 위치)에는 각각 서로 나란한 서포팅 포스트(18)가 구비되고, 상기 서포팅 포스트(18)에는 스톱핑 부재(82)이 구비된다. 이때, 스톱핑 부재(82)는 서포팅 포스트(18)에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스톱핑 블록으로 구성된다. 스톱핑 블록은 상면으로 연통되어 있는 팔걸이대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팔걸이대(80)는 후단부가 힌지부를 매개로 스톱핑 블록에 결합되어, 그 후단부의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향 회동되며, 팔걸이대(80)가 수평하게 펼쳐진 상태에서는 스톱핑 블록의 팔걸이대 안착홈에 팔걸이대(8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스톱핑 블록은 내부에 팔걸이대 안착홈의 일면으로 연통된 스프링 결합홈이 구비되고, 스프링 결합홈에는 스프링이 내장되며, 상기 스프링 결합홈의 선단부에는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는 스톱핑볼이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팔걸이대(80)가 스톱핑 블록의 팔걸이대 안착홈에 결합되어 수평하게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는 스톱핑볼이 팔걸이대(80)의 한쪽 측면부를 탄성적으로 누르고 있으므로, 팔걸이대(80)를 일부로 위로 밀어올리는 힘이 작용하지 않는 이상 팔걸이대(80)가 제자리에서 수평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팔걸이대(80)에는 팔을 편안하게 올려놓을 수 있도록 소프트한 재질의 쿠션재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하체가 정상적이지 못한 환자나 장애인과 같이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의자(11)에 착석한 상태에서 앞에 있는 페달(60)에 발을 얹어놓고 자전거 페달(60)을 밟듯이 페달(60)을 밟아주면, 상기 페달(60)의 회전력이 휘일(20)에 전달되어 휘일(20)이 회전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재활 운동기구를 휠체어를 타고 다니듯이 이동하면서 하체 부분(특히, 다리 부분)의 재활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특징이 되는 구성은 레버부재(40)를 당기거나 밀어주도록 회동시켜서 터닝 휘일(30)을 회동시키고, 터닝 휘일(30)의 회동에 따라 간편하게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방향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부재(40)가 제위치에 그대로 있는 평상시에는 상기 터닝 휘일(30)과 메인 프레임(10)에 연결된 탄성체(38)에 의해 터닝 휘일(30)이 메인 프레임(10)의 측면부에 장착된 휘일(20)과 나란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어서, 이러한 상태에서 페달(60)을 밟으면 본 발명의 재활 운동기구를 직선 방향으로 타고 다니면서 재활 운동을 할 수 있다.
그런데, 재활 운동기구를 타고서 방향으로 바꾸고자 할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부재(40)를 당겨주면, 링크부재(50)는 전방으로 전진 회동하고, 링크부재(50)가 전방으로 전진 회동하면, 상기 링크부재(50)에 연결되어 있는 터닝 휘일(30)이 메인 프레임(10)의 상면에서 볼 때에 우측 방향으로 회동되므로, 사용자는 본 발명의 재활 운동기구를 좌측 방향으로 방향 전환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부재(40)를 반대로 밀어주면, 링크부재(50)는 후방으로 후퇴 회동하고, 링크부재(50)가 후방으로 후퇴 회동하면, 상기 링크부재(50)에 연결되어 있는 터닝 휘일(30)이 메인 프레임(10)의 상면에서 볼 때에 좌측 방향으로 회동되므로, 사용자는 본 발명의 재활 운동기구를 우측 방향으로 방향 전환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재활 운동을 할 수 있음은 물론 레버부재(40)의 간단한 회동 동작에 의해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얼마든지 방향을 바꾸어 가면서 재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하체(특히 다리 부분)의 재활 운동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어느 한 방향으로만 이동하면서 운동하기보다는 여러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운동하는 것이 보다 좋다는 점을 고려하여, 환자 자신이 손수 원하는 방향으로 얼마든지 방향 전환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환자 자신이 재활 운동을 하면서 지루함을 느끼거나 힘이 든다는 느낌을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환자 자신의 재활 의욕도 보다 고취시킬 수 있어서 좋다.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라도 혼자 힘으로 방향 전환을 하면서 재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재활 운동기구라는 점에서 각별한 의미가 있다. 양손 중에서 적어도 한쪽 손만 사용이 가능한 사람이라면, 자기 자신이 손수 방향을 바꾸어 가면서 재활 치료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하겠다.
또한, 재활 운동실과 같은 재활 공간은 다른 환자들도 이용하는 실정이라서 운동 공간이 한정되어 있는데, 본 발명은 필요시 환자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어서, 재활 운동실과 같은 제한된 공간 내에서도 충분히 효율적으로 재활 운동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재활 운동기구를 필요한 방향으로 전환하여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은 재활 운동실과 같이 비교적 제한된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면서도 다른 사람들에게 방해가 되는 일도 유발되지 않으므로, 여러 가지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하다 하겠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메인 프레임(10)의 좌우 양쪽 사이드 프레임(13)에 모두 회동 지지축(42a)이 구비되어, 상기한 회동 결합부(42)를 매개로 좌측 또는 우측에 레버부재(40)를 전후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좌측 레버부재(40) 또는 우측 레버부재(40)에 링크부재(50)로 터닝 휘일(30)을 연결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오른손이 불편한 사람은 메인 프레임(10)의 좌측 위치에 설치된 레버부재(40)를 회동 작동시켜 터닝 휘일(30)을 돌릴 수 있고, 왼손이 불편한 사람은 메인 프레임(10)의 우측 위치에 설치된 레버부재(40)를 회동 작동시켜 터닝 휘일(30)을 돌릴 수 있으므로, 사용시 편리성과 호환성을 보다 높이게 된다. 예를 들어, 뇌졸중의 경우에는 좌측 팔과 다리 또는 우측 팔과 다리에 편마비가 오는 경우가 많은데, 오른쪽 편마비가 온 환자의 경우에는 레버부재(40)를 왼쪽에 설치하면 되고, 왼쪽 편마비가 온 환자의 경우에는 레버부재(40)를 오른쪽에 설치하면 된다. 도 12 참조.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브레이크 리테이너핀(76)이 제위치에 있는 상태(즉, 푸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브레이크 리테니잉 축부(76a)는 상기 브레이크 레버(72)의 하단부 위치에 밖으로 빠져 있는 한편, 상기 서포트 축부(76b)가 브레이크 레버(72)의 하단부를 밑에서 받치고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터닝 휘일(30)의 브레이킹 상태가 해제된 상태여서 터닝 휘일(30)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상기 브레이크 레버(72)를 손으로 움켜쥐는 동작 등에 의해 브레이크 레버(72)가 하단부측의 힌지부를 기준으로 레버부재(40)의 외주면에 상대적으로 가까워지도록 회동된 상태(이하, 편의상 브레이크 레버(72) 당김 상태라 함)로 전환한 다음, 상기 브레이크 리테이너핀(76)을 눌러주면, 브레이크 리테이너핀(76)에서 상대적으로 직경이 더 큰 브레이크 리테니잉 축부(76a)가 브레이크 레버(72)의 하단부를 받치고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 레버(72) 당김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이때, 브레이크 레버(72)는 상기 브레이크 드럼(74)에 연결하는 브레이킹 전달부재(73)(즉, 와이어)의 당기는 힘이 작용하므로, 브레이크 레버(72)의 하단부가 탄성적으로 브레이크 리테이너핀(76)의 브레이크 리테니잉 축부(76a) 외주면에 가압되어 있게 되므로, 브레이크 레버(72) 당김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터닝 휘일(30)의 브레이킹 상태로서 터닝 휘일(30)이 회전하지 않고 정지하게 된다. 한편, 브레이크 당김 상태를 해제하여 다시 터닝 휘일(30)의 브레이크 상태를 해제하려면 브레이크 레버(72)를 손으로 잡고 움켜쥐는 동작을 한번 더 실시(즉, 브레이크 레버(72)가 하단부측의 힌지부를 중심으로 레버부재(40)의 외주면 방향으로 보다 더 가까워지도록 움겨주는 동작을 한번 더 실시)하면, 브레이크 레버(72)의 하단부가 브레이크 리테이너핀(76)의 상기 브레이크 리테니잉 축부(76a) 외주면에서 위로 뜨게 되고, 이때에 상기 리테이닝 탄성체(38)가 압축된 상태에서 자체의 탄성 복원력으로 브레이크 리테이너핀(76)을 원위치로 밀어서 복귀시키며, 브레이크 리테이너핀(76)이 원위치로 복귀되면 상기 서포트 축부(76b)에 브레이크 레버(72) 하단부가 다시 가압 접촉된 상태로 되므로, 상기 터닝 휘일(30)의 회전이 가능한 브레이크 해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브레이크 리테이너핀(76)의 푸시된 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하도록 브레이크 리테이너핀(76a)의 외주면에 스톱핑 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브레이크 리테이너핀(76)에서 상대적으로 직경이 더 큰 브레이크 리테니잉 축부(76a)의 외주면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 스톱핑 돌기를 더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브레이크 리테이너핀(76)의 외주면에 스톱핑 돌기를 구비한 실시예의 경우, 브레이크 리테이너핀(76)이 평상시에 제자리에 있을 때에는 상기 스톱핑 돌기가 브레이크 레버(72)의 안쪽 측면부 위치에 있다가 상기 브레이크 리테이너핀(76)이 눌려져서 브레이크 리테니잉 축부(76a)가 브레이크 레버(72)의 하단부를 받쳐주는 브레이크 상태일 때에는 상기 스톱핑 돌기가 브레이크 레버(72)의 바깥쪽 측면부에 걸려진 상태가 되므로, 상기 브레이크 리테이너핀(76)의 헤드부가 있는 단부와 반대되는 단부에서 임의로 누르는 등의 힘(즉, 브레이크 리테이너핀(76)을 원위치로 강제로 복귀시키는 외부의 누르는 등의 힘)에 의해 브레이크 리테이너핀(76)이 다시 원래 위치로 눌려지는 경우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이처럼 브레이크 리테이너핀(76)이 스톱핑 돌기에 의해 완전하게 브레이크 레버(72) 당김 상태를 유지한다는 것은 상기 터닝 휘일(30)의 정지 상태(즉, 브레이크 상태)를 완전하게 유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물론, 상기 브레이크 당김 상태를 해제하여 다시 터닝 휘일(30)의 브레이크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브레이크 레버(72)를 손으로 잡고 움켜쥐는 동작을 한번 더 실시하면, 브레이크 레버(72)의 하단부가 브레이크 리테이너핀(76)의 상기 브레이크 리테니잉 축부(76a) 외주면에서 위로 뜨게 됨과 동시에 브레이크 리테이너핀(76) 외주면의 스톱핑 돌기가 브레이크 레버(72)의 하단부에 걸리지 않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리트릿 탄성체(78) 의해 브레이크 리테이너핀(76)을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터닝 휘일(30)의 브레이크 상태에서는 브레이크 리테이너핀(76)을 이용하여 터닝 휘일(30)의 브레이크 상태를 완전하게 유지하게 되므로, 재활 환자가 본 발명의 재활 운동기구를 휠체어식으로 타고 다니면서 재활 운동을 하다가 정지시킬 필요가 있을 때에는 보다 안정적으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사용성 등에서 매우 우수하다. 재활 환자가 재활 운동기구를 정지시키고 잠시 휴식을 취하거나 하는 등의 경우에 본 발명의 활용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터닝 휘일(30)의 브레이크 상태를 해제하고자 할 때에 브레이크 레버(72)를 한번 더 움켜쥐는 작동을 하기만 하면 되므로, 재활 운동기구의 정지상태에서 이동 상태로 전환하여 다시 재활 운동을 실시하기가 보다 편리하다. 그리고, 레버부재(40)를 회동시키지 않은 제위치에서는 항시 터닝 휘일(30)이 직선 방향(휘일(20)과 나란한 방향)으로 자동 정렬되므로, 사용시의 편리성을 보다 높인다는 점도 중요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팔걸이대(80)가 구비되고, 팔걸이대(80)는 상향 회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환자가 의자(11)에 앉을 때에는 팔걸이대(80)를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향 회동시켜 놓음으로써, 환자가 의자(11)에 착석할 때에 팔걸이대(80)가 걸리적거려서 착석시의 불편함이 초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재활 운동시에는 팔걸이대(80)를 수평으로 펼쳐서 그 위에 팔을 편안하게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성 등에서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레버부재(40)를 회동시키면 링크부재(50)를 매개로 회동력이 터닝 휘일(30)에 전달되어, 터닝 휘일(30)의 회동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레버부재(40)와 링크부재(50)는 유니버설 조인트를 매개로 연결되고, 링크부재(50)와 터닝 휘일(30)도 유니버설 조인트로 연결되어 있어서, 터닝 휘일(30)의 회동 동작이 전달되는 연결 부분이 전방위 상대 회동(상대 슬립)되므로, 동력 전달 작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메인 프레임(10)에 구비된 서포팅 포스트(18)의 조절홀(18h)과 핸들(19)의 승강 조절 셋팅홀(19h)이 만난 상태에서 고정핀이나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는 고정볼이 승강 조절 셋팅홀(19h)과 조절홀(18h)에 공통으로 결합되어 상기 서포팅 포스트(18)에 대해 핸들(19)의 상대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환자 보호자 등이 재활 운동기구를 이동할 때에 편리성을 보다 높이게 된다. 키가 상대적으로 큰 사람이나 상대적으로 작은 사람에 맞추어 핸들(19)의 높낮이를 조절하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의 보다 높이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메인 프레임 12. 가로 지지 바아
13. 사이드 프레임 13a. 하부 프레임 바아
13b. 상부 프레임 바아 13c. 프론트 연결 바아
13d. 리어 연결 바아 14. 페달 지지 바아
14SB. 샤프트 지지보스 15. 결합 가이드편
15a. 바아 결합홈부 15h. 체결구 결합홀
16. 픽싱 그립편 16a. 바아 서포팅 홈부
16h. 체결구 관통홀 19. 핸들
19a. 직립 결합부 19b. 파지부
19h. 승강 조절 셋팅홀 20. 휘일
22. 회전 샤프트 25. 보조 휘일 브라켓
26. 보조 휘일 27. 캐스터 지지 포스트
28. 보조 캐스터 30. 터닝 휘일
31. 휘일 브라켓 32. 커넥션 브라켓
34. 로터리 샤프트 38. 탄성체
40. 레버부재 42. 회동 결합부
42a. 회동 지지축 42b. 회동 지지보스
50. 링크부재 54. 상대 회동 작동부
60. 페달 62. 페달 로터축
64. 제1페달 링크 66. 제2페달 링크
68. 커버부재 70. 레버 서포트 브라켓
72. 브레이크 레버 73. 브레이킹 전달부재
74. 브레이크 드럼 76. 브레이크 리테이너핀
76a. 브레이크 리테이닝 축부 76b. 서포트 축부
78. 리트릿 탄성체 80. 팔걸이대
82. 스톱핑 부재

Claims (7)

  1. 메인 프레임(1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장착된 적어도 두 개의 휘일(2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일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방향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터닝 휘일(3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구비된 레버부재(40)와;
    상기 레버부재(40)와 상기 터닝 휘일(30)에 연결되어 상기 레버부재(40)의 조작에 따라 상기 터닝 휘일(30)을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대해 상대 회동시켜서 상기 터닝 휘일(30)을 기준으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링크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전방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휘일(20)에 동력 전달수단을 매개로 연결된 페달(60)을 포함하며, 상기 페달(60)을 밟음에 따라 상기 휘일(20)이 회전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운동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40)는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적어도 한쪽 측면부에 회동 결합부(42)를 매개로 장착되어 상기 회동 결합부(42)를 기준으로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전후 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터닝 휘일(30)은 상부로 연장된 로터리 샤프트(34)가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휘일(20)의 후방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터닝 휘일(30)과 상기 레버부재(40)에 상기 링크부재(50)의 양단부가 각각 상대 회동 작동부(54)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링크부재(50)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운동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40)의 상기 회동 결합부(42)는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적어도 한쪽 측면부로 돌출된 회동 지지축(42a)과, 상기 레버부재(40)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 지지축(42a)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동 지지보스(42b)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부재(40)가 상기 회동 결합부(42)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링크부재(50)를 통해 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터닝 휘일(30)이 상기 메인 프레임(10)을 기준으로 상대 회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운동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40)에 장착된 레버 서포트 브라켓(70)과, 상기 레버 서포트 브라켓(70)에 힌지부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레버부재(40)에 설치된 브레이크 레버(72)와, 상기 터닝 휘일(30)에 구비되며 상기 브레이크 레버(72)에 브레이킹 전달부재(73)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브레이크 레버(72)의 작동시 상기 터닝 휘일(30)의 자체 회전 동작을 멈추는 브레이킹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브레이크 드럼(74)과, 상기 레버 서포트 브라켓(70)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브레이크 레버(72)가 상기 힌지부를 매개로 회동되어 상기 브레이킹 전달부재(73)를 통해 상기 브레이크 드럼(74)이 상기 터닝 휘일(30)을 브레이킹 작동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 레버(72)의 상기 힌지부와 인접된 단부를 받쳐주어 상기 터닝 휘일(30)의 브레이킹 상태를 유지하는 브레이크 리테이너핀(76)과, 상기 브레이크 레버(72)의 상기 힌지부와 인접된 단부가 받쳐지는 상태 및 상기 터닝 휘일(30)의 브레이킹 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브레이크 리테이너핀(76)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리트릿 탄성체(7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운동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부에는 스톱핑 부재(82)에 의해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힌지부를 매개로 상향 회동되는 팔걸이대(8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운동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0)과 상기 터닝 휘일(3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터닝 휘일(30)을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장착된 상기 휘일(20)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탄지하는 힘을 가하는 탄성체(3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운동기구.
KR1020120150348A 2012-12-21 2012-12-21 재활 운동기구 KR201400810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348A KR20140081044A (ko) 2012-12-21 2012-12-21 재활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348A KR20140081044A (ko) 2012-12-21 2012-12-21 재활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044A true KR20140081044A (ko) 2014-07-01

Family

ID=51732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0348A KR20140081044A (ko) 2012-12-21 2012-12-21 재활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104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3422A (zh) * 2019-05-23 2019-07-16 河南医学高等专科学校 一种中医科用康复训练装置
CN110074942A (zh) * 2019-05-27 2019-08-02 北京理工华汇智能科技有限公司 具有伸缩功能的康复训练装置及康复轮椅
KR102159069B1 (ko) * 2020-05-28 2020-09-23 한승헌 페달형 휠체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3422A (zh) * 2019-05-23 2019-07-16 河南医学高等专科学校 一种中医科用康复训练装置
CN110074942A (zh) * 2019-05-27 2019-08-02 北京理工华汇智能科技有限公司 具有伸缩功能的康复训练装置及康复轮椅
KR102159069B1 (ko) * 2020-05-28 2020-09-23 한승헌 페달형 휠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0615B1 (en) Aerobic wheelchair attachment
KR101710437B1 (ko) 듀얼 구동 휠체어
US6135930A (en) Exercise device for recuperation
WO2010140560A1 (ja) 移乗・移動装置
JP3195646U (ja) 車椅子
KR101741373B1 (ko) 휠체어
JP3644926B2 (ja) 歩行補助車
TW201304760A (zh) 移動車
KR20140081044A (ko) 재활 운동기구
WO2008018114A1 (fr) Aide à la marche
CN113662763A (zh) 一种具有康复训练功能的智能轮椅
JP3159622U (ja) 車椅子
JP5344399B2 (ja) 歩行補助装置
JP2001178788A (ja) 歩行補助車
KR101256195B1 (ko) 침대형 재활용 운동장치
JP3185293U (ja) リハビリ用車椅子
KR102026178B1 (ko) 휠체어용 수동식 구동장치
KR101506566B1 (ko) 수동 휠체어
CN218923020U (zh) 一种新型转移轮椅车
JP4617718B2 (ja) 電動車椅子
JP2015213747A (ja) 介護用移乗補助装置
TWI737251B (zh) 具復健功能之輪椅
JPH11235362A (ja) 2輪同時に制動させる木製車椅子の制動方法
KR101538407B1 (ko) 상지 근력 강화 보조 장치
CN215459416U (zh) 一种新型轮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