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069B1 - 페달형 휠체어 - Google Patents

페달형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069B1
KR102159069B1 KR1020200063956A KR20200063956A KR102159069B1 KR 102159069 B1 KR102159069 B1 KR 102159069B1 KR 1020200063956 A KR1020200063956 A KR 1020200063956A KR 20200063956 A KR20200063956 A KR 20200063956A KR 102159069 B1 KR102159069 B1 KR 102159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wheel
frame
coupled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헌
Original Assignee
한승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헌 filed Critical 한승헌
Priority to KR1020200063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0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2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 A61G5/02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having particular operating means
    • A61G5/025Le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67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backrest relative to the seat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7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positioning the whole seat forward or rearwa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5Reciprocating movement along, in or on a guid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87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a seat or torso support moving during the exercise, e.g. refor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페달형 휠체어는 휠체어의 기본 골조를 이룬 상태에서 시트의 견고한 안착을 가능하게 하는 메인 프레임 모듈(100); 상기 메인 프레임 모듈(100)의 하측에 결합되는 휠 프레임 모듈(200); 상기 메인 프레임 모듈(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에 따른 슬라이딩 및 등받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시트 프레임(300); 상기 휠 프레임 모듈(200)의 전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하체를 이용한 구동력을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하게 하는 동력 발생부(400); 및 상기 메인 프레임 모듈(100)을 이루는 메인 프레임(110)을 가로질러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시트 프레임(300)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보강 브라켓(500);을 포함하고, 상기 휠 프레임 모듈(200)은,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하부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후단에 조향 바퀴(270)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휠 프레임 바디(210) 및 상기 휠 프레임 바디(210)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보조 바퀴(260) 상에 연결되는 휠 프레임 윙(220)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 발생부(400)는 양단에 페달(420)이 형성된 크랭크 암(410), 상기 휠 프레임 바디(210)의 전단에 형성된 크랭크 연결구(211)를 통해 관통 결합된 크랭크 축(430), 상기 크랭크 암(410)의 회전을 메인 바퀴(250)의 축으로 전달하는 체인 내지 벨트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수단(440)을 구비하고, 상기 페달(420)을 이용하여 이동과 운동을 병행하게 하는 것과 동시에 레일 방식으로 구동하는 시트를 통해 전후 방향으로 좌석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좌석의 등받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페달형 휠체어{Pedal wheelchair}
본 발명은 페달형 휠체어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페달을 이용하여 이동 및 운동을 병행하게 하는 것과 동시에 레일 방식의 시트를 통한 전후 방향을 따른 좌석 이동 및 좌석의 등받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인구 고령화, 난치성 질환, 교통사고 및 산업 재해로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폭발적으로 늘고 있는 가운데 휠체어 사용의 필요성이 커지는 추세이다.
특히, 고령, 선·후천적 장애, 뇌출혈, 뇌경색, 뇌종양, 척추손실, 편마비, 심폐 질환 등을 원인으로 한 재활치료환자의 재활 성공 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환자뿐만 아니라 보호자들도 일상생활로의 복귀에 대한 니즈가 상승하고 있다.
재활치료환자들은 혼자서 보행과 관련된 재활운동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기존의 수동형휠체어의 경우에는 상체만 사용함으로서 하체 발달이 불가능 하였으며, 편마비 환자 또는 상체 부상 및 수술 환자의 경우엔 상체의 힘이 상대적으로 약함에 따라 휠체어의 진행 및 제동이 어려움이 있다.
기존의 수동형 휠체어를 이용하여 하체 운동을 진행하다가 많은 낙상사고가 발생하고, 전동 휠체어의 경우 기동성은 있으나 운동능력저하, 높은 사고율, 배터리 및 A/S의 한계들의 단점이 많다.
한편, 코끼리 자전거로 호칭되는 수동식 하체 운동 기구의 경우 정적인 운동 방식을 가지며, 큰 부피로 인하여 환자 수 대비하여 매우 적게 비치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종래 기술에서 기존 수동형 휠체어의 작동 방식으로는 재활환자의 하체 기능 강화를 수행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는바,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페달을 이용하여 이동과 운동을 병행하게 하는 것과 동시에 레일 방식으로 구동하는 시트를 통해 전후 방향으로 좌석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좌석의 등받이 조절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운동 범위를 확대하고 운동의 효율을 높이며 보호자 없이 스스로 운동을 가능하게 한 페달형 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레일 방식을 시트의 전후 이동 및 좌석의 등받이 조절을 통하여 리컴번트 타입의 휠체어 타입 구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공기 저항의 최소화, 무게중심 저하를 통한 부상 위험 저하 및 넓은 시야 확보를 구현하여 결과적으로 운동 범위 확대 및 운동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페달형 휠체어는 휠체어의 기본 골조를 이룬 상태에서 시트의 견고한 안착을 가능하게 하는 메인 프레임 모듈(100); 상기 메인 프레임 모듈(100)의 하측에 결합되는 휠 프레임 모듈(200); 상기 메인 프레임 모듈(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에 따른 슬라이딩 및 등받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시트 프레임(300); 상기 휠 프레임 모듈(200)의 전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하체를 이용한 구동력을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하게 하는 동력 발생부(400); 및 상기 메인 프레임 모듈(100)을 이루는 메인 프레임(110)을 가로질러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시트 프레임(300)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보강 브라켓(500);을 포함하고, 상기 휠 프레임 모듈(200)은,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하부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후단에 조향 바퀴(270)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휠 프레임 바디(210) 및 상기 휠 프레임 바디(210)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보조 바퀴(260) 상에 연결되는 휠 프레임 윙(220)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 발생부(400)는 양단에 페달(420)이 형성된 크랭크 암(410), 상기 휠 프레임 바디(210)의 전단에 형성된 크랭크 연결구(211)를 통해 관통 결합된 크랭크 축(430), 상기 크랭크 암(410)의 회전을 메인 바퀴(250)의 축으로 전달하는 체인 내지 벨트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수단(440)을 구비하고, 상기 페달(420)을 이용하여 이동과 운동을 병행하게 하는 것과 동시에 레일 방식으로 구동하는 시트를 통해 전후 방향으로 좌석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좌석의 등받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휠 프레임 모듈(200)은, 상기 휠 프레임 바디(210)의 상단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시트 프레임(300)에 결합되는 휠 프레임 상부체(230) 및 상기 동력전달수단(440)을 통해 상기 크랭크 암(410)에서 동력을 전달받는 스프라켓이 결합되는 스프라켓 고정부(250A)를 포함한다.
상기 시트 프레임(300)은, 사용자가 착석하는 부분으로서 둔부가 접촉하는 시트부(310), 사용자의 등과 허리가 접촉하는 등받이부(320), 상기 등받이부(320)와 시트부(310)의 연결부위를 구성하는 시트 힌지부(330), 상기 시트부(310)의 하단에 배치되는 슬라이드부(350) 및 상기 슬라이드부(35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드부(350)에 의해 관통 결합되는 레일부(340)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시트 부위를 따라 시트 프레임(300)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휠 프레임 모듈(200) 및 상기 보강 브라켓(500)을 통해 상기 레일부(340)가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부(350)의 이동을 통해 상기 시트부(310)의 전후 이동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인 페달형 휠체어는 페달을 이용하여 이동과 운동을 병행하게 하는 것과 동시에 레일 방식의 시트를 통해 전후 방향으로 좌석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좌석의 등받이 조절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보호자 없이 스스로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고정식 시트가 아닌 레일 방식의 시트로 앞뒤 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하나의 기구로 다수가 이용 가능하게 한다. 또한, 리클라이너 방식의 등받이로 각도 조절을 함으로써 허리 통증 환자 및 심폐질환 환자들에게도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레일 방식을 시트의 전후 이동 및 좌석의 등받이 조절을 통하여 리컴번트 타입의 휠체어 타입 구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공기 저항의 최소화, 무게중심 저하를 통한 부상 위험 저하 및 넓은 시야 확보를 구현하여 결과적으로 운동 범위 확대 및 운동 효율을 증가시키게 한다.
본 발명은 안전 벨트 및 보조 바퀴를 통해 안전성을 증대하고, 휠체어 프레임과 좌석 간에 스프링 연결 구조를 통해 안정성 및 승차감을 상승하게 한다.
본 발명은 한손을 통해 핸들 및 브레이크를 사용 가능 가능하게 한 원터치 브레이크를 구현하고, 핸드 브레이크와 보조 브레이크를 통한 2중 브레이크를 통해 안전사고를 미연에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본 발명은 이동 수단인 휠체어에 재활의 기능을 결합한 페달형 휠체어로 즐겁고, 흥미롭게 이동과 운동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고, 재활과 이동을 한 번에 함으로써 환자의 자신감·만족도·자립심 상승 및 그로 인한 치료에 긍정적 효과 및 삶의 질 향상을 기대하게 한다.
또한, 보호자 또는 치료사가 동반하지 않더라도 안전하게 운용 가능하여 인력 손실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핸들 작동과 동일한 방향을 따른 정방향 조향을 통한 쉬운 조작을 시행하고 메모리폼 좌석을 장착하여 욕창 및 2차 피해를 예방한다.
또한, 기성 부품을 최대한 활용하여 제작 단가 및 공정 간소화를 통해 국산화와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고, 추후 휠체어용 롤러 개발과 VR 서비스를 도입하여 환자의 주거지 또는 관광지 등을 체험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달형 휠체어의 구성을 보이는 측면도를 보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형 휠체어를 보이는 정면도를 보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페달형 휠체어를 이루는 메인 프레임의 구성을 보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형 휠체어를 이루는 휠 프레임의 의 구성을 보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형 휠체어를 이루는 휠 프레임의 정면도를 보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페달형 휠체어를 이루는 시트 프레임의 구성을 보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페달형 휠체어를 이루는 시트 프레임의 평면도를 보인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페달형 휠체어를 이루는 지지 프레임의 구성을 보인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형 휠체어를 이루는 지지 프레임의 정면도를 보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페달형 휠체어는 휠체어의 기본 골조를 이룬 상태에서 시트의 견고한 안착을 가능하게 하는 메인 프레임 모듈(100), 메인 프레임 모듈(100)의 하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휠 및 페달 등이 결합되는 휠 프레임 모듈(200), 메인 프레임 모듈(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에 따른 슬라이딩 및 등받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시트 프레임(300), 휠 프레임 모듈(200)의 전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페달형 휠체어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하체를 이용한 직접 구동력을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하게 하는 동력 발생부(400) 및 메인 프레임 모듈(100)을 이루는 시트 고정 부위를 가로질러 배치된 상태에서 시트 프레임(300)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보강 브라켓(500)을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 모듈(100)은 종래의 휠체어와 동일한 구성으로 의자 형상을 갖는 메인 프레임(110), 메인 프레임(110)의 좌석 후방 부위와 휠 연결 부위 사이를 연결고정하는 보조 프레임(120), 메인 프레임(110)의 좌석 후방 부위에서 연장되어 휠 프레임 모듈(200)에 연결되는 후방 지지 브래킷(130), 메인 프레임(110)의 등받이 부위와 좌석 상단을 연결하는 측방 브래킷(140) 및 메인 프레임(110)의 하단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휠 프레임 모듈(200)과 메인 휠 상에 고정되는 휠 고정 브라켓(150)을 포함한다. 휠 고정 브라켓(150)은 메인 휠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휠 고정 그루브(151) 및 휠 프레임 모듈(200)과 결합되는 제1 프레임 고정 그루브(152)를 갖는다.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프레임 모듈(100)은 휠 고정 브라켓(150)의 양측에 주행을 위한 한 쌍의 메인바퀴(250)가 결합되고, 메인 프레임(110)의 상단(111)을 통해 손잡이(112)가 결합된다.
메인바퀴(250)는 주행 중 펑크 발생을 방지하는 non-flat tire를 사용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휠 프레임 모듈(200)은 메인 프레임(110)의 하부 상에서 한 쌍의 메인바퀴(250) 사이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휠 프레임 바디(210), 휠 프레임 바디(210)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져 보조 바퀴(260) 상에 연결되는 휠 프레임 윙(220), 휠 프레임 바디(210)의 상단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시트 프레임(300)에 결합되는 휠 프레임 상부체(230) 및 스프라켓 고정부(250A)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라켓 고정부(250A)는 동력 발생부(400)에서 전달된 동력을 전달받는 스프라켓(미도시)이 고정되는 스프라켓 고정 그루브(251) 및 제1 프레임 고정 그루브(152)과 연결 고정되는 제2 프레임 고정 그루브(252)를 갖는다.
휠 프레임 바디(210)는 그 전단에 형성된 크랭크 연결구(211)를 통해 관통 결합된 크랭크 축(43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특히, 크랭크 축(430)의 원활한 회전 구동을 위해 베어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휠 프레임 바디(210)는 그 후단에 조향 바퀴(270)의 결합이 가능하다. 상기 조향 바퀴(270)는 지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되, 외력 즉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진행방향이 조절됨에 따라 메인 바퀴(250)의 회전 시 휠체어의 진행방향을 조정하는 바퀴로서 메인 프레임(110) 후방 하부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인 바퀴(250)의 후방 측에서 휠 프레임 바디(210) 후측에 결합될 수 있다.
휠 프레임 윙(220)의 양측 하부에는 하중을 분담함으로 안정적인 자세유지를 역할의 전방향 조정 가능한 보조 바퀴(260)가 결합된다. 이와 같은 비전동형 휠체어는 통상적으로 보호자가 뒤쪽에서 밀어주거나 사용자가 손을 통해 메인바퀴(250)를 직접 돌려줌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메인 바퀴(250)의 외측으로 손잡이가 형성되기도 하며, 사용자의 환경을 고려하여 적절한 타입의 바퀴를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조바퀴(260)는 메인바퀴(250)와 함께 중량을 분담하여 넘어짐을 방지하게 되며, 수평방향을 따라 360도 조절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어 이동방향에 따라 자연스럽게 방향이 조절되며 결과적으로 메인 프레임(110)을 지지한다.
동력 발생부(400)는 사용자가 시트 프레임(300)에 앉은 자세에서 미끌림 방지 기능을 갖는 페달(420)을 통해 휠체어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하지 운동을 위해 자전거 구동방식을 차용함에 따라 양단에 페달(420)이 형성된 크랭크 암(410)과, 상기 크랭크 암(410)의 회전을 메인 바퀴(250)의 축으로 전달하는 체인이나 벨트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수단(440)을 구비하게 된다. 즉, 크랭크축(430)을 중심으로 하여 페달(420)과 크랭크 암(410)을 통한 회전 운동을 동력전달수단(440)을 통해 스프라켓 고정부(250A)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스프라켓에 전달한다. 이후, 상기 스프라켓과 동일한 회전축으로 연결된 메인 바퀴(250)를 회전 구동하게 하여 전후 방향을 따른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구동구조는 통상의 자전거의 구동구조를 통해 어렵지 않게 도출될 수 있음에 따라 본 발명의 취지가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시트 프레임(300)은 메인프레임(110)의 시트 부위 상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착석하는 부분으로서 둔부가 접촉하는 시트부(310), 사용자의 등과 허리가 접촉하는 등받이부(320), 등받이부(320)와 시트부(310)의 연결부위를 구성하는 시트 힌지부(330), 시트부(310)의 하단에 배치되는 슬라이드부(350) 및 슬라이드부(35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드부(350)이 관통 결합되는 것과 동시에 휠 프레임 모듈(200) 등에 고정되는 레일부(340)를 포함한다.
시트부(310)는 메모리폼 좌석을 장착하여 욕창 및 2차 피해를 예방한다.
등받이부(320)는 시트 힌지부(330)에 형성된 각도 조절 기능을 통해서 다단계에 걸쳐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예시적으로는, 직각으로 형성된 초기 상태에서 후방으로 30도 및 45도 정도로 기울어지게 각도 조절할 수 있다. 등받이부(320) 상에는 기존의 허리만 감싸는 안전 벨트에서 X자 형상의 안전벨트를 채용한다.
등받이부(320) 및 시트부(310)는 일반 시트형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의 체형에 맞춤형으로 제작된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신체상태에 따라 자세 불안정으로 인한 낙상을 방지하기 위해 신체 일부를 고정할 수 있는 구속구가 적절히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단일 규격의 휠체어를 통해 다양한 사용자의 신체 규격에 맞춰 사용 가능하도록 레일부(340) 및 슬라이드부(350)를 구비하여, 이를 통해 등받이부(320) 및 시트부(310)를 전후 방향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이동하며 위치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레일부(340)는 복수개 중 일부가 휠 프레임 상부체(230) 상에 결합되어져 휠 프레임 모듈(200) 상에 지지된다. 한편, 레일부(340)는 복수개 중 다른 일부가 보강 브라켓(500)을 이루는 보강 가로부재(510) 상에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통해, 메인 프레임(110)의 시트 부위를 따라 시트 프레임(300)이 배치된 상태에서, 휠 프레임 모듈(200)을 이루는 휠 프레임 상부체(230) 및 보강 브라켓(500)을 통해 복수의 레일부(340)가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레일부(340)를 관통하여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부(350)의 이동을 통해 상기 시트부(310)의 전후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메인 프레임(110)의 내측에 별도의 구동 레일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 레일의 내측을 따라 전후 길이방향으로 톱니를 형성하되, 시트부(310) 하측에는 상기 톱니와 결합하며 전후 방향 회전축을 갖는 웜 기어를 설치한다. 상기 상태에서, 별도의 툴을 사용하여 외측에 노출된 웜기어의 회전축을 돌려주어 시트부(310)를 이동시키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레일부(340)와 휠 프레임 상부체(230) 사이 또는 레일부(340)와 보강 브라켓(500) 사이에는 스프링 연결 구조를 통해서 착석감 및 안정감을 향상하게 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보강 브라켓(500)은 메인 프레임(110)의 시트 부위 양측을 가로지르도록 연결하는 보강 가로부재(510), 보강 가로부재(510)의 양측단에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메인 프레임(110)의 양측 상에 고정되는 보강 수직부재(520) 및 보강 가로부재(510) 상에 배치되는 레일 지지부재(530)를 구비한다.
핸들부(미도시)는 보강 브라켓(500)을 이루는 보강 수직부재(520) 중 어느 하나의 보강 수직부재 상에 결합되는 핸들 지지부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좌우회동함에 따라 조향 바퀴(270)를 움직일 수 있도록 링크 수단을 통해 조향 바퀴(270)와 연결된다. 상기 링크수단은 대표적으로 와이어를 비롯하여 다양한 기계적인 구조로 구현되어 핸들부의 좌우 회동에 대응하여 조향 바퀴의 진행 방향이 좌우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핸들부에 레버를 구비하여 이를 잡아줌으로 선택되는 바퀴의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브레이크가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핸들부 상에는 핸드 브레이크와 보조 브레이크를 통한 2중 브레이크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2중 브레이크 시스템은 기존의 기성 제품 상에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는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핸들부를 조작하는 경우에, 가고자 하는 방향으로 핸들부를 회전하는 경우에, 동일한 방향으로 휠체어의 회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정방향에 따른 조향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레일 방식을 시트의 전후 이동 및 좌석의 등받이 조절을 통하여 리컴번트 타입의 휠체어 타입 구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인 환자의 자세 또는 특성에 따라 안정적이고 편한 자세를 유지하게 한다. 즉, 기존의 휠체어 사용 시에 활용한 바 있는 도구인 부목, 링거줄 또는 고무줄 등으로 환자를 고정하는 억지스러움 및 구속성으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차별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레일을 이용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환자들의 편의에 따라 사이즈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환자의 상황 및 상태에 맞는 자세를 구현하게 함으로써 리클라이너 식으로 편안한 휠체어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공기 저항의 최소화, 무게중심 저하를 통한 부상 위험 저하 및 넓은 시야 확보를 구현하여 결과적으로 운동 범위 확대 및 운동 효율을 증가시키게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메인 프레임 모듈
200 : 휠 프레임 모듈
300 : 시트 프레임
400 : 동력 발생부
500 : 보강 브라켓

Claims (1)

  1. 휠체어의 기본 골조를 이룬 상태에서 시트의 견고한 안착을 가능하게 하는 메인 프레임 모듈(100);
    상기 메인 프레임 모듈(100)의 하측에 결합되는 휠 프레임 모듈(200);
    상기 메인 프레임 모듈(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에 따른 슬라이딩 및 등받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시트 프레임(300);
    상기 휠 프레임 모듈(200)의 전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하체를 이용한 구동력을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하게 하는 동력 발생부(400); 및
    상기 메인 프레임 모듈(100)을 이루는 메인 프레임(110)을 가로질러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시트 프레임(300)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보강 브라켓(500);을 포함하고,
    상기 휠 프레임 모듈(200)은,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하부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후단에 조향 바퀴(270)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휠 프레임 바디(210) 및 상기 휠 프레임 바디(210)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보조 바퀴(260) 상에 연결되는 휠 프레임 윙(220)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 발생부(400)는 양단에 페달(420)이 형성된 크랭크 암(410), 상기 휠 프레임 바디(210)의 전단에 형성된 크랭크 연결구(211)를 통해 관통 결합된 크랭크 축(430), 상기 크랭크 암(410)의 회전을 메인 바퀴(250)의 축으로 전달하는 체인 내지 벨트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수단(440)을 구비하고,
    상기 페달(420)을 이용하여 이동과 운동을 병행하게 하는 것과 동시에 레일 방식으로 구동하는 시트를 통해 전후 방향으로 좌석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좌석의 등받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휠 프레임 모듈(200)은,
    상기 휠 프레임 바디(210)의 상단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시트 프레임(300)에 결합되는 휠 프레임 상부체(230) 및 상기 동력전달수단(440)을 통해 상기 크랭크 암(410)에서 동력을 전달받는 스프라켓이 결합되는 스프라켓 고정부(250A)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라켓 고정부(250A)는 상기 동력 발생부(400)에서 전달된 동력을 전달받는 스프라켓이 고정되는 스프라켓 고정 그루브(251) 및 제1 프레임 고정 그루브(152)와 연결 고정되는 제2 프레임 고정 그루브(252)를 구비하며,
    상기 시트 프레임(300)은,
    사용자가 착석하는 부분으로서 둔부가 접촉하는 시트부(310), 사용자의 등과 허리가 접촉하는 등받이부(320), 상기 등받이부(320)와 상기 시트부(310)의 연결부위를 구성하는 시트 힌지부(330), 상기 시트부(310)의 하단에 배치되는 슬라이드부(350) 및 상기 슬라이드부(35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드부(350)에 의해 관통 결합되는 레일부(340)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시트 부위를 따라 상기 시트 프레임(300)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휠 프레임 모듈(200) 및 상기 보강 브라켓(500)을 통해 상기 레일부(340)가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부(350)의 이동을 통해 상기 시트부(310)의 전후 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레일부(340)는 복수개 중 일부가 상기 휠 프레임 상부체(230) 상에 결합되어 상기 휠 프레임 모듈(200) 상에 지지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보강 브라켓(500)을 이루는 보강 가로부재(510) 상에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보강 브라켓(500)은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시트 부위 양측을 가로지르도록 연결하는 보강 가로부재(510), 상기 보강 가로부재(510)의 양측단에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양측 상에 고정되는 보강 수직부재(520) 및 상기 보강 가로부재(510) 상에 배치되는 레일 지지부재(530)를 구비하고,
    핸들부는 상기 보강 브라켓(500)을 이루는 상기 보강 수직부재(520) 중 어느 하나의 보강 수직부재 상에 결합되는 핸들 지지부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좌우회동함에 따라 상기 조향 바퀴(270)를 움직일 수 있도록 링크 수단을 통해 조향 바퀴(270)와 연결되며,
    상기 동력전달수단(440)은 휠체어의 전방을 향하여 위치하는, 페달형 휠체어.
KR1020200063956A 2020-05-28 2020-05-28 페달형 휠체어 KR102159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956A KR102159069B1 (ko) 2020-05-28 2020-05-28 페달형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956A KR102159069B1 (ko) 2020-05-28 2020-05-28 페달형 휠체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254 Division 2019-04-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9069B1 true KR102159069B1 (ko) 2020-09-23

Family

ID=72708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956A KR102159069B1 (ko) 2020-05-28 2020-05-28 페달형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06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1044A (ko) * 2012-12-21 2014-07-01 주식회사 해피빌리지 재활 운동기구
KR20160132180A (ko) * 2015-05-06 2016-11-17 주식회사 위드알앤에이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
KR101708123B1 (ko) * 2015-09-03 2017-02-22 송훈민 휠체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1044A (ko) * 2012-12-21 2014-07-01 주식회사 해피빌리지 재활 운동기구
KR20160132180A (ko) * 2015-05-06 2016-11-17 주식회사 위드알앤에이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
KR101708123B1 (ko) * 2015-09-03 2017-02-22 송훈민 휠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5871B2 (en) Transfer and locomotion apparatus
US9016715B2 (en) Mobility device
US9248071B1 (en) Walking, rehabilitation and exercise machine
WO2012144085A1 (ja) 三輪型足漕ぎ式車椅子
KR20140088757A (ko) 기립 보조형 휠체어
US20160270988A1 (en) Modularized mobility device
TWI589287B (zh) Moving car
KR101787555B1 (ko) 골반의 움직임이 구현된 보행보조장치
KR102046151B1 (ko) 계단승강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JP6704508B2 (ja) 介助装置
CN111228089B (zh) 一种穿戴式可伸缩下肢外骨骼助力装置
JP2016064021A (ja) 動作支援装置
JP5464642B2 (ja) 三輪型足漕ぎ式車椅子
US20120232442A1 (en) Gait training device
KR102159069B1 (ko) 페달형 휠체어
JP2008011989A (ja) 車椅子
CN109394439A (zh) 具有充气坐垫的运动康复轮椅
US4384732A (en) Walking aid
JP6298614B2 (ja) 歩行車
US20180271724A1 (en) Motor vehicle with a mobile vehicle seat
KR20180025712A (ko) 하지 강화 재활운동을 위한 페달형 휠체어
WO2016019624A1 (zh) 一种腿部康复护理移动椅
KR101814900B1 (ko) 방향성 캐스터를 이용한 자전거
KR20100098877A (ko) 수동 킥보드
JP2016116823A (ja) 三輪の車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