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8123B1 - 휠체어 - Google Patents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8123B1
KR101708123B1 KR1020150124802A KR20150124802A KR101708123B1 KR 101708123 B1 KR101708123 B1 KR 101708123B1 KR 1020150124802 A KR1020150124802 A KR 1020150124802A KR 20150124802 A KR20150124802 A KR 20150124802A KR 101708123 B1 KR101708123 B1 KR 101708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in
auxiliary
main frame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훈민
김혜인
Original Assignee
송훈민
김혜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훈민, 김혜인 filed Critical 송훈민
Priority to KR1020150124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1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8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67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backrest relative to the seat por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방으로 슬라이딩 된 메인의자의 엉덩이 받침부로부터 차량방향으로 보조의자가 인출됨으로써, 장애인이 제3자의 도움없이 독자적으로 보조의자로 이동한 후, 차량에 승하차 할 수 있으며, 또한, 휠체어의 등받이부가 엉덩이 받침부와 겹쳐져 접힘으로써, 휠체어를 장애인이 쉽게 차량에 적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휠체어{Wheelchair}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스스로 편리하게 차량 이용이 가능하도록 한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 장거리 이동을 하려면 무거운 휠체어를 차에 실어주거나 운전해 줄 제3자의 도움이 필요하다.
현재까지의 장치로는 장애인의 완전한 이동권이 보장되고 있지 않고, 모든 이동과정에서 제3자의 도움 없이 장애인이 홀로 대응할 수 있기 위해서는 현재의 장치로서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장애인의 완전한 이동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제3자의 도움없이 장애인이 홀로 차량까지 이동한 후 차량에 승차하고, 휠체어 등의 보조기구를 차량에 싣고, 원하는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으며, 목적지에 도착 후에 다시 차량에서 홀로 하차하여 휠체어 등에 의지하여 근거리의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여야 된다.
그러나, 종래 방식으로는 장애인이 완전히 독자적으로 차량에 승하차 하거나 휠체어를 접어 차량에 수납하여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전방으로 슬라이딩 된 메인의자의 엉덩이 받침부로부터 차량방향으로 보조의자가 인출됨으로써, 장애인이 제3자의 도움없이 독자적으로 보조의자로 이동한 후, 차량에 승하차 할 수 있으며, 또한, 등받이부가 엉덩이 받침부와 겹쳐져 접힘으로써, 장애인이 쉽게 차량에 적재할 수 있는 휠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조작부의 작동버튼 조작시 시트 구동 모듈에 의해 메인의자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함으로써, 장애인이 편리하게 차량으로 이동할 수 있는 휠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한 쌍의 메인바퀴가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좌우폭이 가변되는 메인프레임; 한 쌍의 보조바퀴가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좌우폭이 가변됨에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과 일체로 움직여 좌우폭이 가변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프레임; 상기 보조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며 일측 또는 양측에 수용부가 형성되는 엉덩이 받침부와, 상기 수용부에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의자와, 상기 엉덩이 받침부와 결합되는 등 받침부를 포함하는 메인의자; 및 상기 보조프레임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시트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에는 전면이 개구된 중공의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프레임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끼워져 슬라이딩 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등 받침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엉덩이 받침부와 상기 등 받침부는 각도조절 힌지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좌우폭이 가변됨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메인의자의 엉덩이 받침부는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좌판과, 제2좌판 및 상기 제1좌판과 제2좌판을 연결하는 제1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의자의 등 받침부는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등받이판과 제2등받이판 및 상기 제1등받이판과 제2등받이판을 연결하는 제2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시트 구동 모듈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되며, 모터축이 구비되는 모터;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모터축에 결합되는 회전축 및 상기 보조프레임에 결합되며 내주면에 상기 회전축의 나사부와 대응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과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 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축이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 회전함에 따라 상기 너트부재가 결합된 상기 보조프레임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방으로 슬라이딩 된 메인의자의 엉덩이 받침부로부터 차량방향으로 보조의자가 인출됨으로써, 장애인이 제3자의 도움없이 독자적으로 보조의자로 이동한 후, 차량에 승하차 할 수 있으며, 또한, 휠체어의 등받이부가 엉덩이 받침부와 겹쳐져 접힘으로써, 휠체어를 장애인이 쉽게 차량에 적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작부의 작동버튼 조작시 시트 구동 모듈에 의해 메인의자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장애인이 편리하게 차량으로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의 시트 구동 모듈을 계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의 시트 구동 모듈을 계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체어(1)는 한 쌍의 메인바퀴(5)가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좌우폭이 가변되는 메인프레임(10); 한 쌍의 보조바퀴(60)가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메인프레임(10)의 좌우폭이 가변됨에 따라 메인프레임(10)과 일체로 움직여 좌우폭이 가변되고, 메인프레임(10)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프레임(40); 보조프레임(40)의 상단에 결합되며 일측 또는 양측에 수용부(36)가 형성되는 엉덩이 받침부(32)와, 수용부(36)에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의자(38)와, 엉덩이 받침부(32)와 결합되는 등 받침부(34)를 포함하는 메인의자(30); 및 보조프레임(40)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시트 구동 모듈(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1)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1)는 메인프레임(10), 보조프레임(40), 메인의자(30) 및 시트 구동 모듈(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메인프레임(10), 보조프레임(40), 메인의자(30) 및 시트 구동 모듈(8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메인프레임(10)은 양측에 한 쌍의 메인바퀴(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좌우폭이 가변되도록 양측프레임(54a, 54b)이 연결프레임(56a, 56b)에 의해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 핀봉을 중심으로 접철되도록 X자로 연결 구성된 제1연결프레임(56a)과 제2연결프레임(56b)이 메인바퀴(5)가 설치되는 양측프레임(54a, 54b)의 상단과 하단에 핀봉을 매개로 제자리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양측프레임(54a, 54b)의 상단에 레일부가 수직하게 형성되고, 제1연결프레임(56a)과 제2연결프레임(56b)은 핀봉을 중심으로 접철되도록 X자로 연결 구성되되, 제1연결프레임(56a)과 제2연결프레임(56b)의 일단은 양측프레임의 하단에 핀봉을 매개로 제자리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양측프레임의 상단에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볼트봉을 매개로 캐스터가 설치되어 양측프레임의 레일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더불어, 메인프레임(10)의 상부 양측프레임(54a, 54b)에는 사용자의 팔을 지지할 수 있는 팔걸이부(20)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메인프레임(10)은 일반적인 휠체어(1)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보조프레임(40)은 양측에 한 쌍의 보조바퀴(6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메인프레임(10)의 좌우폭이 가변됨에 따라 메인프레임(10)과 일체로 움직여 좌우폭이 가변되고, 메인프레임(10)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핀봉을 중심으로 접철되도록 X자로 연결 구성된 제1연결프레임(57a)과 제2연결프레임(57b)이 보조바퀴(60)가 설치되는 양측프레임(55a, 55b)의 상단과 하단에 핀봉을 매개로 제자리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양측프레임(55a, 55b)의 상단에 레일부가 수직하게 형성되고, 제1연결프레임(57a)과 제2연결프레임(57b)은 핀봉을 중심으로 접철되도록 X자로 연결 구성되되, 제1연결프레임(57a)과 제2연결프레임(57b)의 일단은 양측프레임(55a, 55b)의 하단에 핀봉을 매개로 제자리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양측프레임(55a, 55b)의 상단에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볼트봉을 매개로 캐스터가 설치되어 양측프레임의 레일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더불어 보조프레임(40)의 전방 하부 양측에는 사용자의 발을 지지할 수 있는 발받침부(7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메인프레임(10)의 양측에는 전면이 개구된 중공의 가이드부(50)가 형성되며, 보조프레임(40)의 양측에는 가이드부(50)에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끼워져 슬라이딩 되는 지지부(42)가 형성된다.
따라서, 보조프레임(40)의 상부에 결합된 메인의자(3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메인프레임(10)의 가이드부(50)에는 걸림홈(94)이 형성되고, 가이드부(50)에 지지부(42)가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홈(94)에 끼워지거나 또는 가이드부(50)에 지지부(42)가 인출된 상태에서 걸림홈(94)에 끼워지도록 보조프레임(40)의 지지부(42)에는 걸림돌기(96)가 하나 이상 형성된다.
메인의자(30)는 보조프레임(40)의 상단에 결합되며 일측 또는 양측에 수용부(36)가 형성되는 엉덩이 받침부(32)와, 수용부(36)에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의자(38) 및 엉덩이 받침부(32)와 결합되는 등 받침부(34)를 포함한다.
여기서, 등 받침부(34)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엉덩이 받침부(32)와 각도조절 힌지부(90)로 연결되며, 각도조절 힌지부(90)에 의해 등 받침부(34)가 엉덩이 받침부(32)와 수직하게 펼쳐지거나 또는 엉덩이 받침부(32)와 겹쳐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엉덩이 받침부(32)는 메인프레임(10)의 좌우폭이 가변됨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좌판(32b)과, 제2좌판(32c) 및 제1좌판(32b)과 제2좌판(32c)을 연결하는 제1힌지부(32a)를 포함한다.
즉, 제1좌판(32b)과, 제2좌판(32c)으로 이루어진 엉덩이 받침부(32)가 제1힌지부(32a)에 의해 접혀지거나 또는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등 받침부(34)는 메인프레임(10)의 좌우폭이 가변됨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등받이판(34b)과, 제2등받이판(34c) 및 제1등받이판(34b)과 제2등받이판(34c)을 연결하는 제2힌지부(34a)를 포함한다.
즉, 제1등받이판(34b)과, 제2등받이판(34c)으로 이루어진 등 받침부(34)가 제2힌지부(34a)에 의해 접혀지거나 또는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엉덩이 받침부(32)와 등 받침부(34)는 메인프레임(10)의 좌우폭이 가변됨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엉덩이 받침부(32)의 제1좌판(32b)과, 제2좌판(32c)에는 수용부(36)가 각각 형성되며, 수용부(36) 각각에 보조의자(38)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차량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차량방향에 설치된 보조의자(38)를 인출하여 차량에 탑승하게 된다.
이때, 엉덩이 받침부(32)의 수납공간과 보조의자(38) 사이에는 윤활재가 도포되어 수납공간으로부터 보조의자(38)가 용이하게 인출되도록 한다.
이와는 다르게, 엉덩이 받침부(32)의 수납공간과 보조의자(38) 사이에는 소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 또는 롤러가 구비되어 수용부(36) 각각에 보조의자(38)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보조의자(38)의 노출부위에는 손잡이(미도시)가 설치되어 손잡이를 통해 보조의자(38)를 수납공간으로부터 인출하거나 보조의자(38)를 수납공간으로 삽입할 수 있으며, 이와는 다르게, 수납공간에 삽입되어있는 보조의자(38)를 터치하면 보조의자(38)가 수납공간으로부터 배출되고 다시 터치하면 보조의자(38)가 수납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계속해서, 휠체어(1)에는 보조프레임(40)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시트 구동 모듈(80)이 구비된다.
시트 구동 모듈(80)은 메인프레임(10)에 결합되며, 모터축이 구비되는 모터(82)와,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모터축에 결합되는 회전축(84) 및 보조프레임(40)에 결합되며 내주면에 회전축(84)의 나사부와 대응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회전축(84)과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재(86)를 포함한다.
따라서, 모터(82)의 구동에 의해 회전축(84)이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 회전함에 따라 너트부재(86)가 결합된 보조프레임(4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메인프레임(10)에는 모터(82)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되고, 메인프레임(10)의 팔걸이부(20)에는 모터(82)를 구동시키는 조작부(98)가 구비된다.
조작부(98)는 모터(82)의 모터축이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배터리의 전원을 스위칭하는 전진버튼 및 후진버튼을 포함한다.
또한, 조작부(98)에는 메인바퀴(5)를 고정 또는 고정해제시키는 메인바퀴 구동버튼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휠체어(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에 탑승시 사용자는 휠체어(1)를 움직여 차량으로 이동한 후 차량 문을 열고 휠체어(1)를 차량의 시트와 인접하게 위치시킨다.
그리고, 조작부(98)의 전진버튼을 이용하여 메인의자(30)가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조작한 후 차량의 시트방향에 있는 보조의자(38)의 손잡이를 잡고 차량시트와 연결되도록 보조의자(38)를 인출한다.
이때, 사용자는 보조의자(38)를 통해 휠체어(1)에서 차량으로 이동하면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보조의자(38)를 삽입 후 조작부(98)의 후진버튼을 이용하여 메인의자(3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등 받침부(34)를 엉덩이 받침부(32)와 겹쳐지도록 접은 상태에서 메인프레임(10)과 보조프레임(40)을 폭방향으로 접어 차량에 적재한다.
이와 같이 전방으로 슬라이딩 된 메인의자(30)의 엉덩이 받침부(32)로부터 차량방향으로 보조의자(38)가 인출됨으로써, 장애인이 제3자의 도움없이 독자적으로 보조의자(38)로 이동한 후, 차량에 승하차 할 수 있으며, 또한, 휠체어(1)의 등받침부(34)가 엉덩이 받침부(32)와 겹쳐져 접힘으로써, 휠체어(1)를 장애인이 쉽게 차량에 적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작부(98)의 작동버튼 조작시 시트 구동 모듈(80)에 의해 메인의자(30)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장애인이 편리하게 차량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차량에서 하차시 차량에 적재된 휠체어(1)를 외부로 꺼내어 폭방향으로 접힌 메인프레임(10)과 보조프레임(40)을 펼치고, 등 받침부(34)를 엉덩이 받침부(32)와 수직이 되도록 펼친 상태에서 조작부(98)의 전진버튼을 이용하여 메인의자(30)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차량의 시트방향에 있는 보조의자(38)의 손잡이를 잡고 차량시트와 연결되도록 보조의자(38)를 인출한다.
이때, 사용자는 보조의자(38)를 통해 차량에서 휠체어(1)로 이동하면 된다.
그리고, 보조의자(38)의 손잡이를 잡고 보조의자(38)를 삽입한 후, 조작부(98)의 후진버튼을 이용하여 메인의자(30)가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조작하여 이동하면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5 : 메인바퀴 10 : 메인프레임
20 : 팔걸이부 30 : 메인의자
32 : 엉덩이 받침부 32a : 제1힌지부
34 : 등 받침부 34a : 제2힌지부
36 : 수용부 38 : 보조의자
40 : 보조프레임 50 : 가이드부
54 : 제1연결프레임 56 : 제2연결프레임
60 : 보조바퀴 70 : 발받침부
80 : 시트 구동 모듈 90 : 각도조절 힌지부
94 : 걸림홈 96 : 걸림돌기
98 : 조작부

Claims (5)

  1. 한 쌍의 메인바퀴가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좌우폭이 가변되는 메인프레임;
    한 쌍의 보조바퀴가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좌우폭이 가변됨에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과 일체로 움직여 좌우폭이 가변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프레임;
    상기 보조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며 일측 또는 양측에 수용부가 형성되는 엉덩이 받침부와, 상기 수용부에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의자와, 상기 엉덩이 받침부와 결합되는 등 받침부를 포함하는 메인의자; 및
    상기 보조프레임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시트 구동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에는 전면이 개구된 중공의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프레임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끼워져 슬라이딩 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 받침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엉덩이 받침부와 상기 등 받침부는 각도조절 힌지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좌우폭이 가변됨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메인의자의 엉덩이 받침부는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좌판과, 제2좌판 및 상기 제1좌판과 제2좌판을 연결하는 제1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의자의 등 받침부는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등받이판과 제2등받이판 및 상기 제1등받이판과 제2등받이판을 연결하는 제2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구동 모듈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되며, 모터축이 구비되는 모터;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모터축에 결합되는 회전축 및
    상기 보조프레임에 결합되며 내주면에 상기 회전축의 나사부와 대응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과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 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축이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 회전함에 따라 상기 너트부재가 결합된 상기 보조프레임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KR1020150124802A 2015-09-03 2015-09-03 휠체어 KR101708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802A KR101708123B1 (ko) 2015-09-03 2015-09-03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802A KR101708123B1 (ko) 2015-09-03 2015-09-03 휠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8123B1 true KR101708123B1 (ko) 2017-02-22

Family

ID=58314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802A KR101708123B1 (ko) 2015-09-03 2015-09-03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81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069B1 (ko) * 2020-05-28 2020-09-23 한승헌 페달형 휠체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6912A (ja) * 1999-05-11 2000-11-21 Meekoo Kogyo Kk 車椅子
KR20020001293A (ko) * 2000-06-27 2002-01-09 탁 본 구 구조변경이 가능한 휠체어
KR20120045942A (ko) * 2010-11-01 2012-05-09 김영아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
KR101496578B1 (ko) * 2013-10-31 2015-02-27 현대위아 주식회사 절삭유 자동조절 시스템 및 그의 절삭유 공급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6912A (ja) * 1999-05-11 2000-11-21 Meekoo Kogyo Kk 車椅子
KR20020001293A (ko) * 2000-06-27 2002-01-09 탁 본 구 구조변경이 가능한 휠체어
KR20120045942A (ko) * 2010-11-01 2012-05-09 김영아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
KR101496578B1 (ko) * 2013-10-31 2015-02-27 현대위아 주식회사 절삭유 자동조절 시스템 및 그의 절삭유 공급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069B1 (ko) * 2020-05-28 2020-09-23 한승헌 페달형 휠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2023B1 (en) Personal mobility device
US7165778B2 (en) Manually operable standing wheelchair
KR101047342B1 (ko) 전동 휠체어
KR101891685B1 (ko) 침대 가변형 휠체어
KR20180059516A (ko) 다목적, 다기능 및 재조직 가능한 안락의자 침대
US10507146B1 (en) Sitting to standing lift chair
US10391007B2 (en) Elevatable and portable wheelchair
US7039964B2 (en) Roll-about powerized toilet seat lift
CN213157104U (zh) 全自动多功能轮椅
KR101536586B1 (ko) 가변좌석유닛을 포함하는 휠체어
KR102268100B1 (ko) 휠체어 사용자용 이동 보조장치
TWM478432U (zh) 改良具轉位功能之電動輪椅
KR101569453B1 (ko) 무동력 보행보조기
US10842692B2 (en) Elevatable and portable wheelchair
KR101545158B1 (ko) 접이식 전동 휠체어
KR101708123B1 (ko) 휠체어
KR20120100155A (ko) 시트와 등받이가 움직이는 휠체어
KR101721864B1 (ko) 착탈식 액츄에이터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전동 기립형 휠체어
KR101333318B1 (ko) 전동식 구동시스템을 구비한 보조의자
CN209450814U (zh) 一种履带式轮椅爬楼机
CN112155877A (zh) 一种助行机器人
KR101540886B1 (ko) 변위 및 각도조절을 통해 착석과 퇴석을 돕는 의자
KR100883421B1 (ko) 전동 휠체어
KR102423485B1 (ko)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CN209236627U (zh) 一种履带式爬楼轮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