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9127A -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9127A
KR20140079127A KR1020120148746A KR20120148746A KR20140079127A KR 20140079127 A KR20140079127 A KR 20140079127A KR 1020120148746 A KR1020120148746 A KR 1020120148746A KR 20120148746 A KR20120148746 A KR 20120148746A KR 20140079127 A KR20140079127 A KR 20140079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amera
camera unit
driving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8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문용
최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20148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9127A/ko
Publication of KR20140079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91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0Front-view mirror arrangements; Periscope arrangements, i.e. optical devices using combinations of mirrors, lenses, prisms or the like ; Other mirror arrangements giving a view from above or under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53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cameras, video cameras or video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9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motoriz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60R2300/207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using multi-purpose displays, e.g. camera image and navigation or video on same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는 차량의 좌, 우측 사이드 미러에 장착되며, 상, 하부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메라 유닛; 상기 카메라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 유닛으로부터 촬영된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차량의 내부에서 운전자에게 전방 시야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카메라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운전자의 방향지시등 레버 조작을 감지하여 상기 카메라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FRONT VIEW ASSIST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간 거리가 좁거나 전방에 버스나 대형트럭이 주행할 경우, 차선 변경 또는 추월 시,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확보하여 주행 편의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서 운전석에 착석하여 운전하는 운전자가 보다 넓은 운전 시야를 갖도록 하는 것은 안전 운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운전석에 착석한 운전자는 차량의 전방 윈도우 글라스와 운전석 도어의 측방 윈도우를 통해 전방 및 측방 운전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차량의 주행 중에 교통 흐름이 정체되어 차간 거리가 좁은 경우, 또는 대형버스나 트럭 등과 같은 차량이 에 운전자는 앞 차량에 의해 전방 시야가 막혀서 충분한 전방 운전 시야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운전자가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없는 상태에서 차선을 변경하거나 앞 차량을 추월하려는 시도를 할 경우에는 접촉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며, 특히, 앞 차량이 버스나 트럭과 같이 대형 차량인 경우에는 전방 시야가 더욱 가려져 교통신호등 판별, 전방시야 미확보로 인한 답답함 등이 발생된다.
이러한 운전자의 전방 시야 미확보는 주행 중, 대형 교통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음에 따라, 주행 중, 운전자의 충분한 전방 시야 확보를 통해 주행 편의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안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간 거리가 좁거나 전방에 버스나 대형트럭이 주행할 경우, 차선 변경 또는 추월 시, 차량의 사이드 미러를 이용해 보다 넓은 전방 시야를 확보함으로써, 주행 편의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전방 시야 미확보 상태에서의 무리한 주행으로 야기될 수 있는 교통사고의 위험을 줄이도록 하는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는 차량의 좌, 우측 사이드 미러에 장착되며, 상, 하부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메라 유닛; 상기 카메라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 유닛으로부터 촬영된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차량의 내부에서 운전자에게 전방 시야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카메라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운전자의 방향지시등 레버 조작을 감지하여 상기 카메라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좌, 우측 사이드 미러의 하부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장착블록; 상기 각 장착블록의 사이에서 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메라; 및 한 쌍의 상기 장착블록 중, 하나의 장착블록 내부에서 상기 카메라의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카메라를 차량의 상, 하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장착블록의 외부에 장착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 선단에 장착되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의 회전축에 장착되며,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종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는 그 회전수 및 회전방향의 제어가 가능한 스텝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는 베벨 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각 장착블록의 내부에서 베어링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방향지시등 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방향지시등 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좌측 사이드 미러 또는 상기 우측 사이드 미러에 각각 장착되는 카메라 유닛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네비게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에 의하면, 차간 거리가 좁거나 전방에 버스나 대형트럭이 주행할 경우, 차선 변경 또는 추월 시, 차량의 사이드 미러를 이용해 보다 넓은 전방 시야를 확보함으로써, 주행 편의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전자의 방향지시등 레버 조작에 따라 작동하도록 하고,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네비게이션과 같은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하여 전방 시야를 제공함에 따라, 전방 시야 미확보 상태에서의 무리한 주행으로 야기될 수 있는 교통사고의 위험을 줄이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가 적용된 차량의 전방 시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의 요부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에 적용되는 카메라 유닛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가 적용된 차량의 전방 시야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의 요부 상세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1)는 차간 거리가 좁거나 전방에 버스나 대형트럭이 주행할 경우, 차선 변경 또는 추월 시, 차량의 사이드 미러(3)를 이용해 보다 넓은 전방 시야를 확보함으로써, 주행 편의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전방 시야 미확보 상태에서의 무리한 주행으로 야기될 수 있는 교통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1)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폭 방향으로 외측에 돌출 장착된 좌, 우측 사이드 미러(3)에 설치된다.
이러한 전방 시야 보조장치(1)는 운전자(D)의 운전 시, 전방 시야 보다 좌, 우측 사이드 미러(3)에 장착되어 차량의 전방 및 외측으로 더 돌출한 위치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확보한 전방 시야의 폭(A) 보다 각 전방 시야 보조장치(1)를 통해 확보할 수 있는 전방 시야 폭(B)이 넓어지게 됨으로써, 차량의 전방에 버스와 트럭 같은 대형차량(V)이 주행 중일 경우에도 운전자(1)가 상기 전방 시야 보조장치(1)를 통해 확보할 수 있는 전방 시야의 폭이 확대될 수 있다.
이러한 전방 시야 보조장치(1)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유닛(10), 디스플레이 유닛(30), 및 제어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카메라 유닛(10)은 차량의 좌, 우측 사이드 미러(3)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사이드 미러(3)의 하부에서 상, 하부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30)은 상기 카메라 유닛(10)과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 유닛(10)으로부터 촬영된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차량의 내부에서 운전자(D)에게 전방 시야를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30)은 운전자가 상기 카메라 유닛(10)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네비게이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네비게이션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30)은 상기 카메라 유닛(10)이 촬영한 영상을 입력받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운전자(D)가 디스플레이 유닛(30)에 출력된 전방 촬영 화면을 확인하여 운전자가 직접 확인하지 못하는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50)는 상기 카메라 유닛(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운전자의 방향지시등 레버(40) 조작을 감지하여 상기 카메라 유닛(1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유닛(10)은 한 쌍의 장착블록(11), 카메라(13), 및 구동수단(1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한 쌍의 상기 장착블록(11)은 상기 좌, 우측 사이드 미러(3)의 하우징 하부에 각각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장착된다.
상기 카메라(13)는 렌즈(L)를 포함하며, 상기 각 장착블록(11)의 사이에서 회전축(15)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각 회전축(15)은 상기 각 장착블록(11)의 내부에서 상기 카메라(13)의 회전 시에 회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베어링(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17)은 한 쌍의 상기 장착블록(11) 중, 하나의 장착블록(11) 내부에서 상기 카메라(13)의 회전축(15)과 연결되며, 상기 카메라(13)를 차량의 상, 하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동수단(17)은 상기 장착블록(11)의 외부에서 회전축이 상기 장착블록(11)을 향하여 하향 장착되는 구동모터(19)와, 상기 구동모터(19)의 회전축 선단에 장착되는 구동기어(21)와, 상기 구동기어(21)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13)의 회전축(15)에 장착되며, 상기 구동기어(21)와 치합되는 종동기어(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19)는 상기 제어기(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기(5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모터(19)는 상기 제어기(50)의 제어신호에 의해 그 회전수 및 회전방향의 제어가 가능한 스텝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기어(21)와 종동기어(23)는 상기 카메라(13)의 회전축(15)과 수직방향으로 위치되는 상기 구동모터(19)의 회전축에 대응하여 서로 교차하는 두 축 사이에서 운동을 전달할 경우 적용되는 베벨 기어(Bevel Gea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구동수단(17)은 상기 제어기(5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9)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구동모터(19)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구동기어(21)와 치합된 상태로, 상기 종동기어(23)가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종동기어(23)는 상기 구동모터(19)의 구동력을 구동기어(21)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카메라(13)의 회전축(15)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카메라(13)를 상부 또는 하부로 회전시켜 상기 렌즈(L)의 시야 각도를 각각 조절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기(50)는 운전자(D)의 상기 방향지시등 레버(40)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17)을 작동시켜 상기 카메라 유닛(10)의 촬영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기(50)는 상기 방향지시등 레버(4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좌측 사이드 미러(3) 또는 상기 우측 사이드 미러(3)에 각각 장착되는 카메라 유닛(10)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어기(50)는 운전자(D)가 차선 변경을 위해 방향지시등 레버(40)를 상부 또는 하부로 조작할 경우, 조작된 방향지시등 레버(40)의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위치에 맞게 좌측 또는 우측 사이드 미러(3)에 위치된 상기 카메라 유닛(10)의 카메라(13)와 구동수단(17)을 작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기(50)로부터 작동신호를 인가 받은 카메라 유닛(10)의 카메라(13)는 전방 상황을 촬영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30)에 그 촬영 신호를 입력하고, 디스플레이 유닛(30)은 상기 카메라(1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하여 운전자가 미처 확보하지 못한 전방 시야의 이미지를 운전자(D)에게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기(50)는 운전자가 상기 방향지시등 레버(40)를 조작 시, 상기 제어기(50)에 기 설정될 수 있는 별도의 조작, 예를 들면, 방향지시등 레버(40)를 설정시간 동안 상, 하부로 이동시킨 상태로 유지하거나, 조작 횟수, 또는 별도의 작동스위치 조작을 통하여 상기 구동수단(17)을 작동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에 적용되는 카메라 유닛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수단(17)은, 도 4의 (S1)과 같이, 제어기(50)에 설정된 운전자(D)의 방향지시등 레버(40) 조작, 또는 방향시지등 레버(40)나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는 별도의 스위치 조작을 통하여 상기 카메라(13)의 렌즈(L)를 하부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운전자(D)는 하부로 회전된 카메라(13)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30)을 통해 확인하여 운전자(D)가 미확보한 전방의 좌측 또는 우측 노면 상태를 확인하여 안전한 주행을 도모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구동수단(17)은, 도 4의 (S2)와 같이, 제어기(50)에 설정된 운전자(D)의 방향지시등 레버(40) 조작, 또는 방향시지등 레버(40)나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는 별도의 스위치 조작을 통하여 상기 카메라(13)의 렌즈(L)를 상부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운전자(D)는 상부로 회전된 카메라(13)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30)을 통해 전방의 차량에 의해 가려져 운전자(D)가 미확보한 교통신호를 확인할 수 있어 교통신호 미인지에 따른 교통사고 발생 및 급정지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동수단(17) 조작을 통해 운전자(D)가 전방 시야와 더불어 미확보된 전방의 노면 및 교통신호 등의 확인이 완료되면, 운전자(D)는 설정된 방향지시등 레버(40) 조작, 또는 방향시지등 레버(40)나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는 별도의 스위치 조작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제어기(50)는 입력된 신호를 감지하여 작동된 구동수단(17)을 원위치로 복귀시켜 상기 카메라(13)의 렌즈(L)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킨 후, 상기 카메라 유닛(10)의 작동을 중지시키게 되며, 추후 운전자(D)의 차선변경 또는 별도의 조작에 따라 다시 상기 카메라 유닛(10)의 작동을 재개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1)는 운전자(D)의 방향지시등 레버(40) 조작에 의한 각 카메라 유닛(10)의 작동 시, 상기 카메라(13)로부터 촬영된 전방 시야 및 교통상황을 운전자(D)의 설정에 따라 별도의 저장매체로 저장할 수 있어 블랙박스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1)를 적용하면, 차간 거리가 좁거나 전방에 버스나 대형트럭이 주행할 경우, 차선 변경 또는 추월 시, 차량의 사이드 미러(3)를 이용해 보다 넓은 전방 시야를 확보함으로써, 주행 편의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운전자(D)의 방향지시등 레버(40) 조작에 따라 작동하도록 하고,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네비게이션과 같은 디스플레이 유닛(30)을 통하여 전방 시야를 제공함에 따라, 전방 시야 미확보 상태에서의 무리한 주행으로 야기될 수 있는 교통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전방 시야 보조장치 3 : 사이드 미러
10 : 카메라 유닛 11 : 장착블록
13 : 카메라 15 : 회전축
17 : 구동수단 19 : 구동모터
21 : 구동기어 23 : 종동기어
30 : 디스플레이 유닛 40 : 방향지시등 레버
50 : 제어기 L : 렌즈
B : 베어링

Claims (16)

  1. 차량의 좌, 우측 사이드 미러에 장착되며, 상, 하부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메라 유닛;
    상기 카메라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 유닛으로부터 촬영된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차량의 내부에서 운전자에게 전방 시야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카메라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운전자의 방향지시등 레버 조작을 감지하여 상기 카메라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좌, 우측 사이드 미러의 하부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장착블록;
    상기 각 장착블록의 사이에서 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메라; 및
    한 쌍의 상기 장착블록 중, 하나의 장착블록 내부에서 상기 카메라의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카메라를 차량의 상, 하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장착블록의 외부에 장착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 선단에 장착되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의 회전축에 장착되며,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종동기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그 회전수 및 회전방향의 제어가 가능한 스텝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는
    베벨기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각 장착블록의 내부에서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방향지시등 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방향지시등 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좌측 사이드 미러 또는 상기 우측 사이드 미러에 각각 장착되는 카메라 유닛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네비게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
  11. 차량의 좌, 우측 사이드 미러의 하부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장착블록과 상기 각 장착블록의 사이에서 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메라와, 한 쌍의 상기 장착블록 중, 하나의 장착블록 내부에서 상기 카메라의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카메라를 차량의 상, 하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 우측 사이드 미러의 하부에서 상, 하부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메라 유닛;
    상기 카메라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 유닛으로부터 촬영된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차량의 내부에서 운전자에게 전방 시야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카메라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운전자의 방향지시등 레버 조작을 감지하여 상기 좌측 사이드 미러 또는 상기 우측 사이드 미러에 각각 장착되는 카메라 유닛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며, 상기 구동수단을 작동시켜 작동된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각도를 조절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장착블록의 외부에 장착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 선단에 장착되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의 회전축에 장착되며,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종동기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는
    베벨기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각 장착블록의 내부에서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네비게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
KR1020120148746A 2012-12-18 2012-12-18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 KR201400791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746A KR20140079127A (ko) 2012-12-18 2012-12-18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746A KR20140079127A (ko) 2012-12-18 2012-12-18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127A true KR20140079127A (ko) 2014-06-26

Family

ID=51130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8746A KR20140079127A (ko) 2012-12-18 2012-12-18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912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803B1 (ko) * 2015-12-10 2017-03-24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전,후방 사각지대 확인을 위한 사이드 뷰 모듈
KR20180136643A (ko) * 2017-06-15 2018-12-26 고태영 자동차 주행 보조장치
CN113665488A (zh) * 2021-08-03 2021-11-19 深圳市路畅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角度可调节的二合一流媒体后视镜系统
CN113752959A (zh) * 2021-10-18 2021-12-07 浙江中导北斗导航科技有限公司 一种司机驾驶行为自我改善辅助设备
CN113911043A (zh) * 2021-11-11 2022-01-11 中国人民解放军92228部队 车载辅助潜望装置双工位显控终端系统、控制方法及应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803B1 (ko) * 2015-12-10 2017-03-24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전,후방 사각지대 확인을 위한 사이드 뷰 모듈
KR20180136643A (ko) * 2017-06-15 2018-12-26 고태영 자동차 주행 보조장치
CN113665488A (zh) * 2021-08-03 2021-11-19 深圳市路畅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角度可调节的二合一流媒体后视镜系统
CN113752959A (zh) * 2021-10-18 2021-12-07 浙江中导北斗导航科技有限公司 一种司机驾驶行为自我改善辅助设备
CN113911043A (zh) * 2021-11-11 2022-01-11 中国人民解放军92228部队 车载辅助潜望装置双工位显控终端系统、控制方法及应用
CN113911043B (zh) * 2021-11-11 2023-07-18 中国人民解放军92228部队 车载辅助潜望装置双工位显控终端系统、控制方法及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28416B (zh) 一种基于驾驶员转弯视觉盲区检测的预警系统及其方法
KR20140079127A (ko) 차량용 전방 시야 보조장치
JP4929869B2 (ja) 車載運転支援カメラ装置
WO2015159142A1 (en) On-vehicle image display device, on-vehicle image display method, and on-vehicle image setting device
JP2005028982A (ja) 車載用表示装置
CN103129473A (zh) 前视装置
JP2010247645A (ja) 車載カメラ
KR101480914B1 (ko) 차량용 실외 후사경의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CN104276092B (zh) 一种车辆并道转向盲区提前可视控制系统
JPH10206789A (ja) 車両用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装置
CN201608826U (zh) 汽车全方位可视系统
KR101491946B1 (ko) 자동차 필러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20180011663A (ko) 후진주행 보조시스템
JP6644576B2 (ja) 車両用表示装置
KR20190117831A (ko) 차량용 접이식 사이드 미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전방 및 측방 화면 표시 시스템
JPH06278531A (ja) 車両用視認補助装置
WO2016133146A1 (ja) 車両用表示装置
CN107662544A (zh) 一种用于车辆的随动外后视镜
KR102038999B1 (ko) 헤드업 디스플레이
KR200291685Y1 (ko) 차량의 사면 모니터링 장치
JP6390651B2 (ja) 車両の室内指標表示装置
KR101655190B1 (ko) 차량에 부착된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JP2020117123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20119704A (ko) 후방 카메라를 이용한 차선변경시스템 및 차선변경방법
KR101631964B1 (ko)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