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8795A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8795A
KR20140078795A KR1020120147318A KR20120147318A KR20140078795A KR 20140078795 A KR20140078795 A KR 20140078795A KR 1020120147318 A KR1020120147318 A KR 1020120147318A KR 20120147318 A KR20120147318 A KR 20120147318A KR 20140078795 A KR20140078795 A KR 20140078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sensing
sensing plate
fitting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7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3852B1 (ko
Inventor
서자영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7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852B1/ko
Publication of KR20140078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8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모터가 개시된다. 상기 모터는 로터의 외면을 감싸도록 몰드 성형되며, 상부면에 돌출 성형된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기를 포함하는 몰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몰드부에 형성된 끼움 돌기를 센싱 플레이트에 형성된 끼움 홀에 결합하고 열융착 공정을 통해 상기 끼움 돌기의 헤드를 변형하여 상기 센싱 플레이트에 접착시킴으로써 상기 센싱 플레이트를 회전축에 고정시킨다.

Description

모터{MOTOR}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의 센싱 플레이트를 조립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모터는 산업 전반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모터는, 예를 들면 회전축, 로터(rotor), 스테이터(stator), 하우징(housing), 센싱 플레이트(sensing plate) 및 센싱 마그네트(sensing magnet)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는 회전축을 감싸도록 조립된다. 스테이터는 로터와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며, 하우징에 고정된다. 회전축은 회전자와 스테이터가 발생시키는 자기장에 의한 상호 작용을 이용하여 로터와 함께 회전한다. 센싱 마그네트는 센싱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센싱 마그네트가 결합된 센싱 플레이트는 회전축에 압입되어 고정된다.
센싱 플레이트를 압입 방식으로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하는 경우, 압입 깊이의 관리가 필요하고, 센싱 플레이트의 압입으로 인해 센싱 마그네트에 흔들림이 발생하여 이로 인한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모터의 센싱 플레이트를 조립하는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이 중심부에 고정되며, 로터 코어 및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로터, 상기 로터의 외면을 감싸도록 몰드 성형되며, 상부면에 돌출 성형된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기를 포함하는 몰드부, 상기 몰드부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기가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 홀을 포함하는 센싱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센싱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착자되는 센싱 마그네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터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이 중심부에 고정되며, 로터 코어 및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로터, 상기 로터의 외면을 감싸도록 몰드 성형되며, 상부면에 돌출 성형된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기를 포함하는 몰드부, 상기 몰드부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기가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끼움 홀을 포함하는 센싱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센싱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조립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기가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끼움 홀이 상기 더미 마그네트에 형성되는 센싱 마그네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센싱 플레이트는 압입 공정 없이 회전축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입 공정 설비가 필요 없어 설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압입에 의한 센싱 마그네트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센싱 마그네트의 착자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홀 신호가 개선되어 신호 불량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센싱 플레이트를 회전축에 고정시키는 일 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모터의 센싱 플레이트가 회전축에 조립되는 조립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센싱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센싱 마그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몰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몰드부와 센싱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모터의 센싱 플레이트가 회전축에 조립되는 조립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센싱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센싱 마그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몰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몰드부와 센싱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모터의 센싱 플레이트가 회전축에 조립되는 조립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몰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센싱 플레이트를 회전축에 고정시키는 일 예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터의 회전축(1)에는 원통 형상의 로터(2)가 회전축(1)을 감싸도록 고정된다. 로터(2)의 외면에는 로터(2)의 외면을 감싸는 몰드부(3)가 형성된다.
또한, 모터의 회전축(1)은 센싱 마그네트(5)가 결합된 센싱 플레이트(4)가 고정된다. 센싱 플레이트(4)는 압입 방식으로 모터의 회전축(1)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센싱 플레이트를 압입 방식으로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하는 경우, 압입 깊이의 관리가 필요하고, 센싱 플레이트의 압입으로 인해 센싱 마그네트에 흔들림이 발생하여 이로 인한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싱 플레이트의 압입 공정에 의한 불량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로터를 감싸는 몰드부의 상부면에 끼움 돌기를 형성하고, 끼움 돌기를 센싱 플레이트 또는 센싱 마그네트에 형성된 끼움 홀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센싱 플레이트를 회전축에 고정시킨다.
아래에서는 도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모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모터의 센싱 플레이트가 회전축에 조립되는 조립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센싱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센싱 마그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몰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몰드부와 센싱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모터는 회전축(10), 회전축을 감싸는 로터(20), 로터(20)의 외면을 감싸도록 패키징되는 몰드부(30), 몰드부(30)의 상단부에 접하도록 조립되는 센싱 플레이트(40) 및 센싱 플레이트(40)의 상단부에 접하도록 조립되는 센싱 마그네트(50)를 포함한다.
로터(20)는 로터 코어 및 로터 코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로터 마그네트를 포함한다. 로터(20)의 중심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된다. 관통홀에는 회전축(10)이 삽입되며, 이에 따라, 로터(20)는 회전축(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회전축(10)에 고정된다.
로터(20)의 외면에는 로터(20)를 감싸기 위한 몰드부(30)가 몰드 성형된다. 몰드부(30)는 몰드부(30)의 상단부가 센싱 플레이트(40)의 하부면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몰드부(30)의 상단부(3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 플레이트(40)의 위치를 가이드하고 센싱 플레이트(40)를 몰드부(30)에 끼움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기(31a)가 센싱 플레이트(40)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끼움 돌기(31a)는 그 형성된 위치를 통해 센싱 플레이트(40)의 고정 각도를 가이드할 수 있다.
끼움 돌기(31a)는 후술하는 센싱 플레이트(40)의 끼움 홀(42a)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끼움 돌기(31a)는 센싱 플레이트(40)의 끼움 홀(42a)에 끼움 결합된 후 열융착 공정을 통해 센싱 플레이트(40)를 몰드부(3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센싱 플레이트(40)는 회전축(10)에 고정된다.
끼움 돌기(31a)는 몰드부(30)에 일체형으로 마련되며, 몰드 성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몰드 성형 공정은 폴리에스테르 등의 주형(注型) 수지를 이용하여 진행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몰드부(30)의 상단부에 3개의 끼움 돌기(31a)가 형성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몰드부(30)의 상단부에는 그보다 적거나 많은 끼움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센싱 플레이트(40)는 원반 형상으로 중심부에 회전축(10)이 삽입되는 관통홀(41)을 포함한다. 센싱 플레이트(40)의 외측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 마그네트(50)가 착자되며, 센싱 마그네트(50)가 착자되지 않는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 홀(42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센싱 플레이트(40)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중심으로 내측 영역이 외측 영역에 비해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분명히 밝혀둔다.
또한, 도 3에서는 센싱 플레이트(40)에 형성되는 끼움 홀(42a)이 3개인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센싱 플레이트(40)에 형성되는 끼움 홀(42a)은 그보다 적거나 많을 수도 있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센싱 마그네트(50)는 원반 형상으로 센싱 플레이트(40)의 상부면에 착자된다. 센싱 마그네트(50)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센싱 플레이트(40)에 고정될 수 있다.
센싱 마그네트(50)는 센싱 플레이트(40)를 통해 회전축(10)에 결합되어 회전축(10)을 따라서 회전한다.
센싱 마그네트(50)는 회전축(10)에 인접하여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main) 마그네트(52)와 외주측으로 형성되는 서브(sub) 마그네트(51)를 포함한다.
메인 마그네트(52)는 모터의 로터(20)에 삽입된 마그네트와 동일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극으로 이루어진다. 서브 마그네트(51)는 메인 마그네트(52)보다 많은 극으로 이루어져, 메인 마그네트(52)의 하나의 극을 더욱 세분화하여 분해한다. 즉, 서브 마그네트(51)는 메인 마그네트(52)의 하나의 극에 대응하여 복수의 극을 배치한다.
메인 마그네트(52)와 서브 마그네트(51) 사이에는 메인 마그네트(52)와 서브 마그네트(51) 간의 자속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더미(dummy) 마그네트(53)가 배치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회전축(10)에 로터(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센싱 마그네트(50)가 결합된 센싱 플레이트(40)가 로터(20)의 외면을 감싸는 몰드부(30) 상단부에 끼워진다. 이에 따라, 몰드부(30)의 상단부에 형성된 끼움 돌기(31a)가 센싱 플레이트(40)에 형성된 끼움 홀(42a)에 각각 끼워진다. 이후, 센싱 마그네트(40)의 상측으로 돌출된 끼움 돌기(31a)는 열융착 공정을 통해 센싱 플레이트(40)에 접착되고, 이로 인해 센싱 플레이트(40)는 몰드부(30)에 고정된다.
아래에서는 도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모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모터의 센싱 플레이트가 회전축에 조립되는 조립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센싱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센싱 마그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몰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몰드부와 센싱 플레이트의 조립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모터는 회전축(10), 회전축을 감싸는 로터(20), 로터(20)의 외면을 감싸도록 패키징되는 몰드부(30), 몰드부(30)의 상단부에 접하도록 조립되는 센싱 플레이트(40) 및 센싱 플레이트(40)의 상단부에 접하도록 조립되는 센싱 마그네트(50)를 포함한다. 회전축(10) 및 로터(2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회전축(10) 및 로터(20)와 동일한 구성 요소이므로 아래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로터(20)의 외면에는 로터(20)를 감싸기 위한 몰드부(30)가 몰드 성형된다. 몰드부(30)는 몰드부(30)의 상단부가 센싱 플레이트(40)의 하부면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몰드부(30)의 상단부(30)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 플레이트(40)의 위치를 가이드하고 센싱 플레이트(40)를 몰드부(30)에 끼움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기(31b)가 센싱 플레이트(40)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끼움 돌기(31b)는 그 형성된 위치를 통해 센싱 플레이트(40)의 고정 각도를 가이드할 수 있다.
끼움 돌기(31b)는 후술하는 센싱 플레이트(40) 및 센싱 마그네트(50)의 끼움 홀(42b, 54)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끼움 돌기(31b)는 센싱 플레이트(40) 및 센싱 마그네트(50)의 끼움 홀(42b, 54)에 끼움 결합된 후, 열융착 공정을 통해 센싱 플레이트(40) 및 센싱 마그네트(50)를 몰드부(3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센싱 플레이트(40)는 회전축(10)에 고정된다.
끼움 돌기(31b)는 몰드부(30)에 일체형으로 마련되며, 몰드 성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몰드 성형 공정은 폴리에스테르 등의 주형(注型) 수지를 이용하여 진행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서는 몰드부(30)의 상단부에 3개의 끼움 돌기(31b)가 형성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몰드부(30)의 상단부에는 그보다 적거나 많은 끼움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센싱 플레이트(40)는 원반 형상으로 중심부에 회전축(10)이 삽입되는 관통홀(41)을 포함한다. 센싱 플레이트(40)의 외측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 마그네트(50)가 착자된다. 센싱 마그네트(50)가 착자되는 센싱 플레이트(40)의 외측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 홀(42b)이 형성될 수 있다. 끼움 홀(42b)은 몰드부(30)의 상단부에 형성된 각 끼움 돌기(31b)에 대향하여 형성되며, 후술하는 센싱 마그네트(50)에서 더미 마그네트(53)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된다. 센싱 마그네트(50)의 더미 마그네트(53)에는 이에 대응하는 끼움홀(54)이 형성된다.
한편, 도 8에서는 센싱 플레이트(40)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중심으로 내측 영역이 외측 영역에 비해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분명히 밝혀둔다. 또한, 도 8에서는 센싱 플레이트(40)에 형성되는 끼움 홀(42b)이 3개인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센싱 플레이트(40)에 형성되는 끼움 홀(42b)은 그보다 적거나 많을 수 있다.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센싱 마그네트(50)는 원반 형상으로 센싱 플레이트(40)의 상부면에 착자된다. 센싱 마그네트(50)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센싱 플레이트(40)에 고정될 수 있다.
센싱 마그네트(50)는 센싱 플레이트(40)를 통해 회전축(10)에 결합되어 회전축(10)을 따라서 회전한다.
센싱 마그네트(50)는 회전축(10)에 인접하여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main) 마그네트(52)와 외주측으로 형성되는 서브(sub) 마그네트(51)를 포함한다.
메인 마그네트(52)는 모터의 로터(20)에 삽입된 마그네트와 동일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극으로 이루어진다. 서브 마그네트(51)는 메인 마그네트(52)보다 많은 극으로 이루어져, 메인 마그네트(52)의 하나의 극을 더욱 세분화하여 분해한다. 즉, 서브 마그네트(51)는 메인 마그네트(52)의 하나의 극에 대응하여 복수의 극을 배치한다.
메인 마그네트(52)와 서브 마그네트(51) 사이에는 메인 마그네트(52)와 서브 마그네트(51) 간의 자속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더미(dummy) 마그네트(53)가 배치된다.
더미 마그네트(53)에는 몰드부(30)의 상단부에 형성된 끼움 돌기(31b)가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 홀(54)이 형성된다. 센싱 마그네트(50)는 센싱 플레이트(40)에 형성된 각각의 끼움 홀(42b)에 더미 마그네트(53)에 형성된 끼움 홀(54)이 맞춰지도록 센싱 플레이트(40)에 착자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회전축(10)에 로터(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센싱 마그네트(50)가 결합된 센싱 플레이트(40)가 로터(20)의 외면을 감싸는 몰드부(30) 상단부에 끼워진다. 이에 따라, 몰드부(30)의 상단부에 형성된 끼움 돌기(31b)가 센싱 플레이트(40) 및 센싱 마그네트(50)에 형성된 끼움 홀(42b, 54)을 차례대로 관통하여 끼워진다. 이후, 센싱 마그네트(40) 상측으로 돌출된 끼움 돌기(31b)는 열융착 공정을 통해 센싱 마그네트(50)에 접착되고, 이로 인해 센싱 플레이트(40) 및 센싱 마그네트(50)는 몰드부(30)에 고정된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서는 몰드부(30)에 끼움 돌기(31a, 31b)가 각각 일체형으로 몰드 성형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끼움 돌기를 포함하는 플레이트가 별도로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되고, 플레이트가 몰드 성형 과정을 통해 몰드부에 접착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원반 형상의 플레이트(70)는 중심부에 회전축(10)을 조립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단부에 센싱 플레이트(40)를 결합하기 위한 끼움 돌기(71)가 형성된다. 플레이트(70)는 로터(20)를 몰드 성형하는 과정에서 하단부가 몰드부(60)에 접착됨으로써, 몰드부(60)와 일체형으로 조립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센싱 플레이트는 압입 공정 없이 회전축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입 공정 설비가 필요 없어 설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압입에 의한 센싱 마그네트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센싱 마그네트의 착자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홀 신호가 개선되어 신호 불량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회전축
20: 로터
30: 몰드부
31a, 31b: 끼움 돌기
40: 센싱 플레이트
42a, 42b: 끼움 홀
50: 센싱 마그네트

Claims (8)

  1. 회전축,
    상기 회전축이 중심부에 고정되며, 로터 코어 및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로터,
    상기 로터의 외면을 감싸도록 몰드 성형되며, 상부면에 돌출 성형된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기를 포함하는 몰드부,
    상기 몰드부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기가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 홀을 포함하는 센싱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센싱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착자되는 센싱 마그네트
    를 포함하는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홀은 상기 센싱 플레이트에서 상기 센싱 마그네트가 착자되지 않는 내측에 형성되는 모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돌기는 상기 끼움 홀에 끼워진 상태에서 열융착을 통해 상기 센싱 플레이트에 접착되는 모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부는
    상부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기가 형성된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몰드 성형을 통해 상기 플레이트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모터.
  5. 회전축,
    상기 회전축이 중심부에 고정되며, 로터 코어 및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로터,
    상기 로터의 외면을 감싸도록 몰드 성형되며, 상부면에 돌출 성형된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기를 포함하는 몰드부,
    상기 몰드부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기가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끼움 홀을 포함하는 센싱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센싱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조립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기가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끼움 홀이 상기 더미 마그네트에 형성되는 센싱 마그네트
    를 포함하는 모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마그네트는, 제1 마그네트 및 제2 마그네트,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 사이에 위치하는 더미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끼움 홀은 상기 더미 마그네트에 형성되는 모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돌기는 상기 제1 및 제2 끼움 홀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조립되는 모터.
  8. 제7에 있어서,
    상기 끼움 돌기는 상기 제1 및 제2 끼움 홀에 끼워진 상태에서 열융착을 통해 상기 센싱 마그네트에 접착되는 모터.
KR1020120147318A 2012-12-17 2012-12-17 모터 KR102013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318A KR102013852B1 (ko) 2012-12-17 2012-12-17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318A KR102013852B1 (ko) 2012-12-17 2012-12-17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795A true KR20140078795A (ko) 2014-06-26
KR102013852B1 KR102013852B1 (ko) 2019-08-23

Family

ID=51130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7318A KR102013852B1 (ko) 2012-12-17 2012-12-17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8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9616A1 (ko) * 2016-01-07 2017-07-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로터 위치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20200066006A (ko) * 2018-11-30 2020-06-09 (주)쿠첸 Sr 모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5761A (ja) * 1993-10-18 1995-05-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刷子電動機の回転子
JPH0727283U (ja) * 1993-10-18 1995-05-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小型電動機
JP2004304945A (ja) * 2003-03-31 2004-10-28 Mitsuba Corp ブラシレスモータ
KR20060044394A (ko) * 2004-03-19 2006-05-16 니폰 덴산 시바우라 가부시키가이샤 브러시리스 dc 모터
JP2007228736A (ja) * 2006-02-23 2007-09-06 Nidec Shibaura Corp モータ
KR20090021934A (ko) * 2007-08-29 2009-03-04 전자부품연구원 브러쉬리스 직류모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5761A (ja) * 1993-10-18 1995-05-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刷子電動機の回転子
JPH0727283U (ja) * 1993-10-18 1995-05-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小型電動機
JP2004304945A (ja) * 2003-03-31 2004-10-28 Mitsuba Corp ブラシレスモータ
KR20060044394A (ko) * 2004-03-19 2006-05-16 니폰 덴산 시바우라 가부시키가이샤 브러시리스 dc 모터
JP2007228736A (ja) * 2006-02-23 2007-09-06 Nidec Shibaura Corp モータ
KR20090021934A (ko) * 2007-08-29 2009-03-04 전자부품연구원 브러쉬리스 직류모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9616A1 (ko) * 2016-01-07 2017-07-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로터 위치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20170082894A (ko) * 2016-01-07 2017-07-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로터 위치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US10910921B2 (en) 2016-01-07 2021-02-02 Lg Innotek Co., Ltd. Device for detecting position of rotor, and motor comprising same
KR20200066006A (ko) * 2018-11-30 2020-06-09 (주)쿠첸 Sr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3852B1 (ko) 2019-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06339B2 (ja) アキシャルエアギャップ型電動機
CN102891542B (zh) 封胶定子
JP2006067650A (ja) アキシャルギャップ型電動機
JP2012222834A (ja) ロータユニット、回転電機、およびロータ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2010093869A (ja) モータ
JP4812787B2 (ja) ポンプ用電動機の回転子及びポンプ用電動機及びポンプ及びポンプ用電動機の回転子の製造方法
JP4782083B2 (ja) 電動機の回転子及び電動機及び空気調和機
KR20130054136A (ko) 몰드 모터
KR20150066768A (ko) 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4208683B2 (ja) 電動機の回転子及び電動機及び空気調和機
KR20140078795A (ko) 모터
JP6062068B2 (ja) 電動機及び空気調和機
US20130342067A1 (en) Rotor of motor
JP6745674B2 (ja) ロータおよび回転電機
JP6562590B2 (ja) 電磁的駆動コイル装置並びにそれを備えた電動弁及び電磁弁
JP5177359B2 (ja) アキシャルエアギャップ型電動機
JP5471621B2 (ja) アキシャルギャップ型電動機
JP2006280039A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WO2018016067A1 (ja) 電動機、空気調和機、回転子、及び電動機の製造方法
KR100670471B1 (ko) 스핀들 모터
JP5151120B2 (ja) 軸への合成樹脂部材の固定構造およびロータアッセンブリ
JP6659169B2 (ja) ロータおよび回転電機
CN109980815A (zh) 内转子型的马达
EP3468002A1 (en) Ipm motor rotor, ipm mo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pm motor rotor
JP2002305847A (ja) 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