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8669A - 배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8669A
KR20140078669A KR1020147010223A KR20147010223A KR20140078669A KR 20140078669 A KR20140078669 A KR 20140078669A KR 1020147010223 A KR1020147010223 A KR 1020147010223A KR 20147010223 A KR20147010223 A KR 20147010223A KR 20140078669 A KR20140078669 A KR 20140078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or
cartridge
medicament
nozzl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0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터 스프라다
그레엄 하워드 데이비스
니콜라스 헨리 레들
그레이엄 키이스 레이시
스티븐 윌리암 맥렐란
조르지나 로저스
알룬 윌콕
Original Assignee
레오 파마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오 파마 에이/에스 filed Critical 레오 파마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40078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86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54Cartridges, i.e. containers specially designed for easy attachment to or easy removal from the rest of the spr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9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 B05B11/1011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without substantial movement of the nozzle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28Pumps having a pumping chamber with a deformable wall
    • B05B11/1029Pumps having a pumping chamber with a deformable wall actuated by a lever
    • B05B11/103Pumps having a pumping chamber with a deformable wall actuated by a lever without substantial movement of the nozzle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28Pumps having a pumping chamber with a deformable wall
    • B05B11/1033Pumps having a pumping chamber with a deformable wall the deformable wall, the inlet and outlet valve elements being integrally formed, e.g. mou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28Pumps having a pumping chamber with a deformable wall
    • B05B11/1035Pumps having a pumping chamber with a deformable wall the pumping chamber being a bel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9Means for locking a pump or its actuation means in a fix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6Pump inlet valves
    • B05B11/1067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 B05B11/1069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the valve being made of a resiliently deformable material or being urged in a closed position by a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81Arrangements for pump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everal containers, e.g. for mixing them at the moment of pumping
    • B05B11/1084Arrangements for pump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everal containers, e.g. for mixing them at the moment of pumping ea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pumped by a separate pum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1/00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 G01F11/02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which expand or contract during measurement
    • G01F11/021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which expand or contract during measurement of the pist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8Piston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1Pump prim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반고체 의약제 자가 도포용 핸드헬드 애플리케이터(10)로, 하나 이상의 긴 형상의 배출 노즐(40)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터 헤드(14), 및 카트리지(20)와 같은 의약제 저장소를 수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터 몸체(12)를 포함한다. 상기 애플리케이터는 펌프 어셈블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배출 노즐로부터 의약제를 펌핑하기 위한 액추에이터(30)를 포함한다. 상기 애플리케이터 헤드와 애플리케이터 몸체는, 작동 시 노즐 또는 노즐들이 두피나 그 외 신체 부위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서로에 대해 고정된다. 상기 애플리케이터는 의약제를 신체 부위에 펴바름으로써 두피와 신체 애플리케이터로서의 이중 기능을 가능케 하는 애플리케이션 페이스를 더 포함한다. 배출 헤드와 카트리지 형태의 배출 시스템 또한 제공되며, 상기 배출부의 프라이밍을 증진시키기 위한 통기 특성들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이러한 프라이밍 수단은 상기 애플리케이터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Description

배출 시스템{DISPENSING SYSTEMS}
본 발명은 일반적인 배출 시스템, 더 구체적으로는 두피 및 두피 끝, 그리고 그 외 신체 부위에 의약 제재, 특히 건선으로 고통받는 사람에게 의약 젤을 도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터(applicator)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의약 카트리지가 함께 사용되는 배출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터, 및 배출 시스템과 애플리케이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건선은 피부 세포가 교체되는 일반적인 주기가 가속화될 때 발생한다. 건선이 피부 상태의 문제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에는 그 근본 원인이 면역 체계에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피부 세포가 교체되는 데에는 보통 21-28일이 걸리지만, 건선의 경우 2-6일만에 피부 세포가 교체되기도 한다. 이러한 가속화는 피부 표면에 피부 세포가 축적되는 결과를 가져오는데, 이는 종종 건선 플라크(plaque)로 불린다.
건선 패치(patch) 또는 플라크는 신체 어느 부위에든 발생할 수 있지만, 보통은 팔꿈치, 무릎, 등 아래 부위 그리고 두피에서 가장 자주 발생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은빛이 나는 흰색의 스케일(scale)들로 덮힌, 붉은색의 상승된 피부 패치들로 나타난다. 스케일들은 벗겨질 때를 기다리는 피부 세포들이 축적된 것으로, 붉은색의 패치들은 증대된 양의 세포 생산을 돕는데 필요한 혈관 수의 증가의 결과로 나타나는 것이다.
플라크는 보통 가려움증과 불편함을 일으키고, 심할 경우에는 통증이 동반되고, 따갑게 하는데, 이러한 상태를 호전시키기 위한 다양한 치료법이 기존에 존재한다. 치료법에는 국부 치료, 광선요법, 전신 의약 치료 및 생물학적 주사 치료 등이 있다. 상태의 심각성에 맞게 치료법이 선택되는데, 대부분의 경우 국부 치료가 위험성이 낮고 환자에게 더 편리하기 때문에 적어도 초기에는 국부 치료가 선호된다.
많은 건선 환자들에게 있어서, 국부 치료, 즉 피부에 직접 바르는 제재들 만으로 피부 상태를 어느 정도 진정시키기에 충분하다. 이러한 종래의 제재들로는 하나 이상의 비타민 D, 콜타르(coal tar), 디트라놀(dithranol), 비타민 A, 및 스테로이드를 포함하며, 반고체 조성물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조성물은 보통 의료계 종사자에 의해 조제되며 도포할 양과 빈도 수를 규정한 도포 용법(dosage regime)과 함께 제공된다. 의약제는 일반적으로 튜브 안에 담겨서 제공되고 튜브로부터 짜내서 치료할 피부 부위에 바르게 된다. 종종, 바르는 양은 손가락끝 단위(finger-tip units, FTUs)를 사용하는데, 1 손가락끝 단위는 성인 손가락 끝에서부터 그 손가락의 첫 번째 주름까지를 의미하고, 도포할 FTU의 개수는 의약제가 발리게 될 면적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용량은 치료할 피부 부위의 면적에 따라 결정된다.
출원인이 다수의 건선 환자들을 인터뷰한 결과, 믿을 수 있는 도포 용법이 큰 문제로 나타났다. FTU는 사람마다 다르기 대문에 정확한 수단이 못 된다. 치료할 피부 부위가 작을 경우에는 서브-FTU만으로 충분할 수 있으나 이 또한 측정이 어렵다. 당연히 불충한 양의 의약제를 바를 경우, 치료 대상 피부는 올바른 도포 용법에 따라 발랐을 때만큼 낫지 않을 것이다. 반대로, 정량보다 많은 양을 바를 경우에도 더 심각한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 가령, 구부 치료를 과도하게 되면 피부 자극과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스테로이드 크림과 같은 조성물을 과량 도포하는 경우 피부가 그것을 흡수해서 스테로이드를 전신에 사용하는 경우와 같은 원치 않는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스테로이드를 정기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의 일반적인 부작용은 피부가 얇아지고 약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정량의 FTU로 건선 부위에 스테로이드 크림을 바르는 경우에도 크림을 바를 때 사용하는 사용자의 손가락끝의 피부가 약해지는 경우가 종종 있다. 따라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장갑을 끼고 스테로이드 의약제를 바르는 것이 추천되나 사용자들은 이것을 번거롭고, 지저분하고 실용적이지 못하게 느낀다.
건선성관절염(psoriatic arthritis) 환자들에게 있어, 의약제가 담긴 병 또는 튜브를 짜는 행위는 어색하고 및/또는 통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조절된 양을 바르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든다.
치료할 피부 부위가 두피나, 이마, 목 및 귀 뒷부분 등 두피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추가적인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 두피라고 하면 두피 주변 영역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인이 직접 바르는 경우에도 문제가 될 수 있는데, 치료할 부위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도움없이 바르는 경우에는 두피 뒤까지 “눈감고 바르는(blind)” 듯한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 두피를 치료하는 경우에는, 치료할 부위(들)를 노출시키기 위해 머리를 갈라야 하기 때문에 더 문제가 복잡해지고, 머리를 가르고 바른다고 해도 상당량이 두피보다 머리카락에 묻게 되어 효과적인 정량보다 적은 양이 치료 부위에 도포된다.
따라서 출원인은 상술한 문제점들 중 하나 이상을 극복하거나 적어도 완화할 수 있는, 두피를 포함한 신체 부위에 건선 연고 또는 젤 등의 반고체 의약제를 도포하기 위한 의약제 애플리케이터의 필요성을 인식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의약제 또는 조제용 물질 등의 용어는 흐르는 또는 압출되어 국부 부위에 바를 수 있는 의약 크림, 젤, 연고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서 상호 대체 가능하게 쓰이며, 이에 따라 연고, 젤 등을 지칭하는 것은 다른 형태의 반고체 조제용 물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이하 설명에서 애플리케이터 및 배출 시스템들은 의약 조제용 물질에 사용되기 위한 목적을 가지나, 비의약제 조제용 물질을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러한 용도는 본 발명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제1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반고체 의약제를 두피에 본인이 직접 도포하기 위한 핸드헬드(hand-held, 손에 쥘 수 있는) 애플리케이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애플리케이터는
머리카락을 통과하여 치료할 부위의 두피와 접촉하기 위한 긴 형상의(elongate) 하나 이상의 배출 노즐(nozzle)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터 헤드(applicator head);
의약제 저장소(reservoir)를 수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터 몸체(applicator body);
상기 의약제 저장소로부터 의약제를 제공 받기 위한 입구(inlet) 및 상기 애플리케이터 헤드 상의 상기 또는 각각의 배출 노즐에 의약제를 배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출구(outlet)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펌프 챔버(pump chamber)를 포함하는 펌프 어셈블리(pump assembly); 및
상기 챔버 내의 정량의 의약제를 상기 또는 각각의 출구를 통해 펌프(pump)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배출 노즐들로부터, 해당하는 정량의 의약제를 두피에 배출하기 위한, 상기 또는 각각의 펌프 챔버 상에서 작동 가능한 액추에이터(actuator)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터 헤드와 애플리케이터 몸체는 작동 시 상기 노즐 또는 노즐들이 상기 두피나 그 외 신체 부위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사용 시 서로에 대해 고정된다.
상기 애플리케이터 헤드와 몸체가 서로에 대해 고정됨으로 인해, 사용자는 가령 먼저 치료할 부위의 두피에 노즐 또는 노즐들을 위치시킨 후 상기 액추에이터가 작동될 때 상기 노즐 또는 노즐들이 상기 두피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하면서 정량의 의약제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정량이 일단 두피에 배출되면, 사용자는 상기 노즐 또는 노즐들을 사용해 인접한 부위에 의약제를 펴바를 수 있다. 이에 따라, 두피로부터 상기 노즐들을 들어올리지 않고도 의약제를 전달 및 도포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반고체 의약제를 두피에 본인이 직접 배출하기 위한 핸드헬드(hand-held) 애플리케이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애플리케이터는
머리카락을 통과하여 치료할 부위의 두피와 접촉하기 위한 긴 형상의(elongate) 하나 이상의 배출 노즐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터 헤드;
의약제 저장소(reservoir)를 수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터 몸체;
상기 의약제 저장소로부터 의약제를 제공 받기 위한 입구 및 상기 애플리케이터 헤드 상의 상기 또는 각각의 배출 노즐에 의약제를 배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출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펌프 챔버를 포함하는 펌프 어셈블리; 및
상기 챔버 내의 정량의 의약제를 상기 또는 각각의 출구를 통해 펌프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배출 노즐들로부터, 해당하는 정량의 의약제를 두피에 배출하기 위한, 상기 또는 각각의 펌프 챔버 상에서 작동 가능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터 헤드는 단일 노즐 애플리케이터에서 다수-노즐 애플리케이터로, 또는 다수-노즐 애플리케이터에서 단일 노즐 애플리케이터로 상기 애플리케이터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애플리케이터 몸체 상에서 교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추가적인 측면에 따른 애플리케이터는, 사용자나 공급자에 의해, 치료할 피부 상태의 심각성에 맞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터 헤드와 애플리케이터 몸체는, 바람직하게는 작동 시 상기 노즐 또는 노즐들이 두피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서로에 대해 고정된다.
또 다른 추가적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반고체 의약제를 두피에 본인이 직접 배출하기 위한 핸드헬드 애플리케이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애플리케이터는
머리카락을 통과하여 치료할 부위의 두피와 접촉하기 위한 긴 형상의 하나 이상의 배출 노즐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터 헤드;
의약제 저장소를 수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터 몸체;
상기 의약제 저장소로부터 의약제를 제공받기 위한 입구 및 상기 애플리케이터 헤드 상의 각각의 배출 노즐에 의약제를 배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출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펌프 챔버를 포함하는 펌프 어셈블리;
상기 챔버 내의 정량의 의약제를 상기 또는 각각의 출구를 통해 펌프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배출 노즐들로부터, 해당하는 정량의 의약제를 두피에 배출하기 위한, 상기 또는 각각의 펌프 챔버 상에서 작동 가능한 액추에이터; 및
제1 선택 모드에서는 모든 노즐들로부터 의약제가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고 제2 선택 모드에서는 단일 노즐로부터 의약제가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마련된 노즐 선택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상기 측면에 따른 애플리케이터는 작은 또는 어색한 부위들에 적합한 방식인, 단일 노즐로부터만 의약제가 배출되게 할 것인지, 또는 치료할 부위가 더 광범위하고 접근이 더 용이한 경우에 적합한 방식인, 모든 노즐로부터 의약제가 배출되도록 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는 융통성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단일 정량을 하나의 노즐로부터 배출되게 할 것인지 단일 정량을 모든 노즐들로부터 배출되도록 할 것인지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애플리케이터 헤드와 애플리케이터 몸체는, 작동 시 상기 노즐 또는 노즐들이 두피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서로에 대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자에 따라 두피를 포함해 다른 여러 신체 부위에도 건선 패치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은 이해되어질 것이다. 과거의 치료에서는, 두피에 도포하는 의약제와 그 외 신체 부위에 도포하는 의약제가 달랐다. 가령, 두피에는 젤 조성물을 사용하고 그 외 피부 부위에는 좀더 점성이 있는 크림 타입의 조성물을 사용했다. 그러나 그러한 경우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안겨주기 때문에, 사용 부위와 상관없이 단일 조성물을 사용하는 치료 방법을 요구될 것이다.
따라서, 그리고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반고체 의약제를 두피 및 그 외 신체 부위들에 직접 배출하기 위한, 조준식 자가 도포용 핸드헬드 애플리케이터에 관한 것으로,
머리카락을 통과하여 두피와 접촉하기 위한 긴 형상의 배출 노즐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터 헤드;
의약제 저장소를 수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터 몸체;
상기 의약제 저장소로부터 의약제를 제공받기 위한 입구 및 상기 애플리케이터 헤드 상의 상기 배출 노즐에 의약제를 배출하기 위한 출구를 갖는 펌프 챔버를 포함하는 펌프 어셈블리; 및
상기 챔버 내의 정량의 의약제를 상기 출구를 통해 펌프하고, 상기 배출 노즐들로부터, 해당하는 정량의 의약제를 두피에 배출하기 위한, 상기 펌프 챔버 상에서 작동 가능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터 헤드는 상기 전달된 의약제를 치료할 신체 부위에 펴바르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페이스(application face)를 더 포함한다.
상기 측면에 따른 애플리케이터는 환자들이 두피 애플리케이터와 신체 애플리케이터 두 가지로 모두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특히, 상기 노즐은 머리카락을 통과하여 의약제가 두피에 직접 전달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노즐은 또한 그 인접한 부위의 두피에 의약제를 펴바르는 것을 도울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노즐은 팔이나 다리와 같은 다른 신체 부위에도 의약제를 직접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페이스는 원하는 신체 부위에 의약제를 펴바르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애플리케이터는 신체나 두피에서의 플라크 부위의 크기와 상관없이 모든 건선 환자들에 의해 보편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저장소에 충진된 의약제가 두피와 신체 모두에 적합하기 때문에, 환자들은 모든 치료 대상 부위에 같은 애플리케이터를 사용할 수 있어서, 두피와 그 외 신체 부위에 각각 다른 애플리케이터를 사용해야 할 필요가 없다.
이 경우에도, 상기 애플리케이터 헤드와 애플리케이터 몸체는 작동 시 노즐이 두피나 피부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서로에 대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모든 측면에 따른 애플리케이터들은 상술한 애플리케이션 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어서, 두피 외의 다른 신체 부위에 의약제를 도포하는데 특히 적합하다는 것이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측면들 중 하나 또는 모든 측면들에 따른 애플리케이터의 다양한 바람직한 특성들을 아래에서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하는 특성들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상술한 본 발명의 모든 측면들 및 아래에서 더 일반적으로 설명할 배출 시스템들에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터는 바람직하게는, 의약제가 애플리케이터 안에 있는 동안에는 공기와의 접촉이 실질적으로 차단하는 무공기 전달 시스템(airless delivery system)을 포함한다. 무공기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산화를 방지하고 이에 따라 공기와의 접촉을 통한 의약제의 품질 저하를 막을 뿐만 아니라 두피 또는 그 외 신체 부위에 정확한 정량을 전달하는 신뢰성을 확보한다. 게다가, 무공기 시스템을 통해, 의약제를 배출하는 동안 상기 애플리케이터를 어떤 방향으로 쥐어도 상관없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애플리케이터 몸체는 의약제를 도포하는 동안 실질적으로 똑바로 세울 수도 있고, 뒤집을 수도 있고 그 사이의 어떤 방향으로 쥐어도 상관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쉽게 의약제를 도포할 수 있도록 돕는다.
사용하기 전에 의약제가 저장되고 기밀한 방식으로 유지되는 것을 돕기 위해 상기 의약제는 카트리지 내부에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애플리케이터는 의약제로 충진된 카트리지의 배출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카트리지 포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포트는 펌프 어셈블리의 각각의 펌프 챔버까지 상기 또는 각각의 입구와 연통된다. 상기 카트리지 포트는 상기 애플리케이터 헤드 상에 제공되는 것이 가장 편리하다. 상기 카트리지 포트는 가령 개입 (푸쉬) 장착, 나사 장착 또는 베이오닛(bayonet) 장착에 의해 카트리지와 결합하고 카트리지 출구 주변에서 밀봉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일단 카트리지가 완전히 장착되고 나면 상기 카트리지와 카트리지 포트 사이에서 의약제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카트리지 포트는 카트리지의 목부(neck)나 노즐 부분과 같은 카트리지의 외벽 또는 목부(neck) 안의 내벽, 또는 둘 다에 대해 밀봉됨으로써 상기 카트리지의 배출 단부와 밀봉하는 씰(seal)을 포함할 수 있다. 간단한 형태의 경우, 상기 씰은 상기 애플리케이터 상에서 O-링 씰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한 배열에 따르면, 상기 카트리지 포트는 카트리지의 배출 단부, 바람직하게는 목부의 내벽에 대해 밀봉하는 스토퍼(stopper)를 포함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스토퍼는 바람직하게는 입구를 통해 의약제가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펌프 챔버로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중앙 보어(central bore)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펌프 챔버로의 입구는 상기 스토퍼와 통합적으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카트리지에는, 카트리지를 애플리케이터에 장착하기 전에 제거 가능한, 일반적으로는 플라스틱 캡(cap)인, 카트리지 캡이 마련된다. 카트리지를 떨어뜨렸을 때 카트리지 노즐이나 목부에 대한 손상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가령, 상기 카트리지 캡은 바람직하게는 이중 벽, 더 바람직하게는 H-섹션 형태로 강화된다. 이것은 카트리지를 떨어뜨렸을 때 H-섹션의 외벽이, 노즐에 에너지가 전달되기 보다는 플라스틱 변형에 의해 적어도 일부 에너지를 흡수하게 함으로써, 노즐 파괴나 파손을 방지한다. 또는, 캡 대신에, 아니면 캡에 추가적으로, 상기 카트리지는 그 배출 단부에서, 그 출구에 전반에, 포일 씰(foil seal)과 같은 씰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러한 씰은 장착 전에 제거 가능하고 또는 카트리지가 애플리케이터에 장착되었을 때 애플리케이터에 의해 뚫릴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는 가방, 일반적으로는 포일 가방(foil bag)과 같은 접힐 수 있는 컨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강성한 하우징(소위 “병 속 가방(bag-in-bottle)”로 불림) 내부에 제공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튜브와 같은 실질적으로 강성한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트리지는 내부 튜브 벽과 밀봉 접촉하는 플런저(plunger)가 내부적으로 제공된 튜브를 포함할 수 있는데, 가령 의약제가 배출됨에 따라 카트리지 출구를 향해 올려지는 쌍둥이 립 씰(lip seal) 또는 그 외 유사한 탄성 씰(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런저는 카트리지 안의 의약제를 위해 무공기 환경을 유지한다.
일 배열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애플리케이터 몸체와 통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즉, 상기 애플리케이터 몸체는 카트리지로 필수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애플리케이터 몸체와 분리되어 존재하되 적어도 일부는 애플리케이터 몸체 안에 수용되어 있을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카트리지를 다 쓰면, 애플리케이터 몸체에서 탈착하고 카트리지 포트에서 빼내서 새 카트리지를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애플리케이터 헤드, 펌프 어셈블리, 그리고 적용 가능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터 몸체는 얼마든지 재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 배열에 따르면, 애플리케이터가 일회용으로만 사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펌프 어셈블리와 액추에이터는, 카트리지가 일단 고갈되면 버려지게 된다. 후자의 경우, 카트리지는 재사용 방지를 위한 일방 잠금 특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배열에 따르면, 애플리케이터 헤드, 펌프 어셈블리 및 액추에이터는 하나의 유닛으로 제공될 수 있는데, 이하, 헤드 어셈블리(head assembly)라고 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때 애플리케이터 몸체는 상기 애플리케이터 헤드와 장착되도록 마련된 의약제 카트리지로 필수적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애플리케이터는 충진된 카트리지를 헤드 어셈블리에 부착함으로써 사용 가능한 조립 상태가 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헤드 어셈블리와 카트리지는, 카트리지가 일단 장착되면 카트리지가 헤드 어셈블리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호 보완적인 연동 또는 비복귀(non-return) 특성들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상기 카트리지의 배출 단부에는 내측을 향하는 플랜지(flange)가 마련될 수 있고 애플리케이터 헤드 상의 카트리지 포트에는 상기 카트리지의 목부 안으로 삽입되는 스토퍼와 같은 립 씰(lip seal)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립 씰이 일단 상기 카트리지 목부의 복귀 플랜지 너머로까지 진행되고 나면, 상기 씰이나 플랜지를 손상시키지 않고는 상기 애플리케이터 헤드에서 카트리지를 더 이상 분리할 수 없게 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또는, 상기 스토퍼에는 상기 카트리지 목부의 내벽 상의 환형 범프(annular bump)와 연동되기 위한 환형 홈(groove)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가 카트리지 목부 안으로 인단 완전히 삽입되고 나면, 상기 범프는 상기 홈 안에 유지되게 되고 이때도 역시 상기 연결을 부수지 않고는 카트리지에서 상기 애플리케이터 헤드를 들어올릴 수가 없게 된다.
또 다른 대안적인 “일회성” 장착 배열에 따르면, 카트리지와 헤드 어셈블리는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헤드 어셈블리에 조일 수 있는 상호 보완적인 나사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이격된 립들이 상기 카트리지 목부 둘레에 제공되고,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2개의 유연한 탭(tab)들이 상기 카트리지 포트에 제공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립들은, 상기 카트리지가 헤드 어셈블리에 조여졌을 때는 상기 탭들을 밀어서 그 위로 지나갈 수 있으나, 반대 방향으로는 상기 탭(들)을 밀수가 없기 때문에,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헤드 어셈블리에서 분리 (조임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반면, 애플리케이터가 재사용 용도이고 애플리케이터 몸체가 카트리지와 분리되는 경우, 상기 몸체는 카트리지의 삽입을 허용하는 말단(distal end)(펌프 어셈블리에서 가장 먼 말단)이 개방된 빈 컨테이너, 일반적으로 원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통의 길이는, 카트리지가 원통 안에 삽입되고 카트리지 포트에 장착됐을 때 카트리지의 단부가 원통의 말단 너머로 연장됨으로써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포트에 푸쉬-장착(push-fitting) 또는 나사 조임에 의해 고정되며 그립(grip)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길이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사용자가, 어떤 의약제가 애플리케이터에 장착됐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의 말단은 그 내용물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일 배열에 따르면, 상기 카트리지는 장착됐을 때, 의약제 도포 시 사용자가 카트리지의 노출된 길이를 움켜쥘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 몸체의 단부 너머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다. 또는, 상기 카트리지는 애플리케이터 내부에 전부 수용될 수 있다. 말단에서 상기 카트리지 상에 마련되거나 애플리케이터의 구성 요소로서 마련된 단부 캡은 카트리지가 내부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애플리케이터 몸체의 개방된 단부를 밀폐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단부 캡은 또한 펌프 어셈블리의 유체 입구로 직간접적으로 이끄는 카트리지 포트에 대해 제 위치에 카트리지를 유지하는 것을 돕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터 몸체에 대한 단부 캡 또는 카트리지의 비배출 단부의 단부 표면은 적합한 경우, 저장 목적을 위해, 노즐(들)이 가장 상측에 위치하고 애플리케이터가 실질적으로 직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평평하거나 굽은 것이 바람직하다.
의약제의 최초 정량 전달을 수행함에 앞서, 펌프 챔버 및 배출 노즐 또는 노즐들이 의약제로 완전히 충진되도록 애플리케이터를 프라이밍(priming) 해야 한다는 것은 이해되어져야 한다. 프라이밍 작업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가령 수동 프라이밍은 의약제를 애플리케이터 몸체로부터 펌프 챔버 안을 거쳐 상기 또는 각 노즐을 통해 펌프되어 배출되도록 액추에이터를 작동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의약제가 일단 상기 또는 각각의 노즐 밖으로 나오기 시작하면 애플리케이터는 완전히 프라이밍되어 사용할 준비가 된 것이다. 프라이밍 시 노즐(들)로부터 배출된 의약제는, 액추에이터의 다음 작동 때도 의약제의 정확히 알려진 양, 즉 정량이 배출되도록, 닦아 내야 한다. 배출되는 정량은 노즐들로부터의 의약제를 일반적으로 포함하고, 배출된 정량의 용량은 상기 또는 각각의 펌프 챔버로부터 배출된 의약제의 용량에 해당한다.
불가피하게도, 충진 및 제조 허용 오차로 인해, 카트리지 내에서의 의약제의 충진 높이는, 액추에이터 작동에 의한 프라이밍 만으로는 실제적이지 못한 정도로 다양할 수 있다. 가령, 카트리지 목부로부터 0.5cm3의 공기만이 배출되는 경우에도, 노즐 끝에서 의약제가 나타나기 전에 카트리지 목부로부터 그리고 펌프 챔버 및 헤드 어셈블리의 노즐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는데에는 액추에이터를 약 30번 펌프해야 한다.
따라서, 액추에이터 작동만으로 프라이밍 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 또는 프라이밍 작동 시 액추에이터를 펌프해야 하는 횟수를 줄이기 위해, 카트리지와 애플리케이터 헤드, 또는 적어도 그 카트리지 포트는, 카트리지가 헤드에 장착됨에 따라 공기의 일부 또는 전부가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령,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 포트는 카트리지의 목부에 장착되기 위한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스토퍼에는, 카트리지의 목부 안으로 밀림에 따라 스토퍼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가 강제되는 통기구(vent)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의약제가 상기 펌프 챔버로 유동하도록 허용하는 중앙 보어(central bore)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 보어는 펌프 입구를 펌프 챔버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토퍼 보어는 제1 직경을 갖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을 갖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1 및 제2 부분들 사이의 가교 부분(bridging portion)은 펌프 챔버로의 입구 밸브를 위한 밸브 시트(valve seat)를 형성한다. 상기 가교 부분은 가장 바람직하게는 구체 또는 반구체 밸브, 특히 볼 밸브 등을 위한 밸브 시트의 역할을 하는 역립하는(inverted) 절삭 원뿔 표면을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카트리지의 목부으로 진행됨에 따라 배출 단부에서 충진 높이 위로, 카트리지 안에 초기에 존재할 수 있는 공기의 일부 또는 전부를 배출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삽입되기에 용이하고 카트리지 목부와 효과적으로 밀봉되기 위해, 상기 스토퍼는 그 외측면 둘레에 립 씰(lip sea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립 씰은 카트리지 목부와의 연속적인 씰을 형성하나 외측면이 전부 씰을 제공하는 경우보다 삽입시 낮은 압력을 요구한다.
일 배열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의 측벽에는 나선형의 립 씰 형태와 같은 나사와 같은 채널이 제공되는데, 이것은 상기 스토퍼가 카트리지 내부로 진행됨에 따라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토퍼 보어와 연통된다. 의약제가 상기 나사와 같은 채널을 통해 쉽게 강제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스토퍼의 정면 단부가 의약제에 도달하고 의약제를 배출하기 시작하면, 카트리지 내부에는 큰 역 압력(back pressure)이 발생한다. 이러한 역 압력은 플런저가 제공되는 경우 카트리지의 반대 단부에서 플런저를 뒤로 밀게되는데, 이로 인해 프라이밍 시 과도한 누출을 상당히 방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는 바람직하게는 애플리케이터의 프라이밍 시 발생할 수 있는 플런저의 역행 이동을 수용한다.
상기 스토퍼가 실질적으로 고체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는 한편, 실질적으로 빈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가령, 상기 스토퍼는 의약제가 카트리지로부터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내부 원통형 벽에 의해 형성되는 중앙 보어를 통해서와 별도로 의약제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삽입 단부에서 연결된 동축의 내부 및 외부 원통형 벽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원통형 벽은 바람직하게는 가령 단부에서 외측을 향하는 플랜지 또는 단부에 인접한 외주면 둘레의 립 씰에 의해, 카트리지가 완전히 삽입된 위치에 있을 때, 카트리지 목부의 단부 표면에 대해 밀봉한다. 이러한 빈 스토퍼는 밀봉의 질을 증대시키기 위해 압축 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토퍼가 고체이든 빈 구조이든 간에, 외부 또는 외측벽은 삽입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가늘어져서 카트리지 목부로의 진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카트리지 포트는 카트리지가 애플리케이터 헤드와의 밀병 결합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카트리지 목부의 외벽과의 연동에 의해 협력하는 캡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상기 캡 부재는 카트리지 목부에서의 외부 나사와 결합하는 내부 나사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캡 부재는 의약제가 펌프 챔버로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다.
일 배열에 따르면, 카트리지 포트는, 스토퍼가 내부적으로 진행되고 캡은 카트리지 목부의 외부에서 진행되도록, 캡 부재에 부착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토퍼에 외측을 향하는 플랜지가 마련됐을 때, 상기 카트리지는 애플리케이터 헤드 또는 헤드 어셈블리를 카트리지로 초기에 밀고 그런 다음 카트리지를 조여서 연결을 단단히 함으로써 카트리지 포트에 장착되고, 이러한 조임 작용은 카트리지 목부의 상단면과 캡 부재 사이에서 플랜지를 압축함으로써 의약제가 중앙 보어를 통해서는 배출되도록 헤드 어셈블리에 대해 카트리지를 밀봉하는 역할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 시 생성된 역 압력은 카트리지 플런저의 역행 이동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
또 다른 배열에 따르면, 카트리지의 목부는 이중벽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벽들은, 스토퍼가 카트리지의 목부 안으로 진행되고 공기가 배출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의약제의 과량 배출을 수용하기 위한 상기 벽들 사이에 챔버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거리로 이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라이밍 시 배출되는 의약제는 목부 벽들 사이의 챔버 내에 유지되고 애플리케이터로부터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배열에 따르면, 스토퍼는 외부 목부 벽과의 밀봉을 제공하는, 캡 부재에 대한 대안으로서의 캡 부분(cap portion)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캡 부분은 카트리지 내의 의약제가 목부 챔버 안에 남아 있는 공기와 접촉하지 않도록, 그리고 목부 챔버로 과량 누출된 의약제가 다시 카트리지로 되돌아오지 못하도록 내부 목부 벽과의 밀봉을 형성할 수 있다. 가령, 상기 캡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그 내부 단면으로부터 의존하는 2개의 동축 벽들을 구비하는데, 상기 벽들은, 스토퍼가 거의 끝까지 진행되었을 때만 내부 및 외부 목부 벽들에 대해 밀봉하도록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토퍼의 이동을 통해, 그리고 그런 다음에는 스토퍼가 진행됨에 따라 의약제에 의해 공기가 완전히 배출된 후에, 상기 밀봉이 형성된다.
애플리케이터 프라이밍을 위한 또 다른 대안적인 배열은 저장 시 카트리지를 밀봉하고 카트리지가 애플리케이터 헤드에 장착되기 전에 제거되는 카트리지 캡의 구성에 있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카트리지 캡은 카트리지의 비배출 단부에 대한 프라이밍 삽입부(priming insert)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배출 단부로부터 캡을 탈착한 후에는 비배출 단부 안으로 삽입되어 플런저를 뒤에서부터 진행시키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카트리지 캡은 플런저를 구동함으로써 애플리케이터 헤드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도구로서의 작용을 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 캡은 또한 상술한 다른 프라이밍 배열 예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카트리지 캡/프라이밍 삽입부가 프라이밍 후 카트리지의 후방 단부에서 유지될 수 있는 한편, 제거하여 버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애플리케이터의 사용자는 카트리지의 비배출 단부 안을 눈으로 봄으로써 플런저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카트리지가 고갈된 정도를 가늠할 수 있다.
프라이밍 삽입부는, 주요 카트리지 몸체의 외주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주면을 갖는 제1 부분, 및 플런저를 진행시키기 위해 카트리지 몸체의 비배출 단부 안으로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외주면보다 작은 외주면을 갖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부분은 내부 카트리지 벽을 따라 슬라이딩을 허용하는 크기의 외주면, 및 상기 제1 부분이 카트리지의 단부에 다다라서 더 이상 삽입이 방지되기 전에 프라이밍을 완료하도록 플런저를 진행시키기에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상기 프라이밍 삽입부는 바람직하게는 카트리지 목부 상의 상호 보완적인 결합 특성과 결합하고 카트리지 캡으로서 목부로의 삽입을 보장하기 위한 나사 부분 등을 포함한다. 또한, 카트리지 캡 또는 삽입부는 바람직하게는 장착됐을 때 카트리지 목부 안으로 연장되는 오목부(recessed portion)를 갖는데, 상기 오목부는 목부의 용량을 점유함으로써 캡이 제 위치에 있을 때 목부에서 카트리지 안에 존재하는 공기의 용량을 제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카트리지 안의 의약제는 의약제의 품질에 해가 될 수 있는 양의 공기에 노출되지 않게 된다.
애플리케이터의 배출 노즐 또는 노즐들로 돌아가서, 이들은 애플케이터 몸체에 대해 경사진 각도로 돌출되고, 하나 이상의 노즐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노즐들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일 바람직하다. 상기 노즐(들)이 애플리케이터 몸체에 대해 경사진 각도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머리 뒷부분과 같은 두피의 어색한 부위들까지 갈 필요가 없게 되고, 특히 두피에 대고 애플리케이터를 잡기에도 더 편안해지고, 신체 부위에 의약제를 배출할 때 노즐은 피부에 살짝 대기만 하면 되게 된다. 노즐 끝(nozzle tip)은 애플리케이터 몸체의 외주면 너머로 돌출될 수 있다.
일 배열에 있어서, 노즐 또는 노즐들은 애플리케이터 헤드의 경사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2개 이상의 노즐을 사용해 두피에 의약제를 마사지하는 경우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의약제에 대한 좀더 직접적이고 제한되지 않은 유동을 가능케 한다는 면에서 이접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터는 두피보다는 신체 부위에, 배출된 의약제를 펴바르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페이스(application fac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페이스는 배출 노즐(들)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단일 노즐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출 노즐은 애플리케이션 페이스와 분리된 애플리케이터 헤드 부분으로부터 돌출되기 보다는 애플리케이션 페이스와 인접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의약제의 원활한 도포를 위해, 애플리케이션 페이스는 실질적으로 평면 또는 약간 볼록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의약제를 펴바를 때 사용자의 피부를 긁지 않기 위해 애플리케이션 페이스의 외부 단부들 또는 주변은 둥근 형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애플리케이션 페이스가 실질적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노즐로부터 신체로 의약제를 전달하고 신체에 대한 애플리케이터의 방향을 단순히 조정함으로써 즉 애플리케이터와 사용자의 선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 없이 상기 애플리케이션 페이스를 사용해 의약제를 펴바를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 페이스는 애플리케이터 몸체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의약제의 배출 및 그런 다음 의약제를 사용자의 두피나 피부에 펴바르는 것은 애플리케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그립(grip)을 변경할 필요 없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배열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평면이거나 약간 볼록한 애플리케이션 페이스는 노즐의 일부를 포함하는 테이퍼(taper) 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노즐의 외부 표면의 일부는 애플리케이션 페이스가 연장된 일부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애플리케이션 페이스와 노즐은 함께 실질적으로 눈물방물 형상의 페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정점(apex)는 노즐을 포함한다. 애플리케이터가 단부 상에 직립될 때, 즉 카트리지의 비배출 단부 또는 애플리케이터 몸체의 단부 캡이 베이스(base)로서의 작용을 할 때, 애플리케이터 페이스와 노즐은 함께 애플리케이터의 위를 향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을 향하는 애플리케이션 페이스, 즉 애플리케이션 페이스가 애플리케이션 몸체의 길이방향 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경우와 같이 기타 인체공학적 배열 또한 상상해볼 수 있다. 이러한 방향에서도 노즐은 여전히 애플리케이션 페이스와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고 길이방향 축에 대해 경사진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애플리케이터는 한 쌍의 마주보는, 측면을 향하는 애플리케이션 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노즐은 양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양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일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특히 범용 가능하고 오른손 잡이 왼손 잡이 사용자 모두에 의해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배열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페이스는 실질적으로 노즐 아래에 마련될 수 있다. 가령, (애플리케이터 몸체 상의 단부 캡 또는 카트리지의 비배출 단부 등의) 베이스 상에 직립되었을 때, 일반적으로 상측으로 경사진 노즐은 애플리케이션 페이스 위로 돌출된다. 이러한 배열에서도 애플리케이션 페이스는 역시 위로 경사진 각도를 가지나, 노즐의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된다.
의약제가 강제되는 노즐(들)의 보어는 단면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노즐 끝으로 갈수록 테이퍼되는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노즐의 보어는 사실상 튜브형 부재 또는 노즐 내의 삽입부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강도 및 세척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볼 때, 노즐은 그 베이스에서는 바깥으로 퍼지게 형성될 수 있으나 (즉 노즐과 애플리케이터/애플리케이션 페이스 사이의 경계), 그 외에는 그 줄기의 실질적인 거리를 따라서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단면을 갖는다. 그러나,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또는 각각의 노즐의 외부 형태는 노즐 단면이 노즐 끝을 향할수록 테이퍼된다. 이렇게 테이퍼되는 노즐들은 기계적 강도도 강해지고 더 부드럽고, 깨끗한 표면을 제공한다.
외부 노즐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이거나 노즐이 그 끝을 향할수록 원뿔형일 수 있으나, 노즐이 애플리케이션 페이스로부터 연장되고 애플리케이션 페이스와 실질적으로 연속되고 있을 때에는 하나 이상의 평면이 동일하게 평평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페이스에서처럼, 노즐의 외부 형태는 의약제 도포 시 피부나 두피에 불편함을 야기하도록 오직 부드럽고 둥근 모서리들을 포함한다. 노즐들, 또는 적어도 그 실질적인 일부는 애플리케이터와 통합적으로 마련되는 것이 편리하다.
노즐들이 애플리케이터 페이스로부터 연장될 때, 애플리케이터 페이스는 애플리케이터 몸체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45° 내지 65°, 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5°의 범위 그리고 특히 52°의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또는, 애플리케이터가 의약제를 펴바르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페이스를 포함할 때, 상기 애플리케이션 페이스는 애플리케이터 몸체의 길이방향 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거나 상기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거나 그 사이의 각도, 일반적으로 20° 내지 60°의 범위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애플리케이터 헤드는 길이방향 축에 평행할 때 애플리케이터 몸체에 대해 오프셋될 수 있다.
두피에 주로 사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터에서 2개가 넘는 노즐이 있을 때, 모든 노즐의 끝이 동일한 평면 상에서 마무리됨으로써 모든 노즐이 두피에 대해 동시에 기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머리카락에 의약제가 발리는 것을 방지하고 바라는 부위에 의약제를 펴바를 때 모든 노즐이 두피에 대해 기대도록 유지시키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따라서, 3개의 노즐이 특히 바람직한데, 3개일 경우 표면에서 항상 안정세를 유지할 것이기 때문이다. 노즐들이 애플리케이터 페이스로부터 돌출되는 두피 애플리케이터에서, 출원인은 상기 또는 각 노즐의 길이방향 축과 애플리케이터 몸체의 길이방향 축 사이의 각도인 노즐 각도가 30° 내지 40°일 때, 더 바람직하게는 약 30°일 때 적합하다는 것을 밝혀냈다.
단일 노즐 또는 동일한 길이의 복수의 노즐이 애플리케이터 페이스로부터 연장될 때, 애플리케이터 페이스는 노즐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이해되어져야 한다. 그러나, 노즐들이 모두 같은 길이를 가지지 않으면, 애플리케이터 페이스는 노즐 각도보다 작은 각도로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애플리케이터 페이스의 평면과 애플리케이터의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 사이의 각도는 (이하, 페이스 각도) 약 30° 내지 60°, 더 바람직하게는 약 45°일 수 있다.
어쨌든, 머리카락의 대부분의 두께에 대해 노즐(들)이 효과적으로 통과하도록 하기 위해, 각 노즐은 최소 10mm의 길이, 더 바람직하게는 15mm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8mm 이상인 것이 적합하다. 노즐의 길이가 적어도 이론적으로는 상당히 더 길어질 수 있지만, 실제로는 약 30mm를 넘게 되면 손상되기 쉽기 때문에 추천되지 않는다.
2개 이상의 노즐이 있을 때, 적어도 20mm 이상, 40mm 미만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약 25mm 내지 35mm, 특히 27mm 내지 33mm로 이격되었을 때 상기 범위의 최저 범위는 바람직한 발림 패턴 (더 광범위하게는 두피 커버리지)을 제공하고 상기 범위의 최고 범위는 마시지 시 양질의 핸들링 안정성을 제공한다.
두피에 치료를 위해서, 의약제가 일단 배출되고 나면, 노즐 또는 노즐들을 해당 두피에 대해 일반적으로 “마사지”하거나,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작은 플라크와 같은 작은 신체 부위에 펴바르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또는 각각의 노즐의 끝은 비교적 강성해야 하는 노즐의 주요, 긴 부분에 사용되는 물질에 비해 더 부드럽고 탄성이 있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노즐 끝은 의약제가 두피의 민감한 부위에 부드럽게 도포될 수 있도록 탄성 중합체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신체 부위 치료에 사용되는 애플리케이터인 경우에도, 부드럽고 탄성 있는 노즐 끝은 사용자에게 편암함을 주는 혜택이 있다.
노즐 끝의 물질로 선택된 물질은 느낌(두피나 피부에 대한 부드러움)과 통과력(머리카락을 가르는) 간의 균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가령, 고무로 된 끝은 폴리머로 된 끝보다 편안할 수는 있지만 머리카락 통과에 덜 효율적이다. 또한, 노즐 끝이 노즐 줄기에 결합된 방식 또한 사용자가 느끼는 노즐 끝의 느낌과 통과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노즐 끝을 노즐 줄기에 결합하는 방식으로는 머리 볼트(headed bolt), 내부 리벳(internal rivet)의 사용 및 노즐 줄기 위로 노즐 끝을 늘리는 방식 등이 포함된다.
노즐에서 의약제가 배출될 때 노즐이 두피나 피부에 의해 막히는 것을 막기 위해, 또는 노즐 끝이 두피에 대해 마사지됨에 따라 발생하는 헐거운 플라크에 의해 노즐이 막히는 것을 막기 위해, 단부 포트/개구부 대신, 배출 포트를 가로 방향에 배치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여전히 의약제가 노즐(들)이 기대는 두피 또는 그 외 신체 부위 상의 피부에 직접 배출되나 하나 이상의 측면 포트로부터 배출되게 된다. 바람직한 일 배열에 따르면, 상기 또는 각각의 노즐은 단부 포트 및 상기 단부 포트 위로 형성된 (단부 캡 형태의) 노즐 끝, 그리고 단부 포트에서 배출되는 의약제의 방향을 안내하는 마주보는 측면 포트들을 포함한다.
노즐을 통해 외부 물질이 애플리케이터로 침투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또는 각각의 노즐은 핀 밸브(pin valve)나 슬릿 밸브(slit valve)와 같은 출구 밸브로 마무리될 수 있는데, 이들은 펌프 챔버에서 의약제에 작용하는 정압을 받으면 개방되어 상기 또는 각각의 노즐을 통해 의약제가 배출되도록 한다.
사용하지 않을 때는 애플리케이터 헤드와 특히 노즐(들)을 보호하는 것이 물론 바람직하기 때문에 애플리케이터는 애플리케이터 헤드를 에워싸는 캡이나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 커버는 가령 스냅-핏 메커니즘(snap-fit mechanism) 또는 나사-캡(screw-cap) 또는 단순히 마찰 핏(friction fit) 등에 의한 커버와 애플리케이터 헤드 또는 에플리케이터 몸체 상의 상호 보완적인 결합 특성들에 의해 애플리케이터 헤드 위로 장착되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량의 의약제를 두피에 전달하고 바라는 부위에 노즐로 의약제를 마사지한 후에는, 노즐들을 비롯해 애플리케이터 헤드는 깨끗하게 닦고 보호 커버는 교체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터 헤드의 커버는 애플리케이션 페이스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노즐 끝 또는 끝들을 밀봉하는 역할을 하는 이점을 갖는다. 애플리케이터 헤드가 애플리케이터 페이스와 인접하는 단일 노즐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커버는 노즐과 애플리케이션 페이스를 에워싸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터 커버는 실수로 인한 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액추에이터 레버를 보호하도록 연장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커버는 애플리케이터 헤드와 액추에이터, 또는 헤드 어셈블리 전체를 사실상 보호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 레버까지 보호함으로써, 애플리케이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 액추에이터에 의도치 않은 손상이 가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의도치 않은 사용을 막기 위해 액추에이터 레버를 단순히 보호할 뿐만 아니라 상기 레버를 완전히 에워싸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 배열에 따르면, 액추에이터를 보호하도록 애플리케이터 커버를 연장하는 대신, 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액추에이터 락(actuator lock)을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상기 커버는 액추에이터의 움직임을 막기 위해 액추에이터의 후방, 가령 레버 암(lever arm) 아래에서 삽입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잠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액추에이터 락은 액추에이터 레버의 마주보는 측면들 아래에서 클립(clip)될 수 있는 한 쌍의 암(arm)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각각의 암은 상기 액추에이터 레버가 애플리케이터 몸체나 카트리지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쐐기(wedge) 형상의 돌출부와 같은 돌출부로 마무리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애플리케이터 커버의 암들은 장착 시에는 서로에 대해 벌어지고, 해제되면 액추에이터 레버 후방에서 되돌아가기에 충분한 탄성을 갖는 것이 이상적이다.
애플리케이터의 펌프 어셈블리는, 애플리케이터가 사용을 위해 완전히 조립되었을 때, 특히 헤드 어셈블리의 구성 요소로서, 또는 그 사이에, 가령 바람직하게는 애플리케이터 몸체 내부, 더 바람직하게는 애플리케이터 헤드 내부에 수용되는 등 에워싸임으로써, 펌프의 구성 요소들이 청결하고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노즐(들)을 비롯한 애플리케이터 헤드, 및 애플리케이션 페이스가 마련된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 페이스, 그리고 애플리케이터 몸체는, 애플리케이터를 전체적으로 한번에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외부 표면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펌프 어셈블리의 상기 또는 각각의 유체 입구는 펌프 챔버가 정압을 받았을 때, 카트리지와 같은 의약제로부터 입구를 밀봉하고 펌프 챔버가 부압을 받았을 때 상기 유체 입구를 개방하기 위한 입구 밸브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또는 각각의 입구 밸브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펌프 챔버에 있는 의약제에 정압이 작용했을 때는 폐쇄됨으로써 배출에 영향을 주지만, 펌프 챔버가 배출되고 액추에이터가 해제된 후에는 개방된다. 정량의 의약제가 배출된 직후 펌프 챔버에 생성된 부압 및 이와 동시에 발생하는 입구 밸브의 개방은 챔버, 그리고 이에 따라 애플리케이터가 다음 사용을 위해 준비되도록, 의약제 저장소로부터 상기 입구 밸브를 통해 펌프 챔버 안으로 정량의 의약제가 유동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상기 또는 각각의 입구 밸브는, 펌프 챔버로 진행된 의약제가 상기 입력 밸브 상류로 되돌아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가령 간단한 플랩 밸브(flap valve) 또는 체크 밸브(check valve) 등의 일방 밸브(one-way valve)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비복귀 밸브(non-return valve)는 저장소에 있는 의약제가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애플리케이터가, 의약제 카트리지와 연결되기 위한 카트리지 포트를 포함하는 경우, 펌프 어셈블리의 입구 밸브는 카트리지 포트의 유체 출구 위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배열에 따르면, 입구 밸브는 스토퍼의 중앙 보어 위로, 더 바람직하게는 스토퍼 보어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중앙 보어는 디스크나 볼 등의 밸브 부재가 입구를 폐쇄하기 위해 기대거나 안착되는 숄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부재는, 펌프 챔버 내부가 부압을 받을 때에는 챔버 내부로 의약제가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숄더부 위로 올려질 수 있다. 입구 밸브 부재는 용수철이 포함(spring-loaded)된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용수철력(spring force)에 대해 펌프 챔버 내부가 부압을 받았을 때 입구가 개방되도록 하고 (의약제가 챔버 내부로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고), 압력이 동등해지면 용수철의 작용을 받아 입구를 폐쇄하게 된다. 가령, 상기 밸브는 디스크, 플러그, 볼 등과 같은 밸브 부재 및 별도의 용수철(spring)을 포함할 수 있지만, 밸브 부재와 용수철을 둘 다 포함하는 통합형 밸브 몰딩의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통합형 밸브 몰딩은 펌프 챔버 및/또는 카트리지 포트에 대해 상기 몰딩을 보장하기 위한 앵커부(anchor portion), 입구를 폐쇄하기 위한 디스크 또는 볼부(ball portion), alc 상기 앵커부와 상기 디스크 또는 볼부 사이에 연장되는 용수철부(spring por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앵커부와 용수철부는 둘 다 펌프 챔버로 의약제가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마련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바람직한 배열에 따르면, 상기 입구 밸브 몰딩의 앵커 부재는 스토퍼와 카트리지 포트의 캡 부재 사이에 포획될 수 있다.
의약제가 유입된 후 배출되는 펌프 어셈블리의 상기 또는 각각의 펌프 챔버는 접힐 수 있는 챔버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상기 챔버는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한 힘이 작용했을 때 용량이 줄어들게 된다. 이렇듯 접힐 수 있는 챔버는 예를 들어, 챔버 콘서티나(concertina)의 측벽들 또는 챔버의 단부 벽이 진행되거나 안쪽으로 “말려서(rolled)” 격막 측벽들이 짧아지는 각각 벨로우(bellow) 또는 롤링 격막(diaghragm)의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고, 또는 챔버의 용량이 줄어들도록 액추에이터에 의해 아래로 가압되는 수직 격막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레버 암과 플런저, 또는 수직 격막의 경우 L-자 형상의 레버 암 (한 암은 레버 암이고 다른 암은 플런저로서 작용)을 포함하는 액추에이터에서, 플런저가 챔버에 적용되도록 애플리케이터 몸체를 향해 레버 암을 압착 함으로써 액추에이터가 작동되면, 챔버의 수축을 일으켜서 기설정된 의약제의 양변위(positive displacement)가 발생하고, 이때 변위된 양은 의약제의 바람직한 정량에 해당하게 된다. 이러한 변위된 의약제는 펌프 어셈블리의 하나 이상의 유체 출구를 통해 하나 이상의 배출 노즐 밖으로 강제되고, 이에 따라, 동일한 양의 의약제가 상기 노즐들로부터 배출된다.
특히 벨로우 또는 롤링 격막 배열을 갖는, 접힐 수 있는 챔버는 탄성 물질, 바람직하게는 탄성 중합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챔버는, 몰딩에 의해 팽창된 (접히지 않은) 상태로 형성되어, 접힌 후 액추에이터의 해제 이후에는, 접힌 챔버 벽이 그 원래의 팽창된 형태로 되돌아가도록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가령 롤링 격막의 경우, 상기 챔버 벽이 그 원래의 접히지 않은 상태로 돌아가는 것을 돕고 및/또는 액추에이터를 다음 정량 배출 준비 위치인 그 초기 위치로 돌아가는 것을 돕는 음와인딩(negative wound)된 용수철이 포함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 해제 시, 상기 접힐 수 있는 챔버는 팽창하여, 상기 챔버 내부에는 부압이 형성되고, 다음 정량 배출 준비를 위해 유체 입구를 통해 의약제가 챔버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결과가 나타난다.
접힐 수 있는 챔버가 롤링 격막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챔버는, 실질적으로 선형적으로 접히도록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격막은 실질적인 선형 접힘이 강제되도록 챔버의 측벽들을 안내 또는 제한하기 위한 외부 케이싱에 의해 실질적으로 둘러쌓일 수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가 케이싱 내부에서 접힐 수 있는 챔버 상에서 작동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케이싱에는 격막의 중앙의 길이방향 축과 정렬되는 개구부, 및 챔버 핀이 제공되는데, 상기 챔버 핀은 일단부는 격박의 단부 벽과 접촉하고 타단부는 액추에이터와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연장된다. 상기 챔버 핀은 작동 시 액추에이터에 의해 일단부로부터 상기 핀의 타단부로 밀림에 따라 격막을 진행시켜 의약제가 배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챔버 핀은 상기 격막의 길이방향 (접히는) 축을 따라 왕복운동(reciprocate)을 하게 된다.
격막과 접촉하는 챔버 핀의 단부는, 격막이 “접히지 않은” 형태로 되돌아갈 때, 상기 핀이 다음 작동을 준비하는 위치에 남아 있도록, 가령 상기 핀과 격막 상의 상호 보완적인 결합 특성들에 의해 격막에 의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핀 단부가 경각에 대해 긍정적으로 유지되지 않으면, 되돌아가는 힘을 받을 때 격막과의 접촉을 잃을 위험이 있어 격막과의 정렬이 틀어지는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배열에 따르면, 챔버 핀은 격막과 접촉하는 핀 단부에 인접한 홈을 포함하고, 상기 격막은 그 단부 벽에 외측을 향하는 중앙 리세스(recess)를 포함하고, 상기 격막의 단부 벽에는 내부 립이 연장되어 들어오고 격막에 대해 제 위치에 핀을 유지하기 위해 핀 홈과 맞물리는 외측을 향하는 중앙 리세스를 포함한다.
다른 형태의 펌프 체임도 고안되었다. 가령, 하나 이상의 접힐 수 있는 펌프 챔버 대신에, 챔버 또는 챔버들은 하나 이상의 원통을 포함할 수 있는데,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피스톤이 이 각각의 원통을 따라 진행된다. 따라서, 피스톤이 각각의 원통을 따라 진행됨에 따라, 의약제가 관련 유체 출구를 통해 원통 밖으로 배출된다. 레버가 해제되면, 상기 피스톤, 용수철의 복귀하는 힘 등을 받아 그 원통을 따라 철회되고, 그 결과로 나타나는 원통 내의 부압은 유체 입구를 통해 유입된 의약제로 재충진되어 다음 정량을 전달할 준비가 완료된다. 피스톤 부재의 트레일링 단부(trailing end)는 피스톤을 진행시키도록 액추에이터 레버에 의해 가압되는 버튼, 핀 등을 운반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피스톤은 의약제의 누출을 방지하고 의약제가 출구(들)을 통해 노즐(들)로 배출되도록 원통 벽과의 밀봉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립 씰(lip seal)을 포함할 수 있다.
펌프 원통의 길이방향 축은 애플리케이터 몸체 (또는 카트리지)의 길이방향 축과 가로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애플리케이터에 대해 수평 작동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펌프 어셈블리는 각각의 펌프 챔버 내부가 부압을 받을 때 상기 또는 각각의 펌프 챔버로부터 유체 출구를 밀봉하고 각각의 펌프 챔버 내부가 정압을 받을 때 상기 유체 출구를 개방하여 의약제가 상기 노즐(들)로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출구 밸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출구 밸브(들)을 구비함으로써 펌프 챔버 내부의 의약제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노즐(emff)로 배출된 의약제가 펌프 챔버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펌프 챔버가 무공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다양한 형태의 밸브가 사용될 수 있지만, 출구 밸브 또는 밸브들은 탄성 있는, 바람직하게는 탄성 중합체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펌프 챔버에 배출력이 적용될 때 상기 또는 각각의 출구로부터 물질이 외측으로 변형되도록 하여 의약제가 펌프 챔버(들)에서 노즐들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일 배열에 따르면, 펌프 챔버가 접힐 수 있는 챔버인 경우, 출구 밸브(들)과 접힐 수 있는 챔버는 통합된 유닛으로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입구 밸브, 접힐 수 있는 펌프 챔버 및 출구 밸브(들)은 단일의 통합된 탄성 중합체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는데, 가령 입구 밸브는 상기 탄성 중합체 프로파일의 실질적으로 평평한 부분에 플랩 등을 펀칭함으로써 형성되는 플랩 밸브(flap valve)일 수 있고, 상기 펌프 챔버와 출구 밸브(들)은 상기 프로파일의 적합하게 윤곽이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른 배열에 따르면, 출구 밸브는 입구 밸브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는데, 가령 상기 출구 밸브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밸브 부재와 용수철을 둘 다 포함하는 통합형 밸브 몰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밸브를 사용하는 경우, 펌프 어셈블리의 일부를 포함하는 몰딩과 노즐로의 유체 통로를 제공하는 또 다른 몰딩 사이에 어떠한 앵커 위치라도 포착할 수 있다.
챔버 벽들의 물질, 또는 그 내벽은, 의약제와 오래 접촉하더라도 품질이 저하되지 않는 것을 사용함으로써 의약제가 질 저하로 인한 부산물로 오염되지 않도록 하고 애플리케이터가 장기간에 걸쳐 재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상기 접힐 수 있는 펌프 옵션에 대한 바람직한 탄성 중합체 물질에는 실리콘, 플루오르엘라스토머(fluoroelastomer) 또는 열가소성엘라스토머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터의 액추에이터는, 펌프 어셈블리의 펌프 챔버(들)는 노즐(들)과 액추에이터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경사진 애플리케이터 페이스의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가, 사용시, 즉 배출 위치에서는, 쉽게 접근 가능하되 두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애플리케이터의 측면부에 위치하는 경우, 배출 및 마사지 시에는 두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고, 이때 액추에이터는 실질적으로 배출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작동된다. 액추에이터, 펌프 챔버(들) 및 배출 노즐들이 이러한 방식으로 실질적으로 정렬되면, 이는 의약제 배출을 위패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데 요구되는 힘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 이것은, 의약제 배출에 필요한 노력이 줄어들기 때문에 가령 관절이 뻑뻑하거나 통증을 갖고 있는 사용자들에게 특히 유리할 뿐만 아니라, 한 손으로도 작동할 수 있게 한다.
실질적으로 서로 연속적인 단일 노즐과 애플리케이션 페이스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터들에 있어서, 액추에이터는 노즐 아래에, 노즐과 실질적으로 정렬되게 배치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페이스가 노즐 아래에 마련되는 경우의 액추에이터는 애플리케이터에서 애플리케이션 페이스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이 낫다. 이는 애플리케이션 페이스에 의해 의약제가 도포되는 동안 액추에이터가 실수로 작동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이다.
액추에이터는, 상기 또는 각각의 펌프 챔버로부터 의약제를 긍정적으로 이탈시키기 위한 플런저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상기 액추에이터는 플런저와 버튼을 포함하는데, 상기 버튼이 가압되면 플런저가 진행되고 펌프 챔버로부터 의약제가 이탈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액추에이터가 버튼 대신 플런저, 및 기계적인 이점을 제공하는 레버 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 암은, 상기 레버 암과 애플리케이터 몸체가 함께 압축되면 플런저가 펌프 챔버(들)에 작용하도록, 애플리케이터 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펄크럼(fulcrum)으로부터 경사지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레버 암은 실질적으로 직선 형상이거나 약간 굽은 형상일 수 있고, 또는 각도를 가질 수도 있는데, 가령 애플리케이터 몸체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일반적이거나 경사진,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다리, 및 애플리케이터 몸체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기 제1 다리에 종속된 제2 다리 (즉 애플리케이터 헤드로부터 멀어지도록 종송됨)를 포함하는 L-자 형상일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레버 암의 제1 다리를 아래로 내리거나 펌프 몸체로 제2 다리를 압축함으로써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환자에 따라 치료가 필요한 부위의 크기 및 두피 상에서의 위치 등이 다 다르기 때문에, 그에 맞게 애플리케이터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두피 상태에 그리 심각하지 않고 치료가 필요한 부위가 비교적 면적이 작은 경우를 위해서는 애플리케이터가, 단일 노즐을 갖는 애플리케이터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일 노즐 애플리케이터는 어색한 부위 또는 귀 뒤나 머리선(hairline)과 같이 손이 닿기 어려운 부위에 의약제를 도포해야 하는 경우에도 유리하다.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단일 노즐 애플리케이터는 가령 매 작동 마다 0.05 내지 0.1g 범위의 정량의 의약제를 전달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가령 펌프 챔버의 용량을 적합하게 조절함으로써 이보다 적거나 많은 정량을 전달할 수도 있다.
두피 상태가 더 심각해서 더 넓은 부위에 의약제를 도포해야 하는 환자들의 경우, 애플리케이터는 복수의 서로 이격된 노즐, 가령 2개 내지 6개, 바람직하게는 2개 내지 4개, 가장 바람직하게는 3개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출원인이 밝혀낸 바에 따르면, 3개의 노즐을 사용할 때가 머리카락을 통과해서 넓은 부위에 의약제를 바르는데 있어 편리한 균형을 찾을 수 있었던 것도 있지만, 그뿐만 아니라 3개의 노즐은 안정성 때문에도 선호되는데, 이는 3개의 노즐이 항상 두피와 접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역시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3개의 노즐을 갖는 애플리케이터를 사용하면 동일한 단일 노즐 애플리케이터를 사용할 때보다 3배의 정량, 가령 매 작동 마다 1.15 내지 0.3g 범위의 정량의 의약제를 전달할 수 있다. 역시 상술한 바와 같이, 정확한 정량을 결정하기 위해 펌프 챔버의 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다수의 노즐을 갖는 애플리케이터의 경우의 애플리케이터 헤드의 페이스는 전달된 정량의 의약제에 의해 도포될 두피의 면적과 대략 비슷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가령, 3개의 노즐을 갖는 애플리케이터의 페이스의 면적은 단일 노즐 애플리케이터의 페이스의 면적보다 3배 더 넓을 수 있다.
물론, 환자의 상태는 시간이 지나면 심각한 상태에서 미약한 상태로, 또는 그 반대로도 변할 수 있고, 단일 및 다수의 노즐 치료에 적합한 몇 개의 치료 부위를 갖고 있을 수도 있다. 이런 측면에서, 단일 사용자 전용 애플리케이터 헤드를 갖는 애플리케이터를 제공하기 보다는, 각기 다른 노즐 구성을 갖는 교환 가능한 애플리케이터 헤드를 복수 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가령 애플리케이터는 교환 가능한 단일 및 트리플 노즐 애플리케이터 헤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교환 가능한 애플리케이터 헤드들에는, 가령 사용자가 단일 노즐 애플리케이터에서 다수-노즐 애플리케이터로 쉽게 변경할 수 있는 통합형 펌프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노즐 구성이 어떠한지에 따라 다른 유체 출구 배열이 필요할 수도 있음이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가령, 다수-노즐 애플리케이터를 위한 펌프 어셈블리가, 제공된 노즐의 수에 따라 펌프 챔버의 상류로 더 분기되는 유체 통로들을 갖는 단일 펌프 챔버로부터의 단일 출구를 포함할 수 있는 한편, 그 대신 펌프 챔버 자체가 복수의 출구를 가질 수도 있다. 또는, 하나 이상의 펌프 챔버가 제공되고, 작동 시 각 체임저는 각각의 배출 노즐 또는 노즐들 그룹으로 의약제를 전달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양한 정량들에 맞게 교환 가능한 헤드들을 제공하는 것 대신에, 애플리케이터의 애플리케이터 헤드는 복수의 배출 노즐, 및 모든 노즐로부터 의약제를 배출하는 제1 모드과 복수의 노즐 중에서 하나의 노즐로부터 의약제를 배출하는 제2 모드에서 작동 가능한 노즐 선택 메커니즘(nozzle selector mechanism)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가령 작은 두피 면적에 도포하는 경우와 같이, 단일 노즐로부터 의약제를 배출할 것인지, 또는 더 넓은 부위를 치료하는 경우와 같이 모든 노즐로부터 의약제를 배출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3개의 노즐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터 헤드는 노즐당 배출되는, 일반적으로, 한 드롭(drop)이 상당히 클 뿐만 아니라, 두피 커버리지와 머리카락 통과율 사이에 효과적인 균형을 제공한다. 따라서, 하나의 모드에서의 노즐 선택 메커니즘은 단일 노즐로부터 의약제를 배출하고 또 다른 모드에서는, 다른 모드에서의 단일 노즐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2개의 노즐을 통해서도 의약제를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3개 이상의 노즐이 제공되면, 배출 배열도 그에 적합하게 마련된다는 것은 이해되어져야 한다.
상기 선택부(selector)가 제2 모드, 즉 단일 노즐 배출 모드로 설정되었을 때 의약제를 배출하는 노즐은 다른 노즐들 너머로 돌출된다. 다시 말해, 단일 배출 노즐의 노즐은 다른 나머지 배출 노즐들보다 더 긴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느 단일 노즐로부터 의약제 배출 시 작동되는 노즐을 쉽게 인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노즐을 두피 부위에 대고 그 노즐만 두피 상에 마사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른 (비작동) 노즐들이 두피에 대고 비벼짐으로써 문제가 없는 두피를 악화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일 노즐 끝은 다른 노즐들의 끝보다 10mm 내지 15mm 더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일 노즐 배출 모드와 다수-노즐 배출 모드 사이에서 변경 가능한 애플리케이터에서는, 펌프 어셈블리가 하나 이상의 펌프 챔버를 포함하고, 노즐 선택 메커니즘은 작동 시 제1 모드에서는 모든 펌프 챔버로부터 의약제를 배출하고 제2 모드에서는 단일 펌프 챔버로부터 의약제를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유리하다. 하나 이상의 펌프 챔버를 구비하고, 하나의 챔버로부터 의약제를 배출할지 또는 모든 챔버로부터 의약제를 배출할지 결정함으로써, 배출되는 의약제의 정량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도 있게 된다. 가령, 모든 챔버로부터 동시에 배출되는 정량은 일반적으로 단일 펌프 챔버에서만 배출되는 정량의 몇 배가 될 것이다. 이를 통해, 노즐 선택 메커니즘은 또한 배출된 정량을 결정하기도 한다.
일 배열에 따르면, 애플리케이터는 2개의 펌프 챔버를 갖는 펌프 어셈블리를 포함하는데, 하나의 챔버는 단일 노즐로 정량의 의약제를 배출하기에 적합한 용량을 갖고, 다른 챔버는, 2개 이상의 노즐 각각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의약제 정량을 배출하기 위한 상기 하나의 챔버보다 큰 용량을 갖는다. 따라서, 3개의 노즐을 갖는 애플리케이터의 경우, 다른 챔버의 용량은 제1 챔버의 용량보다 실질적으로 2배가 된다.
하나 이상의 챔버 상에서 선택적으로 작동 가능한 노즐 선택 메커니즘은 액추에이터와 통합되는 것이 편리하다. 가령, 상기 노즐 선택부(nozzle selector)는 액추에이터의 플런저와 통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배열에 따르면, 플런저는 플런저의 회전 위치에 따라 하나의 펌프 챔버 또는 모든 펌프 챔버들 상에서 선택적으로 작동 가능한 회전 가능한 요소(rotatable element)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런저는 모든 펌프 챔버들 상에서 작동이 불가능한 위치로 더 회전됨으로써 애플리케이터의 잠금 위치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액추에이터가 작동되도 의약제가 배출되지 않는다.
애플리케이터가 2개 (또는 그 이상, 단 2개가 바람직한 숫자임)의 펌프 챔버를 포함하고, 각 챔버는 롤링 격막의 형상으로 마련되며, 관계된 챔버 핀들이 격막 케이싱으로부터 돌출되는 경우, 회전 가능한 플런저는 플런저 몸체, 상기 플런저 몸체의 후방으로부터 연장되는 액추에이터 로드(actuator rod), 및 상기 플런저 몸체의 정면에 형성된 3개 이상의 개구부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개구부들은 제1 플런저 위치로 회전했을 때, 액추에이터 로드의 작동 시, 모든 챔버 핀들을 진행시킴으로써 모든 펌프 챔버에서 의약제가 배출되고, 제2 플런저 위치로 회전했을 때는 상기 플런저 페이스가 단일 노즐로 배출하는 펌프 챔버와 관계된 챔버 핀만을 진행시키고 (다른 챔버 핀은 진행되지 않도록 개구부 내에 수용되고), 제3 플런저 위치로 회전했을 때는, 작동 시 의약제가 배출되지 않도록 플런저 페이스가 그 어떤 챔버 핀과도 접촉하지 않도록 (모든 챔버 핀들이 각각의 개구부에 수용됨) 이격된다.
사용자가, 바라는 배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플런저 몸체의 후방에는 다이얼(dial)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다이얼에는 플런저 또는 액추에이터 로드가 통과하도록 연장되는 중앙 개구부(central aperture)가 형성된다. 상기 액추에이터 로드는, 특정한 모드 선택을 위해 다이얼이 회전되었을 때 상기 액추에이터 로드와, 이에 따라, 플런저 몸체가 동시에 회전하도록, 액추에이터 로드는 비대칭 단면을, 그리고 중앙 다이얼 개구부는 그에 대응하는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이얼은 또한, 다이얼 링이 제3의, 비배출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액추에이터 레버 아래측에서 상호 보완적인 리세스와 결합하기 위한, 다이얼의 외주면을 너머 짧은 거리로 연장되는 탭(tab)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변경 메커니즘(switching mechanism)은 다이얼과 플런저 몸체 사이에 끼워지는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유리한데, 상기 삽입부는, 플런저가 펌프 (단일 및 다수-노즐 배출) 또는 잠금 위치에 있을 때만 플런저 몸체의 상호 (전후) 이동을 허용하도록 플런저 몸체 상의 외부 돌출부들과 협력하는 열쇠의 역할을 하는 복수의 내부 돌출부들을 포함한다.
물론, 애플리케이터에서 배출되는 정량을 다양화하기 위한 그 외 배열도 구현 가능하며, 이에 대해서 하기에서 설명할 것이다. 가령, 액추에이터 작동 시 배출되는 의약제 양의 다양화를 위한 별도의 정량 선택 메커니즘이 애플리케이터에 제공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터가 노즐 선택 메커니즘과 정량 선택 메커니즘을 둘 다 포함하는 경우, 모든 노즐로부터 배출되는 의약제의 양은 단일 노즐로부터 배출되는 의약제의 양의 몇 배일 수 있다. 따라서, 노즐과 정량 선택 메커니즘의 조합은, 애플리케이터를 단일 노즐 배출에서 다수-노들 배출로 변경하고, 배출되는 의약제의 정량을 변경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을 제공한다.
정량 선택 메커니즘이 노즐 선택 메커니즘으로부터 별도로 작동 가능한 경우, 사용자는 가령 단일 또는 다수-노즐 배출 중에 하나를 선택하도록 노즐 선택 메터니즘을 초기 작동한 후, 선택된 노즐(들)로부터 배출될 정량을 선택하도록 정량 선택 메커니즘을 작동할 수 있다.
정량 선택 메커니즘은 펌프 챔버로부터 배출되는 의약제의 양을 변경하기 위해, 제1 및 제2 작동 모드들 사이의 액추에이터의 작동 정도를 변경함으로써 작동할 수 있다. 가령, 단일 노즐로부터만 의약제가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 정량 선택 메커니즘은 액추에이터의 이동 정도를 제한하고 이에 따라 펌프 챔버로부터 배출되는 의약제의 양을 설정할 수 있는 반면, 약제가 모든 노즐들로부터 배출되어야 하는 경우, 정량 선택 메커니즘은, 레버 또는 버튼과 같은 액추에이터의 이동이 제한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고정된 애플리케이터 헤드 (가령, 단일 노즐, 또는 의약제 도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페이스를 포함하는 헤드를 비롯한 트리플 노즐 헤드)를 갖는 애플리케이터 상에 포함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져야 한다.
액추에이터 제한 장치(actuator limiting device)는 제1 위치에서는 완전한 작동을 허용하고 제2 위치에서는 제한된 작동을 허용하는 레버 스위치(lever switch) 또는 다이얼 스위치(dial switch)와 같은 스위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액추에이터 자체에 운반될 수 있고, 또는 액추에이터에 인접할 수 있다. 가령, 액추에이터가 레버를 포함하는 경우, 스위치는 레버 자체 또는 애플리케이터의 몸체 상에 운반되는 레버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스위치는 레버의 방해가 없는 제1 위치로부터 애플리케이터 몸체를 향한 레버의 이동을 부분적으로 방해하는 제2 위치로 이동하기에 적합하게 마련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는, 그것이 버튼이든 레버 메커니즘이든 또는 다른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든지에 상관없이, 액추에이터를 다음 작동이 준비되는 시작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용수철 또는 그와 유사한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를 제한하기 위한 스위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용수철은 상기 스위치가 설정한 적합한 위치로 상기 액추에이터를 복귀시키게 된다.
애플리케이터는 의약제의 부주의한 배출을 방지하기 위한 액추에이터 락(actuator lock)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락(lock)은 애플리케이터가 가령 여행 가방이 실릴 때 유용하며 레버 암이 실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용하다.
상기 액추에이터 락은 레버 암과 같은 액추에이터의 이동이 실질적으로 방지되는 제1 위치와 상기 레버 암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제2 위치 사이의 슬라이딩 또는 회전 등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스위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 락은 레버 암과 같은 액추에이터의 이동이 실질적으로 방지되는 제1 위치와 레버 암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sliding) 또는 회전 등에 의해 이동 가능한 스위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위치는, 애플리케이터 또는 애플리케이터 헤드를 포함하는 헤드 어셈블리, 펌프 어셈블리 및 액추에이터 상에서, 가령 레버 암과 몸체 사이, 또는 레버 암 상의 레버 암의 자유단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잠긴 위치와 잠기지 않은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부(insignia)가 스위치, 애플리케이터 몸체, 스위치와 인접한 헤드 또는 레버 암,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일 배열에 따르면, 액추에이터 락(actuator lock)은 정량 선택부의 이동 제한 장치를 포함하는 스위치와 통합될 수 있다. 이렇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i)액추에이터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ii) 감소된 정량의 의약제를 배출하기 위한 액추에이터의 이동 정도를 제한하거나, (iii) 최대 정량의 의약제를 배출하기 위한 액추에이터의 제한되지 않는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3개의 스위치 위치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액추에이터 락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회전 가능한 플런저 옵션에 대한 대안적인 해결 방법을 제공하는데, 플런저는, 작동 시 상기 또는 각각의 펌프 챔버와 상호 작용하지 않는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복수의 노즐, 및 단일 또는 다수-노즐 배출 사이에 선택하기 위한 노즐 선택 메커니즘을 갖는 애플리케이터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펌프 어셈블리는 노즐들 중 하나로 의약제를 배출하기 위한 제1 유체 출구가 말단에 형성되고 나머지 노즐들로 의약제를 배출하기 위한 제2 유체 출구가 원통을 따라 중간 위치에 형성된, 가령 원통 형상의 통합된 챔버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제1 작동 모드에서는 의약제가 제1 및 제2 유체 출구 둘다로부터 배출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출구가 챔버에 대해 개방되고 제2 작동 모드에서는 의약제가 제1 유체 출구로부터만 배출되도록 제2 유체 출구가 원통 내의 피스톤에 의해 차단된다.
이러한 배열에 따르면, 노즐 선택 메커니즘은 원통 내의 의약제가 두 출구를 통해 완전히 배출되도록 피스톤이 완전히 후퇴된 제1 위치에서부터, 제2 유체 출구가 피스톤에 의해 차단되는 위치로 피스톤이 부분적으로 진행된 제2 위치로 액추에이터 레버를 진행시킬 수 있는데, 이 위치에서 상기 원통은 단일 노즐로 배출할 준비가 된 감소된 양의 의약제를 담고 있게 된다. 따라서, 노즐 선택은 또한 정량을 자동으로 선택하게 된다. 다수-노즐에서 단일 노즐 배출로 변경함에 있어서, 피스톤이 제2 위치로 진행됨에 따라 일정량의 의약제가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원치 않는" 의약제는 노즐 출구에서 단순히 닦아냄으로써 제거 가능하며, 액추에이터의 다음 후속 작동에서는 하나의 노즐에서만 정확한 정량이 배출되게 된다.
또 다른 일 배열에 따르면, 정량 선택 메커니즘은 단일 노즐을 제외한 나머지 노즐들로는 유체가 유동하지 못하도록 방지하기 위한 노즐 차단(잠금) 밸브, 및 레버의 허용 이동(회전) 정도를 제한하기 위한, 액추에이터 메커니즘의 레버 상의 슬라이딩 스위치를 포함한다. 작동 시, 단일 노즐로부터만 배출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잠금 밸브는 활성화되고, 액추에이터 스위치는 펄크럼을 향해 위로 슬라이드 되어, 레버의 이동 및 이에 따른 피스톤이 진행될 수 있는 거리도 줄어들게 된다.
또 다른 대안 배열에 따르면, 액추에이터 레버 상에 그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대신해, 제1, 기설정된 정량의 의약제를 배출하기 위해 액추에이터 레버의 이동이 허용된 제1 위치로부터, 제2, 더 적은 기설정된 정량의 의약제를 배출하기 위해 스위치가 액추에이터 레버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스위치가 애플리케이터 몸체 또는 헤드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액추에이터 레버의 회전 정도를 조절하도록 레버 및 애플리케이터 몸체 또는 헤드 사이에서 쐐기(wedge)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한다. 이 배열에 따르면, 애플리케이터가 하나의 배출 노즐을 제외한 나머지 노즐로는 의약제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단일 노즐 작동의 경우에는, 몸체 스위치는 제2 위치로 슬라이드되고 잠금 밸브가 활성화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애플리케이터에서는 더 적은 정량이 배출된다. 단일 노즐로부터 배출되는 정량이 애플리케이터 상의 노즐들의 총 개수와 비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3개의 노즐을 갖는 애플리케이터의 경우, 단일 노즐로부터 배출되는 정량은 3개의 노즐이 모두 개방된 경우에 배출되는 양의 3분의 1이 될 것이다.
물론, 상술한 것 외에도, 단일 및 다수-노즐 배출 사이의 변경을 허용하고 모두 함께 배출되는 것은 방지하기 위한 배열은 많이 있을 수 있다. 가령,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 노즐로의 의약제 유동을 방지하는 단일 잠금 밸브 대신, 일부 또는 모든 노즐로의 유동을 폐쇄하기 위한 다수 잠금 밸브를 포함하는 배열이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밸브들은 통합된 밸브 스위치 상에 제공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밸브 스위치가 일 방향으로 이동하면 각각의 밸브는 폐쇄되게 된다. 다라서, 일 극단 위치에서는 모든 밸브가 폐쇄되고, 그 반대의 극단 위치에서는 모든 밸브가 개방되고, 일 중간 위치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는 개방되고 또 다른 밸브는 폐쇄된다. 이러한 통합된 밸브 스위치는 액추에이터 레버에 연결됨으로써, 정량 선택부에 의해 설정된 레버의 위치는, 배출되는 정량 (허용 가능한 이동의 정도로 결정된), 및 효과적으로 폐쇄된 노즐의 갯수 (밸브 스위치의 위치로 결정된)를 모두 설정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페이스와 노즐을 보호하기 위한 애플리케이터 커버는 액추에이터 레버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액추에이터 레버 후방에서 쐐기 역할을 하는 암(arm) 등의 형상을 갖는 액추에이터 락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액추에이터 레버는 사용자에게 청각 또는 촉각의 피드백을 제공하기에 적합하게 마련된다. 따라서, 레버가 애플리케이터 몸체를 향해 압축됨에 따라, 레버와 일련의 돌출부들 사이에는 접촉이 발생하여 정량이 배출되었음을 나타내는 보통은 "클릭" 등의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첫번째 "클릭" 시, 사용자는 제1 정량이 배출되었음을 알게 될 것이고, 레버가 더 진행되면, 두번째 "클릭"을 듣게 되는데, 이것은 상기 제1 정량의 2배가 배출되었음을 의미한다. 세번째 "클릭"은 상기 제1 정량의 3배가 배출되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3개 노즐 중 2개를 폐쇄하는 것과 같은 별도의 잠금 밸브가 제공되면, 사용자는 상기 잠금 밸브를 활성화하고, 단일 노즐로부터, 클릭 횟수에 해당하는 1, 2, 3배 정량을 배출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배열의 경우에는, 원하는 정량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에 의한 세밀한 주의가 필요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의약제의 자가 도표용 애플리케이터와 더불어, 본 발명은 반고체 의약제를 두피나 그 외 신체 부위에 전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애플리케이터의 애플리케이터 몸체에 상기 의약제를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터는 상기 애플리케이터 몸체에 대해 고정되고 머리카락을 통과하여 두피와 접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긴 형상의 배출 노즐들을 갖는 애플리케이터 헤드, 상기 애플리케이터 몸체로부터 의약제를 수신하기 위한 입구 및 상기 또는 각각의 배출 노즐에 의약제를 배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출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펌프 챔버를 포함하는 펌프 어셈블리 및 상기 챔버 내의 정량의 의약제를 상기 또는 각각의 출구를 통해 펌핑하기 위한 상기 펌프 챔버 상에서 작동 가능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방법은 의약제를 상기 애플리케이터 몸체로부터 상기 펌프 챔버 및 상기 또는 각각의 노즐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애플리케이터를 프라이밍(priming)하는 단계, 그런 다음, 상기 또는 각각의 노즐이 두피 또는 그 외 신체 부위와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의약제를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챔버로부터 상기 노즐을 통해 정량의 의약제를 펌프하고 상기 노즐로부터 정량의 의약제를 두피나 그 외 신체 부위에 배출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충진 및 프라이밍 단계는 새로운 의약제 공급 시 환자의 두피 또는 신체 부위에 의약제를 처음 전달하기 전에만 필요한 단계들이라는 것은 이해되어져야 한다. 애플리케이터가 일단 충진 및 프라이밍되고 나면, 액추에이터를 단순히 작동시킴으로써 추가적인 정량의 의약제 공급을 위해 애플리케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터에 의약제를 충진하는 단계는 의약제로 충진된 카트리지의 배출 단부를 애플리케이터 상의 카트리지 포트 내부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카트리지 포트는 펌프 챔버까지 입구와 연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카트리지의 배출 단부를 수신하기 위한 카트리지 포트를 갖는 상술한 바와 같은 애플리케이터로 특징지어지는 애플리케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포트는 펌프 어셈블리의 각각의 펌프 챔버까지 상기 또는 각각의 입구와 연통되고, 카트리지는 의약제로 충진된다.
본 발명은 또한 젤, 연고, 크림 등을 포함하나 여기에 제한되지 않는 고체와 액체 중간 속성을 갖는, 반고체 조제용 물질을 위한 배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또한 반고체 조제용 물질의 배출을 위한 시스템으로 표현될 수 있는 것으로,
배출 헤드; 및
상기 배출 헤드와 결합하기 위한 배출 노즐, 및 상기 조제용 물질이 배출됨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를 따라 진행하기 위한 플런저를 갖는, 조제용 물질을 위한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헤드는 상기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포트와 결합함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 노즐 안으로의 삽입 및 밀봉을 위한 스토퍼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배출 작동 시 입구 밸브를 통해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상기 배출 헤드로 조제용 물질이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보어(bore)가 관통하고,
상기 스토퍼 보어는 통기구(vent)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 헤드는 상기 통기구와 연통되는 제한된 섹션을 갖는 통로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카트리지 노즐로의 삽입 시 상기 스토퍼에 의해 배출된 조제용 물질은 상기 보어 안으로 유동한 후 상기 통기구를 통해 나와서 상기 제한된 통로 안으로 유동하도록 강제되고, 이때 추가적인 조제용 물질이 상기 통로 안으로 유동하도록 하는데 필요한 압력은 상기 카트리지 플런저를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압력보다 커지고, 추가적으로 배출되는 조제용 물질은 상기 플런저의 역행 이동을 통해 상기 카트리지 안에 수용된다.
상술한 배출 시스템에 따르면, 2개 구성 요소의 조립을 통해 배출 헤드의 스토퍼가 카트리지 노즐 안으로 삽입됨에 따라, 조제용 물질이 배출되기 이전에, 조제용 물질 충진 선 위의 노즐 내부의 공기는 통기구를 통해 배출되어 제한된 섹션을 비롯해 통로를 거쳐 자유롭게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카트리지와 배출 헤드의 조립 시 발생하는 이와 같은 공기의 배출은 그 이후의 효율적인 배출을 위한 것이다. 특히, 결과로 나타나는 어셈블리를 프라이밍해야 할 필요가 실질적으로 방지 또는 적어도 상당히 감소된다. 또한, 카트리지에서 조제용 물질을 크게 잃지 않고도 상기 시스템을 조립할 수가 있게 되는데, 이는 제한된 통로가, 플런저가 후방으로 강제됨에 따른 카트리지 용량의 팽창에 의해, 배출된 조제용 물질 대부분이 카트리지 내부에 유지되도록 보장하기 때문이다. 제한된 통로의 존재는 비교적 적은 양의 조제용 물질만이 카트리지로부터 통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술한 종류의 카트리지는 자동화된 충진 공정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나, 조제용 물질의 밀도에 있어서의 제조 허용 오차, 충진 선(filling line)의 변수 및 부품 크기 등은 모두 카트리지 내부에서의 조제용 물질의 충진 높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 결과, 조제용 물질이 배출 헤드 내부로 유동하기 전에 배출되어야 하는 카트리지 내부에서의 충진 높이 위의 공기의 양은 넓은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는, 그것이 카트리지 노즐 안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그 선행 단부가 카트리지의 최소 충진 높이를 너머 돌출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스토퍼는, 조립되었을 때 상기 충진 선 위의 공기가 조제용 물질과 함께 실질적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특히 바람직한 일 배열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는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카트리지 노즐의 총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연장된다.
실제로는, 배출된 조제용 물질의 양은 실제 충진 높이에 따라 달라지지만, 통로의 용량, 특히 상기 통로 중에서 적어도 상기 제한된 섹션 전 (상류) 부분의 용량은, 비교적 적은 양의 조제용 물질, 바람직하게는 카트리지가 최소 충진 높이까지만 충진되었을 때 스토퍼에 의해 배출될 조제용 물질의 총량보다 적은 양을 수용하도록 결정된다. 챔버가 있는 경우 챔버를 비롯한 통로의 용량은 약 0.5cm3를 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최소 충진 높이와 최소 충진 높이 간의 일반적인 차이, 즉 배출될 대략적인 최대 공기의 양이 이 정도가 되기 때문이다. 약 0.05cm3의 정량의 조제용 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펌프 챔버를 갖는 배출 장치에 있어서 위와 같은 통로 용량이 의미하는 바는, 프라이밍 작동에서 적어도 10번 펌프질은 하지 않아도 되게 된다는 것이다.
입구 밸브는 스토퍼 보어 내부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가령 밸브를 폐쇄하도록 밸브 부재가 기대어지는 내부 보어 벽으로부터 보어로 돌출되는 밸브 시트(valve seat)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밸브 시트는 경사진 표면을 포함하고 밸브 폐쇄 부재는 볼(ball)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구 밸브는 용수철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볼과 같은 밸브 폐쇄 부재와 통합되거나 분리된 용수철 요소도 스토퍼 보어 내부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제용 물질과 접촉하게 되는 배출 시스템의 이와 같은 구성 요소들은 조제용 물질과 양립 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는 것이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조제용 물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출부 부품들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는 특히 밸브에 있어서 중요한데, 밸브 폐쇄 부재와 양립이 불가능한 물질을 사용할 경우에는 밸브 고장 및 배출부로부터 조제용 물질이 누출되는 것 결과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볼은 가령 저 밀도 폴리에틸렌(LDPE) 또는 플루오르화탄소 엘라스토머(FKM 고무)로 이루어진 금속 또는 플라스틱 볼인 것이 바람직하고, 용수철 또한 금속 또는 플라스틱, 특히 바람직하게는 LDP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볼은 구형이고 주조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데, 볼을 주조한 후에는 후처리를 통해 몰드 선 주변에 있을 수 있는, 볼의 완결성을 해치는 결함들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또는, 용수철을 위한 통합형 페그(integral peg)와 함께 볼을 주조하면 볼의 구형 표면을 후처리하지 않아도 되게 된다. 밸브에 대한 추가적인 바람직한 세부 설명이 본 명세서의 다른 부분들에도 기재되어 있는데, 그러한 세부 사항 및 상술한 세부 사항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라 설명된 배출 시스템 및 펌프 애플리케이터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바람직한 일 배열에 따르면, 통기구(vent)는 입구 밸브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를 통해, 상기 보어는, 스토퍼가 카트리지 노즐 내부로 진행됨에 따라, 입구 밸브의 상류의 조제용 물질로 실질적으로 완전히 충진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어는 입구 밸브로부터 연장되는, 제한된 직경과 길이 (즉 보어의 직경과 길이보다 작은 직경과 길이)를 갖는 내부 튜브를 포함한다. 가령, 상기 내부 튜브는 밸브 시트로부터 보어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뷰트는 통기구의 위치 너머로 보어 내부로 연장되되, 스토퍼의 중간 지점에 못미쳐서 마무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 헤드와 카트리지가 조립되면, 상기 내부 튜브의 제한된 직경이 의미하는 것은, 스토퍼에 의해 배출된 조제용 물질이 보어를 따라 내부 튜브까지 유동하게 되면, 조제용 물질이 통기구와 통로를 지나도록 내부 튜브의 바깥 주변으로 강제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내부 튜브는 빨대(straw) 방식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내부 튜브의 길이는, 카트리지와 배출 헤드의 조립 후, 상기 배출부의 제1 작동 (펌핑 등에 의한)의해, 남아 있는 공기는 내부 튜브로부터 배출되고 조제용 물질은 내부 튜브 내부로 흡입되어 입구 밸브 위로 향하도록 적은 용량인 것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밸브 폐쇄 부재, 일반적으로 볼은 조제용 물질에 의해 즉시 젖게 되는데, 이는 향상된 밀봉을 제공함으로써 배출부를 프라이밍(priming) 하는 것을 더 효율적으로 만든다.
공기와 조제용 물질은 제1 통로 섹션으로 통기됨으로써 통기된 공기와 조제용 물질의 자유 유동을 허용하고, 이어, 공기의 자유 유동을 허용하는 상기 제1 섹션에 비해서는 제한적이나 조제용 물질의 유동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함으로써 조제용 물질이 그 안으로 유동하면 역압(back pressure)을 생성하는 제2 섹션으로 유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역압은, 추가적으로 배출되는 조제용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카트리지 내부의 플런저의 역행 이동이라는 결과를 가져온다.
상기 통로는 카트리지 포트를 함께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스토퍼와 배출 헤드 매니폴드 사이에 형성되는 연속적인 공간을 포함하거나, 상기 스토퍼와 매니폴드 사이에 하나 이상의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제한된 섹션의 통로는 가령, 상기 제1 섹션보다 작은 단면을 갖는 하나 이상의 채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스토퍼와 매니폴드 사이에, 상호 보완적인 나사산 섹션 형태를 가짐으로서 긴 형상의 나선형 채널을 효과적으로 형성한다. 나선형 채널에 의해 제공된 통로 방향의 연속적인 변화는 조제용 물질이 채널을 따라 강제됨에 따라 조제용 물질의 유동을 저항하고 역압을 발생시키는 제한을 형성한다.
바람직한 일 배열에 따르면, 스토퍼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보어 내부의 내부 튜브 등을 통해 조제용 물질을 카트리지로부터 배출 헤드로 통과시키는 중앙 보어가 내벽에 마련되고, 외벽의 외측을 향하는 표면은 가령 립 씰 등에 의해 카트리지 노즐의 내벽에 대해 밀봉되는 이중 벽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및 외부 스토퍼 벽들 사이의 틈은, 스토퍼가 카트리지 노즐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조제용 물질을 중앙 보어 내부로 강제하도록 정면 단부가 폐쇄된, 실질적으로 U-자 형상의 원통 채널을 형성한다. 이러한 배열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의 내벽을 관통하는 통기구가 형성됨으로써, 카트리지 노즐 내부의 스토퍼의 진행에 의해 배출된 공기와 조제용 준비물은 통기구를 향하여 보어를 따라 초기에 강제된 후 통로를 향해 통기구로 배출된다.
상기 통로는 스토퍼와 매니폴드 사이에 형성되는 틈 또는 공간에 의해 더 편리하게 제공된다. 가령, 이중 벽 스토퍼의 채널은 배출 헤드 매니폴드의 튜브형 부분을 수신하고 수용하기에 적합하게 마련될 수 있고, 상기 튜브형 부분과 원통형 채널은 통기구를 통해 공기와 조제용 물질이 강제되는 통로가 그들 사이에 형성되도록 서로에 대해 상대적인 크기를 갖는다. 가령, 상기 통로는 상기 내부 스토퍼 벽의 외측을 향하는 표면을 따라 초기에는 아래로, 이어 상기 채널의 베이스를 따라 이어지고, 상기 외부 스토퍼 벽의 내측을 향하는 표면을 따라 위로 이어지는 길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통로의 제한된 섹션은 외부 스토퍼 벽의 내측을 향하는 표면과 매니폴드 튜브형 부분의 외측을 향하는 표면 상의 상호 보완적인 나사산 섹션들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U-자 형상의 채널의 개방된 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배출 헤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한된 통로의 하류, 즉 상술한 나사산 섹션의 단부에, 배출된 공기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는 챔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챔버는, 카트리지가 배출 헤드와 조립되는 경우, 카트리지 노즐에 의해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배출부 안의 조제용 물질은 밀봉된 시스템 안에 효과적으로 포함될 수 있고, 산화로 인해 조제용 물질의 효험을 잃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배열에 따르면, 매니폴드는 챔버에 종속되는 연속적인 벽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 벽은 카트리지가 완전하게 삽입된 위치에 있을 때 노즐에 대해 밀봉된다. 상기 매니폴드 밀봉 벽은 이중 벽 스토퍼의 채널 안으로 연장되는 튜브형 부분과 동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니폴드는 카트리지를 배출 헤드에 고정하기 위한 연결 특성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가령 배출 헤드를, 카트리지, 바람직하게는 카트리지 노즐의 베이스 주변에, 상호 보완적인 나사산 부분에 조이기 위한 나사산 부분 등의 연결 특성이 포함될 수 있다. 매니폴드와 카트리지는 상기 배출 헤드와 카트리지의 조립은 허용하되 일단 조립되면 다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일방 잠금 메커니즘(one-way lock mechanism)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상기 매니폴드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마주보는 한 쌍의 헤드 잠금 클립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클립들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배출 헤드에 조여지면 결합 립들 위로 지나가되 (노즐과 동축을 갖는, 외부 링 상에 제공되는 것과 같이), 상기 조립체를 해체하고자 할 때는 상기 립들에 대해 장애물로 작용하게 된다.
매니폴드가 상술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터 헤드의 일부를 형성하는 경우, 매니폴드는 펌프 어셈블리의 펌프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매니폴드는 펌프 어셈블리의 출구 밸브를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측면에 따른 배출 시스템은 상술한 애플리케이터에 포함할 수 있지만, 여기에만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배출 시스템은 조제용 물질이 노즐로부터 배출되든 또는 배출부 헤드 내의 다른 형상의 개구부들로부터 배출되든지 간에, 그리고 배출 헤드가 펌프 챔버 등으로부터 정량의 조제용 물질을 전달하기에 적합하게 마련된 것인지에 상관없이 어떤 방식의 배출 헤드들과도 함께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배출 시스템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들에 따른 애플리케이터들에 사용되기에 특히 적합하며, 이 추가적인 측면에 따른 배출 시스템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애플리케이터들의 필수적인, 선택적인 및 바람직한 특성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져야 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다른 측면들에 따른 애플리케이터들은 배출 시스템의 필수의, 선택적인, 및 바람직한 특성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의심할 여지를 없애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배출 시스템과 관련하여 사용된 반고체 조제용 물질이라는 용어는, 젤, 크림, 연고 등을 포함하나 여기에 제한되지 않는, 유동할 수 있거나, 배출될 수 있거나, 펴바를 수 있는 의약 및 비의약 조제용 물질을 포함하도록 사용되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단일 노즐 두피 애플리케이터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는 카트리지가 없는 상태의, 도 1a 내지 도 1d의 애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3e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카트리지를 갖는 트리플 노즐 두피 애플리케이터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는 카트리지가 없는 상태의, 도 3a 내지 3e의 애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캡을 갖는, 변경 가능한 애플리케이터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터들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캡을 갖는 카트리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a 내지 7c는 캡이 없는 상태의, 도 6a 내지 도 6c의 카트리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은 카트리지가 장착된, 그러나 펌프 어셈블리, 플런저, 및 다이얼은 생략된, 도 3a 내지 도 3e에 따른 애플리케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펌프 어셈블리, 플런저, 및 다이얼이 포함된, 도 3a 내지 3e에 따른 애플리케이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3a 내지 3e의 애플리케이터의 애플리케이터 헤드의 확대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3a 내지 도 3e의 애플리케이터의 펌프 어셈블리의 확대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변경 가능한 노즐 두피 애플리케이터를 위한 펌프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단일 또는 트리플 노즐 두피 애플리케이터를 위한 펌프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변경 가능한 트리플 노즐 두피 애플리케이터를 위한 변경 메커니즘의 확대된 사시도이다.
도 15a 내지 15c는 도 14의 변경 메커니즘의 잠금 위치, 단일 노즐 펌프 위치, 및 트리플 노즐 펌프 위치를 각각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6은 도 14의 변경 가능한 메커니즘의 삽입부의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7a 내지 17c는 도 14의 플런저 몸체와 변경 메커니즘의 삽입부를 관통하는 단면도를, 다양한 상대적인 위치들에서 본 도면들이다.
도 18a 내지 18b는 두피 및 그 외 신체 부위 적용을 위한, 대안적인 단일 노즐 애플리케이터를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18c는 그와 유사한 일회용 애플리케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a 내지 18b의 애플리케이터의 애플리케이터 헤드, 펌프 어셈블리, 및 액추에이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0은 대안적인 펌프 어셈블리와 액추에이터가 장착된, 도 18a 내지 18b의 애플리케이터의 애플리케이터 헤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1은 제1 구성을 갖는 단일 노즐 애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제2 구성을 갖는 단일 노즐 애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제3 구성을 갖는 단일 노즐 애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제4 구성을 갖는 단일 노즐 애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제5 구성을 갖는 단일 노즐 애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26a 및 26b는 제1 및 제2 레버 액추에이터 위치를 보여주는, 일회용 애플리케이터의 부분 단면도들이다.
도 27a 내지 27d는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대안적인 밸브들의 사시도들이다.
도 28a 및 28b는 제1 프라이밍 배열을 도시하는, 헤드 어셈블리와 카트리지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들이다.
도 29a 및 도 29b는 대안적인 프라이밍 배열을 도시하는, 헤드 어셈블리와 카트리지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들이다.
도 30a 내지 30c는 추가적인 프라이밍 배열에서 사용하기 위한, 카트리지 캡을 갖는 카트리지의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도 31a 내지 31c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 노즐 애플리케이터에 사용하기 위한, 대안적인 커버들의 사시도들이다.
도 32a 내지 32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배출 시스템을 포함하는, 추가적으로 대안적인 애플리케이터의 단면도들이다.
도 33a 내지 33d는 도 32a 내지 32d의 애플리케이터의 애플리케이터/배출 헤드 및 카트리지의 조립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34는 배출된 공기와 조제용 물질의 유동 경로를 도시하는, 도 32d의 확대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5는 도 32a 내지 32d의 애플리케이터/배출부와 사용되기 위한, 캡을 갖는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36은 일방 잠금 배열(one-way locking arrangement)을 도시하는, 도 32a 내지 32d의 애플리케이터/배출부의 애플리케이터/배출 헤드 및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37은 잠금 구성 상태에서의, 도 36의 조립된 애플리케이터/배출부의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1d를 참조로, 애플리케이터(10)는 애플리케이터 몸체(12)와 애플리케이터 헤드(14)를 갖는다. 상기 애플리케이터 몸체(12)는 상기 애플리케이터 상에 장착되는 카트리지(20)의 일부인 단부 캡(22)에 의해 그 하단부가 폐쇄된다. 도 2에서는 카트리지(20)가 삽입되는 애플리케이터 몸체(12)의 개방된 단부를 도시하고 있다.
줄기(stem)보다 부드러운 물질로 이루어진 노즐 끝(44)으로 마무리되는 노즐 줄기(42)를 포함하는 단일 노즐(40)은 애플리케이터 헤드(14) 상의 경사진 애플리케이터 페이스(16)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노즐 줄기(42)는 세척이 용이한 강도와 부드러운 윤곽을 제공하도록, 애플리케이터 페이스(16)와 만나는 외측으로 갈수록 테이퍼(taper)된다. 노즐 끝(44)은 의약제가 관통하여 두피로 배출되는, 한 쌍의 마주보는 측면 포트(45)들을 구비한다.
상기 애플리케이터(10)는 레버 암(32) 형상의 액추에이터(30)와 액추에이터 로드(39)를 포함하는데, 상기 액추에이터 로드(39)는 레버 암(32)에 의해 밀려서, 펌프 어셈블리의 펌프 챔버(50)(미도시)에 대해 애플리케이터 몸체(12) 내부의 플런저(34)(미도시)를 가압한다. 상기 애플리케이터(10)에는, 다이얼(70)을 비롯해, 애플리케이터의 저장 또는 운반 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탭(72)이 레버 암(32)의 후방에 형성된 리세스와 연동하도록 말단에 마련된다. 상기 다이얼(70)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위치에서 비잠금 위치로, 중심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레버 암(32)이 가압되어 액추에이터 로드(39)가 애플리케이터 몸체(12)를 향해 밀림으로써, 노즐(40)로부터 정량의 의약제가 배출되게 된다.
도 3a 내지 3e은 도 1 및 도 2에 비해 확대된 애플리케이터 헤드(14)를 갖는 대안적인 애플리케이터(1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번에는 3개의 노즐(40, 40a)들이 애플리케이터 페이스(16)로부터 연장된다. 도 4는 카트리지(20)가 장착되지 않은 애플리케이터(10)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노즐(40, 40a)들은 삼각형 배열로 애플리케이터 페이스(16) 상에 배열되는데, 애플리케이터 페이스(16) 상에서 최상측 노즐(40a)은 서로 길이가 같은 2개의 하측 노즐(40)들보다 긴 노즐 줄기를 갖는다. 3개 노즐들의 노즐 끝(44)들은 모두 의약제가 3개 노즐들로부터 배출될 때 사용자의 두피와 모두 동시에 접촉할 수 있도록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다. 상기 애플리케이터(10)를 두피에 대해 다른 각도로 쥐는 경우, 가장 긴 노즐(40a)만 두피와 접촉하게 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는 상기 가장 긴 노즐(40a)에서만 의약제를 배출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상기 애플리케이터(10)는 레버 암(32), 및 펌프 어셈블리의 펌프 챔버(50)(미도시)에 대해 애플리케이터 몸체(12) 내부의 플런저(34)(미도시)를 가압하도록 상기 레버 암(32)에 의해 안쪽으로 밀릴 수 있는 액추에이터 로드(39)를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다이얼(70)을 비롯해, 실수로 의약제가 배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탭(72)이 레버 암(32)의 후방에 형성된 리세스(recess)와 연동하도록 말단에 마련된다. 상기 다이얼은 도 3d에 도시된 잠금 위치로부터, 도 3e에 도시된 제1 비잠금 위치까지, 중심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데, 이 제1 비잠금 위치에서는, 모든 노즐(40, 40a)들로부터 의약제가 배출되도록, 레버 암(32)을 애플리케이터 몸체(12)를 향해 가압함으로써 액추에이터 로드(39)를 안쪽으로 밀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이얼(70)을 제2 비잠금 위치(미도시)까지 더 회전하면, 가장 긴 노즐(40a)에서만 의약제가 배출되도록 액추에이터 로드(39)가 작동하게 된다.
도 5a 내지 5c에서는 저장이나 운반 등과 같이, 애플리케이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애플리케이터의 노즐(40, 40a)들을 보호하기 위해 캡(18)이 장착된, 변경 가능한 애플리케이터(10)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캡(18)은 두껍게된 테두리(thickened rim)(미도시)를 갖는데, 이는 상기 캡(18)을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애플리케이터 헤드(14)의 둘레에 형성된 리세스(미도시)에 의해 포착되고 유지된다. 상기 캡(18)은, 애플리케이터(10) 사용 준비 시, 애플리케이터 헤드(14)로부터 상기 캡을 비틀어서 떼어내기에 적합하도록 유연한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캡(18)의 반대측에 형성된 일련의 립(19)들은, 사용자가 상기 캡을 떼어낼 때 도움을 주기 위한 그립핑(gripping) 기능을 한다.
도 6a 내지 6c는 도 1 및 도 3을 포함해 모든 종류의 두피 애플리케이터(10)에 사용될 수 있는 카트리지(20)를 도시한다. 상기 카트리지(20)에는 애플리케이터(10)에 장착되기 전에 제거되는 카트리지 캡(24) 또는 탑(top)이 제공된다.
도 7a 내지 7c는 도 6a 내지 6c와 대응되나, 캡(24)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다. 카트리지(20)의 배출 또는 출구 단부(26)는 도 8에서 도시할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터의 카트리지 포트(80) 근처에 형성된, 대응하는 리세스와 연동된다. 따라서, 상기 카트리지(20)의 장착은, 카트리지 캡(24)을 먼저 제거한 후, 출구 단부(26)가 카트리지 포트(80)를 진입하고 플랜지(28)가 카트리지 포트(80)의 숄더부(82)와 인접하도록 완전히 삽입된 후, 잠금 플랜지(28)가 카트리지 포트(80)와 인접한 리세스와 연동 관계가 되도록 카트리지(20)를 90°비틂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8에서는 애플리케이터(10)에 카트리지(20)가 장착된 것을 보여주는데, 간단한 설명을 위해, 펌프 어셈블리나 다이얼 등은 도시하지 않고 있다. 카트리지(20)의 단부 캡(22)은,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애플리케이터 몸체(12)의 개방된 단부와 인접함으로써, 애플리케이터를 깨끗하고 위생적인 상태로 유지하도록 닦아 낼 수 있는, 연속적이고 밀봉된 외부 표면을 효과적으로 형성한다.
도 9에서는 도 3a 내지 3e의 애플리케이터(10)의 더 상세한 단면도를 제공하고 있는데, 애플리케이터 헤드(14)와 상측 애플리케이터 몸체(12) 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터(10)는 펌프 챔버(50)들을 위한, 용량이 다른 (하나만 도시됨) 2개의 롤링 격막(51)들을 구비한 애플리케이터로서, 각각의 격막(51)은 적합한 크기로 형성된 케이싱(52) 내부에 수용되는데, 상기 케이싱(52)에는, 각각의 챔버 핀(55)이 관통하여 돌출되는 중앙 개구부(53)가 형성된다. 상기 챔버 핀(55)은 상기 챔버 핀(55)에서 홈(54)과 결합하는 립(57)을 갖는, 각각의 격막(51) 상에서 외측을 향하는 리세스(56) 내부에 유지된다.
도 9에서 볼 수 있는 (그러나 도 11에 더 상세하게 도시된) 격막(51)으로부터 배출되는 의약제를 위한 출구(66)는 상기 애플리케이터 헤드(14) 상의 3개의 노즐들 중에서 더 긴, 최상측 노즐(40a)로만 이어진다.
도 10에서는 더 상세한 노즐 구성 및 펌프 챔버(50) (격막 51)로부터 이어지는 유체 경로를 도시하고 있다. 노즐 줄기(42)는 단부 포트(43)를 구비하고 있으며, 마주보는 측면 포트(45)들을 갖는 노즐 끝(44)은 상기 노즐 줄기(42)의 단부 위로 장착된다. 탄성 물질로 이루어진 노즐 끝(44)은 줄기 단부 위에서 감싸도록 늘려져서 노즐 줄기(42) 상에 유지되고, 이때 상기 끝(44)의 내부 테두리 상의 내부 립은 줄기 단부 둘레의 대응하는 홈 안으로 튕겨져 들어간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링 격막(51), 플랩 입구 밸브(61) 및 출구 밸브(62)는, 격막들과 출구 밸브들의 필요한 형태를 제공하도록 탄성 중합체 물질을 주조한 후, 상기 플랩 입구 밸브(61)를 제공하도록 상기 물질을 천공함으로써 하나의 유닛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2는 변경 가능한 애플리케이터(10), 특히 단일 및 트리플 노즐 배출 사이에서 변경 가능한 애플리케이터(10)에 적합하게 마련된 펌프 어셈블리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중 입구(63)들은, 챔버 핀(55)들이 관통하여 연장되는 케이싱(52)에 포함된 2개의 롤링 격막(51)(미도시)까지 유체 경로를 제공한다. 각각의 격막 챔버(50)에 대해서는, 탄력적으로 변형 가능한 출구 밸브(62)들이 제공된다.
도 13에서는 도 12와 동일한 부분을 도시하되, 단일 노즐 또는 트리플 노즐 애플리케이터(10)에서 사용하기 위한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단 하나의 롤링 격막(51)(미도시)이 제공되고 있는데, 상기 롤링 격막의 용량은, 애플리케이터(10)가 단일 노즐 애플리케이터인지 트리플 노즐 애플리케이터인지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격막(51)은, 카트리지(20)로부터 의약제를 수신하는 단일 입구(63), 변형 가능한 출구 밸브(62), 및 단일 노즐(40a)로 이어지는 단일 출구를 포함하는 관련 케이싱(52) 내부에 수용된다.
도 14는 선택 모드에 따라 단일 노즐 또는 트리플 노즐 배출 모드로 작동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터(10)에 포함될 수 있는 변경 (노즐 선택) 메커니즘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펌프 매니폴드(64)는 이중 입구(63)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롤링 격막 챔버(51)(미도시)는 각각 관련 케이싱(52) 및 챔버 핀(55)을 구비한다. 단일 노즐(40a)로 피드(feed)되는 챔버는 나머지 2개의 노즐(40)들로 피드되는 다른 챔버의 1/2 용량을 가지며, 이에 따라 상기 케이싱(52)들 또한 다른 크기를 갖게 된다. 그러나, 각각의 챔버 핀(55)은 플런저 몸체(36)의 정면 페이스(38)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동일 평면으로 돌출된다.
회전 가능한 플런저 몸체(36)에는, 정면 페이스(38) 상에 이격되게 형성된 개구부(37)들이 제공되는데, 상기 개구부(37)들은 플런저 몸체(36)가 안으로 밀렸을 때 선택된 모드에 따라 하나 또는 2개의 챔버 핀(55)을 수용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 로드(39)는 회전 가능한 플런저 몸체(36)로부터 연장되어 플런저 몸체의 후방을 너머 돌출된다. 상기 액추에이터 로드(39)는 비대칭 단면을 갖는데, 다이얼(70)에서 유사한 형상을 갖는 비대칭 개구부(74)를 관통한다. 플런저 몸체(36)와 다이얼(70) 사이의 삽입부(90)는, 플런저 몸체(36)가 올바른 위치 중 하나에 있지 않는 이상, 액추에이터 로드(39)가 전후로 이동하는 것을 막기 위한 내부 돌출부(92)들을 갖는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런저 몸체(36)가 "잠금" 위치에 있는데 액추에이터 로드(39)가 밀리면, 2개의 챔버 핀(55)들 모두 플런저 몸체(36) 안의 개구부(37)들 안으로 들어감으로써 상기 핀(55)들이 밀리지 않도록 한다. 각각의 롤링 격막(51)이 접히도록 하는 것이 상기 핀(55)들이기에, 이 위치에서는 아무것도 배출되지 않는다.
도 15b에서는 단일 노즐(40a) 배출 위치에 있는 플런저 몸체(36)를 도시하고 있는데, 액추에이터 로드(39)가 밀리면, 상기 펌프 핀(55)들 중 하나는 플런저 몸체(36) 안의 개구부(37) 안으로 들어가고, 다른 펌프 핀(55)은 플런저 몸체(36)의 정면 페이스(38)에 의해 밀림으로써, 하나의 펌프 챔버, 즉 상기 단일 노즐(40)을 피드(feed) 하는 펌프 챔버로부터 의약제를 배출한다.
도 15b에서는 트리플 노즐 배출 위치에 있는 플런저 몸체(36)를 도시하고 있는데, 액추에이터 로드(39)가 밀리면, 2개의 펌프 핀(55)들 모두 플런저 몸체(36)의 정면 페이스(38)에 의해 밀림으로써, 2개의 펌프 챔버(50)들로부터 의약제가 배출되도록 하여, 3개 모두의 노즐(40a, 40)들로부터 의약제가 배출되는 결과가 나타난다.
도 16에서는 도 14의 삽입부(90)의 세부 특성들, 특히 플런저 몸체의 열쇠 역할을 하는 4개의 등거리 내부 돌출부(92)들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들은 플런저 몸체(36)가 잠금 (비배출) 위치 또는 단일 또는 트리플 노즐 배출 위치에 있을 때만 플런저 몸체(36)/액추에이터 로드(39)가 진행되는 것을 허용한다. 상기 삽입부(90)는 액추에이터 로드(39)가 통과할 수 있는, 중앙 원형 개구부(94)를 갖는다.
트리플 노즐 펌핑, 무펌핑, 및 단일 노즐 펌핑을 허용하는 플런저 몸체(36)와 삽입부(90)의 다양한 상대적인 위치들이 도 17a 내지 17c에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7b를 통해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의 열쇠(92)들은 다이얼(70)이 회전하도록 잠금 위치의 한쪽이 약간 이동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레버 암(32)이 다이얼의 탭(72)과 연동되었다면, 그것을 해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8a 및 도 18b는 듀얼 용도의 대안적인 단일 노즐 애플리케이터(100)를 도시한 것으로, 즉 도 18a에서는 애플리케이터의 방향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 부위에 의약제를 도포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이고, 도 18b에서는 애플리케이터의 방향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두피에 의약제를 도포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애플리케이터(100)는 교체 가능한 의약제 카트리지(120)의 일부인, 단부 캡(22)에 의해 하단부가 폐쇄된 애플리케이터 몸체(112)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터 헤드(114)는 애플리케이터 몸체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경사진, 약간 볼록한 애플리케이션 페이스(96)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페이스(96)와 연속하는 테이퍼된 노즐(140)을 포함하고, 상기 페이스는 두피 외의 신체 부위에 배출된 의약제를 펴바르는데 사용된다. 의약제의 배출은, 레버 암(132)을 애플리케이터 몸체(112)에 대해 압축하여 플런저 챔버(미도시) 내부의 플런저(미도시)를 가압함으로써 의약제가 노즐(140)을 통하여 탄성 물질로 이루어진 노즐 끝(144) 밖으로 배출되도록 강제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두피에 의약제를 도포하는데 사용하는 경우, 노즐 끝(144)은 두피를 향해 부드럽게 밀려짐으로써, 진행됨에 따라 머리카락을 가르게 되고, 노즐 출구로부터 의약제를 직접 두피에 배출하기 위해 상기 노즐 끝이 압축된다. 그런 다음, 상기 노즐 끝(144)은 인접한 두피 부위에 배출된 의약제를 펴바르는데 사용된다. 치료 부위가 작을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 페이스(96) 대신 노즐 끝(144)을 동일하게 의약제를 펴바르는데에 사용할 수 있다.
도 18c에서는 도 18a 및 18b에서와 유사하나 일회용인 애플리케이터를 도시하고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애플리케이터는 교체 가능한 카트리지와 함께 사용될 목적의 것이 아니라, 의약제 저장소가 고갈되면 전체가 처분될 애플리케이터이다.
도 19에서는 도 18a 및 도 18b의 애플리케이터의 애플리케이터 헤드(114), 펌프 어셈블리 및 액추에이터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카트리지(120)의 배출 단부(126)는 카트리지 포트(180)를 통해 애플리케이터 헤드(114)와 연통되고, 카트리지가 삽입된 후 회전되면 애플리케이터 몸체 상의 돌출부(132)들과 연동되는 잠금 탭(128)들에 의해 애플리케이터에 잠기게 된다. 카트리지 포트(180)는 카트리지(120)로부터 펌프 챔버(150)로의 유동이 허용된 일방 입구 밸브(161)로 이어진다. 상기 챔버(150)는 챔버 핀(155)에 의해 작동 가능한 롤링 격막 (종종 멤브레인 펌프라고 함)을 갖는데, 상기 핀은, 레버 암(132)이 압축되면, 챔버(150)의 용량을 줄이도록 진행된다. 챔버 핀이 진행됨에 따라, 의약제는 입구 밸브(161)에 의해 카트리지 안으로 다시 강제되는 것이 방지되고, 그 대신 출구 밸브(162)를 통해 노즐(140)의 보어(98) 안으로 강제되고, 여기서 다시 노즐 끝(144)을 통해 사용자의 두피나 피부에 배출된다.
레버 암(132)은 노즐(140) 후방의 애플리케이터 헤드(114) 내부의 펄크럼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방아쇠(trigger)와 같은 방식으로 노즐(140) 아래의 애플리케이터 몸체(112)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된다.
상기 애플리케이터는 도 19에 도시된 멤브레인 펌프 대신, 도 20에 도시된 수직 격막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에 따르면, 레버 암(132')은 애플리케이터 몸체(112)의 길이방향 축과는 실질적으로 가로 방향인 제1 암(132'a), 및 상기 제1 암과는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종속되는 제2 암(132'b)을 갖는, 실질적으로 L-자 형상이다. 레버 암(132')은, 상기 제2 암(132'b)을 애플리케이터 몸체(112)를 향해 압축했을 때, 상기 제1 암(132'a)이 격막 펌프(98)에 대해 아래로 내려진 후 펌프 챔버(150')의 용량을 줄이도록 아래로 내려지도록 애플리케이션 페이스(96)의 후방에 근접한 애플리케이터 헤드(114) 내부의 펄크럼(fulcrum)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결과로 증대된 펌프 챔버 안의 압력은 일방 입구 밸브(161')가 개방되는 것은 방지하나, 출구 밸브(162')는 개방되어 노즐(140)의 보어 내부로 의약제가 배출되고, 여기서 다시 노즐 끝(144)을 통해 사용자의 두피나 피부로 배출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애플리케이터 몸체 및 노즐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페이스의 경사도와 각도는 액추에이터 레버의 위치와 마찬가지로 변경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터 구성의 다양항 변형 예들이 도 21 내지 25에 도시되어 있는데, 모두 두피와 신체 부위 모두에 사용할 수 있는 이중 기능 애플리케이터들이다.
가령, 도 21에서는 도 18a 및 도 18b에서와 유사한 애플리케이터를 도시하고 있으나, 애플리케이션 페이스(96)와 테이퍼된 노즐(140)은 애플리케이터 몸체(112)에 대해 더 큰 각도로 경사져 있다. 테이퍼된 노즐(140)의 아래측은 실질적으로 평평한데 반해, 노즐의 위측을 향하는 표면은 약간 원형이고 애플리케이션 페이스(96)와 연속되어 있다. 레버 암(132)은 노즐(140) 아래에 도시되어 있는데, 애플리케이터 몸체(112)의 반대측의 경우에도 애플리케이션 페이스(96)의 하단부 아래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도 22에서는, 애플리케이터 헤드(114)가 한 쌍의 마주보는, 외측을 향하는 애플리케이션 페이스(96a, 96b)를 포함하는데, 이들 사이에는 테이퍼된 노즐(140)이 애플리케이터 몸체(112)에 대해 상측으로 경사진 각도로 연장된다.
도 23의 애플리케이터는 도 21의 애플리케이터에 더 가까우나, 애플리케이터 페이스(96)와 노즐(140)이 연장되는 각도는 덜 가파르고, 애플리케이션 페이스(96)는 타원이 아닌 실질적으로 원형이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페이스(96)와 노즐(140) 사이의 이전은 여전히 부드럽게 이루어지나, 애플리케이션 페이스에 대한 노즐의 각도는 줄어 있다.
도 21 내지 23에서의 다양한 변형 예들의 경우, 모든 레버(132)는 노즐(140) 아래에 배치된다. 그러나, 도 24에서는 레버(132)가 노즐(140)에 정반대를 향하지 않고 애플리케이션 페이스(96)에 실질적으로 오버행(overhang)되어 있다. 이 변형 예에서, 노즐(140)의 아래쪽은 실질적으로 평평한 반면 상측 페이스는 원형이다.
도 25에서, 애플리케이터 헤드(114)는 애플리케이터 몸체(112)에 대해 오프셋되고, 애플리케이션 페이스(96)와 노즐(140)은 애플리케이터 몸체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애플리케이션 페이스(96)는 노즐의 아래측과 함께, 부위에 의약제를 펴바르기 위한 연속적인 표면을 제공한다.
도 26a 및 2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헤드 어셈블리(214)가 카트리지(220)에 장착된 일회용 애플리케이터의 부분 단면도들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헤드 어셈블리(214)의 카트리지 포트는 카트리지 목부(222)의 내벽에 대해 밀봉하는 립 씰(284)을 갖는 스토퍼(282)를 포함한다. 카트리지 목부(222)의 상측 배출 단부는 상기 립 씰(284)이 플랜지 위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카트리지(220)가 일단 삽입되면 헤드 어셈블리(214)로부터 카트리지 헤드(222)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측을 향하는 플랜지(224)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 어셈블리(214)는 펌프 챔버(250)의 내부 원통 벽과 밀봉 접촉하는 립 씰(262)에 제공된 피스톤(260)을 갖는 수평력 펌프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피스톤(260)의 트레일링 단부(trailing end)에는 버튼(255)이 마련되는데, 액추에이터의 레버 암(232)에 의해 작동되면, 용수철(256)이 제공하는 탄성력에 대해, 원통을 따라 피스톤(260)을 구동한다. 도 26a는 액추에이터 레버(232)에 의한 작동 이전의 헤드 어셈블리(214)를 도시하는 것으로, 펌프 챔버(250)는 이 위치에서 카트리지(220)로부터의 의약제로 충진된다. 레버(232)가 가령 카트리지를 향한 압축 등을 통해 가압되면, 피스톤(260)은, 도 2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약제를 배출하도록 펌프 챔버(250)를 관통하도록 진행된다. 특히, 입구 밸브(261)는, 펌프 챔버(250)로부터 배출되는 의약제의 압력 때문에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나, 출구 밸브(263)는 의약제가 노즐을 통과하도록 개방되도록 강제되고, 이에 따라 정량의 의약제가 노즐 끝으로부터 배출된다.
도 27a 내지 27b는 도 26a 및 도 2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애플리케이터에 사용할 수 있는 대안적인 밸브들의 사시도이다. 도 27a 내지 27c에서 각각의 밸브는 밸브 부재, 용수철 및 앵커부를 포함하는 반면, 도 27d의 밸브는 단순히 볼(330)과 용수철(333)만을 포함한다. 도 27a에서는 사용 시, 용수철부(322)가 밸브 시트(미도시)에 대해 촉구하는 반구형의 밸브 부재(320)를 포함하는 통합형 밸브 몰딩(310)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밸브 부재(320)는 유체 경로에서 포착된 채로 유지됨으로써 밸브 부재가 밸브 시트와 정렬된 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연장부(extension portion, 321)를 포함한다. 도 27a의 밸브는 일반적으로 십자형인 앵커부(325)를 포함하는데, 각 암의 외측 부들은 카트리지 포트나 펌프 챔버 내에서 마주보는 표면들 사이에 포착될 수 있다. 밸브가 역시 통합된 몰딩(310) 형태인 도 27b에서는, 앵커부에 종속된 용수철부 대신, 밸브 부재(320)가, 환형 앵커부(326)로부터 일반적으로 연장되고 환형 앵커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탄성 암(327)들 상에 매달리게 된다. 상기 밸브 부재(320)에 힘이 작용할 때, 가령 의약제가 펌프 챔버로부터 강제되어 나올 때 (출구 밸브의 경우) 또는 의약제가 카트리지로부터 펌프 챔버로 배출될 때 (입구 밸브의 경우), 상기 밸브 부재는 탄성 암(327)들이 발휘한 복귀력에 대항하도록 촉구되어 밸브를 개방하게 된다. 도 27c의 밸브는 도 27b의 밸브와 유사하나 통합형 몰딩 구성이 아닐 뿐이다.
도 28a 및 28b는 제1 프라이밍 배열에 따른 헤드 어셈블리(214) 및 카트리지(22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공기는 헤드 어셈블리와 카트리지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헤드 어셈블리(214)는 캡(288)에 부착된 스토퍼(282), 및 이들 사이에 고정된, 도 27a 및 27b에서 일반적으로 도시한 종류의 통합형 밸브 몰딩(310)을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282)는 카트리지(220)를 헤드 어셈블리(214)에 장착하는 동안 스토퍼가 카트리지 목부(222) 안으로 밀림에 따라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외부 나선형 립 씰(340)을 갖는다. 헤드 어셈블리(214)가 카트리지(220)와 완전히 결합함에 따라, 상기 스토퍼(282)는, 공기가 일단 배출 된 후에는, 카트리지 안의 의약제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의약제가 나선형 씰(340)에 의해 형성된 나사산과 같은 채널(344)로 진입함에 따라, 이로 인해 발생되는 역압은 카트리지 플런저(미도시)를 카트리지 몸체 아래로 다시 내림으로써, 의약제의 과다 누출을 방지한다. 헤드 어셈블리(214)를 카트리지(220)에 잠그고 밀봉하기 위해, 캡 부재(288) 상의 홈(348)이 카트리지 목부의 외부 나사산(350)과 결합함에 따라, 카트리지 목부의 상단부 표면과 카트리지 캡 부재(288) 사이의 스토퍼(282) 상에서 플랜지 씰(346)을 압축하기 위해 카트리지는 적어도 2번 이상 비틀어진다.
또 다른 대안적인 프라이밍 배열이 도 29a 및 29b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카트리지 목부(222)의 이중 벽(362a, 362b)들 사이에 형성된 챔버(360)가, 스토퍼(282)가 상기 목부 내부로 진행됨에 따른 의약제 과량 누출을 수신하도록 사용된다. 이러한 배열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282)는 외부 목부 벽(362a)과의 밀봉을 제공하는 별도의 캡 부재와 반대로 캡 부분(388)을 포함한다. 상기 캡 부분(388)은, 스토퍼(282)가 일단 완전히 진행된 후에는 내부 및 외부 목부 벽(362a, 362b)에 대해 각각 밀봉을 제공하는 2개의 동축 벽(390a, 390b)들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챔버(360) 안으로 의약제가 과량 누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러한 배열에 따르면, 스토퍼(282) 내부에 포착된 삽입부(380)는 입구 밸브(310)를 고정시키고 밸브 시트(316)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헤드 어셈블리(214)는 도 28a, 28b에서 도시한 배열과 유사한 방식, 즉, 우선 헤드 어셈블리를 카트리지로 민 후, 카트리지를 비틂으로써 헤드를 카트리지에 잠그고 밀봉하는 방식으로 카트리지(220)에 장착된다.
또 다른 프라이밍 배열이 도 30a 내지 30c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들은 프라이밍이 삽입됨에 따라 2배가 되는 카트리지 캡(226)을 갖는 카트리지(220)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0a는 카트리지(220)의 목부에 조여진 이중-벽 카트리지 캡(226)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는 저장 시 모습이다. 상기 캡(226)은 카트리지 목부(222) 안으로 연장됨으로써 캡의 충진 및 고정 후 카트리지(220) 안에 갇히게 되는 공기의 양을 제한하는 후퇴된 부분(228)을 포함한다. 캡(226)의 외벽(230a)은 그 개방된 단부에서, 카트리지의 외벽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게 된다. 카트리지 캡(226)의 내벽(230b)은 카트리지 목부의 내벽 상에서 상호 보완적인 나사산 부분과 결합하는 나사산 부분을 갖는다.
도 30b는 캡(226)이 제거된 후 애플리케이터 헤드 어셈블리(214)에 장착된 카트리지(220)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조립된 애플리케이터는 애플리케이터가 정량의 의약제를 배출할 수 있게 되기 전에 배출되어야 하는 양의 공기를 카트리지의 목부에 여전히 포함하고 있다. 도 30c에서는, 카트리지의 비배출 단부 안으로 먼저 작은 원주면으로 카트리지 캡(226)의 삽입에 의한 프라이밍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카트리지(220)의 후측 단부로 캡(226)을 진행시키게 되면, 카트리지 플런저(221)가 카트리지 안으로 더 밀림으로써 카트리지의 목부에 남아 있는 공기가 배출되게 된다. 프라이밍 삽입부/캡(226)이 삽입될 수 있는 정도는 다양한 캡 외직경으로 형성되는 숄더부(227)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캡(226)은, 조립된 애플리케이터로부터 모든 공기를 배출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일반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프라이밍 후, 상기 캡/삽입부(226)는 카트리지(220)의 후측 단부로부터 제거된 후, 버려지거나, 원하면 제자리에 남겨지게 된다.
도 31a 내지 31c는 단일 노즐 애플리케이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대안적인 커버(370a, 370b, 370c)들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1a에서, 커버(370a)는 애플리케이터의 노즐과 애플리케이션 페이스를 보호함으로써 사용 준비가 된 위생적인 상태로 유지한다. 상기 커버(370a)는 사용자가 애플리케이터에서 커버를 부착하거나 탈착할 때 가압하거나 당길 수 있는 탭(371)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370a)는 커버가 떼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애플리케이터 헤드 안의 대응하는 홈과 결합하기 위한 돌출부(미도시)를 탭(371) 근처 아래에 구비할 수 있다.
도 31b의 커버는 도 31a의 커버와 프로파일(profile)은 유사하나, 애플리케이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 실수로 작동되는 것을 막고 레버가 무엇인가에 걸렸을 때 레버가 손상되지 않도록 액추에이터 레버를 보호하기 위해 액추에이터 레버(232)까지 덮도록 연장된다는 점에서 다르다.
도 31c의 커버는 액추에이터 레버를 보호하지 않는 대신, 커버가 애플리케이터에 설치됨에 따라 암(arm)들이 상기 레버(232) 둘레에 클립(clip)될 때 상기 레버의 후방에서 끼워져 고정되는(wedge) 돌출부(376, 376')들로 각각 마무리되는 한 쌍의 마주보는 암(375, 375')들을 포함한다. 상기 쐐기(wedge 376, 376')들은 액추에이터 레버(232)가 애플리케이터 몸체나 카트리지를 향해 가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실수로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레버 락(lever lock)으로서 작용한다.
도 32a 내지 32d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애플리케이터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배출 헤드(514)는 어셈블리 상의 카트리지 노즐(522)로부터 공기와 조제용 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스토퍼(582)가 구비된 종류의 배출 헤드(514)이다. 상기 스토퍼(582)는 카트리지 노즐(522)의 내벽에 대한 밀봉을 제공하기 위한 립 씰(584)이 그 삽입부 단부 둘레에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582)는 볼(630)과 용수철(633)을 포함하는 입구 밸브(561)를 수용하는 중앙 보어(590)를 갖는 이중 벽 구조로 마련된다. 밸브 시트(516)로부터 상기 보어(590) 안으로는 빨대 또는 내부 튜브(592)가 연장되고, 통기구(594)가 상기 보어(590)의 내벽을 통과하여 상기 내부 튜브(592)의 최하측 단부를 너머 그 최상측 단부에서 제공된다. 상기 통기구(594)는 매니폴드(600)의 스토퍼(582)와 튜브형 부분(602) 사이의 U-자 형상의 채널 내부의 공간 형상으로 통로(596)로 이어짐으로써, 공기의 통과는 허용하나 조제용 물질의 유동에는 저항하는 제한된, 나사산 섹션(604)까지 공기 및 조제용 물질을 위한 유동 경로를 제공한다.
챔버(610)가 나사산 섹션(604) 너머의 매니폴드(600) 안에 제공되고, 상기 매니폴드의 카트리지 포트(580)안의 벽(612)은, 스토퍼(582)에 의해 배출된 노즐로부터의 공기가 상기 챔버(610) 안에 최종적으로 갇히도록, 카트리지 노즐(522)의 상단부에 대해 밀봉한다.
도 32a 내지 32d에서의 배출 헤드(514)는 배출 노즐(540)을 더 포함하고, 매니폴드(600) 또한 도 26a 내지 도 26b에서 도시된 것과 유사한 펌프 어셈블리의 펌프 챔버(550)를 수용한다. 도시된 배출 헤드(514)에는, 배출부가 사용 중이지 않을 때 노즐을 통해 펌핑된 조제용 물질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노즐 끝을 밀봉하는 돌출부(572)를 갖는 헤드 커버(570)가 장착된다.
도 33a 내지 도 33d에서는, 도 32a 내지 32d에 따른 애플리케이터의 조립 시, 애플리케이터/배출 헤드(514)가 카트리지 노즐(522) 안으로 장착되었을 때 스토퍼(582)에 의해 달성되는 효과를 보여준다. 도 33a부터 시작해서, 카트리지 노즐(522)이 배출 헤드(514)의 카트리지 포트(580)와 정렬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스토퍼(582)의 앞 단부를 두르는 립 씰(584)은 노즐(522)의 내벽에 대해 밀봉하고 상기 스토퍼는 노즐 내부의 조제용 물질(620)에 도달한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520)는 최대 충진 높이까지 조제용 물질(620)로 충진되었다. 도 3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노즐(522)이 카트리지 포트(580) 안으로 더 삽입되면, 상기 스토퍼(582)는 조제용 물질(620)을 배출하고 이는 스토퍼(582)의 중앙 보어(590)를 통해 위로 강제된다. 내부 튜브나 빨대(592)의 직경은, 조제용 물질(620)이, 입구 밸브(561)의 상류인 스토퍼 보어(590)의 상단부에서 튜브(592)를 둘러 통기구(594)까지 강제되도록 제한된다. 조제용 물질(620)은 추가적인 조제용 물질의 유동에 저항하는 나사산 제한 섹션(threaded constricted section, 604)까지 도달하도록, 통기구(594)를 통해 스토퍼(582)와 주변의 매니폴드 벽(612) 사이의 공간 안으로까지 강제된다. 도 33c에서와 같이 스토퍼(582)가 더 진생됨에 따라, 상기 제한 섹션(604)을 진입하는 조제용 준비물(620)로 인해 형성된 역압은 플런저(521)를 카트리지(520) 내부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압력보다 커지며, 그 결과, 상기 플런저(521)가 카트리지 몸체를 따라 역행됨으로써, 스토퍼(582)에 의해 노즐(522)에서 배출된 조제용 물질(620)을 수용하도록 카트리지(520)의 용량을 팽창하게 된다. 스토퍼(582)를 완전히 삽입하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520)는 노즐 벽의 외부 베이스와 매니폴드 카트리지 포트(580) 주변의 상호 보완적인 나사산(screw threads, 640, 642)들에 의해 배출 헤드(514)에 조여진다. 도 3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스토퍼(582)가 완전히 삽입되고 나면, 카트리지 포트(580) 내부의 벽(612)이 그 상단 모서리에서 카트리지 노즐(522)의 단부에 대해 밀봉함으로써 밀봉 시스템을 형성한다. 배출된 공기는 제한 섹션(604)의 단부에서 챔버(610) 내부에 갇히게 된다.
스토퍼(582)에 의해 배출된 공기와 조제용 물질이 거치는 경로는 도 34에서 더 상세히 도시되고 있다. 화살표 A와 B는 제1 조립 시 스토퍼(582)에 의해 배출된 공기가 거치는 경로를 보여준다. 조제용 준비물 또한 이 경로를 따라 강제되지만, 이 경우에는 상기 나사산 섹션(604)까지만이다. 즉, 이 지점이 되면, 통로(596) 또는 채널이 매우 작아지고 나사산 섹션(604)을 통해 조제용 물질을 더 미는데 필요한 압력이 카트리지(520) 안의 플런저(미도시)를 미는데 필요한 압력보다 커짐으로써, 더이상의 조제용 물질(620)은 이동되지 않고, 남은 조제용 물질은 카트리지(520) 안에 유지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482)는 화살표 C로 표시된 바와 같이, 조제용 물질(620)을 내부 튜브(592)의 바닥까지 밀게 된다. 조립된 애플리케이터/배출부는 이제, 펌프 챔버(550) 안의 피스톤(560)을 진행시키기 위해 레버 암(532)을 압축함에 의해 제1 배출 단계가 발생하면 조제용 물질(620)이 내부 튜브(592)를 통해 위로 즉시 이동되어 입구 밸브(561)의 볼(630)을 적시게 되는 정도로까지 프라이밍된다.
도 32 및 도 33에 도시된, 배출 헤드(514)와 함께 사용되기 위한 캡(524)을 구비한 카트리지(520)는 도 35에서 단면도로서 도시된다. 상기 카트리지(520)는 단독으로 존재하거나 애플리케이터/배츨 헤드(514)와 함께 조립되는 경우 모두, 직립 위치에 세워졌을 때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내부 카트리지 벽에 대해 밀봉되고 베이스에서 플레어(flare) 되는 플런저(521)를 구비한다. 상기 카트리지(520)는, 헤드(514)에 장착될 때 저장에 사용되는 카트리지 캡(524)의 원활한 장착 및 카트리지 포트(580)의 스토퍼(582)의 원활한 삽입을 위해 그 최상측 단부가 약간 테이퍼되는 긴 형상의 노즐(522)을 갖는다. 상기 캡(524)은 카트리지(520)를 떨어뜨렸을 때 노즐(522)에 대한 손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도록 H-섹션으로 이루어지며, 노즐(522)의 베이스 둘레로 상호 보완적인 나사(642)에 조이기 위한 나사(644)를 구비한다. 상기 캡(524)의 하부 섹션은 속이 비어 있어, 상기 카트리지(520) 상의 일방 잠금 특성들(미도시)와 상호 작용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상기 캡(524)은 나사 해제에 의해 쉽게 제거 가능하다.
상기 카트리지(520)(캡이 제거된 것이 도시됨)는 애플리케이터/배출 헤드(514)와 함께 도 36에서 사시도를 통해 도시되고 있다. 상기 카트리지(520)는 노즐(522)과 동축의 외부 링(650)이 카트리지 숄더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카트리지(520)가 상기 헤드 상에 조여졌을 때 상기 헤드(514) 상의 잠금 클립(528)들과 상호 작용하는, 4개의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 립(532)들을 구비한다.
도 37은 조립된 카트리지와 헤드의 단면도로서, 카트리지(520)의 결합 립(532)들과 상기 헤드(514)의 카트리지 포트(580) 상의 잠금 클립(528)들 간의 상호 작용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들은 함께, 일방 잠금을 제공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트리지(520)가 반시계 방향으로 상기 헤드(514) 상에 조여짐에 따라, 상기 립(532)들은 상기 클립(528)들을 누르면서 그 위로 지나가게 되는 반면, 시계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520)를 해제하려는 시도가 일어나는 경우, 상기 립(532)들은 상기 클립(528)들의 돌출 단부를 간단히 들이받음(butt against)으로써 상기 카트리지가 더 이상 해제되지 못하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88)

  1. 반고체 의약제(semi-solid medicament)를 두피 및 그 외 신체 부위들에 직접 도포하기 위한, 조준식(targeted) 자가 도포용 핸드헬드(hand-held) 애플리케이터(applicator)로서,
    두피 부위들 및 그외 신체 부위들과 접촉하기 위한 긴 형상의(elongate) 배출 노즐(dispensing nozzle)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터 헤드(applicator head);
    의약제 저장소(medicament reservoir)를 수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터 몸체(applicator body);
    상기 의약제 저장소로부터 의약제를 제공받기 위한 입구(inlet) 및 상기 애플리케이터 헤드 상의 상기 노즐에 의약제를 배출하기 위한 출구(outlet)를 갖는 펌프 챔버(pump chamber)를 포함하는 펌프 어셈블리(pump assembly); 및
    상기 챔버 내의 정량의 의약제를 상기 출구를 통해 펌핑하고, 상기 배출 노즐로부터, 해당하는 정량의 의약제를 두피에 배출하기 위한, 상기 펌프 챔버 상에서 작동 가능한 액추에이터(actuator);
    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터 헤드는 상기 배출된 의약제를, 치료할 신체 부위 위에 펴바르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페이스(application fac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2. 반고체 의약제를 두피에 직접 도포하기 위한, 자가 도포용 핸드헬드(hand-held) 애플리케이터로서,
    머리카락을 통과하여 치료할 부위의 두피와 접촉하기 위한 긴 형상의(elongate) 하나 이상의 배출 노즐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터 헤드;
    의약제 저장소를 수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터 몸체;
    상기 의약제 저장소로부터 의약제를 제공받기 위한 입구 및 상기 애플리케이터 헤드 상의 상기 배출 노즐 또는 각각의 배출 노즐에 의약제를 배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출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펌프 챔버를 포함하는 펌프 어셈블리; 및
    상기 챔버 내의 정량의 의약제를 상기 출구 또는 각각의 출구를 통해 펌핑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배출 노즐들로부터, 해당하는 정량의 의약제를 두피에 배출하기 위한, 상기 펌프 챔버 또는 각각의 펌프 챔버 상에서 작동 가능한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터 헤드와 애플리케이터 몸체는 작동 시 상기 노즐 또는 노즐들이 상기 두피나 그외 신체 부위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사용 시 서로에 대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3. 반고체 의약제를 두피에 직접 도포하기 위한, 자가 도포용 핸드헬드(hand-held) 애플리케이터로서,
    머리카락을 통과하여 치료할 부위의 두피와 접촉하기 위한 긴 형상의(elongate) 하나 이상의 배출 노즐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터 헤드;
    의약제 저장소를 수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터 몸체;
    상기 의약제 저장소로부터 의약제를 제공받기 위한 입구 및 상기 애플리케이터 헤드 상의 상기 배출 노즐 또는 각각의 배출 노즐에 의약제를 배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출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펌프 챔버를 포함하는 펌프 어셈블리; 및
    상기 챔버 내의 정량의 의약제를 상기 출구 또는 각각의 출구를 통해 펌핑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배출 노즐들로부터, 해당하는 정량의 의약제를 두피에 배출하기 위한, 상기 펌프 챔버 또는 각각의 펌프 챔버 상에서 작동 가능한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터 헤드는 단일 노즐 애플리케이터에서 다수-노즐 애플리케이터로, 또는 다수-노즐 애플리케이터에서 단일 노즐 애플리케이터로 상기 애플리케이터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애플리케이터 몸체 상에서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4. 반고체 의약제를 두피에 직접 도포하기 위한, 자가 도포용 핸드헬드(hand-held) 애플리케이터로서,
    머리카락을 통과하여 치료할 부위의 두피와 접촉하기 위한 긴 형상의(elongate) 하나 이상의 배출 노즐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터 헤드;
    의약제 저장소를 수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터 몸체;
    상기 의약제 저장소로부터 의약제를 제공받기 위한 입구 및 상기 애플리케이터 헤드 상의 상기 배출 노즐 또는 각각의 배출 노즐에 의약제를 배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출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펌프 챔버를 포함하는 펌프 어셈블리;
    상기 챔버로부터 기설정된 정량의 의약제를 상기 출구 또는 각각의 출구를 통해 펌핑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배출 노즐들로부터, 해당하는 정량의 의약제를 두피에 배출하기 위한, 상기 펌프 챔버 또는 각각의 펌프 챔버 상에서 작동 가능한 액추에이터; 및
    제1 선택 모드에서는 모든 노즐들로부터 의약제가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고 제2 선택 모드에서는 단일 노즐로부터 의약제가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마련된 노즐 선택 메커니즘(nozzle selector mechanism);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터 헤드는 상기 애플리케이터가 두피와 신체 애플리케이터로서의 이중 기능을 달성할 수 있도록, 배출된 의약제를 신체 부위에 펴바르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페이스(application fac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케이터.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페이스는 배출 노즐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터 내의 의약제가 공기와 접촉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차단하는 무공기 전달 시스템(airless delivery syste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터 몸체는 의약제 카트리지(cartridg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약제로 충진된 카트리지의 배출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카트리지 포트(cartridge port)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포트는 상기 펌프 어셈블리의 각 펌프 챔버까지 상기 입구 또는 각각의 입구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포트는 의약제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의 목부(neck)에 대해 밀봉하기 위한 밀봉 부재(sealing memb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카트리지의 목부로의 삽입을 위한 스토퍼(stopper)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의약제가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상기 입구를 거쳐 상기 펌프 챔버로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중앙 보어(central bor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포트는 상기 목부에 대해 상기 밀봉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의 목부의 외벽과 결합하는 캡(cap)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13.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의 비배출 단부(non-dispensing end)에서 카트리지 플런저(plunger)를 상기 카트리지 몸체를 따라 진행시키고, 그 첫번째 사용 전에, 상기 애플리케이터를 프라이밍(priming)하기 위한 프라이밍 삽입부(priming insert)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터 헤드, 펌프 어셈블리 및 액추에이터는, 상기 애플리케이터 몸체를 포함하는 의약제 카트리지와의 연결을 위한 통합형 헤드 어셈블리(unitary head assembly)를 함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어셈블리는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헤드 어셈블리에 일단 장착되면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상기 헤드 어셈블리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비복귀 메커니즘(non-return mechanism)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노즐 또는 각각의 배출 노즐은 상기 애플리케이터 몸체에 대해 경사진 각도로 돌출되고, 하나 보다 많은 노즐이 제공된 곳에서는 상기 노즐들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또는 각각의 노즐은 상기 애플리케이터 헤드의 경사진 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18. 제16항에 있어서,
    단일 노즐, 및 배출된 의약제를 신체 부위에 펴바르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페이스(application face)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과 애플리케이션 페이스는 상기 애플리케이터의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표면을 함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또는 각각의 노즐은 테이퍼(taper)되며, 바람직하게는 두피 도포 시 머리카락 통과율을 높이기 위해 노즐 끝을 향할수록 단면이 테이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20.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바람직하게는 3개의 이격된 노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들은 적어도 20mm 이상, 40mm 미만으로 이격되고, 바람직하게는 약 25mm에서 35mm 사이의 간격으로 이격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27mm에서 33mm 사이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들의 끝은 모두 사용자의 두피에 대해 동시에 접촉하도록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또는 각각의 노즐은 실질적으로 강성(rigid) 물질의 노즐 줄기(stem) 및, 상기 노즐 줄기 물질보다 덜 강성인 물질의 노즐 끝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탄력 있는, 탄성 중합체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줄기 또는 각각의 노즐 줄기는 단부 포트(end port)로 마무리되고, 상기 노즐 끝 또는 각각의 노즐 끝은 상기 줄기 단부 포트와 연통되고 의약제를 배출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측면 포트,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마주보는 측면 포트(side port)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25. 제1항 내지 제17항, 및 제19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이격된 노즐들을 포함하고, 제1 선택 모드에서는 모든 노즐로부터 의약제 배출을 허용하고 제2 선택 모드에서는 단일 노즐에서만 의약제 배출을 허용하도록 마련된 노즐 선택 메커니즘(nozzle selector mechanism)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선택 메커니즘은 제3 선택 모드에서는 모든 노즐로부터 의약제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노즐은 다른 노즐들보다 길고, 모든 노즐의 노즐 끝(tip)은, 상기 노즐 선택 메커니즘이 상기 제1 선택 모드일 때는 사용자의 두피에 대해 동시에 접촉하고, 상기 노즐 선택 메커니즘이 상기 제2 선택 모드일 때는 상기 애플리케이터 몸체가 쥐어지는 각도를 바꿈으로써 상기 단일 노즐만이 두피에 대해 기대도록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챔버 안이 정압(positive pressure)을 받을 때는 상기 의약제 저장소로부터 상기 입구를 밀봉하고 상기 펌프 챔버 안이 부압(negative pressure)을 받을 때는 의약제가 상기 저장소에서 상기 챔버 안으로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입구를 개방하는 입구 밸브(inlet valv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챔버 안이 부압을 받을 때는 상기 펌프 챔버 또는 각각의 펌프 챔버로부터 상기 출구를 밀봉하고 상기 펌프 챔버 안이 정압을 받을 때는 의약제가 상기 상기 챔버에서 상기 노즐 또는 노즐들로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출구를 개방하는 하나 이상의 출구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30.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밸브 또는 각각의 입구 밸브, 또는 상기 출구 밸브 또는 각각의 출구 밸브, 또는 둘 모두는, 통합형 밸브 몰딩(unitary valve moulding)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형 밸브 몰딩은 상기 입구 또는 출구 폐쇄를 위한 밸브 부재, 상기 몰딩을 상기 입구 또는 출구에 대해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부(anchor portion), 및 상기 입구 또는 출구에 대한 상기 밸브 부재가 상기 밸브를 폐쇄하도록 촉구하도록 상기 밸브 부재와 앵커부 사이에 마련되는 용수철부(spring portio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31.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밸브 또는 각각의 출구 밸브는, 탄력 있는, 탄성 중합체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펌프 챔버에 배출력(discharging force)을 가할 때 각각의 출구로부터 멀어지도록 외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32.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챔버 또는 각각의 펌프 챔버는 접힐 수 있는(collapsible), 바람직하게는 롤링 격막 챔버(rolling diaphragm chamb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접힐 수 있는 챔버 또는 각각의 접힐 수 있는 챔버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챔버 상에 작동하면 상기 챔버의 측벽들을 안내하기 위한 외부 케이싱(outer casing)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싱은 상기 챔버의 중심, 길이방향 축과 정렬되는 개구부를 갖고, 상기 펌프 어셈블리는 일단부는 상기 챔버의 일 단부벽과 접촉하고 타단부는 상기 액추에이터 작동 시 상기 챔버의 상기 일 단부벽이 안쪽으로 들어가서 상기 챔버가 접히도록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밀리도록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챔버 핀(chamber pin)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35.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챔버 또는 각각의 펌프 챔버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길이방향 축은 상기 애플리케이터 몸체의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37. 제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펌프 챔버 또는 각각의 펌프 챔버로부터 의약제를 배출하기 위한, 바람직하게는 플런저 몸체(plunger body) 및 작동 로드(actuating rod)를 포함하는 플런저(plunger), 및 상기 플런저를 진행시키기 위한 펄크럼(fulcrum)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레버 암(lever ar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38. 제1항 내지 제17항, 및 제19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터 헤드는 3개의 노즐을 갖고, 상기 펌프 어셈블리는 2개의 펌프 챔버를 포함하고, 이중 하나의 챔버는 상기 노즐들 중 하나로 의약제를 배출하는 출구를 갖고, 다른 하나의 챔버는 나머지 2개의 노즐로 의약제를 배출하는 출구를 갖고, 상기 애플리케이터는 제1 작동 모드에서는 상기 두 챔버 모두에서 의약제를 선택적으로 배출하고, 제2 작동 모드에서는 하나의 챔버에서만 의약제를 배출하는 노즐 선택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챔버는, 상기 제1 작동 모드에서 배출되는 의약제의 양이 상기 제2 작동 모드에서 상기 단일 노즐로부터 배출되는 의약제의 양보다 대략 3배가 되도록 나머지 챔버보다 실질적으로 용량이 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40. 제38항 또는 제39항에 있어서,
    두 펌프 챔버 모두 롤링 격막 챔버 및 관련 케이싱을 포함하고, 각각의 챔버의 단부벽들은 각각의 케이싱 내의 중앙 개구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각각의 챔버 핀과 연결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펌프 챔버들의 길이방향 축들과 평행한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작동 시 상기 회전된 위치에 따라 하나 또는 두 챔버 핀들 상에서 선택적으로 작동 가능한 플런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41. 제1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회전 가능한 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터는 상기 플런저를 단일 노즐 배출 위치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상기 플런저 회전을 위한 다이얼(dial)을 더 포함하는데, 그 작동 시에는 하나의 펌프 챔버로부터 의약제가 배출되고, 상기 애플리케이터가 2개 이상의 펌프 챔버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상기 플런저는 다수-노즐 배출 위치로 회전이 가능하여, 그 작동 시에는 모든 펌프 챔버로부터 의약제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의약제가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플런저가 작동되는 잠금 위치로 상기 다이얼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43. 제41항 또는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능한 플런저는 정면 작동면(front actuating face)을 갖는 플런저 몸체, 및 상기 플런저 몸체의 후방으로부터 돌출되는 비대칭 단면을 갖는 액추에이터 로드(actuator rod)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얼은 상기 액추에이터 로드를 수용하기 위한, 상응하는 단면의 중앙 개구부를 가짐으로써 상기 다이얼의 회전은 상기 플런저의 회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44. 제43항에 있어서,
    챔버 핀들이 연장되는 2개 이상의 펌프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 몸체의 정면 작동면은 3개 이상의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부들은, 제1 플런저 위치로 회전 시 상기 플런저 페이스가 상기 액추에이터 로드의 작동 시 모든 챔버 핀을 진행시킴으로써 모든 펌프 챔버로부터 의약제가 배출되고, 제2 플런저 위치로 회전 시 상기 플런저 페이스가 단일 노즐로 배출하는 펌프 챔버와 관계된 챔버 핀만을 진행시키고 (나머지 챔버 핀은 진행되지 않도록 개구부에 수용되고), 제3 플런저 위치로 회전 시 상기 플런저 페이스가 어떤 챔버 핀과도 접촉하지 않음으로써 (모든 챔버 핀은 각각의 개구부에 수용되고) 작동 시 의약제가 배출되지 않도록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과 플런저 몸체 사이에 끼워지는 삽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플런저 몸체가 펌핑 (단일 및 다수-노즐 배출) 또는 잠금 위치에 있을 때만 상기 플런저 몸체의 (전후) 상호 이동을 허용하도록 상기 플런저 몸체상에서 외부 돌출부들과 협력하는 열쇠들로 기능하는 다수의 내부 돌출부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46. 제1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터가 사용 중이지 않을 때 상기 애플리케이션 페이스를 보호하고 상기 또는 각각의 노즐을 밀봉하기 위한 탈착 가능한 커버(cov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가 장착되었을 때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액추에이터 락(actuator lock)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터.
  48. 반고체 조제용 물질 배출 시스템으로,
    배출 헤드; 및
    상기 배출 헤드와 결합하기 위한 배출 노즐, 및 상기 조제용 물질이 배출됨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를 따라 진행하기 위한 플런저를 갖는, 상기 조제용 물질을 위한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헤드는 상기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포트와 결합함에 따른 상기 카트리지 노즐 안으로의 삽입 및 밀봉을 위한 스토퍼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배출 작동 시 입구 밸브를 통해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상기 배출 헤드로 조제용 물질이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보어가 관통하고,
    상기 스토퍼 보어는 통기구(vent)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 헤드는 상기 통기구와 연통되는 제한된 섹션을 갖는 통로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카트리지 노즐로의 삽입 시 상기 스토퍼에 의해 배출된 조제용 물질은 상기 보어 안으로 유동한 후 상기 통기구를 통해 나와서 상기 제한된 통로 안으로 유동하도록 강제되고, 이때 추가적인 조제용 물질이 상기 통로 안으로 유동하도록 하는데 필요한 압력은 상기 카트리지 플런저를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압력보다 커지고, 추가적으로 배출되는 조제용 물질은 상기 플런저의 역행 이동을 통해 상기 카트리지 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시스템.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카트리지 노즐 안으로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그 선행 단부(leading end)가 상기 카트리지의 최소 충진 높이 밖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갖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토퍼가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상기 카트리지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시스템.
  50. 제48항 또는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의 용량, 적어도 상기 통로에서 상기 제한된 섹션의 (상류) 전 부분의 용량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최소 충진 높이까지만 충진 되었을 때 상기 스토퍼에 의해 배출되는 조제용 물질의 총량보다 적은 양을 수용할 수 있는 용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시스템.
  51. 제48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밸브는 상기 스토퍼 보어 내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시스템.
  52. 제48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밸브는 내부 보어벽으로부터 상기 보어 안으로 돌출되는 경사진 밸브 시트(inclined valve seat), 및 상기 밸브 시트에 대해 밀봉하기 위한 밸브 폐쇄 부재(valve closing memb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시스템.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폐쇄 부재는 용수철이 구비된 공(bal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시스템.
  54. 제51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는, 상기 스토퍼가 상기 카트리지 노즐 안으로 진행함에 따라 상기 입구 밸브의 상류에서 상기 보어가 조제용 물질로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충진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입구 밸브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시스템.
  55. 제48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어는 상기 입구 밸브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보어의 직경 및 길이보다 작은 직경 및 길이를 갖는 내부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튜브는, 상기 배출 헤드가 조립되고 상기 스토퍼에 의해 배출된 카트리지 조제용 물질이 상기 보어를 따라 상기 내부 튜브까지 유동함으로써 상기 조제용 물질이 내부 튜브 바깥 주변 및 상기 통기구와 통로 너머로까지 강제되도록,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상기 보어 안으로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시스템.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튜브는 상기 보어 안으로 및 상기 통기구의 위치 너머로까지 연장되되, 상기 스토퍼의 단부에는 실질적으로 못미치도록 마무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시스템.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튜브의 용량은, 상기 카트리지 및 배출 헤드 조립 후 상기 배출부의 제1 작동으로 인해 남아 있는 공기가 상기 내부 튜브로부터 제거되고 조제용 물질이 상기 내부 튜브 안으로 흡입되어 상기 입구 밸브를 적시는(wet) 결과를 가져오도록 하는 용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시스템.
  58. 제48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와 조제용 물질은 제1 통로 섹션으로 통기됨으로써 통기된 공기와 조제용 물질의 자유 유동을 허용하고, 이어 상기 제1 섹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나 상기 조제용 물질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는 제2 통로 섹션으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시스템.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헤드는 매니폴드(manifold)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니폴드와 스토퍼는 상기 카트리지 포트를 함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시스템.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로 섹션은 상기 스토퍼와 매니폴드 사이에, 연속적인 공간 또는 복수의 채널과 같은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통로 섹션은 역시 상기 스토퍼와 매니폴드 사이에, 상기 제1 섹션에서보다는 작은 단면을 갖는 하나 이상의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시스템.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로 섹션은 상기 스토퍼와 매니폴드 사이에, 상호 보완적인 나사산 섹션(threaded sectio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시스템.
  62. 제48항 내지 제6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이중-벽 부재(double-walled member)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헤드와 카트리지가 조립되었을 때, 상기 내벽의 내측을 향하는 표면은 상기 중앙 보어를 제공하고 상기 외벽의 외측을 향하는 표면은 상기 카트리지 노즐의 내벽에 대한 밀봉을 위한 씰(seal)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시스템.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스토퍼 벽의 외측을 향하는 표면은 립 씰(lip seal)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시스템.
  64. 제62항 또는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및 외부 스토퍼 벽 사이의 틈에는, 상기 스토퍼가 상기 카트리지 노즐 안으로 삽입됨에 따라 조제용 물질이 상기 중앙 보어 안으로 유동하는 것을 강제하기 위해 정면 단부는 폐쇄되는, 실질적으로 U-자 형상의 원통형 채널이 제공되고, 상기 통기구는 상기 스토퍼의 내부 스토퍼 벽을 관통하도록 마련됨으로써, 상기 시스템이 조립되었을 때 상기 카트리지 노즐 안에서 상기 스토퍼의 진행에 의해 배출된 공기와 조제용 물질은 상기 통기구를 향해 상기 보어를 따라 초기 강제된 후 상기 통로를 향해 상기 통기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시스템.
  65. 제62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벽 스토퍼의 채널은 배출 헤드 매니폴드의 튜브형 부분을 수신하고 수용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튜브형 부분과 원통형 채널은 공기와 조제용 물질이 상기 통기구를 통해 강제되는 통로가 상기 튜브형 부분과 원통형 채널 사이에 마련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시스템.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상기 내부 스토퍼 벽의 외측을 향하는 표면을 따라 초기에는 아래로, 이어 상기 채널의 베이스를 따라 이어지고, 상기 외부 스토퍼 벽의 내측을 향하는 표면을 따라 위로 이어지는 길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시스템.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의 제한된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U-자 형상의 채널의 개방된 단부에 인접한, 상기 외측 스토퍼 벽의 내측을 향하는 표면 및 상기 매니폴드 튜브형 부분의 외측을 향하는 표면상의 상호 보완적인 나사산 섹션들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시스템.
  68. 제48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헤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한된 통로의 하류에, 배출된 공기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는 챔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시스템.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배출 헤드와 조립되었을 때 상기 카트리지 노즐에 의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시스템.
  70. 제48항 내지 제6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는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배출 헤드에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 특성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시스템.
  71. 제48항 내지 제6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헤드와 카트리지는 상기 배출 헤드와 카트리지의 조립은 허용하되 일단 조립되면 다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일방 잠금 메커니즘(one-way lock mechanism)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시스템.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는 바람직하게는 마주보는 한 쌍의 헤드 잠금 클립(head lock clip)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복수의 결합 립(engagement rib)을 포함하고, 상기 클립들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배출 헤드에 조여지면 결합 립들 위로 지나가되, 상기 조립체를 해체하고자 할 때는 상기 립들에 대해 장애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시스템.
  73. 제48항 내지 제7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헤드는 조제용 물질이 배출되는 펌프 챔버 및 출구, 및 상기 입구를 통해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상기 챔버 안으로 및 상기 출부 밖으로 조제용 물질을 펌핑하는 펌프 챔버 상에서 작동 가능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펌프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시스템.
  74.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헤드는 머리카락을 통과하고 두피 또는 그 외 신체 부위에 조제용 물질을 도포하기 위한, 상기 출구와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긴 형상의 노즐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시스템.
  75. 제74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핸드헨드 애플리케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시스템.
  76. 제1항 내지 제7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애플리케이터 또는 배출 헤드의 카트리지 포트에 장착되도록 마련된 제1 배출 단부를 갖는, 의약제 저장소의 저장을 위한 카트리지.
  77.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애플리케이터 또는 배출 헤드 상의 상호 보완적인 구조와 연동되기 위한 잠금 구조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잠금 구조들은 조립을 허용하고 해체를 방지하도록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78.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구조는, 상기 애플리케이터 또는 배출 헤드 상의 상호 보완적인 잠금 클립들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 노즐 목부 둘레의 칼라(collar) 상에, 복수의 결합 립(engagement rib)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79. 제76항 내지 제7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목부는, 상기 스토퍼의 삽입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 목부로부터 공기의 배출 후 기밀한 연결을 형성하도록 애플리케이터 헤드 어셈블리의 스토퍼 또는 배출 헤드의 매니폴드를 수신하여 밀봉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80.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목부의 내벽은 개방된 단부에서 테이퍼되고, 상기 테이퍼되는 섹션은 매니폴드 밀봉 벽에 대한 밀봉 표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81. 제76항 내지 제8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목부는, 상기 스토퍼의 삽입 시 상기 목부와 상기 스토퍼 사이에, 상기 카트리지 바깥으로 강제되는 의약제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챔버를 제공하도록 마련된 이중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82. 제76항 내지 제8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약제를 수용하기 위한 튜브 등, 및 상기 내부 튜브 벽과 밀봉 접촉하는 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애플리케이터의 상기 또는 각각의 펌프 챔버로부터 의약제가 배출될 때 생성되는 부압(negative pressure)을 받으면 상기 튜브 벽 위로 진행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83. 제82항에 있어서,
    사용 전에 상기 카트리지의 배출 단부를 밀봉하기 위한 카트리지 캡(cap)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캡은, 후방에서 상기 플런저를 진행시켜 사용을 위해 상기 애플리케이터를 프라이밍 하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의 비배출 단부에서 삽입을 위한 프라이밍 삽입부(priming insert)로서의 이중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84. 제76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가 애플리케이터 몸체 안으로 삽입을 위한 것일 때, 상기 애플리케이터 몸체의 개방된 단부를 밀봉하기 위한 단부 캡이 비배출 단부에 추가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85. 제1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76항 내지 제8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의약제가 장착되는 애플리케이터.
  86. 제1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애플리케이터, 및 제76항 내지 제8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카트리지를 포함하는는, 의약제를 환자에게 도포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터 시스템.
  87. 반고체 의약제를 두피나 그외 신체 부위에 전달하는 방법으로서,
    (i) 애플리케이터의 애플리케이터 몸체에 상기 의약제를 충진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터는 상기 애플리케이터 몸체에 대해 고정되고 두피 및 그외 신체 부위와 접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긴 형상의 배출 노즐들을 갖는 애플리케이터, 상기 애플리케이터 몸체로부터 의약제를 수신하기 위한 입구 및 상기 또는 각각의 배출 노즐에 의약제를 배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출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펌프 챔버를 포함하는 펌프 어셈블리 및 상기 챔버 내의 정량의 의약제를 상기 또는 각각의 출구를 통해 펌핑하기 위한 상기 펌프 챔버 상에서 작동 가능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ii) 의약제를 상기 애플리케이터 몸체로부터 상기 펌프 챔버 및 상기 또는 각각의 노즐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애플리케이터를 프라이밍하는 단계;
    (iii) 그런 다음, 상기 또는 각각의 노즐이 두피 또는 그 외 신체 부위와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의약제를 전달하는 단계; 및
    (iv) 상기 챔버로부터 상기 노즐을 통해 정량의 의약제를 펌프하고 상기 노즐로부터 정량의 의약제를 두피나 그 외 신체 부위에 배출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8. 제87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하는 단계는 의약제로 충진된 카트리지의 배출 단부를 상기 애플리케이터 상의 카트리지 포트 안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포트는 상기 펌프 챔버까지 상기 입구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47010223A 2011-10-21 2012-10-18 배출 시스템 KR201400786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49952P 2011-10-21 2011-10-21
US61/549,952 2011-10-21
US201261587907P 2012-01-18 2012-01-18
US61/587,907 2012-01-18
US201261654577P 2012-06-01 2012-06-01
US61/654,577 2012-06-01
PCT/EP2012/070705 WO2013057223A1 (en) 2011-10-21 2012-10-18 Dispensing syste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669A true KR20140078669A (ko) 2014-06-25

Family

ID=47143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0223A KR20140078669A (ko) 2011-10-21 2012-10-18 배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140371690A1 (ko)
EP (1) EP2768572A1 (ko)
JP (1) JP2014532445A (ko)
KR (1) KR20140078669A (ko)
CN (1) CN103974743A (ko)
AU (1) AU2012324877B2 (ko)
BR (1) BR112014008852A2 (ko)
CA (1) CA2848525A1 (ko)
IL (1) IL231993A0 (ko)
IN (1) IN2014DN03437A (ko)
MX (1) MX2014004671A (ko)
RU (1) RU2630719C2 (ko)
SG (1) SG11201401059VA (ko)
WO (1) WO20130572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15495A (ja) * 2012-04-27 2015-05-28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組成物を適用するアプリケーターアセンブリー
US11980352B2 (en) 2012-10-30 2024-05-14 Preva, Llc Nasal irrigation diagnostic assembly
US10478547B2 (en) 2012-10-30 2019-11-19 Preva, Llc. Irrigation assembly
US11179513B2 (en) 2012-10-30 2021-11-23 Preva, Llc Irrigation assembly
US9433724B2 (en) * 2012-10-30 2016-09-06 Preva, Llc. Irrigation assembly
US10493226B2 (en) 2013-03-15 2019-12-03 Seedlings Life Science Ventures, Llc System and assembly for inflating and monitoring pressure within a retaining cuff
CN105188850A (zh) 2013-05-16 2015-12-23 宝洁公司 毛发增稠组合物及使用方法
FR3008396B1 (fr) * 2013-07-10 2016-05-06 Axilone Plastique Distributeur, poseur, applicateur de creme rechargeable portatif.
EP3039384A1 (en) * 2013-08-29 2016-07-06 Carebay Europe Ltd. Droplet medicament delivery device
CN103494708A (zh) * 2013-10-22 2014-01-08 孙杰 一种药物理疗按摩梳子
US10265462B2 (en) 2014-02-13 2019-04-23 Preva, Llc. Nasal irrigation assembly and system
US11311706B2 (en) 2014-02-13 2022-04-26 Preva, Llc Nasal irrigation assembly and system
GB2524084A (en) * 2014-03-14 2015-09-16 Gerald Hipperson A tanning fluid applicator system and method
USD761650S1 (en) * 2014-07-30 2016-07-19 Reckitt Benckiser (Brands) Limited Spray cap for an aerosol dispenser
MX2017004053A (es) * 2014-09-29 2017-07-07 Dermira Inc Dispositivo y metodo para dispensar un farmaco.
CN104353561A (zh) * 2014-11-28 2015-02-18 刘小凤 一种能够直接作用在皮肤上对皮肤进行除垢的喷头
JP6446277B2 (ja) * 2015-01-21 2018-12-26 エステー株式会社 供給装置
EP3426412B1 (en) 2016-03-10 2022-12-28 Ecolab USA Inc. Measured dosing and spray bottle for multi-use applications and associated method of using
FR3052989B1 (fr) * 2016-06-27 2020-02-21 Aptar France Sas Ensemble de distribution et d'application de produit fluide
JP2020533035A (ja) * 2017-07-20 2020-11-19 ヤンセン バイオテツク,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薬剤混合装置
US10849405B2 (en) * 2017-09-20 2020-12-01 Elc Management Llc Cap and vial applicator system for applying two cosmetic products
CN207417510U (zh) * 2017-11-03 2018-05-29 泉州亿达家用电器实业有限公司 瓶盖结构
WO2019241832A1 (en) * 2018-06-22 2019-12-26 Gd Pharma Pty Ltd Dosage device with dispenser and cartridge
WO2020081109A1 (en) * 2018-10-17 2020-04-23 Glenmark Pharmaceuticals Inc., Usa Mupirocin cream in pump device
US20210338993A1 (en) * 2018-10-17 2021-11-04 Thomas Jefferson University Topical Medicine Applicator for Scalp
EP3897807A1 (en) * 2018-12-20 2021-10-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ndheld treatment apparatus with nozzle sealing assembly
KR102106306B1 (ko) * 2019-02-01 2020-05-04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 보조제 도포 장치
CN113905827A (zh) 2019-03-26 2022-01-07 里克包装系统有限公司 用于锁定泵式分配器的防旋转塞式密封件
USD899943S1 (en) * 2019-04-18 2020-10-2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erosol bottle for dispensing a foam hair care composition
EP4039374A1 (de) * 2019-04-26 2022-08-10 Aptar Radolfzell GmbH Spender zum austrag pharmazeutischer flüssigkeiten
EP3730220B1 (de) * 2019-04-26 2022-07-06 Aptar Radolfzell GmbH Spender zum austrag pharmazeutischer flüssigkeiten
US20210361049A1 (en) * 2019-12-03 2021-11-25 Shameeka Brown Combination fluid dispenser and scalp massager
FR3118955A1 (fr) * 2021-01-18 2022-07-22 Gb Developpement «Distributeur de fluide»
US20230135747A1 (en) * 2021-10-28 2023-05-04 Droplette Inc. Fluid delivery system
CA3236997A1 (en) * 2021-11-08 2023-05-11 Chuzhen QUE Actuator for a dual pump dispensing system
CN114748775B (zh) * 2022-03-16 2024-05-03 南京曼星忆知科技有限公司 一种脸部皮肤病毒感染药物涂抹装置
KR20240003481A (ko) * 2022-07-01 2024-01-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인헤일러
KR20240003477A (ko) * 2022-07-01 2024-01-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인헤일러
CN115055300B (zh) * 2022-07-07 2024-04-30 益阳绿康农业综合开发有限公司 一种杂交水稻制种田用激素喷涂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7650A (en) * 1978-11-17 1980-10-14 Ethyl Products Company Fluid dispenser and nozzle structure
DE2901717A1 (de) * 1979-01-17 1980-07-31 Joachim Czech Spender fuer pastoese produkte
DE3122516A1 (de) * 1981-06-05 1982-12-23 Giuseppe Dr.-Ing. 8012 Ottobrunn Farnetani Geraet zum applizieren eines kopfhautbehandlungsmittels
DE3222492A1 (de) * 1982-06-15 1983-12-15 Joachim 8405 Donaustauf Czech Spender fuer pastoese produkte
US5176291A (en) * 1991-06-14 1993-01-05 Owens-Illinois Closure Inc. Dispensing package for a viscous product with a reusable pumping mechanism
US6000581A (en) * 1993-06-23 1999-12-14 American Cyanamid Company Dispenser gun for viscous or semi-viscous products
US5482187A (en) * 1993-09-13 1996-01-09 Hygienix, Inc. Dispenser for viscous substances
US5960802A (en) * 1995-12-06 1999-10-05 Tmc Kaken Kabushiki Kaisha Pen-type chemical applicator
US5878916A (en) * 1997-10-03 1999-03-09 Dejonge; Stuart W. Metered dosage undirectional tracked pumped dispenser
AUPR184500A0 (en) * 2000-12-01 2001-01-04 Drug Delivery Solutions Pty Ltd Dispensing device
DE10140650A1 (de) * 2001-08-18 2003-02-27 Wella Ag Spender, insbesondere für pastöse Massen
JP4113705B2 (ja) * 2001-12-18 2008-07-09 秀紀 萩原 つぼ刺激具
US6675812B1 (en) * 2002-05-07 2004-01-13 Lien L. Wiley Dispenser with comb or brush with optional sponge for cream, lotion, gel or liquid
JP2004121327A (ja) * 2002-09-30 2004-04-22 Keitouuwai Project:Kk トリートメントプローブ
WO2004043198A2 (en) * 2002-11-13 2004-05-27 Bary Wilkinson Applicator for scalp medicine
CN102764719B (zh) * 2004-09-27 2016-10-05 因斯蒂尔医学技术有限公司 用于存储分配物质的分配器及其充填固定装置
JP2006325981A (ja) * 2005-05-26 2006-12-07 Kyowa Industrial Co Ltd マッサージ機能を備えたエアゾール容器用ノズル
US8245887B2 (en) * 2006-01-26 2012-08-21 Mitani Valve Co. Ltd. Content discharge mechanism for pump-type container and pump-type product with content discharge mechanism
KR100768540B1 (ko) * 2006-12-14 2007-10-19 정정한 두피 약액 도포기
AU2008210267B2 (en) * 2007-01-31 2014-06-12 Sands Innovations Pty Ltd A dispensing utensi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RU2466797C2 (ru) * 2007-05-30 2012-11-20 Глаксо Груп Лимитед Устройство раздачи текучей среды
WO2009093798A1 (en) * 2008-01-25 2009-07-30 Lee Hwa Chang Co., Ltd Container and scalp massager with the container
DE102009005697B4 (de) * 2009-01-22 2013-05-23 Ivoclar Vivadent Ag Ausbringvorrichtung und deren Verwendung
JP6125996B2 (ja) * 2010-04-06 2017-05-17 リシール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 純粋または無菌の流動可能物質の容積計量された分配のためのデリバリー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1401059VA (en) 2014-04-28
JP2014532445A (ja) 2014-12-08
CA2848525A1 (en) 2013-04-25
RU2014120509A (ru) 2015-11-27
MX2014004671A (es) 2014-09-22
BR112014008852A2 (pt) 2017-04-18
IN2014DN03437A (ko) 2015-06-05
AU2012324877B2 (en) 2017-03-30
AU2012324877A1 (en) 2014-05-08
NZ622265A (en) 2015-10-30
US20140371690A1 (en) 2014-12-18
CN103974743A (zh) 2014-08-06
RU2630719C2 (ru) 2017-09-12
IL231993A0 (en) 2014-05-28
EP2768572A1 (en) 2014-08-27
WO2013057223A1 (en) 201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78669A (ko) 배출 시스템
US946391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leasing a unit dose of content from a container
JP6125996B2 (ja) 純粋または無菌の流動可能物質の容積計量された分配のためのデリバリーシステム
US20100217176A1 (en) Metered gel dispenser
RU2605030C2 (ru) Бритвенный прибор с поворачивающимся гидравлическим соединителем
RU2407682C2 (ru) Герметичная по всей поверхности одноходовая клапанная система и система подачи текучей среды
JP2014532445A5 (ja) アプリケータ及びアプリケータシステム
JP7157750B2 (ja) 薬剤保管用のノズル付きカートリッジとその噴射器、および鼻腔用粉状薬剤施薬装置
JP2008514310A (ja) 物質の貯蔵および定量分注用の一方向弁を有する横方向作動分注器
EP2645971B1 (en) Medicated module for an ophthalmic drug delivery device
CN103764094A (zh) 重组装置
US10799329B2 (en) Toothbrush
KR20150030867A (ko) 주사기형 화장품 용기
FR2753957A1 (fr) Emballage a deux compartiments et fermetures de ceux-ci
FR2753956A1 (fr) Emballage a deux compartiments et pompes
EP3169188B1 (en) Oral care system and method
NZ622265B2 (en) Dispensing systems
JP6486935B2 (ja) 流体、液体またはペースト状製品用のパッケージングおよび分注装置
JP2023551060A (ja) 用量分の眼科用液体の噴霧剤を送達する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眼科用液体の噴霧剤を送達するためのデバイスに適した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