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5085A - 물품 구분 장치 - Google Patents

물품 구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5085A
KR20140075085A KR1020120142825A KR20120142825A KR20140075085A KR 20140075085 A KR20140075085 A KR 20140075085A KR 1020120142825 A KR1020120142825 A KR 1020120142825A KR 20120142825 A KR20120142825 A KR 20120142825A KR 20140075085 A KR20140075085 A KR 20140075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article
chute
carrier
inclination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우
김기학
박종흥
최창열
김룡
신상훈
최용훈
정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42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5085A/ko
Publication of KR20140075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50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4Devices for flexing or tilting travelling structures; Throw-off carriages
    • B65G47/96Devices for tilting links or plat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06Chutes of helical or spir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2Frames mounted on wheels for movement on rail t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85Postal items, e.g. letters, parc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물품 구분 장치는 설치 공간 확장을 최소화하며 최대한 많은 슈트를 배치하기 용이하도록, 실시 예는, 인덕션으로부터 이동된 물품이 배치되는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를 이송하여 상기 물품을 해당 목적지 슈트로 이동시키는 트랙을 포함하며, 상기 트랙은, 상기 캐리어를 이송하는 제1 트랙, 상기 캐리어를 이송하며, 상기 제1 트랙과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제2 트랙, 상기 제1 트랙에서 상기 제2 트랙으로 상기 캐리어를 이송하는 제1 연결트랙 및 상기 제2 트랙에서 상기 제1 트랙으로 상기 캐리어를 이송하는 제2 연결 트랙을 포함하는 물품 구분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물품 구분 장치{Article classification device}
실시 예는 물품 구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 공간 확장을 최소화하며 최대한 많은 슈트를 배치하기 용이한 물품 구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형 물품 구분 장치는 우편물, 소포, 택배 또는 생산품 등 물품을 배송 목적지 또는 분류 목적에 따라 자동으로 분류해주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구분기는 하드웨어에 해당하는 기계 장치 구조물과 기계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구분을 위한 정보처리 및 구분기 운영을 관리하는 운영소프트웨어로 구성된다. 세부적으로 기계 장치는 물품을 투입하는 공급컨베이어벨트(Induction), 물품을 구분구 슈트까지 운반하기위한 캐리어(Carriers 또는 Trays), 캐리어가 장착되어 구동되기 위한 트랙, 물품이 목적지별로 분류되어 방출되는 슈트 등으로 구성된다.
기존의 물품 구분 장치는 설치하기 위한 넓은 공간이 요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단층으로 구성되어 필요한 개수만큼의 구분구 슈트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고, 충분한 길이의 트랙을 구성해야 하는 등 공간 활용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공간 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고안된 슈트의 경우 나선형 슈트(spiral chute), 이중 나선형 컨베이어(duble spiral conveyor) 등이 있으나 이는 슈트가 차지하는 점유 공간을 줄이는 효과만 있을 뿐 동일한 공간에 슈트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효과는 없다. 특히 이중 나선형 컨베이어는 석탄, 식재료 등 파손되기 쉬운 물품을 수직으로 전달할 때 물품의 파손이나 막힘을 방지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고안되었다.
최근 들어 기존의 물류센터가 차지하는 면적에는 제한이 있으나 공중으로는 충분한 공간 확보가 가능한 점을 이용하여 새로운 구조를 갖는 물품 구분 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실시 예의 목적은, 설치 공간 확장을 최소화하며 최대한 많은 슈트를 배치하기 용이한 물품 구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물품 구분 장치는, 인덕션으로부터 이동된 물품이 배치되는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를 이송하여 상기 물품을 해당 목적지 슈트로 이동시키는 트랙을 포함하며, 상기 트랙은, 상기 캐리어를 이송하는 제1 트랙, 상기 캐리어를 이송하며, 상기 제1 트랙과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제2 트랙, 상기 제1 트랙에서 상기 제2 트랙으로 상기 캐리어를 이송하는 제1 연결트랙 및 상기 제2 트랙에서 상기 제1 트랙으로 상기 캐리어를 이송하는 제2 연결 트랙을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물품 구분 장치는, 배치 면적의 증가 없이 목적지 슈트에 물품을 이동시키는 구분구 슈트를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물품 구분 장치는 동일 면적에 1.5배에서 3배까지 구분구 슈트가 많은 구분기를 설치하여 공간 활용률을 높이고 면적 확보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물품 구분 장치를 좌측 상부에서 바라본 3차원 조감 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물품 구분 장치를 우측 상부에서 바라본 3차원 조감 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물품 구분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물품 구분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물품 구분 장치를 측면 상부에서 바라본 3차원 조감도이다.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 예에서의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실시 예에 따른 물품 구분 장치에 대한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도면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물품 구분 장치는 인덕션(100) 및 구분기(200)를 포함한다.
인덕션(100)은 외부로부터 인입된 물품(미도시)을 구분기(200)로 이동시키는 컨테이버 밸트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인덕션(100)은 상기 물품이 인입된 경우, 상기 물품의 길이 및 각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인덕션(100)의 끝단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물품의 시작시점 및 종료시점을 통하여 상기 물품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물품의 배치 위치를 측면의 각도를 검출하여 상기 물품의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구분기(200)는 캐리어(210) 및 캐리어(210)를 이송하는 트랙(2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캐리어(210)은 인덕션(100)으로부터 이동된 상기 물품이 배치되어, 트랙(230)에 의해 해당 목적지 슈트(미도시)가 배치된 구분지점까지 이동된다.
또한, 캐리어(210)는 상기 물품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구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트랙(230)은 제1 트랙(232), 제2 트랙(234), 제1 연결트랙(236) 및 제2 연결트랙(238)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트랙(232)은 인덕션(100)와 연결되며, 상기 물품이 배치된 캐리어(210)를 이송시킨다.
제2 트랙(234)은 캐리어(210)를 이송하며 제1 트랙(232)과 복층 구조로 이루어지며, 제1 트랙(232)에서 구분되지 않은 상기 물품에 해당되는 목적지 슈트가 배치된 구분지점까지 상기 물품을 이송시킨다.
여기서, 제1 트랙(232)의 길이는 제2 트랙(234)의 길이보다 짧은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서로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1 연결트랙(236)은 인덕션(100)이 연결되지 않는 제1 트랙(232)에서 제2 트랙(234)으로 상기 물품이 이송되도록 제1, 2 트랙(232, 234)에 연결된다.
제2 연결트랙(238)은 제1 연결트랙(236)와 마주하는 교차하는 제2 트랙(234)에서 제1 트랙(232)으로 상기 물품을 이송시킨다.
즉, 제1, 2 트랙(232, 234) 및 제1, 2 연결트랙(236, 238)은 상기 물품이 배치된 캐리어(100)를 연속 순환 이송시킬 수 있으며, 상기 물품을 해당 목적지 슈트로 이송되도록 한다.
이때, 제1, 2 연결트랙(236, 238)의 경사각은 10°내지 45°로 할 수 있으며, 상기 물품 이송시 상기 물품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2 연결트랙(236, 238)은 서로 교차되는 제1, 2 트랙(232, 234)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물품의 이송 및 상기 물품의 해당 목적지 슈트에 대한 설치 지점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트랙(232)의 외측 및 내측에는 제1 외측 슈트(242) 및 제1 내측 슈트(244)가 배치된다.
제1 외측 슈트(242) 및 제1 내측 슈트(244)는 상기 물품의 해당 목적지 슈트로 제1 트랙(232)에 이송되는 상기 물품이 이송되게 하는 구분구 슈트이다.
여기서, 제1 외측 슈트(242) 및 제1 내측 슈트(244)는 제1 트랙(232)을 기준으로 내측 방향 및 외측 방향으로 서로 동일한 경사각을 가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또한, 제2 트랙(234)의 외측 및 내측에는 제2 외측 슈트(246) 및 제2 내측 슈트(248)가 배치된다.
제2 외측 슈트(246) 및 제2 내측 슈트(248)는 상기 물품의 해당 목적지 슈트로 제2 트랙(234)에 이송되는 상기 물품이 이송되게 하는 구분구 슈트이다.
여기서, 제2 외측 슈트(246) 및 제2 내측 슈트(248)는 제2 트랙(234)을 기준으로 내측 방향 및 외측 방향으로 서로 동일한 경사각을 가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또한, 제1 트랙(232)을 기준으로 제1 외측 슈트(242)의 경사각은 제2 트랙(234)를 기준으로 제2 외측 슈트(246)의 경사각과 다를 수 있으며, 제1, 2 트랙(232, 234) 사이의 이격 높이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그리고, 제1 트랙(232)을 기준으로 제1 내측 슈트(244)의 경사각은 제2 트랙(234)을 기준으로 제2 내측 슈트(248)의 경사각과 다를 수 있으며, 제1, 2 트랙(232, 234) 사이의 이격 높이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1, 2 외측 슈트(242, 246)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2 내측 슈트(244, 248) 중 적어도 하나와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2 트랙(232, 234)에 배치된 제1, 2 외측 슈트(242, 246) 및 제1, 2 내측 슈트(244, 248)는 모두 다른 목적지 슈트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음으로써, 공간 활용도가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 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00: 인덕션 200: 트랙

Claims (7)

  1. 인덕션으로부터 이동된 물품이 배치되는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를 이송하여 상기 물품을 해당 목적지 슈트로 이동시키는 트랙;을 포함하며,
    상기 트랙은,
    상기 캐리어를 이송하는 제1 트랙;
    상기 캐리어를 이송하며, 상기 제1 트랙과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제2 트랙;
    상기 제1 트랙에서 상기 제2 트랙으로 상기 캐리어를 이송하는 제1 연결트랙; 및
    상기 제2 트랙에서 상기 제1 트랙으로 상기 캐리어를 이송하는 제2 연결 트랙;을 포함하는 물품 구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랙의 외측에 배치된 목적지 슈트로 상기 물품을 이동시키는 제1 외측 슈트;
    상기 제2 트랙의 외측에 배치된 목적지 슈트로 상기 물품을 이동시키는 제2 외측 슈트;
    상기 제1 트랙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외측 슈트와 대응되며, 상기 제1 트랙의 내측에 배치된 목적지 슈트로 상기 물품을 이동시키는 제1 내측 슈트; 및
    상기 제2 트랙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외측 슈트와 대응되며, 상기 제2 트랙의 내측에 배치된 목적지 슈트로 상기 물품을 이동시키는 제2 내측 슈트;를 포함하는 물품 구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랙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외측 슈트의 경사각은,
    상기 제2 트랙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외측 슈트의 경사각과 다른 물품 구분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랙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내측 슈트의 경사각은,
    상기 제2 트랙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내측 슈트의 경사각과 다른 물품 구분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외측 슈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2 내측 슈트 중 적어도 하나와 대칭된 물품 구분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랙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2 트랙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된 물품 구분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랙의 길이는,
    상기 제2 트랙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짧은 물품 구분 장치.
KR1020120142825A 2012-12-10 2012-12-10 물품 구분 장치 KR201400750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825A KR20140075085A (ko) 2012-12-10 2012-12-10 물품 구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825A KR20140075085A (ko) 2012-12-10 2012-12-10 물품 구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085A true KR20140075085A (ko) 2014-06-19

Family

ID=51127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825A KR20140075085A (ko) 2012-12-10 2012-12-10 물품 구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508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88016A (zh) * 2019-11-12 2020-02-14 德邦物流股份有限公司 一种多层分拣系统
WO2020262851A1 (ko) * 2019-06-26 2020-12-30 김영대 소포 분류 시스템
RU2784983C1 (ru) * 2019-06-26 2022-12-01 Юн Тэ КИМ Система сортировки посылок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62851A1 (ko) * 2019-06-26 2020-12-30 김영대 소포 분류 시스템
KR20210000931A (ko) * 2019-06-26 2021-01-06 김영대 소포 분류 시스템
CN113438988A (zh) * 2019-06-26 2021-09-24 金英大 包裹分类系统
JP2022527687A (ja) * 2019-06-26 2022-06-03 テ キム,ヨン 小包分類システム
RU2784983C1 (ru) * 2019-06-26 2022-12-01 Юн Тэ КИМ Система сортировки посылок
US11958080B2 (en) 2019-06-26 2024-04-16 Young Tae Kim Parcel sorting system
CN110788016A (zh) * 2019-11-12 2020-02-14 德邦物流股份有限公司 一种多层分拣系统
CN110788016B (zh) * 2019-11-12 2021-07-20 德邦物流股份有限公司 一种多层分拣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97529B (zh) 物品分类和分拣系统
US10427884B2 (en) Vision based conveyor package density management system
US10773897B2 (en) Off-loading, typing and item separation system
US10226794B2 (en) Dynamic tray spacing
US10232407B2 (en) Installation for separating and singulating non-uniform postal articles
US6401936B1 (en) Divert apparatus for conveyor system
JP4296601B2 (ja) 搬送台車システム
EP1200205B1 (en) Tilt tray sorter
US7816617B2 (en) Configurable intelligent conveyor system and method
US200602297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order picking of articles into order containers
US201301102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ng and order picking articles
JP2004513783A (ja) 対象物を仕分け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47258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dividual products of more than one order at a packing station in an order-related manner
CN110899126A (zh) 用于对物体分类的分类设施及方法
US11459188B2 (en) Range sensing conveyor package management system for measuring and controlling density of parcels on a conveyor
CN108394702B (zh) 槟榔装盘机构
JP2020075793A (ja) 仕分け装置
KR101644077B1 (ko) 물품 자동 분류시스템의 인덕션-캐리어 실시간 동기제어방법
KR20140075085A (ko) 물품 구분 장치
KR20200025317A (ko) 물품 분류 시스템
JP7223147B2 (ja) 小包分類システム
JP7397162B2 (ja) コンベヤ上のパーセルの密集度を測定および制御する距離センシングコンベヤパッケージ管理システム
WO2021125046A1 (ja) ピッキングシステム(picking system)
JP6374644B2 (ja) 物品搬送設備
CN108996186A (zh) 一种用于理瓶机的调速系统以及药瓶理瓶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