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317A - 물품 분류 시스템 - Google Patents

물품 분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317A
KR20200025317A KR1020180102508A KR20180102508A KR20200025317A KR 20200025317 A KR20200025317 A KR 20200025317A KR 1020180102508 A KR1020180102508 A KR 1020180102508A KR 20180102508 A KR20180102508 A KR 20180102508A KR 20200025317 A KR20200025317 A KR 20200025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conveyor belts
sorter
transfer line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환
이규복
이용안
최은성
Original Assignee
씨제이대한통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대한통운 (주) filed Critical 씨제이대한통운 (주)
Priority to KR1020180102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5317A/ko
Publication of KR20200025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3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02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3/08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using arrangements of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 분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 복수 개의 컨베이어 벨트로 구성된 물품 이송 라인; 상기 물품 이송 라인 상의 물품을 분류하는 복수 개의 물품 분류기; 및 상기 물품 분류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물품 이송 라인은 수평 방향으로 N개의 컨베이어 벨트가 배치되고, 상기 N개의 컨베이어 벨트 상에 적층되는 M개의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분류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동일한 공간 대비 택배 터미널의 물품 Capacity를 늘릴 수 있다.

Description

물품 분류 시스템{Goods class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택배 물품을 자동으로 분류하는 물품 분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 개의 컨베이어 벨트를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배치하여 N(N은 자연수)단 M(M은 자연수)열의 컨베이어 벨트 이송 라인을 구비함으로써, 종래의 물품 분류 시스템보다 동일 시간 대비 더 많은 물품을 분류할 수 있는 물품 분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쇼핑 등 전자상거래의 이용이 증가함에 따라 운송해야 하는 물품의 양이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빠르고 정확하게 물품을 배송할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 및 인력 부족의 문제점 등이 대두되었고, 이에 따라 택배 업체들은 자동화 설비가 도입된 배송 물품 분류 시스템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물품 자동 분류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택배 트럭에서 하차된 물품을 이송시키는 복수 개의 컨베이어 벨트, 컨베이어 벨트 상에 이송되는 물품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켜 물품을 컨베이어 벨트에서 분기된 슈트 방향으로 분류하는 물품 분류 장치를 포함하고, 물품 분류 장치의 구동 여부, 구동 방향 등을 조절하여 택배 트럭에서 하차된 물품을 최종적으로 기 설정된 슈트 방향으로 분류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다만, 하루에 처리해야 하는 택배 물품의 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택배 업체들은 동일 시간 내에 보다 많은 물품을 분류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하였고, 동일 시간 대비 택배 물품의 분류량을 늘리기 위한 방안으로 택배 터미널을 넓히고, 터미널 내에 배치되는 컨베이어 벨트의 숫자를 증가시키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이 때, 도 1은 종래의 물품 분류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인데,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택배 터미널 내에 복수 개의 컨베이어 벨트(10)를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함으로써, 한 번에 분류될 수 있는 택배 물품의 수량을 증가시키려고 하였으나,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 개의 컨베이어 벨트(10)를 배치하기 위해서는 보다 넓은 택배 터미널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택배 터미널 내의 공간을 넓혀 택배 물품 분류 수량을 늘리는 것은 현실적인 제약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복수 개의 컨베이어 벨트를 수평적을 배치하지 않고도, 제한된 택배 터미널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택배 물품 분류량을 늘릴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4-0084496) “물품 분류시스템”
본 발명은 수평 방향으로 N개의 컨베이어 벨트를 배치하고,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N개의 컨베이어 벨트 상단에 M개의 컨베이어 벨트를 적층하여 형성된 M단 N열 구조의 물품 이송 라인을 구비한 물품 분류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동일한 공간, 동일 시간 대비 물품 분류 수량을 증가시켜 종래의 물품 분류 시스템이 갖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 복수 개의 컨베이어 벨트로 구성된 물품 이송 라인; 상기 물품 이송 라인 상의 물품을 분류하는 복수 개의 물품 분류기; 및 상기 물품 분류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물품 이송 라인은 수평 방향으로 N개의 컨베이어 벨트가 배치되고, 상기 N개의 컨베이어 벨트 상에 적층되는 M개의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분류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물품 이송 라인은 상기 복수 개의 컨베이어 벨트에서 분기되는 복수 개의 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품 이송 라인은 상기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N개의 컨베이어 벨트 상에 적층되는 M개의 컨베이어 벨트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수직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물품 분류기는 상기 물품 이송 라인 상의 물품을 슈트로 분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는 물품이 상기 물품 이송 라인 상에 투입되기 전에 파악된 물품의 크기, 물품의 무게, 물품 분류 코드, 배송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토대로 상기 물품 분류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본 발명의 물품 분류 시스템의 물품 분류기는 일 실시예로 복수 개의 방향 전환 롤러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휠 소터;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향 전환 롤러의 구동 방향을 제어하여, 컨베이어 벨트 상의 물품을 기 설정된 슈트로 분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물품 분류 시스템의 물품 분류기는 또 다른 실시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크로스벨트 소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크로스벨트 소터는 복수 개의 크로스벨트; 및 상기 복수 개의 크로스벨트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크로스벨트 소터는 컨베이어 벨트에서 크로스벨트로 물품을 투입시키는 물품 투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크로스벨트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여, 컨베이어 벨트 상의 물품을 기 설정된 슈트로 분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분류 시스템은 복수 개의 컨베이어 벨트로 구성되어 물품을 이송시킬 수 있는 물품 이송 라인과 물품 이송 라인 상에 이송되는 물품을 기 설정된 슈트 방향으로 분류할 수 있는 물품 분류기를 구비하여, 작업 인원을 투입하지 않고도 택배 물품을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분류 시스템은 물품 분류량을 늘리기 위해 컨베이어 벨트를 수평적으로 배치하던 종래의 물품 분류 시스템과 달리, 일부 컨베이어 벨트는 수평으로 배치하고, 수평으로 배치된 컨베이어 벨트 상에 일부 컨베이어 벨트를 적층시켜, 동일한 공간 내에서 더 많은 양의 택배 물품을 한번에 분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분류 시스템은 택배 트럭에서 하차된 택배 물품의 크기 또는 포장 상태 등을 토대로 물품이 투입되는 컨베이어 벨트를 달리 조절하여, 물품 분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복수 개의 컨베이어 벨트가 수평으로 배치된 종래의 물품 분류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복수 개의 컨베이어 벨트가 N단 M열 구조로 배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분류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분류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택배 트럭에서 하차된 물품이 일차적으로 분류되어 물품 이송 라인으로 투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복수 개의 컨베이어 벨트에서 분기된 슈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물품 이송 라인 상에 이송되는 물품을 휠 소터로 분류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물품 이송 라인 상에 이송되는 물품을 크로스벨트 소터로 분류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한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택배 터미널에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분류 시스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는 복수 개의 컨베이어 벨트가 N단 M열 구조로 배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분류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분류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분류 시스템은 복수 개의 컨베이어 벨트(110)로 구성된 물품 이송 라인(100)과 상기 물품 이송 라인(100) 상에 위치하며, 물품 이송 라인(100) 상에 이송되는 물품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켜 물품을 분류하는 복수 개의 물품 분류기(200) 및 상기 물품 이송 라인의 구동과 몰품 분류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종래에도 본 발명의 물품 분류 시스템과 유사하게 물품 이송 라인과 물품 분류기를 구비한 물품 분류 시스템이 있었으나, 종래의 물품 분류 시스템은 분류해야 하는 물품의 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택배 터미널 내에 수평적으로 배치되는 컨베이어 벨트(10)의 숫자를 늘려 한번에 더 많은 양의 물품을 분류하고자 하였으나, 택배 터미널 내의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택배 터미널 내에 배치할 수 있는 컨베이어 벨트 수에 제약이 있었다.
다만, 본 발명의 물품 분류 시스템은 종래와 달리 N개의 컨베이어 밸트(110)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N개의 컨베이어 벨트 (110) 상에는 복수 개의 수직 프레임(120)이 배치되어, 상기 N개의 컨베이어 벨트(110) 상에 M개의 컨베이어 벨트(110)가 적층될 수 있다(이 때, N과 M은 자연수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의 물품 분류시스템은 M단 N열 구조의 컨베이어 벨트(110)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동일한 공간 내에 더 많은 수의 컨베이어 벨트(110)를 배치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동일 시간 동일 공간 대비 더 많은 양의 물품을 분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종래의 물품 분류 시스템과 차별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는 3개의 컨베이어 벨트(110)가 배치되고,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3개의 컨베이어 벨트(110) 상에는 하나의 컨베이어 벨트(110)가 각각 적층되어, 물품 이송 라인(100)이 2단 3열의 컨베이어 벨트(110)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컨베이어 벨트(110)의 배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물품 이송 라인(100)이 3단 2열의 컨베이어 벨트(110)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고, 더 많은 컨베이어 벨트(110)가 배치된 3단 4열의 컨베이어 벨트(110) 구조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 내지 도 3 및 후술할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물품 분류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물품 이송 라인(100)은 복수 개의 컨베이어 벨트(110)를 외에도 복수 개의 컨베이어 벨트(110) 상으로 물품을 공급하는 복수 개의 물품 공급 라인(340) 및 복수 개의 컨베이어 벨트(110) 상에서 분기된 복수 개의 슈트(Chute, 13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물품 공급 라인(340)은 하차 물품 분류부(300)에서 1차적으로 분류된 택배 물품들을 최종적으로 분류하기 위해 택배 물품을 물품 이송 라인(100)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과정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살펴본다.
이 때, 도 4는 택배 트럭에서 하차된 물품이 일차적으로 분류되어 물품 이송 라인으로 투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택배 트럭에서 하차된 물품은 하차 컨베이어 벨트(310)를 따라 이송되며, 하차 컨베이어 벨트(310) 상에는 센서 또는 스캐너와 같은 물품 감지부(320)가 배치되어, 하차 컨베이어 벨트(310) 상에 이송되는 물품의 크기(가로 길이, 세로 길이, 높이), 부피, 물품 분류 코드, 배송 목적지, 담당 배송 기사 등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하차 컨베이어 벨트(310) 상에는 휠 소터 또는 도면 상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트레이, 크로스 벨트 등과 같은 물품 분류기(330)가 배치되어, 하차 컨베이어 벨트(310) 상에 이송되는 물품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일 예시로 상기 휠 소터와 같은 물품 분류기(330)는 상기 물품 감지부(320)에서 감지된 하차 컨베이어 밸트(310) 상에서 이송되는 물품의 크기를 토대로 ⅰ) 중형 또는 소형 물품의 경우 가운데 위치한 물품 공급 라인(340)으로 분류할 수 있고, ⅱ) 대형 물품의 경우 우측에 위치한 물품 공급 라인(340)으로 분류할 수도 있으며, ⅲ) 이형 물품(물품이 상자로 포장되지 않고 비닐 포장되었거나, 포장된 물품의 형상이 일반적인 상자 형상과 상이한 물품을 의미함.)의 경우에는 좌측에 위치한 물품 공급 라인(340)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이 하차 컨베이어 벨트(310) 상에 이송되는 물품의 크기를 토대로 물품 공급 라인(340)에 공급되는 물품을 분류하는 것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실시예에 따라 하차 컨베이어 벨트(310) 상에 물품이 투입되는 시간을 토대로 물품을 각기 다른 물품 공급 라인(340)으로 공급할 수도 있고, 물품 분류 코드를 토대로 물품을 각기 다른 물품 공급 라인(340)으로 공급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물품 공급 라인(340)으로 투입된 물품들은 상기 물품 공급 라인(340)을 통해 물품 분류 시스템의 물품 이송 라인(100), 구체적으로는 컨베이어 벨트(110)으로 공급되고, 공급된 물품들은 물품 이송 라인(100) 상에서 이송되다가 물품 분류기(200)에 의해 슈트(130) 방향으로 분류된다.
다만, 물품이 컨베이어 벨트(110) 상에서 슈트(130)로 분류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복수 개의 컨베이어 벨트에서 분기된 슈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물품 이송 라인 상에 이송되는 물품을 휠 소터로 분류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물품 이송 라인 상에 이송되는 물품을 크로스벨트 소터로 분류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물품 이송 라인(100)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컨베이어 벨트(110)에는 각각의 컨베이어 벨트(110)에서 분기되는 복수 개의 슈트(130)가 형성되며, 컨베이어 벨트(110)에서 상기 슈트(130)로 분류된 물품들은 상차 과정을 거쳐 택배 트럭에 실려 수취인에게 전달되게 된다.
이 때, 상기 복수 개의 슈트(130)는 도 5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슈트 또는 도 5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이럴 슈트로 구성되어, 상기 슈트(130)를 통해 물품들이 특정한 장소로 모이게 되며, 상기 물품들은 해당 장소에 배치된 택배 트럭에 상차되어 최종적으로 수취인에게 배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슈트(130)가 스파이럴 슈트 또는 슬라이딩 슈트로 구성된 것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택배 터미널 내의 환경에 따라 다른 종류의 슈트를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 때, 물품 상차 과정을 단순화시키기 위해서는 택배 물품마다 목적지 별 또는 담당 택배 기사 등을 토대로 슈트(130)를 배정하여,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택배 물품들은 배정된(기 설정된) 슈트(130) 방향으로 분류되도록 해야 하는데, 이와 같이 물품을 슈트(130)로 분류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복수 개의 컨베이어 벨트(110) 상에 배치된 물품 분류기(200)이다.
특히, 본 발명의 물품 분류 시스템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품 이송 라인(100)이 수평 방향으로 N개의 컨베이어 벨트(110)가 배치되고, 상기 N개의 컨베이어 벨트(110) 상에 M개의 컨베이어 벨트(110)가 적층되는 구조를 갖추게 됨에 따라, 상기 물품 분류기(200)도 상기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N개의 컨베이어 벨트(110)와 상기 N개의 컨베이어 벨트(110) 상에 적층된 M개의 컨베이어 벨트(110)에 각각 배치되어, 각각의 컨베이어 벨트(110) 상에서 이송되는 물품들을 기 설정된 슈트(130) 방향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는 하차된 물품이 상기 물품 이송 라인(100) 상에 투입되기 전, 하차 물품 분류부(300)의 물품 감지부(320)에서 파악된(도 4 참조) 물품의 크기, 물품의 무게, 물품 분류 코드, 배송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토대로 물품 분류기의 구동을 제어하여 컨베이어 벨트(110) 상의 물품들이 기 설정된 슈트(130) 방향으로 분류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도 6과 도 7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물품 분류기(200)의 제어 과정에 대해 살펴 본다.
본 발명의 물품 분류기(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휠 소터(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휠 소터(210)는 복수 개의 방향 전환 롤러로 구성되어, 방향 전환 롤러가 배치되는 방향에 따라 휠 소터(210) 내로 투입되는 물품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는데, 제어부는 방향 전환 롤러의 구동 방향 즉, 방향 전환 롤러가 배치되는 방향을 제어하여, 컨베이어 벨트(110) 상의 물품을 기 설정된 슈트(130)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물품을 컨베이어 벨트(110)의 좌측 방향으로 분기된 슈트(130)로 분류하기 위해 방향 전환 롤러의 좌측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제어하고, 좌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110) 상의 물품을 좌측 슈트(!30)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물품 분류기(200)는 도 7에 도시돤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크로스벨트 소터(2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크로스벨트 소터(220)는 컨베이어 벨트(110)를 따라 이동하는 복수 개의 크로스 벨트(222)와 컨베이어 벨트(110) 상의 물품을 상기 크로스벨트(220)로 투입시키는 물품 투입부(221) 및 상기 복수 개의 크로스벨트(222) 내지 물품 투입부(221)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하며, 크로스벨트(222)의 회전 구동을 통해 크로스벨트(222) 상단에 위치한 물품을 기 설정된 슈트(130) 방향으로 분류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구동부를 통해 크로스벨트(222)의 구동 여부, 구동 방향 내지 물품 투입부(221)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여, 컨베이어 벨트(110) 상의 물품들을 기 설정된 슈트(130) 방향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로스벨트(222) 상에 투입된 물품이 제2 슈트(130)로 분류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크로스벨트(222)가 제1 슈트와 인접한 위치까지 이동하였을 때에는 크로스벨트를 구동시키지 않아 크로스벨트(222) 상의 물품이 제1 슈트로 분류되지 않도록 하고, 크로스벨트(222)가 제2 슈트(130)와 인접한 위치까지 이동하였을 때에는 크로스벨트(222)를 구동시켜 크로스벨트(222) 상의 물품이 제2 슈트(130)로 분류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물품 하차 분류부(300)에서 1차적으로 이형 물품 내지 초소형 물품으로 분류된 물품들은 물품 공급 라인(340)을 통해 크로스벨트 소터(220)가 배치된 컨베이어 벨트(110)로 공급되도록 제어하여, 물품이 오 분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이형 물품 또는 초소형 물품이 휠 소터(210)가 배치된 컨베이어 벨트(110)로 투입되더라도 무관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물품 분류기(200)는 도면 상에 별도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레이를 포함하여, 트레이의 구동을 제어하여 컨베이어 벨트(110) 상의 물품을 기 설정된 슈트(130) 방향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물품 분류 시스템은 M단 N열의 컨베이어 벨트 구조로 구성된 물품 이송 라인을 구비하여 동일한 택배 터미널 공간 내에서 보다 많은 양의 택배 물품들을 한 번에 분류할 수 있어 택배 터미널의 물품 Capacity를 늘릴 수 있고, 컨베이어 벨트 상에 휠 소터, 크로스벨트 소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물품 분류기를 배치함으로써, 물품의 크기, 부피, 물품 분류 코드 등을 고려하여 물품을 분류할 수 있으므로, 물품 분류의 효율성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110 : 컨베이어 벨트
100 : 물품 이송 라인
120 : 수직 프레임
130 : 슈트
200, 330 : 물품 분류기
210 : 휠 소터
220 : 크로스벨트 소터
221 : 물품 투입부
222 : 크로스벨트
300 : 하차 물품 분류부
310 : 하차 컨베이어 벨트
320 : 물품 감지부
340 : 물품 공급 라인

Claims (12)

  1. 복수 개의 컨베이어 벨트로 구성된 물품 이송 라인;
    상기 물품 이송 라인 상의 물품을 분류하는 복수 개의 물품 분류기; 및
    상기 물품 분류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물품 이송 라인은,
    수평 방향으로 N개의 컨베이어 벨트가 배치되고,
    상기 N개의 컨베이어 벨트 상에 적층되는 M개의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물품 분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이송 라인은,
    상기 복수 개의 컨베이어 벨트에서 분기되는 복수 개의 슈트;
    를 더 포함하는 물품 분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이송 라인은,
    상기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N개의 컨베이어 벨트 상에 적층되는 M개의 컨베이어 벨트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수직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물품 분류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물품 분류기는,
    상기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N개의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N개의 컨베이어 벨트 상에 적층된 M개의 컨베이어 벨트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분류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분류기는,
    상기 물품 이송 라인 상의 물품을 슈트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분류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물품이 상기 물품 이송 라인 상에 투입되기 전에 파악된 물품의 크기, 물품의 무게, 물품 분류 코드, 배송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토대로 상기 물품 분류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분류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분류기는,
    복수 개의 방향 전환 롤러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휠 소터;를 포함하는 물품 분류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향 전환 롤러의 구동 방향을 제어하여, 컨베이어 벨트 상의 물품을 기 설정된 슈트로 분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분류 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분류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크로스벨트 소터;를 포함하는 물품 분류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벨트 소터는,
    복수 개의 크로스벨트; 및
    상기 복수 개의 크로스벨트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물품 분류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벨트 소터는,
    컨베이어 벨트에서 크로스벨트로 물품을 투입시키는 물품 투입부;를 더 포함하는 물품 분류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크로스벨트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여, 컨베이어 벨트 상의 물품을 기 설정된 슈트로 분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분류 시스템.
KR1020180102508A 2018-08-30 2018-08-30 물품 분류 시스템 KR202000253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508A KR20200025317A (ko) 2018-08-30 2018-08-30 물품 분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508A KR20200025317A (ko) 2018-08-30 2018-08-30 물품 분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317A true KR20200025317A (ko) 2020-03-10

Family

ID=69801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508A KR20200025317A (ko) 2018-08-30 2018-08-30 물품 분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531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497A (ko) 2020-11-10 2022-05-17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소터간 화물 이전 적재 시스템
KR20230018167A (ko) * 2021-07-29 2023-02-07 씨제이대한통운 (주) 소터를 포함하는 물류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물류 처리 방법
KR20230073554A (ko) 2021-11-19 2023-05-26 주식회사 보우시스템 택배 물류 상하차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4496A (ko) 2012-12-26 2014-07-07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물품 분류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4496A (ko) 2012-12-26 2014-07-07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물품 분류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497A (ko) 2020-11-10 2022-05-17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소터간 화물 이전 적재 시스템
KR20230018167A (ko) * 2021-07-29 2023-02-07 씨제이대한통운 (주) 소터를 포함하는 물류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물류 처리 방법
KR20230073554A (ko) 2021-11-19 2023-05-26 주식회사 보우시스템 택배 물류 상하차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3897B2 (en) Off-loading, typing and item separation system
CN110997529B (zh) 物品分类和分拣系统
US10906746B2 (en) Article typing and sorting system
US10226795B2 (en) Vision based item typing and separation system
US10427884B2 (en) Vision based conveyor package density management system
CN102844251B (zh) 拣选设备和用于拣选包装件的方法
JP6333394B2 (ja) 固い小包および小さい小包の大きなバッグのためのシンギュレータコンベアシステム
KR101825853B1 (ko) 적층 가능한 저장 용기용 저장 장치
US10022752B1 (en) Package sorting module,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AU2015290093B2 (en) High rate bulk flow sortation
KR102155630B1 (ko) 초소형 물품 자동 분류 시스템
CN1671488A (zh) 单程排序组件
CN110899126A (zh) 用于对物体分类的分类设施及方法
KR20200025317A (ko) 물품 분류 시스템
CN112512706A (zh) 用于包裹的分拣设施以及用于包裹分拣的方法
US11524845B2 (en) Flat sorter over at least two levels
KR20200102577A (ko) 배송 단위 별 물품 자동 분류 시스템 및 자동 분류 방법
CN115362112B (zh) 对物品进行分类的方法和分类装置
KR102247934B1 (ko) 통합 물품 분류 시스템
JP2004528234A (ja) 果実等の物品をプリソートし、物品を容器に詰め込む装置
KR20200001160A (ko) 소형 물품 자동 분류 시스템
CN107098131B (zh) 供件装置
US20230032013A1 (en) System for sorting items to be sorted into target points, logically linked to their destination, in a matrix arrangement
US9731327B2 (en) Device for sorting objects
WO2021011833A1 (en) Range sensing conveyor package management system for measuring and controlling density of parcels on a convey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