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4392A - 리튬-공기 배터리용 수성 전해질 - Google Patents

리튬-공기 배터리용 수성 전해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4392A
KR20140074392A KR1020147012598A KR20147012598A KR20140074392A KR 20140074392 A KR20140074392 A KR 20140074392A KR 1020147012598 A KR1020147012598 A KR 1020147012598A KR 20147012598 A KR20147012598 A KR 20147012598A KR 20140074392 A KR20140074392 A KR 20140074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thium
air battery
hydroxide
additive
aqueous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2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2676B1 (ko
Inventor
필립 스티븐스
궤나엘 투쌍
플로리앙 모로
마리안느 샤테네
Original Assignee
엘렉트리씨트 드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렉트리씨트 드 프랑스 filed Critical 엘렉트리씨트 드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40074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2/00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2/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24Alkaline accumulators
    • H01M10/26Selection of materials as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2/00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2/04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composed of a half-cell of the fuel-cell type and of a half-cell of the primary-cell type
    • H01M12/06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composed of a half-cell of the fuel-cell type and of a half-cell of the primary-cell type with one metallic and one gaseous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2/00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2/08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composed of a half-cell of a fuel-cell type and a half-cell of the secondary-cel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7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02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14Alkaline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brid Cel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화학 장치, 특히 액체 전해질을 갖는 리튬-공기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서, 리튬 금속을 함유하는 음극부; 수산화리튬을 함유하는 수용액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양극을 포함하는 양극부; 및 기체 및 액체 수밀한 방식으로 양극부로부터 음극부를 분리하는 고체 전극을 포함하고, 수산화리튬을 함유하는 수용액은 리튬 이온의 용해도를 감소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튬-공기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저장 및 방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리튬-공기 배터리용 수성 전해질 {AQUEOUS ELECTROLYTE FOR LITHIUM-AIR BATTERY}
본 발명은 전기화학장치, 특히 수성 전해질을 갖는 리튬-공기형 배터리에 관한 것이고,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리튬-공기 배터리를 사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방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의 단위 질량당 에너지 밀도 (Wh/kg로 표현)는 여전히 휴대용 전자 기기 또는 전기 차량과 같은 휴대용 장치에서 배터리의 사용을 제한하는 주된 요인이다. 이들 배터리의 제한된 에너지 밀도는 주로 이들의 제조에 사용되는 재질의 성능에 기인한다. 현재 일반적으로 상용 중인 가장 뛰어난 음극 재료는 300 내지 350 Ah/kg의 비용량 (specific capacity)을 갖는다. 양극 재료에 대한 비용량은 약 100 내지 150 Ah/kg에 불과하다.
리튬-공기 시스템의 장점은 양극이 무한대의 용량을 갖는다는 점이다. 양극에서 소비되는 산소는 전극에 저장될 필요가 없으며, 주변 공기로부터 얻을 수 있다.
공기 전극은 최적 작동을 위해 염기성 또는 산성의 수성 매체를 필요로 한다. 불행하게도 음극에 대해 사용되는 리튬 금속은 물과 지나치게 강하게 반응하며, 물이 전압을 지나치게 강하시켜 리튬 금속의 형성을 방해하기 때문에 충전 중에 물의 존재 하에서는 형성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리튬 금속으로 형성되는 음극실 (negative-electrode compartment)과 수성 전해질을 함유하는 양극실 (positive-electrode compartment) 간에는 수밀한 물리적 배터리가 필요하다. 이 수밀한 물리적 배터리는 그럼에도 금속 양이온이 수성 전해질로부터 음극으로, 그리고 반대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이 요건을 만족시키는 세라믹 재료로서 "Li 수퍼 이온 전도체 (LISICON)"가 알려져 있다. 이 재료는 유리하게도 25℃에서 10-4 또는 심지어 10-3 S/cm 까지의 높은 도전성을 갖고, 양극실 (공기 전극)의 수성 전해질에 대해 양호한 화학적 안정성을 갖는다. 그러나, 이들은 음극실에서 리튬 금속과 매우 강하게 반응하여 이들을 보호 코팅, 예컨대 리튬 인 옥시나이트라이드 (LiPON) 유리를 사용하여 리튬 금속으로부터 알려진 방법으로 분리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1차, 즉 충전가능하지 않은 리튬-공기 배터리를 개발하기 위한 첫번째 작업은 1970년대에 있었다 (US 4 057 675). 이들 배터리들은 높은 자가방전과 부식 (리튬과 물의 반응)으로 인한 짧은 수명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럼에도 여섯 개의 모듈로 구성되고 약 1.2 kW의 전력을 전달하는 배터리가 고안되었다 (W. R. Momyer et al. (1980), Proc . 15 th Intersoc . Energy Convers . Eng . Conf., page 1480). 리튬염을 함유하는 폴리머 전해질을 사용하는, 수성 상을 갖지 않는 재충전가능한 Li/O2 배터리 역시 생산되었다 (K. M. Abraham et al. (1996), J. Electrochem . Soc . 143(1), pages 1-5). 이 전지에서는 다공성 탄소계 양극을 사용함으로써 산소 환원에 있어서는 뛰어난 결과를 얻어지만, 이 전극은 충전 중에 산화에 적용되지 못했다. 3회만이 사용가능했고, 출원인이 아는 바로는 이 작업은 두 개의 문헌으로 보완되었다: Ogasawara et al.,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2006) 125(4) 1393 and Kumar et al., Journal of the Electrochemical Society (2010) 157 (1): A50-54.
리튬-공기 배터리의 방전 중에, 산소는 양극부에서 환원되고 (O2 + 4 e- + 2 H2O -> 4OH-), 알칼리 금속은 음극에서 산화되며 (4 Li -> 4 Li+ + 4 e-), 따라서 형성된 알칼리 금속 이온은 그들의 농도가 용해 한도에 도달할 경우 침전가능한 양극부로 이동하여 수산화리튬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수산화리튬의 농도는 배터리의 방전 중에 수성 전해질 내에서 증가하고, 배터리의 충전 중에 알칼리 이온이 이들이 환원되는 음극부로 이동할 때 감소되고, 하이드록실 이온은 음극에서 산화된다.
따라서 배터리의 비용량은 음극의 용량과 산소 환원의 생성물, 즉 배터리 방전 중에 양극부에서 형성된 수산화리튬을 저장할 수 있는 배터리의 용량에만 의존한다.
배터리가 가능한 최고의 비용량을 갖기 위해서는 수성 전해질의 부피를 크게 제한하고 가능한 한 가장 농축된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수성 전해질 중에 리튬 이온의 존재가 배터리의 재충전 중에 산소 방출의 효과를 차단한다는 것을 알게 제시하였다. 이 차단 효과는 과거에도 이미 관찰되었지만 이는 매우 다른 맥락이다: 리튬은 니켈 배터리의 수성 전해질에서 이 반응이 니켈 전극의 반응과 경쟁할 경우 산소 방출을 방지하기 위한 첨가제로서 사용되어 왔다 (Constantin et al, "The influence of some additives on the electrochemical behaviour of sintered nickel electrodes in alkaline electrolyte" Journal of Power Sources, 74 (1998), 188-197). 이와는 반대로, 본 발명의 맥락에서는, 그리고 특히 리튬-공기 배터리의 맥락에서는, 리튬 이온의 차단 효과는 재충전 중에 배터리 단말을 통해 부가적인 과전압의 사용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유해하다. 따라서 배터리의 에너지 효율, 즉 (방전 시 배터리에서 흘러나가는 전기 에너지/배터리 재충전에 소비되는 전기에너지)의 비율은 감소된다.
그러므로 배터리의 전기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수성 전해질 내에서 리튬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관측으로부터, 배터리의 비용량과 배터리의 에너지 효율에서의 개선은 양립할 수 없는 두 가지 목표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자들은 비용량을 감소시키지 않고 수성 전해질을 사용하여 리튬-공기형 배터리의 에너지 효율을 개선시키는데 성공하였다.
본 발명은 리튬-공기 배터리로서,
- 리튬 금속을 함유하는 음극부;
- 수산화리튬을 함유하는 수용액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양극을 포함하는 양극부;
- 기체 및 액체 수밀한 방식으로 양극부로부터 음극부를 분리시키는 고체 전해질을 포함하고,
수산화리튬을 함유하는 수용액이 리튬 이온의 용해도를 감소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를 제공한다.
리튬 이온의 용해도를 감소시키는 첨가제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 문헌 US 4 684 584 및 US 5 427 873은 리튬-물 전지에 관한 것이지, 리튬-공기 배터리에 관한 것은 아니다. 이들 전지는 재충전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따라서 에너지 효율의 문제점은 발생하지 않는다. 더욱이, 이들 전지들은 공기 양극을 포함하지 ?는다.
화합물의 용해도는 이 화합물이 용매 내에서 용해될 수 있는 최대 농도를 나타낸다. 수용액 내에 존재하는 첨가제는 리튬 이온의 용해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고, 또한 리튬으로 포화된 수용액 내에서 Li+ 이온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물에서 수산화리튬의 용해도 한계는 20℃에서 5.2 mol/L이다 (D.R. Lide,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New York, 2005). 본 발명에 의한 첨가제의 존재는 수산화리튬의 이 용해도 한계를 유리하게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첨가제를 함유하는 수용액 내에서 수산화리튬의 용해도 한계는 바람직하게는 4 mol/L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3 mol/L 미만,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 mol/L 미만이다. 그러나 배터리가 재충전될 때 수산화리튬의 낮은 재용해 값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용해도 한계는 바람직하게는 1 mol/L 를 넘는 값을 유지해야 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첨가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에서 수산화리튬의 용해도 한계는 1 mol/L 내지 2 mol/L 의 범위 내 일 수 있다.
이 첨가제는 물에서 리튬의 용해도보다 높은 용해도를 갖고, 하이드록시드 이온과 염을 형성하는 공지된 화합물 중에서 당업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첨가물은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리튬 이온의 용해도를 감소시키는 첨가제는, 수산화칼륨과 수산화나트륨에 의해 형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첨가물은 수산화칼륨이다.
수용액 내에서 리튬 이온의 용해도를 감소시키는 첨가물의 농도는 이 첨가물의 특성의 함수로서, 수산화리튬의 용해도 한계를 상술한 값으로 감소시키도록 당업자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첨가물이 칼륨일 경우, 수산화리튬을 함유하는 수용액에서의 그 농도는 1 내지 10 mol/L 사이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 mol/L 내지 10 mol/L,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4 mol/L 내지 9 mol/L, 더욱 바람직하게는 7 mol/L 내지 8 mol/L 이다.
첨가제는 수용액에 어떤 형태로도 첨가될 수 있다. 특히, 첨가제는 수산화물 염의 형태로 첨가될 수 있다. 첨가제가 나트륨일 경우, 수용액에 수산화나트륨염으로 첨가될 수 있다. 첨가제가 칼륨일 경우, 수용액에 수산화칼륨 염의 형태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리튬-공기 배터리 내에서 액체 전해질을 구성하는 수용액 내에서 본 발명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가 존재할 경우 배터리의 충전 전압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점을 관측하였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첨가제의 존재는 배터리의 방전 중 방출되는 에너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리튬-공기 배터리의 에너지 효율이 개선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는 그러므로 리튬-공기 배터리의 에너지 효율을 개선시키기 위해 리튬 이온 용해도를 감소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것이고, 이 첨가제는 리튬-공기 배터리의 액체 전해질을 구성하는 수산화리튬을 함유하는 수용액 내에 함유된다.
또한, 리튬-공기 배터리 내에서 액체 전해질을 구성하는 수용액 내의 본 발명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의 존재는 배터리의 비용량에 대해 어떤 부정적인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사실, 수산화리튬의 농도가 포화 농도에 도달하고, 이를 초과하게 되면,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은 침전을 형성한다. 침전의 형성은 배터리가 재충전될 경우 침전물이 다시 용해되어 리튬 이온을 방출하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수산화리튬의 침전물은 리튬 이온 저장소를 구성한다.
그러나 과거에는 수성 전해질 내에서 수산화리튬의 침전물로 인해 고체 전해질막의 표면에서 수산화리튬의 밀도가 높은 결정막이 형성될 수 있다는 점이 관측되었다. 양이온을 전도하지 못하는 이 밀도가 높은 막의 존재는 고체 전해질막과 액체 전해질 사이의 계면에서 시스템의 양이온 저항의 매우 큰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유리하게도,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는 고체 전해질의 표면에서 수산화리튬의 밀도가 높은 결정성 막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갖는다.
고체 전해질 표면에서 수산화리튬의 농도가 높은 결정성 막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은 유기 양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 막일 수 있다. 그와 같은 유기 고분자 전해질은 예컨대 WO 2011 051597 출원에 기재되어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리튬-공기 배터리로서,
- 고체 전해질로서, 물에서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염기성 pH를 갖는 유기, 불용성 및 양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로 덮여 있는 알칼리 금속 양이온 전도성 세라믹 막과,
- 액체 전해질로서, 상기 유기 고분자와 접촉하는 리튬 이온의 용해도를 감소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더 함유하고, 수산화리튬을 함유하는 수용액의 수산화리튬 슈용액을 함유한다.
음극부는 리튬 이온을 형성할 수 있는 모든 전극, 에컨대 리튬 금속 전극, 합금 전극, 예컨대 리튬/실리콘 또는 리튬/주석, 또는 삽입 재료 전극, 예컨대 리튬/흑연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음극부는 이 종류의 전극의 높은 에너지 밀도로 인해 리튬 금속 전극을 포함한다.
공기 양극은 종래에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 전극은 액체 전해질과 접촉하는 큰 비표면적을 갖는 고체 다공성 구조를 갖는다. 공기 전극와 액체 전극 간의 계면은 전극의 활성 물질, 기체 산화물과 액체 전해질이 동시에 존재하는 "삼중 접촉" 계면으로 불린다.
공기 양극은 바람직하게는 전해질, 기체 산화물과 전극의 고체 활성 물질 간의 삼중 접촉이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원칙적으로, 당업계에서 통상 사용되는 모든 재료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특히 Neburchilov et al.에 의한 "A review on air cathodes for zinc-air fuel cells" Journal of Power Sources, 195 (2010), 1271-1291.에 설명되어 있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Cabot에 의해 판매되는 Vulcan® XC72과 같은 높은 표면적을 갖는 탄소 입자로 구성된 탄소 분말의 응집체로부터 얻어지는 전극을 포함한다. 탄소의 비표면적은 공기 전극에 포함되기 전에 CO2와 같은 기체와 접촉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탄소 입자의 비표면적이 높은 것이 유리하다. 실제로, 비표면적이 높아질수록 기하학적 전극 단위 면적 당의 전류 밀도가 높아진다. 다공성 전극은 바람직하게는 Dupont에 의해 판매되는 Teflon® FEP와 같은 소수성 불소 고분자인 결합제를 이용하여 탄소 입자의 응집에 의해 제조된다. 금속-공기 어큐뮬레이터용 공기 전극의 상세한 설명은 예를 들면 WO 2000/036677에서 찾아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기 양극은 적어도 하나의 산소 환원 촉매를 더 함유한다. 이 산소 환원 촉매는 바람직하게는 산화 망간과 산화 코발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공기 양극은 전극 재료와 액체 전해질을 구성하는 수용액 사이의 분리를 형성하는 양이온 교환 고분자 막을 더 포함한다. 예컨대 WO 2010/128242 출원에 기재된 막은 유리하게는 공기 양극이 전해질의 점진적 탄화로 인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공기 전극과 접촉하는 알칼리 전해질을 이용하여 리튬-공기 배터리를 재충전하는 것은 음극에서 Li+ 이온을 리튬 금속으로 환원시키고 (4 Li+ + 4 e- -> 4 Li), 양극에서 OH- 이온을 산화시켜 산소 물자와 물을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4 OH- -> O2 + 4 e- + 2H2O).
산소 방출 반응은 공기 전극 상에서 직접 수행될 수 있지만, 공기 전극은 기체 (공기 중의 산소)와 액체 (전해질)을 전기화학 반응으로 환원시키도록 설계되고 최적화되어 있다. 이로 인해, 이 전극은 바람직하게는 가능한 한 가장 큰 반응 표면적을 갖는 다공성이다. 이 구조는 매우 부서지기 쉽고 액체와 반응하여 기체를 생성하는 반응에 적합하지 않다. 더욱이, 알칼리 전해질 (산화 망간 또는 코발트계 화합물)에서 산소의 전기화학적 환원 반응을 개선하기 위해 공기 전극에서 사용되는 촉매는 산소 방출 반응에 필요한 양전위에서 안정하지 않다.
따라서 배터리 재충전 기간 동안만 사용되는 제2 양극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는 수산화리튬을 함유하는 수용액과 접촉하는 제2 산소 방출 양극을 포함한다. 제2 산소 방출 양극은 예컨대 강철,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스틸, 전형적으로는 316 L형 스틸로 만들어진 전극 또는 니켈 전극일 수 있다. 배터리에서, 이 전극은 전형적으로 그리드형 또는 다공판형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음극과 공기 전극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전극의 다공성 구조는 재충전 중에 음극과 공기 전극 사이의 액체 전해질의 성분이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양극을 구비한 배터리를 이용하는 구체예에 의하면, 제1 공기 양극은 배터리의 재충전 기간 동안에 분리된다. 그리고 나서 제2 산소 방출 양극 상에서 충전이 이루어진다. 배터리 방전 기간 중에, 제2 산소 방출 양극은 분리되고, 방전은 제1 공기 양극에서 이루어진다. 배터리는 전극들 간을 전환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고, 전환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수단들은 예컨대 FR 11 545356에 기재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의한 리튬-공기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저장 및 방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다음의 연속 단계를 포함한다:
(a) 음극부에 함유된 리튬 금속이 양극부의 수용액 내에서 수산화리튬의 형태로 산화되고 침전되는 충전 기간;
(b) 수산화리튬이 용해되어 음극부에서 환원되는 리튬 이온을 방출하는 재충전 기간.
본 발명은 다음의 비제한적이며, 설명을 위한 실시예와 첨부 도면에 의해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K+ 이온의 농도의 함수로서 용액에서 Li+ 이온의 포화 농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론 농도와 ICP-AES로 측정된 실제 농도);
도 2는 KxLiSat의 전해질 혼합물에서 K+ x 이온의 이론적 농도의 함수로서 비활성 강철 섬유 상에서, 33 mA.cm- 2 에서 측정된 산소 용출 반응 (OER) 전위를 나타낸다 (T = 25℃ ; 표면적 = 3.14 cm2 ; 작동 30분 후 수행된 측정) ;
도 3은 용액에서 Li+ 이온의 실제 농도의 함수로서 33 mA.cm-2에서 측정된 OER의 과전압을 나타낸다 (T = 25℃; 표면적 = 3.14 cm2 ; 이 값은 작동 30분 후에 얻어졌다).
실시예
액체 전해질의 제조
수산화리튬로 포화되고, 본 발명에 따른 첨가제 (여기서는 칼륨)을 1 M 내지 8 M의 농도로 함유하는 수용액을 다음 프로토콜에 따라 제조하였다.
용액 내에 이론적으로 함유되는 LiOH 분말과 KOH 분말의 정확한 질량이 혼합되었다. 이 혼합물을 조금씩 플라스크 내에 도입하고, 눈금선까지 가하였다. 이 용액을 자석 교반과 초음파로 혼합하였다. 화합물의 용해는 용액의 온도를 상승시키며, 이로 인해 T = 25 ℃의 실온으로 자연 냉각시켰다. 수위를 2번 가득 채우고, 용액을 다시 자석 교반기로 혼합하였다. 얻어진 용액/분말 혼합물을 여과하고 전해질의 수위를 가득 채웠다.
다양한 용액들을 KxLiSat로 칭하였다. 여기서, x 는 칼륨 이온의 용액 중의 이론 농도이고, K0LiSat 는 첨가제 없이 LiOH 로 포화된 용액을 나타낸다.
리튬 이온 용해도 감소에 대한 첨가제의 영향
제조된 전해질을 ICP-AES로 분석하였다. 이들은 K0LiSat 용액에 대해 1000배 희석되고, K8LiSat 혼합물에 대해 10,000배 희석되었다. ICP-AES (Inductively Coupled Plasma-Atomic Emission Spectrometry) 분석 방법의 상세한 내용은 Klaus G. Heumann에 의한 "Handbook of Elemental Speciation: Techniques and Methodology"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K+ 이온의 농도의 함수로서 용액의 Li+ 이온의 포화 농도를 나타낸다. 용액 중의 칼륨 이온의 대략 6 M 농도까지, 이론값은 실험값과 일치한다. 일단 K+ 이온의 농도가 이 값을 초과하며, Li+의 농도는 이론적으로 정의된 값에 대해 극심하게 저하된다.
이것은 칼륨의 부가가 수산화리튬로 포화된 수용액에서 리튬 이온의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전류가 부가된 316 L 스틸 패브릭에서 전해질의 변형의 영향이 관측되었다. 하기에 나타낸 값에서, 저항값 하강이 보상되었다.
산소 방출 반응 전위에 대한 첨가제의 영향
산소 방출 반응 전위는 316 L 스틸 패브릭에서 33  mA.cm- 2 에서 동작 30분 후에 측정되었다. 표면에서의 촉매층의 전개로 인한 변화에 따른 방해를 피하기 위해 매번 새로운 전극을 사용하였다.
도 2는 비활성 스틸 패브릭 상에서 33 mA.cm-2에서 측정된 산소 방출 반응 (
OER)의 전개를 전해질 혼합물 KxLiSat (T = 25℃ ; Sgeo = 3.14 cm2 ; 동작 30분 후 측정이 수행)에서 K+ x 이온의 이론 농도의 함수로서 나타낸다.
도 3은 33 mA.cm-2에서 OER의 과전압의 전개를 용액에서 Li+ 이온의 실제 농도의 함수로서 나타낸다. 반응의 표준 전위는 270 mV vs에서 수산화리튬로 포화된 수용액에서 측정되었다. [Hg/HgO - 1 M KOH] (T = 25℃ ; 표면적 = 3.14 cm2 ; 값은 작동 30분 후에 얻어졌다)
수성 전해질에서 본 발명에 의한 첨가제의 존재가 산소 방출 반응 중에 전극 말단에서 과전압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산소 방출 반응의 에너지 손실에 대한 첨가제의 영향
316L 스틸의 전해질 성능의 측정은 기하학적 표면적 0.19 cm2 (T = 25℃ ; vb = 0.1 mV s-1 ; Sgeo = 0.19 cm2)의 회전판 전극 (TDE) 상에서 준정적 모드에서 기록되었다.
전해질에서 첨가제의 사용은 전극 전류가 무엇이든 OER 전위의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이 관측되었다. 혼합물에서 첨가제의 농도가 더 높을 때 더 높은 차이가 나타나며, 또한 전극 전류가 높을 때도 더 높은 차이가 나타난다.
사용된 전해질 매체에 따른 316 L 스틸 전극의 다양한 동적 파라미터가 표 1에 요약된다.
Figure pct00001
과전압 ηo2 (KxLiSat)는 첨가제 없이 LiOH로 포화된 수용액 (K0LiSat의 ηo2 )에서 표준 전위 E°H20 / O2 에 대해 측정되었다. 표준 전위 E°H20 / O2 (첨가제 없이 LiOH로 포화된 수용액에서)는 270 mV vs. [Hg/HgO -1 M KOH]에서 측정되었다.
과전압의 감소는 다음 식으로 계산되었다.
값 = (K0LiSat의 ηo2 ) - (KxLiSat의 ηo2 )/KxLiSat의 ηo2
결론적으로, 수성 전해질에서 첨가제의 사용은 과전압을 유의하게 감소시키고, 따라서 수성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공기 배터리형의 전류 시스템에서 산소 방출 전극의 에너지 손실 역시 유의하게 감소시킨다.

Claims (10)

  1. 리튬-공기 배터리로서,
    -리튬 금속을 함유하는 음극부;
    - 수산화리튬을 함유하는 수용액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양극을 포함하는 양극부;
    - 기체 및 액체 수밀한 방식으로 양극부와 음극부를 분리하는 고체 전해질을 포함하며,
    수산화리튬을 함유하는 수용액이 리튬 이온의 용해도를 감소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공기 배터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를 함유하는 수용액 중의 수산화리튬의 용해도 한계는 4 mol/L 미만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3 mol/L 미만이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 mol/L 내지 2 mol/L 인 것인 리튬-공기 배터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이온의 용해도를 감소시키는 첨가제는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인 것인 리튬-공기 배터리.
  4. 제3항에 있어서, 리튬 이온의 용해도를 감소시키는 첨가제는 수산화칼륨과 수산화나트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수산화칼륨인 것인 리튬-공기 배터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고체 전해질의 표면에서 수산화리튬의 진한 결정층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것인 리튬-공기 배터리.
  6. 제5항에 있어서, 고체 전해질의 표면에서 수산화리튬의 밀도가 높은 결정층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은 유기 양이온 전도 고분자 전해질의 층인 것인 리튬-공기 배터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수산화리튬을 함유하는 수용액과 접촉하는, 산소 방출 양극을 더 포함하는 것인 리튬-공기 배터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양극은 전극 물질과 액체 전해질을 구성하는 수용액 사이에 분리를 형성하는 음이온 교환 고분자막을 더 포함하는 것인 리튬-공기 배터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리튬-공기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저장 및 방출하는 방법으로서,
    (a) 음극부에 함유된 리튬 금속이 양극부의 수용액 내에서 수산화리튬의 형태로 산화되고 침전되는 충전 구간과;
    (b) 수산화리튬이 음극의 레벨로 환원되는 자유 리튬 이온으로 용해되는 재충전 구간의 연속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0. 리튬-공기 배터리의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리튬 이온의 용해도를 감소시키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의 용도로서, 상기 첨가제는 리튬-공기 배터리의 액체 전해질을 구성하는 수산화리튬을 함유하는 수용액 내에 함유되는 것인 용도.
KR1020147012598A 2011-11-09 2012-11-08 리튬-공기 배터리용 수성 전해질 KR1016326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160224A FR2982427B1 (fr) 2011-11-09 2011-11-09 Electrolyte aqueux pour batterie lithium-air
FR1160224 2011-11-09
PCT/FR2012/052576 WO2013068694A1 (fr) 2011-11-09 2012-11-08 Electrolyte aqueux pour batterie lithium-ai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392A true KR20140074392A (ko) 2014-06-17
KR101632676B1 KR101632676B1 (ko) 2016-06-22

Family

ID=47291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2598A KR101632676B1 (ko) 2011-11-09 2012-11-08 리튬-공기 배터리용 수성 전해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461348B2 (ko)
EP (1) EP2777090B1 (ko)
JP (1) JP5851624B2 (ko)
KR (1) KR101632676B1 (ko)
CN (1) CN103931049B (ko)
CA (1) CA2854049C (ko)
ES (1) ES2569255T3 (ko)
FR (1) FR2982427B1 (ko)
SG (1) SG11201402072WA (ko)
WO (1) WO20130686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4338A1 (en) * 2015-04-06 2016-10-13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Alkaline battery electrolyte useful for a rechargeable alkaline electrochemical cell
CN107464952B (zh) * 2017-06-22 2019-07-30 苏州迪思伏新能源科技有限公司 基于n-甲基吩噻嗪添加剂的电解液及其制备的锂氧气电池
KR20230156536A (ko) * 2022-05-06 2023-11-1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수계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계 이차전지
US12012664B1 (en) 2023-03-16 2024-06-18 Lyten, Inc. Membrane-based alkali metal extraction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1597A1 (fr) * 2009-10-27 2011-05-05 Electricite De France Dispositif électrochimique à électrolyte solide conducteur d'ions alcalins et à électrolyte aqueux
WO2011070658A1 (ja) * 2009-12-09 2011-06-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
WO2011077532A1 (ja) * 2009-12-24 2011-06-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空気電池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31684A (en) 1955-07-15 1960-03-30 Armstrong Patents Co Ltd New or improved suspension means for motor cars
US4057675A (en) * 1974-02-19 1977-11-08 Lockheed Missiles & Space Company, Inc. Electrochemical cell
US4001043A (en) 1975-05-23 1977-01-04 Lockheed Missiles & Space Company, Inc. Anode moderator for reactive metal electrochemical cells
US4677040A (en) 1986-02-21 1987-06-30 Gould Inc. Power generation systems and methods
JPH0193076A (ja) * 1986-02-21 1989-04-12 Gould Inc 電力発生方法及び電力発生装置
US4684584A (en) * 1986-05-20 1987-08-04 Gould Inc. Electrochemical power generation with thermal electrolyte management
US5427873A (en) * 1990-09-14 1995-06-27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Lithium-water battery
AU1831600A (en) 1998-12-15 2000-07-03 Electric Fuel Limited An air electrode providing high current density for metal-air batteries
US20080070087A1 (en) * 2004-02-20 2008-03-20 Excellatron Solid State, Llc Non-volatile cathodes for lithium oxygen batteries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8568921B1 (en) * 2004-08-18 2013-10-29 Excellatron Solid State Llc Regenerative ion exchange fuel cell
US8012633B2 (en) * 2006-10-13 2011-09-06 Ceramatec, Inc. Advanced metal-air battery having a ceramic membrane electrolyte
US20100323249A1 (en) * 2008-02-18 2010-12-23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Air electrode
MX2010013888A (es) 2008-06-16 2011-05-03 Polyplus Battery Co Inc Celdas para baterias del litio/aire acuosas.
JP5354580B2 (ja) * 2009-01-28 2013-11-27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リチウム−空気電池
FR2945292B1 (fr) 2009-05-06 2011-05-27 Electricite De France Reseau interpenetre de polymeres echangeur d'anions,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son utilisation
JP5419084B2 (ja) 2009-10-05 2014-02-19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ニッケル−リチウム二次電池
FR2952714B1 (fr) 2009-11-16 2012-06-01 Aenergis Sas Dispositif autonome de mesure telereleve d'un taux de remplissage d'un conteneur
JP5299973B2 (ja) * 2009-12-25 2013-09-25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リチウム−空気電池
JP5422495B2 (ja) 2010-02-23 2014-02-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金属回収方法及び透析装置
JP5168318B2 (ja) * 2010-05-25 2013-03-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水系電解液電池及び水系電解液電池の製造方法
JP5749614B2 (ja) * 2011-09-24 2015-07-15 株式会社イムラ材料開発研究所 金属―空気電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1597A1 (fr) * 2009-10-27 2011-05-05 Electricite De France Dispositif électrochimique à électrolyte solide conducteur d'ions alcalins et à électrolyte aqueux
WO2011070658A1 (ja) * 2009-12-09 2011-06-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
WO2011077532A1 (ja) * 2009-12-24 2011-06-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空気電池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535145A (ja) 2014-12-25
EP2777090B1 (fr) 2016-02-10
ES2569255T3 (es) 2016-05-09
JP5851624B2 (ja) 2016-02-03
CN103931049B (zh) 2017-05-24
US9461348B2 (en) 2016-10-04
CA2854049A1 (fr) 2013-05-16
EP2777090A1 (fr) 2014-09-17
KR101632676B1 (ko) 2016-06-22
CA2854049C (fr) 2017-04-18
FR2982427B1 (fr) 2013-12-20
CN103931049A (zh) 2014-07-16
FR2982427A1 (fr) 2013-05-10
WO2013068694A1 (fr) 2013-05-16
SG11201402072WA (en) 2014-09-26
US20150140453A1 (en) 2015-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manishi et al. The lithium air battery: fundamentals
Zhang et al. A novel high energy density rechargeable lithium/air battery
Imanishi et al. Rechargeable lithium–air batteries: characteristics and prospects
EP2976800B1 (en) Lithium battery with composite solid electrolyte
CN105322250B (zh) 具有钠盐作为介质的锂空气蓄电池
DK2534719T3 (en) Rechargeable electrochemical cell
US10020506B2 (en) Active material for a cathode of a battery cell, cathode, and battery cell
He et al. Effects of aqueous electrolytes on the voltage behaviors of rechargeable Li-air batteries
US9525197B2 (en) Stable non-aqueous electrolyte promoting ideal reaction process in rechargeable lithium-air batteries
US10411286B2 (en) Alkali/oxidant battery
US20110285353A1 (en) Active material for non-aqueous-system secondary battery and non-aqueous-system secondary battery
KR101695913B1 (ko) 나트륨 이차 전지
US20220384855A1 (en) Dual electrolyte approach for high voltage batteries
KR101632676B1 (ko) 리튬-공기 배터리용 수성 전해질
CN110582868A (zh) 用于稳定的高温二次电池的系统和方法
EP2973838B1 (en) Low temperature secondary cell with sodium intercalation electrode
US20120235644A1 (en) Alkali metal ion battery using alkali metal conductive ceramic separator
Kumar et al. Introduction to electrochemical cells
JP5256649B2 (ja) 水系リチウム二次電池
WO2015079689A1 (en) High capacity alkali/oxidant battery
Min et al. Calcium zincate as an efficient reversible negative electrode material for rechargeable zinc–air batteries
KR20190009420A (ko) 알칼리 금속 전도성 세라믹 세퍼레이터를 사용하는 알칼리 금속 이온 배터리
US20150017567A1 (en)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 or energy conversion device comprising a galvanic cell having electrochemical half-cells containing a suspension or fullerene and ionic liquid
US20190280294A1 (en) Active material for a positive electrode of a battery cell, positive electrode, and battery cell
KR102213399B1 (ko) 배터리 전하 이동 메커니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