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3444A - 스팀 발생기 - Google Patents

스팀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3444A
KR20140073444A KR1020130150753A KR20130150753A KR20140073444A KR 20140073444 A KR20140073444 A KR 20140073444A KR 1020130150753 A KR1020130150753 A KR 1020130150753A KR 20130150753 A KR20130150753 A KR 20130150753A KR 20140073444 A KR20140073444 A KR 20140073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raw water
steam generator
heating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0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6393B1 (ko
Inventor
박진원
박상윤
김효성
박찬정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73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22B1/284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with water in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00Other 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2B3/04Other 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drop in pressure of high-pressure hot water within pressure- reducing chambers, e.g. in accu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5/00Control systems for steam bo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Control Of Steam Boilers And Waste-Gas Boiler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수조(200); 상기 수조(200)와 연결되어 물을 가열하는 히터부(300); 및 상기 히터부(300)와 연결된 분사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히터부(300)에 의해 가열된 원수는 상기 히터부(300) 내에서 고온고압 상태이며, 상기 고온고압 상태의 원수는 상기 분사부(500)에 의해 외측으로 분사되면서 감압에 의해 스팀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발생기(10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발생기는, 별도의 전기 인가 장치 없이도 스팀의 생성이 가능하며 오존의 발생이 없어 인체에 무해한 스팀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하우징 내에 배치된 가열 부재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원수를 직접 가열하여 1차적으로 상 변화한 증기를 다시 2차적으로 가열하여 증기 입자를 미립화하는 과정을 통해 풍부한 무화 스팀을 발생시키고 결과적으로 응결수 토출을 억제하고, 가열 부재와 공급 원수 간의 표면 과열도 또는 하우징 내에 형성된 과열 영역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급비등 및 이로 인한 하우징 내 증기 폭발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기포 분산 부재를 가열 부재에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증기의 급격한 팽창을 방지하며, 오존 제거 장치 및 전기 인가 장치 등이 필요치 않으므로 장치의 소형화 및 생산 비용이 절감되어, 가정에서도 스팀 발생기를 손쉽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팀 발생기{A steam generator}
본 발명은 감압 방식을 이용한 스팀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열된 원수에 계속해서 열을 가하여 고온고압 상태가 되게 하며, 가열 과정에서 과열영역이 발생함으로 인하여 야기되는 돌비와 같은 강한 스팀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원수를 이중으로 가열하는 과정을 통하여 안정적으로 원수의 무화를 진행시키고, 원수가 보다 낮은 압력 및 온도에 노출되는 경우 감압에 의해 스팀이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스팀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팀은 청소, 가습, 조리 및 미용관리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스팀을 피부로 분사함으로써 모공 속 노폐물 또는 노화된 각질 세포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스팀을 공급하는 장치는 피부과나 피부 관리실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미용 관리를 위해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스팀 발생기는 일반적으로 정전 무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정전 무화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스팀 발생기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위치하는 방전 전극 및 반대 전극을 포함한다. 스팀 발생기는 방전 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방전 전극 근처에 위치하는 액체를 무화(automization)시킨다. 상기 무화된 액체를 흔히들 스팀이라 하며, 이를 사용자에게 공급한다.
이와 같은 정전 무화 방식의 스팀 발생기는 별도의 전극을 필요로 하여 장치의 소형화에 한계가 있다.
또한, 고전압을 인가하여 물을 무화시키는 경우에 스팀 발생기에는 스팀 이외에 오존이 생성 및 토출된다. 오존의 농도가 높을 경우 인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다수의 연구를 통해 공지되어 있는바, 장치의 안전성 및 신뢰성이 문제가 되었다.
이러한 정전 무화 방식을 사용하는 스팀 발생기는 별도로 오존 농도를 저하
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밖에 없었으며, 이에 따라 장치의 크기가 대형화되고 생산비용이 증가하였다. 장치의 소비 전력 역시 많이 소모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원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게 되었으나 가열방식의 스팀 발생기는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를 가열하는 과정에서 불안정한 과열 영역이 발생하고 이러한 과열 영역은 발생은 하우징 내에 존재하는 원수를 상부로 밀어올리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 내부의 측벽을 따라 상승하는 원수는 고온으로 달궈진 측벽과 접촉하는 과정을 통해 순간적으로 기화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하우징 내부의 압력이 급격하게 상승하여 강한 스팀(돌비)을 하우징 외부로 방출하게 한다.
한편, 스팀 발생기를 구비한 스팀 오븐의 안정적인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문헌으로서,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08-0065134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문헌은 수위 변화를 안정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수위센서와 이를 갖는 스팀 발생기 및 그 스팀발생기를 갖는 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스팀 발생에 필요한 물을 저장하는 스팀용기에 하나의 전극봉을 가지는 수위센서를 설치하여 스케일 발생에 관계없이 수위변화를 안정적으로 감지하는 스팀 발생기에 관하여 제안하고 있다.
상기 문헌상에서는 스팀 발생기의 수위센서를 설치하여 안정적인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방안을 제안하나, 공급된 원수의 갑작스런 기화 및 압력 상승으로 인하여 야기되는 증기 폭발을 방지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기재하지 않고 있어, 상기한 장치의 안정성 및 신뢰성의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다고 할 것이다.
(특허문헌 1) JP 2011-67725 A
(특허문헌 2) KR 2008-0065134 A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감압원리를 이용하여 장치를 소형화하며 인체에 무해한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 발생기를 제공한다.
또한, 공급되는 원수의 가열 과정에서 과열영역이 발생함으로 인하여 야기되는 강한 스팀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원수 및 증기를 이중으로 가열하는 과정을 통해서 안정적으로 분무화를 진행하게 하는 스팀 발생기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발생기는 수조(200); 상기 수조(200)와 연결되어 물을 가열하는 히터부(300); 및 상기 히터부(300)와 연결된 분사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히터부(300)에 의해 가열된 원수는 상기 히터부(300) 내에서 고온고압 상태이며, 상기 고온고압 상태의 원수는 상기 분사부(500)에 의해 외측으로 분사되면서 감압에 의해 스팀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터부(300)는, 하부에 배치되는 원수 유입구(312) 및 상부에 배치되는 증기 배출구(313)를 포함하는 중공의 케이스(310); 및 상기 하우징(100) 내의 원수 및 증기에 대해 열을 공급하는 가열 부재(320);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 부재(320)는 상기 원수 유입구(312)를 통해 상기 하우징(100) 내로 진입하는 상기 원수에 대한 1차 가열 및 상기 1차 가열을 통해 상 변화된 증기에 대해 2차 가열을 통해 미립자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 부재(320)는, 상기 케이스(310) 내의 원수에 침지되는 수중 가열부(321); 및 상기 원수의 상부 측으로 상 변화하는 증기 상에 배치되는 기중 가열부(32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터부(300)는, 상기 수중 가열부(321)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기포 분산 부재(3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포 분산 부재(330)는 코일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터부(300)는, 상기 케이스(310)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센서(340); 및 상기 온도 감지 센서(340) 및 상기 수중 가열부(321) 사이에 배치되는 센서 차폐부(3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터부(300)는, 상기 수중 가열부(321)의 상부 측으로 상기 하우징(100)의 내벽을 따라 배치되는 격막(36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격막(360)은 하부로 갈수록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 감지 센서(340)는, 상기 케이스(310) 내부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상기 케이스(310) 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가열 부재(32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 감지 센서(340)는, 상기 케이스(310) 내의 측정 온도를 통하여 상기 케이스(310)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팀 발생기(1000)는, 상기 히터부(300)와 연결되는 정류조(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히터부(300) 내의 상기 고온고압 상태의 원수는 상기 정류조(400)에서 감압에 의해 스팀이 되며, 상기 스팀은 상기 분사부(500)에 의해 외측으로 분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팀 발생기(1000)는, 상기 분사부(5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분사부(500)에서 토출되는 스팀의 방향을 변환시키는 방향 전환부(5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전기 인가 장치 없이도 스팀의 생성이 가능하며 오존의 발생이 없어 인체에 무해한 스팀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하우징 내에 배치된 가열 부재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원수를 직접 가열하여 1차적으로 상 변화한 증기를 다시 2차적으로 가열하여 증기 입자를 미립화하는 과정을 통해 풍부한 무화 스팀을 발생시키고 결과적으로 응결수 토출을 억제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 부재와 공급 원수 간의 표면 과열도 또는 하우징 내에 형성된 과열 영역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급비등 및 이로 인한 하우징 내 증기 폭발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기포 분산 부재를 가열 부재에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증기의 급격한 팽창을 방지한다.
뿐만 아니라, 오존 제거 장치 및 전기 인가 장치 등이 필요치 않으므로 장치의 소형화 및 생산 비용이 절감되어, 가정에서도 스팀 발생기를 손쉽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기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히터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을 C 방향에서 바라본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물의 상 평형도이다.
본 발명인 스팀 발생기(1000)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발생기(1000)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1. 스팀 발생기(1000)의 구성요소의 설명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기(1000)의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스팀 발생기(10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수조(200), 히터부(300), 정류조(400), 분사부(500) 등을 포함하며, 스팀을 공급한다. 스팀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사용자의 미용 관리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스팀 발생기(1000)의 외측 케이스(310)로서 하우징(100) 내측에는 스팀 발생기(1000)의 구성요소가 위치한다.
수조(200)는 하우징(100) 내측에 위치하며 사용자가 공급하는 물을 저장한다. 사용자는 직접 수조(2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별도의 탱크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발생기(1000)의 주요 구성요소 중 하나인 히터부(300)에 대하여 상술한다.
히터부(300)는 중공의 케이스(310), 케이스(310) 내의 원수 및 증기에 대해 열을 공급하는 가열 부재(320), 케이스(310)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센서(340), 가열 부재(320)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기포 분산 부재(330), 온도 감지 센서(340)와 가열 부재(320) 사이에 배치되는 센서 차폐부(350), 케이스(310)의 내벽을 따라 하부로 갈수록 케이스(310)의 내부 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격막(360)을 포함한다. 케이스(310)는 그 하부에 배치되는 원수 유입구(312) 및 그 상부에 배치되는 증기 배출구(313)를 포함한다.
가열 부재(320)는 케이스(310) 내의 원수에 침지되는 수중 가열부(321) 및 원수의 상부에서 상 변화하는 증기 상에 배치되는 기중 가열부(322)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 부재(320)는 일례로서 케이스(310) 외부의 열 공급원(미도시)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기적인 방식을 통해 열을 발생하는 부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 부재(320)는 형상에 제한이 없으나, 발명의 일례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형 가열 부재(32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가열 부재(320) 중 기중 가열부(322)는 케이스(310) 내부에서 원수의 상부 공간에 배치된다. 기중 가열부(322)는 원수로부터 증발된 스팀에 대해 다시 열을 제공하는 과정을 통해 스팀 입자를 더욱 조밀하게 조절한다.
즉, 가열 부재(320)는 원수 유입구(312)를 통해 수조(200)로부터 케이스(310) 내로 진입하는 원수에 대한 1차 가열 및 상기 1차 가열을 통해 상 변화된 증기에 대해 미립자화 하는 2차 가열을 행한다.
가열 부재(320) 중 수중 가열부(321)는 원수에 직접 접촉하여 열을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특히 기포 분산 부재(330)가 직접 상기 수중 가열부(321)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일례로서, 기포 분산 부재(330)는 코일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중 가열부(321)에 권취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수중 가열부(321)에 결합된 기포 분산 부재(330)는 수중 가열부(321)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원수에서 발생하는 기포를 분산하게 한다. 즉, 원수의 끓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포는 상기 기포 분산 부재(330)에 의해 그 크기가 작게 조절된다.
온도 감지 센서(340)는 케이스(310) 내에서 수중 가열부(321) 및 기중 가열부(322)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온도 감지 센서(340)에 의해 케이스(310) 내부의 온도가 실시간으로 측정되고 상기 측정 온도를 통해 원수의 수위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케이스(310) 내에 원수가 기준 이하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는 측정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값을 초과한 상태이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가열 부재(320)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작동을 중지할 수 있다.
즉, 온도 감지 센서(340)는 원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기능과 실시간 측정 온도를 통하여 너무 높은 온도에 도달할 경우 스팀 발생을 중단시키는 안전장치로서의 기능, 이 두가지 역할을 수행한다.
센서 차폐부(350)는 온도 감지 센서(340) 및 수중 가열부(321) 사이에 배치된다. 케이스(310) 내에 유입된 원수의 가열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포가 갑작스럽게 온도 감지 센서(340)로 향함으로써 온도 측정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센서 차폐부(350)는 수중 가열부(321)의 상부를 차폐하는 방식으로 이를 미연에 방지한다.
격막(360)은 수중 가열부(321)의 상부 측으로 케이스(310)의 내벽을 따라 배치되고, 구체적으로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케이스(310)의 내부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격막(360)의 배치는 가열 부재(320)에 의해 케이스(310) 내에서 형성된 과열 영역에 의해 발생하는 급 비등으로 인해서 케이스(310)의 내벽을 따라 상승하는 갑작스런 증기 유동 흐름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히터부(300)는 케이스(310) 내에 배치되는 내부 프레임(311)을 더 포함하고, 케이스(310) 및 내부 프레임(311) 사이에는 별도의 단열 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내부 프레임(311)은 케이스(310)의 내벽에 고정되고, 격막(360) 및 원수 유입구(312)가 고정된다.
상기 단열 부재는 케이스(310) 내의 가열된 증기로부터 외부로 열전달을 최소화하게 하고, 이를 통해 가열 부재(320)의 열효율을 극대화한다.
정류조(400)는 히터부(300)와 연결되며, 히터부(300)에서 가열된 고온고압 상태의 원수가 증기 배출구(313)로 배출되어 연결 유로를 따라 정류조(400)로 유입된다. 고온고압 상태의 가열된 물은 정류조(400)로 유입되면서 낮아진 주위 기압 및 온도에 의해 스팀으로 변환된다. 이는 후술할 동작의 설명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정류조(400)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생략 가능하며, 이 경우 히터부(300)는 분사부(500)와 연결된다.
분사부(500)는 발생된 스팀을 스팀 발생기(1000)의 외측으로 분사하며, 이를 위해 어떠한 방식도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스팀을 효과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분사부(500)는 하우징(100) 외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명의 일례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분사부(500)는 공급 호스(152)와 연결되어 스팀을 공급받으며, 분사부(500)의 일측에 구비되는 방향 전환부(520)의 조작을 통해 스팀이 토출되는 방향을 변환할 수 있다.
2. 스팀 발생기(1000)의 동작설명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발생기(10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는 수조(200)에 물을 채워넣거나, 일례로써 별도의 탱크를 통해 스팀 발생기(1000)에 원수를 공급할 수 있다.이와 같이 공급된 원수는 수조(200)와 연결된 유로를 통해 원수 유입구(312)로 히터부(300)에 유입된다.
그리고, 온도 감지 센서(340)를 통해 케이스(310) 내부의 원수 공급 상태를 체크한다.
이때, 히터부(300)에 유입되는 원수의 양은 히터부(300)가 가하는 열을 얼마나 흡수하는 지와 관련되어 있다. 이는 히터부(300)에 유입된 원수가 고온고압 상태로 변하는 중요 변수 중 하나이다. 따라서, 히터부(300)는 적절한 소정의 원수가 유입되어 이를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히터부(300)가 포함하는 가열 부재(320)는 발명의 일례로써 ㄷ자형일 수 있다.
이 경우, 원수는 ㄷ자형 가열 부재(320)의 하측에만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상세하게 원수는 ㄷ자형 가열부재 하측의 일부만을 채운다.
즉, 하측의 수중 가열부(321) 만이 원수에 침지되도록 유입되는 원수의 양이 조절된다. 도 5 및 도 4를 참조할 때 원수의 기준 수위는 일례로서 온도 감지 센서(340)의 하단부에 설정되는 a 선을 기준 수위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케이스(310) 내의 원수 수위가 기준 상태에 이른 경우에는 가열 부재(320)에 전력을 공급하여 수중 가열부(321)를 통한 1차 가열을 행한다. 유입된 원수가 100℃를 넘어서는 경우에도 계속해서 가열하며, 이때 상기 원수는 고온고압 상태가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유입된 원수는 상태 A에서 상태 B가 되며 이와 같이 고온고압 상태의 원수는 ㄷ자형 히터의 상측, 즉 기중 가열부(322) 측을 채운다.
다음, 기중 가열부(322)에서 2차 가열이 행해지며, 이 때 1차 가열을 통해 가열된 고온고압의 원수에 대해 미립자화 현상이 발생된다.
상기 가열 부재(320)를 통한 가열 과정에서 센서 차폐부(350)는 온도 감지 센서(340)의 정확한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과 동시에 격막(360)은 갑작스런 원수 온도 상승에 의해 발생하는 강한 스팀인 돌비 현상을 방지한다.
다음, 히터부(300) 내에 저장된 상기 고온고압 상태의 원수는 증기 배출구(313)로 유출되어 연결 유로를 통해 정류조(400)로 유동한다. 상기 원수가 정류조(400)로 유입되는 경우, 정류조(400)의 온도 및 압력은 히터부(300) 내의 온도 및 압력에 비해 현저히 낮으므로 상기 원수는 감압에 의해 스팀을 생성한다. 도 7을 참조하면 고온고압 상태의 원수(도 7의 상태 B)가 정류조(400)로 유입됨에 따라 기화(도 7의 상태 C)되며, 스팀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스팀은 정류조(400)와 연결된 공급 유로를 유동하여 분사부(500)를 통해 스팀 발생기(1000)의 외측으로 토출된다. 이와 같이 토출되는 스팀은 방향 전환부의 조절을 통해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 또는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정류조(400) 없이 히터부(300) 내의 상기 고온고압 상태의 원수가 분사구로 유동할 수 있다. 분사구로 유동하여 토출되는 상기 원수는 대기압에 노출되면서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스팀을 생성한다. 장치의 사용을 종료한 후에는 수조(200)나 분사구와 연결된 드레인밸브(600)를 통해 잔류하는 원수를 토출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밸브 버튼(610)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감압 방식을 이용하는 스팀 발생기(1000)는 별도의 전극이나 오존 저하 장치 등을 요하지 않으므로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인체에 무해한 스팀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유체 직접 가열 방식을 통해 입수된 원수로부터 1차적으로 상 변화한 증기를 다시 한번 2차적으로 가열하여 증기 입자를 더욱 작게 하는 과정을 통해 풍부한 무화 스팀을 발생하게 하고 결과적으로 응결수 토출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0 : 스팀 발생기
100 : 하우징
200 : 수조
300 : 히터부
310 : 케이스
311 : 내부 프레임
312 : 원수 유입구
313 : 증기 배출구
320 : 가열 부재
321 : 수중 가열부
322 : 기중 가열부
330 : 기포 분산 부재
340 : 온도 감지 센서
350 : 센서 차폐부
360 : 격막
400 : 정류조
500 : 분사부
510 : 공급호스
520 : 방향 전환부
600 : 드레인밸브
610 : 드레인밸브 버튼

Claims (11)

  1. 수조(200);
    상기 수조(200)와 연결되어 물을 가열하는 히터부(300); 및
    상기 히터부(300)와 연결된 분사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히터부(300)에 의해 가열된 원수는 상기 히터부(300) 내에서 고온고압 상태이며, 상기 고온고압 상태의 원수는 상기 분사부(500)에 의해 외측으로 분사되면서 감압에 의해 스팀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발생기(100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300)는,
    하부에 배치되는 원수 유입구(312) 및 상부에 배치되는 증기 배출구(313)를 포함하는 중공의 케이스(310); 및
    상기 하우징(100) 내의 원수 및 증기에 대해 열을 공급하는 가열 부재(320);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 부재(320)는 상기 원수 유입구(312)를 통해 상기 하우징(100) 내로 진입하는 상기 원수에 대한 1차 가열 및 상기 1차 가열을 통해 상 변화된 증기에 대해 2차 가열을 통해 미립자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발생기(1000).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부재(320)는,
    상기 케이스(310) 내의 원수에 침지되는 수중 가열부(321); 및
    상기 원수의 상부 측으로 상 변화하는 증기 상에 배치되는 기중 가열부(3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발생기(1000).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300)는,
    상기 수중 가열부(321)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기포 분산 부재(3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발생기(1000).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분산 부재(330)는 코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발생기(1000).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300)는,
    상기 케이스(310)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센서(340); 및
    상기 온도 감지 센서(340) 및 상기 수중 가열부(321) 사이에 배치되는 센서 차폐부(3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발생기(1000).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300)는,
    상기 수중 가열부(321)의 상부 측으로 상기 하우징(100)의 내벽을 따라 배치되는 격막(36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격막(360)은 하부로 갈수록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발생기(1000).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지 센서(340)는,
    상기 케이스(310) 내부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상기 케이스(310) 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가열 부재(32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발생기(1000).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지 센서(340)는,
    상기 케이스(310) 내의 측정 온도를 통하여 상기 케이스(310)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발생기(1000).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발생기(1000)는,
    상기 히터부(300)와 연결되는 정류조(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히터부(300) 내의 상기 고온고압 상태의 원수는 상기 정류조(400)에서 감압에 의해 스팀이 되며,
    상기 스팀은 상기 분사부(500)에 의해 외측으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발생기(1000).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발생기(1000)는,
    상기 분사부(5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분사부(500)에서 토출되는 스팀의 방향을 변환시키는 방향 전환부(5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발생기(1000).
KR1020130150753A 2012-12-05 2013-12-05 스팀 발생기 KR1021563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40009 2012-12-05
KR1020120140009 2012-12-05
KR20130084326 2013-07-17
KR1020130084326 2013-07-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444A true KR20140073444A (ko) 2014-06-16
KR102156393B1 KR102156393B1 (ko) 2020-09-15

Family

ID=50883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753A KR102156393B1 (ko) 2012-12-05 2013-12-05 스팀 발생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58151B2 (ko)
JP (1) JP5985762B2 (ko)
KR (1) KR102156393B1 (ko)
CN (1) CN104854403B (ko)
WO (1) WO201408834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7431A1 (ko) * 2018-03-16 2019-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제너레이터
CN112426113A (zh) * 2020-11-23 2021-03-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过热蒸汽产生方法、装置、设备及洗碗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20318B (zh) * 2016-10-21 2018-12-21 小熊电器股份有限公司 蒸脸器的蒸发器组件
CN107270264B (zh) * 2016-12-30 2019-04-09 袁芳革 一种蒸汽发生器
CN107246600B (zh) * 2016-12-30 2019-04-09 袁芳革 一种快速蒸汽发生器
KR102013850B1 (ko) 2017-02-01 2019-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CN107166612A (zh) * 2017-06-27 2017-09-15 陈立峰 液体气化设备及应用
CN107270461A (zh) * 2017-06-27 2017-10-20 陈立峰 液体气化方法及应用
CN107327822A (zh) * 2017-07-28 2017-11-07 成都丽雅纤维股份有限公司 一种塑化水热能回收方法
JP7163226B2 (ja) * 2019-03-19 2022-10-31 株式会社コロナ 加湿装置
CN112438878A (zh) * 2019-08-30 2021-03-05 沈阳天仁合一科技有限公司 睡眠治疗仪
CN112438880A (zh) * 2019-08-30 2021-03-05 沈阳天仁合一科技有限公司 降脂治疗仪
CN112438876A (zh) * 2019-08-30 2021-03-05 沈阳天仁合一科技有限公司 降糖治疗仪
CN112438881A (zh) * 2019-08-30 2021-03-05 沈阳天仁合一科技有限公司 降压治疗仪
CN113892470B (zh) * 2021-11-03 2023-01-31 益阳市金十三电子科技有限公司 多功能消毒驱蚊机
WO2023202571A1 (zh) * 2022-04-18 2023-10-26 添可智能科技有限公司 蒸汽发生器及智能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207Y1 (ko) * 2000-07-20 2001-02-15 이만호 전열 온수보일러의 기포분산장치
KR20050026603A (ko) * 2003-09-09 2005-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과열증기 조리장치
KR100514588B1 (ko) * 2003-03-04 2005-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상 증착 장치용 증발원
KR100826386B1 (ko) * 2006-03-28 2008-05-02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스팀식 미용기
KR20120121155A (ko) * 2011-04-26 2012-11-05 정용호 스팀 발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11103A5 (ko) * 1972-12-19 1974-07-12 Siemens Ag
US3910498A (en) * 1974-12-13 1975-10-07 Harrison Frank Steam generator
USRE33414E (en) * 1978-07-31 1990-10-30 Dri Steem Humidifier Company Electric steam humidifier
US4320702A (en) * 1980-03-20 1982-03-23 Refreshment Machinery Incorporated Steam generator
JPH0211081Y2 (ko) * 1986-02-03 1990-03-19
JPH07251002A (ja) * 1994-03-16 1995-10-03 Toshiba Corp 2成分系減圧蒸発缶装置とその運転方法
JP3617706B2 (ja) * 1995-09-12 2005-02-09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蒸気発生装置
FR2740537B1 (fr) * 1995-10-31 1998-01-16 Seb Sa Generateur de vapeur a approvisionnement automatique et procede de mesure du niveau de liquide dans un tel generateur
US5693267A (en) * 1996-09-27 1997-12-02 Boeing North American, Inc. Fast response iodine vaporization with an integrated atomizer and mixer
US5835680A (en) * 1996-10-07 1998-11-10 Appliance Development Corp. Immersion heater and support structure
EP1023866A1 (en) * 1999-01-27 2000-08-02 Euroflex S.r.l. Easily portable linear-shaped steam generating unit
US6647931B1 (en) * 2000-03-30 2003-11-18 Imetec S.P.A. Household steam generator apparatus
CN2421577Y (zh) * 2000-05-18 2001-02-28 郭泽荣 全自动低压蒸汽燃气热水器
PT1311786E (pt) * 2001-07-27 2005-05-31 Imetec Spa Regulacao da pressao para um gerador de vapor domestico
CN2626478Y (zh) * 2003-03-11 2004-07-21 宋兰芳 家庭桑拿浴蒸汽发生器
KR20050026611A (ko) * 2003-09-09 2005-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과열증기 조리장치
KR20050027460A (ko) * 2003-09-15 2005-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과열증기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6322683A (ja) * 2005-05-20 2006-11-30 Mitsubishi Heavy Ind Ltd 蒸気発生器
US7103270B1 (en) * 2005-08-26 2006-09-05 Chung-Ming Chen Steam cleaner with multiple protections
FR2891284B3 (fr) * 2005-09-29 2007-07-2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e d'entretien de vetements
KR100662390B1 (ko) * 2005-12-09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기발생장치, 증기발생장치의 제어방법, 이를 이용한청소기 및 청소기의 제어방법
KR101233164B1 (ko) * 2006-01-26 201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JP2007296284A (ja) * 2006-04-28 2007-11-15 Rasseru:Kk 美顔器
JP2008116092A (ja) * 2006-11-02 2008-05-22 Kunio Tsurumaki 電熱ボイラ装置
KR100824006B1 (ko) * 2006-12-29 2008-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 오븐의 스팀 발생장치
KR20080065134A (ko) * 2007-01-08 2008-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위센서와 이를 갖는 스팀발생기 및 그 스팀발생기를 갖는조리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01443621B1 (ko) * 2007-12-12 2014-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 분사 방향의 변경이 가능한 세탁장치
KR101463738B1 (ko) * 2008-01-22 2014-11-21 코웨이 주식회사 온수탱크의 증기배출장치
US8019208B2 (en) * 2008-05-21 2011-09-13 Mitchell Altman Steam generating apparatus with water-cooled solid state switch
TW201002425A (en) * 2008-07-08 2010-01-16 xing-ji Zhang Steam generation method for air-type cleaning machine and apparatus thereof
GB0901855D0 (en) * 2009-02-05 2009-03-11 Strix Ltd Electric steam generation
JP2011067725A (ja) 2009-09-24 2011-04-07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静電霧化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美容装置
CN201764470U (zh) * 2010-04-22 2011-03-16 黄远明 一种带清洗和减压装置的加热器
ITMO20120061A1 (it) * 2012-03-12 2013-09-13 T P A Impex Spa Una caldaia per elettrodomestici e per impianti di riscaldamento di acqua per uso domestico ed industriale con produzione di vapo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207Y1 (ko) * 2000-07-20 2001-02-15 이만호 전열 온수보일러의 기포분산장치
KR100514588B1 (ko) * 2003-03-04 2005-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상 증착 장치용 증발원
KR20050026603A (ko) * 2003-09-09 2005-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과열증기 조리장치
KR100826386B1 (ko) * 2006-03-28 2008-05-02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스팀식 미용기
KR20120121155A (ko) * 2011-04-26 2012-11-05 정용호 스팀 발생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7431A1 (ko) * 2018-03-16 2019-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제너레이터
CN112426113A (zh) * 2020-11-23 2021-03-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过热蒸汽产生方法、装置、设备及洗碗机
CN112426113B (zh) * 2020-11-23 2022-02-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过热蒸汽产生方法、装置、设备及洗碗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6393B1 (ko) 2020-09-15
JP5985762B2 (ja) 2016-09-06
US20150316252A1 (en) 2015-11-05
JP2016505798A (ja) 2016-02-25
WO2014088345A1 (ko) 2014-06-12
US9958151B2 (en) 2018-05-01
CN104854403B (zh) 2016-11-09
CN104854403A (zh) 2015-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73444A (ko) 스팀 발생기
JP4363423B2 (ja) スチーム式美容器
JP4731492B2 (ja) スチームアイロン装置
JP2015501176A5 (ko)
GB2465482A (en) Steam Iron with Pressure Sensor Controlling Steam
JP2010029503A (ja) 理美容用蒸気供給装置
CN101476713A (zh) 一种新型蒸汽发生装置及其应用
JP4345715B2 (ja) スチーム発生器
US20130186281A1 (en) Coffee maker funnel
JP2010273701A (ja) ミスト発生装置
CN104226528A (zh) 雾气产生装置
JP2013240445A (ja) ミスト発生装置
JP2006292205A (ja) 小型蒸気発生装置
KR20140093439A (ko) 음이온 발생 기능을 갖는 스팀 분사 피부 미용 기기
JP2012135356A (ja) 理美容用蒸気供給装置
KR200423615Y1 (ko) 증기를 이용한 다리 찜질기
JP2011245382A (ja) 静電霧化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美容装置
JP2018175319A (ja) 水素水蒸気スプレーポット
CN211395096U (zh) 一种可以快速出蒸汽的熨烫机
KR101946562B1 (ko) 이중 탱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발생기
KR200355307Y1 (ko) 두발용 스팀 발생장치
CN218812763U (zh) 熨烫装置
KR20230009546A (ko) 신속하게 분무를 생성하고 청결한 관리가 가능한 가습기
WO2023154550A1 (en) Handheld skin treatment devices
KR101089941B1 (ko) 분무식 스팀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