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9546A - 신속하게 분무를 생성하고 청결한 관리가 가능한 가습기 - Google Patents

신속하게 분무를 생성하고 청결한 관리가 가능한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9546A
KR20230009546A KR1020210090064A KR20210090064A KR20230009546A KR 20230009546 A KR20230009546 A KR 20230009546A KR 1020210090064 A KR1020210090064 A KR 1020210090064A KR 20210090064 A KR20210090064 A KR 20210090064A KR 20230009546 A KR20230009546 A KR 20230009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humidifier
main bod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0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9199B1 (ko
Inventor
송기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엔오
Priority to KR1020210090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9199B1/ko
Publication of KR20230009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9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8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heated wet elements
    • F24F6/1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heated wet elements heated electr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Abstract

본 발명의 가습기는, 전원공급단자를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기계실을 갖는 수조 베이스와, 상기 수조 베이스에 상측에서 결합되어, 상기 수조 베이스와 일체로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상하로 연장되는 중공을 형성하는 분무 토출부와, 물이 담기는 저수부가 상기 분무 토출부와 분리된 영역에 형성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에 담긴 물을 배출하는 배출관과, 상기 기계실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관을 통해 안내된 물이 모이는 공간을 제공하되, 상기 물이 모이는 공간이 상기 분무 토출부와 연통되는 가습조와, 상기 기계실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공급단자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전원수신단자와, 상기 전원수신단자를 통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동작하며 상기 가습조에 모인 물을 기화시키는 분무발생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속하게 분무를 생성하고 청결한 관리가 가능한 가습기 {A humidifier that can quickly generate water vapor and can be easily maintained clean}
본 발명은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조로부터 배출된 소량의 물을 즉각적으로 분무화할 수 있으면서도 수조와 분무발생기가 일체로서 본체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청결 유지와 관리가 용이한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가습기는 수증기를 발생시켜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전기 기구이다. 이러한 가습기는, 물을 끓여 수증기를 생성하는 가열식, 초음파로 물을 분해해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초음파식, 이 두가지 방식이 합쳐진 복합식이 주로 쓰이고 있다.
가열식 가습기의 경우 물을 끓이기 때문에 세균 살균효과는 우수하지만, 뜨거운 증기로 인한 화상의 위험이 있고, 가습량이 적은 반면 전력 소모는 많은 단점이 있다.
초음파 가습기는 화상의 위험이 없고, 가열식 가습기에 비해 가습량이 많고 전력 소모는 적은 장점이 있으나, 증발 잠열로 인해 분무의 온도가 낮고, 세균이 수증기와 함께 방안으로 토출될 가능성이 있고, 물에 포함된 중금속이나 염소와 같은 유해 성분이 인체에 가해질 뿐 아니라, 가구나 전자제품, 벽 등을 백화시키는 문제가 있다.
복합식 가습기는 열원을 이용한 가열방식의 장점인 살균기능과 초음파식의 여러 장점을 모두 갖는 방식이기는 하나, 구조적인 복잡도가 증가하여 구매가격이 비싸고 청소성이 부족한 단점이 있다.
도 4는 종래기술 1에 따른 가습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한국 공개실용신안 1999-005257호(이하, 종래기술 1)는 물탱크(1050)에 담긴 물 중 일정량만이 본체(1010)에 구비된 저수조(1020)로 이동되어 진동자(1025)에 의해 분무화되는 가습기를 개시하고 있다.
종래기술 1에 따른 가습기는 물탱크(1050)에 담긴 물 전체를 진동시키는 경우 보다 효과적으로 분무를 생성할 수 있기는 하나, 저수부(1020)가 본체(101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저수부(1020) 내부를 청소하기가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도 5는 종래기술 2에 따른 가습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한국등록특허 10-1865226호(이하, 종래기술 2)는 베이스(2002)와, 베이스(2002)에 착탈되는 수조(2001)를 구비한 가습기를 개시하고 있다. 베이스(2002)에는 전원공급수단이 구비되고, 수조(2001)에는 상기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초음파 진동자(2003)가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기술 2에 따른 가습기는, 수조(2001)를 베이스(2002)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수조(2001)뿐만 아니라 초음파 진동자(2003)를 청소할 수 있어 청결 관리가 쉬운 이점이 있기는 하나 수조의 수위가 높은 경우 진동 에너지가 수면에 이르기 전에 상당부분 소산되어 버리기 때문에 기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 1999-005257호 한국등록특허 10-1865226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조에 담긴 물의 일부를 이용하여 수증기를 생성함으로써 신속한 가습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수조와 상기 물의 일부가 담기는 가습조가 일체로써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조를 적용하여 물 때나 백화로 인한 상기 본체의 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수조와 가습조의 청소가 용이한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습기는 전원공급단자를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기계실을 갖는 수조 베이스와, 상기 수조 베이스에 상측에서 결합되어, 상기 수조 베이스와 일체로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상하로 연장되는 중공을 형성하는 분무 토출부와, 물이 담기는 저수부가 상기 분무 토출부와 분리된 영역에 형성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에 담긴 물을 배출하는 배출관과, 상기 기계실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관을 통해 안내된 물이 모이는 공간을 제공하되, 상기 물이 모이는 공간이 상기 분무 토출부와 연통되는 가습조와, 상기 기계실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공급단자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전원수신단자와, 상기 전원수신단자를 통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동작하며 상기 가습조에 모인 물을 기화시키는 분무발생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가습기는 수조에 담긴 물의 일부분을 수조에 비해 작은 용적의 가습조로 배출시켜 모이게 한 후, 이를 이용하여 수증기를 발생하기 때문에 신속한 가습이 가능하고 소비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가습조를 이용한 분무발생구조를 수조와 일체로 모듈화 함으로써 본체가 물때나 백화로 인해 오염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수조와 상기 분무발생구조의 청소를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습기에서 수조 모듈을 본체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 표시된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종래기술 1에 따른 가습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종래기술 2에 따른 가습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습기에서 수조 모듈을 본체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 표시된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1)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1)는 설치 장소에 놓여지는 본체(100)와, 본체(100)에 의해 지지되는 수조 모듈(200)을 포함한다. 수조 모듈(200)은 본체(100)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물을 담거나 청소를 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본체(100)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다.
수조 모듈(200)은 본체(10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기계실(S)을 갖는 수조 베이스(30)와, 수조 베이스(30)에 결합되는 수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에는 상면이 개방된 안착홈(125)이 형성될 수 있고, 수조 모듈(2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안착홈(125)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안착홈(125)은 본체(100)의 상면이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것이고, 기계실(S)은 안착홈(125)과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수조 모듈(200)은 수조 커버(40), 노즐(50), 베이스 커버(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조(20)는 증기 또는 분무를 형성하기 위한 물을 담기 위한 것이다. 수조(20)는 물이 담기는 저수부(21)와 후술하는 분무발생기(80)에 의해 생성된 분무(또는 수증기)를 토출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분무 토출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분무 토출부(22)는 상하로 연장되는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저수부(21)는 분무 토출부(22)의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수조(20)의 상면은 개방되어 있고, 이렇게 개방된 상면은 분무 토출부(22)의 출구와 저수부(21)의 물투입구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상기 출구를 상기 물투입구가 둘러 싸고 있는 형태가 된다.
수조 커버(40)는 수조(20)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것이며, 수조(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수조 커버(40)의 대략 중심부에는 분무 토출부(22)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 분무를 실내로 분사하는 노즐(50)이 설치될 수 있다. 노즐(50)은 개도와 방향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개도와 방향에 따라 분무의 분사압과 분사 영역이 조절될 수 있다.
수조 베이스(30)는 수조(20)와 일체로 본체(100)에 착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조 베이스(30)는 수조(20)의 하측에 배치되고, 수조(20)에 직접 결합되거나, 수조(20)의 저면에 결합되는 베이스 커버(60)와의 결합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수조(20)에 고정되는 형태일 수 있다.
수조 베이스(30)는 본체(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수조 베이스(30)는 기계실(S)을 형성하며, 기계실(S)의 적어도 일부분은 본체(100)의 안착홈(125)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기계실(S)에 의해 수조(20)의 하측에 제공된 공간에는 배출관(71), 가습조(72) 및 분무발생기(8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배출관(71)은 수조(20)에 담긴 물을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써, 저수조(21)의 바닥에 형성된 배출구(21h)와 연결될 수 있다. 배출관(71)를 통해 안내된 물은 가습조(72)에 모이게 된다.
가습조(72)는 저수조(21)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용적을 갖는다. 가습조(72)의 상면은 분무 토출부(22)와 연통될 수 있다. 가습조(72)는 바닥(72a)과 바닥(72a)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원통형의 측벽(72b)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관(71)은 측벽(72b)에 연결될 수 있다.
가습조(72)에 모인 물을 기화시키는 분무발생기(80)가 구비될 수 있다. 분무발생기(80)는 초음파 진동자(미도시) 및 히터(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진동자는 가습조(72)에 담긴 물을 가진시키는 것으로써 공지된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진동자는 가습조(72)의 바닥(72a)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기 히터로써 세라믹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PTC히터(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heater)가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히터는 가습조(72) 내에 배치되되, 분무발생기(80) 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분무발생기(80)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원(미도시)은 본체(10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원은 가정용 또는 상용 교류 전원을 직류로 변환하는 컨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단자(91)는 본체(100)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공급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전원수신단자(92)는 수조 베이스(30)에 배치되고, 수조 베이스(30)와 본체(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전원공급단자(91)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분무발생기(80)를 비롯한 다른 전기, 전자 부품들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원공급단자(91)와 전원수신단자(92)는 서로 간의 물리적인 접촉을 통해 전원을 전달하는 유선 방식으로 구성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원공급단자(91)와 전원수신단자(92)는 유도 코일을 이용한 무선 방식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수조 베이스(30)를 본체(100)의 안착홈(125)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전원수신단자(92)가 전원공급단자(91)와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고, 반대로 수조 베이스(30)를 본체(100)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는 양 단자들(91, 92) 간의 전기적인 연결 상태가 해제된다.
전원공급단자(91)와 전원수신단자(92)는 물리적인 접촉을 통해 전기를 전달하는 구조(예를 들어, 소켓 방식)일 수 있으나, 이와 다르게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코일 중 어느 한쪽에 전원을 인가하면 다른 한쪽에 유도 전류가 형성되는 방식의 비접촉식도 가능하다. 이 경우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컨버터는 수조 베이스(30)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배출관(71)을 통해 배출되는 유량을 단속하는 유량조절부(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량조절부(75)는 전원수신단자(92)를 통해 공급된 전기에 의해 동작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량조절부(75)는 가습조(72)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수위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위에 따라 작동하며 배출관(71)을 통해 배출되는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하지 않고, 유량조절부(75)는 배출관(71)을 통해 배출되는 유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의 유량 제어는 밸브 개방 시간 또는 플로우미터의 감지값 등을 바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하지 않고 공지된 다른 유량 제어방법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본체(100) 내에는, 노즐(50)을 통해 고압으로 분무가 배출될 수 있도록 분무 토출부(22)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1)는 수조(20)와 별개로 형성된 가습조(72)에 담긴 소량의 물을 이용하여 분무를 형성하기 때문에 분무 발생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무 발생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수조(20)와 수조 베이스(30)가 일체로서 수조 모듈(200)을 구성하고 본체(100)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본체(100)은 물이 전혀 담길 필요가 없어, 물때나 백화현상으로 본체(100)가 오염될 염려가 없다.
더 나아가, 본체(100)와 수조 베이스(30)이 일체로 수조 모듈(200)을 구성하기 때문에, 수조 모듈(200)을 본체(100)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수조(20)와 수조 베이스(30) 내의 가습조(72)를 청소할 수 있어 유지 관리가 매우 편리하다.
1: 가습기 100: 본체
200: 수조 모듈 20: 수조
30: 수조 베이스 71: 배출관
72: 가습조 75: 밸브
80: 분무발생기 91: 전원공급단자
92: 전원수신단자

Claims (1)

  1. 전원공급단자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기계실을 갖는 수조 베이스;
    상기 수조 베이스에 상측에서 결합되어, 상기 수조 베이스와 일체로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상하로 연장되는 중공을 형성하는 분무 토출부와, 물이 담기는 저수부가 상기 분무 토출부와 분리된 영역에 형성되는 수조;
    상기 수조에 담긴 물을 배출하는 배출관;
    상기 기계실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관을 통해 안내된 물이 모이는 공간을 제공하되, 상기 물이 모이는 공간이 상기 분무 토출부와 연통되는 가습조;
    상기 기계실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공급단자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전원수신단자; 및
    상기 전원수신단자를 통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동작하며 상기 가습조에 모인 물을 기화시키는 분무발생기를 포함하는 가습기.
KR1020210090064A 2021-07-09 2021-07-09 신속하게 분무를 생성하고 청결한 관리가 가능한 가습기 KR102629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064A KR102629199B1 (ko) 2021-07-09 2021-07-09 신속하게 분무를 생성하고 청결한 관리가 가능한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064A KR102629199B1 (ko) 2021-07-09 2021-07-09 신속하게 분무를 생성하고 청결한 관리가 가능한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9546A true KR20230009546A (ko) 2023-01-17
KR102629199B1 KR102629199B1 (ko) 2024-01-25

Family

ID=85111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0064A KR102629199B1 (ko) 2021-07-09 2021-07-09 신속하게 분무를 생성하고 청결한 관리가 가능한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91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257A (ko) 1997-06-30 1999-01-25 손욱 각형 전지의 세퍼레이터
KR200275059Y1 (ko) * 2002-02-22 2002-05-09 주식회사 기가씨앤이 살균 가습기
KR101865226B1 (ko) 2016-12-12 2018-06-08 (주)에이치더블유엘 청소용이성이 확보된 초음파 가습기
KR20210010061A (ko) * 2019-07-19 2021-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257A (ko) 1997-06-30 1999-01-25 손욱 각형 전지의 세퍼레이터
KR200275059Y1 (ko) * 2002-02-22 2002-05-09 주식회사 기가씨앤이 살균 가습기
KR101865226B1 (ko) 2016-12-12 2018-06-08 (주)에이치더블유엘 청소용이성이 확보된 초음파 가습기
KR20210010061A (ko) * 2019-07-19 2021-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9199B1 (ko) 2024-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837B1 (ko) 분리형 복합식 가습기
US5133044A (en) Portable humidifier
US20110156288A1 (en) Ultrasonic aroma humidifier capable of facilitating cleaning
US6220579B1 (en) Warm mist humidifier
WO2002044625A1 (en) Humidify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silver ionized water
KR20140107774A (ko) 살균 가습기
KR20140100862A (ko) 자체 살균 초음파 가습기
US6275652B1 (en) Heating element for a humidifier
KR100211160B1 (ko) 초음파.히터 겸용 가습기
KR102629199B1 (ko) 신속하게 분무를 생성하고 청결한 관리가 가능한 가습기
KR101938196B1 (ko) 가열 증발식 전기발향기
JP2008155174A (ja) 空気清浄機能を有する陰イオン発生器
KR101266318B1 (ko) 멀티 가습기
KR101677677B1 (ko) 분리형 살균 가습기
KR102360455B1 (ko) 전해수를 분무하는 초음파 가습기
JP2007078251A (ja) 加湿装置
KR200491898Y1 (ko) 난방장치용 가습기
JP2589922B2 (ja) 超音波加湿機
JPWO2019235438A1 (ja) 金属イオン水散布装置
KR100770412B1 (ko) 물공급 자동개폐 히터식 가습기
KR20210010061A (ko) 가습기
GB2554893A (en) Cordless appliance
CN211822949U (zh) 加热杀菌式雾化装置
JP2002066199A (ja) 多利用型蒸気発生装置
KR20010082472A (ko) 쑥 훈증이 가능한 초음파 가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