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898Y1 - 난방장치용 가습기 - Google Patents

난방장치용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898Y1
KR200491898Y1 KR2020190002827U KR20190002827U KR200491898Y1 KR 200491898 Y1 KR200491898 Y1 KR 200491898Y1 KR 2020190002827 U KR2020190002827 U KR 2020190002827U KR 20190002827 U KR20190002827 U KR 20190002827U KR 200491898 Y1 KR200491898 Y1 KR 2004918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heating device
water
water tank
ultrasonic vib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8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만성
Original Assignee
오만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만성 filed Critical 오만성
Priority to KR20201900028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8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8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8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난방장치용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대류 열기 및 송풍 열기로 실내공기를 효과적으로 데울 수 있는 난방장치의 본체 후방에 노출되도록 간편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장착되어 실내의 습도 조절이 가능하고, 초음파 진동자의 세척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위생적이면서 관리가 용이하고 난방장치의 이동시 파지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난방장치용 가습기{The heating device which is composed of the heater and hot air device}
본 고안은 난방장치용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대류 열기로 근접 사용하거나 송풍 열기로 넓은 공간의 실내공기를 효과적으로 데울 수 있는 난방장치에 장착되어 실내의 습도 조절이 가능하면서 초음파 진동자의 세척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구성하여 위생적이면서 관리가 용이하고 이동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난방장치용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습도가 부족한 겨울철에 인위적으로 습기를 발생시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 것으로서 최근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난방기의 사용이 급증함에 따라 그 수요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가습기는 분무방식에 따라 가열식 가습기와 초음파식 가습기로 구별된다. 구체적으로 가열식 가습기는 물통에 저장된 물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시켜 발생되는 수증기를 자연 분무하는 방식이고 초음파식 가습기는 물통에 저장된 물을 초음파로 진동시켜 미세화된 물 입자를 분무하는 방식이다.
상기 가열식 가습기는 물을 가열함으로써 물속에 포함된 세균을 살균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가열증기를 이용하므로 가습량이 적다는 문제점이 있고, 초음파식 가습기는 초음파 진동자를 통해 미세화된 물 입자를 분무하므로 가습량이 많아 넓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대부분 난방기와 가습기는 독립적으로 구성된 것이 대부분으로 2종의 제품을 각각 관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난방기 근접한 위치에 가습기를 배치하여 사용하므로 넓은 설치 공간이 필요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난방장치에 결합되는 일체형들이 요구되었다.
예컨대 국내 공개특허 제10-1997-0047430호 '팬 히터 겸용 가습장치'와 등록실용신안 제20-0087506호 '가습기능을 구비한 냉방기' 및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17510호 '팬히터의 가습장치'는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진동자의 세척 및 교환이 어려워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고,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12776호 '가습기를 구비한 히터'는 본체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안착된 것이나 이 또한 세척 및 교체가 어려워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초음파 가습기는 일반적으로 부피가 커서 사무실이나 좁은 공간에서 개인적인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으나, 근래에는 사무실이나 좁은 공간에서 사용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생수를 이용한 소형 초음파 가습기가 제안되었고, 상기 소형 초음파 가습기는 물 흡수 필터를 초음파 진동자의 하단에 밀착시켜 물을 공급하면 진동자는 공급받은 물을 진동시켜 미세화된 물 입자를 외부로 분무하게 된다.
상기 초음파 진동자는 초음파 가습기에 있어 반드시 필요한 구성품으로써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초음파 진동자에 이물질이 부착되거나 물때가 부착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초음파 진동자를 오랜 시간 사용하기 위해서는 초음파 진동자를 주기적으로 세척해 주거나 교체하여야 한다.
하지만, 이들 초음파 진동자는 초음파 가습기의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복잡한 구조로 본체에 결합되어 있어 일반 사용자가 본체로부터 초음파 진동자를 분리하는 것이 곤란하여 초음파 진동자를 세척하지 않음으로 비위생적이면서 초음파 진동자의 교체 주기가 단축되어 초음파 가습기의 사용에 필요한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공개특허 제10-1997-0047430호(공개일자 1997.07.26)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087506호(공고일자 1995.02.18)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17510호(공개일자 1998.07.06)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12776호(공고일자 2003.05.13)
본 고안의 목적은 대류 열기 및 송풍 열기로 실내공기를 효과적으로 데울 수 있는 난방장치의 본체 후방에 노출되도록 간편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장착되어 실내의 습도 조절이 가능하고, 초음파 진동자의 세척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위생적이면서 관리가 용이하고 난방장치의 이동시 파지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난방장치용 가습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난방장치용 가습기는 전방으로 열기를 배출시키는 전면케이스와 운반시 손가락이 유입되는 파지홈을 후방에 형성한 후면케이스로 분할 형성되고 내부에 온풍기와 히터를 장착하여 대류열기 및 송풍열기를 제공하는 난방장치; 및 상기 난방장치의 후면케이스에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초음파 진동자와, 이 초음파 진동자의 테두리를 밀폐 고정하고 초음파 진동자가 노출되도록 중앙이 개방된 초음파 진동자 케이스와,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로 분할 형성되고 상호 테두리부분이 밀폐되도록 나사체결된 후 물이 보관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하부케이스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마개의 체크밸브를 개방시키도록 돌출 형성된 돌기와, 상기 수조로 물을 공급하는 물통과, 이 물통의 배출구에 체결되어 물의 배출을 제어하는 체크밸브를 갖는 마개로 이루어지는 가습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난방장치의 후면케이스에 형성된 파지홈 상측에는 가습기의 수조가 얹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조의 상부케이스 일측에는 초음파 진동자에 물이 공급되도록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초음파 진동자 케이스의 양단이 접하여 밀폐되도록 나사결합되며, 중앙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물통에 결합된 마개가 끼워진 후 물을 수조에 공급하도록 지지하는 주입구가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난방장치의 후면케이스에 형성된 안착홈 상부에는 가습기의 물통이 안정적으로 끼워진 후 이탈을 방지시키는 거치대를 형성하며; 상기 난방장치의 후면케이스에 형성된 안착홈의 내측에 끼움홈을 형성하고; 상기 수조의 하부케이스 내측면에는 상기 후면케이스의 끼움홈에 끼워져 걸리는 지지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수조의 하부케이스 후측에는 난방장치의 후면케이스에 형성된 파지홈의 상측에 나사체결되면서 파지할 때 손가락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하향으로 돌출되는 지지편을 형성하고; 상기 초음파 진동자 케이스로부터 인출되는 전원선의 이동 통로가 되도록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에 요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고안에 따른 난방장치용 가습기는 대류 열기로 근접 사용하거나 송풍 열기로 넓은 공간의 실내공기를 효과적으로 데울 수 있는 난방장치에 장착되어 효과적으로 실내의 습도 조절이 가능하고,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세척 및 초음파 진동자의 교체가 용이하여 매우 위생적이면서 관리가 편리하고, 수조의 지지돌기 및 지지편이 후면케이스의 끼움홈에 걸리고 파지홈 상측에 나사체결되므로 매우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하면서 운반을 위해 손가락으로 파지할 때 지지편의 하단이 걸림턱 역할을 하므로 이동의 편리성을 제공하게 되며, 물통 역시 마개가 수조의 유입구에 삽입된 후 후면케이스의 거치대에 얹혀지면 이탈됨을 방지하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수조의 물 수용량이 적어 초음파 진동자에 가해지는 중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의 (A), (B)는 본 고안의 분해 및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가습기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가습기의 결합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난방장치에 가습기를 장착한 상태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난방장치용 가습기가 전원제어부를 장착한 좌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 난방장치용 가습기는 도 1,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전방으로 열기를 배출시키는 전면케이스(11)와 운반시 손가락이 유입되는 파지홈(121)을 후방에 형성한 후면케이스(12)로 분할 형성되고 내부에 온풍기(13)와 히터(14)를 장착하여 대류열기 및 송풍열기를 제공하는 난방장치(1)와, 상기 난방장치(1)의 후면케이스(12)에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가습기(2)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습기(2)는, 초음파 진동자(21)와, 이 초음파 진동자(21)의 테두리를 밀폐 고정하고 초음파 진동자(21)가 노출되도록 중앙이 개방된 초음파 진동자 케이스(22)와, 물이 보관되는 수조(23)와, 상기 수조(23)로 물을 공급하는 물통(24)과, 이 물통(24)의 배출구에 체결되어 물의 배출을 제어하는 체크밸브(251)를 갖는 마개(25)로 이루어지는 기본 기술 구성을 이용하게 되며, 이들의 결합구성 및 작동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주요기술은 난방장치(1)의 후면케이스(12)에 가습기(2)를 장착하되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 효율적으로 세척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그 구조를 개량하는 것이다.
이에,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난방장치(1)의 후면케이스(12)에는 가습기(2)의 수조(23)가 얹힌 후 고정될 수 있도록 파지홈(121) 상측에 안착홈(122)을 형성하게 되고 이 안착홈(122)의 상부에는 가습기(2)의 물통(24)이 안정적으로 끼워진 후 이탈을 방지시키도록 거치대(123)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조(23)는 하부케이스(231)와 상부케이스(232)로 분할 형성된 후 상호 테두리부분이 밀폐되도록 사방이 나사체결되도록 이루어지며, 또한 수조(23)의 하부케이스(231)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물통(24)의 배출구에 체결되 마개(25)의 체크밸브(251)를 개방시키는 돌기(233)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조(23)의 상부케이스(232) 일측에는 초음파 진동자(21)에 물이 공급(접촉)되도록 통공(234)이 형성되면서 초음파 진동자 케이스(22)의 양단이 상부케이스(232)의 외부로부터 접하여 밀폐되도록 나사결합되며, 중앙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물통(24)에 결합된 마개(25)가 끼워진 후 물을 수조(23)에 공급하도록 지지하는 주입구(235)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가습기(2)가 더욱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난방장치(1)의 후면케이스(12)에 형성된 안착홈(122)의 내측에 끼움홈(124)을 더 형성하고 상기 수조(23)의 하부케이스(231) 내측면에는 상기 후면케이스(12)의 끼움홈(124)에 끼워져 걸리는 지지돌기(236)를 형성하여 상호 걸림이 이루어져 지지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수조(23)의 하부케이스(231) 후측에는 난방장치(1)의 후면케이스(12)에 형성된 파지홈(121)의 상측에 나사체결되면서 파지할 때 손가락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하향으로 돌출되는 지지편(237)이 마련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초음파 진동자(21)의 전원선(3)의 보호 및 이동통로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부케이스(232) 및 하부케이스(231)의 측면에 요홈(238, 238')을 각각 형성하게 되고, 상기 초음파 진동자 케이스(22)로부터 인출되는 전원선(3)은 도 3 및 도 4에서 같이 이동 통로가 되는 요홈(238, 238') 및 끼움홈(123)으로 유입된 후 도 5에서와 같이 좌대(4)에 배치된 전원제어부(5)와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초음파 진동자(21)에 가해지는 중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수조(23)의 상부케이스(232) 및 하부케이스(231) 내부 공간의 물 수용량이 최소화가 되도록 하부케이스(231)의 돌기(233)가 형성된 중앙부분이 상부케이스(232)에 근접하도록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난방장치(1)의 온풍기(13) 및 히터(14)를 작동시켜 대류 열기로 근접 사용하거나 송풍 열기로 넓은 공간의 실내공기를 효과적으로 데울 수 있으며 동시에 가습기(1)의 작동으로 효과적인 실내의 습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가습기(1)가 난방장치(1)의 후면케이스(12)에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고, 초음파 진동자 케이스(22)의 분리가 용이하여 초음파 진동자(21)의 세척 및 교체가 간편하여 매우 위생적이면서 관리가 편리하다.
또한, 수조(23)의 지지돌기(236) 및 지지편(237)이 난방장치(1)의 후면케이스(12)에 형성된 끼움홈(124)에 걸리고 파지홈(121) 상측에 나사체결되므로 매우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하면서 운반을 위해 손가락으로 파지할 때 지지편(237)의 하단이 걸림턱 역할을 하므로 이동중 이탈됨을 방지하여 파손을 방지하는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물통(24) 역시 마개(25)가 수조(23)의 유입구(235)에 삽입된 후 난방장치(1)의 후면케이스(12)에 형성된 거치대(123)에 얹혀지면 거치대(123)가 물통(24)의 아래부분을 감싸므로 이탈됨을 방지되어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수조(23)의 물 수용량이 적어 초음파 진동자(21)에 가해지는 중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1: 난방장치 11: 전면케이스
12: 후면케이스 13: 온풍기
14: 히터 121: 파지홈
122: 안착홈 123: 거치대
124: 끼움홈 2: 가습기
21: 초음파 진동자 22: 초음파 진동자 케이스
23: 수조 24: 물통
231: 하부케이스 232: 상부케이스
233: 돌기 234: 통공
235: 주입구 236: 지지돌기
237: 지지편 238, 238': 요홈
25: 마개 251: 체크벨브
3: 전원선 4: 좌대
5: 전원제어부

Claims (3)

  1. 전방으로 열기를 배출시키는 전면케이스(11)와 운반시 손가락이 유입되는 파지홈(121)을 후방에 형성한 후면케이스(12)로 분할 형성되고 내부에 온풍기(13)와 히터(14)를 장착하여 대류열기 및 송풍열기를 제공하는 난방장치(1); 및
    상기 난방장치(1)의 후면케이스(12)에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초음파 진동자(21)와, 이 초음파 진동자(21)의 테두리를 밀폐 고정하고 초음파 진동자(21)가 노출되도록 중앙이 개방된 초음파 진동자 케이스(22)와, 하부케이스(231)와 상부케이스(232)로 분할 형성되고 상호 테두리부분이 밀폐되도록 나사체결된 후 물이 보관되는 수조(23)와, 상기 수조(23)의 하부케이스(231)의 중앙부분에는 마개(25)의 체크밸브(251)를 개방시키도록 돌출 형성된 돌기(233)와, 상기 수조(23)로 물을 공급하는 물통(24)과, 이 물통(24)의 배출구에 체결되어 물의 배출을 제어하는 체크밸브(251)를 갖는 마개(25)로 이루어지는 가습기(2)로 이루어지고;
    상기 난방장치(1)의 후면케이스(12)에 형성된 파지홈(121) 상측에는 가습기(2)의 수조(23)가 얹히도록 안착홈(122)이 형성되며;
    상기 수조(23)의 상부케이스(232) 일측에는 초음파 진동자(21)에 물이 공급되도록 통공(234)이 형성되고, 상기 초음파 진동자 케이스(22)의 양단이 접하여 밀폐되도록 나사결합되며, 중앙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물통(24)에 결합된 마개(25)가 끼워진 후 물을 수조(23)에 공급하도록 지지하는 주입구(235)가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난방장치(1)의 후면케이스(12)에 형성된 안착홈(122) 상부에는 가습기(2)의 물통(24)이 안정적으로 끼워진 후 이탈을 방지시키는 거치대(123)를 형성하며;
    상기 난방장치(1)의 후면케이스(12)에 형성된 안착홈(122)의 내측에 끼움홈(124)을 형성하고;
    상기 수조(23)의 하부케이스(231) 내측면에는 상기 후면케이스(12)의 끼움홈(124)에 끼워져 걸리는 지지돌기(236)를 형성하며;
    상기 수조(23)의 하부케이스(231) 후측에는 난방장치(1)의 후면케이스(12)에 형성된 파지홈(121)의 상측에 나사체결되면서 파지할 때 손가락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하향으로 돌출되는 지지편(237)을 형성하고;
    상기 초음파 진동자 케이스(22)로부터 인출되는 전원선(3)의 이동 통로가 되도록 상부케이스(232) 및 하부케이스(231)에 요홈(238, 238')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용 가습기.
  2. 삭제
  3. 삭제
KR2020190002827U 2019-07-05 2019-07-05 난방장치용 가습기 KR2004918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827U KR200491898Y1 (ko) 2019-07-05 2019-07-05 난방장치용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827U KR200491898Y1 (ko) 2019-07-05 2019-07-05 난방장치용 가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898Y1 true KR200491898Y1 (ko) 2020-06-25

Family

ID=71120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827U KR200491898Y1 (ko) 2019-07-05 2019-07-05 난방장치용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8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5393A (ko) * 2020-08-24 2022-03-03 방성민 발열체를 이용한 휴대용 가습 온풍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6440U (ja) * 1992-02-21 1993-09-03 株式会社日立ホームテック 電気温風機
JPH0754745Y2 (ja) * 1990-01-19 1995-12-18 シャープ株式会社 加湿器
KR970047430A (ko) 1995-12-28 1997-07-26 배순훈 팬 히터 겸용 가습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9980017510U (ko) 1996-09-24 1998-07-06 배순훈 팬히터의 가습장치
KR19980018387U (ko) * 1996-09-30 1998-07-06 배순훈 가습방향의 조정이 용이한 팬히터
KR200312776Y1 (ko) 2003-02-06 2003-05-13 라니산업주식회사 가습기를 구비한 히터
KR20190001173U (ko) * 2017-11-09 2019-05-17 나호선 생수용기를 이용하는 미니 초음파 가습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4745Y2 (ja) * 1990-01-19 1995-12-18 シャープ株式会社 加湿器
JPH0566440U (ja) * 1992-02-21 1993-09-03 株式会社日立ホームテック 電気温風機
KR970047430A (ko) 1995-12-28 1997-07-26 배순훈 팬 히터 겸용 가습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9980017510U (ko) 1996-09-24 1998-07-06 배순훈 팬히터의 가습장치
KR19980018387U (ko) * 1996-09-30 1998-07-06 배순훈 가습방향의 조정이 용이한 팬히터
KR200312776Y1 (ko) 2003-02-06 2003-05-13 라니산업주식회사 가습기를 구비한 히터
KR20190001173U (ko) * 2017-11-09 2019-05-17 나호선 생수용기를 이용하는 미니 초음파 가습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5393A (ko) * 2020-08-24 2022-03-03 방성민 발열체를 이용한 휴대용 가습 온풍기
KR102407485B1 (ko) * 2020-08-24 2022-06-10 방성민 발열체를 이용한 휴대용 가습 온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8952B2 (en) Humidifier and home appliance
KR100704148B1 (ko) 살균형 가습기
KR20150001943A (ko) 분리형 복합식 가습기
JP5716166B2 (ja) 加湿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湿温風機
KR200491898Y1 (ko) 난방장치용 가습기
KR100211160B1 (ko) 초음파.히터 겸용 가습기
KR101346651B1 (ko) 살균 가습기
JP2013155958A (ja) 加湿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湿温風機
KR101261157B1 (ko) 하방향 수증기 배출 방식의 초음파 가습기
KR100784315B1 (ko) 가습기
CN216897635U (zh) 加湿器
JP5824655B2 (ja) 加湿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湿温風機
US8833740B2 (en) Natural evaporation type humidifier and air control device having the same
KR20180127265A (ko) 자연증발식 슬림형 가습장치
KR101679577B1 (ko) 상부급수식 초음파 가습기
CN114151891A (zh) 无雾加湿器
KR200468188Y1 (ko) 자연 가습장치
KR0164173B1 (ko) 가습기
JP5824610B2 (ja) 加湿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湿温風機
WO2019146808A1 (ko) 자연증발식 가습장치
KR20050038294A (ko) 가열식 가습기
KR101597427B1 (ko) 침실용 가습장치
CN211214505U (zh) 自动盛接水滴的牙刷消毒器
KR102036616B1 (ko) 가습모듈
JP2013068352A (ja) 加湿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湿温風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