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0096A - 접착제,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접착제,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0096A
KR20140070096A KR1020120138181A KR20120138181A KR20140070096A KR 20140070096 A KR20140070096 A KR 20140070096A KR 1020120138181 A KR1020120138181 A KR 1020120138181A KR 20120138181 A KR20120138181 A KR 20120138181A KR 20140070096 A KR20140070096 A KR 20140070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monomer
display panel
cur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8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9436B1 (ko
Inventor
손아람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8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436B1/ko
Publication of KR20140070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0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09J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J159/00 - C09J18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10Presence of inorganic materials
    • C09J2400/14Glass
    • C09J2400/143Glass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는 싸이올(thiol)기가 도입된 모노머, 가교성 모노머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착제,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ADHESIV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ADHESIV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THE SAME}
본 발명은 접착제,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공정이 용이하고 신뢰성이 우수한 접착제,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CRT : 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의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 전계방출표시장치(FED : 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표시장치(PDP : Plasma Display Panel) 및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LED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이 있다.
표시장치는 표시패널의 전면이 투명한 유리기판으로 이루어져,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표시패널의 전면에 표시패널을 보호할 수 있는 커버기판을 접착한다.
그러나, 표시패널과 커버기판이 접착된 경우, 특히 표시패널의 외곽부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커버기판과 접착되면, 표시패널과 커버기판 사이에 공기층이 존재하게 된다. 이에 따라, 표시패널로부터 방출되는 광과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커버기판과 공기층의 계면 또는 표시패널과 공기층의 계면에서 반사되거나 산란되어 시인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표시패널과 커버기판 사이의 공기층을 접착제로 모두 채우는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이 기술은 표시패널과 커버기판 사이의 굴절률 차이에 따른 입사광의 반사나 산란을 방지하기 위한 자외선 경화형 투명 점착 재료를 사용하여, 경화시간이 매우 짧고, 경화 시 높은 온도를 요구하지 않아 장치 및 설비를 간소화 할 수 있는 동시에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 측면에서 많은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종래 표시패널과 커버기판을 접착하는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커버기판(1)의 일면 테두리에 댐(2)을 도포하고 가경화하여 테두리형상을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댐(2)의 내부에 접착제(3)를 채운 후, 표시패널(4)과 합착한다. 다음에, 상기 댐(2)과 접착제(3)에 UV를 조사하여 완전 경화시켜 표시패널(4)과 커버기판(1)을 접착한다.
그러나, 상기 공정 중 표시패널(4)과 커버기판(1)을 합착하는 과정에서 댐 내부에 채워진 접착제가 댐 밖으로 넘쳐나오게 되고, 댐과 접착제의 경화 속도에 따라 굴절율 차이가 발생하여 이들의 경계면에서 얼룩이 보이게 된다. 또한, 표시패널에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에 의한 차광으로 접착제의 경화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접착제의 경화도 조절이 어려워 재작업(rework)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공정이 용이하고 신뢰성이 우수한 접착제,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는 싸이올(thiol)기가 도입된 모노머, 가교성 모노머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싸이올기가 도입된 모노머는 아크릴계, 실리콘계 및 고무(rubber)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착제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첨가제는 점착 부여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는 커버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제는 싸이올(thiol)기가 도입된 모노머, 가교성 모노머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싸이올기가 도입된 모노머는 아크릴계, 실리콘계 및 고무(rubber)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착제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첨가제는 점착 부여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표시패널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1차 경화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패널과 커버기판을 합착하고 상기 접착제를 2차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제는 싸이올(thiol)기가 도입된 모노머, 가교성 모노머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착제는 슬릿 코팅, 디스펜싱, 스크린 프린팅, 잉크젯 프링팅, 롤 프린팅, 임프린팅 및 스핀 코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착제를 1차 경화하는 단계 후, 상기 접착제는 젤(gel)형으로 가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차 경화는 UV 조사량이 1500 내지 2000mJ/㎠이고 15초 이내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 경화는 상기 2차 경화의 UV 조사량의 35 내지 50%로 15초 이내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은 접착제의 경화정도를 UV 조사량으로 조절함으로써, 댐을 사용하지 않아 얼룩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재작업이 가능하다. 따라서, 공정이 용이하고 신뢰성이 우수한 접착제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표시패널과 커버기판을 접착하는 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싸이올기가 도입된 모노머를 나타낸 구조식.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공정별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접착제를 기판 상에 도포한 직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접착제를 1차 경화 후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상기 도 6의 접착제를 떼어본 후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접착제를 2차 경화한 후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120), 표시패널(120) 상에 접착제(130)를 통해 접착된 커버기판(140)을 포함한다.
보다 자세하게 표시패널(12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15)이 합착되고 그 사이에 표시소자(미도시)가 개재되어 영상을 구현한다. 표시패널(120)은 액정패널(liquid crystal panel),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plasma display panel), 전계방출 표시패널(field emission display panel) 또는 유기전계발광표시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패널(120)이 액정패널인 것을 예로 설명하면, 액정패널(120)은 화상이 구현되는 부분으로,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설로 대향하여 합착된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15)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TFT 어레이 기판으로 불리는 제1 기판(110)에는 다수의 스캔 라인과 데이터 라인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교차하여 복수의 화소가 정의될 수 있다. 각각의 화소에는 신호를 온/오프할 수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TFT)가 구비되고, 박막 트랜지스터에 각각 연결된 화소전극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컬러필터 기판으로 불리는 제2 기판(115)에는 복수의 화소에 각각 대응되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컬러필터 및 이들을 각각 둘러싸며 스캔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비표시소자를 가리는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들을 덮는 투명한 공통전극이 구비될 수 있다.
표시패널(120)의 제1 기판(110) 상에 커버기판(140)이 접착제(130)를 통해 접착된다. 커버기판(140)은 강화유리 또는 강화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지며, 표시패널(120)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표시패널(120)과 커버기판(140) 사이에 접착제(130)가 개재되는데, 하기에서는 접착제(13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는 UV(ultra violet) 경화되는 UV 경화형 접착제로 싸이올기(-SH)가 도입된 모노머, 가교성 모노머, 광개시제 및 첨가제를 포함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싸이올기가 도입되는 모노머는 접착제의 시인성, 코팅성 및 경화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아크릴계, 실리콘계 및 고무계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모노머가 아크릴계일 경우, 2-부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2-부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2-아다만틸아크릴레이트, 2-에틸-2-아다만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메틸-2-아다만틸아크릴레이트, 2-메틸-2-아다만틸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페닐에테르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메틸아다멘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벤조네이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아다만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페닐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아다멘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터트-부틸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알킬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아크릴레이트, 트리메톡시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카르비톨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류; 3-플루오로에틸아크릴레이트, 4-플루오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류; 트리에틸실록실에틸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단독 또는 이종 이상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싸이올기가 도입된 모노머는 다음과 같이 설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싸이올기가 도입된 모노머를 나타낸 구조식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로 표시되는 모노머 예를 들어,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라디칼(radical)의 확산 기능을 하고, 모노머에 도입된 싸이올기(-SH)는 라디칼 스케빈저로 기능하여 라디칼의 확산을 지연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보다 자세하게, 본 발명의 싸이올기가 도입된 모노머에 UV 조사시 반응을 나타낸 하기 반응식을 참조하면, 라디칼 스케빈저로 싸이올기를 도입하면 싸이올기의 H원자가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에 전자 도너의 역할을 하여 UV 조사를 오프(off)하면 자유 라디칼을 스케빈즈(scavenge)하여 경화를 중지하게 된다. 따라서, UV On/Off 스위칭(switching)에 의해 접착제의 경화 상태를 단계적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모노머를 설계할 수 있다.
[반응식]
Figure pat00001
한편,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접착제의 시인성 및 경화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2개 이상의 이중결합을 포함한다. 가교성 모노머는 1,4-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디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디아크릴레이트, 솔비톨트리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디아크릴레이트 유도체, 트리메틸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단독 또는 이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접착제의 경화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폴리[폴리옥시에틸렌 4,4'-아조비스-(4-시아노펜타노에이트),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4-메톡시 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1-카르보니트릴), 디메틸 2,2-아조비스이소부틸레이트; 벤조일퍼옥시드, 라우로일퍼옥시드,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1,1-비스-(t-부틸포옥시)시클로헥산 또는 과산화수소나 과산화물을 포함한 산화 환원형 개시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부톡시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프로리오페논, p-t-부틸트리클로로아세토페논, p-t-부틸디클로로아세토페논, 4-클로로아세토페논, 2,2'-디클로로-4-페녹시아세토페논,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폴리노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폴리노페닐)-부탄-1-온 등의 아세토 페논계 화합물; 벤조페논, p-(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4,4'-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4,4'-디클로로벤조페논, 3,3'-디메틸-2-메톡시벤조페논, 벤조일 안식향산, 벤조일 안식향산 메틸, 4-페닐 벤조페논, 히드록시 벤조페논, 아크릴화 벤조페논, 4,4'-비스(디메틸 아미노)벤조페논,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화합물; 티오크산톤, 2-크롤티오크산톤, 2-메틸티오크산톤, 이소프로필 티오크산톤, 2,4-디에틸 티오크산톤, 2,4-디이소프로필 티오크산톤, 2-클로로 티오크산톤 등의 티오크산톤계 화합물; 벤조인, 벤조인 메틸 에테르, 벤조인 에틸 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 에테르, 벤조 인 이소부틸 에테르, 벤질디메틸케탈 등의 벤조인계 화합물; 2,4,6,-트리클로로 s-트리아진, 2-페닐 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 2-(3',4'-디메톡시 스티릴)-4,6-비스(트리 클로로 메틸)-s-트리아진, 2-(4'-메톡시 나프틸)-4,6-비스(트리클로로 메틸)-s-트리아진, 2-(p-메톡시 페닐)-4,6-비스(트리클로로 메틸)-s-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p-메톡시스티릴-s-트리아진, 2-p-메톡시스티릴-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p-트릴)-4,6-비스(트리클로로 메틸)-s-트리아진, 2-페닐 4,6-비스(트리클로로 메틸)-s-트리아진, 비스(트리클로로메틸)-6-스티릴 s-트리아진, 2-(나프토 1-일)-4,6-비스(트리클로로 메틸)-s-트리아진, 2-(4-메톡시 나프토 1-일)-4,6-비스(트리클로로 메틸)-s-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 메틸(피페로닐)-6-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 메틸(4'-메톡시 스티릴)-6-트리아진 등의 트리아진계 화합물, 2-도데실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2,2-비스-2-클로로페닐-4,5,4,5-테트라페닐-2-1, 2-비이미다졸, 시바 스페셜 케미칼사의 Irgacure369, Irgacure651, Irgacure907, Irgacure819, Darocur TPO, OXE-01, OXE-02, 아데카사의 N-1919, NCI-831등의 화합물을 단독 또는 이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접착제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점착 부여제(tackifier)로, 로진 유도체, 폴리테르펜 수지, 방향족 변성 테르펜 수지 및 그의 수소화물, 테르펜 페놀 수지, 쿠마론·인덴 수지, 지방족계 석유 수지, 방향족계 석유 수지 및 그의 수소화물, 스티렌 또는 치환 스티렌의 저분자 질량 합체 등을 단독 또는 이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는 싸이올기(-SH)가 도입된 모노머, 가교성 모노머, 광개시제 및 첨가제를 포함한다.
이하, 전술한 접착제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공정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액정패널(120)을 준비하고, 액정패널(120)의 일면 전체에 접착제(130)를 도포한다. 이때, 접착제(13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접착제를 사용하며, 접착제(130)는 슬릿 코팅(slit coating)으로 도포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접착제(130)는 디스펜싱, 스크린 프린팅, 잉크젯 프링팅, 롤 프린팅, 임프린팅 및 스핀 코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도포할 수 있다.
이어, 도 4의 (b)를 참조하면, 액정패널(120)에 도포된 접착제(130)에 UV를 조사하여 1차 경화한다. 1차 경화는 UV 조사량이 약 500 내지 1000mJ/㎠로 약 15초 이내에 수행되며, 추후 수행되는 2차 경화의 UV 조사량의 약 35 내지 50%범위로 수행된다. 1차 경화가 수행된 접착제(130)는 젤 형상으로 그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 도 4의 (c)를 참조하면, 접착제(130)가 도포된 액정패널(120)에 커버기판(140)을 진공 합착한다. 그리고, 도 4의 (d)를 참조하면, 커버기판(140)과 액정패널(120) 사이의 접착제(130)에 탈포 공정을 수행한다. 탈포 공정은 접착제 내의 기포를 제거하는 공정이다. 마지막으로, 도 4의 (e)를 참조하면, 커버기판(140)과 액정패널(120) 사이에 도포된 접착제(130)를 2차 경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제조한다. 2차 경화는 UV 조사량이 약 1500 내지 2000mJ/㎠로 약 15초 이내에 수행되어 접착제(130)를 완전히 경화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시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Figure pat00002
메타아크릴레이트(metacrylate), 1.1eq EDC(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및 3eq 소듐설파이드(Na2S)를 용매인 디메틸포르아미드(dimethylformamide)에 넣고 3~4시간 동안 반응시켜, 메타아크릴레이트에 싸이올기를 도입하였다.
Figure pat00003
그리고, 상기 싸이올기가 도입된 메타아크릴레이트, 가교성 모노머로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및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 수지를 90 중량부로 사용하고, 광개시제는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을 5 중량부로 사용하고, 점착 부여제를 5 중량부로 혼합하여 상온에서 24시간 이상 균일하게 혼합하여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접착제를 기판 상에 슬릿 코팅으로 도포한 후, 도포 직후의 접착제를 도 5에 나타내었고, 1차 경화 후의 접착제를 도 6과 7에 나타내었고, 2차 경화 후의 접착제를 도 8에 나타내었다. 이때, 1차 경화시 UV는 1000mJ/㎠의 광량으로 조사하였고, 2차 경화시에는 2000mJ/㎠의 광량으로 조사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기판 상에 접착제가 도포된 직후에는 접착제가 액상의 형태이기 때문에 형상 유지가 불가능하다. 반면, 도 6을 참조하면 접착제의 1차 경화 후에는 접착제가 젤과 같은 반고체(semi-solid) 상태여서 그 형상 유지가 가능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쉽게 제거가 가능해 재작업(rework)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8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접착제의 2차 경화 후에는 완전 고체화(solid)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의 결과, 본 발명의 접착제는 UV 조사량을 조절하여 접착제의 경화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커버기판과 표시패널의 합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재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커버기판과 표시패널의 합착 후에는 완전 경화하여 접착력을 최대화함으로써 커버기판과 표시패널의 합착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20 : 표시패널 130 : 접착제
140 : 커버기판

Claims (11)

  1. 싸이올(thiol)기가 도입된 모노머, 가교성 모노머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싸이올기가 도입된 모노머는 아크릴계, 실리콘계 및 고무(rubber)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첨가제는 점착 부여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4.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는 커버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제는 싸이올(thiol)기가 도입된 모노머, 가교성 모노머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싸이올기가 도입된 모노머는 아크릴계, 실리콘계 및 고무(rubber)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첨가제는 점착 부여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표시패널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1차 경화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패널과 커버기판을 합착하고 상기 접착제를 2차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제는 싸이올(thiol)기가 도입된 모노머, 가교성 모노머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슬릿 코팅, 디스펜싱, 스크린 프린팅, 잉크젯 프링팅, 롤 프린팅, 임프린팅 및 스핀 코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를 1차 경화하는 단계 후, 상기 접착제는 젤(gel)형으로 가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경화는 UV 조사량이 1500 내지 2000mJ/㎠이고 15초 이내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경화는 상기 2차 경화의 UV 조사량의 35 내지 50%로 15초 이내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20138181A 2012-11-30 2012-11-30 접착제,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29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181A KR102029436B1 (ko) 2012-11-30 2012-11-30 접착제,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181A KR102029436B1 (ko) 2012-11-30 2012-11-30 접착제,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096A true KR20140070096A (ko) 2014-06-10
KR102029436B1 KR102029436B1 (ko) 2019-10-07

Family

ID=51125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8181A KR102029436B1 (ko) 2012-11-30 2012-11-30 접착제,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4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270A (ko) * 2015-04-24 2016-1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기판 및 그의 제조방법, 플렉서블 기판을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808A (ko) * 1999-03-09 2000-10-05 한형수 고경도성의 난반사 필름 제조방법
JP2009001655A (ja) * 2007-06-21 2009-01-08 Nippon Kayaku Co Ltd 光硬化型透明接着剤組成物
KR20110105486A (ko) * 2010-03-19 2011-09-27 주식회사 신광화학산업 자외선 경화형 폴리우레탄 접착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디스플레이장치 접착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808A (ko) * 1999-03-09 2000-10-05 한형수 고경도성의 난반사 필름 제조방법
JP2009001655A (ja) * 2007-06-21 2009-01-08 Nippon Kayaku Co Ltd 光硬化型透明接着剤組成物
KR20110105486A (ko) * 2010-03-19 2011-09-27 주식회사 신광화학산업 자외선 경화형 폴리우레탄 접착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디스플레이장치 접착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270A (ko) * 2015-04-24 2016-1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기판 및 그의 제조방법, 플렉서블 기판을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436B1 (ko) 201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5731B1 (ko)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26463B1 (ko)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EP2933793B1 (en) Method for producing image display device, resin dispenser
KR102241901B1 (ko) 광학 적층체 및 그것을 이용한 표시 장치
KR101886432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50056417A1 (en) Adhesive sheet for image display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US20130300954A1 (en) Adhesive sheet for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device, and adhesive resin composition
JP2007009115A (ja) 液晶ディスプレイ向け衝撃吸収用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ディスプレイ用衝撃吸収材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液晶ディスプレイ用光学フィルタ及び液晶ディスプレイ
KR102283948B1 (ko) 표시장치
KR101773202B1 (ko) 접착제, 이를 이용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1771258B1 (ko) 접착제,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TW201928914A (zh) 光硬化性樹脂組合物、及影像顯示裝置之製造方法
JP5202912B2 (ja) 遮光膜と不透明基体とを光硬化性接着樹脂で接着して複合体を得る方法
KR20160062305A (ko) 점착제 조성물 및 표시장치
WO2018037517A1 (ja) 硬化性樹脂組成物、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11874437B2 (en) Black structure and self-luminous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20140070096A (ko) 접착제,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40944A (ko)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TW202141130A (zh) 圖像顯示裝置之製造方法
WO2018038226A1 (ja) 硬化性樹脂組成物、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2040656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8058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12133062A (ja) 光学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EP4036895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device
WO2018038217A1 (ja) 硬化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