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9396A - 이송물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이송물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9396A
KR20140069396A KR1020120135750A KR20120135750A KR20140069396A KR 20140069396 A KR20140069396 A KR 20140069396A KR 1020120135750 A KR1020120135750 A KR 1020120135750A KR 20120135750 A KR20120135750 A KR 20120135750A KR 20140069396 A KR20140069396 A KR 20140069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er
supporting
frame
elastic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5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4453B1 (ko
Inventor
이태연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5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4453B1/ko
Publication of KR20140069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9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65G47/19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material flow, e.g. to prevent over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01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with the conveyor adjustably mounted on the supporting frame or ba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33Position of the art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ging Conveyor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이송물 공급장치는, 이송물의 낙하가 이루어지는 호퍼부와, 호퍼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이송물의 이송을 안내하는 피더부와, 피더부의 양측을 설정된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와, 피더부의 양측에 위치하며 피더부를 지지하는 탄성력을 가변시켜 피더의 진동을 조절하는 가변지지부와, 탄성지지부와 가변지지부를 지지하는 프레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송물 공급장치{FEEDING DEVICE OF MATERIAL}
본 발명은 이송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더의 양측 지지부를 조절하여 피더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는 이송물의 낙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이송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쓰이는 연료나 원료와 같은 이송물은 복수개의 벨트컨베이어에 의해 원하는 장소로 이송된다. 벨트컨베이어로 공급되기 위한 이송물은 호퍼나 빈에 저장되며, 이러한 이송물은 공급장치에 의해 벨트컨베이어로 공급된다. 공급장치에 구비된 피더는 경사지게 설치되며, 이러한 피더로 공급된 이송물은 피더의 하측으로 흘러내려 벨트컨베이어로 이동된다. 피더의 하부에 설치된 진동발생기는 피더를 진동시키므로, 피더 내측에 있는 이송물은 피더의 하측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4-0055030호(2004.06.26 공개, 발명의 명칭: 고열의 소결광을 이송하는 벨트컨베이어의 소손방지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피더의 양측 지지부를 조절하여 피더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는 이송물의 낙하 방향을 조절하여 벨트컨베이어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는 이송물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물 공급장치는: 이송물의 낙하가 이루어지는 호퍼부와, 호퍼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이송물의 이송을 안내하는 피더부와, 피더부의 양측을 설정된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와, 피더부의 양측에 위치하며 피더부를 지지하는 탄성력을 가변시켜 피더부의 진동을 조절하는 가변지지부 및 탄성지지부와 가변지지부를 지지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호퍼부는, 이송물이 인입되는 입구부와, 입구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피더부에 고정되는 호퍼몸체 및 호퍼몸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송물이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게이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더부는, 호퍼몸체의 하측에 접하여 설치되며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베이스부재와, 베이스부재의 좌우 양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사이드부재 및 사이드부재의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탄성지지부와 가변지지부의 상측을 지지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지지부는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부재에 상측이 지지되며, 상기 프레임부에 하측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변지지부는, 탄성지지부의 내측을 관통하여 고정부재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이동몸체와, 이동몸체와 탄성지지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가압부재와, 이동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가압부재의 하측을 지지하는 받침부재와, 이동몸체의 하측에 연결되어 받침부재와 같이 상하 이동되는 연결부재 및 하부는 프레임부에 고정되며 상부는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레임부는, 피더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메인프레임과, 메인프레임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탄성지지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메인프레임에서 연장되어 구동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물 공급장치는, 피더부를 지지하는 가압부재의 탄성력을 가변시켜 피더부의 좌우 진동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피더부를 경사지게 지지하여 피더부에서 낙하되는 이송물의 낙하 방향을 조절하므로, 벨트컨베이어의 사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공급장치가 벨트컨베이어의 상측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공급장치를 통하여 이송물이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공급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가 압축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가 압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송물 공급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공급장치가 벨트컨베이어의 상측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공급장치를 통하여 이송물이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공급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가 압축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가 압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공급장치(1)는, 이송물(70)의 낙하가 이루어지는 호퍼부(10)와, 호퍼부(10)의 하측에 위치하며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이송물(70)의 이송을 안내하는 피더부(20)와, 피더부(20)의 양측을 설정된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30)와, 피더부(20)의 양측에 위치하며 피더부(20)를 지지하는 탄성력을 가변시켜 피더부(20)의 진동을 조절하는 가변지지부(40)와, 탄성지지부(30)와 가변지지부(40)를 지지하는 프레임부(50)를 포함한다.
호퍼부(10)는, 낙하되는 이송물(70)을 피더부(20)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부(10)는, 이송물(70)이 인입되는 입구부(12)와, 입구부(12)의 하측에 위치하며 피더부(20)에 고정되는 호퍼몸체(14)와, 호퍼몸체(14)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송물(70)이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게이트부재(16)를 포함한다.
입구부(12)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입구부(12)의 하측에 연결된 호퍼몸체(14)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호퍼몸체(14)의 일측에는 게이트부재(16)가 힌지 연결되므로, 입구부(12)를 통해 호퍼몸체(14)로 이동된 이송물(70)은 게이트부재(16)를 통해 피더부(20)로 이동된다.
호퍼부(10)의 하측에 위치하는 피더부(20)는,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벨트컨베이어(80)로 이송물(70)의 이송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이송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피더부(20)는, 호퍼몸체(14)의 하측에 접하여 설치되며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베이스부재(22)와, 베이스부재(22)의 좌우 양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사이드부재(24)와, 사이드부재(24)의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탄성지지부(30)와 가변지지부(40)의 상측을 지지하는 고정부재(26)를 포함한다.
베이스부재(22)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경사지게 설치되며, 베이스부재(22)의 상측에는 호퍼부(10)가 설치된다.
베이스부재(22)의 하측에는 슈트부(60)가 연결되므로, 호퍼부(10)를 통해 흘러내리는 이송물(70)은 슈트부(60)를 통해 벨트컨베이어(80)의 벨트부재(82)로 낙하된다.
베이스부재(22)의 양측으로 돌출된 사이드부재(24)는 베이스부재(22)의 측방향으로 이송물(70)이 낙하됨을 방지한다.
이러한 피더부(20)의 하측에는 캠이 설치되며, 이러한 캠은 모터에 의해 회전되므로, 피더부(20)에 지속적인 진동이 발생된다.
또는 피더부(20)의 하측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바이브레이터(Vibrator)가 설치되어 피더부(20)를 진동시킬 수 있다.
피더부(20)를 진동시키는 구성과 동작상태는 공지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피더부(20)가 진동되면, 피더부(20)의 내측에 있는 이송물(70)을 피더부(20)의 하측으로 용이하게 이동된다.
사이드부재(24)의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부재(26)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이러한 고정부재(26)의 내측에는 연결공(27)이 형성된다.
고정부재(26)의 하측에 설치되는 탄성지지부(30)는, 피더부(20)의 양측을 설정된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가압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지지부(30)는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부재(26)에 상측이 지지되며, 상기 프레임부(50)에 하측이 지지된다.
탄성지지부(30)의 상측은 고정부재(26)에 접한 상태로 설치되며, 탄성지지부(30)의 하측은 프레임부(50)에 접한 상태로 설치된다.
피더부(20)의 양측에 복수로 설치된 탄성지지부(30)는, 진동되는 피더부(20)를 설정된 탄성력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프레임부(50)의 상측에 피더부(2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피더부(20)의 양측에 위치하는 가변지지부(40)는, 피더부(20)를 지지하는 탄성력을 가변시켜 피더부(20)의 진동을 조절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조절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지지부(40)는, 이동몸체(42)와 가압부재(44)와 받침부재(45)와 연결부재(46)와 구동부(47)를 포함한다.
이동몸체(42)와 연결부재(46)를 이동시키는 구동부(47)는, 유압 또는 공압으로 동작되는 구동몸체(48)와 구동몸체(48)에서 연장되는 로드부재(49)를 포함한다.
구동부(47)의 하부는 프레임부(50)에 고정되며, 구동부(47)의 상부는 연결부재(46)에 연결된다.
구동부(47)의 로드부재(49)에는 연결부재(46)가 설치되며, 이러한 연결부재(46)는 로드부재(49)의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연결부재(46)는, 이동몸체(42)의 하측에 연결되어 받침부재(45)와 같이 상하 이동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46)의 양측에는 막대 형상의 이동몸체(42)가 설치되며, 이러한 이동몸체(42)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동몸체(42)의 하측은 연결부재(46)에 고정되며, 이동몸체(42)의 상측은 프레임부(50)와 고정부재(26)를 차례로 관통하여 고정부재(26)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프레임부(50)의 상측으로 돌출된 이동몸체(42)는 탄성지지부(30)의 내측을 관통하는 상태로 설치되며, 이러한 이동몸체(42)와 탄성지지부(30)의 사이에는 가압부재(44)가 설치된다.
가압부재(44)와 탄성지지부(30)는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압부재(44)의 직경보다 탄성지지부(30)의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이동몸체(4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받침부재(45)는 가압부재(44)의 하측을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재(45)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동몸체(42)의 외측에 돌출된 상태로 고정된다.
탄성지지부(30)와 가변지지부(40)를 지지하는 프레임부(50)는 피더부(20)의 하측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50)는, 피더부(20)의 하측에 위치하는 메인프레임(52)과, 메인프레임(52)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탄성지지부(3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54)과, 메인프레임(52)에서 연장되어 구동부(47)의 하부를 지지하는 고정프레임(56)을 포함한다.
피더부(20)의 하측에 위치하는 메인프레임(52)은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별도의 고정부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메인프레임(52)의 상측으로 돌출된 지지프레임(54)의 내측에는 내측공(55)이 형성되며, 이러한 내측공(55)은 메인프레임(52)과 지지프레임(54)을 종방향으로 관통한다.
탄성지지부(30)의 하측은 지지프레임(54)의 상측에 접한 상태로 지지되며, 이동몸체(42)는 프레임부(50)의 내측공(55)을 통해 종방향으로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공급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부(10)의 입구부(12)로 공급된 이송물(70)은 게이트부재(16)를 통해 베이스부재(22)로 이동한다.
피더부(20)의 하측에 구비된 진동장치에 의해 피더부(20)가 진동되면, 피더부(20)의 베이스부재(22)에 있는 이송물(70)은 피더부(20)의 하측으로 흘러내려서 슈트부(60)를 통해 벨트컨베이어(80)로 낙하한다.
이때, 피더부(20)의 양측에 설치된 탄성지지부(30)와 가압부재(44)에서 피더부(20)를 탄성 지지하므로, 피더부(20)의 진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부재(22)에 이송물(70)이 부착되는 경우에는 베이스부재(22)에서 낙하되는 이송물(70)의 위치가 벨트부재(82)의 측방향으로 편향되어 낙하되므로, 벨트컨베이어(80)가 사행동작을 하게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몸체(48)가 동작되어 로드부재(49)가 상측으로 연장되면, 로드부재(49)에 연결된 연결부재(46)도 상측으로 이동한다.
연결부재(46)에 하측이 고정된 이동몸체(42)와, 이동몸체(42)의 측면에 고정된 받침부재(45)도 상측으로 이동하면, 받침부재(45)에 하부가 지지되는 가압부재(44)도 압축된다.
가압부재(44)의 압축으로 가압부재(44)의 탄성력이 커지게 되므로, 가압부재(44)가 압축된 피더부(20)의 일측은 가압부재(44)의 압축이 이루어지지 않은 피더부(20)의 타측보다 상측으로 들린 상태에서 진동된다.
따라서, 피더부(20)에서 슈트부(60)를 통해 벨트부재(82)로 낙하되는 이송물(70)의 이송위치가 변경되므로, 벨트컨베이어(80)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공급장치(1)는, 피더부(20)를 지지하는 가압부재(44)의 탄성력을 가변시켜 피더부(20)의 좌우 진동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피더부(20)를 경사지게 지지하여 피더부(20)에서 낙하되는 이송물(70)의 낙하 방향을 조절하므로, 벨트컨베이어(80)의 사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이송물 공급장치
10: 호퍼부 12: 입구부
14: 호퍼몸체 16: 게이트부재
20: 피더부 22: 베이스부재
24: 사이드부재 26: 고정부재
27: 연결공 30: 탄성지지부
40: 가변지지부 42: 이동몸체
44: 가압부재 45: 받침부재
46: 연결부재 47: 구동부
48: 구동몸체 49: 로드부재
50: 프레임부 52: 메인프레임
54: 지지프레임 55: 내측공
56: 고정프레임 60: 슈트부
70: 이송물 80: 벨트컨베이어
82: 벨트부재

Claims (6)

  1. 이송물의 낙하가 이루어지는 호퍼부;
    상기 호퍼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물의 이송을 안내하는 피더부;
    상기 피더부의 양측을 설정된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
    상기 피더부의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피더부를 지지하는 탄성력을 가변시켜 상기 피더부의 진동을 조절하는 가변지지부; 및
    상기 탄성지지부와 상기 가변지지부를 지지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물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부는, 상기 이송물이 인입되는 입구부;
    상기 입구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피더부에 고정되는 호퍼몸체; 및
    상기 호퍼몸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물이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게이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물 공급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더부는, 상기 호퍼몸체의 하측에 접하여 설치되며,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의 좌우 양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사이드부재; 및
    상기 사이드부재의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탄성지지부와 상기 가변지지부의 상측을 지지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물 공급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상측이 지지되며, 상기 프레임부에 하측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물 공급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지지부는, 상기 탄성지지부의 내측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이동몸체;
    상기 이동몸체와 상기 탄성지지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가압부재;
    상기 이동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압부재의 하측을 지지하는 받침부재;
    상기 이동몸체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받침부재와 같이 상하 이동되는 연결부재; 및
    하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되며, 상부는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물 공급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피더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탄성지지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서 연장되어 상기 구동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물 공급장치.
KR1020120135750A 2012-11-28 2012-11-28 이송물 공급장치 KR101424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750A KR101424453B1 (ko) 2012-11-28 2012-11-28 이송물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750A KR101424453B1 (ko) 2012-11-28 2012-11-28 이송물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396A true KR20140069396A (ko) 2014-06-10
KR101424453B1 KR101424453B1 (ko) 2014-08-04

Family

ID=51124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5750A KR101424453B1 (ko) 2012-11-28 2012-11-28 이송물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44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8730A1 (en) * 2015-09-28 2017-04-06 Wyo-Ben, Inc. Assembly with pivotable hopper and shaker
CN116281166A (zh) * 2023-05-08 2023-06-23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建筑散装物料输送装置及使用方法
CN116281166B (zh) * 2023-05-08 2024-06-04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建筑散装物料输送装置及使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8199A (ko) 2020-04-16 2021-10-26 그린라임 (주) 이송물 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3925A (ko) * 1999-12-24 2001-07-09 이구택 벨트 콘베이어 과부하 방지장치
KR200265064Y1 (ko) 2001-11-30 2002-02-21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언로우더 피더의 과불출 차단장치
US7216756B2 (en) 2004-11-24 2007-05-15 Martin Engineering Company Constant angle and pressure conveyor belt cleaner and tensioner
JP2010001124A (ja) 2008-06-20 2010-01-07 Taiyo Yuden Co Ltd 供給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8730A1 (en) * 2015-09-28 2017-04-06 Wyo-Ben, Inc. Assembly with pivotable hopper and shaker
US10737202B2 (en) 2015-09-28 2020-08-11 Wyo-Ben, Inc. Assembly with pivotable hopper and shaker
CN116281166A (zh) * 2023-05-08 2023-06-23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建筑散装物料输送装置及使用方法
CN116281166B (zh) * 2023-05-08 2024-06-04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建筑散装物料输送装置及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4453B1 (ko) 2014-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1776B1 (ko) 진동 부품 공급기용 수평 이송 장치
KR101707062B1 (ko) 반송 장치
US10006802B2 (en) Dispersing feed device and combination weighing device comprised of at least two elastic units inclined in different directions with different natural frequencies that can vary a feed direction of articles thereon by changing the driven vibration frequency
KR101424453B1 (ko) 이송물 공급장치
US2819788A (en) Material feeding device
US2533331A (en) Powder dispensing
KR101652847B1 (ko) 평판형 부품의 2중 겹침 방지 및 자동정렬공급장치
KR20170112730A (ko) 포장재 자동 공급장치
JP2012056658A (ja) 粉体供給方法及び粉体供給装置
JPH08324763A (ja) 整列給材設備の整列コンベア装置
KR101720247B1 (ko) 벨트 컨베이어 파손방지장치
KR101399858B1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JP5626771B2 (ja) 直進フィーダ及びそれを用いた組合せ秤
KR101432676B1 (ko) 원형톱 및 밴드톱용 팁 고주파 용접장치의 컨베이어 공급구조를 갖는 팁 공급장치
KR20170046622A (ko) 절단 소재 급속 공급 장치
CN106742292B (zh) 多晶硅块状散料称重装置
TW201544439A (zh) 線材進料量調整裝置
KR101376967B1 (ko) 포장재 자동 공급장치
KR101564432B1 (ko) 스마트 부품 공급 피더
KR101557051B1 (ko) 부품 공급 호퍼
KR20190121989A (ko)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 장치
US10408669B2 (en) Combination weighing device
KR101233151B1 (ko) 진동 부품 공급기용 수평 이송 및 반송 장치
KR102404861B1 (ko) 과일 자동 적재 장치
KR101399872B1 (ko) 슈트용 고착물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