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7386A - 자성 나노입자와 고점성(高粘性) 용액을 이용한 식중독균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자성 나노입자와 고점성(高粘性) 용액을 이용한 식중독균 검출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67386A KR20140067386A KR1020120134544A KR20120134544A KR20140067386A KR 20140067386 A KR20140067386 A KR 20140067386A KR 1020120134544 A KR1020120134544 A KR 1020120134544A KR 20120134544 A KR20120134544 A KR 20120134544A KR 20140067386 A KR20140067386 A KR 201400673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cteria
- magnetic nanoparticles
- magnetic
- bound
- nanoparticl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1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characterised by its particulate form
- G01N33/54326—Magnetic particles
- G01N33/54333—Modification of conditions of immunological binding reaction, e.g. use of more than one type of particle, use of chemical agents to improve binding, choice of incubation time or application of magnetic field during binding reac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C12Q1/04—Determining presence or kind of microorganism; Use of selective media for testing antibiotics or bacteriocides; Compositions containing a chemical indicator therefor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C12Q1/24—Methods of sampling, or inoculating or spreading a sample; Methods of physically isolating an intact microorganism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1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characterised by its particulate form
- G01N33/54326—Magnetic particl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1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characterised by its particulate form
- G01N33/54346—Nanoparticl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01N33/56911—Bacteria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01N33/56911—Bacteria
- G01N33/56916—Enterobacteria, e.g. shigella, salmonella, klebsiella, serratia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 G01N33/58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with a particulate label, e.g. coloured latex
- G01N33/587—Nanoparticl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19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bacteria
- G01N2333/24—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bacteria from Enterobacteriaceae (F), e.g. Citrobacter, Serratia, Proteus, Providencia, Morganella, Yersinia
- G01N2333/255—Salmonella (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중독균 검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등에 오염된 식중독균의 함량을 정량적으로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세균을 측정하는 시료에 상기 세균에 결합 가능한 자성 나노입자를 투입하여 세균에 상기 자성 나노입자를 결합시키는 단계; 자성 나노입자를 분리하는 단계; 자력을 이용하여 분리된 자성 나노입자를 고점성 액체에 투과시켜 세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와 세균이 결합되지 않는 자성 나노입자를 분리하는 단계; 및 세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를 정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고점성 액체에서 자력을 이용하여 자성 나노입자를 분리하는 방식은 세균이 결합되지 않은 자성 나노입자가 고점성 액체에서 띠 형태를 띠면서 세균이 결합되는 자성 나노입자로부터 명확하게 분리된다는 것이다. 원심분리기를 이용하는 경우는 나노입자간의 분리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세균과 결합할 수 있는 자성 나노입자와 자석을 제외하고는 원심분리기와 같은 별도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특히 유용하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세균을 측정하는 시료에 상기 세균에 결합 가능한 자성 나노입자를 투입하여 세균에 상기 자성 나노입자를 결합시키는 단계; 자성 나노입자를 분리하는 단계; 자력을 이용하여 분리된 자성 나노입자를 고점성 액체에 투과시켜 세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와 세균이 결합되지 않는 자성 나노입자를 분리하는 단계; 및 세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를 정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고점성 액체에서 자력을 이용하여 자성 나노입자를 분리하는 방식은 세균이 결합되지 않은 자성 나노입자가 고점성 액체에서 띠 형태를 띠면서 세균이 결합되는 자성 나노입자로부터 명확하게 분리된다는 것이다. 원심분리기를 이용하는 경우는 나노입자간의 분리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세균과 결합할 수 있는 자성 나노입자와 자석을 제외하고는 원심분리기와 같은 별도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특히 유용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중독균 검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등에 오염된 식중독균의 함량을 정량적으로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농식품 중 위해 물질 오염과 잦은 식중독 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며, 최근 10여 년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식품의 유통 전 가공/생산 공정에서 식중독균 오염을 조기에 신속하게 진단하여 식중독의 발생을 방지하고, 식중독 발생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진단 방법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종래 배양 및 생화학적 검사를 통한 방식이 존재하지만, 3~5일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는 방식으로서, 사전에 유통 전 측정 및 진단에 의한 식중독 사고를 방지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어 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에게 허여된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149418호에서는 항체가 포함된 형광나노입자 결합물을 세균 집단에 투입시켜, 상기 형광나노입자 결합물과 부착시킨 다음, 특정세균과 미부착된 형광나노입자 결합물을 제거하고, 형광의 세기를 측정하여 특정세균의 양(量)을 정량화시키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형광나노입자(QD)의 표면에 생체분자인 아비딘층을 형성시킨 후 상기 아비딘층에 바이오틴이 결합된 항체를 반응시켜 형성함으로서 상기 특정세균이 항체와 반응하여 결합하는 방식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Jun ha 등은 Biomaterials 32(2011)1177~1184의 "A multicomponent recognition and separation system established via fluorescent, magnetic, dualencoded multifunctional bioprobes" 논문에서 3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카르복실말단 자성 입자에 형광 입자 및 항체를 결합하여 특정 세균과 결합시킨 후, 자력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방식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항체에 세균이 결합된 입자와 세균이 결합되지 않은 입자를 효율적으로 분리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정량을 위해서는 별도의 형광입자가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항체에 세균이 결합된 입자와 세균이 결합되지 않은 입자를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간편하게 정량화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세균의 함량을 정량화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세균이 항체에 결합된 입자와 세균이 항체에 결합되지 않는 입자를 간편하게 분리하여 신속하게 정량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세균을 측정하는 시료에 상기 세균에 결합 가능한 자성 나노입자를 투입하여 세균에 상기 자성 나노입자를 결합시키는 단계;
자성 나노입자를 분리하는 단계;
자력을 이용하여 분리된 자성 나노입자를 고점성 액체에 투과시켜 세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와 세균이 결합되지 않는 자성 나노입자를 분리하는 단계; 및
세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를 정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자성 나노입자는 세균에 하나 이상의 나노 입자들이 부착될 수 있도록 세균 보다 작은 미세 입자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1~10000 나노미터, 바람직하게는 50~1000 나노미터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세균에 여러 개의 입자들이 결합될 수 있도록 100~500 나노미터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자성 나노입자들은 공지된 방법을 통해서 제조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업적으로 구입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자성 나노입자는 자력에 반응하는 자성을 띤 미세입자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로 상기 자성 나노입자로는 Fe3O4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균은 자성 나노입자가 결합될 수 있는 한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있어서, 상기 세균은 식품 등에 포함되어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는 식중독균이며, 일예로 살모넬라균, 황색포도상구균, 장염비브리오, 리스테리아균, 병원대장균, 장관출혈성 대장균 O157, 캠필로벡터균, 바실러스세레우스균, 웰슈군, 보틀루리스균 등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균에 결합 가능한 자성 나노입자는 표면 또는 내부에 세균과 결합할 수 있는 기능기가 형성되어 세균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세균에 결합될 수 있는 기능기는 세균에 결합 가능한 항체들이며, 특정 세균에 결합할 수 있는 다양한 항체들이 공지되어 있다. 나노입자의 표면에 세균이 결합 가능한 항체를 형성하는 방법은, 본 발명에서 전체로 참고문헌으로 도입되는 Jun ha 등은 Biomaterials 32(2011)1177~1184의 "A multicomponent recognition and separation system established via fluorescent, magnetic, dualencoded multifunctional bioprobes" 논문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 있어서, 상기 항체들은 세균에 결합할 수 있는 공지된 항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세균과 자성 나노입자의 결합은 항원-항체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나의 세균에 다수의 자성 나노입자들이 결합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성 나노입자의 분리는 자력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세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와 세균이 결합되지 않은 비결합 자성 나노입자들이 혼합된 형태로 함께 분리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세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와 세균이 비결합된 자성 나노입자의 혼합물을 자력을 이용하여 고점성 액체를 통과시키면, 동일한 자력에 대해서 상이한 거동, 즉, 고정성 액체를 통과하는 거리가 달라지면서 서로 분리되게 된다. 이론적으로 한정된 것은 아니지만, 하나의 식중독균에는 다수의 자성 나노입자가 결합 가능하며, 이에 따라 생성된 식중독균-자성 나노입자 결합체(이하 결합체)는 비결합 자성 나노입자에 대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하나의 입자와 같은 거동을 보이게 된다. 따라서 결합체는 비결합 자성 나노입자에 비해 외부에서 가해지는 자기장에 의해 더 큰 자기력을 가지게 되며, 자성 나노입자들이 고점성 용액을 통과하도록 유도했을 때 결합체들만이 고점성 액체을 통과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점성 액체는 물보다 높은 점도를 가지는 액체를 의미하며, 자성 나노입자들의 분리에 적합한 액체의 점도는 자력이나 이동하는 거리 등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의 점도에 비해서 10~1000배, 자성 나노입자들이 짧은 거리를 이용하면서 분리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20~200 배 정도의 점도를 가지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상온에서 약 20~100 밀리파스칼·초(mPa·s) 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점성 액체로는 본 발명에서 전체로 참고문헌으로 도입되는 Chuanbin Mao 등은 Adv . Mater . 2011, 23,4880~4885의 "Viscosity Gradient as a Novel Mechanism for the Centrifugation-Based Separation of Nanoparticles" 논문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폴리비닐피롤리돈의 분자량은 5,000~30,000, 바람직하게는 6,000~20,000의 범위, 일예로 분자량 10,000 정도의 폴리비닐피롤리돈을 10~60 중량%의 농도로 사용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고점성 액체 위에 세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와 세균이 비결합된 자성 나노입자의 혼합물을 올려놓고, 하부에서 자력을 제공하면 세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는 바닥까지 내려오게 되는데 반해, 세균이 비결합된 자성 나노입자는 중간에서 멈추면서 상호 분리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있어서, 세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와 세균이 비결합된 자성 나노입자의 혼합물을 피펫으로 흡입하여 피펫 팁으로 빨아들인 후, 고점성 액체를 흡입하여 혼합물이 고점성 액체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다음 자석 위에 위치시켜 세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를 고점성 액체의 하부로 이동시킨 다음, 피펫으로부터 자성 나노입자를 토출시켜 분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피펫을 이용할 경우, 비결합 자성 나노입자에 대한 별도의 제거 과정이 없이 세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만을 분리할 수 있으며 토출량을 항상 일정하게 조절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마이크로 튜브를 이용할 경우, 고점성 용액 상부의 비결합 자성 나노입자를 먼저 제거하는 과정이 이루어져야 균과 결합한 자성 나노입자만을 얻을 수 있고, 고점성 액체 상부의 비결합 자성 나노입자의 제거를 그 정도를 매번 똑같이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는 반면, 피펫을 이용한 세균과 결합한 자성 나노입자의 토출은 그 조절이 훨씬 간단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세균이 결합 되는 자성 나노입자의 정량은 자외선-가시광선 흡광도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서로 다른 자력을 가지는 자성 나노입자를 자력을 이용하여 고점성 액체를 투과시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나노입자 분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고점성 액체에서 자력을 이용하여 자성 나노입자를 분리하는 방식은 세균이 결합되지 않은 자성 나노입자가 고점성 액체에서 띠 형태를 띠면서 세균이 결합되는 자성 나노입자로부터 명확하게 분리된다는 것이다. 원심분리기를 이용하는 경우는 나노 입자간의 분리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세균과 결합할 수 있는 자성 나노입자와 자석을 제외하고는 원심분리기와 같은 별도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특히 유용하다.
도 1은 (a) 자성 나노입자를 이용한 식중독균 분리 (b) 자석을 이용한 식중독균-자성 나노입자 집합체 분리 모식도이다.
도 2는 식중독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와 결합되지 않은 자성 나노입자의 혼합물을 고점성 액체 위에 올려놓은 상태의 모식도와 촬영사진이다.
도 3은 식중독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를 결합되지 않은 자성 나노입자의 혼합물로부터 분리한 상태의 모식도와 촬영사진이다.
도 4는 식중독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와 결합되지 않은 자성 나노입자의 혼합물을 고점성 액체 위에 올려놓고, 각각 원심분리기와 자력으로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촬영사진이다. 식중독균-입자 용액에 대해 분리 전(a), 원심 분리 후(b), 자성 분리 후(c).
도 5는 (a) 분리된 식중독균-자성 나노입자 결합체에 대한 자외선-가시광선 흡광도 (b) 분리된 결합체의 식중독균 농도별 593.68 nm에서의 평균 흡광도, x축은 식중독균의 로그 농도
도 6은 자성 나노 입자와 피펫을 이용한 분리 개념도이다.
도 7은 피펫팁을 이용하여 식중독균이 결합된 자성나노입자를 결합되지 않은 자성 나노입자의 혼합물로부터 분리한 상태의 (a) 모식도와 촬영사진, (b) 분리 전, (c) 분리 후(식중독균이 없는 경우), (d) (c)에 대한 확대사진 (e) 분리 후(식중독균이 있는 경우), (f) (e)에 대한 확대 사진
도 2는 식중독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와 결합되지 않은 자성 나노입자의 혼합물을 고점성 액체 위에 올려놓은 상태의 모식도와 촬영사진이다.
도 3은 식중독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를 결합되지 않은 자성 나노입자의 혼합물로부터 분리한 상태의 모식도와 촬영사진이다.
도 4는 식중독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와 결합되지 않은 자성 나노입자의 혼합물을 고점성 액체 위에 올려놓고, 각각 원심분리기와 자력으로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촬영사진이다. 식중독균-입자 용액에 대해 분리 전(a), 원심 분리 후(b), 자성 분리 후(c).
도 5는 (a) 분리된 식중독균-자성 나노입자 결합체에 대한 자외선-가시광선 흡광도 (b) 분리된 결합체의 식중독균 농도별 593.68 nm에서의 평균 흡광도, x축은 식중독균의 로그 농도
도 6은 자성 나노 입자와 피펫을 이용한 분리 개념도이다.
도 7은 피펫팁을 이용하여 식중독균이 결합된 자성나노입자를 결합되지 않은 자성 나노입자의 혼합물로부터 분리한 상태의 (a) 모식도와 촬영사진, (b) 분리 전, (c) 분리 후(식중독균이 없는 경우), (d) (c)에 대한 확대사진 (e) 분리 후(식중독균이 있는 경우), (f) (e)에 대한 확대 사진
이하, 실시 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기재하고 있지만,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짐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a) 자성 나노입자를 이용한 식중독균 분리 (b) 자석을 이용한 식중독균-자성 나노입자 집합체 분리 모식도이며, 도 2는 식중독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와 결합되지 않은 자성 나노입자의 혼합물을 고점성 액체 위에 올려놓은 상태의 모식도와 촬영사진이고, 도 3은 식중독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를 결합되지 않은 자성 나노입자의 혼합물로부터 분리한 상태의 모식도와 촬영사진이며, 도 4는 식중독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와 결합되지 않은 자성 나노입자의 혼합물을 고점성 액체 위에 올려놓고, 각각 원심분리기와 자력으로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촬영사진이다. 식중독균-입자 용액에 대해 분리 전(a), 원심 분리 후(b), 자성 분리 후(c)이고, 도 5는 (a) 분리된 식중독균-자성 나노입자 결합체에 대한 자외선-가시광 흡광도 (b) 분리된 결합체의 식중독균 농도별 593.68 nm에서의 평균 흡광도를 나타낸다.
1. 시약 및 장비
아이언(III) 클로라이드(Iron(III) chloride, FeCl3),요소(Urea), 소디움 시트레이트(Sodium citrate), 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 아미노프로필 트라이에톡시실레인 ([3-Aminopropyl]triethoxysilane, APTES), 글루타르알데하이드(Glutaraldehyde), 소혈청 알부민 (Bovine serum albumin, BSA)은 시그마-알드리치 社에서 구매되었다.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Fluka 社에서 구매되었다. 식중독균에 대한 항체는 Abcam Inc. 社에서 구매되었다. 탈이온증류수는 상용 초순수제조장치(Human Science 社, 한국)를 이용하여 얻어졌고 자성 나노입자 클러스터 합성 및 Phosphate 버퍼 용액을 만드는데 사용되었다. 비결합 식중독균 및 비결합 자성 나노입자의 분리에 사용된 네오듐 자석은 서울자석 社에서 구매한 것으로 가우스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한 자석의 세기는 30 밀리테슬라이다. 분리된 식중독균-자성 나노입자 결합체에 대한 정량 측정은 Ocean Optics 社의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계를 이용한 흡광도 측정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2. Fe3O4 자성 나노입자 클러스터(이하 자성 나노입자) 합성 및 항체 고정
Fe3O4 자성 나노입자는 one-pot solvothermal method를 이용하여 합성되었다. 먼저 4 밀리몰의 아이언 클로라이드와 12 밀리몰의 요소 그리고 8 밀리몰의 소디움 시트레이트를 80 밀리리터의 물에 녹인다. 그 후, 자석막대를 이용하여 계속 섞어주면서 0.6 그램의 폴리아크릴아마이드를 첨가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반응 용액을 100 밀리리터 부피의 테프론 재질의 오토클레이브 용기에 옮기고 온도를 섭씨 200 도로 12 시간 동안 유지시킴으로써 합성반응을 일으킨다. 그 후 용액을 상온까지 식힌 뒤 합성된 입자들을 자석을 이용하여 모은 뒤 나머지 반응물질들을 버리고 에탄올과 물을 이용하여 수 번 씻어냄으로써 최종적으로 Fe3O4자성 나노입자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얻어진 나노입자의 크기는 약 200 나노미터이다.
합성된 자성 나노입자는 APTES와 글루타르알데하이드와 각각 반응시킴으로써 표면에 아민기가 활성화되고 항체와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그 후 항체와 자성 나노입자를 섞어 항체를 입자 표면에 고정시킨 뒤 BSA 처리를 하여 비선택성 접합(non-specific binding)을 방지함으로써 항체고정을 완료한다.
3. 고점성 용액 준비
본 실험에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이 사용되었으며, 분자량은 8000으로 30 wt%(weight percent)의 농도로 물에 녹임으로써 고점성 용액을 만들 수 있다. 이 고점성 용액의 점도는 상온에서 약 50 밀리파스칼 초(mPa·s)로 보통 물의 점도(0.89 mPa·s)에 비해 약 50 배 이상 높다.
4. 식중독균 검출
본 실험은 살모넬라균[Salmonella typhimurium]을 대상으로 진행된 실험이며 항체가 고정된 자성 나노입자를 식중독균이 들어있는 용액과 섞음으로써 식중독균과 자성 나노입자를 결합시킨 후, 자석을 이용하여 자성 나노입자를 분리해낸다. 그 후, 분리해낸 입자를 버퍼 용액에 분산시킨 뒤 고점성 용액의 상부에 위치시킨 뒤 하부에 네오듐 자석을 위치시킴으로써 식중독균-결합 자성 나노입자를 분리해낸다.
이때 용액의 위쪽에는 비결합 자성 나노입자 층이, 바닥에는 식중독균-결합 자성 나노입자가 각각 존재한다. 따라서 상부의 비결합 자성 나노입자를 먼저 제거함으로써 식중독균-결합 자성 나노입자만을 얻을 수 있다. 식중독균-결합 자성 나노입자의 경우 동적광산란법을 이용하였을 때 약 3~4 마이크로미터의 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측정된다.
분리된 식중독균-결합 자성 나노입자를 자석을 이용하여 100 마이크로미터의 부피로 농축시킨 후, 흡광도를 측정하고 이에 따라 식중독균을 검출이 이루어진다.
비교 실시 예
상기 실시 예에서 피펫 용기를 원심 분리기를 이용해서 분리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 나노입자들이 상층부에서 하층부까지 연속적으로 띠를 이루고 있어 세균이 부착된 자성 나노입자로부터 세균이 부착되지 않은 자성 나노입자를 분리하기 어려웠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1. 시약 및 장비, 2. Fe3O4 자성 나노입자 클러스터(이하 자성 나노입자) 합성 및 항체 고정, 3. 고점성 용액 준비”단계와 식중독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와 결합되지 않은 자성 나노입자의 혼합물을 얻는 과정까지는 동일하게 이루어졌다.
분리된 혼합물을 도 6(a)에서와 같이 피펫을 이용하여 피펫 팁에 빨아들여 담았다. 그 후 도 6(b) 및 도 7(e)에서와 같이, 피펫 팁을 고점성 용액에 담그고 피펫의 부피 조절 바퀴를 돌려서 원하는 만큼 고점성 용액을 피펫 팁에 빨아들여 분리된 혼합물이 고점성 액체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였다.
다음 피펫과 팁을 분리하지 않고 그대로 자석 위에 위치시키면, 도 6(c)와 도7(h)와 같이 식중독균과 결합한 자성 나노입자들이 고점성 용액을 통과해서 피펫 팁 끝에 모이게 된다.
마지막으로 피펫의 부피 조절 바퀴를 돌려서 도 6(d)와 같이 식중독균과 결합한 자성 나노입자만을 분리하였다.
Claims (19)
- 세균을 측정하는 시료에 상기 세균에 결합 가능한 자성 나노입자를 투입하여 세균에 상기 자성 나노입자들을 결합시키는 단계;
자성 나노입자들을 시료에서 분리하는 단계;
자력을 이용하여 분리된 자성 나노입자들을 고점성 액체에 투과시켜 세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와 세균이 결합되지 않는 자성 나노입자로 분리하는 단계; 및
세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를 정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 측정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나노입자는 100~500 나노미터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 측정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나노입자의 표면에 세균의 항체가 형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 측정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균에는 하나 이상의 자성 나노입자들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 측정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균은 식중독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 측정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중독균은 살모넬라균, 황색포도상구균, 장염비브리오, 리스테리아균, 병원대장균, 장관출혈성 대장균 O157, 캠필로벡터균, 바실러스세레우스균, 웰슈군, 보틀루리스균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 측정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점성 액체는 물보다 점도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 측정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점성 액체의 점도는 물의 20~100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 측정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점성 액체는 고분자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측정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점성 액체는 10~50 중량 %의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 측정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시료에서 분리된 자성 나노입자들을 고점성 액체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고점성 액체의 하부에 위치된 자석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 측정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균은 자외선-가시광선 흡광을 이용해서 정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 측정 방법.
- 서로 다른 자력을 가지는 자성 나노입자를 자력을 이용하여 고점성 액체를 투과시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나노입자 분리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점성 액체는 상온에서 약 20~100 밀리파스칼·초(mPa·s)의 점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나노입자 분리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나노입자는 1~10000 나노미터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나노입자 분리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세균에 다수의 자성 나노입자들이 결합되어 서로 다른 자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나노입자 분리 방법.
- 세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들과 세균이 결합되지 않은 자성 나노입자들의 혼합물을 자력에 의해 고점성 액체에 투과시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 측정 방법.
- 세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들과 세균이 결합되지 않은 자성 나노입자들의 혼합물을 피펫팁으로 흡입하는 단계;
고점성 액체를 흡입하는 단계;
자석에 정치시키는 단계; 및
피펫팁에서 자성 나노 입자를 토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세균 분리 방법. - 제 18항에 있어서, 피펫팁이 피펫에 결합된 상태에서 자석위에 정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 분리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4544A KR101523822B1 (ko) | 2012-11-26 | 2012-11-26 | 자성 나노입자와 고점성(高粘性) 용액을 이용한 식중독균 검출방법 |
PCT/KR2013/010765 WO2014081265A1 (ko) | 2012-11-26 | 2013-11-26 | 자성 나노입자와 고점성 용액을 이용한 식중독균 검출방법 |
US14/646,984 US9719989B2 (en) | 2012-11-26 | 2013-11-26 | Method for detecting food poisoning bacteria using magnetic nanoparticles and solution having high viscosit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4544A KR101523822B1 (ko) | 2012-11-26 | 2012-11-26 | 자성 나노입자와 고점성(高粘性) 용액을 이용한 식중독균 검출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7386A true KR20140067386A (ko) | 2014-06-05 |
KR101523822B1 KR101523822B1 (ko) | 2015-05-28 |
Family
ID=50776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4544A KR101523822B1 (ko) | 2012-11-26 | 2012-11-26 | 자성 나노입자와 고점성(高粘性) 용액을 이용한 식중독균 검출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9719989B2 (ko) |
KR (1) | KR101523822B1 (ko) |
WO (1) | WO201408126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527640B (zh) * | 2018-05-25 | 2021-01-26 | 中国农业科学院北京畜牧兽医研究所 | 一种基于纤维素化磁性纳米颗粒富集和分离厌氧纤维降解菌的方法 |
CN115485555A (zh) * | 2020-05-12 | 2022-12-16 | 新加坡国立大学 | 一种用于病毒和生物标志物检测的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79936A (en) * | 1989-12-22 | 1994-01-18 | Syntex (U.S.A.) Inc. | Method of separation employing magnetic particles and second medium |
US6723237B1 (en) * | 1999-01-18 | 2004-04-20 | Precision Systems Science Co., Ltd. | Concentration device using magnetic particles and method therefor |
ATE472110T1 (de) * | 2007-01-12 | 2010-07-15 |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 Sensor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erfassung von magnetischen teilchen |
KR101149418B1 (ko) | 2009-07-14 | 2012-06-27 | 대한민국 | 세균양 측정 방법 |
US20110262989A1 (en) | 2010-04-21 | 2011-10-27 | Nanomr, Inc. | Isolating a target analyte from a body fluid |
-
2012
- 2012-11-26 KR KR1020120134544A patent/KR10152382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
- 2013-11-26 US US14/646,984 patent/US9719989B2/en active Active
- 2013-11-26 WO PCT/KR2013/010765 patent/WO2014081265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9719989B2 (en) | 2017-08-01 |
KR101523822B1 (ko) | 2015-05-28 |
US20150293083A1 (en) | 2015-10-15 |
WO2014081265A1 (ko) | 2014-05-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Bhardwaj et al. | MOF–bacteriophage biosensor for highly sensitive and specific detec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 |
Bu et al. | Dual recognition strategy and magnetic enrichment based lateral flow assay toward Salmonella enteritidis detection | |
Weatherall et al. | Applications of tunable resistive pulse sensing | |
JP6716683B2 (ja) | 安定なナノ磁性粒子分散 | |
HuiáShin et al. | A facile and sensitive detection of pathogenic bacteria using magnetic nanoparticles and optical nanocrystal probes | |
JP2021073465A (ja) | 被分析物の抽出、濃縮及び検出を一体化するためのデバイス | |
Hung et al. | Magnetic nanoparticle-based immunoassay for rapid detection of influenza infections by using an integrated microfluidic system | |
Ilhan et al. | The coupling of immunomagnetic enrichment of bacteria with paper-based platform | |
Bole et al. | Advanced materials for the recognition and capture of whole cells and microorganisms | |
Chen et al. | One-step detection of pathogens and cancer biomarkers by the naked eye based on aggregation of immunomagnetic beads | |
KR20110058711A (ko) | 나노입자를 이용한 미생물의 고속 검출방법 | |
Zhu et al. | Cooperation mode of outer surface and inner space of nanochannel: separation-detection system based on integrated nanochannel electrode for rapid and facile detection of Salmonella | |
KR20140094035A (ko) | Dna 라벨 형광 자성 코어/쉘 나노입자를 이용하는 바이오액티브 물질의 검출방법 | |
Wang et al. | Sensitive quantification and visual detection of bacteria using CdSe/ZnS@ SiO 2 nanoparticles as fluorescent probes | |
Matta et al. | AuNP-RF sensor: An innovative application of RF technology for sensing pathogens electrically in liquids (SPEL) within the food supply chain | |
Han et al. | Recent advances in magnetic nanoparticle-based microfluidic devices for the pretreatment of pathogenic bacteria | |
KR20120088202A (ko) | 미생물 검출용 바이오센서 | |
KR101523822B1 (ko) | 자성 나노입자와 고점성(高粘性) 용액을 이용한 식중독균 검출방법 | |
Nistler et al. | Magnetic nanocomposites: versatile tool for the combination of immunomagnetic separation with flow-based chemiluminescence immunochip for rapid biosensing of Staphylococcal enterotoxin B in milk | |
Du et al. | A novel lateral flow immunoassay strip based on a label-free magnetic Fe 3 O 4@ UiO-66-NH 2 nanocomposite for rapid detec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 |
KR101639862B1 (ko) | 식중독균 신속 검출을 위한 초고효율 자성 나노입자 포집 장치 | |
Li et al. | Detection of pathogen based on the catalytic growth of gold nanocrystals | |
KR101573896B1 (ko) | 자성 나노입자와 고점성(高粘性) 용액을 이용한 피펫 기반 병원성 단백질 및 미생물 검출방법 | |
Wang et al. | Facile preparation of a multifunctional fluorescent nanosensor for chemical and biological applications | |
Qin et al. | Magnetically optimized surface enhanced Raman scattering detection strategy and its sensing application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