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81265A1 - 자성 나노입자와 고점성 용액을 이용한 식중독균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자성 나노입자와 고점성 용액을 이용한 식중독균 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81265A1
WO2014081265A1 PCT/KR2013/010765 KR2013010765W WO2014081265A1 WO 2014081265 A1 WO2014081265 A1 WO 2014081265A1 KR 2013010765 W KR2013010765 W KR 2013010765W WO 2014081265 A1 WO2014081265 A1 WO 201408126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agnetic nanoparticles
bacteria
magnetic
viscous liquid
highly visc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1076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전상민
권동훈
주진명
박기환
한상배
이화정
김규헌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식품의약품안전처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식품의약품안전처장)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US14/646,984 priority Critical patent/US9719989B2/en
Publication of WO201408126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8126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1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characterised by its particulate form
    • G01N33/54326Magnetic particles
    • G01N33/54333Modification of conditions of immunological binding reaction, e.g. use of more than one type of particle, use of chemical agents to improve binding, choice of incubation time or application of magnetic field during binding rea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C12Q1/04Determining presence or kind of microorganism; Use of selective media for testing antibiotics or bacteriocides; Compositions containing a chemical indicator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C12Q1/24Methods of sampling, or inoculating or spreading a sample; Methods of physically isolating an intact microorganis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1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characterised by its particulate form
    • G01N33/54326Magnetic p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1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characterised by its particulate form
    • G01N33/54346Nanop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01N33/56911Bacteri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01N33/56911Bacteria
    • G01N33/56916Enterobacteria, e.g. shigella, salmonella, klebsiella, serrati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 G01N33/58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with a particulate label, e.g. coloured latex
    • G01N33/587Nanop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19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bacteria
    • G01N2333/24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bacteria from Enterobacteriaceae (F), e.g. Citrobacter, Serratia, Proteus, Providencia, Morganella, Yersinia
    • G01N2333/255Salmonella (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tecting food poisoning bacteria,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quantitatively and rapidly separating the content of food poisoning bacteria contaminated with food and the like.
  • the fluorescent nanoparticle conjugate containing the antibody is added to the bacterial population, attached with the fluorescent nanoparticle conjugate, and then attached to a specific bacterium and fluorescence is not attached.
  • Disclosed is a method of quantifying the amount of a particular bacterium by removing the nanoparticle binder and measuring the intensity of fluorescence. To this end, by forming an avidin layer as a biomolecule on the surface of the fluorescent nanoparticles (QD) and then reacting the biotin-bound antibody to the avidin layer to form a specific bacterium reacts and binds to the antibody. .
  • the problem to be sol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method that can quantify the content of bacteria.
  •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method that can quickly quantify the particles to which the bacteria are bound to the antibody and the particles that are not bound to the antibody can be quickly quantified.
  • Coupling the magnetic nanoparticles to the bacteria by injecting magnetic nanoparticles capable of binding to the bacteria into a sample for measuring the bacteria;
  • the magnetic nanoparticles may be used fine particles smaller than the bacteria so that one or more nanoparticles can be attached to the bacteria.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y 1 to 10000 nanometers, preferably 50 to 1000 nanometers, and more preferably has a size of 100 to 500 nanometers so that several particles can be bonded to a single bacterium. Do.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ic nanoparticles may be prepared and used through known methods, and may be purchased and used commercially. For example, magnetic nanoparticles may be understood as magnetic microparticles reacting to magnetic force. do.
  • the magnetic nanoparticles may be used Fe 3 O 4 .
  • the bacteria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magnetic nanoparticles can be bound, an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teria are food poisoning bacteria that can cause food poisoning by being included in foods, for example Salmonella, yellow. Staphylococcus aureus, enteritis vibrio, Listeria, pathogenic E. coli, intestinal hemorrhagic Escherichia coli O157, Campylovector bacteria, Bacillus cereus, Welsh and Bacillus.
  • Salmonella yellow. Staphylococcus aureus, enteritis vibrio, Listeria, pathogenic E. coli, intestinal hemorrhagic Escherichia coli O157, Campylovector bacteria, Bacillus cereus, Welsh and Bacillus.
  • the magnetic nanoparticles capable of binding to bacteria are functional groups capable of binding to bacteria on the surface or inside thereof to be bonded to the bacteria.
  • the functional groups capable of binding to bacteria are antibodies capable of binding to bacteria, and various antibodies are known that can bind to specific bacteria.
  • As a method for forming a bacterium-binding antibody on the surface of nanoparticles Jun ha et al.,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are described in "A multicomponent recognition and separation system established via fluorescent," in Biomaterials 32 (2011) 1177-1184 magnetic, dualencoded multifunctional bioprobes ".
  • the antibodies may use a known antibody capable of binding to bacteria.
  • the binding of the bacteria and the magnetic nanoparticles may be made of antigen-antibody binding, and a plurality of magnetic nanoparticles may be bound to one bacterium.
  • the magnetic nanoparticles are separated by a magnetic force, and the magnetic nanoparticles to which bacteria are bound and the non-bonded magnetic nanoparticles to which the bacteria are not bound are separated together in a mixed form.
  • a single food poisoning bacterium can bind a plurality of magnetic nanoparticles, and the resulting food poisoning bacteria-magnetic nanoparticle bind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inder) is one particle that is relatively large relative to the non-binding magnetic nanoparticles. You will see the same behavior. Therefore, the binder has a larger magnetic force by the external magnetic field than the non-bonded magnetic nanoparticles, and only the binders pass through the highly viscous liquid when the magnetic nanoparticles are led through the highly viscous solution.
  • the high viscosity liquid refers to a liquid having a higher viscosity than water under the same conditions
  • the viscosity of the liquid suitable for the separation of the magnetic nanoparticles can be determined by the magnetic force or the moving distance.
  • an aqueous polyvinylpyrrolidone solution can be used, and the molecular weight of polyvinylpyrrolidone is 5,000 Polyvinylpyrrolidone in the range of ⁇ 30,000, preferably 6,000 to 20,000, for example, molecular weight of about 10,000, may be used at a concentration of 10 to 60% by weight.
  • a mixture of magnetically bonded magnetic nanoparticles and non-bacterial magnetic nanoparticles is placed on a highly viscous liquid, and when the magnetic force is provided from the bottom, the magnetically bound magnetic nanoparticles are brought to the bottom.
  • non-bound magnetic nanoparticl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stopping in the middle.
  • the mixture after inhaling a mixture of magnetic nanoparticles with bacteria and magnetic nanoparticles with no bacteria with a pipette and sucking it with a pipette tip, the mixture is inhaled with a highly viscous liquid. It is positioned at the top, and then placed on the magnet to move the magnetic nanoparticles to which the bacteria are boun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ighly viscous liquid, and then separated by ejecting the magnetic nanoparticles from the pipette.
  • the pipette When using the pipett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eparate only the magnetic nanoparticles to which bacteria are bound without a separate removal process for the non-bonded magnetic nanoparticle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ischarge amount can be constantly controlled.
  • the process of removing the non-bonded magnetic nanoparticles on the highly viscous solution must be performed first to obtain only the magnetic nanoparticles bound to the bacteria, and to remove the non-bonded magnetic nanoparticles on the highly viscous liquid. While the same problem is difficult to control every time, the discharge of magnetic nanoparticles combined with bacteria using a pipette is much simpler to control.
  • the quantification of magnetic nanoparticles to which bacteria are bound may use ultraviolet-visible absorbanc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separating magnetic nanoparticles, characterized in that magnetic nanoparticles having different magnetic forces are separated by permeation of a highly viscous liquid using magnetic force.
  • the method of separating the magnetic nanoparticles by using magnetic force in the high viscosity liquid is clearly from the magnetic nanoparticles to which the bacteria are bound while the magnetic nanoparticles to which the bacteria are not bound have a band form in the high viscosity liquid. It is separated.
  • a centrifug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solution between nanoparticles is poor.
  •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particularly useful in that i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device such as a centrifuge except for magnetic nanoparticles and magnets that can bind bacteria.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eparation of food poisoning bacteria using magnetic nanoparticles (b) separation of food poisoning bacteria-magnetic nanoparticle aggregates using a magnet.
  • FIG. 2 is a schematic view and a photograph of a state in which a mixture of magnetic nanoparticles in which food poisoning bacteria are bound and magnetic nanoparticles not bonded is placed on a high viscosity liquid.
  • FIG. 2 is a schematic view and a photograph of a state in which a mixture of magnetic nanoparticles in which food poisoning bacteria are bound and magnetic nanoparticles not bonded is placed on a high viscosity liquid.
  •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and a photograph of a state in which the food poisoning bacteria-bound magnetic nanoparticles are separated from the mixture of unbound magnetic nanoparticles.
  • FIG. 4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a mixture of magnetic nanoparticles that are not bound to food poisoning bacteria and magnetic nanoparticles that are not bound is placed on a highly viscous liquid, and separated by a centrifuge and magnetic force, respectively.
  •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of separation using magnetic nanoparticles and a pipette.
  • Figure 7 is a (a) schematic and photographic photograph of the state in which the magnetic nanoparticles to which food poisoning bacteria are bound from a mixture of unbound magnetic nanoparticles using a pipette tip, (b) before separation, (c) after separation (food poisoning bacteria) Free), (d) enlarged view of (c) (e) after separation (if food poisoning bacteria is present), (f) enlarged view of (e)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eparation of food poisoning bacteria using magnetic nanoparticles (b) separation of food poisoning bacteria-magnetic nanoparticle aggregates using magnets, and FIG. 2 shows a mixture of magnetic nanoparticles that are not bound to food nanoparticles to which food poisoning bacteria are bound.
  •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and a photograph taken on a viscous liquid state
  •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and a photograph taken from the mixture of magnetic nanoparticles combined food poisoning bacteria unbonded
  • Figure 4 is a combination of food poisoning bacteria It is a photograph showing the mixture of magnetic nanoparticles not combined with magnetic nanoparticles on a highly viscous liquid and separated by a centrifuge and magnetic force, respectively.
  • Iron (III) chloride (FeCl 3 ), urea, sodium citrate, polyacrylamide, aminopropyl triethoxysilane ([3-Aminopropyl] triethoxysilane , APTES), glutaraldehyde and bovine serum albumin (BSA) were purchased from Sigma-Aldrich. Polyethylene glycol was purchased from Fluka. Antibodies against food poisoning bacteria were Abcam Inc. It was purchased from. Deionized distilled water was obtained using a commercial ultrapure water production system (Human Science, Korea) and used to make magnetic nanoparticle cluster synthesis and phosphate buffer solution.
  • the neodymium magnets used for the separation of unbound food poisoning bacteria and unbound magnetic nanoparticles were purchased from Seoul Magnet Co., Ltd.
  • the strength of the magnets measured using a Gaussian is 30 milles Tesla.
  • Quantitative measurements of the isolated food poisoning bacteria-magnetic nanoparticle conjugates were performed by absorbance measurement using an ultraviolet-visible spectrometer from Ocean Optics.
  • Magnetic Nanoparticles Synthesis of Fe 3 O 4 Magnetic Nanoparticle Clust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Magnetic Nanoparticles) and Antibody Immobilization
  • Fe 3 O 4 magnetic nanoparticles were synthesized using the one-pot solvothermal method. First, 4 mmol iron chloride, 12 mmol urea and 8 mmol sodium citrate are dissolved in 80 milliliters of water. Thereafter, 0.6 grams of polyacrylamide is added while continuing to mix using a magnetic rod. The reaction solution was then transferred to a 100 milliliter volume of Teflon autoclave vessel and the synthesis was carried out by maintaining the temperature at 200 degrees Celsius for 12 hours. After cooling the solution to room temperature, the synthesized particles are collected using a magnet, the remaining reactants are discarded and washed several times with ethanol and water to finally obtain Fe 3 O 4 magnetic nanoparticles. The size of the nanoparticles obtained at this time is about 200 nanometers.
  • the synthesized magnetic nanoparticles react with APTES and glutaraldehyde, respectively, to activate amine groups on the surface and to bind to antibodies.
  • the antibody is then immobilized by mixing the antibody with the magnetic nanoparticles, immobilizing the antibody on the surface of the particle, followed by BSA treatment to prevent non-specific binding.
  • Polyethyleneglycol was used in this experiment.
  • the molecular weight was 8000 and dissolved in water at a concentration of 30 wt% (weight percent) to form a highly viscous solution.
  • the viscosity of this highly viscous solution is about 50 milliPascal seconds (mPa ⁇ s) at room temperature, which is about 50 times higher than that of ordinary water (0.89 mPa ⁇ s).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with Salmonella typhimurium. After mixing magnetic nanoparticles with immobilized antibody with a solution containing food poisoning bacteria, the food poisoning bacteria and magnetic nanoparticles were combined, and the magnetic nanoparticles were separated using a magnet. Do it. Thereafter, the separated particles are dispersed in a buffer solution, placed on top of the highly viscous solution, and a neodymium magnet is placed on the bottom to separate food poisoning bacteria-bound magnetic nanoparticles.
  • Example 1 Reagents and equipment, 2. Fe 3 O 4 magnetic nanoparticle clusters (hereinafter magnetic nanoparticles) synthesis and antibody immobilization, 3. High viscosity solution preparation step and food poisoning bacteria do not bind to the combined magnetic nanoparticles The same procedure was followed to obtain a mixture of magnetic nanoparticles.
  • the separated mixture was soaked into the pipette tip using a pipette as in Figure 6 (a). Then, as shown in Figs. 6 (b) and 7 (e), the pipette tip is immersed in the high viscosity solution and the volumetric wheel of the pipette is turned to suck the high viscosity solution into the pipette tip as desired to separate the mixture into a high viscosity liquid. To be located on top of th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ell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중독균 검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등에 오염된 식중독균의 함량을 정량적으로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세균을 측정하는 시료에 상기 세균에 결합 가능한 자성 나노입자를 투입하여 세균에 상기 자성 나노입자를 결합시키는 단계; 자성 나노입자를 분리하는 단계; 자력을 이용하여 분리된 자성 나노입자를 고점성 액체에 투과시켜 세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와 세균이 결합되지 않는 자성 나노입자를 분리하는 단계; 및 세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를 정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성 나노입자와 고점성 용액을 이용한 식중독균 검출방법
본 발명은 식중독균 검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등에 오염된 식중독균의 함량을 정량적으로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농식품 중 위해 물질 오염과 잦은 식중독 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며, 최근 10여 년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식품의 유통 전 가공/생산 공정에서 식중독균 오염을 조기에 신속하게 진단하여 식중독의 발생을 방지하고, 식중독 발생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진단 방법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종래 배양 및 생화학적 검사를 통한 방식이 존재하지만, 3~5일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는 방식으로서, 사전에 유통 전 측정 및 진단에 의한 식중독 사고를 방지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어 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에게 허여된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149418호에서는 항체가 포함된 형광나노입자 결합물을 세균 집단에 투입시켜, 상기 형광나노입자 결합물과 부착시킨 다음, 특정세균과 미부착된 형광나노입자 결합물을 제거하고, 형광의 세기를 측정하여 특정세균의 양을 정량화시키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형광나노입자(QD)의 표면에 생체분자인 아비딘층을 형성시킨 후 상기 아비딘층에 바이오틴이 결합된 항체를 반응시켜 형성함으로서 상기 특정세균이 항체와 반응하여 결합하는 방식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Jun ha 등은 Biomaterials 32(2011)1177~1184의 "A multicomponent recognition and separation system established via fluorescent, magnetic, dualencoded multifunctional bioprobes" 논문에서 3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카르복실말단 자성 입자에 형광 입자 및 항체를 결합하여 특정 세균과 결합시킨 후, 자력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방식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항체에 세균이 결합된 입자와 세균이 결합되지 않은 입자를 효율적으로 분리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정량을 위해서는 별도의 형광입자가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항체에 세균이 결합된 입자와 세균이 결합되지 않은 입자를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간편하게 정량화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세균의 함량을 정량화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세균이 항체에 결합된 입자와 세균이 항체에 결합되지 않는 입자를 간편하게 분리하여 신속하게 정량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세균을 측정하는 시료에 상기 세균에 결합 가능한 자성 나노입자를 투입하여 세균에 상기 자성 나노입자를 결합시키는 단계;
자성 나노입자를 분리하는 단계;
자력을 이용하여 분리된 자성 나노입자를 고점성 액체에 투과시켜 세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와 세균이 결합되지 않는 자성 나노입자를 분리하는 단계; 및
세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를 정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자성 나노입자는 세균에 하나 이상의 나노 입자들이 부착될 수 있도록 세균 보다 작은 미세 입자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1~10000 나노미터, 바람직하게는 50~1000 나노미터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세균에 여러 개의 입자들이 결합될 수 있도록 100~500 나노미터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자성 나노입자들은 공지된 방법을 통해서 제조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업적으로 구입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자성 나노입자는 자력에 반응하는 자성을 띤 미세입자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성 나노입자로는 Fe3O4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균은 자성 나노입자가 결합될 수 있는 한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있어서, 상기 세균은 식품 등에 포함되어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는 식중독균이며, 일예로 살모넬라균, 황색포도상구균, 장염비브리오, 리스테리아균, 병원대장균, 장관출혈성 대장균 O157, 캠필로벡터균, 바실러스세레우스균, 웰슈군, 보틀루리스균 등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균에 결합 가능한 자성 나노입자는 표면 또는 내부에 세균과 결합할 수 있는 기능기가 형성되어 세균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세균에 결합될 수 있는 기능기는 세균에 결합 가능한 항체들이며, 특정 세균에 결합할 수 있는 다양한 항체들이 공지되어 있다. 나노입자의 표면에 세균이 결합 가능한 항체를 형성하는 방법은, 본 발명에서 전체로 참고문헌으로 도입되는 Jun ha 등은 Biomaterials 32(2011)1177~1184의 "A multicomponent recognition and separation system established via fluorescent, magnetic, dualencoded multifunctional bioprobes" 논문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 있어서, 상기 항체들은 세균에 결합할 수 있는 공지된 항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세균과 자성 나노입자의 결합은 항원-항체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나의 세균에 다수의 자성 나노입자들이 결합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성 나노입자의 분리는 자력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세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와 세균이 결합되지 않은 비결합 자성 나노입자들이 혼합된 형태로 함께 분리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세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와 세균이 비결합된 자성 나노입자의 혼합물을 자력을 이용하여 고점성 액체를 통과시키면, 동일한 자력에 대해서 상이한 거동, 즉, 고정성 액체를 통과하는 거리가 달라지면서 서로 분리되게 된다. 이론적으로 한정된 것은 아니지만, 하나의 식중독균에는 다수의 자성 나노입자가 결합 가능하며, 이에 따라 생성된 식중독균-자성 나노입자 결합체(이하 결합체)는 비결합 자성 나노입자에 대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하나의 입자와 같은 거동을 보이게 된다. 따라서 결합체는 비결합 자성 나노입자에 비해 외부에서 가해지는 자기장에 의해 더 큰 자기력을 가지게 되며, 자성 나노입자들이 고점성 용액을 통과하도록 유도했을 때 결합체들만이 고점성 액체을 통과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점성 액체는 동일한 조건에서 물보다 높은 점도를 가지는 액체를 의미하며, 자성 나노입자들의 분리에 적합한 액체의 점도는 자력이나 이동하는 거리 등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의 점도에 비해서 10~1000배, 자성 나노입자들이 짧은 거리를 이용하면서 분리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20~200 배 정도의 점도를 가지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상온에서 약 20~100 밀리파스칼·초(mPa·s) 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점성 액체로는 본 발명에서 전체로 참고문헌으로 도입되는 Chuanbin Mao 등은 Adv. Mater. 2011, 23,4880~4885의 "Viscosity Gradient as a Novel Mechanism for the Centrifugation-Based Separation of Nanoparticles" 논문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폴리비닐피롤리돈의 분자량은 5,000~30,000, 바람직하게는 6,000~20,000의 범위, 일예로 분자량 10,000 정도의 폴리비닐피롤리돈을 10~60 중량%의 농도로 사용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고점성 액체 위에 세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와 세균이 비결합된 자성 나노입자의 혼합물을 올려놓고, 하부에서 자력을 제공하면 세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는 바닥까지 내려오게 되는데 반해, 세균이 비결합된 자성 나노입자는 중간에서 멈추면서 상호 분리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있어서, 세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와 세균이 비결합된 자성 나노입자의 혼합물을 피펫으로 흡입하여 피펫 팁으로 빨아들인 후, 고점성 액체를 흡입하여 혼합물이 고점성 액체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다음 자석 위에 위치시켜 세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를 고점성 액체의 하부로 이동시킨 다음, 피펫으로부터 자성 나노입자를 토출시켜 분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피펫을 이용할 경우, 비결합 자성 나노입자에 대한 별도의 제거 과정이 없이 세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만을 분리할 수 있으며 토출량을 항상 일정하게 조절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마이크로 튜브를 이용할 경우, 고점성 용액 상부의 비결합 자성 나노입자를 먼저 제거하는 과정이 이루어져야 균과 결합한 자성 나노입자만을 얻을 수 있고, 고점성 액체 상부의 비결합 자성 나노입자의 제거를 그 정도를 매번 똑같이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는 반면, 피펫을 이용한 세균과 결합한 자성 나노입자의 토출은 그 조절이 훨씬 간단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세균이 결합 되는 자성 나노입자의 정량은 자외선-가시광선 흡광도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서로 다른 자력을 가지는 자성 나노입자를 자력을 이용하여 고점성 액체를 투과시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나노입자 분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고점성 액체에서 자력을 이용하여 자성 나노입자를 분리하는 방식은 세균이 결합되지 않은 자성 나노입자가 고점성 액체에서 띠 형태를 띠면서 세균이 결합되는 자성 나노입자로부터 명확하게 분리된다는 것이다. 원심분리기를 이용하는 경우는 나노 입자간의 분리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세균과 결합할 수 있는 자성 나노입자와 자석을 제외하고는 원심분리기와 같은 별도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특히 유용하다.
도 1은 (a) 자성 나노입자를 이용한 식중독균 분리 (b) 자석을 이용한 식중독균-자성 나노입자 집합체 분리 모식도이다.
도 2는 식중독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와 결합되지 않은 자성 나노입자의 혼합물을 고점성 액체 위에 올려놓은 상태의 모식도와 촬영사진이다.
도 3은 식중독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를 결합되지 않은 자성 나노입자의 혼합물로부터 분리한 상태의 모식도와 촬영사진이다.
도 4는 식중독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와 결합되지 않은 자성 나노입자의 혼합물을 고점성 액체 위에 올려놓고, 각각 원심분리기와 자력으로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촬영사진이다. 식중독균-입자 용액에 대해 분리 전(a), 원심 분리 후(b), 자성 분리 후(c).
도 5는 (a) 분리된 식중독균-자성 나노입자 결합체에 대한 자외선-가시광선 흡광도 (b) 분리된 결합체의 식중독균 농도별 593.68 nm에서의 평균 흡광도, x축은 식중독균의 로그 농도
도 6은 자성 나노 입자와 피펫을 이용한 분리 개념도이다.
도 7은 피펫팁을 이용하여 식중독균이 결합된 자성나노입자를 결합되지 않은 자성 나노입자의 혼합물로부터 분리한 상태의 (a) 모식도와 촬영사진, (b) 분리 전, (c) 분리 후(식중독균이 없는 경우), (d) (c)에 대한 확대사진 (e) 분리 후(식중독균이 있는 경우), (f) (e)에 대한 확대 사진
이하, 실시 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기재하고 있지만,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짐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a) 자성 나노입자를 이용한 식중독균 분리 (b) 자석을 이용한 식중독균-자성 나노입자 집합체 분리 모식도이며, 도 2는 식중독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와 결합되지 않은 자성 나노입자의 혼합물을 고점성 액체 위에 올려놓은 상태의 모식도와 촬영사진이고, 도 3은 식중독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를 결합되지 않은 자성 나노입자의 혼합물로부터 분리한 상태의 모식도와 촬영사진이며, 도 4는 식중독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와 결합되지 않은 자성 나노입자의 혼합물을 고점성 액체 위에 올려놓고, 각각 원심분리기와 자력으로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촬영사진이다. 식중독균-입자 용액에 대해 분리 전(a), 원심 분리 후(b), 자성 분리 후(c)이고, 도 5는 (a) 분리된 식중독균-자성 나노입자 결합체에 대한 자외선-가시광 흡광도 (b) 분리된 결합체의 식중독균 농도별 593.68 nm에서의 평균 흡광도를 나타낸다.
1. 시약 및 장비
아이언(III) 클로라이드(Iron(III) chloride, FeCl3),요소(Urea), 소디움 시트레이트(Sodium citrate), 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 아미노프로필 트라이에톡시실레인 ([3-Aminopropyl]triethoxysilane, APTES), 글루타르알데하이드(Glutaraldehyde), 소혈청 알부민 (Bovine serum albumin, BSA)은 시그마-알드리치 社에서 구매되었다.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Fluka 社에서 구매되었다. 식중독균에 대한 항체는 Abcam Inc. 社에서 구매되었다. 탈이온증류수는 상용 초순수제조장치(Human Science 社, 한국)를 이용하여 얻어졌고 자성 나노입자 클러스터 합성 및 Phosphate 버퍼 용액을 만드는데 사용되었다. 비결합 식중독균 및 비결합 자성 나노입자의 분리에 사용된 네오듐 자석은 서울자석 社에서 구매한 것으로 가우스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한 자석의 세기는 30 밀리테슬라이다. 분리된 식중독균-자성 나노입자 결합체에 대한 정량 측정은 Ocean Optics 社의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계를 이용한 흡광도 측정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2. Fe3O4 자성 나노입자 클러스터(이하 자성 나노입자) 합성 및 항체 고정
Fe3O4 자성 나노입자는 one-pot solvothermal method를 이용하여 합성되었다. 먼저 4 밀리몰의 아이언 클로라이드와 12 밀리몰의 요소 그리고 8 밀리몰의 소디움 시트레이트를 80 밀리리터의 물에 녹인다. 그 후, 자석막대를 이용하여 계속 섞어주면서 0.6 그램의 폴리아크릴아마이드를 첨가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반응 용액을 100 밀리리터 부피의 테프론 재질의 오토클레이브 용기에 옮기고 온도를 섭씨 200 도로 12 시간 동안 유지시킴으로써 합성반응을 일으킨다. 그 후 용액을 상온까지 식힌 뒤 합성된 입자들을 자석을 이용하여 모은 뒤 나머지 반응물질들을 버리고 에탄올과 물을 이용하여 수 번 씻어냄으로써 최종적으로 Fe3O4자성 나노입자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얻어진 나노입자의 크기는 약 200 나노미터이다.
합성된 자성 나노입자는 APTES와 글루타르알데하이드와 각각 반응시킴으로써 표면에 아민기가 활성화되고 항체와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그 후 항체와 자성 나노입자를 섞어 항체를 입자 표면에 고정시킨 뒤 BSA 처리를 하여 비선택성 접합(non-specific binding)을 방지함으로써 항체고정을 완료한다.
3. 고점성 용액 준비
본 실험에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이 사용되었으며, 분자량은 8000으로 30 wt%(weight percent)의 농도로 물에 녹임으로써 고점성 용액을 만들 수 있다. 이 고점성 용액의 점도는 상온에서 약 50 밀리파스칼 초(mPa·s)로 보통 물의 점도(0.89 mPa·s)에 비해 약 50 배 이상 높다.
4. 식중독균 검출
본 실험은 살모넬라균[Salmonella typhimurium]을 대상으로 진행된 실험이며 항체가 고정된 자성 나노입자를 식중독균이 들어있는 용액과 섞음으로써 식중독균과 자성 나노입자를 결합시킨 후, 자석을 이용하여 자성 나노입자를 분리해낸다. 그 후, 분리해낸 입자를 버퍼 용액에 분산시킨 뒤 고점성 용액의 상부에 위치시킨 뒤 하부에 네오듐 자석을 위치시킴으로써 식중독균-결합 자성 나노입자를 분리해낸다.
이때 용액의 위쪽에는 비결합 자성 나노입자 층이, 바닥에는 식중독균-결합 자성 나노입자가 각각 존재한다. 따라서 상부의 비결합 자성 나노입자를 먼저 제거함으로써 식중독균-결합 자성 나노입자만을 얻을 수 있다. 식중독균-결합 자성 나노입자의 경우 동적광산란법을 이용하였을 때 약 3~4 마이크로미터의 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측정된다.
분리된 식중독균-결합 자성 나노입자를 자석을 이용하여 100 마이크로미터의 부피로 농축시킨 후, 흡광도를 측정하고 이에 따라 식중독균을 검출이 이루어진다.
비교 실시 예
상기 실시 예에서 피펫 용기를 원심 분리기를 이용해서 분리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 나노입자들이 상층부에서 하층부까지 연속적으로 띠를 이루고 있어 세균이 부착된 자성 나노입자로부터 세균이 부착되지 않은 자성 나노입자를 분리하기 어려웠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1. 시약 및 장비, 2. Fe3O4 자성 나노입자 클러스터(이하 자성 나노입자) 합성 및 항체 고정, 3. 고점성 용액 준비단계와 식중독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와 결합되지 않은 자성 나노입자의 혼합물을 얻는 과정까지는 동일하게 이루어졌다.
분리된 혼합물을 도 6(a)에서와 같이 피펫을 이용하여 피펫 팁에 빨아들여 담았다. 그 후 도 6(b) 및 도 7(e)에서와 같이, 피펫 팁을 고점성 용액에 담그고 피펫의 부피 조절 바퀴를 돌려서 원하는 만큼 고점성 용액을 피펫 팁에 빨아들여 분리된 혼합물이 고점성 액체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였다.
다음 피펫과 팁을 분리하지 않고 그대로 자석 위에 위치시키면, 도 6(c)와 도7(h)와 같이 식중독균과 결합한 자성 나노입자들이 고점성 용액을 통과해서 피펫 팁 끝에 모이게 된다.
마지막으로 피펫의 부피 조절 바퀴를 돌려서 도 6(d)와 같이 식중독균과 결합한 자성 나노입자만을 분리하였다.

Claims (19)

  1. 세균을 측정하는 시료에 상기 세균에 결합 가능한 자성 나노입자를 투입하여 세균에 상기 자성 나노입자들을 결합시키는 단계;
    자성 나노입자들을 시료에서 분리하는 단계;
    자력을 이용하여 분리된 자성 나노입자들을 고점성 액체에 투과시켜 세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와 세균이 결합되지 않는 자성 나노입자로 분리하는 단계; 및
    세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를 정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 측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나노입자는 100~500 나노미터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 측정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나노입자의 표면에 세균의 항체가 형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 측정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균에는 하나 이상의 자성 나노입자들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 측정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균은 식중독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 측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중독균은 살모넬라균, 황색포도상구균, 장염비브리오, 리스테리아균, 병원대장균, 장관출혈성 대장균 O157, 캠필로벡터균, 바실러스세레우스균, 웰슈군, 보틀루리스균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 측정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점성 액체는 물보다 점도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 측정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점성 액체의 점도는 물의 20~100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 측정 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점성 액체는 고분자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측정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점성 액체는 10~50 중량 %의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 측정 방법.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시료에서 분리된 자성 나노입자들을 고점성 액체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고점성 액체의 하부에 위치된 자석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 측정 방법.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균은 자외선-가시광선 흡광을 이용해서 정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 측정 방법.
  13. 서로 다른 자력을 가지는 자성 나노입자를 자력을 이용하여 고점성 액체를 투과시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나노입자 분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점성 액체는 상온에서 약 20~100 밀리파스칼·초(mPa·s)의 점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나노입자 분리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나노입자는 1~10000 나노미터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나노입자 분리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세균에 다수의 자성 나노입자들이 결합되어 서로 다른 자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나노입자 분리 방법.
  17. 세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들과 세균이 결합되지 않은 자성 나노입자들의 혼합물을 자력에 의해 고점성 액체에 투과시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 측정 방법.
  18. 세균이 결합된 자성 나노입자들과 세균이 결합되지 않은 자성 나노입자들의 혼합물을 피펫팁으로 흡입하는 단계;
    고점성 액체를 흡입하는 단계;
    자석에 정치시키는 단계; 및
    피펫팁에서 자성 나노 입자를 토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세균 분리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피펫팁이 피펫에 결합된 상태에서 자석위에 정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 분리 방법.

PCT/KR2013/010765 2012-11-26 2013-11-26 자성 나노입자와 고점성 용액을 이용한 식중독균 검출방법 WO2014081265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646,984 US9719989B2 (en) 2012-11-26 2013-11-26 Method for detecting food poisoning bacteria using magnetic nanoparticles and solution having high viscos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544A KR101523822B1 (ko) 2012-11-26 2012-11-26 자성 나노입자와 고점성(高粘性) 용액을 이용한 식중독균 검출방법
KR10-2012-0134544 2012-11-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81265A1 true WO2014081265A1 (ko) 2014-05-30

Family

ID=50776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10765 WO2014081265A1 (ko) 2012-11-26 2013-11-26 자성 나노입자와 고점성 용액을 이용한 식중독균 검출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719989B2 (ko)
KR (1) KR101523822B1 (ko)
WO (1) WO20140812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7640B (zh) * 2018-05-25 2021-01-26 中国农业科学院北京畜牧兽医研究所 一种基于纤维素化磁性纳米颗粒富集和分离厌氧纤维降解菌的方法
WO2021230821A1 (en) * 2020-05-12 2021-11-18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A method for virus and biomarker dete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9936A (en) * 1989-12-22 1994-01-18 Syntex (U.S.A.) Inc. Method of separation employing magnetic particles and second medium
WO2000042410A1 (en) * 1999-01-18 2000-07-20 Precision System Science Co., Ltd. Concentration device using magnetic particles and method therefor
US20100109653A1 (en) * 2007-01-12 2010-05-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ensor device for and a method of sensing particles
US20110262926A1 (en) * 2010-04-21 2011-10-27 Nanomr, Inc. Extracting low concentrations of bacteria from a samp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418B1 (ko) 2009-07-14 2012-06-27 대한민국 세균양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9936A (en) * 1989-12-22 1994-01-18 Syntex (U.S.A.) Inc. Method of separation employing magnetic particles and second medium
WO2000042410A1 (en) * 1999-01-18 2000-07-20 Precision System Science Co., Ltd. Concentration device using magnetic particles and method therefor
US20100109653A1 (en) * 2007-01-12 2010-05-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ensor device for and a method of sensing particles
US20110262926A1 (en) * 2010-04-21 2011-10-27 Nanomr, Inc. Extracting low concentrations of bacteria from a samp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19989B2 (en) 2017-08-01
KR101523822B1 (ko) 2015-05-28
US20150293083A1 (en) 2015-10-15
KR20140067386A (ko) 201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na et al. Label-free detection of exosomes using a surface plasmon resonance biosensor
Nash et al. Multiplexed enrichment and detection of malarial biomarkers using a stimuli-responsive iron oxide and gold nanoparticle reagent system
JP2021073465A (ja) 被分析物の抽出、濃縮及び検出を一体化するためのデバイス
Weatherall et al. Applications of tunable resistive pulse sensing
Hung et al. Magnetic nanoparticle-based immunoassay for rapid detection of influenza infections by using an integrated microfluidic system
JP6775498B2 (ja) 液滴の内容物を分析する方法及び関連装置
EP3043905B1 (en) New diagnostic assay using particles with magnetic properties
US20130157283A1 (en) Rapid pathogen diagnostic device and method
JP6716683B2 (ja) 安定なナノ磁性粒子分散
KR20110058711A (ko) 나노입자를 이용한 미생물의 고속 검출방법
EP2167215A2 (en) Nonlinear magnetophoretic separation of biological substances
Tobias et al. Polystyrene microparticles with convergently grown mesoporous silica shells as a promising tool for multiplexed bioanalytical assays
WO2014081265A1 (ko) 자성 나노입자와 고점성 용액을 이용한 식중독균 검출방법
WO2021120944A1 (zh) 一种微纳颗粒浓度的检测方法
Yee et al. Ionic liquid aqueous two-phase systems for the enhanced paper-based detection of transferrin and escherichia coli
KR101639862B1 (ko) 식중독균 신속 검출을 위한 초고효율 자성 나노입자 포집 장치
KR101573896B1 (ko) 자성 나노입자와 고점성(高粘性) 용액을 이용한 피펫 기반 병원성 단백질 및 미생물 검출방법
JP5017596B2 (ja) 凝集検査方法
RU2543631C2 (ru) Способ функционализации поверхности магнитных наночастиц
US10969388B2 (en) Assay and kit for detection of endotoxin
Toudeshkchouei et al. Magnetic nanoparticles fabricated/integrated with microfluidics for biological applications: A review
US20210346844A1 (en) Electrokinetic-Based Concentrator Device and Method
US20230070862A1 (en) Systems and method for viral detection
Kaneko et al. Vibration Induced Flow Facilitating Immunoagglutination for Rapid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Nanoparticles
Dehghani New Approaches for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xtracellular Ves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5663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646984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5663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