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7161A -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제 편광 렌즈 - Google Patents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제 편광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7161A
KR20140067161A KR1020147011568A KR20147011568A KR20140067161A KR 20140067161 A KR20140067161 A KR 20140067161A KR 1020147011568 A KR1020147011568 A KR 1020147011568A KR 20147011568 A KR20147011568 A KR 20147011568A KR 20140067161 A KR20140067161 A KR 20140067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omatic polycarbonate
polarizing
film
polyvinyl alcoho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1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2191B1 (ko
Inventor
데루타카 도쿠마루
히데아키 기무라
마사유키 아카키
교스케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엠지시 휠시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엠지시 휠시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67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7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2Polar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634Production of filters
    • B29D11/00644Production of filters polari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3Optical lami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6Coloured within the layer by addition of a colorant, e.g. pigments,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8Impact strength, t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1/00Optical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
    • C08J23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J23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carbonates;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2Bonding of a preformed macromolecular material to the same or other solid material such as metal, glass, leather, e.g. using adhesives
    • C08J5/124Bonding of a preformed macromolecular material to the same or other solid material such as metal, glass, leather, e.g. using adhesives using adhesives based on a macromolecular compon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충격성, 외관이나 안정 피로에 대하여 우수하고, 또한 성형 시의 색조나 투과율의 변화가 적은 편광 렌즈를 얻는다.
폴리바이닐 알코올 필름을 연신하여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고, 양면에 접착층을 개재하여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를 접합한 후에 구면 또는 비구면으로 굽힌 편광 시트를 금형 내에 삽입하고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출하여 성형한 편광 렌즈에 있어서, 이색성 색소가 폴리바이닐 알코올 필름의 표면으로부터 스며들어 있는 영역을 폴리바이닐 알코올 필름 두께의 4분의 1 이하로 한다.

Description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제 편광 렌즈{AROMATIC POLYCARBONATE POLARISING LENS}
본 발명은, 편광 시트를 곡면 형상으로 굽힘 가공한 편광 렌즈, 또는 편광 시트를 곡면 형상으로 굽힘 가공한 후에 한쪽 면에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출하여 성형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제 편광 렌즈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제의 편광 시트는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경량이기 때문에 액정 디스플레이를 비롯하여, 건물의 창이나 자동차의 선 루프, 수상 스포츠, 겨울 스포츠, 낚시 등에 이용하는 선글라스나 고글에 사용되고 있다.
폴리바이닐 알코올 필름을 연신하여 이색성(二色性) 색소로 염색한 편광 필름의 양면에 보호층으로서 접착층을 개재하여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를 붙인 편광 시트(이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라고 기재한다)는 특히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게다가 높은 내열성도 더불어 가지기 때문에, 굽힘 가공이나 사출 성형을 실시하여 얻어지는 선글라스나 고글용의 편광 렌즈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는 광탄성 상수가 크기 때문에, 선글라스나 고글과 같은 구면 또는 비구면의 면 형상으로 굽힘 가공을 실시했을 때에, 위상차에 의한 착색 간섭 줄무늬가 생기기 쉽고, 이 착색 간섭 줄무늬가 외관을 손상시키고, 안정(眼精) 피로를 야기하는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또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를 구면 또는 비구면의 면 형상으로 굽힘 가공한 편광 렌즈에서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의 두께 불균일에 의해 상의 변형이 생겨 버려, 외관을 손상시키고, 안정 피로를 야기하는 등의 문제도 안고 있다.
굽힘 가공을 실시했을 때에 생기는 위상차에 대해서는, 보호층에 사용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에 미리 연신 처리를 실시하여 큰 위상차를 생기게 해 두는 것에 의해, 착색 간섭 줄무늬를 보이지 않게 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이하, 「연신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라고 기재한다)가 알려져 있고(특허문헌 1), 이것은 편광 렌즈 중에서도 외관이나 안정 피로에 대하여 우수한 제품에 사용되고 있다.
한편, 전술한 연신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에 굽힘 가공을 실시하여 형성한 편광 렌즈보다도 더욱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거나, 또는 초점 굴절력을 가지는 교정용 렌즈를 형성할 목적으로, 구면 또는 비구면의 면 형상으로 굽힘 가공한 연신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를 금형 내에 삽입하고,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출하여 성형한 편광 렌즈(이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렌즈」라고 기재한다)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3).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렌즈는, 금형 내에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출하여 충전하기 때문에, 삽입한 연신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의 두께 불균일이 보이지 않게 된다는 이점도 있어, 초점 굴절력을 가지지 않는 렌즈에 있어서도 내충격성, 외관이나 안정 피로에 대하여 특히 우수한 제품에 사용되고 있다.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렌즈와 같이 금형 내에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를 충전하여 얻어지는 렌즈에 있어서는, 양면 각각의 금형의 표면 형상과 양면의 간격을 적절히 설정하는 것에 의해, 성형된 렌즈의 양면 각각의 형상과 두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성형된 렌즈의 초점 굴절력, 프리즘 굴절력 및 상 왜곡(像歪)이 원하는 값이 되도록 광학 설계에 근거하여 금형의 표면 형상과 양면의 간격이 설정된다.
성형된 렌즈의 표면 형상과 성형 시에 접하고 있던 금형의 표면 형상은 많은 경우 동일하지만, 렌즈의 표면 형상에 매우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금형 내에 충전한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가 고화될 때에 생기는 체적 수축에 의한 렌즈 두께의 감소나 표면 형상의 변화를 보상하기 위해서, 양면 각각의 금형의 표면 형상과 양면의 간격을 적절히 미(微)조정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렌즈의 표면에는, 적절히 하드 코팅, 반사 방지막 등이 형성되고, 이어서 옥접(玉摺), 구멍 뚫기, 나사 조임 등에 의해 프레임에 고정되어 선글라스나 고글이 된다.
그런데,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를 구면 또는 비구면의 면 형상으로 굽힘 가공한 편광 렌즈, 또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렌즈에 있어서는, 유리면이나 수면 등을 보았을 때의 눈부심을 저감시킬 목적으로 수평 방향의 편광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더욱 시인성을 향상시키거나 또는 의장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원하는 색조나 투과율이 되도록, 예컨대 회색이나 갈색 등으로 착색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가 사용된다.
편광 렌즈에 있어서는, 편광도를 높이기 위해서 편광 렌즈에 입사한 광의 수평 방향의 편광 성분이 거의 흡수되는 농도가 되도록, 폴리바이닐 알코올 필름에 염착(染着)하는 이색성 색소의 양을 조정하지만, 폴리바이닐 알코올 필름에 대한 이색성 색소의 염착량을 더욱 늘려 가면, 편광 렌즈에 입사한 광의 수직 방향의 편광 성분도 많이 흡수되게 된다.
또한, 폴리바이닐 알코올 필름에 염착시키는 이색성 색소는 단색이 아니라, 여러 색의 이색성 색소가 이용된다. 이 때에, 폴리바이닐 알코올 필름에 대한 이색성 색소의 염착량을 각 색에서 변경하는 것에 의해, 원하는 색조나 투과율의 편광 렌즈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접착층, 또는 보호층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에 염료를 용해한 것을 사용하거나, 또는 전술한 방법과 병용하여,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의 색조나 투과율을 조정할 수도 있다.
일본 특허공개 평03-3990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08-52817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08-313701호 공보
전술한 바와 같이,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를 구면 또는 비구면의 면 형상으로 굽힘 가공하거나, 또는 굽힘 가공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를 추가로 금형 내에 삽입하고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출하여, 내충격성, 외관이나 안정 피로에 대하여 우수한 편광 렌즈가 얻어진다.
그러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를 구면 또는 비구면의 면 형상으로 굽힘 가공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렌즈, 또는 추가로 사출 성형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렌즈에 있어서, 편광 렌즈로의 성형 전후에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의 색조나 투과율이 크게 변화되어 버리고, 제품 간의 차가 커져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 후의 검토에 의해서, 사출 성형에 의해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렌즈를 성형할 때에 있어서는, 굽힘 가공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를 금형으로 냉각하면서 사출 성형하기 때문에,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의 색조나 투과율의 변화가 작고, 실질적으로 변화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를 구면 또는 비구면의 면 형상으로 굽힘 가공한 편광 렌즈, 또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렌즈에 있어서는, 굽힘 가공이 실시될 때에 편광 시트에 사용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유리 전이점 전후의 온도로까지 가열되는 것에 의해,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의 색조나 투과율이 크게 변화되어 버리고, 제품 간의 차가 커져 버린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염료 농도가 높고 투과율이 낮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렌즈는, 염료 농도가 낮고 투과율이 높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렌즈와 비교하여, 성형 전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의 색조나 투과율에 비하여, 성형 후의 색조나 투과율이 크게 변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성형 전후에서의 색조나 투과율의 변화가 크면, 색조나 투과율이 변화되는 양이 일정해지지 않고, 성형한 제품 간에 색조나 투과율의 차가 생겨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폴리바이닐 알코올 필름을 연신하여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고, 양면에 접착층을 개재하여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를 접합하고, 구면 또는 비구면으로 굽힌 편광 렌즈에 있어서, 이색성 색소가 스며들어 있는 영역이 폴리바이닐 알코올 필름의 표면으로부터 폴리바이닐 알코올 필름 두께의 4분의 1 이내의 영역이고, 폴리바이닐 알코올 필름의 두께 방향에서의 중심부는 이색성 색소로 염색되어 있지 않은 편광 렌즈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바이닐 알코올 필름을 연신하여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고, 양면에 접착층을 개재하여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를 접합하고, 구면 또는 비구면으로 굽히고, 해당 편광 시트의 한쪽 면에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출하여 형성한 편광 렌즈에 있어서, 이색성 색소가 폴리바이닐 알코올 필름의 표면으로부터 스며들어 있는 영역이 폴리바이닐 알코올 필름 두께의 4분의 1 이내이고, 폴리바이닐 알코올 필름의 두께 방향에서의 중심부는 이색성 색소로 염색되어 있지 않은 편광 렌즈이다.
본 발명에 의해, 색조나 투과율에 있어서 편광 렌즈로의 성형 전후에서의 변화가 작고 제품 간의 차가 적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렌즈를 안정되게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렌즈에 사용되는 편광 필름의 단면 사진이다. 단면 사진의 〔A〕는 비교예 1의 샘플 No. 〔1〕에, 〔B〕∼〔E〕는 실시예 1의 샘플 No. 〔2〕∼〔5〕에 상당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렌즈에 사용되는 편광 필름의 단면 사진이다. 단면 사진의 〔F〕∼〔I〕는 실시예 2의 샘플 No. 〔6〕∼〔9〕에 상당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렌즈에 사용되는 편광 필름의 단면 사진이다. 단면 사진의 〔J〕∼〔M〕은 실시예 3의 샘플 No. 〔10〕∼〔13〕에 상당한다.
본 발명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렌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편광 필름의 기재가 되는 수지 필름을 수중에서 팽윤시킨 후에, 이색성 색소 등의 염료를 함유하는 염색액에 일방향으로 연신시키면서 함침하는 것에 의해, 이색성 색소를 기재 수지 중에 배향한 상태로 분산시켜, 편광성을 부여한 편광 필름을 얻는다.
이 때에 이용하는 편광 필름의 기재가 되는 수지로서는, 폴리바이닐 알코올류가 이용되고, 이 폴리바이닐 알코올류로서는, 폴리바이닐 알코올(이하, 「PVA」라고 기재한다), PVA의 아세트산 에스터 구조를 미량 남긴 것 및 PVA 유도체 또는 유사체인 폴리바이닐 폼알, 폴리바이닐 아세탈,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 비누화물 등이 바람직하고, 특히 PVA가 바람직하다.
나아가, PVA 필름의 분자량에 대해서는, 연신성과 필름 강도의 점에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0 내지 35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중량 평균 분자량이 150,000 내지 30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PVA 필름을 연신할 때의 배율은, 연신 후의 이색비와 필름 강도의 점에서 2∼8배가 바람직하고, 특히 3∼5배가 바람직하다. 연신 후의 PVA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얇으면 찢어지기 쉽고, 두꺼우면 광 투과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20∼50㎛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 때에 이용하는 염료로서는, PVA 필름에 대한 염색성과 내열성의 점에서 설폰산기를 가지는 아조 색소로 이루어지는 직접 염료가 바람직하고, 편광 필름에서 원하는 색조와 투과율이 얻어지는 농도로 염색액 중에 각 색의 직접 염료를 용해 또는 분산시킨다. 염색액에는 직접 염료 외에, 염색 조제로서 염화나트륨이나 황산나트륨 등의 무기염을 적절히 첨가한다.
본 발명자들은, 편광 필름의 기재가 되는 수지 필름의 표면으로부터 염료가 스며드는 영역의 깊이에 따라,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를 제조하여, 편광 필름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가공성을 유지하면서 굽힘 가공을 실시했을 때의 색조나 투과율의 변화가 상이하며, 편광 필름의 기재가 되는 수지 필름의 표면으로부터 염료가 스며드는 영역이 깊어질수록, 편광 필름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가공성을 유지하면서 굽힘 가공을 실시했을 때의 색조나 투과율의 변화가 커진다는 것을 발견했다.
즉, 본 발명자들은, 편광 필름의 기재가 되는 수지 필름의 표면으로부터 염료가 스며드는 영역이 얕으면, 편광 필름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가공성을 유지하면서 굽힘 가공을 실시했을 때의 색조나 투과율의 변화가 작아지고, 특히 편광 필름의 기재가 되는 수지 필름의 표면으로부터 염료가 스며드는 영역이 수지 필름의 두께의 4분의 1 이내일 때에, 편광 필름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가공성을 유지하면서 굽힘 가공을 실시했을 때의 색조나 투과율의 변화가 작아진다는 것을 발견했다.
수지 필름의 표면으로부터 염료가 스며드는 영역의 깊이는, 염색액의 온도와 침지하는 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
염색액의 온도로서는, 지나치게 높으면 편광 필름의 기재가 되는 수지 필름이 용해되고, 지나치게 낮으면 염료가 스며드는 속도가 지나치게 저하되어서 염색에 장시간을 요하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되어 버리거나, 또는 실온에 지나치게 가까워서 온도 제어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PVA 필름에 있어서는 20℃ 내지 70℃가 바람직하고, 특히 30℃ 내지 45℃가 바람직하다.
침지하는 시간으로서는, 편광 필름의 기재가 되는 수지 필름의 표면으로부터 염료가 스며드는 영역의 깊이가 원하는 깊이로 되는 시간이 선택된다.
편광 필름은, 추가로 금속 화합물 및 붕산에 의해 처리되어 있으면, 우수한 내열성 및 내용제성을 가지므로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이색성 색소 용액 중에서 염색된 상기 편광 필름을 금속 화합물 및 붕산의 혼합 용액에 침지 중 또는 침지 후에 연신하는 방법, 또는 이색성 색소 용액 중에서 염색 및 연신된 상기 편광 필름을 금속 화합물 및 붕산의 혼합 용액에 침지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다.
금속 화합물로서는, 제 4 주기, 제 5 주기, 제 6 주기 중 어느 주기에 속하는 전이 금속이어도 좋다. 그 금속 화합물에는 상기 내열성 및 내용제성 효과가 확인되는 것이 존재하지만, 가격면에서 크로뮴, 망간, 코발트, 니켈, 구리, 아연 등의 제 4 주기 전이 금속의 아세트산염, 질산염, 황산염 등의 금속염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도, 니켈, 망간, 코발트, 아연 및 구리의 화합물이 저렴하고 상기 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에 더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컨대 아세트산 망간(II) 사수화물, 아세트산 망간(III) 이수화물, 질산 망간(II) 육수화물, 황산 망간(II) 오수화물, 아세트산 코발트(II) 사수화물, 질산 코발트(II) 육수화물, 황산 코발트(II) 칠수화물, 아세트산 니켈(II) 사수화물, 질산 니켈(II) 육수화물, 황산 니켈(II) 육수화물, 아세트산 아연(II), 황산 아연(II), 질산 크로뮴(III) 구수화물, 아세트산 구리(II) 일수화물, 질산 구리(II) 삼수화물, 황산 구리(II) 오수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금속 화합물 중, 어느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복수종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금속 화합물 및 붕산의 상기 편광 필름 중의 함유율은, 상기 편광 필름에 내열성 및 내용제성을 부여한다는 점에서, 편광 필름 1g당, 금속 화합물에서는 금속으로서 0.2∼20mg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mg이 더 바람직하다. 붕산의 함유율은 붕소로서 0.3∼30mg이 바람직하고, 0.5∼10mg이 더 바람직하다.
처리에 이용하는 처리액의 조성은 이상의 함유율을 만족시키도록 설정되고, 일반적으로는, 금속 화합물의 농도는 0.5∼30g/L, 붕산 농도는 2∼20g/L인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 필름에 함유되는 금속 및 붕소의 함유율의 분석은 원자 흡광 분석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금속 화합물 및 붕산에 의한 침지 공정에 있어서의 침지 온도로서는, 지나치게 높으면 편광 필름의 기재가 되는 수지 필름이 용해되고, 지나치게 낮으면 실온에 지나치게 가까워서 온도 제어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20℃ 내지 70℃가 바람직하고, 특히 30℃ 내지 45℃가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 화합물 및 붕산에 의한 침지 공정에 있어서의 침지 시간으로서는 0.5∼15분이 바람직하다. 침지 후의 가열 공정의 조건은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120℃의 온도에서 1∼120분간, 바람직하게는 3∼40분간 가열한다.
다음으로, 편광 필름의 양면에 접착층을 개재하여,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지는 보호층을 부착한다. 이 때에 이용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의 수지 재료로서는, 필름 강도, 내열성, 내구성 또는 굽힘 가공성의 점에서,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알케인이나 2,2-(4-하이드록시-3,5-다이할로게노페닐)알케인으로 대표되는 비스페놀 화합물로부터 주지의 방법으로 제조된 중합체가 바람직하고, 그의 중합체 골격에 지방산 다이올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나 에스터 결합을 가지는 구조 단위가 포함되어도 좋고, 특히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으로부터 유도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가 바람직하다.
나아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의 분자량에 대해서는, 시트 자체의 성형의 점에서 점도 평균 분자량으로 12,000∼4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필름 강도, 내열성, 내구성 또는 굽힘 가공성의 점에서, 특히 20,000∼35,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의 위상차값에 대해서는, 착색 간섭 줄무늬를 억제하는 점에서, 하한은 2000nm 이상이고, 상한은 특별히 없지만 필름 제조면에서 20000nm 이하가 바람직하고, 특히 4000nm 이상 20000nm 이하가 바람직하다. 위상차값이 높은 쪽이 착색 간섭 줄무늬를 생기게 하기 어려운 반면, 위상차값이 높은 쪽이 표면 형상의 정밀도가 낮다고 하는 단점이 있다.
이 위상차값이 높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를 편광 필름의 광 입사측, 즉 사람의 눈의 반대측에 이용하는 것에 의해 착색 간섭 줄무늬를 생기게 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편광 필름의 양면에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를 접합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접착제로서는, 아크릴 수지계 재료, 우레탄 수지계 재료, 폴리에스터 수지계 재료, 멜라민 수지계 재료, 에폭시 수지계 재료, 실리콘계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접착층 자체 또는 접착했을 때의 투명성과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와의 접착성의 점에서, 우레탄 수지계 재료인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와 경화제로 이루어지는 2액형의 열경화성 우레탄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를 얻는다.
본 발명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렌즈에 이용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는, 전술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편광 필름과 보호층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를 접착하는 접착제에 있어서, 조광 염료를 용해시킨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작된 조광 기능도 더불어 가지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를 이용해도 좋다. 이와 같이 편광 필름의 보호층에 사용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에 미리 연신 처리를 실시하여 큰 위상차를 생기게 한 연신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를 구면 또는 비구면의 면 형상으로 굽힘 가공하고, 금형 내에 삽입하고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출하여 성형한 편광 렌즈이면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이어서, 연신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에 굽힘 가공이 실시된다.
연신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의 굽힘 가공 조건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사출 성형에 이용하는 금형 표면을 따르도록 굽혀져 있을 필요가 있다. 또한, 편광 필름은 굽힘 가공에 있어서 연신 방향을 따른 균열, 이른바 막 균열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이러한 점에서, 연신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의 굽힘 가공에 있어서의 금형 온도는, 연신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에 사용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유리 전이점 전후의 온도가 바람직하다. 게다가, 예열 처리에 의해 굽힘 가공 직전의 연신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 온도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유리 전이점보다 50℃ 낮은 온도 이상 유리 전이점 미만의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유리 전이점보다 40℃ 낮은 온도 이상 유리 전이점보다 5℃ 낮은 온도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연신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에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출해도 좋다.
사출 성형의 가공 조건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외관이 우수할 필요가 있고, 이 점에서 금형 온도는 연신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에 사용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유리 전이점보다 50℃ 낮은 온도 이상 유리 전이점 미만의 온도가 바람직하며, 특히 유리 전이점보다 40℃ 낮은 온도 이상 유리 전이점보다 15℃ 낮은 온도 미만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하드 코팅 처리를 실시해도 좋다.
하드 코팅의 재질 또는 가공 조건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외관이나 하지(下地)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에 대하여, 또는 계속해서 코팅되는 미러 코팅이나 반사 방지 코팅 등의 무기층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할 필요가 있고, 이 점에서 소성 온도는 연신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에 사용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유리 전이점보다 50℃ 낮은 온도 이상 유리 전이점 미만의 온도가 바람직하고, 특히 유리 전이점보다 40℃ 낮은 온도 이상 유리 전이점보다 15℃ 낮은 온도 미만인 120℃ 전후의 온도가 바람직하며, 하드 코팅의 소성에 요하는 시간은 대략 30분에서 2시간 사이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근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여러 색의 색소를 이용한 경우의 색조는, 사용한 각 색의 색소 380∼780nm의 흡광도의 합으로부터 XYZ 표색계나 L*a*b* 표색계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이색성 색소를 여러 색 사용하고, 폴리바이닐 알코올 필름에 대한 이색성 색소의 염착량을 각 색에서 변경하는 것에 의해, 원하는 색조나 투과율을 얻는 편광 필름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며,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의 성형 전후에서의 색조에 있어서도, 성형 전후의 각 색의 이색성 색소의 흡광도의 합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는 단색의 이색성 색소를 사용하여 성형 전후의 투과율과 색조를 측정하고, 색차를 구했다.
비교예 1
(a) 편광 필름
폴리바이닐 알코올(구라레이주식회사제, 상품명: VF-PS#7500)을 35℃의 수중에서 270초간 팽윤하면서 2배로 연신했다. 그 후, 서밀라이트 레드 4B(C. I. 28160) 및 10g/L의 무수 황산나트륨을 포함하는 35℃의 수용액 중에서 염색했다.
이 염색 필름을 아세트산 니켈 2.3g/L 및 붕산 4.4g/L를 포함하는 수용액 중에 35℃에서 120초간 침지하면서 4배로 연신했다. 그 필름을 긴장 상태가 유지된 상태로 실온에서 3분 건조를 행한 후, 110℃에서 3분간 가열 처리하여, 편광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편광 필름의 두께와 색소가 스며들어 있는 영역을 측정한 결과, 및 사용한 색소의 최대 흡수 파장인 530nm의 편광 필름의 이색비를 표 1 중의 샘플 No. 〔1〕에 나타낸다. 이색비는 다음 식에 의해 구했다.
이색비 = Az/Ax
여기서, Ax는 최대 투과 방향의 직선 편광의 흡광도를 나타내고, Az는 최대 투과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직선 편광의 흡광도를 나타낸다. Ax 및 Az는, 시마즈제작소사제의 분광 광도계(UV-3600)를 이용하여 샘플에 직선 편광을 입사시켜 측정했다.
얻어진 편광 필름의 단면 사진을 도 2의 〔A〕에 나타낸다. 단면 사진은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촬영했다.
(b)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
(a)에서 얻은 편광 필름에 우레탄계의 접착제를 바코터 #12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70℃에서 10분간 건조시킨 후, 두께 0.3mm, 위상차값 5500nm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미쓰비시가스화학사제)의 연신축과 편광 필름의 연신축이 함께 편광 렌즈의 수평 방향이 되도록 라미네이터로 접합했다.
이 적층 시트의 편광 필름측에 상기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접착제를 도포하고, 추가로 1장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를 마찬가지로 접합하여,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를 얻었다. 경화 후의 접착제 도막의 두께는 9∼11㎛였다.
(c)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렌즈의 흡광도의 측정
제작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의 투과율과 색조를 시마즈제작소사제의 분광 광도계(UV-3600)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샘플 No. 〔1〕의 투과율과 L*a*b* 표색계로부터 구한 색조를 표 1에 나타낸다.
(d)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렌즈
(b)에서 얻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를 베이스 커브 7.95(곡률 반경 66.67mm)의 금형을 이용하여 굽힘 가공했다. 굽힘 가공에 있어서는 금형 온도 137℃, 유지 시간 1200초의 조건으로 성형했다. 여기서 말하는 베이스 커브란, 렌즈 전면(前面)의 곡률의 의미로 이용하고 있고, 530을 밀리미터 단위의 곡률 반경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굽힘 가공 후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렌즈에는 편광 필름의 균열은 없었다.
(c)와 마찬가지로 측정한 샘플 No. 〔1〕의 굽힘 가공 후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렌즈의 투과율과 색조, 및 성형 전후의 CIE1976(L*a*b*) 색 공간에 있어서의 색차 ΔE*ab를 표 1에 나타낸다. 색차는 다음 식에 의해 구했다.
색차: (ΔE*ab = ((ΔL*)2+(Δa*)2+(Δb*)2)1/2
실시예 1
염색 과정에 있어서의 염료 농도와 염색 시간을 변경한 것 이외는 (a)와 마찬가지로 하여, 이색성 색소의 염착량이 동일하고 스며들어 있는 영역을 변경한 편광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편광 필름의 단면 사진을 도 2의 〔B〕∼〔E〕에 나타낸다.
또한, 얻어진 편광 필름의 두께와 색소가 스며들어 있는 영역을 측정한 결과, 및 편광 필름의 이색비를 표 1 중의 샘플 No. 〔2〕∼〔5〕에 나타낸다.
다음으로 (b), (c), (d)와 마찬가지로 하여 굽힘 가공 전후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렌즈의 투과율과 색조를 측정하고, 색차를 구했다. 측정 결과를 표 1 중의 샘플 No. 〔2〕∼〔5〕에 나타낸다.
색소가 스며들어 있는 영역이 3분의 1 이상인 샘플 No. 〔4〕, 〔5〕의 색차는 2.4 이상이고, 색소가 스며들어 있는 영역이 5분의 1 이내인 샘플 No. 〔2〕, 〔3〕의 색차는 1.9 이내였다.
또한, 굽힘 가공 후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렌즈에는 편광 필름의 균열이 없고, 가공성은 비교예 1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렌즈와 비교하여 손색 없었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2
아세트산 니켈 및 붕산을 포함하는 수용액 중에서 4.4배로 연신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이색성 색소의 염착량이 동일하고 스며들어 있는 영역을 변경한 편광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편광 필름의 단면 사진을 도 3의 〔F〕∼〔I〕에 나타낸다.
또한, 얻어진 편광 필름의 두께와 색소가 스며들어 있는 영역을 측정한 결과, 및 편광 필름의 이색비를 표 2 중의 샘플 No. 〔6〕∼〔9〕에 나타낸다.
다음으로 (b), (c), (d)와 마찬가지로 하여 굽힘 가공 전후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렌즈의 투과율과 색조를 측정하고, 색차를 구했다. 측정 결과를 표 2 중의 샘플 No. 〔6〕∼〔9〕에 나타낸다.
색소가 스며들어 있는 영역이 3분의 1 이상인 샘플 No. 〔8〕, 〔9〕의 색차는 1.9이고, 색소가 스며들어 있는 영역이 4분의 1 이내인 샘플 No. 〔6〕, 〔7〕의 색차는 1.4였다.
또한, 굽힘 가공 후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렌즈에는 편광 필름의 균열이 없고, 가공성은 비교예 1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렌즈와 비교하여 손색 없었다.
Figure pct00002
실시예 3
아세트산 니켈 및 붕산을 포함하는 수용액 중에서 4.8배로 연신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이색성 색소의 염색량이 동일하고 스며들어 있는 영역을 변경한 편광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편광 필름의 단면 사진을 도 4의 〔J〕∼〔M〕에 나타낸다.
또한, 얻어진 편광 필름의 두께와 색소가 스며들어 있는 영역을 측정한 결과, 및 편광 필름의 이색비를 표 3 중의 샘플 No. 〔10〕∼〔13〕에 나타낸다.
다음으로 (b), (c), (d)와 마찬가지로 하여 굽힘 가공 전후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렌즈의 투과율과 색조를 측정하고, 색차를 구했다. 측정 결과를 표 3 중의 샘플 No. 〔10〕∼〔13〕에 나타낸다.
색소가 스며들어 있는 영역이 약 2분의 1인 샘플 No. 〔13〕의 색차는 2.4이고, 색소가 스며들어 있는 영역이 3분의 1 이내인 샘플 No. 〔10〕∼〔12〕의 색차는 1.7 이내였다.
또한, 굽힘 가공 후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렌즈에는 편광 필름의 균열이 없고, 가공성은 비교예 1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렌즈와 비교하여 손색 없었다.
Figure pct00003
본 실시예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듯이, 이색성 색소가 스며들어 있는 영역이 폴리바이닐 알코올 필름의 표면으로부터 폴리바이닐 알코올 필름의 두께의 4분의 1 이상인 종래의 편광 필름을 이용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렌즈에 있어서는, 가공 전후에서의 색차가 큰 데 비하여, 이색성 색소가 스며들어 있는 영역이 폴리바이닐 알코올 필름의 표면으로부터 폴리바이닐 알코올 필름의 두께의 4분의 1 이내의 영역이고, 폴리바이닐 알코올 필름의 두께 방향에서의 중심부는 이색성 색소로 염색되어 있지 않은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을 이용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렌즈에 있어서는, 가공 전후에서의 색차가 작고, 굽힘 가공 전후에서의 색조와 투과율의 변화가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1: 편광 필름
2, 3: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4, 5: 접착층
6: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7: 편광 필름의 단면
8: 색소가 스며들어 있는 영역
9: 색소가 스며들어 있지 않은 영역

Claims (2)

  1. 폴리바이닐 알코올 필름을 연신하여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고, 양면에 접착층을 개재하여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를 접합하고, 구면 또는 비구면으로 굽힌 편광 렌즈에 있어서,
    이색성 색소가 스며들어 있는 영역이 폴리바이닐 알코올 필름의 표면으로부터 폴리바이닐 알코올 필름의 두께의 4분의 1 이내의 영역이고, 폴리바이닐 알코올 필름의 두께 방향에서의 중심부는 이색성 색소로 염색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렌즈.
  2. 폴리바이닐 알코올 필름을 연신하여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고, 양면에 접착층을 개재하여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를 접합하고, 구면 또는 비구면으로 굽히고, 해당 편광 시트의 한쪽 면에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출하여 형성한 편광 렌즈에 있어서,
    이색성 색소가 폴리바이닐 알코올 필름의 표면으로부터 스며들어 있는 영역이 폴리바이닐 알코올 필름 두께의 4분의 1 이내이고, 폴리바이닐 알코올 필름의 두께 방향에서의 중심부는 이색성 색소로 염색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렌즈.
KR1020147011568A 2011-10-03 2012-10-01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제 편광 렌즈 KR1019721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18919 2011-10-03
JP2011218919 2011-10-03
PCT/JP2012/076055 WO2013051723A1 (ja) 2011-10-03 2012-10-01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製偏光レン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161A true KR20140067161A (ko) 2014-06-03
KR101972191B1 KR101972191B1 (ko) 2019-04-24

Family

ID=48043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1568A KR101972191B1 (ko) 2011-10-03 2012-10-01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제 편광 렌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140375945A1 (ko)
EP (1) EP2765448B1 (ko)
JP (1) JP6104168B2 (ko)
KR (1) KR101972191B1 (ko)
CN (1) CN103842893B (ko)
ES (1) ES2809511T3 (ko)
TW (1) TWI570472B (ko)
WO (1) WO20130517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89078A1 (ja) * 2013-05-24 2014-11-27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保護フィルム付き機能性シート
TWI656011B (zh) * 2014-03-14 2019-04-11 日東電工股份有限公司 層合體、延伸層合體、延伸層合體之製造方法、使用此等之包括偏光膜之光學膜層合體之製造方法、及偏光膜
CN107000415B (zh) * 2014-11-21 2020-06-26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带有保护膜的功能性片材
JP6539880B2 (ja) * 2017-09-29 2019-07-10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光学シートおよび光学部品
JP2023013221A (ja) * 2021-07-15 2023-01-26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素子、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9903A (ja) 1989-04-27 1991-02-20 Mitsubishi Gas Chem Co Inc 防眩用ポリカーボネート偏光板
JPH0852817A (ja) 1994-08-12 1996-02-27 Yamamoto Kogaku Kk ポリカーボネート製偏光板を利用した複合成形物
JPH08313701A (ja) 1995-05-16 1996-11-29 Mitsubishi Gas Chem Co Inc 偏光性を有するポリカーボネート製セミフィニッシュレンズ
JP2005326872A (ja) * 2005-06-21 2005-11-24 Sumitomo Chemical Co Ltd 染料系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3440B2 (ja) * 1987-06-12 1997-10-15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5757459A (en) * 1995-03-03 1998-05-26 Vision-Ease Lens, Inc. Multifocal optical elements
JP3357803B2 (ja) * 1996-10-30 2002-12-16 タレックス光学工業株式会社 眼鏡用偏光膜および偏光眼鏡
TWI230275B (en) * 2000-05-12 2005-04-01 Kuraray Co Polyvinyl alcohol film and polarization film
JP2002082222A (ja) * 2000-09-07 2002-03-22 Sumitomo Chem Co Ltd 染料系偏光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WO2002043731A2 (en) * 2000-11-30 2002-06-06 University Of Florida Treatments for neurogenetic disorders, impulse control disorders, and wound healing
US7815972B2 (en) * 2002-08-02 2010-10-19 Nitto Denko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film and optical film manufactured by using the method
US7787084B2 (en) * 2006-03-31 2010-08-31 Fujifilm Corporation Optical compensa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1097269A (zh) * 2006-06-26 2008-01-02 力特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偏光板结构
US7931369B2 (en) * 2007-07-13 2011-04-26 David Andrew Harris Tinted lens and method of making same
JPWO2009139478A1 (ja) * 2008-05-13 2011-09-22 帝人化成株式会社 偏光眼鏡レンズ
JP2010026498A (ja) 2008-06-17 2010-02-04 Nitto Denko Corp 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5871455B2 (ja) * 2010-02-23 2016-03-01 山本光学株式会社 円偏光板および円偏光レンズ、および円偏光眼鏡
JP5550944B2 (ja) * 2010-02-26 2014-07-16 山本光学株式会社 1眼タイプ偏光眼鏡
JP5891170B2 (ja) 2010-06-11 2016-03-22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製偏光レン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9903A (ja) 1989-04-27 1991-02-20 Mitsubishi Gas Chem Co Inc 防眩用ポリカーボネート偏光板
JPH0852817A (ja) 1994-08-12 1996-02-27 Yamamoto Kogaku Kk ポリカーボネート製偏光板を利用した複合成形物
JPH08313701A (ja) 1995-05-16 1996-11-29 Mitsubishi Gas Chem Co Inc 偏光性を有するポリカーボネート製セミフィニッシュレンズ
JP2005326872A (ja) * 2005-06-21 2005-11-24 Sumitomo Chemical Co Ltd 染料系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65448B1 (en) 2020-07-15
WO2013051723A1 (ja) 2013-04-11
US20190155059A1 (en) 2019-05-23
US20140375945A1 (en) 2014-12-25
EP2765448A1 (en) 2014-08-13
TWI570472B (zh) 2017-02-11
EP2765448A4 (en) 2015-06-24
CN103842893A (zh) 2014-06-04
CN103842893B (zh) 2016-02-17
US10838238B2 (en) 2020-11-17
TW201329559A (zh) 2013-07-16
JP6104168B2 (ja) 2017-03-29
JPWO2013051723A1 (ja) 2015-03-30
KR101972191B1 (ko) 2019-04-24
ES2809511T3 (es)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8238B2 (en) Aromatic polycarbonate polarising lens
KR102209171B1 (ko) 착색 편광 필름, 착색 편광 시트 및 착색 편광 렌즈, 및 이들의 제조법
KR102216829B1 (ko) 착색 저편광 필름, 착색 저편광 시트 및 렌즈, 및 이들의 제조법
EP2581782B1 (en) Polarizing lens constituted of aromatic polycarbonate
TWI579602B (zh) Polarized lenses for sunglasses
EP3229061B1 (en) A lens with a functional sheet including polyester res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