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6704A -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실레이트 일수화물 - Google Patents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실레이트 일수화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6704A
KR20140066704A KR1020147004026A KR20147004026A KR20140066704A KR 20140066704 A KR20140066704 A KR 20140066704A KR 1020147004026 A KR1020147004026 A KR 1020147004026A KR 20147004026 A KR20147004026 A KR 20147004026A KR 20140066704 A KR20140066704 A KR 20140066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phenyl
pyridinyl
acetamide
aminosulfo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4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8295B1 (ko
Inventor
빌프리드 슈와브
알렉산더 벌크만
쿠르트 뵈그틀리
디터 하그
안드레아스 렌드너
알폰스 그룬넨버그
버짓 카일
요아킴 레제
Original Assignee
아이쿠리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쿠리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아이쿠리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40066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6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7/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5Thiazoles
    • A61K31/427Thiazoles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02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only substituted in position 2, e.g. pheniramine, bisacody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36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heterocyclic ring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20Antivirals for D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20Antivirals for DNA viruses
    • A61P31/22Antivirals for DNA viruses for herpes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 C07D27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77/2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77/3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77/38Nitrogen atoms
    • C07D277/44Acylated amino or imino radicals
    • C07D277/46Acylated amino or imino radicals by carboxylic acids, or sulfur or nitrogen analogu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13Crystalline forms, e.g. polymorph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ir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n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Thiazole And Isothizaol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성 유기 주석 화합물을 방지하면서, 보론산(boronic acid) 유도체 또는 보롤란(borolane) 시약을 사용하는 것에 의한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와 그 메실레이트 일수화물 염의 향상되고 단축된 합성에 관한 것이고, 증가된 장기간의 안정성과 약제 조성물로부터의 방출 동역학(release kinetics)을 입증한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의 메실레이트 일수화물 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실레이트 일수화물{N-[5-(AMINOSULFONYL)-4-METHYL-1,3-THIAZOL-2-YL]-N-METHYL-2-[4-(2-PYDINYL)PHENYL]ACETAMIDE MESYLATE MONOHYDRATE}
본 발명은, 독성 유기 주석 화합물을 방지하면서, 보론산(boronic acid) 유도체 또는 보롤란(borolane) 시약을 사용하는 것에 의한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와 그 메실레이트 일수화물 염의 향상된 합성에 관한 것이고, 증가된 장기간의 안정성과 약제 조성물로부터의 방출 동역학(release kinetics)을 입증한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의 메실레이트 일수화물 염에 관한 것이다.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의 합성은 EP 1244641 B1으로부터 알려져 있고, 미분화된(micronized)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를 함유하는 정제의 제제화(formulation)를 위해 메탄설폰산을 포함하는 산성 성분을 사용하는 것이 WO 2006/103011A1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합물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의 향상된 합성을 제공하고, 장기간의 안정성과 약제 제제로부터의 향상된 방출 동역학을 나타내는 안정한 염뿐만 아니라, 향상된 방출 동역학을 갖는 상기 염을 포함하는 약제 제제(pharmaceutical formulation)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항의 교시(敎示)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추가 특징, 양상, 및 상세 내용은 본 출원의 독립항,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예로부터 명백하다.
본 발명은, 약제 활성 화합물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뿐만 아니라, 그 메실레이트 염의 향상되고 신규한 합성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향상된 합성은, 현재 기술 상태의 보다 오래된 공지된 합성과 동일한 화합물로부터 시작되지만, 보론산 유도체 또는 보롤란 시약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세 개의 반응 단계를 결합한다. 이러한 변형은 두 개의 분리 및 정제 단계를 방지하여 완전한 합성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수율을 또한 증가시킬 수 있다.
EP 1244641 B1의 21 페이지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보다 오래된 공지된 합성은 2-브로모피리딘으로부터 시작된다. 단계 1에서, 2-트리메틸스태나닐피리딘(2-trimethylstannanylpyridine)은 45 내지 50% (이론) 수율로 제조된다. 이후, 2-트리메틸스태나닐피리딘은 에틸(4-브로모페닐)아세테이트와 반응되어 에틸(4-피리딘-2-일페닐)아세테이트를 75% 수율로 얻는다. 제 3 단계에서, 에틸(4-피리딘-2-일페닐)아세테이트는 약 95% 이론 수율로 (4-피리딘-2-일페닐)아세트산으로 비누화된다. 따라서, 현재 기술 상태의 합성은 아래 도시된 바와 같이,
Figure pct00001
시간이 소요되고, 원하는 화합물을 추출 및 세척하기 위한 용매뿐만 아니라, 이를 정제하기 위한 장치(arrangement)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두 개의 분리 및 정제 단계를 포함하는 약 34%의 전체 수율을 갖는 3개의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합성은 아래 도시된 바와 같이,
Figure pct00002
약 40%의 전체 이론 수율로 단일 단계에서 기본 중간체(key intermediate)인 (4-피리딘-2-일페닐)아세트산의 합성을 허용하는 보론산 유도체 또는 보롤란 또는 보리난(borinane) 시약을 사용하여 세 개의 개별 단계를 결합해서, 현재 기술 상태 합성의 두 개의 분리 및 정제 단계를 방지한다.
추가된 이점으로서, 생성된 붕산(boric acid) 부생성물이 수성 세척으로 쉽게 제거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보론 함유 시약의 사용은 독성 유기 주석 화합물의 사용에 비해 유리하다. 이에 비해서, 유기 주석 화합물은 공정 폐기물 흐름(process waste stream)에서 알려진 문제점일 뿐만 아니라, 하류 합성(down-stream synthesis)의 결과 생성물을 크게 오염시키는 것으로 유명하다. (4-피리딘-2-일페닐)아세트산은 4-메틸-2-(메틸아미노)-1,3-티아졸-5-설폰아미드와 반응되어 최종 생성물이 되고, 이는 아래 도시된 바와 같이 분명한 메실레이트 일수화물 염으로 변환된다:
Figure pct00003
그래서, 본 발명은, 다음 단계에 따라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와 그 메실레이트 염을 합성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계 A: 다음 일반식 A*의 화합물 A를,
Figure pct00004
(R1은 이탈기를 나타내고,
R2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잔기 또는 3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킬 잔기를 나타낸다)
R1-H 또는 R1-B(OR)2의 제거 및 화합물 A의 중간체 보론산 유도체의 형성 하에, 보론산 유도체, 보롤란, 보리난 또는 디보론산 시약과 반응시키는 단계로서,
반응을 위한 바람직한 촉매는, 트리에틸아민과 트리페닐포스핀을 갖는 팔라듐 아세테이트 또는 트리에틸아민을 갖는 PdCl2(PPh3)2와 같은 시약 물질(reagent system)이고,
중간체 보론산 유도체는 다음으로 다음 일반식 B*의 피리딘 화합물 B와,
Figure pct00005
(R3은 이탈기를 나타낸다)
해당 카르복시레이트 염의 알칼리성 용액으로서 (4-피리딘-2-일페닐)아세트산을 얻기 위해 염기성 조건 하에, 반응된다.
생성된 (4-피리딘-2-일페닐)아세트산은, 서로 다른 pH에서의 간단한 세척 및 깨끗한 여과 단계에 이은 침전 또는 결정화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4-피리딘-2-일페닐)아세트산 수용액의 pH를 적절한 양의 염기로 3.5 ~ 5.0, 바람직하게는 3.8 ~ 4.7로 적절히 조절하여, 정제되었다. 간단한 세척 및 여과 단계 외에, 예를 들어, 재결정화 또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4-피리딘-2-일페닐)아세트산 또는 임의의 중간체의 추가 정제가 요구되지 않는다.
단계 B: 단계 A로부터 얻어진 (4-피리딘-2-일페닐)아세트산을 4-메틸-2-(메틸아미노)-1,3-티아졸-5-설폰아미드와 반응시켜,
Figure pct00006
다음 식의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를 얻는 단계.
Figure pct00007
이후,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단계 C로서)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의 메실레이트 염의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일수화물로 변환된다. 메실레이트 염은 WO 2006/103011 A1에 개시되어 있지만, 향상된 특성을 나타내는 특정한 모노메실레이트 일수화물 염은 개시되지 않았다는 것이 기술되어야 한다.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을 합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메탄설폰산 일수화물 염의 약제 조성물의 제조에 관한 단계 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D: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운반체(carrier), 부형제(excipient), 용매 및/또는 희석제로,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의 약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이러한 약제 조성물은,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을,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운반체, 부형제, 용매 및/또는 희석제와 혼합하거나 블렌딩(blending)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단계 D 다음에 단계 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E: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과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운반체, 부형제, 용매 및/또는 희석제의 약제 조성물에, 아세틸살리실산(acetylsalicylic acid), 트리플루리딘(trifluridine), 이독수리딘(idoxuridine), 포스카넷(foscarnet), 시도포비르(cidofovir), 간시클로비르(ganciclovir), 아시클로비르(aciclovir), 펜시클로비르(penciclovir), 발라시클로비르(valaciclovir) 및/또는 팜시클로비르(famciclovir)를 첨가하는 단계.
그래서, 단계 E 다음에, 아세틸살리실산, 트리플루리딘, 이독수리딘, 포스카넷, 시도포비르, 간시클로비르, 아시클로비르, 펜시클로비르, 발라시클로비르 또는 팜시클로비르를 함유하는 약제 조성물 또는 아세틸살리실산과 트리플루리딘 또는 아세틸살리실산과 이독수리딘 또는 아세틸살리실산과 포스카넷 또는 아세틸살리실산과 시도포비르 또는 아세틸살리실산과 간시클로비르 또는 아세틸살리실산과 아시클로비르 또는 아세틸살리실산과 펜시클로비르 또는 아세틸살리실산과 발라시클로비르 또는 아세틸살리실산과 팜시클로비르를,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과 공동으로,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운반체, 부형제, 용매 및/또는 희석제와 함께 함유하는 약제 조성물이 얻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세틸살리실산 또는 아시클로비르 또는 펜시클로비르 또는 아세틸살리실산과 아시클로비르 또는 아세틸살리실산과 펜시클로비르 및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을,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운반체, 부형제, 용매 및/또는 희석제와 함께 함유하는 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부 공급업자는 아시클로비르(aciclovir) 대신 아시클로비르(acyclovir)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이탈기"라는 용어는, 불균질 결합 분해에서 전자쌍과 함께 이탈하는 분자 조각이다. 이탈기는 음이온 또는 중성 분자일 수 있다. 공통 음이온 이탈기는, Cl-, Br-, 및 I-과 같은 할로겐화물(halide)과, 파라-톨루엔설포네이트("토실레이트", TsO-),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트리플레이트(triflate)", TfO-, CF3SO2O-}, 벤젠설포네이트{"베실레이트(besylate)", C6H5SO2O-} 또는 메탄설포네이트{"메실레이트(mesylate)", MsO-}와 같은 설포네이트 에스테르이다.
아래 도시된 바와 같은 일반식 A*는,
Figure pct00008
위치 4의 페닐 잔기에 이탈기를 갖는 모든 페닐 아세트산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그래서, R1은 -F, -Cl, -Br, -I, -OMs, -OTf, 및 -OTs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OMs"라는 기(group)는 -O메실레이트를 나타내고, "-OTf"라는 기는 -O트리플레이트를 나타내며, "OTs"라는 기는 -O토실레이트를 나타낸다.
기 R2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잔기 또는 3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킬 잔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CH3, -C2H5, -C3H7, -CH(CH3)2, -C4H9, -CH2-CH(CH3)2, -CH(CH3)-C2H5, -C(CH3)3, -C5H11, -C6H13, 시클로-C3H5, 시클로-C4H7, 시클로-C5H9, 시클로-C6H11을 나타낸다. -CH3, -C2H5, -C3H7, -CH(CH3)2, -C4H9, -CH2-CH(CH3)2, -CH(CH3)-C2H5, C(CH3)3, 및 -C5H11이 더 바람직하다. 특히, -CH3, -C2H5, -C3H7, 및 -CH(CH3)2이 바람직하다.
여러 보롤란과 보리난뿐만 아니라, 해당하는 디보론산 유도체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합성의 단계 A에 사용될 수 있다. 다음 일반식의 보롤란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9
상기 식에서,
R'과 R"는 독립적으로 서로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임의의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선형 또는 가지형 알킬기 또는 3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킬기이거나, 또는 R'과 R"는 붕소 원자와 함께 헤테로시클릭 고리를 또한 형성할 수 있고, R'과 R"는 함께 2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선형 또는 가지형 알킬렌기를 형성한다. R'과 R"는 독립적으로 서로 -CH3, -C2H5, -C3H7, -CH(CH3)2, -C4H9, -CH2-CH(CH3)2, -CH(CH3)-C2H5, -C(CH3)3, 및 -C5H11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클릭 보롤란이 바람직하다.
다음의 보롤란, 보리난, 및 디보론산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10
상기 식에서, Ra, Rb, Rc, Rd, Re 및 Rf는 독립적으로 서로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선형 또는 가지형 알킬기 또는 3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낸다.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알킬 잔기가 바람직하고, -CH3, -C2H5, -C3H7 및 -CH(CH3)2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보론 함유 화합물에 특히 바람직한 예는, 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 {피나콜보란(pinacolborane)}, [1,3,2]디옥사보롤란, [1,3,2]디옥사보리난, 5,5-디메틸[1,3,2]디옥사보리난, 4,6,6-트리메틸[1,3,2]-디옥사보리난, 4,4,6,6-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리난, 4,4,5,5,6,6-헥사메틸[1,3,2]-디옥사보리난, 디이소프로폭시보란, 헥사하이드로벤조[1,3,2]디-옥사보롤, 9,9-디메틸-3,5-디옥사-4-보라-트리시클로-[6.1.1.62,6]데칸, 6,9,9-트리메틸-3,5-디옥사-4-보라-트리시클로[6.1.1.62,6]데칸, B2Pin2 (비스(피나콜라토)디보란), 비스(네오펜틸글리콜라토)디보론, 및 카테콜보란(catecholboran)이다.
단계 A에서, 보론산 유도체, 보롤란, 보리난 또는 디보론산 시약은 일반식 A*의 화합물 A와 반응되어, 분리 및 정제되지 않은 중간체 보롤란 또는 보리난 시약을 얻는다. 이 반응은, 트리에틸아민(Et3N), NaOAc, KOAc, 및 K3PO4와 같은 여러 유기 및 무기 염기의 존재 하에, [Pd(OAc)2] 및 PdCl2와 같은 팔라듐 염과 트리페닐포스핀(PPh3), 트리-오르쏘-톨릴포스핀{P(o-Tol)3}, 트리시클로헥실포스핀(PCy3), 트리-tert-부틸포스핀, 1,4-비스-(디페닐포스피노)-부탄(dppb),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dppf의 결합에 의해 원위치에 제조된 촉매 또는 Pd(PPh3)2Cl2, Pd(PPh3)4, 화이버캣(Fibrecat) 1032, 및 Pd(dppf)Cl2와 같은 예비형성 촉매(prformed catalyst) 중 하나를 사용하는 것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 반응을 위해, 7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30℃, 더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10℃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양성자성(aprotic) 및 바람직하게는 무극성(apolar) 용매와, 바람직하게는 벤젠 또는 톨루엔 또는 자일렌과 같은 방향족 용매가 사용된다.
이 단계 A는, 폐기물 흐름뿐만 아니라, 인간에 사용하기 위한 최종적으로 약물(drug)인 반응의 실제 생성물(들)의 정제에서 큰 문제점인 독성 유기 주석 화합물의 사용을 방지하여 현재 기술 상태의 합성을 향상시킨다.
중간체 보론산 시약은 이후 일반식 B*의 피리디닐 화합물과 반응되고, 상기 식에서, R3은 이탈기를 나타낸다. 그래서, R3은 -F, -Cl, -Br, -I, -OMs, -OTf, 및 -OTs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Cl 또는 -Br을 나타낸다.
대응하는 (4-피리딘-2-일페닐)아세트산 에스테르는 에스테르 결합을 분해하기 위해 원위치에서 수성 염기로 처리된다. 커플링/비누화 단계 동안 반응 혼합물을 적절한 온도로 가열하고,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90℃, 더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8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가장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65℃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을 것이다.
기본 중간체인 (4-피리딘-2-일페닐)아세트산의 정제 및 분리 후에, (4-피리딘-2-일페닐)아세트산은, 오직 하나의 분리 및 정제 단계를 포함하는 적어도 40%의 이론 수율로 얻어졌다.
본 발명의 추가 이점은 다음과 같다:
● 유기 용매(톨루엔, MIBK, EtOAc, MeTHF 등)를 이용한 수성 알칼리성 및 산성 생성물 용액의 연속 세척에 의한 정제와 Pd 제거.
● 목탄(charcoal)/셀라이트(Celite) 처리에 의한 추가 Pd 소모.
● 결정화는, 중성화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50~70℃에서) 알칼리성 또는 산성 수용액으로부터 가능하다.
이후, (4-피리딘-2-일페닐)아세트산은, EP 1244641 B1에 개시된 합성에 따라 제조된 다음 식의 4-메틸-2-(메틸아미노)-1,3-티아졸-5-설폰아미드와 반응되어,
Figure pct00011
다음 식의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를 얻었다.
Figure pct00012
WO 01/47904 A에, 아미드 커플링 반응은, (그 폭발 특징 때문에) 일반적으로 업-스케일링(up-scaling) 동안 문제를 일으키는, DMF의 HOBT (1-히드록시-1H-벤조트리아졸 수화물)을 사용하여 기술된다. 또한, 최적화 공정 동안, 용매 DMF는 여러 부생성물{빌스마이어(Vilsmaier) 타입의 포르밀화(formylation)로 인한}에 대한 원인으로 밝혀졌다.
향상된 커플링 조건을 위한 시도는, 놀랍게도, NMP/THF 용매 조합에서 HOBT 없이 EDC × HCl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성공적인 사용을 일으켰다. 그래서, 상기 언급된 방법의 단계 B는, 10:1 내지 1:1의 비를 갖는 THF/NMP 용매 혼합물에서 (HOBT 없이) 커플링제로 EDC × HCl을 사용하여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F/물로부터의 다음 재결정화는 5ppm 미만으로 Pd의 소모를 일으켰다. 커플링과 재결정화에 대해 80%를 초과하는 전체 수율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합성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는 이후 지금까지 현재 기술 상태에 개시되지 않은 결정성 메실레이트 일수화물 염으로 변환되었다. 화학량론적이 아닌 메실레이트 염은 현재 기술 상태에 이미 알려져 있었지만, 몰 당량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에 대해서 정확하게 1 몰 당량의 물과 1 몰 당량의 메실레이트를 갖는, 명확하고 화학량론적인 모노 메실레이트 일수화물 염은 알려져 있지 않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화합물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에 관한 것이고, 특히,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합성에 따라 얻어질 수 있고 얻어진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에 관한 것이다.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은 실질적으로 순수하고 (순도 96 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98 중량%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99 중량% 초과), 명확한 일수화물로서, 즉, 1 몰의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규칙적인 결정 구조에 1 몰의 물과 1 몰의 메실레이트 음이온을 함유한다.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의 결정성 메실레이트 일수화물 염은, 제어 조건 하에 결정화에 의해 메탄설폰산과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의 과포화 용액(supersaturated solution)으로부터 형성된다. 재결정화를 위한 바람직한 조건은, 상승된 온도,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 더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8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60℃,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5℃에서 메탄설폰산을,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를 함유하는 유기 용매와 물의 혼합물에 첨가하여,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의 메실레이트의 과포화 용액을 생성하는 것이다. MeOH, EtOH, n-PrOH, I-PrOH, 아세토니트릴, THF, 아세톤과 같이 물과 혼화성이 있거나 공용성이 있는(consolute) 유기 용매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 과포화 혼합물에, 3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80℃, 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60℃,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5℃와 같이 상승된 온도에서,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의 시드 결정(seed crystal)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혼합물의 적절한 내지 느린 교반과 이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5 내지 15분 동안 상승된 온도에서 메탄설폰산을 첨가하고, 메탄설폰산의 첨가를 완료한 후, 생성된 혼합물을 이러한 상승된 온도에서 0.5 내지 5시간 동안,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시간 동안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온으로의 냉각은 1 내지 5시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시간 내에 수행되고, 혼합물은 이후 바람직하게는 다시 1시간 동안 실온에서 천천히 교반된다. 다음으로, 결정이 여과되고, 알코올/물로 세척되며, 바람직하게는, 진공 하에 20℃ 내지 60℃의 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20℃에서 시작하고 60℃에서 종료하는) 건조된다.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의 결정성 메실레이트 일수화물 염은, 증가된 장기간의 안정성 특성과, 특히, 약제 조성물로부터의 요구되거나 향상된 방출 동역학을 나타내어, 장기간 안정한 약제 조성물의 제조를 허용한다.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의 결정성 모노메실레이트 일수화물 염의 장기간 안정성은,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의 유리 염기(free base) 형태에 비해 우수하다.
또한,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의 결정성 모노메실레이트 일수화물 염은, 표 1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유리 염기 형태 또는 이와 다른 염에 비해 다형성 안정성(polymorphic stability)을 또한 나타낸다. 다형성(polymorphism)은, 하나 이상의 결정 구조 또는 고형 구조로 존재하는 고형 물질의 능력을 가리킨다.
형태(Form) TGA 수화물의 열 안정성 DSC
1×HCl 2.1% 불안정한 용해 전 물의 손실
1×MsOH 4.3% 안정한 용해 전 물의 손실
1×TsOH 5.9% 불안정한 용해 전 물의 손실
유리 염기 8.8% 불안정한 용해 전 물의 손실
표 1: 열 분석과 다형성 안정성 (사용된 방법: DSC, TGA)
TGA: 열 중량측정 분석(Thermogravimetric Analysis 또는 Thermal Gravimetric Analysis)
DSC: 시차 주사 열량 측정(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형태(Form):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의 모노 클로라이드 염, 모노 메실레이트 염, 모노 토실레이트 염, 및 유리 염기를 가리킨다.
유리 염기 형태뿐만 아니라, 하이드로클로라이드와 토실레이트 염 형태는, 낮은 열적 및 낮은 다형성 안정성(polymorphic stability)의 수화물을 형성한다. 부드럽게 가열하면(약 50℃ 내지 60℃), 물 함량은 감소하고, 이는 이러한 염과 유리 염기 형태를 제조(production) 및 제제화(formulation)하는 동안 처리하고 가공하기 극히 어렵게 한다. 이와 반대로, 모노 메실레이트 염의 수화물은, TGA에 의해 판단된 바와 같이, 100℃보다 훨씬 더 높은 온도에서 열적으로 안정하고 다형성 안정하다.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의 유리 염기는 실온에서 네 개의 다형성 형태와 무정형 형태로 존재한다. 또한, 용매에 따라 유리 염기에 대해 여러 용매 화합물(solvate)이 검출될 수 있다. 현재 이용 가능한 데이터는, 종래 기술에 따라 합성된 모든 배치(batch)가 시차 주사 열량 측정에 의해 하나 이상의 용해 피크(melting peak)를 나타내기 때문에, 열역학적으로 가장 안정한 형태의 확인을 허용하지 않는다. 여러 염(하이드로클로라이드 HCl, 메실레이트 MsOH, 토실레이트 TsOH)뿐만 아니라, 유리 염기의 물리 화학적(physico-chemical) 특성이 조사되고 비교되었다 (표 2 참조).
특성
HCl

HCl

MsOH

MsOH

TsOH

TsOH

PhCOOH
유리
염기
다음에 의해
측정
최종
가공
+ + + + + + + + 제조와
결정화
해리
안정성

++

--

++

--

++

--

--

n.a.
실온에서
1주일 동안 교반

순도

+

--

+

--

+

--

--

+
HPLC:
≥98%,
정확한
화합량론
결정도 -- n.d. + n.d. + n.d. n.d. + X-선 회절,
현미경검사
수용성
(㎎/100㎖)
39.4 n.d. 138.3 n.d. 50 n.d. n.d. 0.2 용해도
스크리닝
분해
안정성

++

n.d.

++

n.d.

-

n.d.

n.d.

++
1주일 동안
90℃에서
저장
표 2: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에 대한 염 스크리닝(salt screening). n.a. 적용 불가(not applicable), n.d. 측정되지 않은(not determined), HPLC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 매우 우수/높은, + 우수/높은, - 좋지 않은/낮은, -- 매우 좋지 않은/낮은.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의 유리 염기의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Dihydrochloride)(2×HCl), 디메실레이트(2×MsOH), 디토실레이트(2×TsOH), 및 벤조에이트(2×PhCOOH) 염은 화학량론의 기준을 충족시키지 않는다. 또한, 모노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의 수화물은 저장 동안 결정도의 감소를 나타낸다. 또한, 유리 염기와 모노토실레이트 형태는 낮은 열 안정성을 갖고 수화되어 정제 성형(tabletting)에 적합하지 않게 한다. 이러한 결과는 상기 표 1에 개시되어 있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 토실레이트 염, 및 유리 염기 형태의 다형성 불안정성이 논의된다. 그래서, 놀랍게도, 본 발명의 모노 메실레이트 염은, 특히, 약제 스케일로 제조, 가공, 및 제제화를 허용하기 위해, 요구된 다형성 및 열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을 제조하기 위한 한 가지 가능성은, 10 부피(vol) 에탄올/물(1:1)에 염기를 용해하는 단계, 5 내지 15분 동안 50 내지 55℃에서 1.15 당량의 메탄설폰산을 첨가하는 단계, 0.5 몰%의 최종 생성물로 시딩(seeding)하는 단계, 1 내지 1.5시간 동안 50℃에서 에이징(ageing)하는 단계, 및 2.5시간 동안 20 내지 25℃에서 냉각하는 단계에 의해서였다.
1시간 동안 추가 교반한 후에, 결정성 메실레이트 일수화물은 여과에 의해 분리되고 진공 내에(in vacuo) 건조되어, 95% 초과 수율을 나타내었다. 이 절차를 사용하여, 2 ppm 미만의 잔류 Pd를 함유하는 순도 99%를 초과하는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이 수율과 순도에 관해 재현성 있게 제조될 수 있었다.
또한,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은 한정되고 안정한 다형성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또한, 용해성이 작은 유리 염기 형태의 공침(co-precipitation)은 이 공정을 적용하여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결정성 메실레이트 일수화물은 유리 염기를 함유하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결정성 메실레이트 일수화물 염은 장기간의 안정성 연구에서 안정성(순수한 API로서, 약제 제제에서)을 또한 나타내고, 약제 조성물로부터의 증가된 방출 동역학을 나타내며, 향상된 생물학적 이용 가능성(bioavailability)에 이르게 한다.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의 단결정 X-선 구조 분석을 나타내는 도 2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메실레이트와 양성자화 피리디닐 고리(ring) 사이에서 형성된다. 또한, 정확하게 1몰 당량의 물이 결정 구조에 통합되고, 물 분자의 수소 원자는 두 개의 서로 다른 메실레이트 분자의 산소 원자와 수소 다리(hydrogen bridge)를 형성한다. 결정 격자에서 이렇게 잘 정의된 위치는 (도 3 참조), 160℃에서 시작하는 고온에서만 결정으로부터 물이 방출된다는 사실로 입증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의 명확한 모노 메실레이트 및 모노 수화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은,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증(herpes virus infection)의 치료 및/또는 예방 및/또는 헤르페스 바이러스(들)의 전염(transmission)을 방지하기 위한 약제 조성물의 제조에 유용한 화합물이다. 건강한 지원자에게서 단일 및 다중 투여량 투여로부터 얻어진 약물 동력학 데이터(pharmacokinetic data)는, 매일 1회 투여 양생법(dosing regimen) 또는 1주일에 1회와 같이 덜 빈번한 투여 양생법을 나타내는 오래 지속하는 반감기를 갖고 시간 프로파일에 따라 유리한 플라스마 농도를 나타내었다. 인간에서의 플라스마 농도는, 여러 동물 모델에서 단순 헤르페스(herpes simplex) 바이러스 감염증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고 세포 배양에서 바이러스성 복제를 예방하는데 충분한 생체 내 및 생체 외 실험에서 도달된 농도를 초과했다.
놀랍게도,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은, 헤르페스 바이러스와 헤르페스 바이러스, 주로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에 의해 일어난 감염증에 대해 약효가 크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은,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에 의해 일어난 질병의 치료 및/또는 예방 및/또는 헤르페스 바이러스(들)의 전염을 방지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HSV, 서브타입 1과 2)로 인한 감염증은 감염 부위를 기준으로 여러 개별 장애 중 하나로 분류된다. 그 가시적인 증상이 구어로 입병(cold sore) 또는 단순 포진(fever blister)으로 불리는 구강 안면(orofacial)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증은 얼굴과 입을 감염시킨다. 구강 안면 헤르페스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감염증이다. 음부 헤르페스(genital herpes)는 두 번째로 일반적인 형태의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증이다. 음부 헤르페스는 대부분 HSV-2에 의해서만 일어나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음부 HSV-1 감염증이 증가하고 있다. 헤르페스성 표저(herpetic whitlow), 헤르페스 글라디아토룸(herpes gladiatorum), 안구 헤르페스(ocular herpes){각막염(keratitis)}, 뇌 헤르페스 감염 뇌염(cerebral herpes infection encephalitis), 몰라렛 뇌수막염(Mollaret's meningitis), 신생아 헤르페스(neonatal herpes), 및 아마도 벨 마비(Bell's palsy)와 같은 다른 장애가 또한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에 의해 일어난다.
또한, 본 발명은, 항염증제와 조합된,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에 관한 것이다.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과 아세틸살리실산의 조합(combination)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항바이러스제와 조합된,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에 관한 것이다. 추가 항바이러스제는 항대사성물질(antimetabolite)인 것이 바람직하고, 핵염기 유사체(nucleobase analogues), 뉴클레오티드 유사체(nucleotide analogues) 또는 뉴클레오시드 유사체 약물(nucleoside analogue drug)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추가 항바이러스제가 헤르페스 바이러스 및/또는 헤르페스 바이러스(들)의 전염 방지에 유용하고, 트리플루리딘, 이독수리딘, 포스카넷, 시도포비르, 간시클로비르, 아시클로비르 또는 펜시클로비르 또는 각각의 프로드러그(prodrug) 발라시클로비르 또는 팜시클로비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거나 또는 이들로 이루어진 약물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과 아시클로비르 또는 펜시클로비르 또는 각각의 프로드러그 발라시클로비르 또는 팜시클로비르의 조합이 가장 바람직하다.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과 추가 활성제(active agent){항염증제, 면역조절제, 또는 항바이러스제, 예를 들어, 치료 백신, siRNAs,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나노입자 또는 바이러스 섭취 억제제(virus uptake inhibitor)(n-도코산올(docosanol)과 같은)와 같은}의 조합이 하나의 단일 약제 조성물 또는 하나 이상의 약제 조성물로 동시에 투여될 수 있고, 각각의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활성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을,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운반체, 부형제, 용매 및/또는 희석제와 함께 함유하는 약제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된 상기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은,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의 유리 염기 형태를 함유하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은, 적절한 투여량의 종래의 고형 또는 액체 운반체 또는 희석제와 종래의 약제학적으로 제조된 보조제(adjuvant)로, 알려진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제조물(preparation)은 경구 적용을 위해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투여 형태는, 예를 들어, 알약(pill), 정제(tablet), 필름 정제(film tablet), 코팅 정제, 캡슐, 리포솜 제제(liposomal formulation), 마이크로 및 나노 제제, 분말, 및 디포짓(deposit)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의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을 포함한다 (모든 백분율 데이터는 약제 제조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 중량%이다). 약제 조성물은, 단일 투여량을 기준으로, 일반적으로 2 내지 600㎎의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0㎎,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0㎎,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 조성물은, 예를 들어, 미정질 셀룰로오스(microcrystalline cellulose), 섬유 셀룰로오스, 인산 칼슘, 및 만니톨(mannitol)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충전제(filler)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미정질 셀룰로오스와 만니톨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제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2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 특히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70%의 미정질 셀룰로오스와, 1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의 만니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 제조물은, 예를 들어, 전분, 예비겔화 전분(pregelatinized starch), 전분 글리콜산염, 가교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크로스카멜로스 나트륨(croscarmellose sodium)},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다른 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분해 보조제(disintegration auxiliary)를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분해 보조제의 혼합물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크로스카멜로스 나트륨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약제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3 내지 35%,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특히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의 분해 보조제(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 제조물(pharmaceutical preparation)은, 지방산과 그 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윤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스테아르산 나트륨의 사용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은, 콜로이드성 무수 실리카 또는 활석 분말일 수 있는 유동제(flow agent)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콜로이드성 무수 실리카의 사용이 특히 바람직하다. 유동제는, 유리하게는, 0.3 내지 2.0%, 특히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1.5%,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의 양만큼 사용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약제 조성물은, 5% 내지 30%의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 5% 내지 10%의 크로스카멜로스 나트륨, 0.5 내지 0.7%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40% 내지 70%의 미정질 셀룰로오스, 10% 내지 20%의 만니톨, 및 0.5% 내지 1%의 콜로이드성 무수 실리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 조성물은, 약 20 내지 750㎎의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의 매일 1회 투여량으로, 매일 1회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 조성물은 또한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매일 3회, 매일 2회, 매일 1회, 1주일에 3회, 1주일에 2회, 또는 1주일에 1회 투여될 수 있다. 1주일에 3회, 1주일에 2회, 또는 1주일에 1회 기준 투여가 바람직하고, 1주일에 1회 투여, 즉, 400㎎ 내지 600㎎의 본 발명의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을 함유하는 약제 조성물의 1주일에 1회 투여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높은 도입 투여량(loading dose), 예를 들어, 400㎎ 내지 800㎎의 초기 단일 투여량으로 본 발명의 메실레이트 일수화물의 투여를 시작하고, 치료 기간 동안, 1일당 또는 1주일당 100㎎ 내지 150㎎의 더 낮은 투여량으로 투여를 지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비경구 적용(parenteral application)을 위한 약제 조성물을 또한 포함한다. 추가 투여 방식은, 진피(dermal), 진피내(intradermal), 위내(intragastral), 피내(intracutan), 맥관내(intravasal), 정맥내(intravenous), 근육내(intramuscular), 복강내(intraperitoneal), 비강내(intranasal), 질내(intravaginal), 구강내(intrabuccal), 피부를 통한(percutan), 직장(rectal), 피하(subcutaneous), 설하(sublingual), 국소(topical), 또는 경피(transdermal) 적용이다. 투여된 약제 조성물은, 전형적인 운반체 및/또는 희석제 외에,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을 활성 성분으로 함유한다.
진피 또는 진피내 적용을 위해서는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의 국소 제제가 또한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국소 제제는, 피부 크림, 피부 로션, 에멀션, 젤, 현탁액(suspension), 연고, 오일, 립스틱, 및 밤(balm)이다.
제제는, 첨가된 임의의 종래 운반체, 보조제, 및 선택적으로 다른 성분일 수 있다. 바람직한 보조제는, 방부제, 항산화제, 안정화제, 가용화제, 및 방향제(odor)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생긴다.
연고, 페이스트, 크림, 및 젤은, 적어도 하나의 종래 운반체(carrier), 예를 들어, 동물성과 식물성 지방,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tragacanth),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규산(silicic acid), 활석, 및 아연 산화물, 및 이러한 물질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용액과 에멀션은, 용매, 가용화제, 및 에멀션화제와 같은 종래 운반체, 예를 들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 글리콜, 오일, 특히 면실유(cottonseed oil), 땅콩 기름, 옥수수 기름, 올리브유, 피마자유, 및 참기름,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이러한 물질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현탁액은, 액체 희석제와 같은 종래의 운반체, 예를 들어,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서스펜션화제(suspending agent), 예를 들어,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 미정질 셀룰로오스, 벤토나이트, 한천(agar-agar) 및 트라가칸트 또는 이러한 물질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이 운반된 지질 입자를 함유할 수 있다. 약제 조성물의 제제는, 농조화제(thickener), 완화제(emollient), 습윤제, 계면활성제, 에멀션화제, 방부제, 거품방지제(anti-foaming), 향수, 왁스, 라놀린, 추진제(propellant), 및 염료(dye)와 같이, 이러한 유형의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또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은,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과, 에탄올,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글리세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저 알코올 또는 저 폴리올과, 규조토(siliceous earth)와 같은 농조화제(thickening agent)를 포함하는 알코올성 젤로 또한 존재할 수 있다. 오일 함유 알코올성 젤(oily-alcoholic gel)은 천연 또는 합성 오일 또는 왁스를 또한 포함한다. 또한, 젤은, 검 아라빅, 잔탄 검(xanthan gum), 알긴산 나트륨, 셀룰로오스 유도체, 바람직하게는,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유기 농조화제 또는 벤토나이트와 같은 규산 알루미늄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폴리에틸렌 글리콜 스테아레이트 또는 디스테아레이트의 혼합물과 같은 무기 농조화제를 또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은 다음 방부제, 즉, 페녹시에탄올, 포름알데히드 용액, 파라벤, 펜탄디올 또는 소르브산(sorbic acid)을 함유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운반, 부형제 및/또는 희석제로서, 바람직하게는 비활성 운반체(inert carrier)와 같은 운반체, 예를 들어, 락토오스, 전분, 수크로오스, 셀룰로오스,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인산 이칼슘, 황산 칼슘, 활석, 만니톨, 에틸 알코올(액체 충전 캡슐)이 사용될 수 있고; 적절한 결합제(binder)는, 전분, 젤라틴, 천연 당(natural sugar), 곡물 감미료(corn sweetener), 천연 및 합성 검, 예를 들어, 아카시아(acacia), 알긴산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왁스, 당, 예를 들어, 수크로오스, 밀, 옥수수, 쌀, 및 감자에서 얻어진 전분, 천연 검, 예를 들어, 아카시아, 젤라틴, 및 트라가칸트, 해조(seaweed)의 유도체, 예를 들어, 알긴산, 알긴산 나트륨, 및 알긴산 암모늄 칼슘, 셀룰로오스 물질, 예를 들어,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무기 화합물, 예를 들어, 규산 마그네슘 알루미늄; 윤활제, 예를 들어, 붕산, 벤조산 나트륨, 아세트산 나트륨, 염화 나트륨,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칼슘, 또는 스테아르산 칼륨, 스테아르산(stearic acid), 고융점 왁스, 및 이와 다른 수용성 윤활제, 예를 들어, 염화 나트륨, 벤조산 나트륨, 아세트산 나트륨, 올레산 나트륨,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D,L-류신; 분해제(disintegrating agent)(disintegrates), 예를 들어, 전분, 메틸셀룰로오스, 구아 검, 변성 전분, 예를 들어, 카르복시메틸 나트륨 전분, 천연 및 합성 검, 예를 들어, 로커스트 콩(locust bean), 카라야(karaya), 구아, 트라가칸트, 및 아가, 셀룰로오스 유도체, 예를 들어, 메틸셀룰로오스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미정질 셀룰로오스, 및 가교 미정질 셀룰로오스, 예를 들어, 크로스카멜로스 나트륨, 알긴산염, 예를 들어, 알긴산과 알긴산 나트륨, 클레이(clay), 예를 들어, 벤토나이트, 및 발포성 혼합물(effervescent mixtures); 착색제, 감미제, 착향제, 방부제를 포함하고; 글라이던츠(glidents)는, 예를 들어, 이산화규소와 활석이고; 적절한 흡착제(adsorbent)는 클레이, 산화 알루미늄이고, 적절한 희석제는 물 또는 비경구 주사용의 물/프로필렌 글리콜 용액, 주스(juice), 당, 예를 들어, 락토오스, 수크로오스, 만니톨, 및 소르비톨, 밀, 옥수수, 쌀, 및 감자에서 얻어진 전분, 및 셀룰로오스, 예를 들어, 미정질 셀룰로오스이다.
다음의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증명하기 위해 포함된다. 다음에 이어지는 예에 개시된 기술은 본 발명의 실행에서 잘 작용하도록 발명자에 의해 발견된 기술을 나타내고, 이에 따라 그 실행을 위한 바람직한 방식(mode)을 구성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음을 당업자가 인식해야만 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비추어,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서 많은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인식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여러 양상의 추가 변형예와 대안적인 실시예는 이러한 설명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분명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고, 본 발명을 실행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당업자에게 교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기술된 본 발명의 형태는 실시예의 예로 간주되어야 함을 이해해야 한다. 구성요소와 재료는 본 명세서에 예시되고 기술된 것으로 치환될 수 있고, 부분과 공정은 반대로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특정한 특징은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이 모든 것은 본 발명의 이러한 설명의 이득을 가진 후 당업자에게 명확할 것이다. 변화는, 다음 청구항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구성요소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화합물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의 향상된 합성을 제공하고, 장기간의 안정성과 약제 제제로부터의 향상된 방출 동역학을 나타내는 안정한 염뿐만 아니라, 향상된 방출 동역학을 갖는 상기 염을 포함하는 약제 제제(pharmaceutical formulation)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a는,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배치(batch) BXR3NC1}에 대한 단결정 구조 파라미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b는, 단결정 데이터로부터 계산된 바와 같은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배치 BXR3NC1)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도면.
도 1c는, 측정(블루 라인) 및 계산(레드 라인)된 바와 같은 배치 BXR3NC1의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의 오버레이를 도시하는 도면.
도 1d는, 배치 BXR3NC1의 측정된 X-선 분말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표시된 수소 다리(hydrogen bridge)를 갖는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의 X-선 구조를 도시한다. 피리디닐 고리(우측 하부)의 질소 원자는 양성자화되고, 피리디닐 고리 질소를 양성자화하는 수소와 메실레이트 음이온의 산소 사이에 수소 다리가 형성되고, 메실레이트 음이온의 다른 산소와 물 분자의 수소 사이에 다른 수소 다리가 형성되는 반면, 물 분자의 다른 수소는 다른 메실레이트 음이온의 산소와 수소 다리를 형성하는 것으로 보인다.
도 3은, 결정 내의 패킹(packing)으로서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의 단결정 X-선 구조 분석을 도시한다. 페닐피리디닐 고리 시스템은 평면으로 배향되고, 이는 서로 평행한 것으로 보인다.
정의: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1 vol."이라는 용어는 각 출발 물질의 ㎏당 1ℓ를 가리킨다 (1 vol. = 각각의 물질 또는 출발 물질의 ㎏당 1ℓ).
예 1: N-[5-( 아미노설포닐 )-4- 메틸 -1,3-티아졸-2-일]-N- 메틸 -2-[4-(2- 리디닐) 페닐 ] 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의 합성
단계 1 (스즈키- 미야우라 커플링 및 비누화 )
비활성화 반응기(inertized reactor)는 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클로라이드(0.010 당량)로 충전되고 비활성화된다. 다음으로, 톨루엔(1.65 vol.)이 첨가된다. 40℃로 가열한 다음, 트리에틸아민(3.00 당량)이 첨가된다. 톨루엔(0.82 vol.) 용매의 에틸-4-브로모페닐아세테이트(1.00 당량) 용액이 첨가된다. 생성된 현탁액은 피나콜 보란(1.30 당량)을 투여하기 전에 60 내지 90분 동안 90 내지 95℃로 가열된다. 90 내지 95℃에서의 교반은 HPLC에 의해 변환이 확인되기 전 적어도 2시간 이상 동안 계속된다. 10℃로 냉각한 후, 2-클로로피리딘(1.00 당량)이 반응 혼합물에 가해진다. 다음으로, 30% NaOH(6.00 당량)가 첨가된 다음, 55 내지 60℃로 가열된다. 이 온도에서의 교반은 HPLC에 의해 변환이 확인되기 전 적어도 4시간 동안 계속된다. 일단 변환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반응 혼합물은 0.8 vol. 증류액이 모일 때까지 약 300 mbar에서 농축된다. 반응 혼합물은 물(2.72 vol.)로 희석되고, 20℃로 냉각되며, 상(phase)이 분리된다. 유기 층이 버려지고, 수성 층의 pH는 20℃에서 33% HCl을 첨가하여 pH 1로 조절된다. MIBK(2.30 vol.)와 셀라이트(165 g/㎏)가 첨가되고, 생성된 혼합물은 고형물이 여과로 제거되기 전에 20℃에서 적어도 15분 동안 교반된다. 반응기와 필터 케이크(filter cake)는 물로 연속적으로 세척되고, 결합된 여과액은 반응기로 다시 운반된다. 상이 분리되고 수성 층은 MIBK로 2회 이상 세척된다. 물로 희석한 후, 산성 생성물 수용액은 55℃로 가열되고, 하부는 셀라이트, 상부는 활성 목탄으로 채워진 플러그를 통해 여과된다. 셀라이트/목탄 플러그는 예비 가열된 물(0.5 vol., 55℃)로 다시 한 번 세척되고, 결합된 여과액은 반응기 안으로 다시 충전된다. 20℃에서, pH는, 생성물 용액이 60℃로 가열되기 전에 30% NaOH를 첨가하여 ~3.0으로 조절되었다. pH를 4.1 내지 4.3으로 조절하기 위해 더 많은 NaOH가 투여되었다. 생성된 현탁액은 20℃로 냉각되기 전에 60℃에서 1 내지 1.5시간 동안 교반되었다. 이 온도에서 적어도 1시간 동안 추가 교반 후, 생성물이 여과되고, 물로 두 번 세척되며, N2 유동에서 예비 건조되고, 50 내지 65℃에서 진공 내에서 최종 건조되었다. 전형적인 수율: 38 ~ 42%.
단계 2 (아미드 커플링)
반응기는 단계 1의 생성물(1.00 당량)과 4-메틸-2-(메틸아미노)-1,3-티아졸-5-설폰아미드(1.02 당량)로 충전된다다. THF(7.08 vol.)와 NMP(1.11 vol.)가 첨가된다. 생성된 현탁액은 90분이 넘는 시간 동안 4개의 동일한 부분으로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1.23 당량)를 첨가하기 전에 0℃로 냉각된다. 0℃에서 적어도 2시간 이상 후에, 반응 혼합물은 20℃로 데워졌다. 이 온도에서, 교반은 HPLC에 의해 변환이 확인되기 전 추가 2시간 동안 계속된다. 다음으로, 10 내지 15℃에서, 약 2%(0.2 vol.)의 반응 혼합물이 적어도 5분 내에 물(12.3 vol.)에 첨가된다. 생성된 묽은 현탁액은, 잔여 부피의 반응 혼합물을 4시간 넘어 투여하기 전에 적어도 1시간 동안 10 내지 15℃에서 교반된다. 10 내지 15℃에서 교반이 적어도 0.5시간 동안 계속된 후, 고형물이 여과되고, 물로 세척되며, 충분히 건조된 것으로 판단될 때까지 (LOD < 45 %w/w; LOD: 건조 감량) N2의 정상 유동(steady flow)에서 누체 필터(nutsche filter) 상에 건조된다.
급송 반응기(feed reactor)는 미정제 생성물, THF(8.15 vol.), 및 물(미정제 생성물의 LOD에 따라 1.17 vol. 이하)로 충전된다. 생성된 현탁액은 60 내지 65℃로 가열되고, 이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된다. 60℃로 가열된 가열 가능한 렌즈 필터를 사용하여 광택 여과(polish filtration)를 거친 거의 투명한 용액이 얻어진다. 급송 반응기, 이동 라인(transfer line), 및 필터는, 60 내지 65℃에서 THF(0.44 vol.)와 정제수(0.06 vol.)의 혼합물로 연속적으로 세척된다. 결합된 여과액은 개별 반응기에 모이고 50 내지 55℃로 가열된다. 반응기 함유물에, 물(3.23 vol.)이 적어도 30분 동안 투여된다. 50 내지 55℃에서의 교반이 1 내지 1.5시간 동안 계속된 다음, 물의 다른 부분(8.93 vol.)이 2시간 내에 천천히 첨가된다. 50℃에서 1 내지 1.5시간 동안 교반 후, 생성된 현탁액은 2.5시간 동안 5℃로 냉각되고 추가 0.5시간 동안 교반된다. 다음으로, 고형물이 여과되고, 물(3 × 2.96 vol.)로 세척되며, N2의 정상 유동에서 누체 필터 상에 예비 건조된다. 최종 건조는 원뿔 건조기를 사용하여 50 내지 65℃에서 진공 내에서 이루어진다. 전형적인 수율: 78 ~ 83%.
단계 3 (염 형성)
반응기는 단계 2의 생성물(1.00 당량), 에탄올(4.96 vol.), 및 물(4.96 vol.)로 충전된다. 생성된 현탁액을 50 내지 55℃로 가열한 후, 메탄설폰산(1.15 당량)이 15분 미만 내에 첨가된다. 출발 물질의 완전한 용해는 첨가의 가장 마지막 부분에 일반적으로 관찰된다. 즉시, 다음 5분 이내에, 교반은 최소 허용 가능 속도로 감속되고, 반응 혼합물은 이전 실험에서 원하는 다형성 형태로 제조된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염 일수화물(0.005 당량)로 시드된다. 50 내지 55℃에서의 느린 교반은, 2.5시간을 초과하는 동안 20 내지 25℃로 냉각하기 전에 60 내지 90분 동안 계속된다. 1시간 이상 교반 후, 고형물은 여과되고, 에탄올/물 5:2 V/V(3.10 vol.)로 세척되며, 질소 유동에서 예비 건조되고, 20 내지 60℃에서 진공 내에서 최종 건조를 위해 원뿔 건조기 안으로 운반된다. 전형적인 수율: > 95%
예 2
미분화된 활성 화합물로서 본 발명에 따른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60㎎을 포함하는 정제 (유리 염기 형태로 계산),
활성 화합물의 함량 약 59%{무첨가 정제(unvarnished tablet) 기준}: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 77.0㎎
아비셀(Avicel) PH 101 118.0㎎
락토오스, 고순도(fine) 40.0㎎
Ac-Di-솔(Sol) 20.0㎎
폴리인일피롤리돈 25 10.0㎎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2.0㎎
예 3
미분화된 활성 화합물로서 본 발명에 따른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30㎎을 포함하는 연고 (유리 염기 형태로 계산).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 미분화 38.4㎎
산화 아연 60.0㎎
활석(talcum) 60.0㎎
글리세롤 120.0㎎
프로필렌글리콜 40.0㎎
멸균수(sterile water) 80.0㎎
예 4
미분화된 활성 화합물로서 본 발명에 따른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40㎎을 포함하는 젤 (유리 염기 형태로 계산).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 미분화 51.2㎎
수산화 나트륨 용액 30.0㎎
1,2-프로판디올 80.0㎎
글리세롤 20.0㎎
폴리아크릴산 60.0㎎
멸균수 280.0㎎
예 5
미분화된 활성 화합물로서 본 발명에 따른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40㎎을 포함하는 젤 (유리 염기 형태로 계산).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 미분화 51.2㎎
1,2-프로판디올 80.0㎎
글리세롤 20.0㎎
폴리아크릴산 60.0㎎
멸균수 280.0㎎
예 6
미분화된 활성 화합물로서 본 발명에 따른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50㎎을 포함하는 정제 (유리 염기 형태로 계산),
활성 화합물의 함량 약 59%{무첨가 정제 기준}: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 미분화 64.00㎎
폴리비닐피롤리돈 3.50㎎
미정질 셀룰로오스 20.00㎎
크로스카멜로스 나트륨 10.00㎎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0.85㎎
선택적으로 HPMC 필름 코팅 3.00㎎
예 7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의 결정 구조
식 C19H24N4O7S3, M = 516.62, F(000) = 540,
무색 플레이트, 크기 0.02ㆍ0.13ㆍ0.15 mm3, 삼사정계(triclinic), 공간 군(space group) P-1, Z = 2, a = 9.4908(7)Å, b = 9.5545(7)Å, c = 14.4137(9)Å, α = 86.130(3)°, β = 72.104(3)°, γ = 68.253(4)°, V = 1153.68(15)Å3, Dcalc. = 1.487 Mgm-3. 결정은, λ = 0.71073Å, θ max = 30.065°인 흑연-모노크롬화(graphite monochromated) MoK α -선을 이용하여 293K에서 노니우스 카파CCD 회절계(Nonius KappaCCD diffractometer) 상에서 측정되었다. 최소/최대 투과(transmission) 0.95/0.99, μ = 0.370㎜-1. 콜렉트 스위트(COLLECT suite)는 데이터 수집과 통합(integration)을 위해 사용되었다. 총 43492개 반사로부터, 6761개는 독립적이었다 {합병(merging) r = 0.026}. 이러한 것으로부터, 4955개는 관찰된 것으로 간주되고 (I>3.0σ(I)) 298개 파라미터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구조는, 프로그램 SIR92를 사용하는 직접 방법에 의해 해결되었다. F에 대한 최소 자승 개선(Least-square refinement)은 프로그램 CRYSTAL을 사용하여 모든 비-수소 원자 상에서 실행되었다. R = 0.0313 (관찰된 데이터), wR = 0.0432 (모든 데이터), GOF = 1.0736. 최소/최대 잔류 전자 밀도 = -0.28/0.33 eÅ3. 상기 개선을 완료하기 위해 셰비체프 다항식 중량(Chebychev polynomial weights)이 사용되었다.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에 대한 단결정 구조 파라미터는 도 1a에 도시되어 있다.
X-선 분말 회절 분석에 의해 얻어진 배치(batch) BXR3NC1의 특징적인 피크는 표 3에 도시되어 있다.
각(Angle) d 값
(2-세타°) (옹스트롬)
6.5 13.7
12.9 6.8
16.8 5.29
18.9 4.70
19.3 4.61
19.5 4.56
20.0 4.44
22.4 3.97
22.6 3.94
23.2 3.84
23.8 3.74
25.5 3.49
25.9 3.43
28.8 3.10
30.5 2.93
32.7 2.74
35.7 2.51
표 3: X-선 분말 회절 분석(Cu K알파 선)에 의해 얻어진 배치 BXR3NC1의 특징적인 피크.
2-세타 값은, +/- 0.1°의 정상 편차로 인해 한 자리 소수 위치로 반올림된다.
예 8
유리 염기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유리 염기)로 수행된 반복 투여량의 13주 독성 연구에서 쥐를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에 노출시키는 것은, 메실레이트 일수화물로 수행된 26주 반복 투여량의 독성 연구에서 관찰된 노출과 비교되었다. 양쪽 연구에서, 시험 항목은 0.5%(w/v) 타이로스(tylose) 현탁액으로 투여되었고, 농도는 유리 염기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의 당량으로 조절되었다.
노출은, 13주 동안 반복된 투여량 투여 후뿐만 아니라 (표 5), 제 1 투여량의 투여 후 (1일, 2일; 표 4) 모두 10, 50, 및 250 ㎎/㎏/일의 투여 후에, 비교되었다. 10 ㎎/㎏/일의 투여 후, 가능하면 더 큰 노출의 표시가 있었다.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실레이트 일수화물의 투여 후 노출은, 50 및 250 ㎎/㎏/일의 투여량 후(유리 염기의 당량에 맞게 조절된), 유리 염기의 투여 후 노출과 비교해서, 더 컸다는 관찰이 중요하였다. 노출의 정도(extent)는 C에 대해 2.7배 이하이고 AUC에 대해서는 4배 증가했다.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실레이트 일수화물은,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의 유리 염기 당량의 동분자(equimolecular) 투여량(50 및 250 ㎎/㎏/일)의 투여 뒤에 관찰된 것과 비교해서 더 큰 노출을 나타낸 것으로 결론이 내려진다. 그래서, 노출 정도의 이러한 큰 증가는, 유리 염기의 투여 뒤에 관찰된 것에 대해 체계적인 노출(systematic exposure)의 동반 증가를 갖는 보다 유리한 분해 프로파일을 생기게 하는 개선된 물리화학 특성의 메실레이트 염을 나타낸다.
따라서, 메실레이트 염의 투여에 이은, 이러한 노출의 증가는, 더 큰 효력과 더 큰 바이러스 저항 장벽(이는 모두 바이러스성 감염증의 치료에 필수적인 특징으로 간주됨)을 생기게 하는, 활성 성분에 대한 더 큰 노출이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효력과 저항 장벽의 향상은, 메실레이트 염 제제와 관련된 가장 중요한 특징으로 판단된다.
유리 염기
13주 독성 연구(13-wts)
1일
메실레이트 일수화물
26주 독성 연구(26-wts)
1일
노출 비
26-wts/13-wts.
투여량
[㎎/㎏/일]
Cmax
[ng/㎖]
AUC(0-24)
[ng×h/㎖]
Cmax
[ng/㎖]
AUC(0-24)
[ng×h/㎖]
Cmax AUC(0-24)
10 M 13300 87900 16935 118752 1.3 1.4
50 M 30600 248000 70324 633522 2.3 2.6
250 M 53900 567000 133776 1982721 2.5 3.5
10 F 15300 159000 17237 175125 1.1 1.1
50 F 35300 409000 77824 912978 2.2 2.2
250 F 68900 966000 146142 2473155 2.1 2.6
표 4: 1회 투여 후 쥐의 13주 독성(유리 염기) 및 26주 독성(메실레이트 염) 연구에서 노출의 비교. M 숫쥐, F 암쥐. Cmax는 관찰된 최대 분석물(analyte) 농도이고; AUC(0-24)는 투여 후 24시간까지 분석물 대(對) 시간 농도 아래의 면적으로 정의되며; 선형 업/선형 다운 합(linear up/ln down summation)으로 계산된다.
유리 염기
13주 독성 연구(13-wts)
13주
메실레이트 일수화물
26주 독성 연구(26-wts)
13주
노출 비
26-wts/13-wts.
투여량
[㎎/㎏/일]
Cmax
[ng/㎖]
AUC(0-24)
[ng×h/㎖]
Cmax
[ng/㎖]
AUC(0-24)
[ng×h/㎖]
Cmax AUC(0-24)
10 M 15000 133000 21840 227165 1.5 1.7
50 M 30000 332000 74719 959252 2.5 2.9
250 M 62800 661000 168968 2782092 2.7 4.2
10 F 25800 211000 25953 321135 1.0 1.5
50 F 40500 455000 106147 1205651 2.6 2.6
250 F 83000 1172000 217283 3584983 2.6 3.1
표 5: 13주에 쥐의 13주 독성(유리 염기) 및 26주 독성(메실레이트 일수화물 염) 연구에서 노출의 비교. M 숫쥐, F 암쥐. Cmax는 관찰된 최대 분석물 농도이고; AUC(0-24)는 투여 후 24시간까지 분석물 대(對) 시간 농도 아래의 면적으로 정의되며; 선형 업/선형 다운 합으로 계산된다.

Claims (15)

  1.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를 합성하는 방법으로서,
    단계 A: 다음 일반식 A*의 화합물 A를,
    Figure pct00013

    (R1은 이탈기를 나타내고,
    R2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잔기 또는 3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킬 잔기를 나타낸다)
    R1-H 또는 R1-B(OR)2의 제거 및 화합물 A의 중간체 보론산 유도체의 형성 하에, 보론산 유도체, 보롤란(borolane), 보리난(borinane) 또는 디보론산 시약과 반응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중간체 보론산 유도체는 다음으로 다음 일반식 B*의 피리딘 화합물 B와,
    Figure pct00014

    (R3은 이탈기를 나타낸다)
    염기성 조건 하에 반응되어, (4-피리딘-2-일페닐)아세트산을 직접 얻고, 이는 다음에 정제되는, 상기 단계 A와,
    단계 B: 단계 A로부터 얻어진 (4-피리딘-2-일페닐)아세트산을 4-메틸-2-(메틸아미노)-1,3-티아졸-5-설폰아미드와 반응시켜,
    Figure pct00015

    다음 식의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를 얻는, 상기 단계 B에
    Figure pct00016

    따라서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를 합성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다음 단계 C: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를 유기 용매와 물의 혼합물에서 메탄설폰산을 사용하여 다음 식의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로 변환시키는 단계를
    Figure pct00017

    더 포함하는,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를 합성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R1과 R3은 독립적으로 서로 -F, -Cl, -Br, -I, -OMs, -OTf, 및 -OTs로부터 선택되는,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를 합성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론산 유도체, 보롤란, 보리난 또는 디보론산 시약은 다음으로부터 선택되고:
    Figure pct00018

    R', R", Ra, Rb, Rc, Rd, Re 및 Rf는 독립적으로 서로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선형 또는 가지형 알킬기 또는 3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내는,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를 합성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체 보론산 유도체 또는 보롤란 시약을 제조하기 위해, 시약인 팔라듐 아세테이트, 트리에틸아민과 트리페닐포스핀 또는 PdCl2(PPh3)2와 트리에틸아민이 사용되는,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를 합성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단계 B는, THF/NMP 용매 혼합물에서 커플링제(coupling agent)로 EDC × HCl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를 합성하는 방법.
  7. 제 2항에 있어서, 융기 용매와 물의 혼합물에서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의 혼합물은 상승된 온도에서 메탄설폰산 첨가시 과포화 용액(supersaturated solution)을 생성하고, 이로부터, 연장된 교반, 시딩(seeding) 또는 냉각 중 한 가지 후에,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이 결정화하는,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를 합성하는 방법.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음 단계 D: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운반체(carrier), 부형제(excipient), 용매 및/또는 희석제로,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의 약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를 합성하는 방법.
  9.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은,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의 다형체(polymorph)이고, 상기 다형체의 X-선 회절 패턴은, 6.5, 12.9, 16.8, 18.9, 19.3, 19.5, 20.0, 22.4, 22.5, 23.2, 23.8, 25.5, 25.9, 28.8, 30.5, 32.7, 및 35.7도의 2-세타(Theta) 각도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
  11. 제 9항에 있어서, 도 1a에 기술된 바와 같은 다형태(polymorphic form) 및/또는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은 X-선 회절 패턴을 나타내는,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
  12. 제 9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세틸살리실산(acetylsalicylic acid), 트리플루리딘(trifluridine), 이독수리딘(idoxuridine), 포스카넷(foscarnet), 시도포비르(cidofovir), 간시클로비르(ganciclovir), 아시클로비르(aciclovir), 펜시클로비르(penciclovir), 발라시클로비르(valaciclovir) 및/또는 팜시클로비르(famciclovir)와 조합된,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
  13. 제 9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염 질병의 치료 및/또는 예방 및/또는 감염 질병의 전염(transmission)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감염 질병은,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증(herpes simplex virus infection)인,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
  15. 약제 조성물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운반체, 부형제, 용매 및/또는 희석제와 함께, 제 9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결정성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탄설폰산 일수화물을 함유하는, 약제 조성물.
KR1020147004026A 2011-09-26 2012-09-26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실레이트 일수화물 KR1017682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007823.5 2011-09-26
EP11007823A EP2573086A1 (en) 2011-09-26 2011-09-26 N-[5-(Aminosulfonyl)-4-methyl-1,3-thiazol-2-yl]-N-methyl-2-[4-(2-pyridinyl)phenyl]acetamide mesylate monohydrate
PCT/EP2012/068938 WO2013045479A1 (en) 2011-09-26 2012-09-26 N-[5-(aminosulfonyl)-4-methyl-1,3-thiazol-2-yl]-n-methyl-2-[4-(2-pyridinyl)phenyl]acetamide mesylate monohydrat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2548A Division KR20170055565A (ko) 2011-09-26 2012-09-26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실레이트 일수화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704A true KR20140066704A (ko) 2014-06-02
KR101768295B1 KR101768295B1 (ko) 2017-08-14

Family

ID=46889067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2548A KR20170055565A (ko) 2011-09-26 2012-09-26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실레이트 일수화물
KR1020187021891A KR20180088530A (ko) 2011-09-26 2012-09-26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실레이트 일수화물
KR1020197025387A KR20190104249A (ko) 2011-09-26 2012-09-26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실레이트 일수화물
KR1020147004026A KR101768295B1 (ko) 2011-09-26 2012-09-26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실레이트 일수화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2548A KR20170055565A (ko) 2011-09-26 2012-09-26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실레이트 일수화물
KR1020187021891A KR20180088530A (ko) 2011-09-26 2012-09-26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실레이트 일수화물
KR1020197025387A KR20190104249A (ko) 2011-09-26 2012-09-26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실레이트 일수화물

Country Status (29)

Country Link
US (1) US9340535B2 (ko)
EP (3) EP2573086A1 (ko)
JP (2) JP6161614B2 (ko)
KR (4) KR20170055565A (ko)
CN (2) CN105541829A (ko)
AR (3) AR088043A1 (ko)
AU (2) AU2012314536B2 (ko)
BR (1) BR112014003245B1 (ko)
CA (1) CA2791142C (ko)
CL (1) CL2014000149A1 (ko)
DK (2) DK2598501T3 (ko)
ES (2) ES2462492T3 (ko)
HK (1) HK1220978A1 (ko)
HR (1) HRP20140351T1 (ko)
IL (2) IL230152A (ko)
IN (1) IN2014DN01993A (ko)
JO (2) JO3037B1 (ko)
MX (2) MX371088B (ko)
MY (2) MY185063A (ko)
PE (1) PE20141148A1 (ko)
PH (1) PH12015502801A1 (ko)
PL (2) PL2598501T3 (ko)
PT (1) PT2598501E (ko)
RU (2) RU2669388C1 (ko)
SG (1) SG10201407430TA (ko)
TW (2) TWI532739B (ko)
UA (2) UA115317C2 (ko)
WO (1) WO2013045479A1 (ko)
ZA (2) ZA2014017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73085A1 (en) * 2011-09-26 2013-03-27 AiCuris GmbH & Co. KG N-[5-(aminosulfonyl)-4methyl-1,3-thiazol-2-yl]-N-methyl-2-[4-(2-pyridinyl)phenyl] acetamide mesylate monohydrate having a specific particle size distribution range and a specific surface area range
EP2573086A1 (en) * 2011-09-26 2013-03-27 AiCuris GmbH & Co. KG N-[5-(Aminosulfonyl)-4-methyl-1,3-thiazol-2-yl]-N-methyl-2-[4-(2-pyridinyl)phenyl]acetamide mesylate monohydrate
MX2018012116A (es) * 2016-04-06 2019-05-23 Innovative Molecules Gmbh Derivados de aminotiazol utiles como agentes antiviricos.
TW201825095A (zh) * 2016-11-28 2018-07-16 德商艾庫里斯抗感染治療有限公司 包含n-[5-(胺基磺醯基)-4-甲基-1,3-噻唑-2-基]-n-甲基-2-[4-(2-吡啶基)-苯基]-乙醯胺之局部醫藥調配物
PL3544976T3 (pl) * 2016-11-28 2021-11-02 Aicuris Gmbh & Co. Kg Hemihydrat wolnej zasady n-[5-(aminosulfonylo)-4-metylo-1,3-tiazol-2-ilo]-n-metylo-2-[4-(2-pirydynylo)fenylo]acetamidu, sposoby jego wytwarzania i zastosowania
HUE054845T2 (hu) 2016-11-28 2021-10-28 Aicuris Gmbh & Co Kg Az N-[5-(amino-szulfonil)-4-metil-1,3-tiazol-2-il]-N-metil-2-[4-(2-piridinil)fenil]acetamid szabad bázis maleát sója, gyógyászati készítmények, elõállítási eljárások és Herpes vírusok kezelésére történõ alkalmazások
KR102335327B1 (ko) 2017-04-28 2021-12-03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수냉식 이지알 쿨러
NZ760339A (en) * 2017-06-28 2023-06-30 Aicuris Gmbh & Co Kg Intravaginally applicable devices comprising antiviral compounds
HUE061307T2 (hu) 2017-10-05 2023-06-28 Innovative Molecules Gmbh Szubsztituált tiazolok enantiomerei mint vírusellenes vegyületek
EP3819297B1 (en) 2018-07-06 2024-04-03 Phaeno Therapeutics Co., Ltd. Crystal forms of thiazole compound and application thereof
WO2020061295A1 (en) * 2018-09-19 2020-03-26 Modernatx, Inc. High-purity peg lipids and uses thereof
TW202038947A (zh) 2018-11-28 2020-11-01 德商創新分子有限責任公司 在與溶瘤病毒之組合療法中治療癌症的解旋酶引子酶抑制劑
WO2024047507A1 (en) 2022-08-29 2024-03-07 Assembly Biosciences, Inc. A novel crystalline form of pritelivir
WO2024047506A1 (en) 2022-08-29 2024-03-07 Assembly Biosciences, Inc. A novel crystalline form of pritelivir
WO2024047508A1 (en) 2022-08-29 2024-03-07 Assembly Biosciences,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herpes viru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OP2000000109A (es) * 1999-12-23 2002-08-30 Gerald Kleymann Derivados de tiazolilamida
DE10129717A1 (de) * 2001-06-22 2003-01-02 Bayer Ag Kombinationspräparate zur Herpes-Behandlung
DE10129714A1 (de) * 2001-06-22 2003-01-02 Bayer Ag Topische Anwendung von Thiazolylamiden
DE10129716A1 (de) * 2001-06-22 2003-01-02 Bayer Ag Kombinationspräparate zur Herpes-Behandlung
DE10131128A1 (de) * 2001-06-28 2003-01-16 Bayer Ag Sekundäre Sulfonamide
GB0423653D0 (en) * 2004-10-25 2004-11-24 Piramed Ltd Pharmaceutical compounds
DE102005014248A1 (de) * 2005-03-30 2006-10-05 Aicuris Gmbh & Co. Kg Pharmazeutische Zubereitung von N-[5-(Aminosulfonyl)-4-methyl-1,3-thiazol-2-yl]-N-methyl-2-[4-(2-pyridinyl)phenyl]acetamid
JP2007314516A (ja) * 2006-04-25 2007-12-06 Daiichi Sankyo Co Ltd 2以上の置換基を有するベンゼン化合物を含有する医薬
AU2007257841A1 (en) * 2006-06-09 2007-12-21 Icos Corporation Substituted phenyl acetic acids as DP-2 antagonists
AR070127A1 (es) * 2008-01-11 2010-03-17 Novartis Ag Pirrolo - pirimidinas y pirrolo -piridinas
UA103918C2 (en) * 2009-03-02 2013-12-10 Айерем Элелси N-(hetero)aryl, 2-(hetero)aryl-substituted acetamides for use as wnt signaling modulators
EP2573086A1 (en) * 2011-09-26 2013-03-27 AiCuris GmbH & Co. KG N-[5-(Aminosulfonyl)-4-methyl-1,3-thiazol-2-yl]-N-methyl-2-[4-(2-pyridinyl)phenyl]acetamide mesylate monohydrate
EP2573085A1 (en) * 2011-09-26 2013-03-27 AiCuris GmbH & Co. KG N-[5-(aminosulfonyl)-4methyl-1,3-thiazol-2-yl]-N-methyl-2-[4-(2-pyridinyl)phenyl] acetamide mesylate monohydrate having a specific particle size distribution range and a specific surface area ran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O3037B1 (ar) 2016-09-05
RU2620604C2 (ru) 2017-05-29
JP2014528948A (ja) 2014-10-30
CN105541829A (zh) 2016-05-04
PH12015502801B1 (en) 2016-10-03
AU2015260762A1 (en) 2016-02-04
BR112014003245A2 (pt) 2017-03-01
MX371088B (es) 2020-01-16
ES2466221T8 (es) 2016-09-13
US9340535B2 (en) 2016-05-17
JP6353022B2 (ja) 2018-07-04
KR101768295B1 (ko) 2017-08-14
RU2669388C1 (ru) 2018-10-11
AU2015260762B2 (en) 2016-06-09
DK2598501T3 (da) 2014-04-22
BR112014003245B1 (pt) 2021-11-09
DK2602258T3 (da) 2014-04-22
AR116394A2 (es) 2021-05-05
CN103842359B (zh) 2016-05-25
CL2014000149A1 (es) 2014-09-05
EP2598501A1 (en) 2013-06-05
AU2012314536B2 (en) 2016-01-14
CN103842359A (zh) 2014-06-04
HK1220978A1 (zh) 2017-05-19
TW201317234A (zh) 2013-05-01
CA2791142C (en) 2017-08-01
IL234405A (en) 2015-04-30
PE20141148A1 (es) 2014-09-15
MX338736B (es) 2016-04-29
EP2602258A1 (en) 2013-06-12
PT2598501E (pt) 2014-06-25
RU2014107430A (ru) 2015-11-10
KR20190104249A (ko) 2019-09-06
JO3734B1 (ar) 2021-01-31
MX2014003389A (es) 2014-07-09
KR20170055565A (ko) 2017-05-19
JP6161614B2 (ja) 2017-07-12
MY190878A (en) 2022-05-13
TWI567070B (zh) 2017-01-21
MY185063A (en) 2021-04-30
CA2791142A1 (en) 2013-03-26
TWI532739B (zh) 2016-05-11
EP2573086A1 (en) 2013-03-27
UA119574C2 (uk) 2019-07-10
US20140221433A1 (en) 2014-08-07
HRP20140351T1 (hr) 2014-07-04
AR088043A1 (es) 2014-05-07
IN2014DN01993A (ko) 2015-05-15
PL2598501T3 (pl) 2014-08-29
ES2466221T3 (es) 2014-06-09
SG10201407430TA (en) 2014-12-30
IL230152A (en) 2015-04-30
JP2017114859A (ja) 2017-06-29
UA115317C2 (uk) 2017-10-25
EP2598501B1 (en) 2014-03-12
WO2013045479A1 (en) 2013-04-04
TW201625603A (zh) 2016-07-16
AR120291A2 (es) 2022-02-09
AU2012314536A1 (en) 2014-02-06
NZ718867A (en) 2016-05-27
ZA201401773B (en) 2015-12-23
PL2602258T3 (pl) 2014-08-29
ZA201408734B (en) 2016-08-31
ES2462492T3 (es) 2014-05-23
EP2602258B1 (en) 2014-03-19
PH12015502801A1 (en) 2016-10-03
NZ621615A (en) 2016-04-29
KR20180088530A (ko) 2018-08-03
EP2602258B8 (en) 201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8295B1 (ko) N-[5-(아미노설포닐)-4-메틸-1,3-티아졸-2-일]-n-메틸-2-[4-(2-피리디닐)페닐]아세트아미드 메실레이트 일수화물
RU2606628C2 (ru) Моногидрат мезилата n-[5-(аминосульфонил)-4-метил-1,3-тиазол-2-ил]-n-метил-2-[4-(2-пиридинил)фенил]ацетамида, обладающий определенным диапазоном распределения частиц по размерам и удельной площади поверхности,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х препаратах
CA2939529C (en) N-[5-(aminosulfonyl)-4-methyl-1,3-thiazol-2-yl]-n-methyl-2-[4-(2-pyridinyl)phenyl]acetamide mesylate monohydrate
NZ621615B2 (en) N-[5-(aminosulfonyl)-4-methyl-1,3-thiazol-2-yl]-n-methyl-2-[4-(2-pyridinyl)phenyl]acetamide mesylate monohydrate
NZ718867B2 (en) N-[5-(aminosulfonyl)-4-methyl-1,3-thiazol-2-yl]-n-methyl-2-[4-(2-pyridinyl)phenyl]acetamide mesylate monohydrate
EP2598502A1 (en) N-[5-(aminosulfonyl)-4-methyl-1,3-thiazol-2-yl]-n-methyl-2-[4-(2-pyridinyl)phenyl]acetamide mesylate monohydrate having a specific particle size distribution range and a specific surface area range for use in pharmaceutical formul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