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3978A - 지게차의 캐리지 램프 작동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지게차의 캐리지 램프 작동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3978A
KR20140063978A KR1020120130770A KR20120130770A KR20140063978A KR 20140063978 A KR20140063978 A KR 20140063978A KR 1020120130770 A KR1020120130770 A KR 1020120130770A KR 20120130770 A KR20120130770 A KR 20120130770A KR 20140063978 A KR20140063978 A KR 20140063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age
height sensor
inner mast
mast
fork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0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2793B1 (ko
Inventor
최석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to KR1020120130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793B1/ko
Publication of KR20140063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3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60Q1/08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special conditions, e.g. adverse weather, type of road, badly illuminated road signs or potential d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5Position control; Position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5Fork lift trucks, Industrial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게차의 캐리지 램프 작동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물류창고나 냉동창고와 같은 실내에서 야간에 높은 위치에 하물을 적재하거나 하물을 재배치할 때 충분한 조명을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지게차의 전면에 구비되는 외측마스트(5-1)와, 상기 외측마스트(5-1)와 조립되어 상하로 승강하는 내측마스트(5-2)와, 상기 내측마스트(5-2)에 장착되어 상 하로 승강가능한 캐리지(6)와, 상기 캐리지(6)에 설치되어 하물을 들어올리는 한 쌍의 포크(6a)와, 운전실(7) 상측에 설치되는 오버 헤드 가드(8)와, 상기 오버 헤드 가드(8)의 전면 양쪽에 설치되는 전조등(9)을 구비하는 지게차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6)의 후방에 구비되어 캐리지와 함께 승강하는 캐리지 램프(6-1)와; 상기 캐리지(6)의 승강위치를 감지하는 캐리지 위치 감지수단과; 상기 캐리지 위치 감지수단으로부터 상기 캐리지(6)의 위치가 입력되면, 상기 캐리지 램프(6-1)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게차의 캐리지 램프 작동 조절장치{Carriage Lamp Controlling Apparatus of Forklift}
본 발명은 지게차의 캐리지 램프 작동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류창고나 냉동창고와 같은 실내에서 높은 위치에 하물을 적재하거나 적재된 하물을 재배치할 때 충분한 조명을 확보할 수 있는 지게차의 캐리지 램프 작동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게차는 고중량의 하물(荷物)을 들어올리거나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산업차량으로서 각종 산업 현장이나 건설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전동식 지게차는 물류창고, 냉동창고, 대형 할인점과 같은 실내에서 적재물을 이동하거나 재배치하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게차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체(1)를 구비하며, 차체(1)의 전방에는 마스트조립체(4)가 설치된다.
상기 마스트조립체(4)는, 마스트레일(5)과, 마스트레일(5)을 따라 상, 하로 승강가능한 캐리지(6)를 갖추고 있으며, 캐리지(6)에는 하물(A)을 들어올리는 한 쌍의 포크(6a)가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한편, 차체(1)의 상부에는 운전실(7)이 형성되어 있고, 운전실(7)의 상측으로는 오버 헤드 가드(8)가 설치된다. 오버 헤드 가드(8)는 운전실(7)에 탑승하는 운전자를 보호하는 것으로, 전면의 양쪽에는 전조등(9)이 설치된다.
상기한 전조등(9)은, 야간작업 시 캐리지(6)의 하물(A)을 조명하여 하물의 하역 및 운반작업을 간편하게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전조등(9)은 전방으로 향해 고정적으로 설치되므로, 캐리지(6)를 상승시켜 하물(A)을 높은 곳까지 상승시킬 경우, 상승된 하물(A)을 조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하물을 높은 곳에 적재하거나 높은 곳에 위치한 하물을 재배치하는 경우, 하물의 하역 및 운반에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야간 작업시에는 하물이 낙하되어 제품에 손상을 입힐 수 있고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도 있다.
또한 대형의 물류창고나 냉동창고에서는 하물을 매우 높은 위치까지 적재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안전사고의 위험성은 더욱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하물의 높낮이 위치에 따라 전조등의 조명각도가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지게차의 전조등 제어장치가 한국 공개특허 제10-2007-68519호로 제안된 바 있다(참고로 이 특허는 본 출원인의 전신회사인 두산인프라코어에서 출원한 것이다).
상기한 지게차의 전조등 제어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트레일(5)을 따라 상, 하로 승강가능한 캐리지(6)와, 상기 캐리지(6)에 설치되어 하물을 들어올리는 한 쌍의 포크(6a) 및 운전실(7) 상측에 설치되는 오버 헤드 가드(8)와, 상기 오버 헤드 가드(8)의 전면 양쪽에 설치되는 전조등(9)을 구비하는 지게차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6)의 승강위치를 감지하는 캐리지 위치 감지수단과; 미리 저장된 캐리지(6) 승강위치별 전조등 조명각도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0)와; 상기 캐리지 위치 감지수단으로부터 상기 캐리지(6)의 승강위치가 입력되면, 이에 대응되는 상기 메모리부(20)의 전조등 조명각도를 검출하여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콘트롤러(30)와; 상기 콘트롤러의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전조등(9)이 상기 캐리지(6)와 하물을 향해 조명하도록 상기 전조등(9)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회전각도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리지 위치 감지수단은, 상기 마스트레일(5)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캐리지(6)까지의 거리를 검출하여 상기 캐리지(6)의 승강위치를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10)이며, 상기 메모리부(20)는 상기 마스트레일(5)의 하단부에서 캐리지(6)까지의 거리별, 전조등 조명각도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각도 조절수단은, 상기 전조등(9)을 지지하며, 상기 콘트롤러(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도등(9)을 상부와 하부로 회전시키는 스텝모터(40)로 구성된다.
상기한 종래의 전조등 제어장치는, 캐리지(6)의 승강위치에 따라 오버 헤드 가드(8)에 구비된 전조등(9)의 조명각도를 제어하므로, 전조등(9)이 캐리지(6)의 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캐리지와 이에 지지되는 하물을 조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전조등 제어장치는 전조등(8)이 오버헤드 가드(8)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조등의 각도를 조절하므로, 야간에 아주 높은 위치에 있는 하물의 하역 및 운반 작업시 충분한 조명을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초음파 센서(10)를 사용하여 캐리지의 위치를 감지하고 스텝모터에 의해 전조등의 각도를 제어하므로, 장치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KR 10-2007-0068519 A 특허문헌 2 : KR 10-2009-0067296 A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류창고나 냉동창고와 같은 실내에서 높은 위치에 하물을 적재하거나 재배치할 때 충분한 조명을 확보할 수 있는 지게차의 캐리지 램프 작동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야간에 높은 위치로 상승되는 하물을 밝게 조명하여 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지게차의 캐리지 램프 작동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비용이 저렴한 지게차의 캐리지 램프 작동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게차의 전면에 구비되는 외측마스트와, 상기 외측마스트와 조립되어 상하로 승강하는 내측마스트와, 상기 내측마스트에 장착되어 상, 하로 승강가능한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에 설치되어 하물을 들어올리는 한 쌍의 포크와, 운전실 상측에 설치되는 오버 헤드 가드와, 상기 오버 헤드 가드의 전면 양쪽에 설치되는 전조등을 구비하는 지게차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의 후방에 구비되어 캐리지와 함께 승강하는 캐리지 램프와; 상기 캐리지의 승강위치를 감지하는 캐리지 위치 감지수단과; 상기 캐리지 위치 감지수단으로부터 상기 캐리지의 위치가 입력되면, 상기 캐리지 램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리지 위치 감지수단은, 외측마스트 프레임에 장착되는 높이센서와, 상기 내측마스트 프레임에 장착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센서는, ㄷ자 형상의 외측부재와, 상기 외측부재의 안쪽에서 외측마스트 프레임을 개재하여 조립되는 내측부재와, 상기 외측부재의 하부에서 돌출되는 하부부재로 이루어지는 높이센서 고정부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센서는 상기 하부부재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재는, 내측마스트 프레임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에서 운전석을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수평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리지 램프는 캐리지의 좌우측에 2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리지 램프는, 운전석의 계기판에 구비된 선택스위치를 온(ON) 시킴으로써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리지 램프는, 내측마스트가 상승하여 내측마스트 프레임에 구비된 돌출부재가 높이센서를 통과할 때 점등되고, 상기 내측마스트가 하강하여 내측마스트 프레임에 구비된 돌출부재가 높이센서를 통과할 때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리지 램프는, 내측마스트가 상승하여 내측마스트 프레임에 구비된 돌출부재가 높이센서를 통과할 때 점등되고, 선택스위치를 오프(OFF)시킴으로써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전조등 외에 캐리지와 함께 승강하는 캐리지 램프를 추가로 설치하여 캐리지가 일정한 높이 이상으로 상승하면 캐리지 램프가 자동으로 점등되므로, 물류창고나 냉동창고와 같은 실내에서 높은 위치에 하물을 적재하거나 적재된 하물을 재배치할 때 충분한 조명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전조등으로 조명이 곤란한 높은 위치의 하물을 환하게 조명할 수 있으므로 야간 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조등의 각도를 조절하는 종래의 방식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지게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전조등의 회전이 가능한 종래의 지게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센서가 장착된 상태를 운전석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도 4를 A-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센서가 장착된 상태를 운전석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트롤러의 회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캐리지 램프 작동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캐리지 램프 작동 조절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게차의 전면에 구비되는 외측마스트(5-1)와, 상기 외측마스트(5-1)와 조립되어 상하로 승강하는 내측마스트(5-2)와, 상기 내측마스트(5-2)에 장착되어 상, 하로 승강가능한 캐리지(6)와, 상기 캐리지(6)에 설치되어 하물을 들어올리는 한 쌍의 포크(6a)와, 운전실(7) 상측에 설치되는 오버 헤드 가드(8)와, 상기 오버 헤드 가드(8)의 전면 양쪽에 설치되는 전조등(9)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캐리지(6)의 후방에 구비되어 캐리지와 함께 승강하는 캐리지 램프(6-1)와; 상기 캐리지(6)의 승강위치를 감지하는 캐리지 위치 감지수단과; 상기 캐리지 위치 감지수단으로부터 상기 캐리지(6)의 위치가 입력되면, 상기 캐리지 램프(6-1)를 점등하는 콘트롤러(3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은, 기존의 전조등(9) 외에 캐리지(6)와 함께 승강하는 캐리지 램프(6-1)를 추가로 설치하고, 캐리지(6)가 일정한 높이 이상으로 상승하면 자동으로 캐리지 램프(6-1)가 점등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캐리지 위치 감지수단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마스트 프레임(5-3)에 장착되는 높이센서(50)와, 상기 내측마스트 프레임(5-4)에 장착되는 돌출부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높이센서(50)는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돌출부재(70)는 상하로 승강하는 내측마스트 프레임(5-4)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높이센서(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의 외측부재(61)와, 상기 외측부재(61)의 안쪽에서 외측마스트 프레임(5-3)을 개재하여 조립되는 내측부재(62)와, 상기 외측부재(61)의 하부에서 돌출되는 하부부재(63)로 이루어지는 높이센서 고정부재(60)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높이센서(50)는 다양한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내측마스트 프레임(5-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높이센서(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부재(63)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부재(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마스트 프레임(5-4)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재(72)와, 상기 수직부재(72)의 상단에서 운전석을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수평부재(71)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큰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높이센서(50)가 상기 돌출부재(70)의 승강 작동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리지 램프(6-1)는 캐리지(6)의 후방에 1개가 설치될 수도 있고캐리지(6)의 좌우측에 2개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캐리지 램프(6-1)의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지 램프(6-1)의 회로도를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먼저 전조등(9)으로도 충분히 조명을 확보할 수 있는 경우에는 전조등(9)만 점등하고 작업을 한다.
만일 야간에 높은 곳에 하물을 적재할 필요가 있거나 하물을 재배치할 필요가 있어 추가적인 조명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캐리지 램프 선택 스위치(80)를 온 시킨다.
이어서 작업을 위해 내측마스트(5-2)를 상승시키면, 내측마스트 프레임(5-4)에 장착된 돌출부재(70)가 외측마스트 프레임(5-3)에 장착되어 있는 높이센서(50)부분을 통과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높이센서(50)가 신호를 감지하게 되고 이 신호는 콘트롤러에 전달되어 캐리지 램프(6-1)를 점등시킨다.
다시 내측마스트(5-2) 및 캐리지(6)가 하강하게 되면, 내측마스트 프레임(5-4)에 장착된 돌출부재(70)가 높이센서(50) 부분을 다시 통과하게 된다.
그러면 높이센서(50)의 신호가 콘트롤러에 전달되어 캐리지 램프(6-1)를 소등시킨다.
즉, 캐리지(6)가 일정한 높이 이상으로 상승될 경우에만 상기 캐리지 램프(6-1)가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리지 램프(6-1)는, 내측마스트(5-2)가 상승하여 내측마스트 프레임(5-4)에 구비된 돌출부재(70)가 높이센서(50)를 통과할 때 점등되도록 한 다음, 선택스위치(80)를 오프(OFF)시킴으로써 소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전조등으로는 조명이 어려운 높은 위치까지 밝게 조명할 수 있으므로, 높은 위치에 하물을 자주 적재하거나 재배치해야 할 필요가 있는 대형 물류창고나 냉동창고 등에서의 야간 작업시 아주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전조등을 일정각도로 회전시키는 종래의 방식에 비하여 비용이 저렴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기존의 지게차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차체 4: 마스트(Mast) 조립체
5-1: 외측마스트 5-2: 내측마스트
5-3: 외측마스트 프레임 5-4: 내측마스트 프레임
6: 캐리지(Carriage) 6a: 포크(Fork)
6-1: 캐리지 램프 7: 운전실
8: 오버헤드 가드(Overhead Guard) 9: 전조등
50: 높이 센서 60: 높이센서 고정부재
61: 외측부재 62: 내측부재
63: 하부부재 70: 돌출부재
71: 수평부재 72: 수직부재
80: 선택스위치 A: 하물

Claims (9)

  1. 지게차의 전면에 구비되는 외측마스트(5-1)와, 상기 외측마스트(5-1)와 조립되어 상하로 승강하는 내측마스트(5-2)와, 상기 내측마스트(5-2)에 장착되어 상 하로 승강가능한 캐리지(6)와, 상기 캐리지(6)에 설치되어 하물을 들어올리는 한 쌍의 포크(6a)와, 운전실(7) 상측에 설치되는 오버 헤드 가드(8)와, 상기 오버 헤드 가드(8)의 전면 양쪽에 설치되는 전조등(9)을 구비하는 지게차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6)의 후방에 구비되어 캐리지와 함께 승강하는 캐리지 램프(6-1)와;
    상기 캐리지(6)의 승강위치를 감지하는 캐리지 위치 감지수단과;
    상기 캐리지 위치 감지수단으로부터 상기 캐리지(6)의 위치가 입력되면, 상기 캐리지 램프(6-1)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캐리지 램프 작동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 위치 감지수단은,
    외측마스트 프레임(5-3)에 장착되는 높이센서(50)와, 상기 내측마스트 프레임(5-4)에 장착되는 돌출부재(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캐리지 램프 작동 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센서(50)는,
    ㄷ자 형상의 외측부재(61)와, 상기 외측부재(61)의 안쪽에서 외측마스트 프레임(5-3)을 개재하여 조립되는 내측부재(62)와, 상기 외측부재(61)의 하부에서 돌출되는 하부부재(63)로 이루어지는 높이센서 고정부재(60)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캐리지 램프 작동 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센서(50)는 상기 하부부재(63)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캐리지 램프 작동 조절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70)는, 내측마스트 프레임(5-4)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재(72)와, 상기 수직부재(72)의 상단에서 운전석을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수평부재(7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캐리지 램프 작동 조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 램프(6-1)는 캐리지(6)의 좌우측에 2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캐리지 램프 작동 조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 램프(6-1)는, 운전석에 구비된 선택스위치(80)를 온(ON) 시킴으로써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캐리지 램프 작동 조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 램프(6-1)는, 내측마스트(5-2)가 상승하여 내측마스트 프레임(5-4)에 구비된 돌출부재(70)가 높이센서(50)를 통과할 때 점등되고, 상기 내측마스트(5-2)가 하강하여 내측마스트 프레임(5-4)에 구비된 돌출부재(70)가 높이센서(50)를 통과할 때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캐리지 램프 작동 조절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 램프(6-1)는, 내측마스트(5-2)가 상승하여 내측마스트 프레임(5-4)에 구비된 돌출부재(70)가 높이센서(50)를 통과할 때 점등되고, 선택스위치(80)를 오프(OFF)시킴으로써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캐리지 램프 작동 조절장치.
KR1020120130770A 2012-11-19 2012-11-19 지게차의 캐리지 램프 작동 조절장치 KR101982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770A KR101982793B1 (ko) 2012-11-19 2012-11-19 지게차의 캐리지 램프 작동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770A KR101982793B1 (ko) 2012-11-19 2012-11-19 지게차의 캐리지 램프 작동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3978A true KR20140063978A (ko) 2014-05-28
KR101982793B1 KR101982793B1 (ko) 2019-05-27

Family

ID=50891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0770A KR101982793B1 (ko) 2012-11-19 2012-11-19 지게차의 캐리지 램프 작동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7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226B1 (ko) * 2019-11-26 2021-03-16 전규성 전동리프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0638A (ko) * 1995-08-26 1997-03-27 석진철 산업용 차량의 자동조명장치
JPH11209098A (ja) * 1998-01-27 1999-08-03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バッテリフォークリフトの走行制御装置
KR20070068519A (ko) 2005-12-27 2007-07-0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지게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KR20090067296A (ko) 2007-12-21 2009-06-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 전조등 높낮이 위치 조절장치
JP3165101U (ja) * 2010-10-17 2011-01-06 株式会社 トウショウ Ledランプ装置を備えたフォークリフ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5101B2 (ja) * 1998-03-05 2001-05-14 日本電気アイシーマイコンシステム株式会社 多値式半導体メモリ装置およびその不良救済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0638A (ko) * 1995-08-26 1997-03-27 석진철 산업용 차량의 자동조명장치
JPH11209098A (ja) * 1998-01-27 1999-08-03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バッテリフォークリフトの走行制御装置
KR20070068519A (ko) 2005-12-27 2007-07-0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지게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KR20090067296A (ko) 2007-12-21 2009-06-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 전조등 높낮이 위치 조절장치
JP3165101U (ja) * 2010-10-17 2011-01-06 株式会社 トウショウ Ledランプ装置を備えたフォークリフ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226B1 (ko) * 2019-11-26 2021-03-16 전규성 전동리프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2793B1 (ko) 201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61916B (zh) 一种前移式叉车的自动调平装置和方法
CN106604886A (zh) 具有光学货物感测结构的叉车
EP2998266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load handling device
KR101462527B1 (ko) 무인운반차량
DK3061713T3 (en) Loading station with loading port and loading ramp
KR20120071038A (ko) 조명기능이 포함된 지게차 포크 팔렛 고정 장치
JP2008254825A (ja) 車両用リフト装置
KR101982793B1 (ko) 지게차의 캐리지 램프 작동 조절장치
US10757786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irradiated light on forklift
KR102299046B1 (ko) 지게차의 포크 카메라 장착구조
EP2868620B1 (en) Device for relieving lift chain tension and corresponding methods
KR102377763B1 (ko) 덤프트럭의 안전장치
KR20070068519A (ko) 지게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KR20140140156A (ko) 선박용 리프팅 장치
JP6192607B2 (ja) 折り畳み式フロアプレート
US10850962B2 (en) Clamping device for a forklift and a forklift having such a clamping device
KR20160124444A (ko) 모니터링 기능이 부가된 지게차
KR102385243B1 (ko) 지게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KR20080011736A (ko) 충돌 예방 수단을 갖는 포크리프트
US20240051449A1 (en) Cargo decking elevation system
KR20190087051A (ko) 화물차량 일체형 지게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지게장치 일체형 기능성 화물차량
JP4449042B2 (ja) コンテナ
JP5268252B2 (ja) ローリフトトラック
KR20150134098A (ko) 포크 높이에 따른 운전석 자동 틸팅 장치를 구비한 지게차
JP5104558B2 (ja) 搬送車及び搬送車の荷物移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