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226B1 - 전동리프트 - Google Patents

전동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226B1
KR102228226B1 KR1020190152833A KR20190152833A KR102228226B1 KR 102228226 B1 KR102228226 B1 KR 102228226B1 KR 1020190152833 A KR1020190152833 A KR 1020190152833A KR 20190152833 A KR20190152833 A KR 20190152833A KR 102228226 B1 KR102228226 B1 KR 102228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fork
spaced apart
shaf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규성
Original Assignee
전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규성 filed Critical 전규성
Priority to KR1020190152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2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4Electrical devices o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9Details of operating station, e.g. seats, levers, operator platforms, cabin susp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내측에 수용 가능한 공간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 및 상부가 각각 분리 가능한 격벽으로 형성되는 밸런스케이스와, 상기 밸런스케이스의 내측에 다수개가 구비됨과 아울러 화물의 중량에 따라 구비되는 밸런스웨이트와, 상기 밸런스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전류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배터리와, 상기 밸런스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제공함과 아울러 베벨기어를 갖는 회전축이 밸런스케이스의 후방으로 돌출 구비되는 틸팅모터와, 상기 밸런스케이스의 후방에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상부에는 베벨기어를 갖는 회전축이 구비되어 틸팅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하부로 연장되고, 연장된 하부 외주연 상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틸팅축과, 상기 밸런스케이스의 후방에 전방이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내측에 틸팅축이 축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틸팅축지지구와, 상기 틸팅축 상에 연결 구비되어 틸팅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전방이 밸런스케이스의 후방에 연결 고정되는 틸팅구와, 상기 밸런스케이스의 후방에 이격 구비되며, 상부에는 손으로 파지 가능함과 아울러 다수개의 조작버튼 및 레버를 갖는 핸들이 구비되고, 핸들의 하부에는 하부로 연장되는 핸들봉이 구비되며, 핸들봉 상에는 회전기어가 구비되고, 회전기어와 이격된 하부 핸들봉 상에는 핸들봉이 내측에 삽입됨과 아울러 축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핸들축하우징이 구비되며, 핸들축하우징 상에는 전방으로 연장되는 핸들축고정판이 형성되고, 핸들축고정판의 전방에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후방이 핸들축고정판과 연결됨과 아울러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판이 형성되며, 연장판의 전방 내측에는 양측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제1LM가이드가 구비되고, 핸들축하우징의 하부에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이격됨과 아울러 상부가 핸들봉의 하부와 연결되는 연결판이 형성되며, 연결판의 하부에는 각각 양측으로 이격되어 하부로 연장되는 3개의 바퀴고정판이 형성되고, 바퀴고정판 각각의 사이에는 한 쌍의 바퀴가 축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조작부와, 상기 밸런스케이스의 후방에 구비되며, 각각은 제1LM가이드와 대응되도록 연결 구비되는 한 쌍의 제2LM가이드와, 상기 밸런스케이스의 후방에 연결되어 조작부의 상부와 이격된 하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하부가 개방되어 지면과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조작부와 이격 구비되는 조작부케이스와, 상기 밸런스케이스의 하부에 구비됨과 아울러 전방으로 연장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부 양측에 각각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이송모터와, 상기 이송모터와 각각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한 쌍의 이송바퀴와, 상기 지지판의 상부 전방에 각각 양측으로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상부로 연장되며, 각각은 마주하는 방향에 각각 내측으로 내입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승강대와, 상기 승강대 한 쌍의 상부에 구비되며, 양측이 각각 승강대와 연결되는 지지대와, 상기 승강대 한 쌍의 사이에 각각 상하로 이격되어 승강대와 축 연결 구비되며, 각각에는 축 상에서 양측으로 이격된 승강기어가 각각 구비되는 승강축과, 상기 승강대의 상부에 구비되며, 승강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승강모터와, 상기 승강대 한 쌍의 사이에 각각 양측으로 이격 구비되며, 각각은 상하로 대칭 구비되는 승강기어 상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격 구비된 한 쌍의 승강축의 회전을 동기화하는 한 쌍의 체인과, 상기 체인 상에 각각 연결 구비되며, 체인의 이동에 따라 승하강되는 체인연결구와, 상기 승강대의 전방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이격 구비되며, 후방 내측에는 체인연결구의 전방이 고정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의 후방 양측에 각각 한 쌍이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상하로 이격 구비되며, 각각은 후방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연장된 내측에는 인접한 승강대의 슬라이딩홈에 내입되어 슬라이딩홈 상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승강롤러를 갖는 승강롤러연결구와, 상기 승강판의 전방 상부에 구비되며, 다수개가 양측으로 이격됨과 아울러 전방으로 돌출되는 포크지지구와, 상기 포크지지구 다수개 상의 내측으로 양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연결 고정되며, 상부에는 양측으로 상호 이격되어 하부로 내입되는 다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포크지지봉과, 상기 포크지지봉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상부가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으로 이격되어 한 쌍이 구비되며, 상부에는 각각 상하로 관통된 고정홀이 형성되고, 하부는 바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로 연장되는 포크연장대와, 상기 승강판의 전방 하부에 바 형태로 형성되어 양측으로 길게 구비됨과 아울러 포크연장대의 후방에 구비되는 포크수평대와, 상기 포크연장대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화물이 안착 가능하도록 전방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구비되고, 각각의 양측 후방에는 상부로 연장됨과 아울러 포크연장대와 힌지 연결되는 포크힌지대가 구비되며, 후방에는 포크연장대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직고정대가 구비되는 한 쌍의 포크와, 상기 조작부케이스의 내측에 다수개가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제1LM가이드의 상하 이동을 감지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틸팅감지센서와, 상기 승강대 상에 다수개가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승강판의 상하 이동을 감지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승강감지센서와, 상기 체인 및 체인연결구 사이에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포크에 안착된 화물의 무게를 측정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무게감지센서와, 상기 밸런스케이스의 상부에 다수개가 구비됨과 아울러 양측으로 기울어지는 각도 및 전후방으로 기울어지는 각도를 측정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각도측정센서와, 상기 밸런스케이스의 상에 다수개가 구비되는 램프 및 스피커와, 상기 밸런스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후방이 밸런스케이스 상에서 외부로 노출 구비되며, 후방에는 조작 가능한 다수개의 버튼 및 패널이 구비되고, 배터리, 틸팅모터, 핸들, 이송모터, 승강모터, 틸팅감지센서, 승강감지센서, 무게감지센서, 각도측정센서, 램프, 스피커와 연결 구비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동리프트{Electric lift}
본 발명은 전동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을 적재하는 포크가 접이식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포크에서 들어올려지는 화물의 중량에 따라 포크의 후방에 구비되는 조향부가 자동으로 틸팅되어 균형을 유지하며, 주로 이송되는 화물의 중량에 따라 밸런스 웨이트의 중량을 용이하게 추가 또는 제거할 수 있고, 포크의 상하 이동 속도를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전동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을 운반시키는 방법은 크게 화물의 운반거리가 근거리인 경우와 장거리인 경우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전자의 경우인 화물을 근거리에 이송하는 경우에는 손수레나 운반차등과 같은 수단을 주로 이용하게 되며, 후자의 경우인 화물을 장거리에 이송시키는 경우에는 트럭 등과 같은 운반차량을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화물을 근거리에 이송하는 수단인 상기 손수레나 운반차 등은 비교적 좁은 길에서도 각종 화물을 자유롭게 운반할 수 있다는 사용상의 장점이 있는 것이지만, 이는 그 자체적인 동력원이 구비되지 아니하여 중량이 무거운 화물을 일시에 효과적으로 이송시키는 것이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고, 또한 적재되어진 화물을 승하강 시키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이송되어진 화물을 높이가 높은 운반트럭에 적재시키거나 또는 트럭의 적재함 내에 적재되어진 화물을 하차시키는데 상당한 곤란성을 야기시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비교적 근거리에 화물을 운반하는 경우 또는 화물을 차량의 적재함에 싣거나 적재함에 실린 화물을 내리는 경우에는 주로 지게차 등과 같은 수단을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지게차는 대용량의 화물을 운반시키는데는 적당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이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숙련도가 요구되고 복잡한 구조로 인해 차량을 유지 및 보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음과 아울러 좁은 공간에서 적은 용량의 화물을 운반하거나 화물을 승하차 시키는데는 큰 부피로 인해 적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 낭비가 심한 문제점이 있으며, 화물이 적재되는 포크의 상하 이동 속도 또한 조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전동리프트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1.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5-0000317호 2.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5-0000898호 3. 등록특허공보 제10-147040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만으로 화물을 운반하거나 화물을 승하차 시킬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며, 부피를 작게 형성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화물을 운반하거나 화물을 승하차 시킬 수 있도록 하고, 화물이 적재되는 포크의 상하 이동 속도 또한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도록 하며, 화물의 중량에 따라 밸런스 웨이트의 중량을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의 낭비를 줄이도록 하는 전동리프트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측에 수용 가능한 공간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 및 상부가 각각 분리 가능한 격벽으로 형성되는 밸런스케이스와, 상기 밸런스케이스의 내측에 다수개가 구비됨과 아울러 화물의 중량에 따라 구비되는 밸런스웨이트와, 상기 밸런스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전류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배터리와, 상기 밸런스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제공함과 아울러 베벨기어를 갖는 회전축이 밸런스케이스의 후방으로 돌출 구비되는 틸팅모터와, 상기 밸런스케이스의 후방에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상부에는 베벨기어를 갖는 회전축이 구비되어 틸팅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하부로 연장되고, 연장된 하부 외주연 상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틸팅축과, 상기 밸런스케이스의 후방에 전방이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내측에 틸팅축이 축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틸팅축지지구와, 상기 틸팅축 상에 연결 구비되어 틸팅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전방이 밸런스케이스의 후방에 연결 고정되는 틸팅구와, 상기 밸런스케이스의 후방에 이격 구비되며, 상부에는 손으로 파지 가능함과 아울러 다수개의 조작버튼 및 레버를 갖는 핸들이 구비되고, 핸들의 하부에는 하부로 연장되는 핸들봉이 구비되며, 핸들봉 상에는 회전기어가 구비되고, 회전기어와 이격된 하부 핸들봉 상에는 핸들봉이 내측에 삽입됨과 아울러 축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핸들축하우징이 구비되며, 핸들축하우징 상에는 전방으로 연장되는 핸들축고정판이 형성되고, 핸들축고정판의 전방에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후방이 핸들축고정판과 연결됨과 아울러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판이 형성되며, 연장판의 전방 내측에는 양측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제1LM가이드가 구비되고, 핸들축하우징의 하부에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이격됨과 아울러 상부가 핸들봉의 하부와 연결되는 연결판이 형성되며, 연결판의 하부에는 각각 양측으로 이격되어 하부로 연장되는 3개의 바퀴고정판이 형성되고, 바퀴고정판 각각의 사이에는 한 쌍의 바퀴가 축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조작부와, 상기 밸런스케이스의 후방에 구비되며, 각각은 제1LM가이드와 대응되도록 연결 구비되는 한 쌍의 제2LM가이드와, 상기 밸런스케이스의 후방에 연결되어 조작부의 상부와 이격된 하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하부가 개방되어 지면과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조작부와 이격 구비되는 조작부케이스와, 상기 밸런스케이스의 하부에 구비됨과 아울러 전방으로 연장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부 양측에 각각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이송모터와, 상기 이송모터와 각각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한 쌍의 이송바퀴와, 상기 지지판의 상부 전방에 각각 양측으로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상부로 연장되며, 각각은 마주하는 방향에 각각 내측으로 내입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승강대와, 상기 승강대 한 쌍의 상부에 구비되며, 양측이 각각 승강대와 연결되는 지지대와, 상기 승강대 한 쌍의 사이에 각각 상하로 이격되어 승강대와 축 연결 구비되며, 각각에는 축 상에서 양측으로 이격된 승강기어가 각각 구비되는 승강축과, 상기 승강대의 상부에 구비되며, 승강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승강모터와, 상기 승강대 한 쌍의 사이에 각각 양측으로 이격 구비되며, 각각은 상하로 대칭 구비되는 승강기어 상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격 구비된 한 쌍의 승강축의 회전을 동기화하는 한 쌍의 체인과, 상기 체인 상에 각각 연결 구비되며, 체인의 이동에 따라 승하강되는 체인연결구와, 상기 승강대의 전방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이격 구비되며, 후방 내측에는 체인연결구의 전방이 고정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의 후방 양측에 각각 한 쌍이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상하로 이격 구비되며, 각각은 후방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연장된 내측에는 인접한 승강대의 슬라이딩홈에 내입되어 슬라이딩홈 상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승강롤러를 갖는 승강롤러연결구와, 상기 승강판의 전방 상부에 구비되며, 다수개가 양측으로 이격됨과 아울러 전방으로 돌출되는 포크지지구와, 상기 포크지지구 다수개 상의 내측으로 양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연결 고정되며, 상부에는 양측으로 상호 이격되어 하부로 내입되는 다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포크지지봉과, 상기 포크지지봉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상부가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으로 이격되어 한 쌍이 구비되며, 상부에는 각각 상하로 관통된 고정홀이 형성되고, 하부는 바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로 연장되는 포크연장대와, 상기 승강판의 전방 하부에 바 형태로 형성되어 양측으로 길게 구비됨과 아울러 포크연장대의 후방에 구비되는 포크수평대와, 상기 포크연장대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화물이 안착 가능하도록 전방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구비되고, 각각의 양측 후방에는 상부로 연장됨과 아울러 포크연장대와 힌지 연결되는 포크힌지대가 구비되며, 후방에는 포크연장대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직고정대가 구비되는 한 쌍의 포크와, 상기 조작부케이스의 내측에 다수개가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제1LM가이드의 상하 이동을 감지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틸팅감지센서와, 상기 승강대 상에 다수개가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승강판의 상하 이동을 감지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승강감지센서와, 상기 체인 및 체인연결구 사이에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포크에 안착된 화물의 무게를 측정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무게감지센서와, 상기 밸런스케이스의 상부에 다수개가 구비됨과 아울러 양측으로 기울어지는 각도 및 전후방으로 기울어지는 각도를 측정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각도측정센서와, 상기 밸런스케이스의 상에 다수개가 구비되는 램프 및 스피커와, 상기 밸런스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후방이 밸런스케이스 상에서 외부로 노출 구비되며, 후방에는 조작 가능한 다수개의 버튼 및 패널이 구비되고, 배터리, 틸팅모터, 핸들, 이송모터, 승강모터, 틸팅감지센서, 승강감지센서, 무게감지센서, 각도측정센서, 램프, 스피커와 연결 구비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전동리프트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리프트는 간단한 구조만으로 화물을 운반하거나 화물을 승하차 시킬 수 있어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며, 부피가 작게 형성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화물을 운반하거나 화물을 승하차 시킬 수 있고, 화물이 적재되는 포크의 상하 이동 속도 또한 승강모터에 의해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며, 주로 운반하는 화물의 중량에 따라 밸런스웨이트의 중량을 용이하게 조절함으로써 에너지의 낭비가 줄어드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동리프트의 개략 사시도,
도 2 내지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동리프트의 개략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리프트의 개략 후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리프트가 틸팅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동리프트의 포크가 절첩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전동리프트는 내측에 수용 가능한 공간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 및 상부가 각각 분리 가능한 격벽으로 형성되는 밸런스케이스(10)와, 상기 밸런스케이스(10)의 내측에 다수개가 구비됨과 아울러 화물의 중량에 따라 구비되는 밸런스웨이트(12)와, 상기 밸런스케이스(10)의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전류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배터리(14)와, 상기 밸런스케이스(10)의 내측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제공함과 아울러 베벨기어를 갖는 회전축이 밸런스케이스(10)의 후방으로 돌출 구비되는 틸팅모터(16)와, 상기 밸런스케이스(10)의 후방에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상부에는 베벨기어를 갖는 회전축이 구비되어 틸팅모터(16)의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하부로 연장되고, 연장된 하부 외주연 상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틸팅축(18)과, 상기 밸런스케이스(10)의 후방에 전방이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내측에 틸팅축(18)이 축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틸팅축지지구(20)와, 상기 틸팅축(18) 상에 연결 구비되어 틸팅축(18)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전방이 밸런스케이스(10)의 후방에 연결 고정되는 틸팅구(22)와, 상기 밸런스케이스(10)의 후방에 이격 구비되며, 상부에는 손으로 파지 가능함과 아울러 다수개의 조작버튼 및 레버를 갖는 핸들(24)이 구비되고, 핸들(24)의 하부에는 하부로 연장되는 핸들봉(26)이 구비되며, 핸들봉(26) 상에는 회전기어(28)가 구비되고, 회전기어(28)와 이격된 하부 핸들봉(26) 상에는 핸들봉(26)이 내측에 삽입됨과 아울러 축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핸들축하우징(30)이 구비되며, 핸들축하우징(30) 상에는 전방으로 연장되는 핸들축고정판(32)이 형성되고, 핸들축고정판(32)의 전방에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후방이 핸들축고정판(32)과 연결됨과 아울러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판(34)이 형성되며, 연장판(34)의 전방 내측에는 양측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제1LM가이드(36)가 구비되고, 핸들축하우징(30)의 하부에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이격됨과 아울러 상부가 핸들봉(26)의 하부와 연결되는 연결판(38)이 형성되며, 연결판(38)의 하부에는 각각 양측으로 이격되어 하부로 연장되는 3개의 바퀴고정판(40)이 형성되고, 바퀴고정판(40) 각각의 사이에는 한 쌍의 바퀴(42)가 축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조작부(44)와, 상기 밸런스케이스(10)의 후방에 구비되며, 각각은 제1LM가이드(36)와 대응되도록 연결 구비되는 한 쌍의 제2LM가이드(46)와, 상기 밸런스케이스(10)의 후방에 연결되어 조작부(44)의 상부와 이격된 하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하부가 개방되어 지면과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조작부(44)와 이격 구비되는 조작부케이스(48)와, 상기 밸런스케이스(10)의 하부에 구비됨과 아울러 전방으로 연장되는 지지판(50)과, 상기 지지판(50)의 하부 양측에 각각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이송모터(52)와, 상기 이송모터(52)와 각각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한 쌍의 이송바퀴(54)와, 상기 지지판(50)의 상부 전방에 각각 양측으로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상부로 연장되며, 각각은 마주하는 방향에 각각 내측으로 내입되는 슬라이딩홈(56)이 형성되는 한 쌍의 승강대(58)와, 상기 승강대(58) 한 쌍의 상부에 구비되며, 양측이 각각 승강대(58)와 연결되는 지지대(60)와, 상기 승강대(58) 한 쌍의 사이에 각각 상하로 이격되어 승강대(58)와 축 연결 구비되며, 각각에는 축 상에서 양측으로 이격된 승강기어(62)가 각각 구비되는 승강축(64)과, 상기 승강대(58)의 상부에 구비되며, 승강축(64)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승강모터(66)와, 상기 승강대(58) 한 쌍의 사이에 각각 양측으로 이격 구비되며, 각각은 상하로 대칭 구비되는 승강기어(62) 상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격 구비된 한 쌍의 승강축(64)의 회전을 동기화하는 한 쌍의 체인(68)과, 상기 체인(68) 상에 각각 연결 구비되며, 체인(68)의 이동에 따라 승하강되는 체인연결구(70)와, 상기 승강대(58)의 전방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이격 구비되며, 후방 내측에는 체인연결구(70)의 전방이 고정되는 승강판(72)과, 상기 승강판(72)의 후방 양측에 각각 한 쌍이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상하로 이격 구비되며, 각각은 후방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연장된 내측에는 인접한 승강대(58)의 슬라이딩홈(56)에 내입되어 슬라이딩홈(58) 상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승강롤러(74)를 갖는 승강롤러연결구(76)와, 상기 승강판(72)의 전방 상부에 구비되며, 다수개가 양측으로 이격됨과 아울러 전방으로 돌출되는 포크지지구(78)와, 상기 포크지지구(78) 다수개 상의 내측으로 양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연결 고정되며, 상부에는 양측으로 상호 이격되어 하부로 내입되는 다수개의 걸림홈(80)이 형성되는 포크지지봉(82)과, 상기 포크지지봉(82)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상부가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으로 이격되어 한 쌍이 구비되며, 상부에는 각각 상하로 관통된 고정홀(84)이 형성되고, 하부는 바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로 연장되는 포크연장대(86)와, 상기 승강판(72)의 전방 하부에 바 형태로 형성되어 양측으로 길게 구비됨과 아울러 포크연장대(86)의 후방에 구비되는 포크수평대(88)와, 상기 포크연장대(86)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화물이 안착 가능하도록 전방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구비되고, 각각의 양측 후방에는 상부로 연장됨과 아울러 포크연장대(86)와 힌지 연결되는 포크힌지대(90)가 구비되며, 후방에는 포크연장대(86)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직고정대(92)가 구비되는 한 쌍의 포크(94)와, 상기 조작부케이스(48)의 내측에 다수개가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제1LM가이드(36)의 상하 이동을 감지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틸팅감지센서(96)와, 상기 승강대(58) 상에 다수개가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승강판(72)의 상하 이동을 감지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승강감지센서(98)와, 상기 체인(68) 및 체인연결구(70) 사이에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포크(94)에 안착된 화물의 무게를 측정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무게감지센서(100)와, 상기 밸런스케이스(10)의 상부에 다수개가 구비됨과 아울러 양측으로 기울어지는 각도 및 전후방으로 기울어지는 각도를 측정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각도측정센서(102)와, 상기 밸런스케이스(10) 상에 다수개가 구비되는 램프(104) 및 스피커(106)와, 상기 밸런스케이스(10)의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후방이 밸런스케이스(10) 상에서 외부로 노출 구비되며, 후방에는 조작 가능한 다수개의 버튼 및 패널이 구비되고, 배터리(14), 틸팅모터(16), 핸들(24), 이송모터(52), 승강모터(66), 틸팅감지센서(96), 승강감지센서(98), 무게감지센서(100), 각도측정센서(102), 램프(104), 스피커(106)와 연결 구비되는 제어부(108)로 이루어진다.
먼저, 내측에 수용 가능한 공간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 및 상부가 각각 분리 가능한 격벽으로 형성되는 밸런스케이스(1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밸런스케이스(10)의 양측 및 상부는 후술되는 밸런스웨이트(12), 배터리(14) 등을 원활히 넣거나 뺄 수 있도록 분리 또는 열림 가능한 격벽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밸런스케이스(10)의 내측에 다수개가 구비됨과 아울러 화물의 중량에 따라 구비되는 밸런스웨이트(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밸런스웨이트(12)는 주로 이송되는 화물의 중량에 따라 적절히 밸런스케이스(10)의 내측에 삽입되는 것이며, 밸런스케이스(10)에 형성되는 분리 가능한 격벽으로 인해 용이하게 밸런스웨이트(12)의 수량을 조절하여 중량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에너지 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밸런스웨이트(12)에는 미도시된 손잡이가 형성됨으로써 용이하게 이동 가능한 것이다.
상기 밸런스케이스(10)의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전류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배터리(1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14)는 한 개 또는 다수개가 구비되는 것이며, 외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충전되는 것이다.
상기 밸런스케이스(10)의 내측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제공함과 아울러 베벨기어를 갖는 회전축이 밸런스케이스(10)의 후방으로 돌출 구비되는 틸팅모터(1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틸팅모터(16)는 후술되는 제어부(108)의 제어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는 것이며, 제어부(108)에서는 후술되는 틸팅감지센서(96), 무게감지센서(100), 각도측정센서(102)로부터 전송되는 신호 값에 따라 유기적으로 틸팅모터(16)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밸런스케이스(10)의 후방에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상부에는 베벨기어를 갖는 회전축이 구비되어 틸팅모터(16)의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하부로 연장되고, 연장된 하부 외주연 상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틸팅축(18)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틸팅축(18)은 틸팅모터(16)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후술되는 틸팅구(22)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전동리프트의 틸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밸런스케이스(10)의 후방에 전방이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내측에 틸팅축(18)이 축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틸팅축지지구(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틸팅축지지구(20)는 틸팅축(18)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며, 틸팅축지지구(20)로 인해 틸팅축(18)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틸팅축(18) 상에 연결 구비되어 틸팅축(18)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전방이 밸런스케이스(10)의 후방에 연결 고정되는 틸팅구(2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틸팅구(22)는 틸팅모터(16)의 회전력을 틸팅축(18)을 통해 전달받아 상하로 이동되는 것이며, 나사산에 의해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틸팅구(22)의 이동에 따라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리프트의 틸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밸런스케이스(10)의 후방에 이격 구비되며, 상부에는 손으로 파지 가능함과 아울러 다수개의 조작버튼 및 레버를 갖는 핸들(24)이 구비되고, 핸들(24)의 하부에는 하부로 연장되는 핸들봉(26)이 구비되며, 핸들봉(26) 상에는 회전기어(28)가 구비되고, 회전기어(28)와 이격된 하부 핸들봉(26) 상에는 핸들봉(26)이 내측에 삽입됨과 아울러 축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핸들축하우징(30)이 구비되며, 핸들축하우징(30) 상에는 전방으로 연장되는 핸들축고정판(32)이 형성되고, 핸들축고정판(32)의 전방에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후방이 핸들축고정판(32)과 연결됨과 아울러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판(34)이 형성되며, 연장판(34)의 전방 내측에는 양측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제1LM가이드(36)가 구비되고, 핸들축하우징(30)의 하부에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이격됨과 아울러 상부가 핸들봉(26)의 하부와 연결되는 연결판(38)이 형성되며, 연결판(38)의 하부에는 각각 양측으로 이격되어 하부로 연장되는 3개의 바퀴고정판(40)이 형성되고, 바퀴고정판(40) 각각의 사이에는 한 쌍의 바퀴(42)가 축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조작부(4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연장판(34)의 후방 상부에는 상하로 이격되어 후방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사이 내측에는 회전기어(28)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회전각측정기어(110) 및 회전각측정기어(110)의 회전각을 측정하여 제어부(108)로 신호를 전송하는 회전각측정센서(112)를 갖는 회전각측정부(11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회전각측정센서(112)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회전각센서가 사용되는 것이며, 회전각측정부(114)로 인해 작업자가 조작부(44)의 핸들(24)을 파지하여 조작하는 각도가 후술되는 제어부(108)로 전송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조작부(44)는 후술되는 제어부(108)와 연결되어 본 발명에 따른 전동리프트를 조작하게 되는 것이며, 작업자가 조작부(44)의 핸들(24)을 파지하여 핸들(24)의 각도를 45°이상으로 꺾으면 후술되는 한 쌍의 이송모터(52)가 각각 반대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전동리프트의 회전반경이 좁아져 좁은 공간에서도 원활히 회전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판(38)의 하부에 구비되는 3개의 바퀴고정판(40) 및 한 쌍의 바퀴(42)는 이동을 하거나 회전을 할 시에 보다 안정적으로 균형을 잡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한 쌍의 바퀴(42)가 상호 근접하여 위치함으로써 회전을 위한 조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도 간단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 밸런스케이스(10)의 후방에 구비되며, 각각은 제1LM가이드(36)와 대응되도록 연결 구비되는 한 쌍의 제2LM가이드(4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LM가이드(46)는 틸팅구(22)의 상하 이동에 따라 제1LM가이드(36)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밸런스케이스(10)의 후방에 연결되어 조작부(44)의 상부와 이격된 하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하부가 개방되어 지면과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조작부(44)와 이격되는 조작부케이스(4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조작부케이스(48)는 작업자가 바퀴(42) 또는 회전기어(28) 등으로 인해 다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밸런스케이스(10)의 하부에 구비됨과 아울러 전방으로 연장되는 지지판(50)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판(50)의 하부 양측에 각각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회전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이송모터(5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이송모터(52)는 후술되는 제어부(108)의 제어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되는 것이며, 전술된 바와 같이 핸들(24)의 각도에 따라 각각 같은 방향으로 회전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모터(52) 상에는 전자 브레이크(116)가 구비되어 사용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이송모터(52)와 각각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한 쌍의 이송바퀴(54)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판(50)의 상부 전방에 각각 양측으로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상부로 연장되며, 각각은 마주하는 방향에 각각 내측으로 내입되는 슬라이딩홈(56)이 형성되는 한 쌍의 승강대(5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승강대(58)는 알루미늄 재질의 프로파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전동리프트의 전체 중량이 가벼워짐과 아울러 용이하게 그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홈(56)의 내측에는 후술되는 승강롤러(74)가 지속적으로 슬라이딩 이동됨으로 슬라이딩홈(56)의 내측에는 내마모도가 높은 재질의 금속재가 보강되어 사용됨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승강대(58) 한 쌍의 상부에 구비되며, 양측이 각각 승강대(58)와 연결되는 지지대(6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60)는 승강대(58)의 상부에 구비되어 승강대(58)의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승강대(58) 한 쌍의 사이에 각각 상하로 이격되어 승강대(58)와 축 연결 구비되며, 각각에는 축 상에서 양측으로 이격된 승강기어(62)가 각각 구비되는 승강축(64)이 구비된다.
상기 승강대(58)의 상부에 구비되며, 승강축(64)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승강모터(6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승강모터(66)는 후술되는 제어부(108)와 연결되어 작동되는 것이며, 제어부(108)에서는 핸들(24)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조작버튼 및 레버의 신호를 전달받아 승강모터(66)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승강모터(66) 상에는 전자 브레이크(116)가 구비되어 본 발명에 따른 전동리프트를 작동하지 않을 시에 후술되는 포크(94)가 상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모터(66)는 후술되는 승강감지센서(98), 무게감지센서(100), 각도측정센서(102)의 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108)로 인해 승강판(72)의 정해진 높낮이, 포크(94)에 안착되는 화물의 무게 및 본 발명에 따른 전동리프트가 기울어지는 각도 등에 따라 일정 범위를 넘어갈 경우 그 작동이 정지되는 것이며, 정상적인 범위 내에서만 작동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승강대(58) 한 쌍의 사이에 각각 양측으로 이격 구비되며, 각각은 상하로 대칭 구비되는 승강기어(62) 상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격 구비된 한 쌍의 승강축(64)의 회전을 동기화하는 한 쌍의 체인(68)이 구비된다.
상기 체인(68)으로 인해 한 쌍의 승강축(64)이 동기화되어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상기 체인(68) 상에 각각 연결 구비되며, 체인(68)의 이동에 따라 승하강되는 체인연결구(70)가 구비된다.
상기 승강대(58)의 전방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이격 구비되며, 후방 내측에는 체인연결구(70)의 전방이 고정되는 승강판(7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승강판(72)은 체인연결구(70)의 승하강에 따라 동기화되어 승하강되는 것이다.
상기 승강판(72)의 후방 양측에 각각 한 쌍이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상하로 이격 구비되며, 각각은 후방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연장된 내측에는 인접한 승강대(58)의 슬라이딩홈(56)에 내입되어 슬라이딩홈(58) 상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승강롤러(74)를 갖는 승강롤러연결구(7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승강롤러연결구(76)에는 다수개의 승강롤러(74)가 구비되어 승강판(72)의 원활한 승하강을 도모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승강판(72)의 전방 상부에 구비되며, 다수개가 양측으로 이격됨과 아울러 전방으로 돌출되는 포크지지구(78)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포크지지구(78) 다수개 상의 내측으로 양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연결 고정되며, 상부에는 양측으로 상호 이격되어 하부로 내입되는 다수개의 걸림홈(80)이 형성되는 포크지지봉(82)이 구비된다.
상기 포크지지봉(82)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상부가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으로 이격되어 한 쌍이 구비되며, 상부에는 각각 상하로 관통된 고정홀(84)이 형성되고, 하부는 바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로 연장되는 포크연장대(8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포크연장대(86)는 포크지지봉(82) 상에서 양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포크연장대(86)에 형성되는 고정홀(84)에는 미도시된 환봉 또는 볼트 등을 삽입하여 포크지지봉(82) 상에 형성되는 걸림홈(80)에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포크연장대(86)의 이동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승강판(72)의 전방 하부에 바 형태로 형성되어 양측으로 길게 구비됨과 아울러 포크연장대(86)의 후방에는 포크수평대(8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포크수평대(88)는 포크연장대(86)의 후방을 받쳐주어 포크연장대(86)가 승강판(72)과 수평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포크연장대(86)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화물이 안착 가능하도록 전방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구비되고, 각각의 양측 후방에는 상부로 연장됨과 아울러 포크연장대(86)와 힌지 연결되는 포크힌지대(90)가 구비되며, 후방에는 포크연장대(86)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직고정대(92)가 구비되는 한 쌍의 포크(9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포크(94)의 포크힌지대(90)는 도 6에서와 같이 포크(94)의 절첩을 도모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며, 포크힌지대(90)로 인해 포크(94)가 절첩 가능해짐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전동리프트를 좁은 공간에서도 보관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포크(94)에 형성되는 수직고정대(92)는 포크(94)가 펼쳐졌을 시에 포크연장대(86)와 포크(94)가 수직을 이루도록 도모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포크(94)를 도 6에서와 같이 절첩 고정할 시에는 승강판(72)의 상부에 양측으로 이격되어 다수개의 통상적인 아이볼트(118)가 체결 구비되며, 포크(94)의 하부에는 걸림 가능한 걸림고리(120)가 각각 형성되고, 아이볼트(118) 및 걸림고리(120)는 양단에 각각 걸림 가능한 고리를 갖는 와이어(122)로 연결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조작부케이스(48)의 내측에 다수개가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제1LM가이드(36)의 상하 이동을 감지하여 신호를 후술되는 제어부(108)로 전송하는 미도시된 틸팅감지센서(9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틸팅감지센서(96)는 근접센서, 리미트스위치 등이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포크(94)에 적재되는 화물의 무게 및 본 발명의 전동리프트 기울기 등에 따라 후술되는 제어부(108)의 제어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1LM가이드(36)의 상하 이동을 감지 및 이동되는 거리를 측정하여 후술되는 제어부(108)로 신호를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승강대(58) 상에 다수개가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승강판(72)의 상하 이동을 감지하여 신호를 후술되는 제어부(108)로 전송하는 승강감지센서(9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승강감지센서(98)는 근접센서, 리미트스위치 등이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승강판(72)이 일정범위 내에서 승하강 동작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체인(68) 및 체인연결구(70) 사이에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포크(94)에 안착된 화물의 무게를 측정하여 신호를 후술되는 제어부(108)로 전송하는 무게감지센서(10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무게감지센서(100)는 통상적인 로드셀이 사용되는 것으로 후술되는 제어부(108)와 연결되어 포크(94)에 적재되는 화물의 무게를 측정하여 제어부(108)로 전송함으로써, 설정값 이상의 화물이 적재되었을 시에 승강모터(66)의 동작을 정지시켜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밸런스케이스(10)의 상부에 다수개가 구비됨과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전동리프트가 양측으로 기울어지는 각도 및 전후방으로 기울어지는 각도를 측정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각도측정센서(10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각도측정센서(102)에서 양측으로 기울어지는 각도 및 전후방으로 기울어지는 각도를 측정하여 후술되는 제어부(108)로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전동리프트의 전복 및 화물이 낙하되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밸런스케이스(10) 상에는 다수개의 램프(104) 및 스피커(10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램프(104) 및 스피커(106)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리프트에 구비되어 작업자의 시야 확보 및 타작업자에게 주의환기신호를 보내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후술되는 제어부(108)와 연결되어 제어부(108)의 신호를 전달받아 동작되는 것이다.
상기 밸런스케이스(10)의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후방이 밸런스케이스(10) 상에서 외부로 노출 구비되며, 후방에는 조작 가능한 다수개의 버튼 및 패널이 구비되고, 배터리(14), 틸팅모터(16), 핸들(24), 이송모터(52), 승강모터(66), 틸팅감지센서(96), 승강감지센서(98), 무게감지센서(100), 각도측정센서(102), 램프(104), 스피커(106)와 연결되어 신호를 주고 받는 제어부(108)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리프트는 간단한 구조만으로 화물을 운반하거나 화물을 승하차 시킬 수 있어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며, 부피가 작게 형성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화물을 운반하거나 화물을 승하차 시킬 수 있고, 화물이 적재되는 포크(94)의 상하 이동 속도 또한 승강모터(66)에 의해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며, 주로 운반하는 화물의 중량에 따라 밸런스웨이트(12)의 중량을 용이하게 조절함으로써 에너지의 낭비가 줄어드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10 : 밸런스케이스 12 : 벨런스웨이트
14 : 배터리 16 : 틸팅모터
18 : 틸팅축 20 : 틸팅축지지구
22 : 틸팅구 24 : 핸들
26 : 핸들봉 28 : 회전기어
30 : 핸들축하우징 32 : 핸들축고정판
34 : 연장판 36 : 제1LM가이드
38 : 연결판 40 : 바퀴고정판
42 : 바퀴 44 : 조작부
46 : 제2LM가이드 48 : 조작부케이스
50 : 지지판 52 : 이송모터
54 : 이송바퀴 56 : 슬라이딩홈
58 : 승강대 60 : 지지대
62 : 승강기어 64 : 승강축
66 : 승강모터 68 : 체인
70 : 체인연결구 72 : 승강판
74 : 승강롤러 76 : 승강롤러연결구
78 : 포크지지구 80 : 걸림홈
82 : 포크지지봉 84 : 고정홀
86 : 포크연장대 88 : 포크수평대
90 : 포크힌지대 92 : 수직고정대
94 : 포크 96 : 틸팅감지센서
98 : 승강감지센서 100 : 무게감지센서
102 : 각도측정센서 104 : 램프
106 : 스피커 108 : 제어부
110 : 회전각측정기어 112 : 회전각측정센서
114 : 회전각측정부 116 : 전자 브레이크
118 : 아이볼트 120 : 걸림고리
122 : 와이어

Claims (5)

  1. 내측에 수용 가능한 공간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 및 상부가 각각 분리 가능한 격벽으로 형성되는 밸런스케이스(10);
    상기 밸런스케이스(10)의 내측에 다수개가 구비됨과 아울러 화물의 중량에 따라 구비되는 밸런스웨이트(12);
    상기 밸런스케이스(10)의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전류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배터리(14);
    상기 밸런스케이스(10)의 내측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제공함과 아울러 베벨기어를 갖는 회전축이 밸런스케이스(10)의 후방으로 돌출 구비되는 틸팅모터(16);
    상기 밸런스케이스(10)의 후방에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상부에는 베벨기어를 갖는 회전축이 구비되어 틸팅모터(16)의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하부로 연장되고, 연장된 하부 외주연 상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틸팅축(18);
    상기 밸런스케이스(10)의 후방에 전방이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내측에 틸팅축(18)이 축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틸팅축지지구(20);
    상기 틸팅축(18) 상에 연결 구비되어 틸팅축(18)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전방이 밸런스케이스(10)의 후방에 연결 고정되는 틸팅구(22);
    상기 밸런스케이스(10)의 후방에 이격 구비되며, 상부에는 손으로 파지 가능함과 아울러 다수개의 조작버튼 및 레버를 갖는 핸들(24)이 구비되고, 핸들(24)의 하부에는 하부로 연장되는 핸들봉(26)이 구비되며, 핸들봉(26) 상에는 회전기어(28)가 구비되고, 회전기어(28)와 이격된 하부 핸들봉(26) 상에는 핸들봉(26)이 내측에 삽입됨과 아울러 축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핸들축하우징(30)이 구비되며, 핸들축하우징(30) 상에는 전방으로 연장되는 핸들축고정판(32)이 형성되고, 핸들축고정판(32)의 전방에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후방이 핸들축고정판(32)과 연결됨과 아울러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판(34)이 형성되며, 연장판(34)의 전방 내측에는 양측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제1LM가이드(36)가 구비되고, 핸들축하우징(30)의 하부에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이격됨과 아울러 상부가 핸들봉(26)의 하부와 연결되는 연결판(38)이 형성되며, 연결판(38)의 하부에는 각각 양측으로 이격되어 하부로 연장되는 3개의 바퀴고정판(40)이 형성되고, 바퀴고정판(40) 각각의 사이에는 한 쌍의 바퀴(42)가 축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조작부(44);
    상기 밸런스케이스(10)의 후방에 구비되며, 각각은 제1LM가이드(36)와 대응되도록 연결 구비되는 한 쌍의 제2LM가이드(46);
    상기 밸런스케이스(10)의 후방에 연결되어 조작부(44)의 상부와 이격된 하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하부가 개방되어 지면과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조작부(44)와 이격 구비되는 조작부케이스(48);
    상기 밸런스케이스(10)의 하부에 구비됨과 아울러 전방으로 연장되는 지지판(50);
    상기 지지판(50)의 하부 양측에 각각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이송모터(52);
    상기 이송모터(52)와 각각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한 쌍의 이송바퀴(54);
    상기 지지판(50)의 상부 전방에 각각 양측으로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상부로 연장되며, 각각은 마주하는 방향에 각각 내측으로 내입되는 슬라이딩홈(56)이 형성되는 한 쌍의 승강대(58);
    상기 승강대(58) 한 쌍의 상부에 구비되며, 양측이 각각 승강대(58)와 연결되는 지지대(60);
    상기 승강대(58) 한 쌍의 사이에 각각 상하로 이격되어 승강대(58)와 축 연결 구비되며, 각각에는 축 상에서 양측으로 이격된 승강기어(62)가 각각 구비되는 승강축(64);
    상기 승강대(58)의 상부에 구비되며, 승강축(64)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승강모터(66);
    상기 승강대(58) 한 쌍의 사이에 각각 양측으로 이격 구비되며, 각각은 상하로 대칭 구비되는 승강기어(62) 상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격 구비된 한 쌍의 승강축(64)의 회전을 동기화하는 한 쌍의 체인(68);
    상기 체인(68) 상에 각각 연결 구비되며, 체인(68)의 이동에 따라 승하강되는 체인연결구(70);
    상기 승강대(58)의 전방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이격 구비되며, 후방 내측에는 체인연결구(70)의 전방이 고정되는 승강판(72);
    상기 승강판(72)의 후방 양측에 각각 한 쌍이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상하로 이격 구비되며, 각각은 후방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연장된 내측에는 인접한 승강대(58)의 슬라이딩홈(56)에 내입되어 슬라이딩홈(58) 상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승강롤러(74)를 갖는 승강롤러연결구(76);
    상기 승강판(72)의 전방 상부에 구비되며, 다수개가 양측으로 이격됨과 아울러 전방으로 돌출되는 포크지지구(78);
    상기 포크지지구(78) 다수개 상의 내측으로 양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연결 고정되며, 상부에는 양측으로 상호 이격되어 하부로 내입되는 다수개의 걸림홈(80)이 형성되는 포크지지봉(82);
    상기 포크지지봉(82)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상부가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으로 이격되어 한 쌍이 구비되며, 상부에는 각각 상하로 관통된 고정홀(84)이 형성되고, 하부는 바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로 연장되는 포크연장대(86);
    상기 승강판(72)의 전방 하부에 바 형태로 형성되어 양측으로 길게 구비됨과 아울러 포크연장대(86)의 후방에 구비되는 포크수평대(88);
    상기 포크연장대(86)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화물이 안착 가능하도록 전방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구비되고, 각각의 양측 후방에는 상부로 연장됨과 아울러 포크연장대(86)와 힌지 연결되는 포크힌지대(90)가 구비되며, 후방에는 포크연장대(86)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직고정대(92)가 구비되는 한 쌍의 포크(94);
    상기 조작부케이스(48)의 내측에 다수개가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제1LM가이드(36)의 상하 이동을 감지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틸팅감지센서(96);
    상기 승강대(58) 상에 다수개가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승강판(72)의 상하 이동을 감지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승강감지센서(98);
    상기 체인(68) 및 체인연결구(70) 사이에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포크(94)에 안착된 화물의 무게를 측정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무게감지센서(100);
    상기 밸런스케이스(10)의 상부에 다수개가 구비됨과 아울러 양측으로 기울어지는 각도 및 전후방으로 기울어지는 각도를 측정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각도측정센서(102);
    상기 밸런스케이스(10) 상에 다수개가 구비되는 램프(104) 및 스피커(106);
    상기 밸런스케이스(10)의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후방이 밸런스케이스(10) 상에서 외부로 노출 구비되며, 후방에는 조작 가능한 다수개의 버튼 및 패널이 구비되고, 배터리(14), 틸팅모터(16), 핸들(24), 이송모터(52), 승강모터(66), 틸팅감지센서(96), 승강감지센서(98), 무게감지센서(100), 각도측정센서(102), 램프(104), 스피커(106)와 연결 구비되는 제어부(10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리프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판(34)의 후방 상부에는 상하로 이격되어 후방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사이 내측에는 회전기어(28)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회전각측정기어(110) 및 회전각측정기어(110)의 회전각을 측정하여 제어부(108)로 신호를 전송하는 회전각측정센서(112)를 갖는 회전각측정부(114)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리프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58)는 알루미늄 재질의 프로파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리프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모터(52) 및 승강모터(66) 상에는 전자 브레이크(116)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리프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72)의 상부에는 양측으로 이격되어 다수개의 아이볼트(118)가 체결 구비되며, 포크(94)의 하부에는 걸림 가능한 걸림고리(120)가 각각 형성되고, 아이볼트(118) 및 걸림고리(120)는 양단에 각각 걸림 가능한 고리를 갖는 와이어(122)로 연결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리프트.
KR1020190152833A 2019-11-26 2019-11-26 전동리프트 KR102228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833A KR102228226B1 (ko) 2019-11-26 2019-11-26 전동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833A KR102228226B1 (ko) 2019-11-26 2019-11-26 전동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8226B1 true KR102228226B1 (ko) 2021-03-16

Family

ID=75223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833A KR102228226B1 (ko) 2019-11-26 2019-11-26 전동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2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61670A (zh) * 2021-11-30 2022-04-01 华晓精密工业(苏州)有限公司 链式举升输送一体设备
CN116924285A (zh) * 2023-09-14 2023-10-24 河南垣发专用车辆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叉装车的举升调整机构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2244A (ko) * 1995-12-28 1997-07-24 유상부 접을 수 있는 지게차 포크
KR20090006377U (ko) * 2007-12-24 2009-06-29 전명석 작업용 자동승강 리프트
KR20100133650A (ko) * 2009-06-12 2010-12-22 주식회사 카스 로드셀을 구비한 운반차량
KR20140063978A (ko) * 2012-11-19 2014-05-28 주식회사 두산 지게차의 캐리지 램프 작동 조절장치
KR101470405B1 (ko) 2010-12-28 2014-12-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유압호스의 마스트 후면 배치구조를 구비한 지게차
KR20150000317U (ko) 2013-07-12 2015-01-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
KR20150000898U (ko) 2013-08-21 2015-03-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
JP2016222428A (ja) * 2015-06-01 2016-12-28 サンコー・エア・セルテック株式会社 フォークリフト安全装置
KR20170127614A (ko) * 2016-05-12 2017-11-22 근우테크 주식회사 제자리 회전이 가능한 견인 전동차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2244A (ko) * 1995-12-28 1997-07-24 유상부 접을 수 있는 지게차 포크
KR20090006377U (ko) * 2007-12-24 2009-06-29 전명석 작업용 자동승강 리프트
KR20100133650A (ko) * 2009-06-12 2010-12-22 주식회사 카스 로드셀을 구비한 운반차량
KR101470405B1 (ko) 2010-12-28 2014-12-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유압호스의 마스트 후면 배치구조를 구비한 지게차
KR20140063978A (ko) * 2012-11-19 2014-05-28 주식회사 두산 지게차의 캐리지 램프 작동 조절장치
KR20150000317U (ko) 2013-07-12 2015-01-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
KR20150000898U (ko) 2013-08-21 2015-03-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
JP2016222428A (ja) * 2015-06-01 2016-12-28 サンコー・エア・セルテック株式会社 フォークリフト安全装置
KR20170127614A (ko) * 2016-05-12 2017-11-22 근우테크 주식회사 제자리 회전이 가능한 견인 전동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61670A (zh) * 2021-11-30 2022-04-01 华晓精密工业(苏州)有限公司 链式举升输送一体设备
CN114261670B (zh) * 2021-11-30 2024-05-17 华晓精密工业(苏州)有限公司 链式举升输送一体设备
CN116924285A (zh) * 2023-09-14 2023-10-24 河南垣发专用车辆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叉装车的举升调整机构
CN116924285B (zh) * 2023-09-14 2023-12-15 河南垣发专用车辆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叉装车的举升调整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8896B1 (ko) 핸드 리프트 트럭
KR102228226B1 (ko) 전동리프트
CN209739913U (zh) 具有大容量存储功能的立体式货仓
CN103057943A (zh) 一种横向提升机
US3172501A (en) Portable lift
CN104039679A (zh) 起重装置
CN109532979B (zh) 一种仓储用货物移动装置
LT3326B (en) Self elevating forklift truck
US4010856A (en) Storage apparatus with slide assemblies and a transportation device with pivotal conveyor means
CN210012548U (zh) 行程可调的双叉码垛装置
CN205872132U (zh) 一种带有弧形齿条的便捷式装运车
CN111636916A (zh) 一种隧道施工用的起重装置
WO2023036202A1 (zh) 传送平台自动调平装置及装载机
KR20130110868A (ko) 보안검색용 수하물박스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하물박스의 공급방법
CN111661184B (zh) 多功能运输机器人
JPH0967003A (ja) 昇降荷送り装置付き運搬車
CN210683074U (zh) 一种倾斜式可升降物流装载装置
CN211110045U (zh) 一种双驱动物流笼车自动倾倒设备
KR102199769B1 (ko) 컨베이어 스케일의 웨이트 승강장치
CN211109990U (zh) 一种智能物流系统用自动笼车倾倒设备
KR200322579Y1 (ko) 크레인 리프트 트럭
CN217895025U (zh) 一种搬运车
CN214399480U (zh) 一种用于钢筋卷料的方便卸料与转移装置
CN211035088U (zh) 一种便携省力的半自动饮水机桶装水辅助倒桶设备
US20120280474A1 (en) Transport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