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7402A - 창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창 개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57402A KR20140057402A KR1020147010594A KR20147010594A KR20140057402A KR 20140057402 A KR20140057402 A KR 20140057402A KR 1020147010594 A KR1020147010594 A KR 1020147010594A KR 20147010594 A KR20147010594 A KR 20147010594A KR 20140057402 A KR20140057402 A KR 201400574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chassis
- guide path
- ratchet
- clos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9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7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0078 claw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 E05D15/4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with pivoted arms and vertically-sliding guide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8—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horizontal axis of rotation at the top or bottom of the open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창 개폐 장치(1)는, 개구(4)를 규정하는 프레임(5)과, 개구(4)를 개폐하는 새시(6)와, 새시(6)의 상단부(7)를 프레임(5)에 R1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또한 상하 방향(V)으로 직선이동이 자유롭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8) 및 새시(6)의 상단부(7)보다 하방의 중간부(9)를 프레임(5)에 건물 내외 방향(H)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10)를 구비한 새시 지지 기구(11)와, 새시(6)의 개폐를 제어하는 새시 개폐 제어 기구(12)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새시의 개폐 이동에 의해 건물의 개구를 개폐시키는 창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새시의 상부 부위를 프레임에 대해 승강이 자유롭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와, 새시의 상부 부위에 대하여 하방에 배치되는 새시의 다른 부위를 프레임에 대해 건물 내외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를 구비함과 동시에, 새시 자체의 무게중심 및 새시의 다른 부위의 상호 위치와의 관계에서 새시에 개구 개방 위치를 향한 이동력(회전 모멘트)을 일으키는 한편, 이 이동력과 새시에 부가되는 기류에 기초한 풍압과 관련되어 새시를 개구에 대해 자연 개폐 이동시키도록 한 창 개폐 장치, 소위 자연 환기창이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창 개폐 장치에서는, 기류에 기초한 새시에 의한 개구의 자연 개폐와 새시에 의한 개구의 강제적인 개폐를 조작에 의해 전환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 모든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기류에 기초한 새시에 의한 개구의 개폐와, 새시에 의한 개구의 강제적인 개폐를 조작에 의해 전환할 수 있는 창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창 개폐 장치는, 건물에 장착됨과 동시에 통기용 개구를 규정하는 프레임과, 이 개구를 개폐하는 새시와, 이 새시에 의해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새시를 프레임에 지지하기 위해 새시의 상단부를 프레임에 회전이 자유롭게 또한 상하 방향으로 직선이동(直動)이 자유롭게 연결하는 제1 연결 기구 및 새시의 중간부를 프레임에 건물 내외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연결하는 제2 연결 기구를 구비한 새시 지지 기구와, 제1 연결 기구를 개재시켜 새시에 의한 개구에 대한 개폐를 강제적으로 행하게 하는 한편, 상기 새시에 의한 개구에 대한 강제적인 개폐를 해제하여 풍압에 기초한 새시에 의한 개구의 자유 개폐를 허용하도록 새시의 개폐를 제어하는 새시 개폐 제어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1 연결 기구는, 새시의 상단부에 횡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축부재와, 이 축부재를 회전이 자유롭게 또한 상하 방향으로 직선이동이 자유롭게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축부재의 상하 방향 이동을 안내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안내로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2 연결 기구는, 일단에서 새시의 중간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됨과 동시에 타단에서 프레임에 회전이 자유롭게 또한 직선이동이 자유롭게 연결된 제1 연결 부재와, 일단에서는 이 제1 연결 부재의 일단 및 타단 사이의 중간부에, 타단에서는 프레임에 각각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는 제2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새시 개폐 제어 기구는,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직선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됨과 동시에 상방 이동에 있어서 축부재를 안내로를 따라 상방 이동시키는 가동대와, 안내로에 대해 출몰이 자유로운 부분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부분을 안내로에 출현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부분을 개재하는 안내로를 따르는 축부재의 상방으로의 통과를 금지하는 한편, 안내로를 따르는 축부재의 하방으로의 통과는 허용하고, 상기 부분을 안내로 밖으로 몰입시키는 경우에는, 안내로를 따르는 축부재의 상하 방향 이동을 상기 부분에 의해 방해하지 않도록 가동대에 설치된 래칫 기구와, 가동대의 하방 이동에 의한 개구를 완전개방하는 위치로의 새시의 도래 직전에 래칫 기구의 상기 부분을 안내로 밖으로의 몰입을 행하게 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몰입 기구와, 가동대를 상하 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키는 가동대 직선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래칫 기구는, 개구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개구를 개방하는 위치로 새시를 이동시킬 때에 있어서의 가동대의 하방 이동에 의해 축부재에 상기 부분에서 접촉하여 축부재를 안내로를 따라 하방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고, 가동대는, 개구를 개방하는 위치에서 개구를 폐쇄하는 위치로 새시를 이동시킬 때에 있어서의 상방 이동에 의해 축부재에 접촉하여 축부재를 안내로를 따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창 개폐 장치에 의하면, 래칫 기구가 안내로에 대해 출몰이 자유로운 부분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부분을 안내로에 출현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부분을 개재하는 안내로를 따르는 축부재의 상방으로의 통과를 금지하는 한편, 안내로를 따르는 축부재의 하방으로의 통과는 허용하고, 상기 부분을 안내로 밖으로 몰입시키는 경우에는, 안내로를 따르는 축부재의 상방 및 하방으로의 이동을 상기 부분에 의해 방해하지 않도록 되어 있고, 몰입 기구가, 가동대의 하방 이동에 의한 개구를 완전 개방하는 위치로의 새시의 도래 직전에 래칫 기구의 상기 부분을 안내로 밖으로의 몰입을 행하게 하도록 되어 있고, 가동대가, 개구를 개방하는 위치에서 개구를 폐쇄하는 위치로 새시를 이동시킬 때에 있어서의 상방 이동에 의해 축부재에 접촉하여 축부재를 안내로를 따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고, 가동대 직선이동 기구가 가동대를 상하 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풍압에 기초한 새시에 의한 개구의 개폐와 새시에 의한 개구의 강제적인 개폐를 가동대 직선이동 기구의 조작에 의해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창 개폐 장치에서는 래칫 기구는, 가동대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부분을 가진 래칫 부재와, 이 래칫 부재의 상기 부분을 안내로에 출현시키도록 래칫 부재를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부분이 안내로에 출현한 래칫 부재의 한쪽 방향의 회전을 금지하는 한편, 상기 부분이 안내로에 출현한 래칫 부재의 다른쪽 방향의 회전을 허용하는 제1 회전 기구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몰입 기구는, 바람직한 예에서는 가동대의 하방 이동에 있어서 래칫 부재의 상기 부분을 안내로 밖으로의 몰입을 행하게 하도록 래칫 부재를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회전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회전 기구는, 래칫 부재를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일단이 가동대에, 타단이 래칫 부재의 다른 부분에 각각 연결된 스프링과, 래칫 부재의 다른 부분에 접촉하여 래칫 부재의 한쪽 방향의 회전을 금지하도록 가동대에 고착된 돌기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은데, 이 경우, 스프링으로서는, 신축을 이용한 코일 스프링이어도 좋고, 비틀림을 이용한 트위스트 스프링이어도 좋다.
제2 회전 기구는, 바람직한 예에서는 가동대의 하방 이동에 있어서 래칫 부재의 다른 부분에 접촉하여 래칫 부재를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프레임에 고착된 돌기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서는, 가동대 직선이동 기구는, 일단에서 가동대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된 제1 아암 부재와, 이 제1 아암 부재의 타단에 일단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된 제2 아암 부재와, 이 제2 아암 부재의 타단에 일단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된 제3 아암 부재와, 이 제3 아암 부재의 타단을 회전시키는 전동 모터 기구 또는 볼체인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데, 다른 예에서는, 가동대 직선이동 기구는, 가동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랙피니언 기구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제1 연결 기구의 안내로는, 제2 연결 기구와 관련하여 상하 방향으로 곧게 연장된 상하 방향 안내로와, 이 상하 방향 안내로의 상단에 연접됨과 동시에 건물 안의 방향으로 경사져 상방으로 연장된 경사 안내로를 구비하고 있으면 좋다.
본 발명의 창 개폐 장치는, 개구의 완전 폐쇄 위치에서 프레임에 새시를 고정하여 개구의 완전 폐쇄 위치에서의 풍압에 의한 새시의 자연 개방을 금지하는 잠금 기구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좋고, 이 경우 잠금 기구는, 새시에 고착된 돌기 또는 갈고리와, 이 돌기 또는 갈고리에 걸리도록 프레임에 고착된 갈고리 또는 돌기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류에 기초한 새시에 의한 개구의 개폐와 새시에 의한 개구의 강제적인 개폐를 조작에 의해 전환할 수 있는 창 개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예의 개구 완전 폐쇄 상태의 측면 단면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예의 일부 사시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예의 일부 분해 사시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예의 일부 분해 사시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예의 일부 사시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예의 개해방(開解放) 상태의 측면 단면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예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예의 일부 사시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예의 일부 분해 사시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예의 일부 분해 사시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예의 일부 사시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예의 개해방(開解放) 상태의 측면 단면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예의 동작 설명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들 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도 1 내지 도 8에서 본 예의 창 개폐 장치(1)는, 건물에 장착됨과 동시에 건물 밖(2)과 건물 안(3)을 통기시키는 통기용 개구(4)를 규정하는 프레임(5)과, 개구(4)를 개폐하는 새시(6)와, 새시(6)에 의해 개구(4)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새시(6)를 프레임(5)에 지지하기 위해 새시(6)의 상단부(7)를 프레임(5)에 축심(O1)을 중심으로 하여 연직면 내에서 R1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또한 상하 방향(V)으로 직선이동이 자유롭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8) 및 새시(6)의 상단부(7)보다 하방의 중간부(9)를 프레임(5)에 건물 내외 방향(H)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10)를 구비한 새시 지지 기구(11)와, 연결 기구(8)를 개재시켜 새시(6)에 의한 개구(4)에 대한 개폐를 강제적으로 행하게 하는 한편, 연결 기구(8)를 개재하는 새시(6)에 의한 개구(4)의 강제적인 개폐를 해제하고 풍압에 기초한 새시(6)에 의한 개구(4)의 자유 개폐를 허용하도록 새시(6)의 개폐를 제어하는 새시 개폐 제어 기구(12)와, 개구(4)의 완전 폐쇄 위치(도 1에 도시한 위치)에서 프레임(5)에 새시(6)를 고정하여 개구(4)의 완전 폐쇄 위치에서의 풍압에 의한 새시(6)의 자연 개방을 금지하는 잠금 기구(13)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5)은, 상하 방향(V)으로 연장된 한쌍의 세로 프레임(21)(한쪽의 세로 프레임(21)은 미도시)과, 한쌍의 세로 프레임(21)을 각각 상하에서 연결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측 가로 프레임(22) 및 하측 가로 프레임(23)과 씰링 부재(24)를 구비하고 있다.
세로 프레임(21)의 각각은, 바깥쪽 세로 프레임부(25)와 바깥쪽 세로 프레임부(25)의 안쪽에 병치(竝置)됨과 동시에 바깥쪽 세로 프레임부(25)에 일체 형성되고 바깥쪽 세로 프레임부(25)와 협동하여 앞면에서 건물 밖(2)으로 개구되는 수용 공간(26)을 형성한 안쪽 세로 프레임부(27)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측 가로 프레임(22)는, 바깥쪽 세로 프레임부(25)를 상방에서 연결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바깥측 상측 가로 프레임부(28)와, 바깥측 상측 가로 프레임부(28)의 하측에 병치됨과 동시에 안쪽 세로 프레임부(27)를 상방에서 연결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안쪽 상측 가로 프레임부(29)를 구비하고 있으며, 하측 가로 프레임(23)은, 바깥쪽 세로 프레임부(25)를 하방에서 연결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바깥쪽 하측 가로 프레임부(30)와, 바깥쪽 하측 가로 프레임부(30)의 상방에 병설됨과 동시에 안쪽 세로 프레임부(27)를 하방에서 연결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안쪽 하측 가로 프레임부(31)를 구비하고 있으며, 직사각형의 개구(4)는, 앞면에 씰링 부재(24)가 끼워진 한쌍의 안쪽 세로 프레임부(27)(한쪽의 안쪽 세로 프레임부(27)는 미도시), 안쪽 상측 가로 프레임부(29) 및 안쪽 하측 가로 프레임부(31)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바깥쪽 세로 프레임부(25)는, 바깥쪽 세로 프레임 본체(32)와, 바깥쪽 세로 프레임 본체(32)의 상방 내면에 나사(33)로 고착된 안내판(34)과, 바깥쪽 세로 프레임 본체(32)의 내면에 상하 방향(V)으로 연장되어 일체적으로 형성된 한쌍의 안내 레일(35)과, 바깥쪽 세로 프레임 본체(32)의 내면에 상하 방향(V)으로 연장되어 일체적으로 형성된 다른 한쌍의 안내 레일(36)을 구비하고 있다.
새시(6)는, 새시 본체(37)와, 새시 본체(37)에서 건물 안(3)쪽의 뒷면(38) 주위에 장착됨과 동시에 개구(4)의 완전 폐쇄로 씰링 부재(24)에 압압 접촉하여 개구(4)에 대한 폐쇄 밀폐성을 확보하는 씰링 압압 부재(39)와, 새시 본체(37)의 횡방향 측면(40) 상방에 나사(41)로 고착된 장착 부재(42)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새시(6)는, 상하 방향(V)으로 직립된 상태(도 1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개구(4)를 완전 폐쇄하여 개구(4)를 통하는 건물 안(3)에서 건물 밖(2)으로의 기류 및 그 반대의 기류를 저지하도록 되어 있는 한편, 상하 방향(V)에 대해 경사진 상태(도 7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개구(4)를 개방하여 건물 안(3)에서 건물 밖(2)으로의 기류 및 그 반대의 기류를 그 경사도에 따라 허용하도록 되어 있고, 이러한 새시(6)의 상하 방향(V)에 대한 경사도(개구(4)에 대한 개방도)는, 새시(6)의 자중에 의해 새시(6)에 생기는 개구(4)를 개폐하는 방향의 회전 모멘트와, 건물 내외의 기압차에 기초한 풍압에 의해 새시(6)에 생기는 개구(4)를 개폐하는 방향의 회전 모멘트로 결정하도록 되어 있고, 새시(6)의 자중에 의해 새시(6)에 생기는 회전 모멘트가 개구(4)를 개방하는 방향이 되도록 새시(6)가 지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새시(6)는, 건물 밖(2)에서 건물 안(3)으로 향하는 풍압이 새시(6)에 작용하지 않는 한, 개구(4)에 대해 최대 개방도로 상하 방향(V)에 대해 최대로 경사지는 한편, 건물 밖(2)에서 건물 안(3)으로 향하는 풍압이 새시(6)에 작용하면, 그 풍압에 의해 새시(6)에 생기는 개구(4)를 폐쇄하는 방향의 회전 모멘트와 새시(6)의 자중에 의해 새시(6)에 생기는 개구를 개방하는 방향의 회전 모멘트와의 차이에 의해 결정되는 개구(4)에 대한 개방도로 상하 방향(V)으로 경사지도록 되어 있다.
새시 본체(51)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한쌍의 중공의 세로틀과, 한쌍의 세로틀을 각각 상하에서 연결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중공의 위틀 및 아래틀과, 둘레가 한쌍의 세로틀 및 위틀 및 아래틀에 지지된 유리판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새시 지지 기구(11)는, 한쌍의 세로 프레임(21)측 각각에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 한쪽의 세로 프레임(21)측에 대해 상술하기로 한다.
연결 기구(8)는, 새시(6)의 상단부(7)인 장착 부재(42)에 횡방향이며 바깥쪽 세로 프레임부(25)를 향해 돌출되어 고착된 축부재(43)와, 축부재(43)를 상기 축부재(43)의 축심(O1)을 중심으로 하여 연직면 내에서 R1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또한 상하 방향(V)으로 직선이동이 자유롭게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축부재(43)의 상하 방향(V)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프레임(5)의 안내판(34)에 설치된 장공(長孔)으로 이루어진 안내로(44)를 구비하고 있다.
축부재(37)는, 일단에서 장착 부재(42)에 고착됨과 동시에 안내로(44)를 관통한 축 본체(45)와, 축 본체(45)가 안내로(44)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축 본체(45)의 타단에 고착되어 있는 원반형의 플랜지부(46)를 구비하고 있다.
안내로(44)는, 원호형의 하단(51)을 가짐과 동시에 상하 방향(V)으로 곧게 연장된 상하 방향 안내로(52)와, 상하 방향 안내로(52)의 상단에 연접됨과 동시에 건물 안(3)을 향해 기울어지고 상방으로 연장된 경사 안내로(53)를 구비하고 있으며, 경사 안내로(53)는 원호형의 상단(54)에서 종단(終端)되어 있다.
연결 기구(10)는, 일단(61)에서 새시(6)에서의 새시 본체(37)의 중간부(9)의 측면(40)에 축부재(62) 및 장착 부재(63)를 개재시켜 축부재(62)의 축심(O2)을 중심으로 하여 연직면 내에서 R2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됨과 동시에 타단(64)에서 프레임(5)의 바깥쪽 세로 프레임 본체(32)에 축부재(65), 가동대(66) 및 안내 레일(36)을 개재시켜 축부재(65)의 축심(O3)을 중심으로 하여 연직면 내에서 R3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또한 상하 방향(V)으로 직선이동이 자유롭게 연결된 판형의 연결 부재(67)와, 일단(68)에서는, 연결 부재(67)의 일단(61) 및 타단(64) 사이의 중간부(69)에 축부재(70)를 개재시켜 축부재(70)의 축심(O4)을 중심으로 하여 연직면 내에서 R4방향으로, 타단(71)에서는, 안내 레일(36)에 끼워진 지지 부재(72) 및 축부재(73)를 개재시켜 프레임(5)의 바깥쪽 세로 프레임 본체(32)에 축부재(73)의 축심(O5)을 중심으로 하여 연직면 내에서 R5방향으로 각각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는 판형 연결 부재(74)를 구비하고 있다.
축부재(62)를 지지하는 장착 부재(63)는, 나사(75)로 새시 본체(37)의 중간부 측면(40)에 장착되어 있고, 축부재(65)를 지지하는 가동대(66)는, 안내 레일(36)에 상하 방향(V)으로 직선이동이 자유롭게 끼워져 장착되어 있고, 지지 부재(72)는, 축부재(73)를 지지하고 있다.
새시 지지 기구(11)에서는, 회전 축심(O4)에서 회전 축심(O5)까지의 거리(D1)와 회전 축심(O3)에서 회전 축심(O4)까지의 거리(D2)의 비는, 회전 축심(O3)에서 회전 축심(O4)까지의 거리(D2)와 회전 축심(O2)에서 회전 축심(O4)까지의 거리(D3)의 비와 동일하게 되어 있고, 게다가 거리(D2) 및 (D3)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고, 이러한 새시 지지 기구(11)에서는, 새시(6)에 의한 개구(4)의 개폐에 따라 새시(6)의 중간부(9)에 소위 근사 평행 운동(스콧 러셀의 근사 평행 운동(Scott Russell's parallel motion)), 특히, 거리(D2) 및 (D3)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는 본 예에서는, 회전 축심(O2)과 회전 축심(O5)을 지나는 선상에서 엄정(嚴正) 직선 운동을 하도록 되어 있고, 이 경우, 거리(D1),(D2) 및 (D3)를 서로 동일하게 해도 좋고, 그에 따라 새시 지지 기구(11)는, 연결 기구(8) 및 (10)를 개재시켜 개구(4)에 대한 새시(6)의 개폐 동작에서 새시(6)의 중간부(9)에 엄정 직선 운동을 하도록 새시(6)를 지지하고 있다.
새시 지지 기구(11)에서는, 개구(4)에 대한 최대 개방도까지는, 새시(6)의 자중에 의해 새시(6)에 개구(4)를 개방하는 회전 모멘트를 일으키도록 회전 축심(O2)은, 새시(6)의 무게중심(G)보다 위쪽이면서 건물 밖(2)쪽에 위치하고 있고, 새시(6)는, 자연 환기 상태인 경우로서, 개구(4)를 통하는 기류가 생기지 않는 경우 또는 건물 안(3)쪽으로부터 건물 밖(2)쪽으로 향하는 기류가 생기는 경우에, 개구(4)에 대해 최대 개방 위치에서 정지된 상태가 되는 한편, 자연 환기 상태인 경우로서, 건물 밖(2)쪽으로부터 건물 안(3)쪽으로 향하는 기류가 생기는 경우에, 상기 기류에 기초한 풍압에 의한 개구(4)를 폐쇄하는 방향의 회전 모멘트와, 새시(6)의 자중에 기초한 개구(4)를 개방하는 방향의 회전 모멘트의 대소에 의해 상기 기류에 대한 개구(4)를 개재시켜 통로를 좁히거나 넓히도록 되어 있다.
한쪽의 세로 프레임(21)측에 설치된 새시 개폐 제어 기구(12)는, 프레임(21)의 바깥쪽 세로 프레임 본체(32)에 안내 레일(35)을 개재시켜 상하 방향(V)으로 직선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됨과 동시에 상방 이동에 있어서 축부재(43)를 안내로(44)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가동대(81)와, 안내로(44)에 대해 출몰이 자유로운 부분인 일단부(82)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일단부(82)를 개재하는 안내로(44)를 따라 축부재(43)의 상방으로의 통과를 금지하는 한편, 안내로(44)를 따르는 축부재(43)의 하방으로의 통과는 허용하도록, 상기 일단부(82)를 안내로(44)에 출현시키고, 안내로(44) 밖으로 몰입시키는 경우에는, 안내로(44)를 따르는 축부재(43)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을 상기 일단부(82)로 방해하지 않도록 가동대(81)에 설치된 래칫 기구(83)와, 가동대(81)가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개구(4)를 완전 개방하는 위치로의 새시(6)의 도래 직전에 래칫 기구(83)의 일단부(82)를 안내로(44) 밖으로의 몰입을 행하게 하도록, 프레임(21)에 설치된 몰입 기구(84)와, 가동대(81)를 상하 방향(V)으로 직선이동시키는 가동대 직선이동 기구(85)를 구비하고 있다.
가동대(81)는, 안내 레일(35)에 상하 방향(V)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끼워져 장착된 긴 슬라이딩 부재(91)와, 슬라이딩 부재(91)에 나사(92)로 장착된 장착대(93)를 구비하고 있으며, 장착대(93)는, 장착대 본체(94)와, 장착대 본체(94)에 일체로 형성된 베어링부(95)를 구비하고 있으며, 장착대 본체(94)는, 상하 방향(V)으로 연장된 면(96)과, 면(96)에 연접됨과 동시에 건물 내외 방향(H)으로 연장된 면(97)과, 면(97)에 연접됨과 동시에 상하 방향(V)으로 연장된 면(98)과, 면(98)에 연접됨과 동시에 건물 내외 방향(H)으로 연장된 면(99)과, 면(99)에 연접됨과 동시에 상하 방향(V)으로 연장된 면(100)과, 면(100)에 연접됨과 동시에 건물 내외 방향(H)으로 연장된 면(101)에 의해 규정된 노치(102)를 가지고 있으며, 노치(102)는, 상방을 향해 개구된 소형 노치(103)와, 소형 노치(103)에 연통되어 있는 대형 노치(104)를 구비하고 있다.
래칫 기구(83)는, 베어링부(95)에 칼라(110) 및 축부재(111)를 개재시켜 축부재(111)의 축심(O6)을 중심으로 하여 연직면 내에서 R6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됨과 동시에 일단부(82)를 가진 래칫 부재(112)와, 래칫 부재(112)의 일단부(82)의 안내로(44)로의 출현을 래칫 부재(112)를 한쪽 방향(R61)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일단부(82)가 안내로(44)에 출현한 래칫 부재(112)의 한쪽 방향(R61)의 회전을 금지하여 일단부(82)가 안내로(44)에 출현하는 것을 유지하는 한편, 일단부(82)가 안내로(44)에 출현한 래칫 부재(112)의 다른쪽 방향(R62)의 회전을 허용하는 회전 기구(113)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 기구(113)는, 래칫 부재(112)를 한쪽 방향(R61)으로 회전시키도록, 일단이 가동대(81)의 장착대 본체(94)에 상기 장착대 본체(94)에 고착된 핀(121)을 개재시켜, 타단이 래칫 부재(112)의 다른 부분인 타단부(122)에 상기 타단부(122)에 고착된 핀(123)을 개재시켜 각각 연결된 코일 스프링(124)과, 래칫 부재(112)의 타단부(122)에 접촉하여 래칫 부재(112)의 한쪽 방향(R61)의 회전을 금지하도록, 가동대(81)의 장착대 본체(94)에 고착된 돌기(125)를 구비하고 있다.
래칫 기구(83)는, 개구(4)를 완전 폐쇄하는 위치(도 1에 도시한 위치)에서 개구(4)를 개방하는 위치(도 7에 도시한 위치)로 새시(6)를 이동시킬 때에 있어서의 가동대(81)의 하방 이동에 의해 축부재(43)에 일단부(82)의 하면에서 접촉하여 축부재(43)를 안내로(44)를 따라 하방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고, 가동대(81)는, 개구(4)를 개방하는 위치에서 개구(4)를 완전 폐쇄하는 위치로 새시(6)를 이동시킬 때에 있어서의 상방 이동에 의해, 처음에는 축부재(43)에 면(97)에서 접촉하여 축부재(43)를 안내로(44)의 상하 방향 안내로(52)를 따라, 축부재(43)가 상하 방향 안내로(52)로부터 경사 안내로(53)로 이행한 후에는 축부재(43)에 면(99)에서 접촉하여 축부재(43)를 안내로(44)의 경사 안내로(53)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몰입 기구(84)는, 가동대(81)의 하방 이동에 있어서 래칫 부재(112)의 일단부(82)를 안내로(44) 밖으로의 몰입을 행하게 하도록 래칫 부재(112)를 다른쪽 방향(R62)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131)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 기구(131)는, 가동대(81)의 하방 이동에 있어서 래칫 부재(112)의 타단부(122)에 접촉하여 래칫 부재(112)를 다른쪽 방향(R62)으로 회전시키도록 돌기(132)를 가지고 있고, 돌기(132)는 프레임(5)의 안내판(34)에 나사(133)로 고착된 판부재(134)에 일체 형성되어 있다.
가동대 직선이동 기구(85)는, 일단(141)에서 가동대(81)의 슬라이딩 부재(91)에 축부재(142)를 개재시켜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된 긴 판형의 아암 부재(143)와, 아암 부재(143)의 타단(144)에 일단(145)에서 축부재(146)를 개재시켜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된 판형의 아암 부재(147)와, 아암 부재(147)의 타단(148)에 일단(149)에서 축부재(150)를 개재시켜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된 판형의 아암 부재(151)와, 아암 부재(151)의 타단(152)을 회전시키는 전동 모터 기구 또는 볼체인 기구, 본 예에서는 전동 모터 기구(153)를 구비하고 있다.
안쪽 세로 프레임부(27)의 건물 안(3)쪽의 뒤벽면에 설치된 전동 모터 기구(153)는, 전동 모터(154)와, 전동 모터(154)의 출력 회전축의 회전을 감속하는 감속 기어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전동 모터(154)의 제어 작동에 의해 감속 기어 기구의 출력 회전축(155)에 연결된 아암 부재(151)의 타단(152)을 연직면 내에서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잠금 기구(13)는, 새시(6)의 측면(40)에서 횡방향으로 바깥쪽 세로 프레임부(25)를 향해 돌출되는 돌기(156)와, 돌기(156)를 걸도록 새시 개폐 제어 기구(12)의 아암 부재(143)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고착된 갈고리(157)를 구비하고 있으며, 돌기(156)는, 새시(6)의 측면(40)에 나사(158)로 장착된 판부재(159)에 끼워져 새시(6)의 측면(40)에 고착되어 있다.
본 창 개폐 장치(1)에서는, 한쪽의 세로 프레임(21)측에도, 새시 지지 기구(11)와 아암 부재(147), 아암 부재(151) 및 전동 모터 기구(153)를 제외하고는 새시 개폐 제어 기구(12)와 마찬가지의 새시 개폐 제어 기구 등이 설치되어 있고, 전동 모터 기구(153)에 의한 회전을 아암 부재(143)에 대응하는 다른쪽의 세로 프레임(21)측 아암 부재에 전달하기 위한 전달 기구(161)는, 바깥쪽 세로 프레임 본체(32)에 설치된 베어링(162)과, 베어링(162)에 연직면 내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됨과 동시에 축부재(163)를 개재시켜 아암 부재(143)의 일단(144)에 연직면 내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된 아암부(164)를 가진 아암 부재(165)와, 아암 부재(165)의 연직면 내에서의 회전을 아암 부재(143)에 대응하는 다른쪽의 세로 프레임(21)측 아암 부재에 전달하도록, 상기 한쪽의 세로 프레임(21)측 아암 부재와 아암 부재(165)를 연결하는 중공의 전달 로드(166)를 가지고 있다.
이상의 창 개폐 장치(1)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새시(6)에 의해 개구(4)가 폐쇄되어 있는 경우에는, 축부재(43)는, 그 축 본체(45)에서 경사 안내로(53)의 상단(54) 및 대형 노치(104)에 배치되고 있고, 새시 지지 기구(11)는, 가동대(66)를 안내 레일(36)의 하방에 배치하여 연결 부재(67) 및 연결 부재(74)를 접고, 새시 개폐 제어 기구(12)는, 코일 스프링(124)에 의한 방향(R61)의 회전이 금지되도록 타단부(122)를 돌기(125)에 접촉시킨 래칫 부재(112)를 축부재(43) 및 돌기(132)의 상방에 배치하도록, 장착대(93)를 상방에 배치하여 아암 부재(143)를 대략 상하 방향(V)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아암 부재(143)를 초기 위치로 회전시키고, 잠금 기구(13)는, 갈고리(157)를 돌기(156)에 걸고, 새시 개폐 제어 기구(12)는, 새시(6)에 의해 개구(4)를 강제 폐쇄시키고, 잠금 기구(13)는, 새시(6)에 큰 풍압이 생겨도 개구(4)를 개방하지 않도록 새시(6)를 아암 부재(143)를 개재시켜 프레임(5)에 고정한다.
새시(6)에 의한 개구(4)의 폐쇄를 해제하여 새시(6)에 의한 개구(4)의 강제 개방을 행하는 경우에는, 우선 전동 모터(154)를 작동시켜 아암 부재(151)를 회전시키고, 아암 부재(151)의 회전으로 아암 부재(147)를 개재시켜 아암 부재(143)를 회전시키면서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아암 부재(143)의 하방 이동에 의해 갈고리(157)가 돌기(156)에 걸린 것을 해제함과 동시에 슬라이딩 부재(91)를 안내 레일(35)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슬라이딩 부재(91)의 하방 이동에 의해 장착대(93)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장착대(93)의 하방 이동에 의해 축 본체(45)를 대형 노치(104)로부터 소형 노치(103)로 이행시키면서 래치 부재(112)를 마찬가지로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래칫 부재(112)의 하방 이동에 의해 경사 안내로(53)에 출현하는 래칫 부재(112)의 일단부(82)를 축 본체(45)에 접촉시켜 압압하여 축 본체(45)를 경사 안내로(53)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경사 안내로(53) 및 경사 안내로(53)에 이어지는 상하 방향 안내로(52)에 출현하는 래칫 부재(112)의 일단부(82) 압압에 의한 축 본체(45)의 경사 안내로(53)를 따르는 하방 이동 및 경사 안내로(53)를 따르는 하방 이동에 이어지는 상하 방향 안내로(52)를 따르는 하방 이동에 의해, 연결 부재(67)을 축심(O3)을 중심으로 하여 연직면 내에서 R3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가동대(66)를 안내 레일(36)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연결 부재(74)를 축부재(73)의 축심(O5)을 중심으로 하여 연직면 내에서 R5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러한 축 본체(45)의 하방 이동과 연결 부재(67) 및 (74)의 회전에 의해 새시(6)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 밖(2) 방향으로 나오도록 회전시켜 새시(6)에 의한 개구(4)의 폐쇄를 해제하여 상기 개구(4)를 개방하고, 새시(6)에 의해 개구(4)의 강제 개방을 완전 개방하기 직전에 전동 모터(154)의 작동에 의한 장착대(93)의 하방 이동에 의해 돌기(132)를 래칫 부재(112)의 타단부(122)에 접촉시켜 상기 타단부(122)를 압압하고, 래칫 부재(112)의 타단부(122)의 돌기(132)에 의한 압압으로 래칫 부재(112)를 코일 스프링(124)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방향(R62)으로 회전시키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칫 부재(112)의 일단부(82)를 상하 방향 안내로(52) 밖으로 몰입시켜 래칫 부재(112)의 일단부(82)에 의한 축 본체(45)의 구속을 해제하고, 축 본체(45)를 경사 안내로(53) 및 경사 안내로(53)에 이어지는 상하 방향 안내로(52)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래칫 부재(112)의 일단부(82)를 상하 방향 안내로(52) 밖으로 몰입시킨 후 전동 모터(154)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칫 부재(112)의 일단부(82)가 상하 방향 안내로(52) 밖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축 본체(45)는 상단(54)과 면(97)의 범위내에서 경사 안내로(53) 및 경사 안내로(53)에 이어지는 상하 방향 안내로(52)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결과, 새시(6)는 건물 밖(2)에서 건물 안(3)으로 향하는 풍압이 새시(6)에 작용하지 않는 한, 개구(4)에 대해 최대 개방도를 가지고 경사지는 한편, 거기에 작용하는 풍압에 따른 개구(4)에 대한 개방도를 가지고 경사지게 되어 건물 안(3)은 자연 환기된다.
새시(6)에 의한 풍압에 따른 개구(4)의 개폐를 해제하고 새시(6)에 의해 개구(4)를 강제 폐쇄시키는 경우에는, 전동 모터(154)를 상기와 반대로 작동시켜 장착대(93)를 상기와 반대로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장착대(93)의 상방 이동에 의해 래칫 부재(112)의 타단부(122)가 돌기(132)에 접촉하는 것을 해제하고 래칫 부재(112)를 코일 스프링(124)의 탄성력에 의해 방향(R61)으로 회전시키고, 래칫 부재(112)의 방향(R61)의 회전으로 래칫 부재(112)의 일단부(82)를 상하 방향 안내로(52)에 다시 출현시키는 한편, 장착대(93)의 상방 이동에 의한 장착대 본체(94)의 면(97)의 축 본체(45)에의 접촉에 의해 장착대 본체(94)의 상방 이동과 함께 축 본체(45)를 상하 방향 안내로(52)를 따라 상방 이동시키고, 축 본체(45)의 상방 이동에 의해 새시(6)를 건물 안(3) 방향으로 끌어넣도록 회전시켜 새시(6)에 의한 개구(4)의 폐쇄를 개시하고, 새시(6)에 의한 개구(4)의 폐쇄 개시에 의해 연결 부재(67)를 축심(O3)을 중심으로 하여 연직면 내에서 R3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가동대(66)를 안내 레일(36)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연결 부재(74)를 축부재(73)의 축심(O5)을 중심으로 하여 연직면 내에서 R5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또한 전동 모터(154)의 반대 작동에 의한 슬라이딩 부재(91)의 상방 이동을 통한 장착대 본체(94)의 상방 이동에 의해 축 본체(45)를 상하 방향 안내로(52)를 따라 계속해서 경사 안내로(53)를 따라 상방 이동시키고, 축 본체(45)의 경사 안내로(53)를 따르는 상방 이동에 의해 축 본체(45)의 소형 노치(103)로부터 대형 노치(104)로 이행시키고, 대형 노치(104)로 이행된 축 본체(45)에 장착대 본체(94)의 면(97)을 접촉시켜 장착대 본체(94)의 면(97)의 상방 이동에 의해 축 본체(45)를 상방 이동시키고, 장착대 본체(94)의 면(97)의 상방 이동에 의한 축 본체(45)의 상방 이동에 의해 갈고리(157)를 돌기(156)에 걸게 하고, 갈고리(157)를 돌기(156)에 걸게 한 후 새시(6)를 도 1에 도시한 개구(4)를 완전히 폐쇄한 위치에 배치하여 전동 모터(154)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새시(6)에 의한 개구(4)의 강제 폐쇄를 행하게 하는 경우로서, 래칫 부재(112)의 일단부(82)를 상하 방향 안내로(52)에 다시 출현시킨 경우에 축 본체(45)가 래칫 부재(112)의 일단부(82)와 경사 안내로(53)의 상단(54) 사이에 위치한다고 해도 래칫 부재(112)가 방향(R62)으로 회전이 자유롭기 때문에, 래칫 부재(112)는 그 상방 이동에 의해 축 본체(45)에 그 일단부(82)에서 접촉하여 축 본체(45)에 압압되어 방향(R62)로 회전되는 결과, 축 본체(45)를 장착대 본체(94)의 면(97) 또는 (99)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한편, 일단부(82)를 상하 방향 안내로(52) 또는 경사 안내로(53)에 출현시킨 래칫 부재(112)를 방향(R61)으로의 그 이상의 회전을 돌기(125)에 의해 금지한 결과, 일단, 상하 방향 안내로(52) 또는 경사 안내로(53)에 출현한 래칫 부재(112)의 일단부(82)와 장착대 본체(94)의 면(97) 또는 (99) 사이로부터 축 본체(45)가 배치되면, 상기 축 본체(45)는 그 사이에서 일단부(82)와 경사 안내로(53)의 상단(54) 사이로 이행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새시(6)에 의한 개구(4)의 완전 폐쇄에서는, 새시(6)는 건물 내외에 있어서 기압차가 생겨도 잠금 기구(13)에 의해 개구(4)를 완전 폐쇄한 상태로 유지되고 씰링 압압 부재(39)로 씰링 부재(24)를 압압하여 개구(4)를 강제 완전 폐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창 개폐 장치(1)에서는, 개구(4)를 폐쇄하는 위치로부터 개구(4)를 개방하는 위치로 새시(6)를 이동시킬 때에 있어서의 가동대(81)의 하방 이동에 의해 축부재(43)에 일단부(82)에서 접촉하여 축부재(43)를 안내로(44)를 따라 하방 이동시키도록 되어 래칫 기구(83)가, 안내로(44)에 대해 출몰이 자유로운 일단부(82)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일단부(82)를 개재시켜 안내로(44)를 따르는 축부재(43)의 상방으로의 통과를 금지하는 한편, 안내로(44)를 따르는 축부재(43)의 하방으로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상기 일단부(82)를 안내로(44)에 출현시키고, 안내로(44) 밖으로 몰입되는 경우에는, 안내로(44)를 따르는 축부재(43)의 상방 및 하방으로의 이동을 상기 일단부(82)로 방해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몰입 기구(84)가, 가동대(81)의 하방 이동에 의한 개구(4)를 완전개방하는 위치로의 새시(6)의 도래 직전에 래칫 기구(83)의 일단부(82)를 안내로(44) 밖으로 몰입시키게 되어 있으며, 가동대(81)가, 개구(4)를 개방하는 위치에서 개구(4)를 폐쇄하는 위치로 새시(6)를 이동시킬 때에 있어서의 상방 이동에 의해 축부재(43)에 접촉하여 축부재(43)를 안내로(44)를 따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가동대(81)를 상하 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키는 가동대 직선이동 기구(85)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풍압에 기초한 새시(6)에 의한 개구(4)의 개폐와 새시(6)에 의한 개구(4)의 강제 개폐를 가동대 직선이동 기구(85)의 조작에 의해 전환할 수 있다.
1 창 개폐 장치
2 건물 밖
3 건물 안
4 개구
5 프레임
6 새시
7 상단부
8 연결 기구
9 중간부
10 연결 기구
11 새시 지지 기구
12 새시 개폐 제어 기구
13 잠금 기구
2 건물 밖
3 건물 안
4 개구
5 프레임
6 새시
7 상단부
8 연결 기구
9 중간부
10 연결 기구
11 새시 지지 기구
12 새시 개폐 제어 기구
13 잠금 기구
Claims (8)
- 건물에 장착됨과 동시에 통기용 개구를 규정하는 프레임과, 이 개구를 개폐하는 새시와, 이 새시에 의해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새시를 프레임에 지지하기 위해 새시의 상단부를 프레임에 회전이 자유롭게 또한 상하 방향으로 직선이동이 자유롭게 연결하는 제1 연결 기구 및 새시의 중간부를 프레임에 건물 내외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연결하는 제2 연결 기구를 구비한 새시 지지 기구와, 제1 연결 기구를 개재시켜 새시에 의한 개구에 대한 개폐를 강제적으로 행하게 하는 한편, 상기 새시에 의한 개구에 대한 강제적인 개폐를 해제하고 풍압에 기초한 새시에 의한 개구의 자유 개폐를 허용하도록 새시의 개폐를 제어하는 새시 개폐 제어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1 연결 기구는, 새시의 상단부에 횡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축부재와, 이 축부재를 회전이 자유롭게 또한 상하 방향으로 직선이동이 자유롭게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축부재의 상하 방향 이동을 안내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안내로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2 연결 기구는, 일단에서 새시의 중간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됨과 동시에 타단에서 프레임에 회전이 자유롭게 또한 직선이동이 자유롭게 연결된 제1 연결 부재와, 일단에서는 이 제1 연결 부재의 일단 및 타단 사이의 중간부에, 타단에서는 프레임에 각각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는 제2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새시 개폐 제어 기구는,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직선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됨과 동시에 상방 이동에 있어서 축부재를 안내로를 따라 상방 이동시키는 가동대와, 안내로에 대해 출몰이 자유로운 부분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부분을 안내로에 출현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부분을 개재하는 안내로를 따르는 축부재의 상방으로의 통과를 금지하는 한편, 안내로를 따르는 축부재의 하방으로의 통과를 허용하고, 상기 부분을 안내로 밖으로 몰입시키는 경우에는, 안내로를 따르는 축부재의 상하 방향 이동을 상기 부분에 의해 방해하지 않도록 가동대에 설치된 래칫 기구와, 가동대의 하방 이동에 의한 개구를 완전 개방하는 위치로의 새시의 도래 직전에 래칫 기구의 상기 부분을 안내로 밖으로의 몰입을 행하게 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몰입 기구와, 가동대를 상하 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키는 가동대 직선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래칫 기구는, 개구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개구를 개방하는 위치로 새시를 이동시킬 때에 있어서의 가동대의 하방 이동에 의해 축부재에 상기 부분에서 접촉하여 축부재를 안내로를 따라 하방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고, 가동대는, 개구를 개방하는 위치에서 개구를 폐쇄하는 위치로 새시를 이동시킬 때에 있어서의 상방 이동에 의해 축부재에 접촉하여 축부재를 안내로를 따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창 개폐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래칫 기구는, 가동대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부분을 가진 래칫 부재와, 이 래칫 부재의 상기 부분을 안내로에 출현시키도록 래칫 부재를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부분이 안내로에 출현한 래칫 부재의 한쪽 방향의 회전을 금지하는 한편, 상기 부분이 안내로에 출현한 래칫 부재의 다른쪽 방향의 회전을 허용하는 제1 회전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몰입 기구는, 가동대의 하방 이동에 있어서 래칫 부재의 상기 부분을 안내로 밖으로의 몰입을 행하게 하도록 래칫 부재를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회전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창 개폐 장치. -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제1 회전 기구는, 래칫 부재를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일단이 가동대에 타단이 래칫 부재의 다른 부분에 각각 연결된 스프링과, 래칫 부재의 다른 부분에 접촉하여 래칫 부재의 한쪽 방향의 회전을 금지하도록 가동대에 고착된 돌기를 구비하고 있는 창 개폐 장치. -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회전 기구는, 가동대의 하방 이동에 있어서 래칫 부재의 다른 부분에 접촉하여 래칫 부재를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프레임에 고착된 돌기를 가지고 있는 창 개폐 장치. -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동대 직선이동 기구는, 일단에서 가동대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된 제1 아암 부재와, 이 제1 아암 부재의 타단에 일단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된 제2 아암 부재와, 이 제2 아암 부재의 타단에 일단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된 제3 아암 부재와, 이 제3 아암 부재의 타단을 회전시키는 전동 모터 기구 또는 볼체인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창 개폐 장치. -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내로는, 상하 방향으로 곧게 연장된 상하 방향 안내로와, 이 상하 방향 안내로의 상단에 연접됨과 동시에 건물 안의 방향으로 경사져 상방으로 연장된 경사 안내로를 구비하고 있는 창 개폐 장치. -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구의 완전 폐쇄 위치에서 프레임에 새시를 고정하여 개구의 완전 폐쇄 위치에서의 풍압에 의한 새시의 자연 개방을 금지하는 잠금 기구를 구비한 창 개폐 장치. -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기구는, 새시에 고착된 돌기 또는 갈고리와, 이 돌기 또는 갈고리에 걸리도록 새시 개폐 제어 기구에 고착된 갈고리 또는 돌기를 구비한 창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0-146992 | 2010-06-28 | ||
JP2010146992A JP5514648B2 (ja) | 2010-06-28 | 2010-06-28 | 窓開閉装置 |
PCT/JP2011/002672 WO2012001863A1 (ja) | 2010-06-28 | 2011-05-13 | 窓開閉装置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33988A Division KR101465768B1 (ko) | 2010-06-28 | 2011-05-13 | 창 개폐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57402A true KR20140057402A (ko) | 2014-05-12 |
KR101530299B1 KR101530299B1 (ko) | 2015-06-22 |
Family
ID=4540161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7010594A KR101530299B1 (ko) | 2010-06-28 | 2011-05-13 | 창 개폐 장치 |
KR1020127033988A KR101465768B1 (ko) | 2010-06-28 | 2011-05-13 | 창 개폐 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33988A KR101465768B1 (ko) | 2010-06-28 | 2011-05-13 | 창 개폐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5514648B2 (ko) |
KR (2) | KR101530299B1 (ko) |
CN (1) | CN102959167B (ko) |
TW (1) | TWI426175B (ko) |
WO (1) | WO201200186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68355B1 (ko) * | 2012-07-04 | 2014-02-28 | 금강창호기공 주식회사 |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
CN103938980A (zh) * | 2014-03-14 | 2014-07-23 | 北京联合大学 | 一种基于温控的智能窗 |
JP5783289B2 (ja) * | 2014-03-31 | 2015-09-24 | オイレスEco株式会社 | 窓開閉装置 |
CN104453579B (zh) * | 2014-12-09 | 2019-04-09 | 江苏省金鑫安防设备有限公司 | 活动式防火窗 |
CN108797865A (zh) * | 2018-06-09 | 2018-11-13 | 重庆铝途新型材料有限公司 | 一种具有调节功能的铝幕墙 |
CN109750923A (zh) * | 2019-03-15 | 2019-05-14 | 陕西晨恒工贸有限公司 | 一种内倒平移窗用双级变轨组件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951891B2 (ja) * | 2002-11-06 | 2007-08-01 | オイレスEco株式会社 | ブラインド装置用のスラット支持部材、そのスラット支持部材を具備したスラット支持機構及びそのスラット支持機構を具備したブラインド装置 |
TWM296903U (en) * | 2006-01-19 | 2006-09-01 | Marbollo Internat Co Ltd | Track and 4-link rod for out-push type window |
JP4876931B2 (ja) | 2007-01-24 | 2012-02-15 | オイレスEco株式会社 | 自然換気窓 |
JP4876947B2 (ja) | 2007-02-08 | 2012-02-15 | オイレスEco株式会社 | 自然換気窓 |
JP4876813B2 (ja) | 2006-09-20 | 2012-02-15 | オイレスEco株式会社 | 自然換気窓 |
TWM319978U (en) * | 2007-01-10 | 2007-10-01 | Jam Yuan Entpr Co Ltd | Improved structure of pushing type window and hinge thereof |
TWM319975U (en) * | 2007-01-10 | 2007-10-01 | Jam Yuan Entpr Co Ltd | Improved structure of window frame and transversal frame member thereof |
JP5104027B2 (ja) * | 2007-05-18 | 2012-12-19 | オイレスEco株式会社 | 自然換気装置 |
JP5109640B2 (ja) * | 2007-12-17 | 2012-12-26 | オイレスEco株式会社 | 窓開閉装置 |
JP5504922B2 (ja) * | 2010-01-28 | 2014-05-28 | オイレスEco株式会社 | 自然換気窓 |
-
2010
- 2010-06-28 JP JP2010146992A patent/JP5514648B2/ja active Active
-
2011
- 2011-05-13 KR KR1020147010594A patent/KR10153029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1-05-13 WO PCT/JP2011/002672 patent/WO201200186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05-13 KR KR1020127033988A patent/KR10146576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1-05-13 CN CN201180032046.6A patent/CN102959167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06-07 TW TW100119862A patent/TWI426175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65768B1 (ko) | 2014-11-26 |
TWI426175B (zh) | 2014-02-11 |
JP2012007452A (ja) | 2012-01-12 |
CN102959167B (zh) | 2015-03-18 |
CN102959167A (zh) | 2013-03-06 |
KR20130020693A (ko) | 2013-02-27 |
WO2012001863A1 (ja) | 2012-01-05 |
JP5514648B2 (ja) | 2014-06-04 |
KR101530299B1 (ko) | 2015-06-22 |
TW201200707A (en) | 2012-01-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65768B1 (ko) | 창 개폐 장치 | |
KR101343431B1 (ko) | 자연 환기 장치 | |
KR100753571B1 (ko) | 시스템창호 개폐장치 | |
CA2771495A1 (en) |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and catch therefor | |
CN110219521B (zh) | 一种上悬窗自动锁闭装置 | |
JP4876931B2 (ja) | 自然換気窓 | |
CN210342985U (zh) | 一种上悬窗自动锁闭装置 | |
KR101710692B1 (ko) | 미닫이도어의 양방향 완충장치 | |
JP5239264B2 (ja) | 自然換気装置 | |
JP5783289B2 (ja) | 窓開閉装置 | |
KR20090077892A (ko) | 자연 환기창 | |
KR20100124496A (ko) |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 | |
JP6461669B2 (ja) | 揺動窓のロック操作装置 | |
JP5504922B2 (ja) | 自然換気窓 | |
JP4876947B2 (ja) | 自然換気窓 | |
KR20110086282A (ko) | 여닫이문 닫힘 지지장치 | |
JP4686213B2 (ja) | 引き戸の開き装置 | |
JP2015172300A (ja) | 窓開閉装置 | |
KR200415618Y1 (ko) | 창호용 하드웨어 | |
KR101396396B1 (ko) | 특수도어 핸들잠금장치 | |
JPH059427Y2 (ko) | ||
JP2696682B2 (ja) | 窓障子用控え装置 | |
JP3784647B2 (ja) | 平行突き出し窓 | |
JPH084554Y2 (ja) | 窓障子用控え装置 | |
JP2020037866A (ja) | 窓開閉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