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4496A -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4496A
KR20100124496A KR1020090043542A KR20090043542A KR20100124496A KR 20100124496 A KR20100124496 A KR 20100124496A KR 1020090043542 A KR1020090043542 A KR 1020090043542A KR 20090043542 A KR20090043542 A KR 20090043542A KR 20100124496 A KR20100124496 A KR 20100124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hole
bar
link member
hing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3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4162B1 (ko
Inventor
신경철
Original Assignee
신경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경철 filed Critical 신경철
Priority to KR1020090043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162B1/ko
Publication of KR20100124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4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 E05D15/4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with pivoted arms and horizontally-slid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1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 E05C17/2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 E05C17/2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with braking, clamping or securing means in the gu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41Tilt-and-tur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창문을 조금만 개폐되도록 하거나, 완전히 개폐되도록 할 수 있는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는, 창틀에 창문틀이 힌지결합되어 회전하여 개폐되는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창문틀의 측면에 장착되고, 손잡이부가 장착된 수직슬라이드부와; 상기 창문틀의 상면 또는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창틀 방향으로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된 수평슬라이드부와; 상기 창문틀의 코너에 장착되고, 상기 수직슬라이드부와 수평슬라이드부를 연결하는 코너드라이브와; 상기 창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돌기수용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직슬라이드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돌기수용부에 삽입 또는 이탈되어 상기 창틀에 대한 상기 창문틀의 최대 열림 각도가 조절되며,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돌기수용부에 삽입되며 상기 창문틀은 일정각도까지만 회전되고,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돌기수용부로부터 이탈되면 삽입되었을 때보다 상기 창문틀은 더 많이 회전하여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동식 창호 시스템, 열림 각도 조절, 수평슬라이드부,

Description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 { Opening Angle Adjustment Apparatus of Turning Type Window System }
본 발명은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창문을 조금만 개폐되도록 하거나, 완전히 개폐되도록 할 수 있는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시스템 창호의 일종으로 틸트 앤드 턴(Tilt and Turn) 방식의 창호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틸트 앤드 턴 방식의 창호는 창틀에 장착된 창문의 윗부분을 반개폐 상태로 여는 틸트기능과 더불어 창문을 수평방향으로 회동하여 개폐하는 턴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0은 종래의 이러한 틸트 앤드 턴 방식의 창호의 일 예를 보여주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창틀(10)의 일측에 결합되는 회동축(22)에 창문(20)이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이러한 창문(20)의 회동각도를 규제하기 위한 스테이바(30)가 창틀(10)과 창문(20) 사이에 결합된다.
이 스테이바(30)는 창틀(10)의 상면 일측에 장착되는 홀더(32)와, 창문(20) 의 저면에 장착되는 가이드바(36) 및 힌지축(34,35)에 의해 이들 홀더(32)와 가이드바(36)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3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가이드바(36)에 결합되는 힌지축(35)은 가이드바(36)의 레일(39)을 따라 미끄러지는 슬라이더(38)에 결합된다.
그리고, 가이드바(36)의 양단부에는 스토퍼(40)가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미도시된 손잡이를 쥐고 창문(20)을 회동시키면, 링크(33) 일단에 힌지결합되는 슬라이더(38)가 가이드바(36)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창문(20)이 개방되거나 닫히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바(36) 상의 스토퍼(4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슬라이더(38)의 이동범위를 규제하여 창문(20)의 개방 각도를 규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창호의 구조는 창문의 개방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가 매번 상기 스토퍼(40)의 위치를 조절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기 스토퍼(40)의 분해 및 장착 작업시간이 소용되어 신속하게 필요에 따라 창문의 개방 각도가 조절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시스템 창호의 경우, 창문을 개방할 경우 상기 링크(33)가 창문의 측방향 또는 하부에 결합되어 있어 시야를 가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부품의 분해 및 조립없이 손잡이부를 회전함으로써 창문의 개방 각도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곧바로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창문의 개방시 링크 등이 사용자의 시야를 가리는 것을 회피시킬 수 있는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는, 창틀에 창문틀이 힌지결합되어 회전하여 개폐되는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창문틀의 측면에 장착되고, 손잡이부가 장착된 수직슬라이드부와; 상기 창문틀의 상면 또는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창틀 방향으로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된 수평슬라이드부와; 상기 창문틀의 코너에 장착되고, 상기 수직슬라이드부와 수평슬라이드부를 연결하는 코너드라이브와; 상기 창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돌기수용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직슬라이드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돌기수용부에 삽입 또는 이탈되어 상기 창틀에 대한 상기 창문틀의 최대 열림 각도가 조절되며,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돌기수용부에 삽입되며 상기 창문틀은 일정각도까지만 회전되고,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돌기수용부로부터 이탈되면 삽입되었을 때보다 상기 창문틀은 더 많이 회전하여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슬라이드부는, 상기 창문틀에 장착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평이동바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수평이동바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수평이동바와 함께 직선이동하며, 상부에 상기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된 제1링크부재와; 상기 제1링크부재와 베이스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베이스부재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링크부재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1링크부재의 회전시 일단이 상기 베이스부재를 직선이동하는 제2링크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링크부재의 타단이 삽입되는 링크고정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평이동바가 일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링크부재의 타단은 상기 링크고정부에 이탈되고 동시에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돌기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창문틀은 상기 제1링크부재와 제2링크부재에 의해 회전각도가 제한되고, 상기 수평이동바가 타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링크부재의 타단은 상기 링크고정부에 삽입되고 동시에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돌기수용부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수평이동바가 일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보다 상기 창문틀은 더 큰 각도로 회전하여 개폐된다.
상기 제1링크부재의 일단과 상기 수평이동바를 힌지결합하는 제1힌지축과; 상기 제1힌지축에 인접한 상기 제2링크부재의 일단과 상기 베이스부재를 힌지결합하는 제2힌지축과; 상기 제2링크부재의 타단과 상기 제1링크부재를 힌지결합하는 제3힌지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수평이동바의 이동방향으로 제1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힌지축 및 제2힌지축은 상기 제1장공을 관통하여 장착되어 상기 제1장공을 따라 슬라이딩하고, 상기 제3힌지축은 상기 제1링크부재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제2링크부재의 길이는 상기 제1링크부 재의 길이보다 작다.
상기 수평이동바에는 상기 제1장공의 하부에 상기 제1장공과 평행한 제2장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2장공의 길이는 상기 제1장공의 길이보다 작고, 상기 제2힌지축은 상기 제1장공 및 제2장공을 관통하여 장착된다.
상기 제1장공의 끝단 중 상기 링크고정부로부터 가장 원거리에 있는 상기 제1장공의 일단에는 상기 제1장공의 단폭보다 큰 폭을 갖는 이동방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힌지축의 외주면에는 2개의 평행한 면취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힌지축의 최대직경은 상기 제1장공의 단폭보다 크고, 상기 제1힌지축의 면취부의 상호 거리는 상기 제1장공의 단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1링크부재의 슬라이딩시 상기 제1힌지축의 최대직경방향은 상기 제1장공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힌지축은 상기 제1장공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1링크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회전되었을 때 상기 제1힌지축은 상기 이동방지공에서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1힌지축의 최대직경방향이 상기 제1장공의 길이방향과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제1힌지축이 상기 제1장공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상기 수평이동바를 관통하는 상기 제1힌지축의 하부에는 상기 제1힌지축의 지름보다 큰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턱과 상기 수평이동바 사이에는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수직슬라이드부는, 창문틀에 고정 장착되고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직이동바와; 상기 수직이동바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스토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 직이동바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공에는 폭이 좁아지는 정지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퍼부재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관통공 및 이동공을 관통하여 장착되고, 상기 이동공에 배치되는 잠금편이 형성된 이동돌기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돌기를 상기 관통공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잠금편이 상기 이동공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정지턱이 상기 잠금편에 걸려 상기 수직이동바는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이동돌기가 상기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이동하여 상기 잠금편이 상기 이동공으로부터 이탈되었을 때 상기 수직이동바는 상하이동된다.
또는, 상기 수직슬라이드부는, 창문틀에 고정 장착된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직이동바와; 상기 수직이동바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스토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이동바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공에는 폭이 좁아지는 정지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퍼부재는, 상기 이동공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관통공 및 이동공을 관통하여 장착되고, 상기 이동공에 배치되는 잠금편이 형성된 이동돌기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돌기를 상기 이동공의 반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잠금편이 상기 이동공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정지턱이 상기 잠금편에 걸려 상기 수직이동바는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이동돌기가 상기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이동하여 상기 잠금편이 상기 이동공으로부터 이탈되었 을 때 상기 수직이동바는 상하이동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에 따르면, 부품의 분해 및 조립없이 손잡이부를 회전함으로써 창문의 개방 각도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반개폐 또는 완전개폐로 곧바로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수평슬라이드부가 창문의 상부에 장착되어 창문의 개방시 링크부재 등이 사용자의 시야를 가리는 것을 회피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의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슬라이드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슬라이드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가 닫힌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가 이동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가 반열린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가 완전개방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슬라이드부의 구조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슬라이드부의 구조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는, 창틀(450)에 힌지결합된 창문틀(400)에 장착되어, 창문틀(400)의 열림각도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곧바로 조절할 수 있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슬라이드부(100)와, 수평슬라이드부(300)와, 코너드라이브(2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슬라이드부(100)는 창문틀(400)의 측면에 장착되고, 고정바(120), 수직이동바(130), 손잡이부(11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는 창문틀(400)의 측면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수직이동바(130)는 상기 고정부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장착되며, 상기 손잡이부(110)는 회전에 의해 상기 수직이동바(13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상기 수직이동바(130)에는 랙기어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코너드라이브(200)에 연결된다.
상기 수평슬라이드부(300)는 상기 창문틀(40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평슬라이드부(300)를 상기 창문틀(400)의 상면에 장착하였다.
그리고, 상기 코너드라이브(200)는 상기 창문틀(400)의 코너에 장착되어, 상기 수직슬라이드부(100)와 수평슬라이드부(300)를 상호 연결하고 있다.
상기 코너드라이브(200)에 의해 상기 수직슬라이드부(100)가 상승 또는 하강할 때, 상기 수평슬라이드부(300)는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수직슬라이드부(100) 및 수평슬라이드부(300)에는 각각 랙기어(322)가 형성되고, 상기 랙기어(322)가 상기 코너드라이브(200)에 장착되어, 상기 수직슬라이드부(100), 코너드라이브(200) 및 수평슬라이드부(300)를 연결하고 있다.
이러한 상기 수직슬라이드부(100) 및 코너드라이브(200)는 종래의 공지된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16599호,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09-0000943호 등에 잘 나타나 있은바,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한 구조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수평슬라이드부(3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310)와, 수평이동바(320)와, 제1링크부재(330)와, 제2링크부재(340)와, 링크고정부(313)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재(310)는 긴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창문틀(400)의 상부에 고정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베이스부재(310)의 일단에 인접한 부위에는 상기 수평이동바(320)의 이동방향으로 제1장공(311)이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부재(310)의 타단의 상부에는 상기 링크고정부(3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장공(311)의 끝단 중 상기 링크고정부(313)에서 가장 원거리에 있는 상기 제1장공(311)의 일단에는 상기 제1장공(311)의 단폭(短幅)보다 큰 폭을 갖는 이동방지공(3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고정부(31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링크부재(330)의 타단이 삽입되어 상기 제1링크부재(33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평이동바(320)는 상기 베이스부재(310)와 같이 긴 막대 형상으로 이 루어지고, 상기 베이스부재(310)의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수평이동바(320)는 상기 코너드라이드(200)에 의해 상기 수직이동바(130)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수직이동바(130)의 상하이동에 의해 상기 수평이동바(320)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수평이동바(320)에는 상기 수평이동바(320)의 이동방향으로 제2장공(321)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장공(321)은 상기 제1장공(311)의 하부에 상기 제1장공(311)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장공(321)의 장방향 길이는 상기 제1장공(311)의 장방향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코너드라이브(200)와 인접하는 상기 수평이동바(320)의 타단에는 상기 랙기어(322)가 형성되어 상기 코너드라이드(200)와 연결된다.
상기 제1링크부재(330)는 상기 베이스부재(3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일단이 제1힌지축(351)에 의해 상기 수평이동바(32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직선이동하여 상기 베이스부재(310)에 장착된 상기 링크고정부(313)에 삽입 또는 이탈된다.
상기 제1힌지축(351)은 상기 제1장공(311)을 관통하여, 상단이 상기 제1링크부재(330)에 고정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수평이동바(3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제1힌지축(351)에 의해 상기 제1링크부재(3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이동바(320)의 직선이동시 상기 제1장공(311)을 따라 함께 직선이동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이동바(320) 및 베이스부재(310)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회전운동을 한다.
상기 수평이동바(320)를 관통하는 상기 제1힌지축(351)의 하부에는 상기 제1힌지축(351)의 지름보다 큰 걸림턱(35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턱(351a)과 상기 수평이동바(320) 사이에는 스프링(355)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355)에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링크부재(330), 베이스부재(310) 및 수평이동바(320)는 항상 서로 접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수평슬라이드부(300)가 유격에 의해 흔들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힌지축(351)의 외주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평행한 면취부(351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힌지축(351)의 최대직경은 상기 제1장공(311)의 단폭보다 크고 상기 이동방지공(312)의 폭보다 작으며, 상기 제1힌지축(351)의 면취부(351b)의 상호 거리는 상기 제1장공(311)의 단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링크부재(330)의 슬라이딩시 상기 제1힌지축(351)의 최대직경방향은 상기 제1장공(311)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힌지축(351)은 상기 제1장공(311)을 따라 이동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링크부재(330)가 상기 베이스부재(310)에 대하여 회전되었을 때 상기 제1힌지축(351)은 상기 이동방지공(312)에서 상기 제1링크부재(330)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1힌지축(351)의 최대직경방향이 상기 제1장공(311)의 길이방향과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제1힌지축(351)이 상기 제1장공(311)을 따라 이 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즉, 상기 제1링크부재(330)의 회전시 상기 제1힌지축(351)도 회전되어, 상기 제1힌지축(351)의 장지름이 상기 제1장공(311)의 단폭에 걸려 상기 제1힌지축(351)이 이동하지 않게 된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링크부재(330)가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이동바(320) 및 제1링크부재(330)가 직선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링크부재(330)의 상부 즉 상기 창틀(450) 방향으로는 고정돌기(33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돌기(331)는 상기 제1링크부재(330)의 타단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창틀(450)의 상부에는 상기 고정돌기(331)가 삽입되는 돌기수용부(451)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수직슬라이드부(100)의 작동에 의해 상기 고정돌기(331)는 상기 돌기수용부(451)에 삽입 또는 이탈되게 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창틀(450)에 대한 상기 창문틀(400)의 최대 열림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돌기수용부(451)는 상기 수평이동바(320)의 타단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고정돌기(331)가 상기 수평이동바(320)의 일단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돌기수용부(451)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돌기수용부(451)가 이탈되지 않고 회전되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돌기(331)가 상기 돌기수용부(451)에 삽입되면, 상기 제1링크부 재(330)의 일단은 상기 고정돌기(331) 및 돌기수용부(451)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돌기(331)가 상기 돌기수용부(451)에 삽입되며 상기 창문틀(400)은 일정각도까지만 회전되고, 상기 고정돌기(331)가 상기 돌기수용부(451)로부터 이탈되면 삽입되었을 때보다 상기 창문틀(400)은 더 많이 회전하여 개폐하게 된다.
상기 제2링크부재(340)는 상기 제1링크부재(330)의 길이보다 작은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링크부재(330)와 베이스부재(310)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링크부재(330)와 베이스부재(310) 사이에 상기 제2링크부재(340)가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링크부재(330)는 상기 베이스부재(310)의 반대방향으로 상향 절곡되어 있다.
상기 제1힌지축(351)에 인접한 상기 제2링크부재(340)의 일단은 제2힌지축(352)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310) 및 수평이동바(320)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링크부재(340)의 타단은 제3힌지축(353)에 의해 상기 제1링크부재(330)에 힌지결합된다.
상기 제1힌지축(351) 및 제2힌지축(352)은 상기 제1장공(311)을 관통하여 장착되어, 상기 제1장공(311)을 따라 슬라이딩하고, 상기 제3힌지축(353)은 상기 제1링크부재(330)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2힌지축(352)은 상기 베이스부재(310)에 형성된 제1장공(311)과 상기 수평이동바(320)에 형성된 제2장공(321)을 관통하여 장착된다.
상기 제2힌지축(352)은 상기 제2장공(321)이 형성된 상기 수평이동바(320)의 직선이동시 상기 제2링크부재(340) 및 제1힌지축(351)과 함께 상기 제1장공(311)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1링크부재(330)의 회전시 상기 제2힌지축(352)은 상기 수평이동바(32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장공(311)과 제2장공(321)을 따라 이동한다.
즉, 상기 제1링크부재(330)의 회전시 상기 제2힌지축(352)이 장착된 상기 제2링크부재(340)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부재(310)에 형성된 제1장공(311)과 상기 수평이동바(320)에 형성된 제2장공(321)을 따라 직선이동을 한다.
상기 링크고정부(313)는 상기 베이스부재(3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링크부재(330)가 직선이동하여 상기 제1링크부재(330)의 타단이 삽입되는 곳이다.
이를 위해, 상기 링크고정부(313)는 상기 제1링크부재(330)의 타단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수평이동바(320)가 일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링크부재(330)의 타단은 상기 링크고정부(313)에 이탈되고 동시에 상기 고정돌기(331)는 상기 돌기수용부(451)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상기 베이스부재(310)가 고정장착된 상기 창문틀(400)의 회전시, 상기 창문틀(400)은 상기 제1링크부재(330)와 제2링크부재(340)에 의해 회전각도가 제한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이동바(320)가 타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링크부재(330)의 타단은 상기 링크고정부(313)에 삽입되고 동시에 상기 고정돌기(331)는 상기 돌기수용부(451)로부터 이탈된다.
이로 인해, 상기 베이스부재(310)가 고정장착된 상기 창문틀(400)의 회전시 상기 베이스부재(310)는 상기 제1링크부재(330)와 함께 자유롭게 회전하여, 상기 수평이동바(320)가 일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보다 상기 창문틀(400)은 더 큰 각도로 회전하여 개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직슬라이드부(100)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이동바(130)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스토퍼부재(14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부재(140)는 창문이 닫혀있을 때에 상기 손잡이부(110)가 회전가능하도록 하고, 창문이 열려 있을 때에 상기 손잡이부(11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창문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수직슬라이드부(100) 및 수평슬라이부(300)가 임의로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스토퍼부재(140) 및 그와 관련된 구조는 다음과 같은 2가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첫째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부재(140)가 상기 고정바(120)를 관통하는 구조이고, 둘째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부재(140)가 상기 고정바(120)를 관통하지 않고 첫째 구조와 반대방향으로 배치된 구조이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스토퍼부재(140)가 상기 고정바(120)를 관통하는 구조를 설명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바(120)에는 관통공(1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이동바(130)에는 상기 관통공(121)과 연통되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이동공(1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공(131)에는 폭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정지턱(13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부재(140)는 하우징(141)과, 이동돌기(145)와, 스프링(14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41)은 상기 고정바(120)에 고정 장착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141)의 내부에는 상기 스프링(147)이 배치되어 상기 이동돌기(145)는 상기 관통공(121) 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상기 이동돌기(145)는 상기 하우징(141)에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147)에 의해 상기 관통공(121) 및 이동공(131)을 관통하여 장착되도록 탄성지지된다.
상기 이동돌기(145)의 일단에는 상기 이동공(131)에 배치되는 잠금편(14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잠금편(146)은 상기 이동돌기(145)의 일단에 이동돌기(145)의 지름보다 크고, 상기 이동공(131)의 폭보다 작게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147)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잠금편(146)이 상기 이동공(131)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이동돌기(145)의 타단은 상기 관통공(121)을 관통하여 돌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수직이동바(130)에 형성된 상기 정지턱(132)이 상기 잠금편(146)에 걸려 상기 수직이동바(13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이동돌기(145)의 타단이 일단방향으로 눌려져 상기 이동돌 기(145)가 상기 스프링(147)을 압축하면서 이동하였을 때, 상기 잠금편(146)은 상기 이동공(131)으로부터 이탈된다.
이로 인해 상기 수직이동바(130)는 상기 이동돌기(145)의 방해없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부재(140)가 상기 고정바(120)를 관통하지 않고 첫째 구조와 반대방향으로 배치된 구조는 다음과 같다.
상기 수직이동바(130)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이동공(1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공(131)에는 폭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정지턱(13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부재(140)는 하우징(141)과, 커버(143)와, 이동돌기(145)와, 스프링(14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41)은 상기 고정바(120)에 고정 장착되고, 내부에는 상기 이동돌기(145) 및 스프링(147)이 배치되는 빈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141)의 하부에는 상기 이동공(131) 방향으로 관통공(14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143)는 상기 하우징(141)의 상부을 덮는 것으로써, 상기 커버(143)에도 관통공(14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돌기(145)는 상기 하우징(141)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단에는 상기 하우징(141)에 형성된 관통공(142)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공(131)에 배치되는 잠금편(146)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은 상기 커버(143)에 형성된 관통공(144)을 관통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잠금편(146)을 상기 이동돌기(145)와 분리 제작하여 후에 조립되도록 하였다.
상기 잠금편(146)은 상기 이동돌기(145)의 지름보다 크고, 상기 이동공(131)의 폭보다 작게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147)은 상기 하우징(141)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돌기(145)를 상기 이동공(131)의 반대방향으로 즉 상기 이동돌기(145)의 일단에 형성된 상기 잠금편(146)이 상기 이동공(131)이 삽입배치되도록 탄성지지한다.
상기 스프링(147)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잠금편(146)이 상기 이동공(131)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이동돌기(145)의 타단은 상기 커버(143)에 형성된 관통공(144)을 관통하여 돌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수직이동바(130)에 형성된 상기 정지턱(132)이 상기 잠금편(146)에 걸려 상기 수직이동바(13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이동돌기(145)의 타단이 일단방향으로 눌려져 상기 이동돌기(145)가 상기 스프링(147)을 압축하면서 이동하였을 때, 상기 잠금편(146)은 상기 이동공(131)으로부터 이탈된다.
이로 인해 상기 수직이동바(130)는 상기 이동돌기(145)의 방해없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상기 수직슬라이드부(100)가 장착된 반대편의 상기 창문틀(400)의 측면이 상 기 창틀(450)에 힌지결합되어 있다.
창문이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이동돌기(145)의 타단이 눌려진 상태로 놓여 있는바, 상기 잠금편(146)은 상기 이동공(131)으로부터 이탈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이동바(130)는 상기 손잡이부(110)의 회전에 의해 자유롭게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놓여 있다.
사용자가 상기 수직슬라이드부(100)에 장착된 손잡이부(110)를 회전시키면, 상기 수직이동바(130)가 이동하고 이로 인해 상기 코너드라이브(200)를 통해 연결된 상기 수평이동바(320)는 직선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링크부재(330)가 상기 링크고정부(313)에 삽입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링크부재(330)에 형성된 고정돌기(331)가 상기 돌기수용부(451)에 삽입되게 된다.
창문을 조금만 개방하고자 할 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돌기(331)가 상기 창틀(450)에 장착된 상기 돌기수용부(451)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힌지축(351) 및 제2힌지축(352)은 상기 제1장공(311)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1힌지축(351)은 상기 이동방지공(312)에 안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창문을 열면 상기 창문을 상기 창문틀(400)과의 힌지결합부위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문의 고정장착된 상기 베이스부재(310)는 상기 수평이동바(320)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링크부재(330)의 일단은 상기 고정돌기(331)를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부재(310)와 함께 회전하게 된 다.
상기 제1링크부재(33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링크부재(340)도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제2힌지축(352)은 상기 제1장공(311)과 제2장공(321)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힌지축(352)이 상기 제2장공(321)의 끝단까지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2링크부재(340)의 이동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상기 제1링크부재(330)의 회전이 제한된다.
이로 인해, 상기 베이스부재(310)가 장착된 상기 창문은 회전이 일정각도까지만 제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힌지축(351)은 상기 제1링크부재(330)와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제1힌지축(351)에 형성된 면취부(351b)가 회전하여, 상기 면취부(351b)가 상기 제1장공(311)과 경사를 이루게 되어, 상기 제1장공(311)의 단폭과 평행한 방향의 상기 제1힌지축(351)의 폭은 상기 제1장공(311)의 단폭보다 더 크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힌지축(351)의 장지름이 상기 제1장공(311)의 단폭에 걸려, 상기 제1힌지축(351)은 상기 제1장공(311)을 따라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1링크부재(330) 및 수평이동바(320)는 직선이동하지 않게 된다.
한편, 창문을 완전히 개방하고자 할 때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돌기(331)가 상기 창틀(450)에 장착된 상기 돌기수용부(451)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제1링크부재(330)의 타단이 상기 링크고정부(313)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힌지축(351) 및 제2힌지축(352)은 상기 제1장공(311)을 따라 상기 링크고정부(313)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창문을 열면 상기 창문을 상기 창문틀(400)과의 힌지결합부위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문의 고정장착된 상기 베이스부재(310)는 상기 수평이동바(32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링크부재(330)는 상기 돌기수용부(451)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링크수용부에 삽입되어 있는바, 상기 베이스부재(31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110)가 장착된 수직슬라이드부(100) 및 수평슬라이드부(3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창문을 반개폐 또는 완전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링크부재(330) 및 제2링크부재(340)가 장착된 상기 수평슬라이드부(300)가 창문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을 반개방하였을 때 상기 제1링크부재(330) 및 제2링크부재(340)가 시야를 가리를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기 창문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이동돌기(145)의 잠금편(146)은 상기 스프링(147)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이동공(131)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정지턱(132)이 상기 잠금편(146)에 걸려 상기 수직이동바(130) 및 수평이동바(320)는 이동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인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 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슬라이드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슬라이드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가 닫힌상태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가 이동한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가 반열린 상태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가 완전개방된 상태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슬라이드부의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슬라이드부의 구조도,
도 10은 종래의 이러한 틸트 앤드 턴 방식의 창호의 구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수직슬라이드부, 110 : 손잡이부, 120 : 고정바, 121 : 관통공, 130 : 수직이동바, 131 : 이동공, 132 : 정지턱, 140 : 스토퍼부재, 141 : 하우징, 142 : 관통공, 143 : 커버, 144 : 관통공, 145 : 이동돌기, 146 : 잠금편, 147 : 스프링, 200 : 코너드라이브, 300 : 수평슬라이드부, 310 : 베이스부재, 311 : 제1장공, 312 : 이동방지공, 313 : 링크고정부, 320 : 수평이동바, 321 : 제2장공, 322 : 랙기어, 330 : 제1링크부재, 331 : 고정돌기, 340 : 제2링크부재, 351 : 제1힌지축, 351a : 걸림턱, 351b : 면취부, 352 : 제2힌지축, 353 : 제3힌지축, 355 : 스프링, 400 : 창문틀, 450 : 창틀, 451 : 돌기수용부,

Claims (8)

  1. 창틀에 창문틀이 힌지결합되어 회전하여 개폐되는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창문틀의 측면에 장착되고, 손잡이부가 장착된 수직슬라이드부와;
    상기 창문틀의 상면 또는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창틀 방향으로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된 수평슬라이드부와;
    상기 창문틀의 코너에 장착되고, 상기 수직슬라이드부와 수평슬라이드부를 연결하는 코너드라이브와;
    상기 창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돌기수용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직슬라이드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돌기수용부에 삽입 또는 이탈되어 상기 창틀에 대한 상기 창문틀의 최대 열림 각도가 조절되며,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돌기수용부에 삽입되며 상기 창문틀은 일정각도까지만 회전되고,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돌기수용부로부터 이탈되면 삽입되었을 때보다 상기 창문틀은 더 많이 회전하여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슬라이드부는,
    상기 창문틀에 장착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평이동바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수평이동바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수평이동바와 함께 직선이동하며, 상부에 상기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된 제1링크부재와;
    상기 제1링크부재와 베이스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베이스부재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링크부재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1링크부재의 회전시 일단이 상기 베이스부재를 직선이동하는 제2링크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링크부재의 타단이 삽입되는 링크고정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평이동바가 일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링크부재의 타단은 상기 링크고정부에 이탈되고 동시에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돌기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창문틀은 상기 제1링크부재와 제2링크부재에 의해 회전각도가 제한되고,
    상기 수평이동바가 타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링크부재의 타단은 상기 링크고정부에 삽입되고 동시에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돌기수용부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수평이동바가 일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보다 상기 창문틀은 더 큰 각도로 회전하여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부재의 일단과 상기 수평이동바를 힌지결합하는 제1힌지축과;
    상기 제1힌지축에 인접한 상기 제2링크부재의 일단과 상기 베이스부재를 힌지결합하는 제2힌지축과;
    상기 제2링크부재의 타단과 상기 제1링크부재를 힌지결합하는 제3힌지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수평이동바의 이동방향으로 제1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힌지축 및 제2힌지축은 상기 제1장공을 관통하여 장착되어 상기 제1장공을 따라 슬라이딩하고,
    상기 제3힌지축은 상기 제1링크부재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제2링크부재의 길이는 상기 제1링크부재의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바에는 상기 제1장공의 하부에 상기 제1장공과 평행한 제2장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2장공의 길이는 상기 제1장공의 길이보다 작고,
    상기 제2힌지축은 상기 제1장공 및 제2장공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공의 끝단 중 상기 링크고정부로부터 가장 원거리에 있는 상기 제1장공의 일단에는 상기 제1장공의 단폭보다 큰 폭을 갖는 이동방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힌지축의 외주면에는 2개의 평행한 면취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힌지축의 최대직경은 상기 제1장공의 단폭보다 크고, 상기 제1힌지축의 면취부의 상호 거리는 상기 제1장공의 단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1링크부재의 슬라이딩시 상기 제1힌지축의 최대직경방향은 상기 제1장공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힌지축은 상기 제1장공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1링크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회전되었을 때 상기 제1힌지축은 상기 이동방지공에서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1힌지축의 최대직경방향이 상기 제1장공의 길이방향과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제1힌지축이 상기 제1장공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
  6.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바를 관통하는 상기 제1힌지축의 하부에는 상기 제1힌지축의 지름보다 큰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턱과 상기 수평이동바 사이에는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슬라이드부는,
    창문틀에 고정 장착되고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직이동바와; 상기 수직이동바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스토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이동바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공에는 폭이 좁아지는 정지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퍼부재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관통공 및 이동공을 관통하여 장착되고, 상기 이동공에 배치되는 잠금편이 형성된 이동돌기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돌기를 상기 관통공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잠금편이 상기 이동공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정지턱이 상기 잠금편에 걸려 상기 수직이동바는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이동돌기가 상기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이동하여 상기 잠금편이 상기 이동공으로부터 이탈되었을 때 상기 수직이동바는 상하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슬라이드부는,
    창문틀에 고정 장착된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 하게 장착되는 수직이동바와; 상기 수직이동바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스토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이동바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공에는 폭이 좁아지는 정지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퍼부재는,
    상기 이동공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관통공 및 이동공을 관통하여 장착되고, 상기 이동공에 배치되는 잠금편이 형성된 이동돌기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돌기를 상기 이동공의 반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잠금편이 상기 이동공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정지턱이 상기 잠금편에 걸려 상기 수직이동바는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이동돌기가 상기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이동하여 상기 잠금편이 상기 이동공으로부터 이탈되었을 때 상기 수직이동바는 상하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
KR1020090043542A 2009-05-19 2009-05-19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 KR101064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542A KR101064162B1 (ko) 2009-05-19 2009-05-19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542A KR101064162B1 (ko) 2009-05-19 2009-05-19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4496A true KR20100124496A (ko) 2010-11-29
KR101064162B1 KR101064162B1 (ko) 2011-09-15

Family

ID=43408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3542A KR101064162B1 (ko) 2009-05-19 2009-05-19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1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1488A1 (en) * 2012-04-05 2013-10-10 Assa Oem Ab Suspension device for windows
KR101593004B1 (ko) * 2015-06-04 2016-02-11 (주)탑이엔씨건축사사무소 손잡이 압력에 영향받지 않는 안전핀을 구비한 패닉 방지용 소화기
KR20200092700A (ko) * 2019-01-25 2020-08-04 주식회사 대송창호 화재시 탈출 및 구조용 프로젝트 풀다운 캐시먼트 창호의 암플레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5095A (ko) 2014-12-19 2016-06-29 이상철 건축물의 창문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3964U (ko) 1985-12-21 1987-07-02
KR200445367Y1 (ko) * 2007-07-25 2009-07-22 김용석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제한 및 조정기능을 갖는턴첵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1488A1 (en) * 2012-04-05 2013-10-10 Assa Oem Ab Suspension device for windows
KR101593004B1 (ko) * 2015-06-04 2016-02-11 (주)탑이엔씨건축사사무소 손잡이 압력에 영향받지 않는 안전핀을 구비한 패닉 방지용 소화기
KR20200092700A (ko) * 2019-01-25 2020-08-04 주식회사 대송창호 화재시 탈출 및 구조용 프로젝트 풀다운 캐시먼트 창호의 암플레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4162B1 (ko) 201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48737T3 (es) Dispositivo de bisagra para puerta de apoyo en posiciã“n variable.
US7676887B2 (en) Two-stage adjustable door hinge
US20050188506A1 (en) Door hinge structure for refrigerator
CN101622417B (zh) 包括锁定装置的竖铰链式窗
KR101064162B1 (ko)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
KR101138288B1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KR101043377B1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KR101100149B1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KR101530299B1 (ko) 창 개폐 장치
US6292978B1 (en) Door stop apparatus
KR200331996Y1 (ko) 틸트 및 여닫이 개폐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시스템 창호
KR101145970B1 (ko) 여닫이문 닫힘 지지장치
KR20110023239A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KR20110113015A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JP4686213B2 (ja) 引き戸の開き装置
KR200415618Y1 (ko) 창호용 하드웨어
KR101857197B1 (ko) 슬라이딩 도어용 하부 롤러장치
KR20090051447A (ko) 사이드슬라이드 도어가 설치된 통신기기 랙
JP3557349B2 (ja) 平行出窓アーム
KR20200043082A (ko) 자동 고정형 도어 스토퍼
KR101978854B1 (ko) 슬라이딩 도어용 하부 롤러장치
JP2013159965A (ja) スライドヒンジ
KR101526153B1 (ko) 식기세척기의 도어개폐 가이드구조
EP2821577A1 (en) Operating device for a tilt and turn door or window
KR20050009356A (ko) 틸트 및 여닫이 개폐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시스템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