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5095A - 건축물의 창문 조립체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창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5095A
KR20160075095A KR1020140184632A KR20140184632A KR20160075095A KR 20160075095 A KR20160075095 A KR 20160075095A KR 1020140184632 A KR1020140184632 A KR 1020140184632A KR 20140184632 A KR20140184632 A KR 20140184632A KR 20160075095 A KR20160075095 A KR 20160075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building
bracket
window frame
bracke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4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이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철 filed Critical 이상철
Priority to KR1020140184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5095A/ko
Publication of KR20160075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50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
    • E05D15/3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 with pivoted arms and slid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at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e edges of the wing, e.g. for balanced wings
    • E05D7/084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at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e edges of the wing, e.g. for balanced wings with a movable pivot axis
    • E05D7/085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at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e edges of the wing, e.g. for balanced wings with a movable pivot axis with two or more pivot axes, e.g. used at the same ti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swing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8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horizontal axis of rotation at the top or bottom of th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창문조립체는 건축물에 설치되는 창틀과, 상기 창틀로부터 건축물의 외측방향으로 인출 및 인입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창문과, 상기 창틀의 상하부측과 이와 대응되는 창문에 상하부측에 각각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2브라켓부재와, 상기 제 1,2브라켓부재중 일측의 제 1브라켓부재와 창틀 또는 건축물에 양단부가 설치되어 제1 브라켓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창틀에 대해 창문을 외측으로 인출 및 인입시키기 위한 제 1액튜에이터와, 상기 제 1,2브라켓부재중 일측의 제 1브라켓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 1브라켓부재에 대해 창문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 2액튜에이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건축물의 창문 조립체{window assembly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의 창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창문의 열림구조와 열림방향이 개선되어 창문의 개구율을 높일 수 있는 건축물의 창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이라 함은 건축물의 외벽에 채광이나 환기를 목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창문을 살펴보면 목적ㅇ형상ㅇ구조ㅇ위치에 따라, 또는 설계자에 따라 채광창ㅇ환기창ㅇ보조 창 및 순수한 장식용 창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개폐방식에 따라 창문이 창문틀에 대하여 수직 또는 수평으로 회전됨에 따라 개폐되는 여닫이 창문과, 창을 창틀의 레일을 따라 평행 이동됨에 따라 개폐되는 미닫이 창문이 대표적이며, 틸트 앤드 턴(Tilt and Turn) 방식의 창호가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창문은,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거주자가 실내 온도 조절이나 환기를 위해 창문의 개폐정도는 상당히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건축물에 설치되는 창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미닫이나 여닫이 창문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창문의 개폐에 충분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한편, 건축물에 설치되는 창문은 보다 편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한 다양한 형태의 자동 창문개폐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는데, 이러한 자동 창문개폐장치는 창문의 구조에 의해 종속되는 구조를 가진다. 근래의 창호 시스템은 틸트 앤드 턴(Tilt and Turn)방식의 창호가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064162호에는 창호구조가 게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9-0039426호에는 여닫이 창문을 갖는 창호가 게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2013-0043259호에는 도어경첩구조가 게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1-086553호에는 건축물용 창문의 정밀개폐기구가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창문 또는 이 창문의 개폐장치는 창틀로부터 창문을 일부만 개폐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완전한 창문의 개폐가 어렵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06416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9-0039426호.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2013-004325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1-086553호.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건축물의 외벽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개구율을 높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외기를 실내로 유입시킬 수 있는 건축물의 창문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축물의 창문 조립체는 건축물에 설치되는 창틀과, 상기 창틀로부터 건축물의 외측방향으로 인출 및 인입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창문과, 상기 창틀의 상하부측과 이와 대응되는 창문에 상하부측에 각각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2브라켓부재와,
상기 제 1,2브라켓부재중 일측의 제 1브라켓부재와 창틀 또는 건축물에 양단부가 설치되어 제1 브라켓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창틀에 대해 창문을 외측으로 인출 및 인입시키기 위한 제 1액튜에이터와,
상기 제 1,2브라켓부재중 일측의 제 1브라켓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 1브라켓부재에 대해 창문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 2액튜에이터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액튜에이터는 전동스크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 1브라켓부재는 제2액튜에이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건축물의 창문 조립체는 건축물에 설치되는 창틀로부터 건축물의 외벽으로부터 이격될 숭 있도록 분리됨으로써 창문의 개구율을 높일 수 있으며, 창문의 각도를 임으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실내로의 외기 도입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창문 조립체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축물의 창문 조립체의 개폐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창문 조립체의 작동상태를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창문조립체는 창틀에 대해 창호를 건축물의 외벽과 이격될 수 있도록 열수 있는 것으로, 하나의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창문 조립체(10)는 건축물(100)의 실내공간과 연통될 수 있도록 설치되도록 개구부에 설치되는 창틀(20)과, 상기 창틀(20)으로부터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창문(30)과, 상기 건축물(100)의 벽체 또는 창틀(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창문(30)을 지지 및 개폐하기 위한 개폐유닛(40)을 구비한다.
상기 창틀(20)은 건축물(10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격자상의 틀로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창문은 상기 창틀(20)에 의해 구획된 공간을 밀폐할 수 있는 것으로, 유리 또는 창문프레임에 관찰 및 외기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리, 합성수지 등으로 플레이트가 설치되거나 천, 종이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개폐유닛(40)은 창틀(20)에 대해 창문을 지지하거나 여닫는 것으로, 상기 창틀(20)과 창문(30)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라켓(50)과, 상기 브라켓(50)과 창틀(20) 및 건축물(100)에 설치되어 창틀에 대해 브라켓(50)을 회동시켜 창틀(20)으로부터 창문을 외측으로 인출 및 인입시키기 위한 제 1액튜에이터(60)가 창문(30)의 창문프레임과 상기 브라켓(50)에 양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브라켓(50)에 대해 창문(30)의 각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제 2액튜에이터(65)를 구비한다.
상기 브라켓(50)은 창틀(20)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각각 힌지연결되어 외측으로의 회전 시 창문이 창틀(20)에 대해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 후진될 수 있도록 제 1브라켓부재(51)과 제 2브라켓부재(5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 1,2브라켓부재(51)(52)는 회전시 창문(30)의 창문프레임(미도시)에 밀착될 수 있도록 창틀 프레임의 내면에 힌지결합부가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결합부는 창틀(20)에 대해 창문의 인입 및 인출 시 간섭이 발생되지 않아야 한다. 상기 제 1,2브라켓부재(51)(52)와 창문의 결합을 위하여 별도의 고정브라켓이 설치되어 상기 제 1,2브라켓부재들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액튜에이터(60)은 상기 제 1,2브라켓부재(51)(52)중 일측의 제1 브라켓부재(51)의 힌지부와 인접되는 측에 제1로드(61)가 설치되고, 창틀 또는 건축물의 벽체에 회전가능하게 제1실린더부(62)가 설치되는 전동스크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브라켓부재(51)에는 창문(30)이 닫히는 경우 제 1액튜에이터(60)가 삽입되는 삽입부(6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삽입부(63)의 형성은 상기 제 1브라켓부재(51)가 찬넬형상으로 절곡된 형강으로 제작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액튜에이터는 제 2브라켓부재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창문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 제 1,2브라켓부재에 동시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 2액튜에이터(65)는 상기 제1,2브라켓부재(51)(52)중 일측의 제 1브라켓부재(51)에 제 2실린더부(66)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2실린더부(66)에 지지되 제 2로드(67)의 단부가 창문(30)의 창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2액튜에이터(60)(65)는 스크류잭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공압 및 유압의 제공이 가능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된 경우,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창문 조립체의 작용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창문을 열기 위해서는 제1액튜에이터(60)를 구동시켜 브라켓 즉, 제 1브라켓부재(51)을 외측방향으로 회전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 2액튜에이터(65)을 구동시켜 제 1,2브라켓부재(51)(52)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창문이 건물의 외벽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열리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작동으로 창문(30)이 완전히 열리면, 상기 창문(30)은 창틀(20)에 의해 형성된 개구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상기 개구가 완전히 열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도어가 열리는 과정에서 상기 제 1브라켓부재(51)의 회전각도가 180도에 근접되는 경우 창문(30)은 건축물(100)의 외벽에 근접될 수 있다.
한편, 외기를 실내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브라켓부재(51)을 90도(외벽기준) 정도를 유지하고, 제1브라켓부재(51)의 단부에 설치되는 창문(30)의 각도를 조정하여 건축물(100)의 외부에서 부는 유동공기(바람)를 창틀(20)의 개구를 통통하여 내부공간부로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창문(30)을 닫기 위해서는 상기 제 1액튜에이터(60)을 회동시켜 제 1브라켓부재(51)를 회전시켜 창문(30)을 창틀(20) 측으로 이송시킴과 아울러 창문(30)과 제 1브라켓부재(51)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 2액튜에이터(65)를 작동시켜 상창틀(20)과 창문(30)이 평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1액튜에이터(60)에 의해 제 1브라켓부재(51) 창문(30)이 닫히는 방향으로 더욱 회전시켜 창문(30)을 창틀에 밀착 또는 삽입시킴으로써 창문을 닫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창문 조립체는 창틀에 형성된 개구를 완전히 개방할 수 있으며, 창문을 통하여 외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창문 조립체는 각종 건축물의 창, 산업시설 등에 널리 사용가능하다.

Claims (2)

  1. 건축물에 설치되는 창틀과, 상기 창틀로부터 건축물의 외측방향으로 인출 및 인입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창문과, 상기 창틀의 상하부측과 이와 대응되는 창문에 상하부측에 각각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2브라켓부재와,
    상기 제 1,2브라켓부재중 일측의 제 1브라켓부재와 창틀 또는 건축물에 양단부가 설치되어 제1 브라켓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창틀에 대해 창문을 외측으로 인출 및 인입시키기 위한 제 1액튜에이터와,
    상기 제 1,2브라켓부재중 일측의 제 1브라켓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 1브라켓부재에 대해 창문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 2액튜에이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창문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액튜에이터는 전동스크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브라켓부재는 제2액튜에이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창문조립체.



KR1020140184632A 2014-12-19 2014-12-19 건축물의 창문 조립체 KR201600750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632A KR20160075095A (ko) 2014-12-19 2014-12-19 건축물의 창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632A KR20160075095A (ko) 2014-12-19 2014-12-19 건축물의 창문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095A true KR20160075095A (ko) 2016-06-29

Family

ID=56365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4632A KR20160075095A (ko) 2014-12-19 2014-12-19 건축물의 창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5095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6553A (ko) 2000-03-02 2001-09-13 박광돈 건축물용 창문의 정밀 개폐기구
KR20090039426A (ko) 2007-10-18 2009-04-22 흥성윈 주식회사 건축용 창호
KR101064162B1 (ko) 2009-05-19 2011-09-15 신경철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
KR20130043259A (ko) 2011-10-20 2013-04-30 전인성 창호의 도어경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6553A (ko) 2000-03-02 2001-09-13 박광돈 건축물용 창문의 정밀 개폐기구
KR20090039426A (ko) 2007-10-18 2009-04-22 흥성윈 주식회사 건축용 창호
KR101064162B1 (ko) 2009-05-19 2011-09-15 신경철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
KR20130043259A (ko) 2011-10-20 2013-04-30 전인성 창호의 도어경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5198B1 (ko) 수평밀착창호
CN104265102A (zh) 一种铰链
KR101397187B1 (ko) 창문 자동 닫힘장치
JP6463148B2 (ja) ドアセット
TWI693368B (zh) 換氣裝置以及門窗
KR100917167B1 (ko) 당김줄에 의한 당김식 원터치 개폐수단을 갖는 자연환기구
KR20160075095A (ko) 건축물의 창문 조립체
KR101149910B1 (ko) 자동 환기창
KR101553518B1 (ko) 창호용 방풍구
JP6422719B2 (ja) 換気装置付き建具
KR101370396B1 (ko) 통풍과 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현관문
JP6006042B2 (ja) 換気装置と開口部装置
JP6333695B2 (ja) 換気装置
TWI669442B (zh) Ventilation device and door and window
KR101876811B1 (ko) 외부로 여닫이 개방과 하측 틸팅이 가능한 창호
JP6352139B2 (ja) 換気装置
KR200324541Y1 (ko) 전동식으로 개폐되는 환기창을 구비한 온실
KR101811040B1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KR200355962Y1 (ko) 상.하 및 좌.우 개폐가 가능한 커튼
KR102043592B1 (ko) 편의성 및 방범성을 높인 창호
JP2011157681A (ja) 自然換気窓
JP6320890B2 (ja) 電動建具
KR20170142607A (ko) 대피공간에 적용되는 이중 창호
KR20160002658U (ko) 수평전개방식의 전동창호
JP6225016B2 (ja) 折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