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2607A - 대피공간에 적용되는 이중 창호 - Google Patents

대피공간에 적용되는 이중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2607A
KR20170142607A KR1020160076363A KR20160076363A KR20170142607A KR 20170142607 A KR20170142607 A KR 20170142607A KR 1020160076363 A KR1020160076363 A KR 1020160076363A KR 20160076363 A KR20160076363 A KR 20160076363A KR 20170142607 A KR20170142607 A KR 20170142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operating rod
hinge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6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석
Original Assignee
정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준석 filed Critical 정준석
Priority to KR1020160076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42607A/ko
Publication of KR20170142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6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06B3/362Double winged doors 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2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insulation against noise
    • E06B5/205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insulation against noise window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피공간에 적용되는 이중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 창호의 폐쇄시 창틀과 각 창호의 밀폐성을 크게 향상시킨 대피공간에 적용되는 이중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은 제1창호와 결합되는 제1창틀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내측에 상호 연결되어지도록 각각 형성되는 제1설치홈과; 상기 제1창틀의 상부에 설치되면서 제2창호와 결합되는 제2창틀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내측에 상호 연결되어지도록 각각 형성되는 제2설치홈과; 제1창호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외측에 상호 연결되어지도록 각각 형성되는 제2설치홈과; 제2창호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외측에 상호 연결되어지도록 각각 형성되는 제2설치홈과; 제1창틀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제1설치홈에 금속재질의 제1창틀고정편이 나사로서 고정설치되어지되, 상기 제1창틀고정편에는 일측에 힌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공과 거리를 두고 상부로 볼록한 볼록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볼록부에 안내장공이 길게 형성되며, 제1창호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제2설치홈에 금속재질의 제1창호고정편이 나사로서 고정설치되어지되, 상기 제1창호고정편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두 개의 힌지공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1창틀고정편의 힌지공에 제1작동로드의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작동로드의 다른 단부에는 힌지에 의해 회동되는 보조로드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보조로드의 다른 단부는 제1창호고정편의 힌지공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창틀고정편의 볼록부 내측에 작동편이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되어지며, 상기 볼록부의 안내장공 상측에 상기 작동편과 결합하여 안내장공을 따라 함께 슬라이드되는 고정편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편의 일측에 제2작동로드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작동로드의 중간부에 제1작동로드의 중간부분과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2작동로드의 다른 단부는 제1창호고정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창호를 닫았을 때 제1창틀에 고정된 제1창틀고정편에 제1창호고정편이 완전히 절첩되게 한 제1힌지수단과; 제2창틀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제1설치홈에 금속재질의 게2창틀고정편이 나사로서 고정설치되어지되, 상기 제2창틀고정편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두 개의 힌지공이 형성되고, 제2창호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제2설치홈에 금속재질의 제2창호고정편이 나사로서 고정설치되는 한편, 상기 창틀고정편의 일측 힌지공과 제2창호고정편의 일측 힌지공에 다소 길이가 짧은 제1작동로드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창틀고정편의 타측 힌지공과 제2창호고정편의 타측 힌지공에 제1작동로드보다 다소 긴 제2작동로드가 설치되어 제2창호를 닫았을때 제2창틀에 고정된 제2창틀고정편에 제2창호고정편이 완전히 절첩되게 한 제2힌지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피공간에 적용되는 이중 창호{Evacuation private double room windows}
본 발명은 대피공간에 적용되는 이중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 창호의 폐쇄시 창틀과 각 창호의 밀폐성을 크게 향상시킨 대피공간에 적용되는 이중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의 대피공간은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0-622호의 3조 규정에 의하여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으며, 대피공간에 설치하는 창호는 피난에 장애가 되지 않는 형태와 규격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미닫이 방식의 창호는 피난구의 개방 면적이 타 창호의 절반이기 때문에 창호의 규격이 2배로 커지게 되어 일반적으로 대피공간 전용 창호는 비상시 피난을 위하여 외부 방향으로 개폐되는 여닫이 방식의 창으로 제작되어 설치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에 사용되는 여닫이 창은 사용자가 내부 환기를 위하여 창문(2)을 열어 놓았거나 사용 후 완전한 잠금 상태를 만들지 못했을 경우 바람 등 외부 요인에 의하여 문짝이 열려 창호의 문틀이나 문짝이 파손이 발생하고, 또한, 2차적으로 유리의 파손이 발생하게 되어 고층 아파트에서 유리의 파손분이 지상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로 인하여 불특정 제3자가 위험에 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대피공간 전용 창호는 대피용이 아니라 환기 등의 타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자중에 의해 창문에 변형이 발생하여 창문과 문틀이 정합되지 못하여 대피시 창문 개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근자에는 창틀에 고정되는 제1창호와, 상기 제1창호의 내측에 독립적으로 설치된 제2창호에 의하여, 평상시에는 제2창호를 개폐하여 대피공간 내부를 환기를 목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평상시 창문의 파손 및 하자를 방지하고, 이로 인해 제1창호는 비상시에 대피 활동을 위한 대피창으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대피공간 전용 이중 창호(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1444911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이중 창호의 구조를 도 1 및 도 2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벽체로 둘러싸이는 아파트의 대피공간에 설치되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벽체에 고정설치되는 창틀(10); 일측이 상기 창틀의 세로 방향 틀과 힌지 결합하여 타측이 대피공간이 바깥쪽으로만 개방되는 여닫이 방식의 제1창호(20); 상기 제1창호(20) 개방시에 일체로 동작하도록 상기 제1창호(20) 내측에 장착되되, 상기 제1창호(20) 내측에 힌지 결합하여 상기 제1창호(20) 폐쇄시에 독립적으로 개폐가능한 제2창호(30); 상기 제1창호(20)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회동시 상기 제1창호(20)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제1핸들(22); 및, 상기 제2창호(30)에 결합되어 상기 제2창호(30)를 개폐하는 제2핸들(32);을 포함하며, 상기 제1창호(20)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을 구획하는 구획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창호(30)는 상기 제1창호(20)의 상기 상부영역 또는 상기 하부영역에 설치되며, 상기 제2창호(30)의 상측 또는 하측이 상기 제1창호(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사용자는 평상시에 대피공간 내부의 환기를 위하여, 제2핸들(32)을 제2창호(3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고, 대피공간의 내부 방향으로 제2핸들(32)을 대피공간의 외부 방향으로 밀면 제2창호틀(31)이 회동하여 제2창호(30)의 하부가 개방된다.
평상시 환기를 위하여 대피용 창인 제1창호(20)을 개방하지 않아도 되므로 바람에 의하여 제1창호(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평상시에는 제1핸들(22)에 설치된 고정부재(27)에 의하여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제1창호(20)의 개방이 방지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이중 창호는 상기 제1, 제2창호(20)(30)이 창틀(10)의 세로 방향 틀과 단순한 힌지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제2창호(20)(30)와 창틀(10) 사이에 틈이 발생함으로 인하여 파열음이 발생하고, 강풍에 의해 제1, 제2창호(20)(30)가 요동하여 소음이 발생함은 물론이고, 동절기에는 한기가 스며들어 실내의 온도가 크게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1444911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이중 창호의 폐쇄시 창호틀과 각 창호의 밀폐성을 크게 향상시킴으로서 창호틀과 각 창호 사이로 발생하는 파열음을 방지하고, 강풍이 불더라도 창호틀에 각 창호가 부닺혀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이 틈으로 한기가 스며드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대피공간에 적용되는 이중 창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벽체에 고정설치되는 창틀; 일측이 상기 창틀의 내측에 설치되어 힌지수단에 의해 대피공간이 바깥쪽으로만 개방되는 여닫이 방식의 제1창호; 상기 제1창호 개방시에 일체로 동작하도록 상기 제1창호 내측에 장착되되, 상기 제1창호 내측에 힌지수단이 결합하여 상기 제1창호 폐쇄시에 독립적으로 개폐가능한 제2창호; 상기 제1창호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회동시 상기 제1창호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제1핸들; 및, 상기 제2창호에 결합되어 상기 제2창호를 개폐하는 제2핸들;을 포함하여 된 대피공간에 적용되는 이중 창호에 있어서, 제1창호와 결합되는 제1창틀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내측에 상호 연결되어지도록 각각 형성되는 제1설치홈과; 상기 제1창틀의 상부에 설치되면서 제2창호와 결합되는 제2창틀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내측에 상호 연결되어지도록 각각 형성되는 제2설치홈과; 제1창호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외측에 상호 연결되어지도록 각각 형성되는 제2설치홈과; 제2창호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외측에 상호 연결되어지도록 각각 형성되는 제2설치홈과; 제1창틀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제1설치홈에 금속재질의 제1창틀고정편이 나사로서 고정설치되어지되, 상기 제1창틀고정편에는 일측에 힌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공과 거리를 두고 상부로 볼록한 볼록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볼록부에 안내장공이 길게 형성되며, 제1창호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제2설치홈에 금속재질의 제1창호고정편이 나사로서 고정설치되어지되, 상기 제1창호고정편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두 개의 힌지공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1창틀고정편의 힌지공에 제1작동로드의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작동로드의 다른 단부에는 힌지에 의해 회동되는 보조로드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보조로드의 다른 단부는 제1창호고정편의 힌지공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창틀고정편의 볼록부 내측에 작동편이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되어지며, 상기 볼록부의 안내장공 상측에 상기 작동편과 결합하여 안내장공을 따라 함께 슬라이드되는 고정편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편의 일측에 제2작동로드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작동로드의 중간부에 제1작동로드의 중간부분과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2작동로드의 다른 단부는 제1창호고정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창호를 닫았을 때 제1창틀에 고정된 제1창틀고정편에 제1창호고정편이 완전히 절첩되게 한 제1힌지수단과; 제2창틀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제1설치홈에 금속재질의 제2창틀고정편이 나사로서 고정설치되어지되, 상기 제2창틀고정편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두 개의 힌지공이 형성되고, 제2창호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제2설치홈에 금속재질의 제2창호고정편이 나사로서 고정설치되는 한편, 상기 창틀고정편의 일측 힌지공과 제2창호고정편의 일측 힌지공에 다소 길이가 짧은 제1작동로드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창틀고정편의 타측 힌지공과 제2창호고정편의 타측 힌지공에 제1작동로드보다 다소 긴 제2작동로드가 설치되어 제2창호를 닫았을 때 제2창틀에 고정된 제2창틀고정편에 제2창호고정편이 완전히 절첩되게 한 제2힌지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 상기 제1힌지수단의 제1창틀고정편과 제1작동로드 사이에 높이를 조정하고 금속끼리의 마찰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1창틀고정편과 제1작동로드의 힌지공들과 대응되는 힌지공을 구비한 수지재질의 조정편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볼록부의 안내장공 상측에 설치되는 고정편의 상부 일측에 제2작동로드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도하고, 상기 제2작동로드가 측방으로 밀리지 않게 유도홈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2힌지수단의 제2창틀고정편과 제2창호고정편의 일면으로 제2창틀 및 제2창호의 제1설치홈과 제2설치홈에 삽입되어 금속끼리의 마찰음을 방지할 수 있게 수지재질의 소음방지편을 각각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대피공간에 적용되는 이중 창호는 이의 폐쇄시 창호틀과 각 창호의 밀폐성을 크게 향상시킴으로서 창호틀과 각 창호 사이로 발생하는 파열음을 방지하고, 강풍이 불더라도 창호틀에 각 창호가 부닺혀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이 틈으로 한기가 스며드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중창호의 정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중창호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창호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창호의 제1힌지수단의 사시도,
도 5는 도4의 절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창호의 제2힌지수단의 사시도,
도 7은 도6의 절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창호의 제1힌지수단이 설치된 이중창호의 요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창호의 제2힌지수단이 설치된 이중창호의 요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창호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창호의 제1힌지수단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4의 절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창호의 제2힌지수단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6의 절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벽체에 고정설치되는 창틀(110); 일측이 상기 창틀(110)의 내측에 설치되어 힌지수단(200)에 의해 대피공간이 바깥쪽으로만 개방되는 여닫이 방식의 제1창호(400); 상기 제1창호(400) 개방시에 일체로 동작하도록 상기 제1창호(400) 내측에 장착되되, 상기 제1창호(400) 내측에 힌지수단(300)이 결합하여 상기 제1창호(400) 폐쇄시에 독립적으로 개폐가능한 제2창호(500); 상기 제1창호(400)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회동시 상기 제1창호(400)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제1핸들(430); 및, 상기 제2창호(500)에 결합되어 상기 제2창호(500)를 개폐하는 제2핸들(530);을 포함하여 된 대피공간에 적용되는 이중 창호(100)에 있어서,
상기 제1창호(400)와 결합되는 제1창틀(110)의 가로프레임(112)과 세로프레임(113)의 내측에 상호 연결되어지도록 제1설치홈(112)(114)이 형성된다.
상기 제1창틀(110)의 상부에 설치되면서 제2창호(500)와 결합되는 제2창틀(120)의 가로프레임(121)과 세로프레임(123)의 내측에 상호 연결되어지도록 각각 제2설치홈(122)(124)이 형성된다.
상기 제1창호(400)의 가로프레임(410)과 세로프레임(420)의 외측에 상호 연결되어지도록 각각 제2설치홈(411)(421)이 형성된다.
상기 제2창호(500)의 가로프레임(510)과 세로프레임(520)의 외측에 상호 연결되어지도록 각각 제2설치홈(511)(52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창틀(110)의 가로프레임(112)과 세로프레임(113)의 제1설치홈(112)(114)에 제1힌지수단(200)이 대향 설치되는데, 상기 금속재질의 제1창틀고정편(210)이 다수의 나사(미도시)로서 고정설치되어지되, 상기 제1창틀고정편(210)에는 일측에 힌지공(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공과 거리를 두고 상부로 볼록한 볼록부(218)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볼록부(218)에 안내장공(211)이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창호(400)의 가로프레임(410)과 세로프레임(420)의 제2설치홈(411)(421)에 금속재질의 제1창호고정편(220)이 나사로서 고정설치되어지되, 상기 제1창호고정편(220)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두 개의 힌지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제1창틀고정편(210)의 힌지공에 제1작동로드(216)의 일측 힌지(217)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제1창틀고정편(210)과 제1작동로드(216) 사이에 높이를 조정하고 금속끼리의 마찰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1창틀고정편(210)과 제1작동로드(216)의 힌지공들과 대응되는 힌지공(미도시)을 구비한 수지재질의 조정편(219)이 고정 설치되어진다. 또한, 상기 조정편(219)의 일측에는 스토퍼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홀에는 제1창틀고정편(210)의 일부를 펀칭한 후 상부로 절곡시킨 스토퍼(미도시)가 형성되어 제1작동로드(216)가 외부의 충격에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1작동로드(210)의 다른 단부에는 힌지(224)에 의해 회동되는 보조로드(221)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보조로드(221)의 다른 단부는 제1창호고정편(220)의 힌지공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창틀고정편(210)의 볼록부(218) 내측에 작동편(미도시)이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되어진다.
또한, 상기 볼록부(218)의 안내장공(211) 상측에 상기 작동편과 결합하여 안내장공(211)을 따라 함께 슬라이드되는 고정편(213)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편(213)의 일측에 제2작동로드(214)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편(213)의 상부 일측에 제2작동로드(214)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도하고, 상기 제2작동로드(214)가 측방으로 밀리지 않게 유도홈(213a)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유도홈(213a)의 일측에는 제2작동로드(214)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게 호형상의 스토퍼(213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작동로드(214)의 중간부에 제1작동로드(216)의 중간부분과 회동가능하게 힌지(미도시)로서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2작동로드(214)의 다른 단부는 제1창호고정편(2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창호(400)를 닫았을 때 제1창틀(110)에 고정된 제1창틀고정편(210)에 제1창호고정편(220)이 완전히 절첩되게 하는데, 이때 제1창틀(110)을 구성하고 있는 각 프레임(111)(113)의 외측면부에 제1창호(400)의 프레임(410)(420)의 내측면부가 강하게 밀착됨으로서 외부와 완벽하게 차단되는 것이다.
한편, 제2힌지수단(300)은 제2창틀(120)의 가로프레임(121)과 세로프레임(123)의 각 제1설치홈(122)(124)에 금속재질의 제2창틀고정편(310)이 나사로서 고정설치되어지되, 상기 제2창틀고정편(310)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두 개의 힌지공(미도시)이 형성되고, 제2창호(500)의 가로프레임(510)과 세로프레임(520)의 제2설치홈(511)(521)에 금속재질의 제2창호고정편(340)이 나사로서 고정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창틀고정편(310)과 제2창호고정편(340)의 일면으로 제2창틀(120) 및 제2창호(500)의 제1설치홈(122)(124)과 제2설치홈(511)(521)에 삽입되어 금속끼리의 마찰음을 방지할 수 있게 수지재질의 소음방지편(미도시)(350)을 각각 고정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미설명부호 351은 홈부, 352,353은 제2창호고정편(340)의 힌지공과 일치하는 힌지공, 354는 제2창호(500)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공이다.
상기 제2창틀고정편(310)의 일측 힌지공과 제2창호고정편(340)의 일측 힌지공에 다소 길이가 짧은 제1작동로드(33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창틀 고정편(310)의 타측 힌지공과 제2창호고정편(340)의 타측 힌지공에 제1작동로드(330)보다 다소 긴 제2작동로드(320)가 설치되어 제2창호(500)를 닫았을 때 제2창틀(120)에 고정된 제2창틀고정편(310)에 제2창호고정편(340)이 완전히 절첩되게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이중 창호(100)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창틀(110)의 제1창호(400)를 개방하게 되면, 도 4 및 8과 같이 제1창호(400)와 결합된 제1힌지수단(200)의 제1창호고정편(220)이 제1창틀고정편(210)과 직각되게 벌어지게 되는데, 이때 제1창틀고정편(210)의 제1작동로드(216)가 힌지(217)를 중심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이와 연결된 보조로드(221) 역시 힌지(224)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1창호고정편(220)과 연결된 제2작동로드(214)가 상기 볼록부(218)의 안내장공(211)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안내장공(211)에는 고정편(213)이 설치되어 있어서 이 고정편(213)의 유도홈(213a)에 제2작동로드(214)가 힌지(213)로서 결합되며, 상기 고정편(213)의 일측에는 스토퍼(213b)가 있어 제2작동로드(214)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1창틀(110)의 제1창호(400)를 닫게 되면, 제1창틀(110)에 고정된 제1창틀고정편(210)에 제1창호고정편(220)이 완전히 절첩되게 하는데, 이때 제1창틀(110)을 구성하고 있는 각 프레임(111)(113)의 외측면부에 제1창호(400)의 프레임(410)(420)의 내측면부가 강하게 밀착됨으로서 외부와 완벽하게 차단되는 것이다.
상기 제2창틀(120)의 제2창호(500)를 개방하게 되면, 도 5 및 9와 같이 제2힌지수단(300)의 제2창틀고정편(310)와 제2창호고정편(340)에 연결되어진 제1작동로드(330) 및 제2작동로드(320)가 벌어지면서 제2창호(500)가 개방된다.
상기 제2창틀(120)의 제2창호(500)를 닫게 되면, 제2창틀(120)에 고정된 제2창틀고정편(310)에 제2창호고정편(340)이 완전히 절첩되게 한 것이다.
100:이중 창호 110:제1창틀
112:가로프레임 113:세로프레임
120:제2창틀 121:가로프레임
123:세로프레임 200:제1힌지수단
210:제1창틀고정편 211:안내장공
214:제2작동로드 216:제1작동로드
220:제1창호고정편 300:제2힌지수단
310:제2창틀고정편 400:제1창호
500:제2창호

Claims (2)

  1. 벽체에 고정설치되는 창틀; 일측이 상기 창틀의 내측에 설치되어 힌지수단에 의해 대피공간이 바깥쪽으로만 개방되는 여닫이 방식의 제1창호; 상기 제1창호 개방시에 일체로 동작하도록 상기 제1창호 내측에 장착되되, 상기 제1창호 내측에 힌지수단이 결합하여 상기 제1창호 폐쇄시에 독립적으로 개폐가능한 제2창호; 상기 제1창호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회동시 상기 제1창호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제1핸들; 및, 상기 제2창호에 결합되어 상기 제2창호를 개폐하는 제2핸들;을 포함하여 된 대피공간에 적용되는 이중 창호에 있어서,
    상기 제1창호와 결합되는 제1창틀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내측에 상호 연결되어지도록 각각 형성되는 제1설치홈과;
    상기 제1창틀의 상부에 설치되면서 제2창호와 결합되는 제2창틀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내측에 상호 연결되어지도록 각각 형성되는 제2설치홈과;
    제1창호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외측에 상호 연결되어지도록 각각 형성되는 제2설치홈과; 제2창호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외측에 상호 연결되어지도록 각각 형성되는 제2설치홈과;
    제1창틀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제1설치홈에 금속재질의 제1창틀고정편이 나사로서 고정설치되어지되, 상기 제1창틀고정편에는 일측에 힌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공과 거리를 두고 상부로 볼록한 볼록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볼록부에 안내장공이 길게 형성되며, 제1창호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제2설치홈에 금속재질의 제1창호고정편이 나사로서 고정설치되어지되, 상기 제1창호고정편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두 개의 힌지공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1창틀고정편의 힌지공에 제1작동로드의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작동로드의 다른 단부에는 힌지에 의해 회동되는 보조로드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보조로드의 다른 단부는 제1창호고정편의 힌지공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창틀고정편의 볼록부 내측에 작동편이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되어지며, 상기 볼록부의 안내장공 상측에 상기 작동편과 결합하여 안내장공을 따라 함께 슬라이드되는 고정편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편의 일측에 제2작동로드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작동로드의 중간부에 제1작동로드의 중간부분과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2작동로드의 다른 단부는 제1창호고정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창호를 닫았을 때 제1창틀에 고정된 제1창틀고정편에 제1창호고정편이 완전히 절첩되게 한 제1힌지수단과;
    제2창틀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제1설치홈에 금속재질의 제2창틀고정편이 나사로서 고정설치되어지되, 상기 제2창틀고정편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두 개의 힌지공이 형성되고, 제2창호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제2설치홈에 금속재질의 제2창호고정편이 나사로서 고정설치되는 한편, 상기 창틀고정편의 일측 힌지공과 제2창호고정편의 일측 힌지공에 다소 길이가 짧은 제1작동로드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창틀고정편의 타측 힌지공과 제2창호고정편의 타측 힌지공에 제1작동로드보다 다소 긴 제2작동로드가 설치되어 제2창호를 닫았을 때 제2창틀에 고정된 제2창틀고정편에 제2창호고정편이 완전히 절첩되게 한 제2힌지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대피공간에 적용되는 이중 창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수단의 제1창틀고정편과 제1작동로드 사이에 높이를 조정하고 금속끼리의 마찰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1창틀고정편과 제1작동로드의 힌지공들과 대응되는 힌지공을 구비한 수지재질의 조정편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볼록부의 안내장공 상측에 설치되는 고정편의 상부 일측에 제2작동로드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도하고, 상기 제2작동로드가 측방으로 밀리지 않게 유도홈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2힌지수단의 제2창틀고정편과 제2창호고정편의 일면으로 제2창틀 및 제2창호의 제1설치홈과 제2설치홈에 삽입되어 금속끼리의 마찰음을 방지할 수 있게 수지재질의 소음방지편을 각각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 대피공간에 적용되는 이중 창호.
KR1020160076363A 2016-06-20 2016-06-20 대피공간에 적용되는 이중 창호 KR201701426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363A KR20170142607A (ko) 2016-06-20 2016-06-20 대피공간에 적용되는 이중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363A KR20170142607A (ko) 2016-06-20 2016-06-20 대피공간에 적용되는 이중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607A true KR20170142607A (ko) 2017-12-28

Family

ID=60940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6363A KR20170142607A (ko) 2016-06-20 2016-06-20 대피공간에 적용되는 이중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426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8504A1 (ko)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퇴화 진단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8504A1 (ko)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퇴화 진단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7549B2 (en) Hinge
KR101630135B1 (ko) 외관이 미려하고 설치가 용이한 손 끼임 방지용 안전도어
US20210115715A1 (en) Assembly of Door and Door Frame With Reduced Risk of Squeeze Caused Injuries
KR200396859Y1 (ko) 여닫이, 미닫이 방식을 병용한 안전 방범창
US20140047771A1 (en) Double-action door
KR20170142607A (ko) 대피공간에 적용되는 이중 창호
KR101820227B1 (ko) 방화문용 매립형 힌지장치
GB2577351A (en) A security door hinge assembly
KR101444911B1 (ko) 대피공간 전용 창호
KR102049651B1 (ko) 방충망의 힌지 결합구조
KR200413716Y1 (ko) 현관 방화문과 그 문틀의 구조
JP2015232218A (ja) サッシ
JP6480232B2 (ja) 網戸付きサッシ
JP2021113463A (ja) 建具
FR3036374B1 (fr) Porte d'aeronef comprenant un linteau compressible
KR200360335Y1 (ko) 창문
JP2008014002A (ja) スイング式ドア
JP6659328B2 (ja) 建具
JP5580039B2 (ja) 引き戸用換気装置
KR102170543B1 (ko)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
KR20100100356A (ko) 슬라이딩 도어 구조
KR101362072B1 (ko) 창호
US20060283086A1 (en) Air release
JP2007002647A (ja) 外開き雨戸の開閉施錠機構
KR200416780Y1 (ko) 현관 방화문용 문틀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