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0543B1 -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 - Google Patents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0543B1
KR102170543B1 KR1020180078958A KR20180078958A KR102170543B1 KR 102170543 B1 KR102170543 B1 KR 102170543B1 KR 1020180078958 A KR1020180078958 A KR 1020180078958A KR 20180078958 A KR20180078958 A KR 20180078958A KR 102170543 B1 KR102170543 B1 KR 102170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frame
arc surface
door body
curv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5343A (ko
Inventor
강윤구
Original Assignee
강윤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윤구 filed Critical 강윤구
Priority to KR1020180078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543B1/ko
Publication of KR20200005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05D15/5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for opening both inwards and outw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도어본체의 회동에 따른 개방 또는 폐쇄시에 도어프레임과 도어본체 사이에 손가락이 끼일 수 있는 여유공간이 발생 되지 않아 손가락 끼임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을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내용은 벽체의 일면에 형성되어 출입공간을 형성하고 일측 내면에는 제 1 원호면이 형성되는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 내에서 일측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되면서 도어프레임의 출입공간을 개폐하되, 상기 회동축에 인접되는 일측면에는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프레임의 제 1 원호면과 동심의 원호면을 형성하는 제 2 원호면이 형성되는 도어본체을 포함하는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Description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FINGER ANTI-PINCHING TYPE SWING DOOR}
개시된 내용은 벽체에 형성되어 출입공간을 형성하는 도어프레임에 대해 도어본체가 일단부 측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출입공간을 개폐하는 스윙도어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도어는 스틸이나 목재를 이용하여 공간과 또 다른 공간을 분할하여 독립적인 공간을 형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스틸도어는 현관과 같은 출입문과 방범의 목적을 가지는 외부공간에 배치하고, 목재도어는 실내공간을 분할하도록 공간과 또 다른 공간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목재도어는 실내공간의 벽체 사이에 문설주와 문지방이 결합된 문틀 사이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도어는 개폐방식에 따라 미닫이문으로 통칭되는 슬라이딩도어와, 여닫이문으로 통칭되는 힌지도어 또는 스윙도어와, 일명 접이문으로 통칭되는 폴딩되어 등으로 분류된다.
이중에서 힌지도어는 도어프레임과 도어프레임의 일측면 사이에 경첩이 개재되어 도어프레임이 경첩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개폐되는 구조를 가지는 반면에, 스윙도어는 도어프레임의 내측면에 형성된 회동축에 도어프레임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개폐되는 구조를 가진다.
힌지도어의 경우에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경첩이 부착되는 도어프레임의 내측면과 도어프레임의 일측면 사이 공간이 개방되므로, 이 사이 공간에 손가락이 위치된 상태에서 도어가 폐쇄되면 손가락이 경첩 사이 또는 도어프레임의 내측면과 도어프레임의 일측면 사이에서 짓눌려지면서 손가락 끼임 사고가 발생된다.
또한 도어 폐쇄상태에서도 경첩이 부착되는 도어프레임의 내측면과 도어프레임의 일측면 사이의 개방된 공간에 의해, 실내 냉방시 외부의 뜨거운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거나 난방시 실내의 뜨거운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어 열효율 측면에서 경제적이지 못한 단점과 외부의 미세먼지, 매연, 소음 등이 실내로 유입되어 환경적으로도 쾌적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스윙도어의 경우에는 도어프레임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틈새가 없어 손끼임이 미연에 방지되지만 도어프레임가 회동되어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과정에서 도어프레임과 도어프레임 사이에 손가락이 끼일 수 있다.
또한 도어프레임의 프레임에 장착되는 모헤야(또는 가스켓)가 벽체과 스윙도어 사이에 생긴 틈새의 기밀을 유지시킴에 따라 틈새를 통한 열손실이 차단됨과 동시에 틈새를 통해 외부의 소음과 미세먼지 등의 유입이 차단될 뿐, 도어프레임의 개방시에 발생 가능한 손가락 끼임 사고와 관련하여 그 어떠한 안전조치도 강구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4-0106946호(2014.08.18. 공개)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776156호(2017.09.08. 공고)
도어본체의 회동에 따른 개방 또는 폐쇄시에 도어프레임과 도어본체 사이에 손가락이 끼일 수 있는 여유공간이 발생되지 않아 손가락 끼임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은, 벽체의 일면에 형성되어 출입공간을 형성하고 일측 내면에는 제 1 원호면이 형성되는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 내에서 일측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도어프레임의 출입공간을 개폐하되, 상기 회동축에 인접되는 일측면에는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프레임의 제 1 원호면과 동심의 원호면을 형성하는 제 2 원호면이 형성되는 도어본체를 포함하는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도어본체의 회동 개폐시에 상기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본체 사이에 손가락이 끼일 수 없도록, 상기 도어본체와 상기 도어프레임은 서로 대응되는 폭을 가지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제 1 원호면과 상기 도어본체의 제 2 원호면은 상기 도어본체의 폐쇄 시에 0.1 내지 3.0 mm의 간격으로 이격된다.
개시된 내용에 따른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는, 도어본체의 회동 개폐시에 상기 도어본체와 도어프레임 사이에 손가락이 끼일 수 없도록, 상기 도어본체와 상기 도어프레임은 서로 대응되는 폭을 가지되, 상기 도어프레임의 제 1 원호면과 상기 도어본체의 제 2 원호면은 상기 도어본체의 폐쇄 시에 0.1 내지 3.0 mm의 간격으로 이격 되어 손가락 끼임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고 외부의 열이나 공기의 차단으로 열효율 측면이나 실내 환경적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의 사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의 단면 구조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의 부분 사시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의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6)의 일면에 형성되어 출입공간을 형성하고 일측 내면에는 제 1 원호면(110a)이 형성되는 도어프레임(110)과, 도어프레임(110) 내에서 일측의 회동축(7)을 중심으로 회동 되면서 도어프레임(110)의 출입공간을 개폐하되, 회동축(7)에 인접되는 일측면에는 상기 회동축(7)을 중심으로 도어프레임(110)의 제 1 원호면(110a)과 동심의 원호면을 형성하는 제 2 원호면(130a)이 형성되는 도어본체(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어프레임(110)은 벽체(6)의 일면 내측에 형성되어 출입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직사각형 또는 하부방향으로 개방된 채널 형상의 틀로 형성된다. 도어프레임(110)은 벽체(6)에 직접 결합 될 수도 있지만,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벽체(6)의 출입공간 둘레에 결합 되는 내부문틀(3) 내에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본체(130)에 대향 되는 도어프레임(110)의 일측에는 도어본체(130)의 제 2 원호면(130a)에 이격되게 형성되어 도어본체(130)의 제 2 원호면(130a)과 동심의 원호면을 형성하는 제 1 원호면(110a)이 형성된다.
전술한 도어프레임(110) 내에는 도어본체(130)가 일측의 회동축(7)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도어본체(130)는 회동축(7)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범위로 회동되면서 도어프레임(110)의 출입공간을 개폐하는 것으로, 도어프레임(110)의 출입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도어본체(130)의 회동축(7)은 도어본체(130)의 일측 상부과 하부에 각각 1개씩 결합된다. 도어프레임(110)이 직사각형의 틀로 형성될 경우에 회동축(7)은 도어프레임(110)의 내측면의 상부 일측과 하부 일측으로부터 각각 1개씩 상하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어프레임(110)이 하부방향으로 개방된 채널 형상의 틀로 형성될 경우에 회동축(7)은 도어프레임(110)의 내측면의 상부 일측으로 1개가 하부방향으로 돌출되고 나머지 1개는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방형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어본체(130)는 회동축(7)에 인접되는 일측면에 회동축(7)을 중심으로 도어프레임(110)의 제 1 원호면(110a)과 동심의 원호면을 형성하는 제 2 원호면(130a)이 형성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원호면(130a)은 제1만곡부(131)와 제2만곡부(133)를 포함한다.
제1만곡부(131)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도어(D)의 양측에서 상기 벽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내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1만곡부(131)는 양측면에서 내측으로 오목 지게 형성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만곡부(133)는 제1만곡부(131)의 양단에서 외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2만곡부(133)는 제1만곡부(131)의 양단에서 외측으로 볼록 지게 형성된다.
제2만곡부(133)의 형상은 제 1 원호면(110a)의 외면이 원주면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에 대응하여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프레임(110)의 상,하단에는 스윙힌지브래킷(120)이 결합된다. 스윙힌지브래킷(120)은 그 자체에 관통결합되는 회동축(7)을 중심으로 도어본체(130)가 개방 또는 폐쇄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도어본체(130)를 회동축(7)의 개재하에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부재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스윙힌지브래킷(120)에는 도어본체(130)의 일측 상,하단이 회동축(7)을 매개로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본체(130)의 회동축(7)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범위로 회동되면서 도어프레임(110)의 출입공간을 개폐하는 것으로, 도어프레임(110)에 의해 형성되는 출입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도어본체(130)의 회동축(7)은 스윙힌지브래킷(120)을 관통하여 도어본체(130)의 일측 상부과 하부에 각각 1개씩 결합된다.
또한, 도어프레임(110)이 직사각형의 틀로 형성될 경우에 회동축(7)은 도어프레임(110)의 내측면의 상부 일측과 하부 일측으로부터 각각 1개씩 상하방형으로 각각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어프레임(110)이 하부방향으로 개방된 채널 형상의 틀로 형성될 경우에 회동축(7)은 도어프레임(110)의 내측면의 상부 일측으로 1개가 하부방향으로 돌출되고 나머지 1개는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돌출될 수있다.
이러한 도어본체(130)의 회동축(7)의 구성은 스윙도어 분야에서 이미 공지되어 있는 바, 여기서는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더 이상의 상세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본체(130)는 스윙힌지체결홈(5)에 인접되는 일측면에 스윙힌지체결홈(5)을 중심으로 도어프레임(110)의 제 1 원호면(110a)과 동심의 원호면을 형성하는 제 2 원호면(130a)이 형성된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는 도어본체(130)의 회동 개폐시에 도어프레임(110)과 도어본체(130) 사이에 손가락이 끼일 수 없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어프레임(110)과 도어본체(130)는 서로 대응되는 폭을 가지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110)의 제 1 원호면(110a)과 도어본체(130)의 제 2 원호면(130a)은 도어본체(130)의 폐쇄 시에 0.1 내지 3.0 mm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프레임(110)의 제 1 원호면(110a)과 도어본체(130)의 제 2 원호면(130a)이 0.1 mm 보다 작은 간격으로 이격될 경우에는 도어본체(130)의 회동작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도어프레임(110)의 제 1 원호면(110a)과 도어본체(130)의 제 2 원호면(130a)이 3 mm 보다 큰 간격으로 이격될 경우에는 도어프레임(110)과 도어본체(130) 사이에 손가락이 끼일 수 있는 공간이 발생 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3 : 내부문틀
5 : 스윙힌지체결홈
6 : 벽체
7 : 회동축
D : 도어
110 : 도어프레임
110a : 제 1 원호면
120 : 스윙힌지브래킷
130 : 도어본체
130a : 제 2 원호면
131 : 제1만곡부
133 : 제2만곡부

Claims (4)

  1. 벽체의 일면에 형성되어 출입공간을 형성하고 일측 내면에는 제 1 원호면을 포함하며 하부방향으로 개방된 채널형태로 형성되는 도어프레임;
    상기 도어프레임의 일면에 형성되는 스윙힌지브래킷; 및
    상기 도어프레임 내에서 일측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도어프레임의 출입공간을 개폐하되, 상기 회동축에 인접되는 일측면에는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프레임의 제 1 원호면과 동심의 원호면을 형성하는 제 2 원호면을 포함하며 내부가 하부방향으로 개방된 채널형태로 형성되는 도어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원호면은 양단이 도어의 양측에서 상기 벽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내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제1만곡부와 상기 제1만곡부의 양단에서 외측으로만곡지게 형성되는 제2만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만곡부의 내측 중앙에 스윙힌지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본체의 회동축은 상기 스윙힌지브래킷과 상기 스윙힌지체결홈에 관통결합되어 상기 도어본체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도어본체의 회동 개폐시에 상기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본체 사이에 손가락이 끼일 수 없도록, 상기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본체는 서로 대응되는 폭을 가지되, 상기 도어프레임의 제 1 원호면과 상기 도어본체의 제 2 원호면은 상기 도어본체의 폐쇄 시에 0.1 내지 3.0 mm의 간격으로 이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078958A 2018-07-06 2018-07-06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 KR102170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958A KR102170543B1 (ko) 2018-07-06 2018-07-06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958A KR102170543B1 (ko) 2018-07-06 2018-07-06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343A KR20200005343A (ko) 2020-01-15
KR102170543B1 true KR102170543B1 (ko) 2020-10-27

Family

ID=69156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958A KR102170543B1 (ko) 2018-07-06 2018-07-06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5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3833A (ja) * 2009-01-19 2010-07-29 Komatsu Wall Ind Co Ltd ドアのエッジ装置
JP2010270570A (ja) * 2009-05-25 2010-12-02 Mitsuo Ichikawa 軸吊建具
KR101436801B1 (ko) * 2012-09-27 2014-09-02 노승현 끼임방지용 여닫이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7672B2 (ja) * 1996-11-26 2003-11-17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開き戸
KR102065398B1 (ko) 2013-02-27 2020-01-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발광소자 패키지 및 라이트 유닛
KR101776156B1 (ko) 2017-03-10 2017-09-08 주식회사 제오메이드 여닫이문용 끼임방지 안전경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3833A (ja) * 2009-01-19 2010-07-29 Komatsu Wall Ind Co Ltd ドアのエッジ装置
JP2010270570A (ja) * 2009-05-25 2010-12-02 Mitsuo Ichikawa 軸吊建具
KR101436801B1 (ko) * 2012-09-27 2014-09-02 노승현 끼임방지용 여닫이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343A (ko) 202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9808B1 (ko) 부품의 간소화로 조립과 생산성을 향상한 손 끼임 방지용 안전도어
KR101581312B1 (ko) 윗, 아랫열기 및 여닫이 기능을 갖는 복합시스템창호
KR20080053259A (ko) 폴딩, 틸트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창호
JP2001164819A (ja) 窓障子用ステ−
KR101861845B1 (ko) 외관이 미려하고 설치가 용이한 손 끼임 방지용 안전도어
KR102170543B1 (ko)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
KR200396859Y1 (ko) 여닫이, 미닫이 방식을 병용한 안전 방범창
KR102087221B1 (ko) 양문형 냉장고의 실링장치
KR102087220B1 (ko) 양문형 냉장고의 실링장치
KR102091352B1 (ko) 손 끼임 방지구조를 갖는 여닫이문
KR200467041Y1 (ko) 도어 조립체
JP2004003337A (ja) 折り畳み装置
KR20150137956A (ko) 스윙도어 및 스윙도어 측면 문틀의 구조
KR102494937B1 (ko) 수평 이동형 창호 조립체용 수평 이동 모듈
KR102287496B1 (ko)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EE200200503A (et) Lengi suhtes liikuva aknatiivaga akna või ukse sulusesõlm ning avatava aknatiiva ja paigalseisva lengiga aken või uks
JP2002369320A (ja) フレーム枠及び被覆エレメントを備えた配電盤キャビネット
JP2003154051A5 (ko)
KR102084708B1 (ko)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
KR102099324B1 (ko) 창문장치
JP5391179B2 (ja) 建具
KR20090039426A (ko) 건축용 창호
KR100596455B1 (ko) 건축용 창호 구조
JP6861230B2 (ja) 建具
JP2003343159A (ja) 折り畳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