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6017A - 잉크젯 프린터, 피인쇄체 보유부재, 및 인쇄방법 - Google Patents

잉크젯 프린터, 피인쇄체 보유부재, 및 인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6017A
KR20140056017A KR1020130127751A KR20130127751A KR20140056017A KR 20140056017 A KR20140056017 A KR 20140056017A KR 1020130127751 A KR1020130127751 A KR 1020130127751A KR 20130127751 A KR20130127751 A KR 20130127751A KR 20140056017 A KR20140056017 A KR 20140056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printed surface
holding
solid
op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7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9563B1 (ko
Inventor
아키히로 오노데라
마사시 히라노
토시히로 사누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미마키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미마키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미마키 엔지니어링
Publication of KR20140056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6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3Printing on three-dimensional objects not being in sheet or web form, e.g. spherical or cubic objects
    • B41J3/40731Holders for objects, e. g. holders specially adapted to the shape of the object to be printed or adapted to hold several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6Flat page-size platens or smaller flat platens having a greater size than line-size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28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downwardly on flat surfaces, e.g. of books, drawings, boxes, envelopes, e.g. flat-bed ink-jet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3Printing on three-dimensional objects not being in sheet or web form, e.g. spherical or cubic object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커버 등의 입체물에 대하여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미광을 적절하게 억제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잉크젯 프린터(10)로서, 잉크젯 헤드(12)와, 자외선 조사부(14)와, 피인쇄체 보유부재(18)를 구비하고, 피인쇄체 보유부재(18)는, 입체물(50)을 보유하는 입체물 보유부(152)와, 차광부(110)를 가지며, 입체물 보유부(152)는, 입체물(50)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제 1 피인쇄면, 및 제 2 피인쇄면의 각각을 잉크젯 헤드(12)와 대향하게 하고, 차광부(110)는, 적어도 일부 위치에서 토출방향에 있어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토출방향으로 진퇴함으로써, 토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자외선을 차광하는 차광영역을 변경시킨다.

Description

잉크젯 프린터, 피인쇄체 보유부재, 및 인쇄방법{Ink jet printer, object-to-be-printed holding member, and printing method}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터, 피인쇄체 보유부재, 및 인쇄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잉크젯 프린터에 의한 인쇄 대상은, 종이나 필름 등의 평면 형상의 매체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의 입체물로도 확대되고 있다. 또한, 이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의 피인쇄체(워크)를 보유하는 방법도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에 워크를 회전수단에 탑재함으로써 삼차원의 연속적인 인쇄를 행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을 참조). 그리고, 잉크방울의 착탄면을 복수개 가지는 회전체를 워크로 하는 경우에 대하여, 회전체를 회전시키면서 인쇄를 행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를 참조).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2011-20112호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공보 2010-158874호
최근에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의 보급에 따라, 휴대단말 커버의 수요가 커지고 있다. 그래서, 본원의 발명자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 커버와 같은 형상의 입체물에 대하여, 잉크젯 프린터로 인쇄를 행하는 경우의 워크의 보유 방법에 대하여 예의연구하였다.
휴대단말 커버 등에 인쇄를 행하는 경우, 단말의 이면을 덮는 면 이외에, 그 면과 교차하는 측면에도 인쇄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높은 디자인성이 요구되는 제품이므로, 고정밀도의 인쇄가 요구된다. 한편, 휴대단말의 본체 등과 비교하여 저렴한 제품이기 때문에, 보다 낮은 비용으로 인쇄를 행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에 대하여, 본원의 발명자는, 우선 휴대단말의 커버 등과 같은 형상의 워크에 대하여, 잉크젯 프린터에서 보다 적절하게 인쇄를 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예의연구하였다. 그리고, 예를 들어 휴대단말의 커버 등의 워크를 축부재에 설치하고, 축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워크의 방향을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워크의 각 면에 대하여 적절하게 인쇄를 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원의 발명자는 더욱이, 이러한 방법으로 워크에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 새롭게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해서도 예의연구하였다. 그리고, 자외선 경화형 잉크를 이용하여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쇄를 행한 경우, 잉크를 경화시키기 위하여 조사하는 자외선이 워크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누출되는 미광(迷光)의 문제가 발생하기 쉬운 경우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휴대단말 커버 등의 워크에 대하여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워크를 설치한 축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워크의 방향을 변경하는 경우, 단말의 이면을 덮는 면(주인쇄면)을 피인쇄면으로 하기 위해서는, 축부재의 회전위치를 소정의 위치에 맞추어, 주인쇄면을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한다. 또한, 측면을 피인쇄면으로 하는 경우, 축부재를 회전시켜서 측면을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주인쇄면을 피인쇄면으로 하는 경우와, 측면을 피인쇄면으로 하는 경우에, 잉크방울의 토출방향(예를 들어, 상하방향)에서의 피인쇄면의 위치가 상이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위치의 변화에 따라서 자외선이 누출되는 틈이 발생하여, 미광의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잉크젯 프린터에 있어서 인쇄를 행하는 경우, 프린터 근방에서 오퍼레이터(유저)가 프린터의 조작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자외선이 누출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누출된 자외선은, 예를 들어 프린터의 부품이나 주위의 수지부품 등을 열화시키는 경우도 있다. 그 때문에, 워크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누출되는 미광은 최대한 적게 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잉크젯 프린터, 피인쇄체 보유부재, 및 인쇄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가진다.
(구성 1) 입체물에 잉크젯 방식으로 인쇄를 행하는 잉크젯 프린터로서, 자외선 경화형 잉크의 잉크방울을 토출하는 잉크젯 헤드와, 자외선 경화형 잉크를 경화시키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와, 인쇄대상이 되는 입체물을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여서 보유하는 피인쇄체 보유부재를 구비하고, 인쇄대상이 되는 입체물은, 잉크젯 프린터에 의하여 인쇄가 되는 피인쇄면으로서, 제 1 피인쇄면과, 제 1 피인쇄면에 대한 측면인 제 2 피인쇄면을 적어도 가지며, 피인쇄체 보유부재는,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여서 입체물을 보유하는 입체물 보유부와, 피인쇄체 보유부재의 외부를 향하는 자외선을 저감하는 차광부를 가지고, 입체물 보유부는, 입체물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제 1 피인쇄면, 및 제 2 피인쇄면의 각각을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며, 제 1 피인쇄면을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는 경우, 입체물 보유부는 잉크젯 헤드가 잉크방울을 토출하는 방향인 토출방향에서의 제 1 피인쇄면의 위치가 제 1 대향위치가 되도록 입체물을 보유하고, 제 2 피인쇄면을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는 경우, 입체물 보유부는 토출방향에서 제 2 피인쇄면의 위치가 제 1 대향위치와는 상이한 제 2 대향위치가 되도록 입체물을 보유하며, 차광부는 입체물 보유부에 보유되어 있는 입체물로부터 토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간하여 설치됨으로써, 입체물의 주위의 적어도 어느 한 방향에 있어서, 피인쇄체 보유부재의 외부를 향하는 자외선을 차광하고, 또한 차광부는 적어도 일부의 위치에서 토출방향에 있어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입체물 보유부가 제 1 피인쇄면을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는 경우의 제 1 대향위치, 및 제 2 피인쇄면을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는 경우의 제 2 대향위치의 각각에 대응하여 진퇴함으로써, 토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자외선을 차광하는 차광영역을 변경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예를 들어 입체물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피인쇄면의 위치가 바뀐 경우, 그 위치에 맞추어 차광부에 의한 차광영역을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이와 같이 구성하면, 예를 들어 인쇄대상의 워크인 입체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누출되는 미광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입체물 보유부는, 소정의 축 둘레에 입체물을 회전시킴으로써, 제 1 피인쇄면, 및 제 2 피인쇄면의 각각을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한다. 인쇄대상이 되는 입체물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의 커버이다. 차광부는, 예를 들어 피인쇄체 보유부재의 케이스체 부분에서의 잉크젯 헤드에 가까운 측의 부분 또는 그 근방(예를 들어, 케이스체 부분의 상부)에 있어서 자외선을 차광한다. 피인쇄체 보유부재의 케이스체 부분이란, 예를 들어 피인쇄체 보유부재에 있어서 위치가 고정된 측면에 의하여 구성되는 부분이다.
또한, 차광부에 의한 차광영역을 변경한다는 것은, 예를 들어 진퇴동작에 의하여 차광부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 또는 차광부에 있어서 차광에 기여하는 영역의 면적을 변경하는 것이다. 차광부는, 진퇴동작에 의하여 위치의 변경 및 차광에 기여하는 영역의 면적 변경의 양쪽을 행하여도 좋다. 그리고, 차광부는, 진퇴동작에 의하여 차광에 기여하는 영역의 면적을 0으로 변경하여도 좋다. 이러한 경우, 차광부는, 예를 들어 제 1 피인쇄면을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는 경우, 또는 제 2 피인쇄면을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는 경우의 한쪽 경우에서만 자외선을 차광하고, 다른 쪽 경우에는 차광을 행하지 않아도 좋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토출방향으로의 진퇴동작과 더불어, 이 진퇴동작에 의하여 상측(잉크젯 헤드측)에 밀려나온 부분이 꺾여서 피인쇄체 보유부재의 상면(천장 부분)으로 이동하는 구성의 차광부를 이용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어 상기 다른 쪽 경우에 있어서, 차광부를 천장 부분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토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차광에는 전혀 관계하지 않는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쪽 경우에 있어서는, 차광부를 천장 부분으로부터 내림으로써, 차광부에 자외선을 차광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차광부의 구성으로는, 예를 들어 차량용 차고 등에 이용되고 있는 슬라이더형 도어의 구성 중, 차고의 천장 부분에 슬라이더를 이동시킴으로써 차고를 개방하는 구성과 같은 구성을 이용하는 것이 생각된다.
(구성 2) 입체물 보유부가 제 1 피인쇄면을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는 경우, 차광부는 토출방향에서의 제 1 차광위치에서 자외선을 차광하고, 입체물 보유부가 제 2 피인쇄면을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는 경우, 차광부는 토출방향에 있어서 제 1 차광위치와 상이한 제 2 차광위치에서 자외선을 차광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예를 들어 진퇴동작에 의하여 차광부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차광부에 의한 차광영역을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입체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누출되는 미광을 적절히 억제할 수 있다.
(구성 3) 입체물 보유부는, 토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부재와, 축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보유하는 축보유부와, 축부재에 대하여 입체물을 고정하는 고정부재이고, 축부재에 대하여 고정됨으로써 입체물을 축부재와 함께 회전시키는 입체물 고정부재를 가지며, 입체물 보유부는, 축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입체물의 방향을 변경하고, 제 1 피인쇄면, 및 제 2 피인쇄면의 각각을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예를 들어 인쇄대상이 되는 입체물의 각 피인쇄면을 잉크젯 헤드와 높은 정밀도로 적절히 대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고정밀도에서의 인쇄를 적절히 행할 수 있다. 한편, 입체물 고정부재는, 예를 들어 축부재를 관통시킨 상태로 축부재에 대하여 고정된다. 축보유부는, 예를 들어 피인쇄체 보유부재의 케이스체 부분을 구성하는 측면 또는 그 일부여도 좋다.
(구성 4) 피인쇄체 보유부재는, 축부재의 회전에 연동하여 차광부를 토출방향으로 진퇴시키는 연동부재를 더 가진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예를 들어 축부재의 회전에 따라서 변화하는 피인쇄면의 위치에 맞추어, 차광부를 적절히 진퇴시킬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입체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누출되는 미광을 보다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구성 5) 연동부재는, 중심에 축부재가 통과됨으로써 축부재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타원캠이고, 차광부에 접한 상태로 회전함으로써 축부재의 회전에 연동시켜, 차광부를 토출방향으로 진퇴시킨다. 이렇게 구성하면, 예를 들어 축부재의 회전에 따라서 변화하는 피인쇄면의 위치에 맞추어, 차광부를 적절하게 진퇴시킬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입체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누출되는 미광을 보다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구성 6) 입체물 보유부는, 축방향을 평행으로 하여 늘어서는 적어도 2개의 축부재와, 각각의 축부재에 대하여 입체물을 각각 고정하는 적어도 2개의 입체물 고정부재를 가지고, 피인쇄체 보유부재는, 적어도 2개의 축부재의 각각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4개의 타원캠을 가지며, 차광부는, 적어도 2개의 축부재의 일단측에서의 적어도 2개의 타원캠과, 적어도 2개의 축부재의 타단측에서의 적어도 2개의 타원캠과 접속하고 있고, 적어도 4개의 타원캠의 회전에 따라서 토출방향으로 진퇴한다.
이렇게 구성하면, 차광부를 적어도 4점에서 지지하면서 진퇴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보다 매끄럽게, 또한 보다 안정적으로 차광부를 진퇴시킬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입체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누출되는 미광을 보다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구성한 경우, 복수의 축부재 및 복수의 입체물 고정부재를 이용함으로써, 다수의 입체물에 대하여 동시에 적절하게 인쇄를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이렇게 구성하면, 인쇄의 비용을 적절하게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복수의 축부재 등을 이용하는 구성을 유효하게 이용함으로써, 차광부의 진퇴 동작을 보다 적절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그 때문에, 이렇게 구성하면, 예를 들어 낮은 비용의 인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특유의 구성을 이용하여, 보다 적절하게 미광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차광부는, 예를 들어 적어도 2개의 축부재의 일단측에 있어서 타원캠과 접하는 제 1 부분과, 적어도 2개의 축부재의 타단측에 있어서 타원캠과 접하는 제 2 부분과,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연결하는 제 3 부분을 가진다. 이러한 경우, 차광부의 제 1 부분, 제 2 부분, 및 제 3 부분은, 예를 들어 서로의 상대위치를 고정하고 있는 상태로, 토출방향으로 동시에 진퇴한다. 제 1 부분, 제 2 부분, 및 제 3 부분 등은, 전체가 연결된 하나의 부재의 각 부분이어도 좋다. 또한, 적어도 4개의 타원캠은, 적어도 2개의 축부재의 각각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있어서 차광부와 접함으로써, 차광부의 제 1 부분, 제 2 부분, 및 제 3 부분을 토출방향으로 진퇴시킨다. 그리고, 차광부는, 제 1 부분, 제 2 부분, 및 제 3 부분의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 있어서, 자외선을 차광한다. 또한, 차광부는, 제 3 부분과 다른 위치에서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연결하는 제 4 부분을 더 가지고 있어도 좋다.
(구성 7) 피인쇄체 보유부재는, 잉크젯 헤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차광부를 부세(付勢)하는 부세부재를 더 가진다. 이렇게 구성하면, 예를 들어 연동부재인 타원캠에 의하여 차광부를 보다 적절하게 진퇴시킬 수 있다.
(구성 8) 축부재의 회전각도를 보정하기 위한 정보를 기억하는 보정정보 기억부를 더 구비한다. 보정정보 기억부는, 예를 들어 ROM이다. 이렇게 구성하면, 예를 들어 축부재의 회전을 높은 정밀도로 보다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구성 9) 자외선 경화형 잉크를 이용하여 입체물에 잉크젯 방식으로 인쇄를 행하는 잉크젯 프린터에 이용되는 부재이고, 인쇄대상이 되는 입체물을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여서 보유하는 피인쇄체 보유부재로서,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여 입체물을 보유하는 입체물 보유부와, 피인쇄체 보유부재의 외부를 향하는 자외선을 저감하는 차광부를 구비하고, 인쇄대상이 되는 입체물은, 잉크젯 프린터에 의하여 인쇄가 되는 피인쇄면으로서, 제 1 피인쇄면과, 제 1 피인쇄면에 대한 측면인 제 2 피인쇄면을 적어도 가지고, 입체물 보유부는, 입체물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제 1 피인쇄면, 및 제 2 피인쇄면의 각각을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며, 제 1 피인쇄면을 잉크젯 헤드와 대향시키는 경우, 입체물 보유부는, 잉크젯 헤드가 잉크방울을 토출하는 방향인 토출방향에서의 제 1 피인쇄면의 위치가 제 1 대향위치가 되도록 입체물을 보유하고, 제 2 피인쇄면을 잉크젯 헤드와 대향시키는 경우, 입체물 보유부는 토출방향에서의 제 2 피인쇄면의 위치가 제 1 대향위치와는 다른 제 2 대향위치가 되도록 입체물을 보유하며, 차광부는, 입체물 보유부에 보유되어 있는 입체물로부터 토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간하여 설치됨으로써, 입체물의 주위의 적어도 어느 한 방향에 있어서 피인쇄체 보유부재의 외부를 향하는 자외선을 차광하며, 또한 차광부는, 적어도 일부 위치에서 토출방향에 있어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입체물 보유부가 제 1 피인쇄면을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는 경우에서의 제 1 대향위치, 및 제 2 피인쇄면을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는 경우에서의 제 2 대향위치의 각각에 대응하여 진퇴함으로써, 토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자외선을 차광하는 차광영역을 변경시킨다. 이렇게 구성하면, 예를 들어 구성 1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성 10) 입체물에 잉크젯 방식으로 인쇄를 행하는 인쇄방법으로서, 자외선 경화형 잉크의 잉크방울을 토출하는 잉크젯 헤드와, 자외선 경화형 잉크를 경화시키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와, 인쇄대상이 되는 입체물을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여서 보유하는 피인쇄체 보유부재를 이용하고, 인쇄대상이 되는 입체물은, 잉크젯 프린터에 의하여 인쇄가 되는 피인쇄면으로서, 제 1 피인쇄면과, 제 1 피인쇄면에 대한 측면인 제 2 피인쇄면을 적어도 가지며, 피인쇄체 보유부재는,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여 입체물을 보유하는 입체물 보유부와, 피인쇄체 보유부재의 외부를 향하는 자외선을 저감하는 차광부를 가지고, 입체물 보유부는, 입체물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제 1 피인쇄면, 및 제 2 피인쇄면의 각각을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고, 제 1 피인쇄면을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는 경우, 입체물 보유부는 잉크젯 헤드가 잉크방울을 토출하는 방향인 토출방향에서의 제 1 피인쇄면의 위치가 제 1 대향위치가 되도록 입체물을 보유하며, 제 2 피인쇄면을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는 경우, 입체물 보유부는 토출방향에서의 제 2 피인쇄면의 위치가 제 1 대향위치와는 다른 제 2 대향위치가 되도록 입체물을 보유하고, 차광부는, 입체물 보유부에 보유되어 있는 입체물로부터 토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간하여 설치됨으로써, 입체물의 주위의 적어도 어느 한 방향에 있어서, 피인쇄체 보유부재의 외부를 향하는 자외선을 차광하며, 또한 차광부는, 적어도 일부 위치에서 토출방향에 있어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입체물 보유부가 제 1 피인쇄면을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는 경우에서의 제 1 대향위치, 및 제 2 피인쇄면을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는 경우에서의 제 2 대향위치의 각각에 대응하여 진퇴함으로서, 토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자외선을 차광하는 차광영역을 변경한다. 이렇게 구성하면, 예를 들어 구성 1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어 휴대단말의 커버 등의 입체물에 대하여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미광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1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a)는 잉크젯 프린터(10)의 기능 및 구성의 개요를 나타낸다. 도 1의 (b)는 잉크젯 프린터(10)의 전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는 피인쇄체 보유부재(10)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는 피인쇄체 보유부재(18)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의 (b), (c)는 피인쇄체 보유부재(18)에서의 차광부(110)의 진퇴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축부재(102) 및 타원캠(112)의 회전에 따라서 차광부(110)가 상하방향으로 진퇴하는 모습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의 (a)는 입체물(50)의 주인쇄면(302)으로 인쇄를 행하는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의 (b)는 입체물(50)의 측면(304)으로 인쇄를 행하는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1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의 (a)는 잉크젯 프린터(10)의 기능 및 구성의 개요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잉크젯 프린터(10)는, 입체물에 잉크젯 방식으로 인쇄를 행하는 인쇄장치이고,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 커버에 대하여 인쇄를 행한다. 휴대단말 커버는, 제 1 피인쇄면과, 제 1 피인쇄면에 대한 측면인 제 2 피인쇄면을 적어도 가지는 입체물의 일례이다. 인쇄대상의 입체물은 휴대단말의 커버 이외의 커버형상 부재여도 좋다.
또한, 잉크젯 프린터(10)는 잉크젯 헤드(12), 자외선 조사부(14), 가이드 레일(16), 피인쇄체 보유부재(18), 보유부 구동부(20), 및 제어부(22)를 구비한다. 잉크젯 헤드(12)는, 인쇄대상인 입체물로 잉크방울을 토출하는 인쇄 헤드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잉크젯 헤드(12)는 자외선 경화형 잉크의 잉크방울을 토출한다. 또한, 잉크제 헤드(12)는, 예를 들어 CMYK의 각 색의 잉크방울을 토출함으로써 컬러 인쇄를 행한다. 잉크젯 헤드(12)는 백색 잉크, 클리어 잉크 등을 더 토출하여도 좋다. 자외선 조사부(14)는 자외선 경화형 잉크를 경화시키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원이다.
가이드 레일(16)은, 소정의 메인 주사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 형상의 부재이고, 인쇄시에 있어서 잉크젯 헤드(12)에 메인 주사의 동작(스캔 동작)을 행하게 한다. 스캔 동작에 있어서 잉크젯 헤드(12)는 가이드 레일(16)을 따라서 메인 주사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잉크방울을 토출한다.
피인쇄체 보유부재(18)는, 인쇄대상 입체물인 피인쇄체를 잉크젯 헤드(12)와 대향하게 하여 보유하는 보유부재이고, 입체물에서의 피인쇄면을 잉크젯 헤드(12)와 대향하게 하여서 입체물을 보유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피인쇄체 보유부재(18)는 잉크젯 프린터(10)의 본체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서 설치되는 어태치먼트 부재이다. 피인쇄체 보유부재(18)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나중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보유부 구동부(20)는 피인쇄체 보유부재(18)를 이동시키는 구동기구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보유부 구동부(20)는, 예를 들어 잉크방울의 토출방향에 있어서 피인쇄체 보유부재(18)를 이동시킨다. 잉크방울의 토출방향이란, 잉크젯 헤드(12)가 잉크방울을 토출하는 방향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 토출방향은, 중력방향을 향하는 방향이다. 이에 따라, 보유부 구동부(20)는 입체물에서의 피인쇄면과, 잉크젯 헤드(12) 사이의 갭 거리(헤드갭)를 조정한다. 보유부 구동부(20)는, 예를 들어 상하 5cm 정도의 범위에서 피인쇄체 보유부재(18)를 움직인다.
한편, 갭 거리의 조정에 있어서, 보유부 구동부(20)는, 잉크젯 헤드(12)와 피인쇄면의 거리를, 예를 들어 1.0~1.5m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입체물에 대한 인쇄를 높은 정밀도로 보다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갭 거리의 조정은, 예를 들어 잉크젯 헤드(12) 측을 이동시킴으로써 행하여도 좋다. 이러한 경우, 보유부 구동부(20)는, 예를 들어 가이드 레일(16)을 이동시킴으로써 잉크젯 헤드(1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피인쇄체 보유부재(18)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보유부 구동부(20)는 메인 주사방향 및 서브 주사방향으로도 피인쇄체 보유부재(18)를 이동시킬 수 있다. 서브 주사방향이란, 잉크방울의 토출방향, 및 메인 주사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이에 따라, 보유부 구동부(20)는, 예를 들어 잉크젯 헤드(12)에 대한 입체물의 위치 맞춤을 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보유부 구동부(20)는, 더욱이 잉크젯 헤드(12)의 스캔 동작 동안에 서브 주사방향으로 보유부 구동부(20)를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보유부 구동부(20)는 잉크젯 헤드(1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인쇄대상의 입체물을 서브 주사방향으로 순차 이송한다.
제어부(22)는, 예를 들어 잉크젯 프린터(10)의 CPU이고, 예를 들어 외부의 호스트 PC로부터 수취하는 지시, 및 펌웨어 등의 프로그램 등에 근거하여, 잉크젯 프린터(10)의 각 부분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2)는, 피인쇄체 보유부재(18)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피인쇄체 보유부재(18)에 보유되어 있는 입체물의 방향을 제어한다. 또한, 예를 들어 보유부 구동부(2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서, 인쇄대상의 입체물의 위치 맞춤을 행한다. 더욱이, 예를 들어 잉크젯 헤드(12) 및 피인쇄체 보유부재(18)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입체물의 피인쇄면에 대하여 잉크젯 헤드(12)에 인쇄를 행하게 한다.
도 1의 (b)는 잉크젯 프린터(10) 전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보유부 구동부(20) 및 피인쇄체 보유부재(18)를 잉크젯 프린터(10)의 본체의 바깥측으로 보낸 상태의 잉크젯 프린터(1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한편, 도 2의 (b)는 잉크젯 프린터(10)의 본체에 대하여 피인쇄체 보유부재(18) 등을 설치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b)에 있어서, 피인쇄체 보유부재(18)의 세부에 대해서는, 도시의 편의상 일부 생략 또는 변경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잉크젯 프린터(10)의 본체로서는, 예를 들어 미마키엔지니어링사 제품의 UJF-3042HG형의 인쇄장치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인쇄장치는 30cm×42cm의 영역에 놓여진 입체물에 대하여 인쇄가 가능한 잉크젯 프린터이다. 또한, 이러한 경우, 예를 들어 잉크젯 헤드(12), 자외선 조사부(14), 가이드 레일(16), 보유부 구동부(20), 및 제어부(22)의 기능은, 인쇄장치의 본체 기능에 의하여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보유부 구동부(20)에 대응하는 부재에 설치된 위치 맞춤용 구멍부 등을 이용하여, 높은 정밀도로 피인쇄체 보유부재(18)를 설치할 수 있다. 더욱이, 예를 들어 600dpi 이상(예를 들어 720×600dpi, 1,440×1,200dpi 등)의 높은 해상도로 적절하게 인쇄를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입체물에 대한 인쇄를 높은 정밀도로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이어서, 피인쇄체 보유부재(18)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피인쇄체 보유부재(18)의 상세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는 피인쇄체 보유부재(18)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는 피인쇄체 보유부재(18)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의 (b), (c)는 피인쇄체 보유부재(18)에서의 차광부(110)의 진퇴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피인쇄체 보유부재(18)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의 커버인 입체물(50)을 복수개 보유하는 부재이고, 입체물 보유부(152), 회전구동부(108), 차광부(110), 복수의 타원캠(112), 및 복수의 가이드 샤프트(114)를 가진다.
우선, 입체물 보유부(152)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체물 보유부(152)는 잉크젯 헤드(12)(도 1을 참조)와 대향하게 하여서 입체물(50)을 보유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입체물 보유부(152)는 복수의 축부재(102), 케이스체부(104), 및 복수의 워크 세트 부재(106)를 가진다. 복수의 축부재(102)는 입체물(50)의 피인쇄면을 잉크젯 헤드(12)와 대향하게 하기 위하여 입체물(50)을 회전시키는 구동 샤프트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축부재(102)는 잉크방울의 출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방향으로, 축방향을 평행으로 하여, 케이스체부(104)에 보유된다. 축부재(102)가 연장하는 방향은, 예를 들어 메인 주사방향이어도 좋다. 또한, 축부재(102)가 연장하는 방향은, 서브 주사방향이어도 좋다.
케이스체부(104)는 피인쇄체 보유부재(18)의 케이스체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체부(104)는 인쇄시에 잉크젯 헤드(12)와 대향하는 측이 개방된 상자형상체이고, 대향하는 2개의 측면에 의하여 각각의 축부재(102)의 일단 및 타단을 지지함으로써, 각각의 축부재(102)를 회전 가능하게 보유한다. 또한, 이에 따라 케이스체부(104)는 축보유부로서 기능한다.
한편, 케이스체부(104)는 잉크방울의 토출방향에서의 위치(높이)를 갖춘 상태로 복수의 축부재(102)를 보유한다. 또한, 케이스체부(104)에 있어서, 축부재(102)의 일단 및 타단을 지지하는 베어링 부분은, 예를 들어 볼베어링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축부재(102)의 보유를 보다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복수의 워크 세트 부재(106)의 각각은, 인쇄 가능한 소정의 위치에 인쇄대상 입체물(50)을 설치하기 위한 입체물 고정부재의 일례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워크 세트 부재(106)는, 어느 한 축부재(102)를 관통하는 상태로 축부재(102)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고, 축부재(102)에 대하여 입체물(50)을 고정한다. 또한, 이에 따라, 워크 세트 부재(106)는 축부재(102)의 회전에 따라서 입체물(50)을 축부재(102)와 함께 회전시킨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단말 등의 뒷면을 덮는 커버인 입체물(50)은, 주인쇄면 및 한 쌍의 측면을 가진다. 주인쇄면은, 제 1 피인쇄면의 일례이다. 한 쌍의 측면은, 주인쇄면과 교차하는 면이다. 또한, 한 쌍의 측면의 한쪽은, 제 2 피인쇄면의 일례이다. 또한, 입체물(50)에서의 주인쇄면의 뒷면측은, 휴대단말 등을 덮는 구조상,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워크 세트 부재(106)는, 입체물(50)의 내면측의 적어도 일부를 누름으로써 입체물(50)을 보유한다. 입체물의 내면측이란, 예를 들어 입체물에서의 피인쇄면의 뒷면측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워크 세트 부재(106)는, 예를 들어 입체물(50)이 덮는 대상이 되는 휴대단말에 상당하는 형상의 부분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커버형상의 입체물(50)은, 이 부분에 설치된다. 또한, 이에 따라, 워크 세트 부재(106)는 입체물(50)을 보유한다.
또한, 각각의 워크 세트 부재(106)는, 2개의 입체물(50)에서의 주인쇄면의 뒷면이 축부재를 사이에 끼우고 대향하도록 2개의 입체물(50)을 보유한다. 더욱이, 각각의 축부재(102)에는 2개의 워크 세트 부재(106)가 설치된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피인쇄체 보유부재(18)에 의하여 다수의 입체물(50)을 동시에 적절하게 보유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입체물 보유부(152)는, 복수의 입체물(50)을 보유한다. 또한, 복수의 축부재(102)를 회전시킴으로써, 입체물(50)에 있어서 잉크젯 헤드(12)와 대향하는 피인쇄면을 변경한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입체물(50)의 각 면에 대하여, 적절하게 인쇄를 행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한 구성에 있어서, 입체물 보유부(152)는, 3개의 축부재(102)를 가진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입체물 보유부(152)는 최대로 합계 12개의 입체물(50)을 보유한다.
다음으로, 회전구동부(108)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회전구동부(108)는 복수의 축부재(102)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이고, 예를 들어 제어부(22)(도 1을 참조)로부터 수취하는 지시에 따라서, 복수의 축부재(102)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구동부(108)는 회전각도를 갖추고, 복수의 축부재(102)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회전구동부(108)는 입체물 보유부(152)에 보유되어 있는 복수의 입체물(50)에 대하여, 같은 피인쇄면을 동시에 잉크젯 헤드(12)에 대향하게 한다.
또한,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구동부(108)는, 예를 들어 복수의 풀리, 스테핑 모터, 타이밍 벨트, 및 각도검출기 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풀리의 각각은, 복수의 축부재(102)의 각각의 일단과 접속되며, 자신의 회전에 따라서 각각의 축부재(102)를 회전시킨다. 스테핑 모터는, 예를 들어 제어부(22)로부터 수취하는 지시에 따라서 회전한다. 타이밍 벨트는 복수의 풀리의 각각과, 스테핑 모터를 연결함으로써, 스테핑 모터의 회전량에 따라서 각각의 풀리 및 축부재(102)를 회전시킨다. 또한, 각도검출기는 풀리의 회전각도를 검출한다.
이렇게 구성한 경우, 예를 들어 스테핑 모터 및 타이밍 벨트 등을 이용함으로써, 축부재(102)의 회전각도의 제어를 높은 정밀도로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특히 입체물(50)의 각각의 피인쇄면을 잉크젯 헤드(12)와 대향하게 한 각도에 있어서, 축부재(102)의 회전을 높은 정밀도로 적절하게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그 때문에, 이렇게 구성하면, 예를 들어 입체물(50)의 각 피인쇄면에 대하여 높은 정밀도로 적절하게 인쇄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에 따라, 복수의 축부재(102)를 보다 적절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구동부(108)는 더욱이 축부재(102)의 회전각도를 보정하기 위한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인 ROM(116)을 가지고 있다. ROM(116)은, 예를 들어 회전구동부(108)에 설치한 각도검출기의 판독 결과와, 실제 기기에서의 워크 세트 부재(106)의 설치 위치와의 어긋남량을 기억한다. ROM(116)으로는, 예를 들어 바꿔 쓰기 가능한 비휘발 메모리 등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ROM(116)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는, 예를 들어 잉크젯 프린터(10)의 제어부(22)가 판독한다. 제어부(22)는, 예를 들어 ROM(116)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에 따른 보정을 행하여, 축부재(102)의 회전각도를 제어한다. 이렇게 구성하면, 예를 들어 축부재(102)의 회전을 높은 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입체물에 대하여 높은 정밀도로 인쇄를 행하고자 하는 경우, 피인쇄면과 잉크젯 헤드(12) 사이의 갭 거리를, 예를 들어 1.0~1.5mm 정도로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각 부재의 설치 정밀도나 축부재(102)의 회전 정밀도도 이 갭 거리에 따른 정밀도로 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 따르면, ROM(116)을 이용하여 회전각도를 보정함으로써, 좁은 갭 거리에 따른 정밀도로 축부재(10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높은 정밀도로 적절하게 인쇄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축부재(102) 및 워크 세트 부재(106)의 회전량 오차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워크 세트 부재(106)의 초기위치를 높은 정밀도로 설정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리고, 그 확인을 위해서는, 예를 들어 회전각도의 초기설정시 등에 입체물 보유부(152)에서의 모든 워크 세트 부재(106)에 대하여, 평면의 판형상 부재를 겹치게 하는 방법이 유효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입체물(50)의 주인쇄면(302)에 대응하는 워크 세트 부재(106)의 면을 위로 향한 상태로 모든 워크 세트 부재(106)에 판형상 부재를 겹치게 한다. 이렇게 하면, 예를 들어 다른 워크 세트 부재(106)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는 워크 세트 부재(106)를 적절하게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모든 워크 세트 부재(106)의 초기위치를 높은 정밀도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ROM(116)은, 예를 들어 축부재(102)의 회전각도를 보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이 초기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복수의 축부재(102)를 회전시킴으로써, 입체물(50)의 주인쇄면, 및 각각의 측면을 잉크젯 헤드(12)와 적절하게 대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입체물(50)의 주인쇄면 및 측면의 모든 면에 대하여 적절하게 인쇄를 행할 수 있다.
이어서, 차광부(110), 복수의 타원캠(112), 및 복수의 가이드 샤프트(114)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차광부(110)는 자외선 조사부(14)(도 1을 참조)가 조사하는 자외선에 의하여 발생하는 미광을 억제하기 위한 차광판이다. 차광부(110)는 입체물 보유부(152)에 보유되어 있는 입체물(50)로부터 잉크방울의 토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간하여 설치됨으로써, 입체물(50)의 주위에 있어서 피인쇄체 보유부재(18)의 외부를 향하는 자외선을 차광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차광부(110)는 잉크젯 헤드(12)에 의한 잉크방울의 토출방향에 있어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잉크젯 헤드(12)는 중력방향으로 잉크방울을 토출한다. 그 때문에, 토출방향에 있어서 진퇴 가능이란, 상하방향에 있어서 진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차광부(11)는, 도 2의 (a)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4 부분(202a~202d)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4 부분(202a~202d)의 각각은, 케이스체부(104)의 각 측면의 상부에 설치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제 1 부분(202a)은, 복수의 축부재(102)의 일단측에 있어서 케이스체부(104)의 측면 상부를 따라서 연장하는 부분이다. 제 2 부분(202b)은 복수의 축부재(102)의 타단측에 있어서 케이스체부(104)의 측면 상부를 따라서 연장하는 부분이다. 또한, 제 3 부분(202c) 및 제 4 부분(202d)은 축부재(102)와 평행한 케이스체부(104)의 측면 상부를 따라서 연장하는 부분이고, 제 1 부분(202a)과 제 2 부분(202b)을 연결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 차광부(110)는 케이스체부(104)의 윗변을 따라서 배치되고, 피인쇄체 보유부재(18)의 외부를 향하는 자외선을 저감한다. 차광부(110)는, 예를 들어 제 1 내지 제 4 부분(202a~202d)의 각각에 있어서 자외선을 차광함으로써, 입체물(50)의 주위를 둘러싸는 4방향에 있어서 자외선을 차광한다. 이렇게 구성하면, 예를 들어 입체물(50)의 주위의 전 방향에 있어서 입체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누출되는 미광을 보다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차광부(110)는, 예를 들어 제 1 내지 제 4 부분(202a~202d)의 일부에 있어서 자외선을 차광함으로써, 입체물(50)의 주위의 일부 방향에 있어서, 자외선을 차광하여도 좋다. 이러한 경우, 차광부(110)는 잉크젯 프린터(10)의 전후방향에 있어서 자외선을 차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젯 프린터(10)의 전후방향이란, 잉크젯 프린터(10)의 정면측 및 배면측 방향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예를 들어 잉크젯 프린터(10)의 오퍼레이터(유저)가 빈번하게 서는 위치로 향하는 자외선을 적절하게 차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출된 자외선이 오퍼레이터에 닿는 것을 적절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차광부(110)의 제 1 내지 제 4 부분(202a~202d)은, 전체가 연결된 하나의 부재의 각 부분이다. 그 때문에, 제 1 내지 제 4 부분(202a~202d)은, 서로의 상대위치를 고정하고 있는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동시에 진퇴한다. 차광부(110)의 진퇴 동작에 대해서는 나중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복수의 타원캠(112)은 축부재(102)의 회전에 연동시켜 차광부(110)를 진퇴시키는 연동부재의 일례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타원캠(112)은 중심에 축부재(102)가 관통됨으로써 축부재(102)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타원캠(112)이 입체물(50)의 주인쇄면과 긴 축이 평행하게 되고, 또한 입체물(50)의 측면과 짧은 축이 평행하게 되는 방향으로, 축부재(102)에 관통된다. 그리고, 타원캠(112)은 차광부(110)에 아래쪽으로부터 맞닿아 있고, 차광부(110)에 접한 상태로 회전함으로써, 축부재(102)의 회전에 연동시켜, 차광부(110)를 상하방향으로 진퇴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짧은 축측에 있어서 타원캠(112)이 차광부(110)에 아래쪽으로부터 맞닿는 경우, 차광부(110)는 아래쪽으로 내려간 상태가 된다. 또한, 도 2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긴 축측에 있어서 타원캠(112)이 차광부(110)에 아래쪽으로부터 맞닿는 경우, 차광부(110)는 위쪽으로 올라간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축부재(102)와 함께 타원캠(112)을 회전시킴으로써, 차광부(110)를 상하방향으로 진퇴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피인쇄체 보유부재(18)는, 4개의 타원캠(112)을 가진다. 4개의 타원캠(112)의 각각은,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3개)의 축부재(102) 중, 배열의 바깥쪽 2개의 축부재(102)에 대하여, 일단 및 타단의 각각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중, 축부재(102)의 일단측의 타원캠(112)은, 도 2의 (b)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광부(110)의 제 1 부분(202a)에 아래쪽으로부터 접한다. 또한, 축부재(102)의 타단측의 타원캠(112)은, 도 2의 (c)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광부(110)의 제 2 부분(202b)에 아래쪽으로부터 접한다. 이에 따라, 4개의 타원캠(112)은, 복수의 축부재(102)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있어서 차광부(110)와 접하고, 축부재(102)의 회전에 따라서 차광부(110)를 상하방향으로 진퇴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차광부(110)를 4점에서 지지하면서 진퇴시킴으로써, 보다 매끄럽고, 또한 보다 안정적으로 차광부(110)를 진퇴시킬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샤프트(114)는, 잉크젯 헤드(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차광부(110)를 부세하는 부세부재의 일례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가이드 샤프트(114)는, 축부재(102)의 일단측 및 타단측의 각각에 있어서 각 축부재(102) 사이의 영역에 설치되며, 스프링에 의하여 차광부(110)를 위쪽으로 부세한다. 이렇게 구성하면, 예를 들어 복수의 타원캠(112)에 의하여 차광부(110)를 보다 적절하게 진퇴시킬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입체물(50)에서의 어느 한 면을 피인쇄면으로 할지에 따라서 차광부(110)를 적절히 진퇴시킬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미광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피인쇄체 보유부재(18)에 있어서는, 복수의 축부재(102) 및 복수의 워크 세트 부재(106)를 이용함으로써, 다수의 입체물(50)에 대하여, 동시에 적절히 인쇄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인쇄 비용의 저감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복수의 축부재(102) 등을 이용하는 구성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4개의 타원캠(112)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차광부(110)를 보다 적절하게 진퇴시켜서 미광을 억제하고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는, 낮은 비용으로의 인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특유의 구성을 이용하여, 보다 적절하게 미광을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고도 할 수 있다.
이어서, 축부재(102)의 회전과, 차광부(110)의 진퇴동작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축부재(102) 및 타원캠(112)의 회전에 따라서 차광부(110)가 상하방향으로 진퇴하는 모습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의 (a)는, 도 2의 (b)에 나타낸 상태를 측면측에서 본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입체물(50)의 주인쇄면(302)으로 인쇄를 행하는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의 (b)는, 도 2의 (c)에 나타낸 상태를 측면측에서 본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입체물(50)의 측면(304)으로 인쇄를 행하는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피인쇄체 보유부재(18)에서의 입체물 보유부(152)는, 축부재(102)를 회전시킴으로써 입체물(50)의 방향을 변경하여, 잉크젯 헤드(12)(도 1을 참조)와 대향시키는 피인쇄면을 변경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피인쇄체 보유부재(18)에 있어서는, 이 회전에 의하여 상하방향에서의 피인쇄면의 위치가 변한다.
예를 들어,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인쇄면(302)을 잉크젯 헤드(12)와 대향하게 하는 경우, 입체물 보유부(152)는 주인쇄면(302)의 상하방향에서의 위치가 소정의 제 1 대향위치가 되도록 입체물(50)을 보유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대향위치는, 피인쇄체 보유부재(18)의 케이스체부(104)의 측면의 상변과 거의 같거나, 또는 약간 높은 위치이다.
또한,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304)을 잉크젯 헤드(12)와 대향하게 하는 경우, 입체물 보유부(152)는 측면(304)의 상하방향에서의 위치가 제 1 대향위치와는 상이한 제 2 대향위치가 되도록 입체물(50)을 보유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대향위치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 1 대향위치보다 높은 위치이다. 그 때문에, 측면(304)을 잉크젯 헤드(12)와 대향하게 하는 경우, 피인쇄면이 되는 측면(304)은 피인쇄체 보유부재(18)의 케이스체부(104)의 측면보다 높은 위치로 돌출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하였던 것과 같이, 축부재(102) 및 타원캠(112)의 회전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진퇴하는 차광부(110)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진퇴 동작에 의하여, 차광부(110)는 주인쇄면(302) 또는 측면(304)의 어느 피인쇄면인지에 따라서 상하방향의 상이한 위치에 있어서 자외선을 차광한다. 또한, 이에 따라, 차광부(110)는 주인쇄면(302) 또는 측면(304)의 어느 피인쇄면인지에 따라서 자외선을 차광하는 차광영역을 변경한다.
예를 들어, 주인쇄면(302)을 잉크젯 헤드(12)와 대향하게 하는 경우, 도 2의 (b) 및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광부(110)는 타원캠(112)의 짧은 축측과 접한다. 이에 따라, 차광부(110)는 상하방향에서의 제 1 차광위치에서 자외선을 차광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차광위치는 주인쇄면(302)을 피인쇄면으로 하는 경우의 주인쇄면(302)의 위치에 맞춘 차광위치이다.
또한, 측면(304)을 잉크젯 헤드(12)와 대향하게 하는 경우, 도 2의 (c) 및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광부(110)는 타원캠(112)의 긴 축측과 접한다. 이에 따라, 차광부(110)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 1 차광위치보다 높은 제 2 차광위치에서 자외선을 차광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차광위치는 어느 한 측면(304)을 피인쇄면으로 하는 경우의 측면(304)의 위치에 맞춘 차광위치이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와 같이, 인쇄공정 내에서 입체물(50)을 회전시키는 것 등에 의하여 피인쇄면의 위치가 변하는 경우, 단순히 입체물(50)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는, 잉크젯 헤드(12)와 피인쇄면 사이의 거리인 갭 거리가 변한다. 그리고, 그 결과, 입체물(50)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누출되는 미광이 발생하기 쉬어지는 것이 생각된다. 또한, 잉크젯 헤드(12)와 피인쇄면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갭 거리를 일정하게 하더라도, 도 3의 (a), (b) 등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입체물(50)의 피인쇄면 위치가 상하방향에 있어서 변한 경우, 피인쇄체 보유부재(18)의 케이스체부(104)의 측면과의 위치관계 등에 의하여 미광이 발생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축부재(102)의 회전에 따라서 변하는 피인쇄면의 위치에 맞추어 차광부(110)를 적절히 진퇴시킬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미광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휴대단말의 커버 등의 입체물(50)에 대하여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미광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입체물(50)에 대한 인쇄를 보다 적절히 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에 기재된 범위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실시형태에 다양한 변경 또는 개량을 더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확하다. 그러한 변경 또는 개량을 더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이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명확하다.
예를 들어, 차광부에 의한 차광영역을 변경하는 방법으로서, 차광부에 있어서 차광에 기여하는 영역의 면적을 변경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도 생각된다. 또한, 차광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제 1 피인쇄면을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는 경우, 또는 제 2 피인쇄면을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는 경우의 한쪽 경우에 있어서만 자외선을 차광하고, 다른 쪽 경우에는 차광을 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생각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잉크젯 프린터에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10: 잉크젯 프린터
12: 잉크젯 헤드
14: 자외선 조사부
16: 가이드 레일
18: 피인쇄체 보유부재
20: 보유부 구동부
22: 제어부
50: 입체물
102: 축부재
104: 케이스체부(축보유부)
106: 워크 세트 부재(입체물 고정부재)
108: 회전구동부
110: 차광부
112: 타원캠(연동부재)
114: 가이드 샤프트
116: ROM
152: 입체물 보유부
202a ~ 202d: 제 1 ~ 제 4 부분

Claims (10)

  1. 입체물에 잉크젯 방식으로 인쇄를 하는 잉크젯 프린터로서,
    자외선 경화형 잉크의 잉크방울을 토출하는 잉크젯 헤드와,
    상기 자외선 경화형 잉크를 경화시키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와,
    인쇄대상이 되는 상기 입체물을 상기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여 보유하는 피인쇄체 보유부재를 구비하고,
    인쇄대상이 되는 상기 입체물은, 상기 잉크젯 프린터에 의하여 인쇄되는 피인쇄면으로서, 제 1 피인쇄면과, 상기 제 1 피인쇄면에 대한 측면인 제 2 피인쇄면을 적어도 가지며,
    상기 피인쇄체 보유부재는,
    상기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여 상기 입체물을 보유하는 입체물 보유부와,
    상기 피인쇄체 보유부재의 외부를 향하는 자외선을 저감하는 차광부를 가지고,
    상기 입체물 보유부는, 상기 입체물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 1 피인쇄면, 및 상기 제 2 피인쇄면의 각각을 상기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며,
    상기 제 1 피인쇄면을 상기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는 경우, 상기 입체물 보유부는 상기 잉크젯 헤드가 잉크방울을 토출하는 방향인 토출방향에서의 상기 제 1 피인쇄면의 위치가 제 1 대향위치가 되도록 상기 입체물을 보유하고,
    상기 제 2 피인쇄면을 상기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는 경우, 상기 입체물 보유부는 상기 토출방향에서의 상기 제 2 피인쇄면의 위치가 상기 제 1 대향위치와는 상이한 제 2 대향위치가 되도록 상기 입체물을 보유하며,
    상기 차광부는 상기 입체물 보유부에 보유되어 있는 상기 입체물로부터 상기 토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간하여 설치됨으로써, 상기 입체물 주위의 적어도 어느 한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피인쇄체 보유부재의 외부를 향하는 자외선을 차광하고,
    또한, 상기 차광부는, 적어도 일부 위치에서 상기 토출방향에 있어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입체물 보유부가 상기 제 1 피인쇄면을 상기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는 경우에서의 상기 제 1 대향위치, 및 상기 제 2 피인쇄면을 상기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는 경우에서의 제 2 대향위치의 각각에 대응하여 진퇴함으로써, 상기 토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자외선을 차광하는 차광영역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물 보유부가 상기 제 1 피인쇄면을 상기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는 경우, 상기 차광부는 상기 토출방향에서의 제 1 차광위치에서 자외선을 차광하고, 상기 입체물 보유부가 상기 제 2 피인쇄면을 상기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는 경우, 상기 차광부는 상기 토출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광위치와 상이한 제 2 차광위치에서 자외선을 차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물 보유부는,
    상기 토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는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보유하는 축 보유부와,
    상기 축부재에 대하여 상기 입체물을 고정하는 고정부재이고, 상기 축부재에 대하여 고정됨으로써 상기 입체물을 상기 축부재와 함께 회전시키는 입체물 고정부재를 가지며,
    상기 입체물 보유부는, 상기 축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입체물의 방향을 변경하고, 상기 제 1 피인쇄면, 및 제 2 피인쇄면의 각각을 상기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인쇄체 보유부재는, 상기 축부재의 회전에 연동시켜서 상기 차광부를 상기 토출방향으로 진퇴시키는 연동부재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는, 중심에 상기 축부재가 통과함으로써 상기 축부재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타원캠이고, 상기 차광부에 접속한 상태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축부재의 회전에 연동시켜서, 상기 차광부를 상기 토출방향으로 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물 보유부는,
    축방향으로 평행으로 하여 늘어서는 적어도 2개의 상기 축부재와,
    각각의 상기 축부재에 대하여 상기 입체물을 각각 고정하는 적어도 2개의 상기 입체물 고정부재를 가지고,
    상기 피인쇄체 보유부재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축부재의 각각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4개의 상기 타원캠을 가지며,
    상기 차광부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축부재의 일단측에서의 적어도 2개의 상기 타원캠과, 상기 적어도 2개의 축부재의 타단측에서의 적어도 2개의 상기 타원캠과 접속하고 있고, 상기 적어도 4개의 타원캠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토출방향으로 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인쇄체 보유부재는, 상기 잉크젯 헤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차광부를 부세하는 부세부재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8.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의 회전각도를 보정하기 위한 정보를 기억하는 보정정보 기억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9. 자외선 경화형 잉크를 이용하여 입체물에 잉크젯 방식으로 인쇄를 행하는 잉크젯 프린터에 이용되는 부재이고, 인쇄대상이 되는 상기 입체물을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여 보유하는 피인쇄체 보유부재로서,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여 상기 입체물을 보유하는 입체물 보유부와,
    상기 피인쇄체 보유부재의 외부를 향하는 자외선을 저감하는 차광부를 구비하고,
    인쇄대상이 되는 상기 입체물은, 상기 잉크젯 프린터에 의하여 인쇄가 되는 피인쇄면으로서, 제 1 피인쇄면과, 상기 제 1 피인쇄면에 대한 측면인 제 2 피인쇄면을 적어도 가지며,
    상기 입체물 보유부는, 상기 입체물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 1 피인쇄면, 및 상기 제 2 피인쇄면의 각각을 상기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고,
    상기 제 1 피인쇄면을 상기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는 경우, 상기 입체물 보유부는, 상기 잉크젯 헤드가 잉크방울을 토출하는 방향인 토출방향에서의 상기 제 1 피인쇄면의 위치가 제 1 대향위치가 되도록 상기 입체물을 보유하며,
    상기 제 2 피인쇄면을 상기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는 경우, 상기 입체물 보유부는, 상기 토출방향에서의 상기 제 2 피인쇄면의 위치가 상기 제 1 대향위치와는 상이한 제 2 대향위치가 되도록 상기 입체물을 보유하고,
    상기 차광부는 상기 입체물 보유부에 보유되어 있는 상기 입체물로부터 상기 토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인간하여 설치됨으로써, 상기 입체물 주위의 적어도 어느 한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피인쇄체 보유부재의 외부를 향하는 자외선을 차광하며,
    또한, 상기 차광부는 적어도 일부 위치에서 상기 토출방향에 있어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입체물 보유부가 상기 제 1 피인쇄면을 상기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는 경우에서의 상기 제 1 대향위치, 및 상기 제 2 피인쇄면을 상기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는 경우에서의 상기 제 2 대향위치의 각각에 대응하여 진퇴함으로써, 상기 토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자외선을 차광하는 차광영역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인쇄체 보유부재.
  10. 입체물에 잉크젯 방식으로 인쇄를 행하는 인쇄방법으로서,
    자외선 경화형 잉크의 잉크방울을 토출하는 잉크젯 헤드와,
    상기 자외선 경화형 잉크를 경화시키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와,
    인쇄대상이 되는 상기 입체물을 상기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여 보유하는 피인쇄체 보유부재를 이용하고,
    인쇄대상이 되는 상기 입체물은, 상기 잉크젯 프린터에 의하여 인쇄가 되는 피인쇄면으로서, 제 1 피인쇄면과, 상기 제 1 피인쇄면에 대한 측면인 제 2 피인쇄면을 적어도 가지며,
    상기 피인쇄체 보유부재는,
    상기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여 상기 입체물을 보유하는 입체물 보유부와,
    상기 피인쇄체 보유부재의 외부를 향하는 자외선을 저감하는 차광부를 가지고,
    상기 입체물 보유부는, 상기 입체물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 1 피인쇄면, 및 상기 제 2 피인쇄면의 각각을 상기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며,
    상기 제 1 피인쇄면을 상기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는 경우, 상기 입체물 보유부는, 상기 잉크젯 헤드가 잉크방울을 토출하는 방향인 토출방향에서의 상기 제 1 피인쇄면의 위치가 제 1 대향위치가 되도록 상기 입체물을 보유하고,
    상기 제 2 피인쇄면을 상기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는 경우, 상기 입체물 보유부는, 상기 토출방향에서의 상기 제 2 피인쇄면의 위치가 상기 제 1 대향위치와는 상이한 제 2 대향위치가 되도록 상기 입체물을 보유하며,
    상기 차광부는, 상기 입체물 보유부에 보유되어 있는 상기 입체물로부터 상기 토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간하여 설치됨으로써, 상기 입체물 주변의 적어도 어느 한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피인쇄체 보유부재의 외부를 향하는 자외선을 차광하고,
    또한, 상기 차광부는, 적어도 일부 위치에서 상기 토출방향에 있어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입체물 보유부가 상기 제 1 피인쇄면을 상기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는 경우에서의 상기 제 1 대향위치, 및 상기 제 2 피인쇄면을 상기 잉크젯 헤드와 대향하게 하는 경우에서의 상기 제 2 대향위치의 각각에 대응하여 진퇴함으로써, 상기 토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자외선을 차광하는 차광영역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방법.
KR1020130127751A 2012-10-30 2013-10-25 잉크젯 프린터, 피인쇄체 보유부재, 및 인쇄방법 KR1015495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39626 2012-10-30
JP2012239626A JP6022303B2 (ja) 2012-10-30 2012-10-30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被印刷体保持部材、及び印刷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017A true KR20140056017A (ko) 2014-05-09
KR101549563B1 KR101549563B1 (ko) 2015-09-03

Family

ID=49356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751A KR101549563B1 (ko) 2012-10-30 2013-10-25 잉크젯 프린터, 피인쇄체 보유부재, 및 인쇄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45090B2 (ko)
EP (1) EP2727734B1 (ko)
JP (1) JP6022303B2 (ko)
KR (1) KR101549563B1 (ko)
CN (1) CN1037864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38812B2 (ja) * 2014-10-16 2016-06-22 有限会社グリムファクトリー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6269395B (zh) * 2015-05-19 2019-02-15 东莞市品耀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t8灯管全自动排列上料打胶机
CN108099176A (zh) * 2016-11-24 2018-06-01 南京威布信息科技中心(有限合伙) 一种四喷头协同打印在3d打印机上的应用
CN109676839B (zh) * 2018-12-11 2022-02-22 上海航天控制技术研究所 一种用于多类型陀螺仪的智能固胶仪器
CN111655493A (zh) 2018-12-20 2020-09-11 康丽数码有限公司 打印头的高度控制
USD890254S1 (en) * 2018-12-20 2020-07-14 Kornit Digital Ltd. Printing machine
CN110733264B (zh) * 2019-11-01 2023-12-19 北京亚美科软件有限公司 喷墨打印机用喷头保护装置及喷头保护方法
DE102019133336A1 (de) * 2019-12-06 2021-06-10 Homag Gmbh Verfahren sowie Maschine zum Bedrucken eines Werkstücks
CN113844183B (zh) * 2021-06-30 2023-07-21 厦门汉印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打印机及其打印介质的定位装置和定位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7435A (en) * 1987-06-02 1994-02-15 Cubital Ltd. Three dimensional modeling
GB2233928B (en) * 1989-05-23 1992-12-23 Brother Ind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three-dimensional article
JP2000006493A (ja) * 1998-06-29 2000-01-11 Ikegami Tsushinki Co Ltd 立体プリント装置
JP2001270096A (ja) * 2000-03-27 2001-10-02 Asutekku Kk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装置
JP2002084407A (ja) * 2000-09-11 2002-03-22 Minolta Co Ltd データ生成装置及び立体表面記録装置
US6520084B1 (en) * 2000-11-13 2003-02-18 Creo Inc. Method for making printing plate using inkjet
JP2003285424A (ja) * 2002-03-27 2003-10-07 Konica Corp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4617202B2 (ja) * 2005-05-30 2011-01-19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Uv硬化型インク使用の立体メディアプリント用の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GB2448695B (en) * 2007-04-23 2012-07-11 Inca Digital Printers Ltd Large-scale inkjet printer
DE102007021765B4 (de) * 2007-05-09 2010-06-17 Bauer, Jörg R. Vorrichtung zum gleichzeitigen Bedrucken einer Mehrzahl von gleichen Bauteilen mittels eines digitalen Druckverfahrens
JP2010158874A (ja) 2009-01-09 2010-07-22 Sharp Corp インク滴体積測定装置及びインク滴体積測定方法
CN101920604B (zh) * 2009-06-10 2012-06-2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曲面打印方法
CN101954342A (zh) 2009-07-14 2011-01-2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工件印漆方法
JP2011115679A (ja) * 2009-12-01 2011-06-16 Seiko Epson Corp 液滴吐出装置
JP2011235567A (ja) * 2010-05-12 2011-11-24 Seiko Epson Corp 液滴吐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9563B1 (ko) 2015-09-03
EP2727734A1 (en) 2014-05-07
JP6022303B2 (ja) 2016-11-09
CN103786438A (zh) 2014-05-14
JP2014087753A (ja) 2014-05-15
US8845090B2 (en) 2014-09-30
EP2727734B1 (en) 2015-09-30
CN103786438B (zh) 2016-06-22
US20140118453A1 (en) 2014-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9563B1 (ko) 잉크젯 프린터, 피인쇄체 보유부재, 및 인쇄방법
US8196543B2 (en) Defect repairing apparatus, defect repairing method,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5119867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5165527B2 (ja) 3次元プリン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印刷方法
JP2008221496A (ja) 三次元プリンタ
EP1627746A3 (en) Printing device with radiation source
JP2016168844A (ja) 物体表面印刷装置
EP2138309B1 (en) Inkjet recording apparatus
US20160167399A1 (en) Inkjet printer, inkjet printing method, and inkjet printing system
JP6581489B2 (ja) キャリッジおよび液体噴射記録装置
US20130016164A1 (en) Liquid ejection device
EP4173835A1 (en) Printing device
JP2022160155A (ja) プリンタ
JP6708411B2 (ja) 角度調整機構、プリンタおよび角度調整機構を使用した角度調整方法
EP2955028B1 (en)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method
US9193195B1 (en) Printer
JP2004276394A (ja) 印刷装置およびその印刷ヘッドの取り付け方法
CN106335281B (zh) 射出装置
JP2012143958A (ja) 記録装置
JP2008246713A (ja) 記録ヘッド、ヘッドユニット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20140347420A1 (en) Nozzle ejection trajectory detection
JP7355543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18015984A (ja) 記録装置
JP2009034940A (ja) キャリアの駆動機構、並びに記録装置及び読取装置
JP5038164B2 (ja) 液滴吐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